KR20060133240A -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240A
KR20060133240A KR1020050052986A KR20050052986A KR20060133240A KR 20060133240 A KR20060133240 A KR 20060133240A KR 1020050052986 A KR1020050052986 A KR 1020050052986A KR 20050052986 A KR20050052986 A KR 20050052986A KR 20060133240 A KR20060133240 A KR 2006013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or
power saving
saving mode
respons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240A/en
Publication of KR2006013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2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resistance and either capacitance or inductance, e.g. phase-shift oscill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An oscillator, a liquid crystal display(LCD)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LCD are provided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during a sleep mode by changing a resistor and a capacitor according to a mode signal. An LCD device includes an LCD panel, a driver, a controller, and an oscillator(108). The driver drives signal lines of the LCD panel.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er. The oscillator is us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driver. The oscillator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whose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start and end timings of a power saving mode. The oscillator includes an oscillating unit and an amplifier(132). The oscillating unit varies at least one of first and second frequency regulators according to the start and end timings of the power saving mode. The amplifier includes first and second series-connected inverters and amplifies the oscillation signal from the oscillating unit.

Description

오실레이터,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오실레이터를 오프한 후 온시켜일때 발생되는 발진 불안정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1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ion instability area generated when a conventional oscillator is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되는 발진주파수와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저항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scillation frequency generated by the oscillator illustrated in FIG. 2 and a resistance included in the oscillato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되는 발진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ion frequency generated by the oscillator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지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shown in FIG. 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2 : 데이터 구동부 104 : 게이트 구동부102: data driver 104: gate driver

106 : 타이밍 제어부 108 : 오실레이터106: timing controller 108: oscillator

110 : 액정 표시 패널 112,120 : 저항군110: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2, 120: resistance group

114,118,122,126 : 멀티플렉서 116,124 : 캐패시터군114,118,122,126: Multiplexer 116,124: Capacitor Group

130 : 공진부 132 : 증폭부130: resonator 132: amplifier

150 : 입력라인 152, 154 : 주파수 가변부150: input line 152, 154: frequency variable part

160 : 출력라인 170 : 공통 버스160: output line 170: common bus

172 :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174 : 램172: microprocessor unit 174: RAM

176 : 디스플레이부176: display unit

본 발명은 오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립 모드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오실레이터 및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scil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scillator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sleep mode,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최근 한정된 배터리로 오랜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제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휴대용 디지털 제품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노력 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용 디지털 제품의 전력 소모가 큰 요인 중 하나는 고해상도화되면서 클럭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소비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소비전류를 줄이기 위해 휴대용 디지털 제품은 절전모드일 때 슬립 모드(Sleep Mode)와 대기모드(Stand-By Mode)로 구분하여 동작한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portable digital products that can operate for a long time with a limited battery increases rapidly,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portable digital products. One of the biggest power consumption factors of portable digital products is high resolution,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urrent consumption as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increases.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portable digital products operate in sleep mode and sleep-by-mode when in power saving mode.

대기모드의 경우,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에 대응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휴대용 디지털 제품의 각부에는 전원이 인가된다. In the standby mode, power is applied to each part of the portable digital product so as to be implemented in response to a user's data input.

슬립 모드의 경우, 소정 시간 이상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제어를 위한 구성, 예를 들어, 메모리, 오실레이터 등에만 전원이 인가된다.In the sleep mode, power is applied only to a configuration for minimum control, for example, a memory, an oscillator, etc.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when not in us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파워 동작Power action 메모리 저장Memory storage 오실레이터 동작Oscillator Behavior 소비전류Current consumption 대기모드Standby mode ΧΧ ΧΧ ΧΧ 20㎂이하20㎂ or less 슬립모드Sleep mode ΧΧ O O 100㎂이하100㎂ or less

대기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 오실레이터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슬립 모드에 비해 소비전류가 낮다. 그러나, 대기모드시 오실레이터가 오프된 후 오실레이터를 온 시키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안정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 불안정 영역이 안정화되기까지 소정시간이 필요해 오실레이터의 동작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기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가 지워져 다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전송해야하므로 구동시간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implemented in the standby mode, the oscillator does not operate as shown in Table 1, resulting in lower current consumption compared to the sleep mode. However, if the oscillator is turned on after the oscillator is turned off in the standby mode, an unstable region exists as shown in FIG. 1. There is a problem that a predetermined time is required until this unstable region is stabilized, and the operating speed of the oscillator is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implemented, since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erased and the data must be transferred to the memo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ing time is reduced.

슬립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전원동작시 바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어 구동시간이 대기모드에 비해 빠르다. 그러나, 슬립 모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오실레이터가 동작하므로 소비전류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sleep mode, since th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the image can be realized immediately when the power supply is operated. Therefore, the driving time is faster than the standby mode. However, when the sleep mode is implemented, since the oscillator operates, the current consumption is hig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립 모드시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는 오실레이터 및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scillator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 sleep mode,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신호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발진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driver for driving signal line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n oscillation signal necessary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for generating an oscillation signal whose frequency is adjusted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a power saving mode.

여기서, 상기 오실레이터는 상기 절전 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키는 발진부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인버터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부의 발진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oscillator includes an oscillator for vary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and an oscillation signal of the oscilla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그리고, 상기 절전모드 개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은 증가하며, 상기 절전모드 해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 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increase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tarted, and th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decrease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It featur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n oscillation signal whose frequency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여기서, 상기 오실레이터는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를 포함하는 발진부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인버터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부의 발진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oscillator may include an oscillator including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And an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and output the oscillation signal of the oscillato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inverters connected in series.

한편,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된 저항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캐패시터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includes a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a first embodiment of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And a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capacitor group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그리고,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may include a resis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a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the resistor groups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is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의 제3 실시 예는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의 제3 실시 예는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캐패시터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may include a resis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resistor groups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includes a capaci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ying unit, and selecting one of the capacitor groups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lection unit.

그리고,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의 제4 실시 예는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가변되는 가변 저항이며,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의 제4 실시 예는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가변되는 가변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is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variable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includes: And a variable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and variable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상기 절전모드 개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은 증가하며, 상기 절전모드 해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tarted, the outpu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increases, and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the outpu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decreases. It featur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의 구동방법은 절전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제어된 제1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절전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변경된 주파수를 원 주파수의 제2 발진신호로 변경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scillator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generating a frequency controlled first oscillation signal in response to a power saving mode start signal; And a second step of changing the changed frequency into a second oscillation signal of the original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signal.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108)는 특정한 주파수의 전류에 공진하는 공진부(130)와 공진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증폭부(13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oscillator 108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onator 130 resonating to a current of a specific frequency and an amplifier 132 continuously supplying a resonant current.

증폭부(132)는 입력라인(150)과 출력 라인(160)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인버터(INV1,INV2)를 구비한다. The amplifier 132 includes first and second inverters INV1 and INV2 connected in series to the input line 150 and the output line 160.

공진부(130)는 증폭부(132)와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C)와, 노드(n)와 입력 라인(150) 사이에 위치하는 주파수 가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진부(130)는 캐패시터(C)와 주파수 가변부에 의해 설정된 지연시간만큼의 위상차에 의해 주파수를 결정하다. The resonator 130 includes a capacitor C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132 and a frequency variable part located between the node n and the input line 150. The resonator 130 determines the frequency by the phase difference by the delay time set by the capacitor C and the frequency variable part.

즉, 공진부(130)에 의해 오실레이터(108)에서 생성되는 주파수는 수학식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과 캐패시터(C)값에 반비례한다.That is,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oscillator 108 by the resonator 130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alue of the resistor R and the capacitor C as shown in Equations 1 and 3.

Figure 112005032559115-PAT00001
, 여기서 χ는 상수이다.
Figure 112005032559115-PAT00001
Where χ is a constant.

이 저항값 또는 캐패시터값을 조절하여 오실레이터의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슬립 모드 구현시 소비전류를 낮춘다.By adjusting this resistance value or capacitor value, the oscillator frequency is adjusted to lower the current consumption during sleep mode implementation.

이를 위해, 주파수 가변부는 다수개의 저항군(112)과, 그 저항군(112)과 접속된 멀티플렉서(114)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frequency variabl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ance groups 112 and a multiplexer 114 connected to the resistance groups 112.

저항군(112)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R1 내지 Rk)이 노드(n)와 멀티플렉서(114)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서(114)는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선택하여 출력한다.In the resistor group 112,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k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re connected between the node n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114. The multiplexer 114 selects and outputs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and selects and outputs a relatively low resis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이와 같이,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주파수 가변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이 선택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1)를 생성한다. 그리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이 선택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2), 즉 일반 구동시 필요한 발진신호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tively high resistance is selected by the frequency variabl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so that the oscillator 108 generates the oscillation signal OSC1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as shown in FIG. 4. do. In addition, since a relatively low resistance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the oscillator 108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OSC2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that is, an oscillation signal required for normal driv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슬립 모드 개시(SS)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오실레이터(108)에 의해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 모드시 최소 30%이상의 소비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and generates a relatively low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The oscillator 108 may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of at least 30% in the sleep mode as shown in Table 2.

주파수(R,C변경)Frequency (R, C change) 240㎑240㎑ 200㎑200㎑ 160㎑160㎑ 120㎑120㎑ 소비전류Current consumption 44.3㎂44.3㎂ 40.0㎂40.0㎂ 35.8㎂35.8㎂ 30.1㎂30.1㎂

이에 따라, 오실레이터(108) 오프후 발진시 오실레이터의 발진 안정 시간, 명령 초기화 시간, 그래픽 데이터 쓰기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실레이터를 가지는 전자장치의 부하를 줄여 다른 프로그램동작 시간에 할당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As a result, the oscillation stability time, command initialization time, graphic data writing time, etc. of the oscillator during oscillation after the oscillator 108 is turned off can be saved. This reduces the load on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oscillator and assigns it to different program operating times, thus improving design freedom.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108)는 도 2에 도시된 오실레이터와 대비하여 용량값이 조절되는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주파수 가변부를 가지는 공진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oscillator 108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components except for a resonance part having a frequency variable part made of a capacitor whose capacitance is adjusted in comparison with the oscillator shown in FIG. 2. Equipped.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공진부(130)는 증폭부(132)와 병렬로 접속된 주파수 가변부(130)와, 노드(n)와 입력라인(150) 사이에 위치하는 저항(R)을 구비한다.The resonator 130 includes a frequency variable unit 130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132 and a resistor R positioned between the node n and the input line 150.

주파수 가변부(130)는 다수개의 캐패시터군(116)과, 그 캐패시터군(116)과 접속된 멀티플렉서(118)를 구비한다.The frequency variable par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capacitor groups 116 and a multiplexer 118 connected to the capacitor group 116.

캐패시터군(116)은 서로 다른 용량값을 갖는 다수개의 캐패시터(C1 내지 Ck)가 제2 노드(n2)와 멀티플렉서(114)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서(114)는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In the capacitor group 116, a plurality of capacitors C1 to Ck having different capacitance values ar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n2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114. The multiplexer 114 selects and outputs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high capaci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and selects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low capaci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Output

이와 같이,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주파수 가변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가 선택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1)를 생성한다. 그리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가 선택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2), 즉 일반 구동시 필요한 발진신호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high capacitance value is selected by the frequency variable part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so that the oscillator 108 ha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as shown in FIG. 4. OSC1). In addition, since the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low capacitance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the oscillator 108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OSC2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that is, an oscillation signal required for normal driving.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슬립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슬립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오실레이터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소비전류는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and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initiation signal. . This oscillator reduces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108)는 도 2에 도시된 오실레이터와 대비하여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를 가지는 공진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oscillator 108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except for the resonance part having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as compared to the oscillator shown in FIG. 2.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공진부(130)는 노드(n)와 입력라인(15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주파수 가변부(152)와, 증폭부(132)와 병렬로 접속된 제2 주파수 가변부(154)를 구비한다.The resonator 130 includes a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152 positioned between the node n and the input line 150, and a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154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132. do.

제1 주파수 가변부(152)는 다수개의 저항군(120)과, 그 저항군(120)과 접속된 제1 멀티플렉서(122)를 구비한다.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152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ance groups 120 and a first multiplexer 122 connected to the resistance groups 120.

저항군(120)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다수개의 저항(R1 내지 Rk)이 노드(n)와 제1 멀티플렉서(122)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1 멀티플렉서(122)는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선택하여 출력한다.In the resistor group 120,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k having different resistance values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node n and the first multiplexer 122. The first multiplexer 122 selects and outputs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and selects and outputs a relatively low resis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제2 주파수 가변부(154)는 다수개의 캐패시터군(124)과, 그 캐패시터군(124)과 접속된 제2 멀티플렉서(126)를 구비한다.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154 includes a plurality of capacitor groups 124 and a second multiplexer 126 connected to the capacitor group 124.

캐패시터군(124)은 서로 다른 용량값을 갖는 다수개의 캐패시터(C1 내지 Ck)가 제2 노드(n2)와 제2 멀티플렉서(126)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2 멀티플렉서(126)는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In the capacitor group 124, a plurality of capacitors C1 to Ck having different capacitance values are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of the second node n2 and the second multiplexer 126. The second multiplexer 126 selects and outputs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high capaci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and outputs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low capacitanc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Select and print.

이와 같이,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152,154)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과 용량값을 가지는 저항(R)과 캐패시터(C)가 선택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1)를 생성한다. 그리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값과 용량값을 가지는 저항(R)과 캐패시터(C)가 선택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2), 즉 일반 구동시 필요한 발진신호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the resistor R and the capacitor C having the relatively high resistance value and the capacitance value are se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152 and 154 so that the oscillator ( 108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OSC1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Then,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a resistor R and a capacitor C having a relatively low resistance value and a capacitance value are selected, so that the oscillator 108 has an oscillation signal OSC2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That is, it generates the oscillation signal necessary for normal driv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슬립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슬립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오실레이터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소비전류는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and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initiation signal. . This oscillator reduces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7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108)는 도 2에 도시된 오실레이터와 대비하여 가변저항과 가변 캐패시터를 가지는 공진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oscillator 108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oscillator illustrated in FIG. 2 except for the resonance part having the variable resistor and the variable capacitor.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공진부(130)는 노드(n)와 입력라인(150) 사이에 위치하는 가변저항(VAR)과, 증폭부(132)와 병렬로 접속된 가변 캐패시터(VAC)를 구비한다.The resonator 130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VAR positioned between the node n and the input line 150, and a variable capacitor VAC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132.

가변 저항(VAR)은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출력하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값을 출력하도록 가변된다.The variable resistor VAR is variable to output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valu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and to output a relatively low resistance valu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가변 캐패시터(VAC)는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캐패시터값을 출력하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캐패시터값을 출력하도록 가변된다.The variable capacitor VAC is variable to output a relatively high capacitor valu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and to output a relatively low capacitor value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이와 같이, 슬립 모드 개시 신호(SS)에 응답하여 가변저항(VAR)과 가변 캐패시터(VAC)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과 용량값을 출력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1)를 생성한다. 그리고, 슬립 모드 해제 신호(SC)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값과 용량값을 출력함으로써 오실레이터(108)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OSC2), 즉 일반 구동시 필요한 발진신호를 생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or 108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by outputting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value and a capacitance value to the variable resistor VAR and the variable capacitor VAC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start signal SS. OSC1).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SC, the oscillator 108 generates an oscillator signal OSC2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that is, an oscillation signal required for normal driving by outputting a relatively low resistance value and a capacitance value.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는 슬립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슬립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오실레이터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소비전류는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release signal and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w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sleep mode initiation signal. . This oscillator reduces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실레이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oscillator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라인(DL)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02)와, 액정 표시 패널(110)의 게이트라인(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104)와, 게이트 구동부(104) 및 데이터 구동부(102)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106)를 구비한다.8 illustrates a data driver 102 for driving the data line D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0 and a gate driver for driving the gate line G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0. 104 and a timing controller 106 for controlling the gate driver 104 and the data driver 102.

타이밍제어부(106)는 외부로부터 입력되어진 화소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02)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06)는 도 2, 도 5,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오실레이터(108)에서 생성된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부(104) 및 데이터 구동부(102)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제어신호(GCS) 및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06 supplies the pixel data signal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data driver 102. 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ler 106 controls each of the gate driver 104 and the data driver 102 using the oscill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scillator 108 shown in FIG. 2, 5, 6, or 7. The gate control signal GCS and the data control signal DCS are generated.

게이트 제어신호들(GCS)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GSC), 게이트 출력 이네이블 신호(GOE)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제어신호들(DCS)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SSC),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이 포함된다. The gate control signals GCS include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signal GSC,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and the like. The data control signals DCS include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hift clock signal SSC,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a polarity control signal POL, and the like.

게이트 구동부(104)는 타이밍 제어부(106)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들(GCS)에 응답하여 수평기간(H)마다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신호의 하이 논리 전압(VGH)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104)는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에 접속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게이트라인(GL) 단위로 구동되게 한다. The gate driver 104 sequentially applies the high logic voltage VGH of the gate signal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every horizontal period H in response to the gate control signals G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106. Supply. Accordingly, the gate driver 104 causes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connect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to be driven in units of the gate line GL.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제어부(106)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들(DCS)에 응답하여 수평기간(H1, H2, ...)마다 1 수평라인분씩의 화소 데이터 신호(Data)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한다.The data driver 102 generates one horizontal line of pixel data signal Data for each horizontal period H1, H2, ... in response to the data control signals D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106. It supplies to (DL1-DLm).

액정 표시 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러 필터 기판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10)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액정셀(Clc)들이 마련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액정셀(Clc)에 공급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0 is formed by bonding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interposed therebetwe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10 includes liquid crystal cells Clc independently driven by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in regions defined by intersections of the gate lines GL and the data lines DL.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supplies a pixel signal from the data line DL to the liquid crystal cell Clc in response to a scan signal from the gate line GL.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shown in FIG. 8.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 MPU)(172)과, MPU(172)와 버스(170)를 통해 접속된 램(Random Access Memory : RAM)(174), 디스플레이부(176) 및 기타부(178)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electronic device illustrated in FIG. 9 includes a microprocessor unit (MPU) 172, a random access memory (RAM) 174 connected to the MPU 172 through a bus 170, and a display unit. 176 and other portions 178 are provided. Here,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MPU(17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함과 아울러 슬립 기간을 조정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한다..The MPU 172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cesses an operation for adjusting the sleep period.

램(174)은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RAM 174 stores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programs.

디스플레이부(176)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숫자 등의 문자들, 동영상 및 정지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디스플레이부(176)는 주로 액정 표시 장치(LCD)가 이용된다.The display unit 176 displays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s such as numbers,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The display unit 176 mainly us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기타부(178)는 예를 들어 카메라, 키패드 등과 같은 주변기기가 공통 버스(170)를 통해 MPU(172)와 접속된다.The guitar unit 178 is connected to the MPU 172 through a common bus 170, for example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camera, a keypad.

이러한 전자장치는 슬립기간 동안 최소 제어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한다.The electronic device cuts off the power provided in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minimum control portion during the sleep perio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은 저항 및 캐패시터를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변경함으로써 슬립 모드시 소비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sleep mode by changing the resistance and the capacitor in response to the mode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실레이터,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특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8 컬러 모드 1세트의 서브 동작시에도 적용가능하다.In addition, the oscil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e also applicable to the sub-operation of one set of eight color modes in which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reduc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5)

액정 표시 패널과;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신호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A driver for driving signal line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됨과 아울러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And an oscillator which is us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er and generates an oscillation signal whose frequency is adjusted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a power sav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실레이터는The oscillator 상기 절전 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키는 발진부와;An oscillator for vary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인버터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부의 발진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And an amplifier comprising a first inverter and a second inverter connected in series to amplify and output the oscillation signal of the oscillato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절전모드 개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은 증가하며, 상기 절전모드 해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The outpu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increase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tarted, and the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decrease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Liquid crystal display.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And 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n oscillation signal whose frequency is adjusted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오실레이터는The oscillator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를 포함하는 발진부와;An oscillator including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인버터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부의 발진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And an amplifier comprising a first inverter and a second inverter connected in series to amplify and output the oscillation signal of the oscillato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는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된 저항을 구비하며,And a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는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캐패시터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And a capaci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ying unit, and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capacitor groups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는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A resistor group comprising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resistor groups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는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An oscill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or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는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A resistor group comprising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resistor groups in response to the start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는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과,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캐패시터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And a capaci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ying unit, and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capacitor groups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주파수 가변부는 The first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제1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가변되는 가변 저항이며,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inverter and variable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상기 제2 주파수 가변부는 The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 상기 증폭부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절전모드의 개시 및 해제에 응답하여 가변되는 가변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And a variable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er and variable in response to initiation and release of the power saving mod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절전모드 개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은 증가하며, 상기 절전모드 해제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 The outpu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increase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tarted, and the outpu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variable parts decrease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Oscillator. 절전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제어된 제1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A first step of generating a frequency controlled first oscillat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start signal; 절전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변경된 주파수를 원 주파수의 제2 발진신호로 변경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의 구동방법.And a second step of changing the changed frequency into a second oscillation signal of the original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signal.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용량값을 가지는 캐패시터를 선택하는 단계이며,The first step is a step of selecting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high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pacitors included in the oscillator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start signal,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 중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값을 가 지는 캐패시터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의 구동방법.The second step is a step of selecting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low capacitance value of the capacitor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pacitors included in the oscillator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signal.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을 선택하는 단계이며,The first step is a step of selecting a resistor having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esistors included in the oscillator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start signal,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 중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값을 가지는 저항을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의 구동방법.The second step is a step of selecting a resistor having a relatively low capacitance value of the resistor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esistors included in the oscillator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signal.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과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항 또는 캐패시터를 선택하는 단계와;The first step may include selecting at least one resistor or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high value from a resis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resistors and a capacitor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start signal. Wow;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다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저항군과 다수개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캐패시터군 중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지는 저항 또는 캐패시터를 선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의 구동방법.The second step may be a step of selecting a resistor or a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low value among a resistor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esistors and a capacitor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apacitors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signal. Oscillator drive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가변저항 및 가변캐패시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도록 가변시키는 단계이며,The first step is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variable resistor and the variable capacitor included in the oscillator to have a relatively high value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start signal,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절전 모드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실레이터에 포함된 가변저항 및 가변캐패시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지도록 가변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실레이터의 구동방법.And the second step of varying at least one of a variable resistor and a variable capacitor included in the oscillator to have a relatively low value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mode release signal.
KR1020050052986A 2005-06-20 2005-06-20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1332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86A KR20060133240A (en) 2005-06-20 2005-06-20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86A KR20060133240A (en) 2005-06-20 2005-06-20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40A true KR20060133240A (en) 2006-12-26

Family

ID=3781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86A KR20060133240A (en) 2005-06-20 2005-06-20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24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854B1 (en) * 2007-04-30 2009-04-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05376A (en) * 2013-07-05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854B1 (en) * 2007-04-30 2009-04-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05376A (en) * 2013-07-05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9152B2 (en) Display control drive device and display system
US7602386B2 (en) Reference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power supply circuit, driver circuit, and electro-optical device
KR100503187B1 (en) Driv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US20060038764A1 (en) Source driver, electro-optic device, and driving method
JP5188023B2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8964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 circuit
JPH11305711A (en) Low-power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EP3665670B1 (en) Driving circuit of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JPH0727132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133240A (en) Oscillat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380886B2 (en) Computer system
JP3815450B2 (en) Display drive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nd drive setting method for display drive device
JPH0683501A (en) Power control system for display device
US20160171952A1 (en) High resolution display and driver chip therein
EP2743914B1 (en)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JP2002162946A (en) Planar display device
KR100933452B1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JP3331683B2 (en) Display drive circuit
KR101847701B1 (en) High resolution display and driver chip thereof
JP4794756B2 (en) Display drive device
JP2002311903A (en) Display device
JP5138296B2 (en) Semiconductor device
JP484515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JP2003233351A (en) Driv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H10207429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