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800A -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가진 전자 서적 - Google Patents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가진 전자 서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800A
KR20060132800A KR1020067004377A KR20067004377A KR20060132800A KR 20060132800 A KR20060132800 A KR 20060132800A KR 1020067004377 A KR1020067004377 A KR 1020067004377A KR 20067004377 A KR20067004377 A KR 20067004377A KR 20060132800 A KR20060132800 A KR 2006013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display
display area
reached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오프 즈호우
잔 반 드 카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3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연속 페이지들이 차례로 디스플레이되는 시작 행 및/또는 열을 시프트함으로써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들을 사용하는 전자 서적과 같은 전자 판독 장치(300, 400)에서 이미지 품질이 개선된다. 예컨대, 제 1 페이지(530, 830)는 제 1 위치에서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 2 페이지(630, 930)는 제 2 위치에서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되며, 제 3 페이지(730, 1030)는 제 3 위치에서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이전 페이지에 대한 각 페이지의 시작 위치 예컨대, 행 및/또는 열을 시프트시킴으로써, 반복된 이미지/텍스트 업데이트들에 의하여 유발된 이미지 유지 현상들이 상당히 감소되어 고품질의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미지 유지 현상들을 제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주기적 소거 또는 리셋의 필요성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전력 소비가 감소될 뿐만아니라 사용자 편리성이 개선된다.
연속 페이지, 이미지/텍스트 업데이트, 이미지 품질,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전자 판독 장치.

Description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가진 전자 서적{An electronic book with improved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서적들 및 전자 신문들과 같은 전자 판독 장치들, 특히 이미지 유지 현상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전자 판독 장치들의 이미지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진보들로 인하여 많은 기회들을 여는 e-서적들과 같은 "사용자가 읽기 쉬운(user friendly)" 전자 판독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들은 많은 가능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들은 고유 메모리 동작을 가지며, 전력 소모없이 비교적 장기간동안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정보로 리프레시 또는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을 때만 전력이 소비된다. 그래서,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전력 소비는 매우 낮으며 이에 따라 e-서적들 및 e-신문과 같은 휴대용 e-판독 장치들에 적합하다. 전기영동은 적용된 전기장에서 하전 입자들의 이동을 언급한다. 전기영동이 액체에서 발생할 때, 입자들은 입자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점성항력, 이들의 전하(영구 또는 유도 전하), 액체의 유전 특성들 및 적용된 전기장의 진폭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는 속도로 이동한다.
예컨대, "다중색 부화소들을 가진 전체 칼라 반사 디스플레이{Full Color Reflective Display With Multichromatic Sub-Pixels}"라는 명칭으로 1999년 4월 9일에 공개된 E Ink Corporation(메사추세츠 캠브리지)에 의한 국제특허 출원번호 WO 99/5337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WO 99/53373는 두개의 기판들을 가진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를 개시하고 있다. 두개의 기판들중 한 기판은 투명하며 다른 기판은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된 전극들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엘리먼트 또는 화소는 행 전극 및 열 전극의 교차점과 연관된다.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사용하여 열 전극에 접속되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는 행 전극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TFT 트랜지스터들, 및 행 및 열 전극들의 구조는 함께 능동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행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행을 선택하며, 열 드라이버는 열 전극들 및 TFT 트랜지스터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의 선택된 행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신호들은 텍스트 또는 도형들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그래픽 데이터에 대응한다.
전자 잉크는 투명 기판상의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사이에 제공된다. 전자 잉크는 약 10 내지 50 마이크론 직경의 다중 마이크로캡슐들을 포함한다. 일 방법에서, 각각의 마이크로캡슐들은 액체 캐리어 매체 또는 유체에서 부유되는 양의 하전 백색 입자들 및 음의 하전 흑색 입자들을 가진다. 양전압이 화소 전극에 공급될때, 백색 입자들은 투명 기판에 전달되는 마이크로캡슐의 측면으로 이동하며, 뷰어는 백색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를 볼 것이다. 동시에, 흑색 입자들은 마이크로캡슐의 반대 측면의 화소 전극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흑색 입자들은 뷰어로부터 숨겨 진다. 음전압을 화소 전극에 공급함으로써, 흑색 입자들은 투명 기판에 전달되는 마이크로캡슐의 측면의 화소 전극으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는 뷰어에게 어둡게 보인다. 동시에, 백색 입자들은 마이크로캡슐의 반대 측면의 화소 전극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백색 입자들은 뷰어로부터 숨겨진다. 전압이 제거될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쌍안정 문자를 나타낸다. 다른 방법에서, 입자들은 염색된 액체로 제공된다. 예컨대, 흑색 입자들은 백색 액체에 제공될 수 있거나, 백색 입자들은 흑색 액체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색 입자들은 다른 유색 액체들에, 예컨대 백색 입자들은 녹색 액체에 제공될 수 있다.
공기와 같은 다른 유체들은 하전된 흑색 및 백색 입자들이 전기장 주위에서 이동하는 매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브리지스톤 SID 2003-정보 디스플레이에 대한 심포니엄-2003년 5월 18-23일-다이저스트 20.3). 유색 입자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자 잉크는 회로의 층에 적층되는 플라스틱 막의 시트상에 인쇄될 수 있다. 회로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화소들의 패턴을 형성한다. 마이크로캡슐들이 액체 캐리어 매체에서 부유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캡슐들은 유리, 플라스틱, 섬유 및 종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직 표면상에 기존 스크린-인쇄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인쇄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시트들의 사용은 종래의 서적의 출현을 근사화하는 전자 판독 장치들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판독 장치들에 있어서의 한 곤란성은 이미지 보유 현상 들로 인하여 이미지 품질이 감소된다는 점이다. 특히, E-잉크형 디스플레이의 강한 메모리 현상으로 인하여, 이전 이미지는 다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때, 특히 화소들이 반복적으로 스위칭될때 완전하게 소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 이미지 보유의 통합이 유발된다. 화소의 메모리 현상은 주로 각각의 화소에 국한되나 때때로 주변 화소들에 의존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허용할 수 없는 이미지 보유 현상들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컨대 적어도 3번 전체 흑색 및 전체 백색 상태들사이에서 전체 디스플레이를 스위칭함으로써 리셋이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구간, 예컨대 최대 500msec, 즉, 극단 광 상태들, 예컨대 흑색 또는 백색으로 입자들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리셋 펄스가 사용된다. 리셋은 보통 3 내지 5초동안 지속되어야 뚜렷하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하다. 따라서, 리셋들이 필요한 주파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미지 유지 현상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앞서 언급된 문제들 및 다른 문제들을 다룬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다수의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되는 화소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전자 판독 장치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각각의 화소는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들(TFT), 다이오드들 또는 금속-절연체-금속(MIM) 장치들과 같은 스위칭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행 또는 열과 같은 제 1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다음 페이지 명령에 응답하여, 제 1 페이지 대신에, 제 1 위치와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의 행 또는 열과 같은 제 2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2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속의 다음 페이지 명령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화하는 위치들에서 시작하여 후속 페이지들은 차례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수직 행 시프팅 및 수평 열 시프팅은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에 사용될 수 있다.
관련 전자 판독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도 1은 전자 판독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분에 대한 실시예를 기술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전자 판독 장치의 개요를 기술한 도면.
도 4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가진 두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기술한 도면.
도 5는 행 시프팅된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행 시프팅된 제 2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행 시프팅된 제 3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열 시프팅된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 시한 도면.
도 9는 열 시프팅된 제 2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열 시프팅된 제 3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행 및 열 시프팅된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행 및 열 시프팅된 제 2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행 및 열 시프팅된 제 3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모든 도면들에서, 대응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지시된다.
도 1 및 도 2는 제 1 기판(8), 제 2 대향 기판(9) 및 다수의 화소들(2)을 가진 전자 판독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의 일부분에 대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화소들(2)은 2차원 구조로 거의 직선들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2)은 명확화를 위하여 서로 멀리 이격된 것으로 보여지나, 실제로 화소들(2)은 연속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매우 근접해 있다. 더욱이,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단지 일부분만이 도시된다. 벌집 구조와 같은 화소들의 다른 구조들이 가능하다. 하전 입자들(6)을 가진 전기영동 매체(5)는 기판들(8, 9)사이에 존재한다. 제 1전극(3) 및 제 2전극(4)은 각각의 화소(2)와 연관된다. 전극(3, 4)은 전위차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각각의 화소(2)에 대하여, 제 1 기판은 제 1전극(3)을 가지며, 제 2 기판(9)은 제 2전극(4)을 가진다. 하전 입자들(6)은 전극들(3,4)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전극의 중간 근처의 위치들을 점유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2)는 전극들(3, 4)간의 하전 입자들(6)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 출현을 가진다. 전기영동 매체(5)는 미국특허 제5,961,804호, 제6,120,839호 및 제6,130,77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예컨대 E-잉크 코포레이션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로서, 전기영동 매체(5)는 백색 유체에서 음의 하전 흑색 입자들(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전 입자들(6)이 예컨대 +15볼트의 전위차로 인하여 제 1전극(3) 근처에 있을 때, 화소들(2)의 출현은 백색이다. 하전 입자(6)가 반대 극성의 전위차, 예컨대 -15V로 인하여 제 2전극(4) 근처에 있을 때, 화소들(2)의 출현은 흑색이다. 하전 입자들(6)이 전극들(3,4)사이에 있을 때, 화소는 흑색 및 백색사이의 회색 레벨과 같은 중간 출현을 가진다. 구동 제어부(100)는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적정 이미지들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2)의 전위차를 제어한다.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의 화소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화소들로 구성된다.
도 3은 전자 판독 장치의 개요를 기술한다. 전자 판독 장치(300)는 어드레싱 회로(105)를 포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적정 텍스트 또는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전기영동 스크린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310)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10)의 다른 화소들에 전압 파형들을 제공할 수 있다. 어드레싱 회로는 적정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행 및 열과 같은 특정 화소들을 어드레싱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같이, 제어부(100)는 연속 페이지들이 다른 행들 및/또는 열들상에서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미지 또는 텍스트 데이터는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는 필립스 일렉트로닉스의 소형 인자 광학(SFFO) 디스크 시스템이다. 제어부(100)는 다음 페이지 명령 또는 이전 페이지 명령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초기화하는 사용자-활성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버튼(320)에 응답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과 같은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코드 장치들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컴퓨터 코드 장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예컨대 모든 x 페이지들이 디스플레이된후, 모든 y 분, 예컨대 10분후에, 전자 판독 장치가 턴온될때, 및/또는 휘도 편차가 3% 반사와 같은 값보다 클때 전자 서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주기적으로 리셋하는 논리부를 가질 수 있다. 자동 리셋들동안, 허용가능한 주파수는 허용가능한 이미지 품질을 야기하는 낮은 주파수에 기초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리셋은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판독 장치를 판독하기 시작할 때 또는 이미지 품질이 허용불가능한 레벨로 떨어질때 기능 버튼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요구된 리셋 주파수는 예컨대 80% 이상 정도 본 발명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형태의 전자 판독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두가지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가진 전자 판독 장치(400)의 가능한 한 예를 기술한다. 특히, 제 1디스플레이 영역(442)은 제 1스크린(440)에 제공되며, 제 2디스플레이 영역(453)은 제 2스크린(450)에 제공된다. 스크린들(440, 450)은 스크린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혀진 평면이거나 또는 개방되고 표면상에 놓인 평면이도록 하는 바인딩(445)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서적을 판독하는 경험을 근접하게 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은 사용자가 페이지 순방향 명령, 페이지 역방향 명령등을 초기화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영역(442)은 전자 판독 장치의 페이지들을 조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 터치 활성화, PDA 펜, 또는 다른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페이지 순방향 명령들 및 페이지 역방향 명령들외에, 동일한 페이지를 상향 스크롤 또는 하향 스크롤하기 위한 능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하드웨어 버튼들(422)은 사용자가 페이지 순방향 및 페이지 역방향 명령들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영역(452)은 또한 온-스크린 버튼(422) 및/또는 하드웨어 버튼들(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들(442, 452) 주위의 프레임(405)은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비프레임일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버튼들(412, 414; 422, 424)은 양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위하여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즉, 페이지 순방향 및 페이 지 역방향 버튼들의 단일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로커 스위치와 같은 단일 버튼 또는 다른 장치는 페이지 순방향 및 페이지 역방향 명령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능 버튼은 사용자가 리셋을 수동으로 초기화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들에서, 전자 서적은 한 페이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진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진다. 또는,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예컨대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된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본 발명은 메모리 유지 현상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다중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될때, 연속 페이지들은 임의의 적정 순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제 1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442)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반면에, 제 2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452)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를 보여줄 것을 요청할 때, 제 3 페이지는 제 1 페이지 대신에, 제 1 디스플레이 영역(44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반면에, 제 2 페이지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52)에서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된다. 유사하게, 제 4 페이지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5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방법에서,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를 보여줄 것을 요청할 때, 양 디스플레이 영역들은 제 3 페이지가 제 1 페이지 대신에, 제 1 디스플레이 영역(442)에 디스플레이되고 제 4 페이지가 제 2 페이지 대신에, 제 2 디스플레이 영역(452)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업데이트된다. 단일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될때, 사용자 페이지는 디스플레 이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제 2 페이지는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 명령을 입력할 때 제 1 페이지에 겹쳐진다. 프로세스는 페이지 역방향 명령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스는 텍스트가 히브리어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판독되는 언어들 뿐만아니라 중국어와 같이 텍스트가 행방식보다 오히려 열방식으로 판독되는 언어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전체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페이지의 부분은 사용자가 페이지의 다른 부분들을 판독하기 위하여 상향, 하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스크롤하도록 하는 스크롤링 능력이 제공된다. 확대 및 축소 능력은 사용자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시력이 감소된 사용자들에게 바람직하다.
도 5는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된 행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영역(520)은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2)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단지 소수의 화소들, 예컨대 폭에 대하여 12개의 화소 및 높이에 대하여 12개의 화소가 예로서 도시된다. 따라서, 영역(520)은 완전한 이미지 또는 페이지의 단지 일부분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실제로, 수천 또는 수백만 개의 화소들이 연속적인 고품질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같이, 적정 이미지/텍스트는 특정 행 및 열 어드레스에 따라 각각의 화소를 제어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520)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특히, 행 드라이버(510) 및 열 드라이버(소스 드라이 버)(500)는 사용자에 의하여 판독될 텍스트의 페이지와 같이 적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에 신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영역(520)에 디스플레이될때, 새로운 페이지는 다른 행과 같이 이전 페이지와 다른 위치에서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예컨대, 도 5에서, 제 1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520)에서 모든 화소들의 부세트를 형성하는 음영된 화소들(53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제 1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제 1 행에서 시작한후 14개의 행을 통해 연장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된다. 15개 및 16개의 행들이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도 6은 음영된 화소들(630)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14개의 행들을 통해 제 2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2 페이지를 기술한다. 여기서, 제 2 페이지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제 2 행상에서 시작한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16개 행들을 통해 제 3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3 페이지를 기술한다. 따라서, 각각의 페이지의 디스플레이가 시작되는 행은 페이지마다 변화된다. 일 방법에서, 페이지들의 디스플레이가 시작되는 행들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준 행으로부터의 변화하는 오프셋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기준 행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행 또는 임의의 다르게 지정된 행일 수 있다. 더욱이, 오프셋은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제 1 페이지에 대하여, 제 1 행으로부터의 오프셋은 오프셋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값이다. 도 6의 제 2 페이지에 있어서 제 1 행으로부터의 오프셋은 하나의 행이며, 제 7의 제 3 페이지에 있어서 제 1 행으로부터의 오프셋은 두개의 행 들이다. 만일 하부 행이 기준 행으로서 선택되면, 제 1, 제 2 및 제 3 페이지에 대한 오프셋들은 각각 15개, 14개, 및 13개 행들이다.
이러한 사상의 많은 다른 변형들이 가능하다. 예컨대, 시작 행은 비록 모든 페이지에 대한 시작 행의 변화가 이미지 유지 현상들의 큰 감소를 제공할지라도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페이지, 또는 모든 다른 페이지 또는 모든 제 3 페이지 등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다. 각각의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이미지/텍스트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될지라도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시작 행은 페이지마다 하나 이상의 행들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페이지에 대하여 동일한 양만큼 시작 행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기준 행으로부터의 오프셋은 최대값이 도달할 때까지 최소값으로부터 증가하도록 변화될 수 있으며, 최대값이 도달할 때에 오프셋은 예컨대 한 사이클에서 최소값으로 리셋된다. 이는 예컨대 0,1,2,3,0,1,2,3,...행들의 연속 오프셋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식에서, 오프셋은 최대값이 도달될 때까지 최소값으로부터 증가하도록 변화되며, 이때에 오프셋은 최소값이 도달될 때까지 감소한다. 이는 예컨대, 0,1,2,3,2,1,0,1,2,3,...행들의 연속 오프셋들로 구현될 수 있다. 최대 오프셋은 임의의 수의 행들일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의 페이지들이 디스플레이될 때, 최대 오프셋은 텍스트의 라인들간의 공간의 높이에 기초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라인들간의 흑색 공간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특정 위치들에 이미지 유지 현상들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최대 오프셋은 시프트된 페이지들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 거나 또는 착란시키지 않아야 한다. 예컨대, 최대 오프셋은 텍스트의 라인들간의 공간이 높이에 추가된 텍스트의 한 라인의 높이에 제한될 수 있다.
논의된 행 시프팅 기술외에, 유사한 열 시프팅 기술들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행 시프팅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은 열 시프팅을 가진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20)을 도시한다. 여기서, 제 1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520)에서 모든 화소들의 부세트를 형성하는 음영된 화소들(83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제 1 페이지는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제 1 열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10열을 통해 연장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제 11 및 제 12 열들은 제 1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도 9는 음영된 화소들(930)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제 11 열들을 통해 제 2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제 2 페이지를 기술한다. 본 명세서서, 제 2 페이지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제 2 열의 위치에서 시작되었다. 도 10은 음영된 화소들(1030)에 의하여 도시된 디스플레이 영역(520)의 제 12 열들을 통해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3 페이지를 기술한다. 따라서, 각각의 페이지의 디스플레이가 페이지마다 변화된다. 일 방법에서, 페이지들의 디스플레이가 시작되는 열들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준 열로부터의 변화하는 오프셋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기준 열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열 또는 임의의 다르게 지정된 열일 수 있다. 더욱이, 오프셋은 앞서 논의된 행 시프팅 기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들에서, 시작 열은 비록 모든 페이지에 대한 시작 행의 변화가 이미지 유지 현상들의 큰 감소를 제공할지라도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페이지, 또는 모든 다른 페이지 또는 모든 제 3 페이지 등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시작 열은 페이지마다 하나 이상의 열들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페이지에 대하여 동일한 양만큼 시작 열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기준 열로부터의 오프셋은 최대값이 도달할 때까지 최소값으로부터 증가하도록 변화될 수 있으며, 최대값이 도달할 때에 오프셋은 예컨대 한 사이클에서 최솟값으로 리셋 된다. 다른 방식으로, 오프셋은 최대값이 도달할 때까지 최소값으로부터 증가하도록 변화되며, 최대값이 도달할 때에 오프셋은 감소된다. 최대 오프셋은 임의의 수의 열들일 수 있다. 최대 오프셋은 시프트된 페이지들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또는 착란시키지 않아야 한다. 예컨대, 최대 오프셋은 텍스트의 한 문자의 폭에 제한될 수 있다.
행 시프팅 및 열 시프팅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행 및 열 시프트를 가진 제 1, 제 2 및 제 3 페이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도시한다. 제 1 페이지는 음영된 화소들(113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반면에, 제 2 페이지는 음영된 화소들(123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며 제 3 페이지는 음영된 화소들(133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각각의 연속 페이지에 대하여, 행 및 열 시프트들이 사용된다. 행 및 열 시프팅과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변형들은 또한 이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추가 변형들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 순환 패턴으로 시프팅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시계방향 패턴에서, 예컨대 이미지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 다음에 상부하에 하부로, 그 다음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원래의 시작 위치로 리턴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의 페이지에 대하여 시프트된다. 이는 예컨대 도 11을 참조로하여 x-y 좌표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기술되며, 본 명세서서 상부 좌측 화소는 좌표(0,0), 예컨대 열=0 및 행=0을 가지며, 우측으로의 화소는 좌표(1,0), 예컨대 열=1 및 행=0을 가지며, 하부 화소는 좌표(0,1), 예컨대 열=0 및 행=1을 가진다. 그다음에, 상부 좌측 화소 좌표에 의하여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소들을 식별함으로서, 시계방향 순환 패턴은 연속으로, 즉 (0,0), (1,0), (2,0), (2,1), (2,2), (1,2), (0,2), (0,1), (0,0)으로 기술될 수 있다. 유사한 시계반대 방향 패턴은 연속으로, 즉 (0,0), (0,1), (0,2), (1,2), (2,2), (2,1), (2,0), (1,0), (0,0)으로 기술될 수 있다.
게다가, 열 기반 시프팅은 주어진 행 위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520) 전반에 걸쳐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행 위치는 증가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일련의 열 기반 시프트들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 행에 대하여, 열 위치는 리셋될 수 있거나, 지그재그 패턴은 역방향 열 순서로 동작시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열 리셋을 가진 패턴은 연속으로, 즉 (0,0), (1,0), (2,0), (0,1), (1,1), (2,1), (0,2), (1,2), (2,2)로 기술될 수 있다. 지그재그 패턴은 연속으로, 즉 (0,0), (1,0), (2,0), (2,1), (1,1), (0,1), (0,2), (1,2), (2,2)으로 기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대 좌측 패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위치가 도달될 때, 예컨대 위치(2,2)는 역으로 또는 원래의 시작 위치 로부터 시작함으로써 계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행 기반 시프팅은 행 리셋 또는 지그재그 패턴중 하나를 사용하여 주어진 열 위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520) 전반에 걸쳐 상부로 하부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행 리셋을 갖는 패턴은 연속으로 (0,0), (0,1), (0,2), (1,0), (1,1), (1,2), (2,0), (2,1), (2,2)로 기술될 수 있다. 지그재그 패턴은 연속으로, 즉 (0,0), (0,1), (0,2), (1,2), (1,1), (1,0), (2,0), (2,1), (2,2)로 기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우측 대 좌측 패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식에서, 공간 패턴은 예컨대 연속으로, 즉 (0,0), (1,0), (2,0), (2,1), (2,2), (1,2), (0,2), (0,1), (1,1)로 기술된 바와같이 사용된다. 다양한 다른 패턴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거의 랜덤한 수직 및/또는 수평 오프셋들은 예컨대 최소 및 최대 오프셋 값들간의 정수를 출력하는 난수 생성기를 제공함으로서 행 및/또는 열 시프팅에 대항 선택될 수 있다. 용어 "랜덤"은 "의사-난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이전 페이지에 대하여 각각의 페이지의 시작 행 및/또는 열을 시프팅함으로서, 반복된 이미지/텍스트 업데이트들 및 다음의 불완전한 소거 또는 리셋에 의하여 유발된 이미지 유지 현상들은 상당히 감소되어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공된 예들에서, 능동 매트릭스 E-잉크형 디스플레이는 전자 서적의 스크린으로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될 데이터를 공급하는 소스 드라이버들, 및 라인들을 스위칭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들을 포함한다. 행 시프팅으로 인하여, 예컨대 이미지 업데이트동안, 이미지 데이터는 소스 드라이버들로부터 전송되며, 각각의 행은 행 드라이버들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부 라인으로부터 하부 라인으 로 스캐닝함으로서 스위칭된다. n차 페이지는 디스플레이의 제 1 행으로부터 시작하여 업데이트되며, (n+1)차 페이지는 수직 시프팅으로,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제 1 행으로부터 시작하여 업데이트된다. (n+2)차 페이지는 제 3 행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또는, 만일 최대 시프트가 예컨대 두개의 행 최대치에 도달하면, 제 3 페이지는 제 1 행으로부터 시작하며 패턴은 계속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동일한 화소가 예컨대 흑색 텍스트로 반복적으로 스위칭되는 가능성은 상당히 감소되며 이에 다라 화소들에 이미지 유지의 형성이 방지된다.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의 강제 리셋의 주파수가 상당히 감소되어 전력 소모가 감소되고 사용자 편리성이 개선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을지라도,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술된 형태들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을 커버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복수의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된 화소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전자 판독 장치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1 페이지(530, 830)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520)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다음 페이지 명령(320)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페이지(530, 830) 대신에,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2 페이지(630, 930)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520)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후속의 다음 페이지 명령들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화하는 위치들에서 시작하여 후속 페이지들(730, 1030)을 차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페이지들의 디스플레이가 시작하여 상기 변화하는 위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에 따라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은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은 상기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 페이지들의 각 페이지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증가하며, 상기 최대값에 도달할 때 상기 오프셋은 상기 최소값으로 리셋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은 상기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속 페이지들의 각 페이지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감소하며, 상기 최소값에 도달할 때 상기 오프셋은 상기 최대값으로 리셋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은 상기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속 페이지들의 각 페이지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증가하며, 상기 최대값에 도달할 때 상기 오프셋은 상기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다른 연속 페이지들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은 상기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연속 페이지들의 각 페이지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감소하며, 상기 최소값에 도달할 때 상기 오프셋은 상기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다른 연속 페이지들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변화하는 오프셋들은 상기 최소값과 상기 최대값 사이에서 랜덤하게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페이지들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행들 및 상기 열들과 각각 연관된 행 전극들 및 열 전극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행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전자 판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된 화소들(2)을 가진 디스플레이 영역(310, 5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1 페이지(530, 830)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다음 페이지 명령(320)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페이지(530) 대신에,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2 페이지(630, 930)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520)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전자 판독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판독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행들 및 상기 열들과 각각 연관된 행 전극들(510) 및 열 전극들(50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페이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전자 판독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행들을 포함하는, 전자 판독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위치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열들을 포함하는, 전자 판독 장치.
  18. 복수의 행들 및 열들로 배열된 화소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전자 판독 장치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1 페이지(1130)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520)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다음 페이지 명령(320)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페이지 대신에, 상기 제 1 위치와 다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 2 페이지(1230)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코드 장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67004377A 2003-09-02 2004-08-30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가진 전자 서적 KR20060132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951303P 2003-09-02 2003-09-02
US60/499,513 200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800A true KR20060132800A (ko) 2006-12-22

Family

ID=3427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77A KR20060132800A (ko) 2003-09-02 2004-08-30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가진 전자 서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65209A1 (ko)
JP (1) JP2007518111A (ko)
KR (1) KR20060132800A (ko)
CN (1) CN1846244A (ko)
TW (1) TW200517940A (ko)
WO (1) WO2005022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4738A (ja) * 2007-03-08 2008-09-25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用パネルの活性化方法
US8533622B2 (en) * 2009-06-17 2013-09-10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ing digital book and zoom interface displays
KR101803552B1 (ko) * 2010-02-26 2017-11-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서적
CN106898309B (zh) * 2017-02-14 2019-05-31 华南师范大学 一种efd矩阵显示驱动方法和装置
CN109785801A (zh) * 2018-12-06 2019-05-21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墨水屏画面刷新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8448A (ja) * 1998-04-27 199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オンスクリ―ンディスプレイ画面の出力方法および出力装置
US20010035874A1 (en) * 2000-04-27 2001-11-01 Pelco Method for prolonging CRT screen life by reduced phosphor burning
KR100421017B1 (ko) * 2001-10-18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5209A1 (en) 2006-06-07
WO2005022502A1 (en) 2005-03-10
CN1846244A (zh) 2006-10-11
TW200517940A (en) 2005-06-01
JP2007518111A (ja)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4405A1 (en) Driving scheme for a bi-stable display with improved greyscale accuracy
US20070176889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cyclic rail stabilization
US20070212022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Reduced Cross Talk
US20060119615A1 (en) Usage mode for an electronic book
US200702474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ub-Pictures in a Bi-Stable Electronic Reading Device
KR20060066740A (ko) 정밀 그레이스케일 및 최소 평균전력 소비를 갖는 전기영동디스플레이에 대한 구동 방법
EP1665218B1 (en) Method of compensating temperature dependence of driving schem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s
EP1730719A1 (en) "rail-stabilized" (reference state) driving method with image memory for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70164982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uniform image stability regardless of the initial optical states
US20060291032A1 (en) Driving method of a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high frame rate and low peak power consumption
US2007007002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improved image quality using rest pulses and hardware driving
WO2005031689A1 (en) A bi-stable display with accurate greyscale and natural image update
US20060290652A1 (en) Driving scheme for monochrome mode and transition method for monochrome-to-greyscale mode in bi-stable displays
US20060291125A1 (en) Driving method f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high frame rate and low peak power consumption
KR20060132800A (ko)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가진 전자 서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