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007A -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007A
KR20060132007A KR1020067021923A KR20067021923A KR20060132007A KR 20060132007 A KR20060132007 A KR 20060132007A KR 1020067021923 A KR1020067021923 A KR 1020067021923A KR 20067021923 A KR20067021923 A KR 20067021923A KR 20060132007 A KR20060132007 A KR 2006013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lter
audio signal
impulse response
infinite im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851B1 (ko
Inventor
매튜 반힐
로저 다르
Original Assignee
댓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0644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320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댓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댓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3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2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of the matrix type, i.e. in which input signals are combined algebraically, e.g. after having been phase shif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합신호를 생성하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또한, 매트릭스는 좌측 오디오 신호와 우측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빼서 차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차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도 포함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하여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설정가능한 필터, 좌측 채널, 우측 채널, 합신호, 차신호

Description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CONFIGURABLE FILTER FOR PROCESSING TELEVISION AUDIO SIGNALS}
본 발명은 공동 양수인의 하기 미국출원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것으로부터 우선권이 주장되고, 이것의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Multiplexed Infinite - Impulse Response (IIR) Filter Section For Broadcast Television Audio Application", 미국가출원 제60/555,853호, 2004년 3월 24일 출원됨).
본 발명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으며, 보다 특히,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이용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에 관한 것이다.
1984년 미국에서는, 연방 통신 위원회(FCC)의 후원으로, 텔레비전을 위한 스테레오 오디오의 송신 및 수신에 대한 표준을 채택하였다. 이 표준은 FCC의 Bulletin OET-60에서 성문화되었고, 종종 이를 제안한 방송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 회(Broadcast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를 딴 BTSC 시스템 또는 MTS(Multi- channel Television Sound(음성다중)) 시스템으로 불린다.
BTSC 시스템 이전에, 방송 텔레비전 오디오는 단일 "채널" 또는 오디오 콘텐츠 신호로 구성된 모노(monophonic)였다. 통상적으로, 스테레오 오디오는 2개의 독립적인 오디오 채널의 송신 및 두 채널을 검출하고 복구할 수 있는 수신기(receiver)를 요구한다. 새로운 송신 표준이 현재의 모노 텔레비전 세트와 '호환가능'하여야 한다(즉, 모노 수신기는 새로운 유형의 스테레오 방송으로부터의 적절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음)는 FCC의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BTSC는 FM 라디오 시스템과 유사한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즉, 좌측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와 우측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결합되어 2개의 새로운 신호, 합신호(Sum signal)와 차신호(Difference signal)를 형성하게 된다.
모노 텔레비전 수신기는 좌측과 우측의 스테레오 신호의 합으로 구성된 합신호만을 검출하여 복조한다. 스테레오가능한 수신기는 합신호와 차신호를 둘 다 수신하고, 그 신호를 재결합하여 원래의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끌어낸다.
송신을 위하여, 합신호는 모노 오디오 신호인 경우 음향 FM 반송파(aural FM carrier)를 직접 변조한다. 그러나, 차신호는 우선 음향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이상인 31.768kHz에 위치한 AM 부반송파(subcarrier) 상으로 변조된다. FM 변조 특성에 있어서, 배경 노이즈가 3dB/octave 만큼 증가되고, 그 결과, 새로운 부반송파가 합신호 또는 모노 신호보다 음향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멀리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추가 노이즈가 차동 채널에 유입되고, 그에 따라 복구된 스테레오 신호에 유입되게 된다. 실제로, 많은 환경에 있어서, 이러한 노이즈 특성 증가는 스테레오 신호에 너무 많은 노이즈를 가하여 FCC에 의해 요구되는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하고, 그에 따라, BTSC 시스템이 차동 채널 신호 경로에서의 노이즈 감소 시스템을 요구한다.
때때로 dbx 노이즈 감소(이 기술을 개발한 회사의 이름을 땀)로 언급되는 이러한 시스템은 컴팬딩형(companding type)이며, 인코더 및 디코더를 포함한다. 인코더는 송신 전에 차신호를 필터링하여(filter), 그 결과, 디코딩시에, 진폭 및 주파수 콘텐츠가 송신 프로세스 동안 얻은 노이즈를 숨기게 된다("마스킹(mask)"). 디코더는 차신호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고, 그에 따라, 노이즈가 신호 콘텐츠에 의해 음향적으로 마스킹되었음을 보장함으로써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또한, dbx 노이즈 감소 시스템은 보조 음성 프로그래밍(Secondary Audio Programming)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데도 이용되며, 이는, 추가적 정보 채널로서 BSTC 표준에 규정되어 있고, 종종, 예를 들어, 대안적 언어로의 프로그래밍,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읽기 서비스 또는 다른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물론, 비용은 텔레비전 제조업자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격렬한 경쟁 및 소비자들의 기대의 결과, 가전제품, 특히, 텔레비전에 대한 이윤은 매우 작아질 수 있다. dbx 디코더가 텔레비전 수신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자는 디코더의 비용에 민감하며, 디코더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그것이 노력을 들일 만한 목표가 된다. 인코더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위치하고 있지 않고 이윤의 관점에 있어서 민감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인코더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어떠한 개발도 이득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라,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여 합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 매트릭스는 좌측 오디오 신호와 우측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빼서 차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인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차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infinite impulse response digital filter)를 포함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하여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unique)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 엠퍼시스 필터(emphasis filter)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계수의 선택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할 수 있다.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BTSC 표준, NICAM(Near Instantaneously Companded Audio Multiplex) 표준, A2/Zweiton 표준, EIA - J 표준 또는 다른 유사한 오디오 표준에 따른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신호는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차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를 포함한다. 이 차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뺌으로써 생성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디코더는 차신호와 합신호로부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는 매트릭스도 포함한다. 합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합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임펄스 응답 필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엠퍼시스 필터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계수의 선택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할 수 있다.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BTSC 표준, NICAM 표준, A2/Zweiton 표준, EIA - J 표준, 또는 다른 유사한 오디오 표준에 따른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신호는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좌측 및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신호 콘텐츠의, 왜곡이 거의 없거나, 또는 왜곡이 없는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합신호를 생성하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또한, BTSC 인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차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도 포함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한 차신호를 준비하고 BTSC 표준에 따르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임펄스 응답 필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엠퍼시스 필터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계수의 선택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할 수 있다.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신호 콘텐츠의, 왜곡이 거의 없거나, 왜곡이 없는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BTSC 표준에 따라 차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를 포함한다. 이 차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뺌으로써 생성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BTSC 신호 디코더는 차신호와 합신호로부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는 매트릭스도 포함한다. 합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합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임펄스 응답 필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엠퍼시스 필터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계수의 선택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할 수 있다.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명령어는 프로세서가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합신호를 생성하도록 야기한다. 또한, 실행되는 명령어는 프로세서가 다른 신호로부터 좌측과 우측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빼서 차신호를 생성하도록 야기한다. 또한, 실행되는 명령어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에 의해 차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하도록 야기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한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실행되면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어를 저장하며, 이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명령어는 프로세서가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하여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에 의해 차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야기한다. 이 차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뺌으로써 생성된다.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실행되는 명령어는 프로세스가 차신호와 합신호로부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야기한다. 합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합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실행되면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는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도 포함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한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임펄스 응답 필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라,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필터링하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텔레비전 수신기 시스템에 대한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나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임펄스 응답 필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장점 및 양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며,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히,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심사숙고된 최상의 모드를 예시함으로써 도시되고 설명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다른 상이한 실시예들도 적용가능하며, 그 몇몇의 상세사항은 다양하고 명백한 양태의 변형을 허용하고,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도1은 BTSC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표준에 따르도록 구성된 텔레비전 신호 송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텔레비전 신호 송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BTSC 인코더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텔레비전 신호 송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되는 BTSC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 수신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텔레비전 수신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BTSC 디코더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5는 선택가능한 입력을 갖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도시된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의 송신 함수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에 도시된 설정가능한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을 강조하는 BTSC 인코더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8은 도5에 도시된 설정가능한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을 강조하는 BTSC 디코더의 일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송신기 30: BTSC 압축기
38: 보간법 및 고정 프리-엠퍼시스 스테이지 (interpolation and fixed pre-emphasis stage)
40: 분할기(divider) 42: 스펙트럼 압축 유닛
44: 과변조 보호 유닛(over-modulation protection unit)
46: 대역-제한 유닛(band-limiting unit)
52: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
60: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
도1을 참조하면, BTSC 호환가능 텔레비전 신호 송신기(10)의 기능 블록도는 송신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5개의 라인(예들 들어, 도전성 와이어, 케이블 등)을 포함한다. 특히, 라인(12) 및 라인(14)에, 각각 좌측 및 우측 오디오 채널이 제공된다. 라인(16)에 의해 SAP 신호가 제공되며, 여기서, 이 신호는 추가적 채널 정보(예를 들어, 대안적 언어 등)를 갖는다. 4번째 라인(18)은 통상적으로 방송 텔레비전 및 케이블 텔레비전 회사에 의해 이용되는 전문 채널을 제공한다. 라인(20)에 의해 비디오 신호가 송신기(22)에 제공된다. 좌측, 우측 및 SAP 채널은 송신을 위한 오디오 신호를 준비하는 BTSC 인코더(24)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및 우측 오디오 채널은 합신호(예를 들어, L+R) 및 차신호(예를 들어, L-R)를 연산하는 매트릭스(26)에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매트릭스(26)의 동작은, 텔레비전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처리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기술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유사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단 합신호 및 차신호(즉, L+R 및 L-R)가 생성되면, 이 신호들은 송신을 위하여 인코딩된다. 특히, 합신호(즉, L+R)는 다른 주파수 성분에 대하여 선택된 합신호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변경하는(alter) 프리-엠퍼시스 유닛(28)에 제공된다. 이러한 변경은 선택된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억제되는 네거티브 센스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변경은 선택된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강화되는 포지티브 센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차신호(즉, L-R)가, 송신 전에 신호를 적절히 필터링하는 BTSC 압축기(30)에 제공되며, 그 결과, 신호가 디코딩되면, 그 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 컨텐츠는 송신하는 동안 가해지는 노이즈를 억제한다. 차신호와 마찬가지로, SAP 신호가 BTSC 압축기(32)에 제공된다. 오디오 변조기 스테이지(34)는 처리된 합신호, 차신호 및 SAP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오디오 변조기 스테이지(34)에, 전문 채널로부터의 신호가 제공된다. 이 4개의 신호는 오디오 변조기 스테이지(34)에 의해 변조되어 송신기(22)에 제공된다. 비디오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4개의 오디오 신호는 송신을 위하여 조정되어 안테나(36)(또는 안테나 시스템)에 제공된다. 텔레비전 시스템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신호 송신 기술은 송신기(22) 및 안테나(3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22)는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 방송 텔레비전 시스템 또는 다 른 유사한 텔레비전 시스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BTSC 압축기(30)의 일부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BTSC 압축기(30)에 의해 수행되는 차동 채널(즉, L-R) 처리는 프리-엠퍼시스 유닛(28)에 의해 수행되는 합성 채널(즉, L+R) 처리보다 비교적 복잡하다. 차동 채널 처리 BTSC 압축기(30)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 처리는, BTSC 신호를 수신하는 디코더(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제공되는 상보적 처리와 조합되어, 차동 채널의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보다 높은 노이즈 플로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허용가능한 레벨에서 차동 채널의 신호-노이즈비(signal-to-noise ratio)를 유지한다. 본질적으로, BTSC 압축기(30)는 차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동적으로 압축하거나,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인코딩된 차신호를 생성하며, 그 결과, 인코딩된 신호가 제한된 다이내믹 레인지 송신 경로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인코딩된 신호를 수신하는 디코더가 압축된 차신호를 상보적 방식으로 확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원래의 차신호에서의 모든 다이내믹 레인지를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BTSC 압축기(30)는 미국특허 제4,539,526호에 개시된 적응 신호 가중 시스템의 특정한 형태이며,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고, 이는 비교적 좁고 주파수에 의존하는 다이내믹 레인지를 갖는 송신 경로를 통하여, 비교적 큰 다이내믹 레인지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는데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BTSC 표준은 BTSC 인코더(24) 및 BTSC 압축기(30 및 32)의 원하는 동작을 엄격히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BTSC 표준은, 예를 들어 BTSC 압축기(3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또는 송신 함수를 제공하고, 이 송신 함수는 이상화된 아날로그 필터의 수학식으로 기술된다. 매트릭스(26)로부터 차신호(즉, L-R)를 수신하면, 이 신호는 보간법 및 고정 프리-엠퍼시스 스테이지(38)에 제공된다. 일부 디지털 BTSC 인코더에 있어서, 보간법은 샘플링 비율을 두 배로 하기 위하여 설정되고, 이 보간법은 선형 보간법, 포물선 보간법 또는 n차 필터(예를 들어, 유한 임펄스 응답(FIR) 필터, 무한 임펄스 응답 (IIR) 필터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간법 및 고정 프리-엠퍼시스 스테이지(38)는 프리-엠퍼시스를 제공한다. 보간법 및 프리-엠퍼시스가 수행된 후, 차신호는 분할기(40)에 제공되며, 분할기(40)는 차신호로부터 결정되고 상세히 후술되는 양(quantity)에 의해 차신호를 분할한다.
분할기(40)의 출력은 차신호의 엠퍼시스 필터링을 수행하는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은, 비교적 작은 진폭을 갖는 신호를 증폭하고 비교적 큰 진폭을 갖는 신호를 감쇠시킴으로써, 차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압축"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킨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은 적용되는 프리-엠퍼시스/디-엠퍼시스(de-emphasis)를 제어하는 차신호로부터 내부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통상적으로,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은 인코딩된 차신호의 고주파 부분에서의 에너지 레벨에 의해 결정되는 양만큼 차신호의 고주파 부분을 동적으로 압축한다. 따라서,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은 차신호의 보다 높은 주파수 부분에 대하여 추가적 신호 압축을 제공한다. 이는 차신호가 스펙트럼의 보다 높은 주파수 부분에서 노이즈가 보다 많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수 행된다. 인코딩된 차신호가 디코더에서 스펙트럼 확장기에 의해 각각 인코더의 스펙트럼 압축 유닛에 대하여 상보적인 방식으로 디코딩되면, L-R 신호의 신호-노이즈비가 실질적으로 보존된다.
차신호가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에 의해 처리되면, 이 차신호는 과변조 보호 유닛(44) 및 대역-제한 유닛(46)에 제공된다. 다른 구성요소와 마찬가지고, BTSC 표준은 과변조 보호 유닛(44) 및 대역-제한 유닛(46)의 동작에 대하여 제안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대역-제한 유닛(46) 및 과변조 보호 유닛(44)의 일부는 로우 패스 필터로서 기술될 수 있다. 또한, 과변조 보호 유닛(44)은 인코딩된 차신호의 진폭을 풀(full) 변조로 제한하는 임계 장치(threshold device)로서도 수행하며, 여기서, 풀 변조는 텔레비전 신호의 오디오 부반송파를 변조하기 위한 최대의 허용 편이 레벨이다.
BTSC 압축기(30)에는 2개의 피드백 경로(48 및 50)가 포함된다. 피드백 경로(50)는 통상적으로 비교적 좁은 통과 대역을 갖는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를 포함하며, 이 통과 대역은 스펙트럼 압축 유닛(42)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오디오 주파수에 대하여 가중치가 적용된다.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조정하기 위하여, 피드백 경로(50)는 곱셈기(multiplier)(54)(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제곱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적분기(integrator)(56) 및 스펙트럼 압축 장치(42)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곱근 장치(58)도 포함한다. 또한, 피드백 경로(48)는 밴드 패스 필터(즉,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60))를 포함하며, 이 필 터는 분할기(40)를 통하여 보간법 및 고정 프리-엠퍼시스 스테이지(38)의 출력 신호에 적용되는 이득을 설정하기 위하여 대역-제한 유닛(46)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한다. 피드백 경로(50)와 마찬가지로, 피드백 경로(48)도 분할기(40)에 제공되는 신호를 조정하기 위하여 곱셈기(62), 적분기(64) 및 제곱근 장치(66)를 포함한다.
도3을 참조하면, 텔레비전 송신 시스템(10)(도1에 도시되어 있음)으로부터 BTSC 호환가능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70)(또는 안테나 시스템)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시스템(68)이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70)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는 텔레비전 송신 신호를 검출하고 분리할 수 있는 수신기(72)에 제공된다. 그러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수신기(72)는 텔레비전 신호 방송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텔레비전 신호 송신 기술로부터 BTSC 호환가능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 또는 위성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통하여, 텔레비전 신호가 수신기(72)에 제공될 수 있다.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기(72)는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주파수 스케일링 등) 송신 신호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처리 시스템(74)에 제공되며, 이 시스템(74)은 텔레비전 수신기 시스템(68)과 연관된 스크린(예를 들어, 음극선관) 상에 나타내기 위한 비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비디오 콘텐츠를 준비한다. 분리된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신호는 복조기 스테이지(76)에 제공되며, 이 복조기 스테이지(76)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송신 시스템(10)에서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변조를 제거한다. 이러 한 복조된 오디오 신호(예를 들어, SAP 채널, 전문 채널, 합신호, 차동 신포)는 각각의 신호를 적절히 디코딩하는 BTSC 디코더(78)에 제공된다. SAP 채널은 SAP 채널 디코더(80)에 제공되고, 전문 채널은 전문 채널 디코더(82)에 제공된다. SAP 채널과 전문 채널을 분리한 후, 복조된 합신호(즉, L+R 신호)는 디-엠퍼시스 유닛(84)에 제공되며, 디-엠퍼시스 유닛(84)은 프리-엠퍼시스 유닛(28)(도1에 도시되어 있음)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방식으로 이 합신호를 처리한다. 합신호의 스펙트럼 콘텐츠를 디-엠퍼시스하면, 신호는 매트릭스(88)에 제공되어, 좌측과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차신호(즉, L-R)도 복조 스테이지(76)에 의해 복조되고, BTSC 디코더(78)에 포함되는 BTSC 확장기(86)에 제공된다. BTSC 확장기(86)는 BTSC 표준에 따륵,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차신호를 조정한다. 매트릭스(88)는 합신호와 함께, BTSC 확장기(86)로부터 차신호를 수신하고, 우측과 좌측 오디오 채널을 독립적인 신호(도3에서 "L"과 "R"로 식별됨)로 분리한다.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우측 및 좌측 오디오 신호는 각각 조정되어 별도의 스피커에 제공된다. 이 일례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오디오 채널은 증폭기 스테이지(90)에 제공되며, 증폭기 스테이지(90)는, 각각의 신호를, 좌측 채널 오디오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스피커(92) 및 우측 채널 오디오 콘텐츠를 방송하기 위한 다른 스피커(94)에 제공하기 전에 각각의 채널에 대하여 동일한(또는 상이한) 이득을 적용한다.
도4를 참조하면, 차신호를 조정하기 위하여 BTSC 확장기(86)에 의해 수행되는 몇몇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BTSC 확장기(86)는 BTSC 압축 기(32)(도1에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상보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압축된 차신호는 신호 경로(96)에 제공되어 신호를 압축 해제하게 되고, 또한, 2개의 경로(98 및 100)에 제공되어 차신호의 처리를 돕기 위하여 각각의 제어 및 이득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처리를 개시하기 위하여, 압축된 차신호는 압축된 차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제한 유닛(102)에 제공된다. 대역-제한 유닛은 신호를 경로(98)에 제공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경로(100)에 제공하여 이득 신호를 생성한다. 경로(100)는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104), 곱셈기(106)(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의 출력을 제곱함), 적분기(108) 및 제곱근 장치(110)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경로(98)는 대역-제한 유닛(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112), 제곱 장치(114), 적분기(116) 및 제곱근 장치(118)에 의해 신호를 처리한다. 다음으로, 경로(98)는 제어 신호를 스펙트럼 확장 유닛(120)에 제공하며, 스펙트럼 확장 유닛(120)은 도2에 도시된 스펙트럼 압축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상보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경로(100)에 의해 생성되는 이득 신호는 스펙트럼 확장 유닛(12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곱셈기(122)에 제공된다. 곱셈기(122)는 스펙트럼이 확장된 차신호를 고정 디-엠퍼시스 유닛(124)에 제공하며, 고정 디-엠퍼시스 유닛(124)은 BTSC 압축기(30)에 의해 수행되는 필터링과 비교하여 상보적인 방식으로 신호를 필터링한다. 일반적으로, "디-엠퍼시스"라는 용어는, 원래 신호가 인코딩되는 상보적 방식에 있어서 네거티브 또는 포지티브 센스로, 디코딩된 신호의 선택된 주파수 성분의 변경을 의미한다.
BTSC 인코터(24) 및 BTSC 디코더(78)는 둘 다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주파수 함수로써 조정하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한다. 일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텔레비전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및 각각의 필터는 개별적인 아날로그 구성요소와 함께 구현된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 처리의 발달에 따라, 일부 BTSC 인코더와 BTSC 디코더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s)와 함께 디지털 도메인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디지털 BTSC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가 하나의 IC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와 디코더는 초대규모 집적 회로(VLSI) 시스템의 일부로서 하나의 IC 내에 통합될 수 있다.
IC의 비용의 상당 부분은 칩의 물리적 크기, 특히 "다이(die)" 또는 칩의 능동적이며 패키징되지 않은(non-packaging) 부분의 크기에 정비례한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디지털 BTSC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 수행되는 필터링 동작은 DSP 기능 및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이러한 DSP 장치는 비교적 큰 다이 면적을 갖는 경향이 있고, 그에 따라, BTSC 인코더 및 디코더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그리고, DSP는 다른 기능 및 동작을 실행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DSP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과부하되어(overload) BTSC 인코더와 디코더의 기능 및 동작의 처리를 방해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BTSC 인코더 및 디코더는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본적인 구성요소 그룹을 통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TSC 인코더 및 디코더 함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곱셈기, 가산기 및 멀티플렉서 그룹이 통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의 그룹이 쉽게 제조될 수 있음에 따라, 구성요소는 상당한 다이 면적을 나타내고 IC의 총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BTSC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를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중복된 회로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IIR) 필터(126)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필터(126)는 디지털 BTSC 인코더 또는 디코더를 위하여 복수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가능한 필터링 계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다양한 필터링 동작에 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가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또는 필터 설계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른 유형의 필터로서 동작하도록, 필터링 계수가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또는 비교적 작은 수의 설정가능한 IIR 필터가, BTSC 인코더 또는 디코더의 대부분 또는 모든 필터링 요구사항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디코더 또는 인코더 필터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IC 칩의 구현 면적은 BTSC 인코더 및 디코더의 생산 비용과 함께 감소된다.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가 복수 유형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필터는 어느 입력(예를 들어, 입력 1, 입력 2, ..., 입력 N)이 입력 신호를 필터에 제공하는지를 제어하는 입력 선택기(128)를 포함한다. 도2를 간단히 참조하면, 선택기(128)로의 입력 중 일부는, BTSC 압축기(30) 내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필터링 동작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60)로의 입력은 선택기(128)의 입력 2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로의 입력은 선택기(128)의 다른 입력(예를 들어, 입력 N)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기(128)는 어느 특정한 필터링 동작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의해 수행되는지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주기 동안, 하나의 입력(예를 들어, 입력 2)이 선택될 수 있고,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60)의 필터링 함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다른 주기에서, 선택기(128)는 상이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입력(예를 들어, 입력 N)을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다른 입력(예를 들어, 입력 N)을 선택하는 것과 함께,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링과 같이, 상이한 유형의 필터링 함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BTSC 압축기 또는 BTSC 확장기를 위한 복수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디지털 압축기 또는 확장기의 다른 부분보다 실질적으로 빠른 클록 속도로 동작한다. 보다 빠른 클록 속도로 동작함으로써,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디지털 압축기 또는 확장기의 다른 동작이 지연되도록 야기하지 않고, 한 유형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를 실질적으로 빠른 클록 속도로 동작시킴으로써, 이 필터는, 실질적으로 다음 필터 구성(예를 들어,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의 필터 동작)의 실행을 지연시키지 않고, 우선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60)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한 구성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2차 IIR 필터로서 구현된다. 도6을 참조하면, a,z-도메인의 신호 흐름도(130)가 통상적 2차 IIR 필터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입력 노드(132)는 X(z)로 식별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신호는 필터 계수 a0를 입력 신호에 적용하는 이득 스테이지(134)에 제공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필터 계수 a0는 단위값(unity value)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이득 스테이지(136)에서, 필터 계수 b0가 입력 신호에 적용된다. 지연 스테이지(138)에서는, 입력 신호가 필터의 1차 부분으로 들어가고 필터 계수 a1 및 b1이 각각의 이득 스테이지(140 및 142)에서 적용됨에 따라, 시간 지연(즉, z-도메인에서 z- 1으로 도시되어 있음)이 적용된다. 2차 지연(즉, z-1)은 필터(130)의 2차 부분을 생성하기 위하여 지연 스테이지(144)에서 적용되고, 필터 계수 a2 및 b2는 각각의 이득 스테이지(146 및 148)에서 적용된다. 필터링된 신호는 출력 노드(150)에 제공되며, 그 결과, 출력 신호가 2차 필터(130)의 송신 함수 H(z)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식(1)에 의해 표현된다.
식(1):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1
송신 함수에 포함되는 각각의 계수(즉, b0, a0, b1, a1, b2 및 a2)는 원하는 유형의 필터를 생성하도록 정해지는 특정한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값은 계수가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또는 밴드 패스 필터 등을 생성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계수에 적절한 값을 제공함으로써, 2차 필터의 유형 및 특성(얘를 들어, 통과 대역, 롤-오프(rol-off) 등)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이한 계수 세트를 갖는 다른 유형의 필터(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함)로 재구성될 수 있다. 본 일례에서는 2차 필터를 설명하지만, 다른 구성에 있어서, n차 필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다 높은 차수(예를 들어, 3차, 4차 등)의 필터 또는 보다 낮은 차수(예를 들어, 1차 필터)의 필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n차 필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차수의 필터들이 캐스케이드 접속될(cascaded) 수도 있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를 위한 특정한 입력을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기(128)을 이용하는 것과 함께, 필터에 의해 이용되는 계수가 선택되어, 상이한 유형의 필터를 구현하고 특정한 필터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계수는 로우 패스 필터, 하이 패스 필터, 밴드 패스 필터, 또는 BTSC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이나 디코딩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유사한 유형의 필터를 구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일례에 있어서는, 2차의 설정가능한 필터(126)에 대한 각각의 계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각각의 선택기(152, 154, 156, 160 및 162)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선택기(152)는 필터 유형 및 필터 특성에 의존하는 "n" 계수 그룹(a0 (0), a0(1), a0 (2), ..., a0 (n))으로부터 2차 필터의 a0 계수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선택기(154 - 162)도 필터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계수값 그룹으로부터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가능한 계수값을 제공함으로써,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인코딩 및 디코딩 동작을 둘 다를 위한 필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전의 일례로 돌 아가서, 선택기(128)가 입력 2(즉,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60)에 대한 입력)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에 있다면, 선택기(152 - 154)는 각각의 계수(예를 들어, a0 (0), b0(0), a1 (0), b1 (0), a2 (0) 및 b2 (0))를 선택하며, 그 결과, IIR 필터(126)는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로서 수행하기 위한 특성을 갖는 적절한 필터 유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필터링을 완료하고 나면, 선택기(128)는 입력 N 상에 나타나는 신호를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계속해서 이전의 일례를 이용하면, 선택기(128)의 입력 N은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에 대하여 예정된 입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입력을 선택함으로써, 새로운 필터 계수가 선택되어,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특정한 필터 유형 및 필터 특성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 필터 및 필터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기(152 - 162)는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의 필터 유형 및 특성과 연관된 필터 계수(예를 들어, a0 (1), b0 (1), a1 (1), b1 (1), a2 (1) 및 b2 (1))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본 일례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2차 필터이지만, 일부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 필터링 애플리케이션은 보다 높은 차수의 필터를 요구할 수도 있다. 보다 높은 차수의 필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일례에서는, 선택기(128)의 하나의 입력이 IIR 필터(126)의 출력(164)에 접속되어, 피드백 경로를 형성한다. IIR 필터의 출력을 다시 입력에 제공함으로써, 필터링된 출력 신호는 동일한(또는 상이한)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IIR 필터를 복수 번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는 2차 IIR 필터(126)를 한 번 이상 통과하여, 보다 높은 차수를 생성하게 될 수 있다. 이 특정한 일례에 있어서, 도체(166)는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의 출력(164)으로부터 선택기(128)의 입력 1까지의 피드백 경로를 제공한다.
선택기(128) 및 선택기(152 - 162)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자공학 및 필터 설계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기술 및 구성요소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기(128)는 입력 라인들(즉, 입력 1, 입력 2, ..., 입력 N)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필터 계수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기(152 - 162)로서, 멀티플렉서 또는 다른 종류의 디지털 선택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anna의 미국특허 제5,796,842호에 개시된 계수가,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것의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일부 구성에 있어서, 필터 계수는 BTSC 인코더 또는 디코더와 연관된 메모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고, 선택기(152 - 162)에 의해 적절한 횟수 만큼 검색된다. 예를 들어, 계수는 BTSC 인코더 또는 디코더와 연관된 메모리 칩(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등) 또는 다른 유형의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드라이브, CD-ROM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계수는 룩-업 테이블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와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조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설정가능한 2차 IIR 필터(126)는, 필터 계수를 신호값에 적용하는 곱셈기(178, 180, 182, 184, 186 및 188)와 함께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포함되는 각각의 가산 장치(168, 170, 172, 174 및 176)를 포함한다. 설정가능한 IIR 필 터(126)에 포함되는 가산 장치(168 - 176) 및 곱셈기(178 - 188)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자 회로 설계 및 필터 설계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기술 및/또는 구성요소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AND" 게이트와 같은 논리 게이트가 각각의 곱셈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지연 스테이지(138 및 144)(도6에 도시되어 있음)에 대응하는 시간 지연을 도입하기 위하여, 레지스터(190 및 192)는 필터링 프로세스 동안의 적절한 수의 클록 사이클 동안 디지털화된 입력 신호값을 저장하고 보유함으로써 지연을 제공한다. 그리고, 다른 레지스터(194)는 입력 신호값을 초기에 저장하기 위하여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포함된다.
본 일례에 있어서,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가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지만, 일부 구성에 있어서는, 필터의 하나 이상의 동작 부분이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의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코드 리스트가 부록 A(appendix A)에 제시되어 있다. 예시적 코드는 Verilog로 제공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전자공학 설계자들이 제조 전에 칩 및 시스템을 기술하고 설계하는데 이용되는 하드웨어 기술 언어이다. 이 코드는 기억 장치(예를 들어, RAM, ROM, 하드-드라이브, CD-ROM 등)에 저장되고 이 기억 장치로부터 검색되며,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 또한/또는 전용 DSP와 같은 전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BTSC 압축기(30)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와 같은 하나의 (또는 복수의) 설정가능한 IIR 필터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의 일부가 강조되어 있다. 특히, 보간법 및 고정 프리-엠퍼시스 스테이지(38)에 의해 수행되는 필터링은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기(128)의 입력 1이 보간법 및 고정 프리-엠퍼시스 스테이지(38) 내의 적절한 필터 입력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선택기(128)의 입력 1이 선택되면, 필터 계수가 메모리로부터 검색되고 적절한 필터 유형 및 필터 특성을 생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60)는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서 선택기(128)의 입력 2에 할당될 수 있고,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52)는 선택기(128)의 입력 3에 할당될 수 있다. 대역-제한 유닛(46)은 선택기(128)의 입력 4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가능한 입력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필터 계수가 저장되고(예를 들어, 메모리에)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의 선택기(152 - 162)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본 일례에 있어서, BTSC 압축기(30)의 4개 부분과 연관된 필터링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지만,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압축기의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동작이 설정가능한 IIR 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설정가능한 IIR 필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필터링 동작을 식별하도록 BTSC 확장기(86)의 일부가 강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역-제한 유닛(102)과 연관된 필터링은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선택기(128)의 입력 1은 대역-제한 유닛(102)에 할당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입력 1이 선택되면 적절한 필터링 계수가 검색되어 IIR 필터(126)에 의해 이용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득 제어 밴드 패스 필터(104)(선택기(128)의 입력 2에 할당됨), 스펙트럼 제어 밴드 패스 필터(112)(선택기(128)의 입력 3에 할당됨) 및 고정 디-엠퍼시스 유닛(124)(선택기(128)의 입력 4에 할당됨)과 연관된 필터링은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로 통합된다.
전술된 일례에서는 BTSC 인코더 및 BTSC 디코더와 함께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을 이용하였지만, 텔레비전 오디오 표준에 따르는 인코더 및 디코더가 설정가능한 IIR 필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이용되는, NICAM과 연관된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는 IIR 필터(126)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설정가능한 IIR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2/Zweiton 텔레비전 오디오 표준(현재 아시아와 유럽 일부에서 이용됨) 또는 일본 전자 공업 협회(EIA - J) 표준을 구현하는 인코더 및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설정가능한 IIR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일례에서는 우측 및 좌측 오디오 채널로부터 생성되는 차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기 위하여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를 이용하였지만, 설정가능한 IIR 필터는 다른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가능한 IIR 필터(126)는 SAP 채널, 전문 채널, 합성 채널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개별적이거나 조합된 유형의 텔레비전 오디오 채널을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많은 구현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다른 구현예들은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72)

  1.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합신호(sum signal)를 생성하고, 상기 좌측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빼서 차신호(difference signal)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매트릭스(matrix);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차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configurable infinite impulse response digital filter)
    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하여 상기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unique)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엠퍼시스 필터(emphasis filter)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의 선택은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BTSC(Broadcast Television System Committee)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NICAM(Near Instantaneously Companded Audio Multiplex)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A2/Zweiton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EIA-J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집적 회로에 구현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18.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차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 - 여기서, 상기 차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뺌으로써 생성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상기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음 -; 및
    상기 차신호와 합신호로부터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매트릭스 - 여기서, 상기 합신호는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합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이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엠퍼시스 필터로서 구성된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의 선택은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BTSC(Broadcast Television System Committee)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NICAM(Near Instantaneously Companded Audio Multiplex)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A2/Zweiton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는 EIA-J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3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집적 회로에 구현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35.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상기 좌측 및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가 상기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신호 콘텐츠의, 왜곡이 거의 없거나, 또는 왜곡이 없는 상기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에 있어서,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여 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좌측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빼서 차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매트릭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차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
    를 포함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하여 상기 차신호를 준비하고 BTSC 표준에 따르는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고,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이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엠퍼시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4. 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의 선택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하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5.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BTSC 신호 인코더.
  47.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신호 콘텐츠의, 왜곡이 거의 없거나, 왜곡이 없는 상기 디지털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BTSC 표준에 따르는 차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 - 여기서, 상기 차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뺌으로써 생성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상기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음 -; 및
    상기 차신호와 합신호로부터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매트릭스 - 여기서, 상기 합신호는 상기 좌측 채 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합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하이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4.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밴드 패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5.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엠퍼시스 필터로서 구성된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6. 4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의 선택은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가 샘플링된 비율에 기초하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7.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계수 세트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BTSC 신호 디코더.
  59.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를 가짐 - 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가,
    합신호를 생성하도록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합하고, 차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좌측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빼고;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에 의해 상기 차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하도록
    야기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한 상기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60. 제59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명령어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61.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를 가짐 - 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가,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에 의해 차신호를 필터링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하고 - 여기서, 상기 차신호는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 중에서 한 신호로부터 다른 한 신호를 뺌으로써 생성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상기 차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음 -;
    상기 차신호와 합신호로부터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도록 - 여기서, 상기 합신호는 상기 좌측 채널 오디오 신호와 상기 우측 채널 오디오 신호의 합을 포함함 -
    야기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62. 제61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명령어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63.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secondary audio programming signal)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스테이지;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
    를 포함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송신을 위한 상기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67.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인코더.
  68.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
    를 포함하고,
    각각의 선택가능한 필터 계수 세트는 텔레비전 수신기 시스템에 대한 상기 보조 오디오 프로그래밍 신호를 준비하기 위한 고유의 필터링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어 있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터 계수 세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입력 신호는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의 출력 신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72.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무한 임펄스 응답 디지털 필터는 2차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 디코더.
    APPENDIX A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2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3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4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5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6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7
    Figure 112006076138555-PCT00008
KR1020067021923A 2004-03-24 2006-10-23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 KR101097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585304P 2004-03-24 2004-03-24
US60/555,853 2004-03-24
PCT/US2005/009867 WO2005094529A2 (en) 2004-03-24 2005-03-24 Configurable filter for processing television audio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007A true KR20060132007A (ko) 2006-12-20
KR101097851B1 KR101097851B1 (ko) 2011-12-23

Family

ID=3506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923A KR101097851B1 (ko) 2004-03-24 2006-10-23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7539316B2 (ko)
EP (1) EP1743505A4 (ko)
JP (1) JP5032976B2 (ko)
KR (1) KR101097851B1 (ko)
CN (1) CN101076959B (ko)
AR (1) AR048513A1 (ko)
AU (2) AU2005228148A1 (ko)
BR (1) BRPI0509180B1 (ko)
CA (1) CA2560842C (ko)
HK (1) HK1111832A1 (ko)
MX (1) MXPA06010869A (ko)
MY (1) MY144648A (ko)
WO (1) WO20050945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259B2 (ja) 2004-08-17 2012-07-04 ザッ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レビ・オーディオ信号処理用の構成可能再帰デジタル・フィルタ
CA2580613A1 (en) 2004-09-17 2006-03-30 That Corporation Direct digital encoding and radio frequency mod elation for broadcast tele vision application
US8411603B2 (en) * 2008-06-19 2013-04-0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ual digital microphone processing in an audio CODEC
US20100057472A1 (en) * 2008-08-26 2010-03-04 Hanks Zeng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compensation in an audio codec
US8433578B2 (en) * 2009-11-30 2013-04-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dialog manager
WO2011074233A1 (ja) * 2009-12-14 2011-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クトル量子化装置、音声符号化装置、ベクトル量子化方法、及び音声符号化方法
CN102361506A (zh) * 2011-06-08 2012-02-22 北京昆腾微电子有限公司 无线音频通信系统、以及用于发射音频信号的方法和设备
US20130231930A1 (en) * 2012-03-01 2013-09-05 Adob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ltering an audio signal
US9838737B2 (en) * 2016-05-05 2017-12-05 Google Inc. Filtering wind noises in video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842A (en) * 1996-06-07 1998-08-18 That Corporation BTSC encoder
US6259482B1 (en) * 1998-03-11 2001-07-10 Matthew F. Easley Digital BTSC compander system
CA2325482C (en) * 1998-03-25 2009-12-15 Lake Technology Limite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4505528A (ja) * 2000-07-17 2004-02-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方位検出信号、中位信号その他の補助的オーディオ信号を得るステレオオーディオ処理装置
US7079657B2 (en) 2002-02-26 2006-07-1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digital multi-channel audio signal de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32976B2 (ja) 2012-09-26
AU2011200577A1 (en) 2011-03-03
US8526622B2 (en) 2013-09-03
MY144648A (en) 2011-10-31
WO2005094529A3 (en) 2007-06-07
US20100328531A1 (en) 2010-12-30
CA2560842C (en) 2013-12-10
US7826621B2 (en) 2010-11-02
BRPI0509180B1 (pt) 2019-09-03
EP1743505A4 (en) 2010-10-20
US20090231491A1 (en) 2009-09-17
CN101076959B (zh) 2013-01-02
JP2007534233A (ja) 2007-11-22
AU2011200577B2 (en) 2012-02-23
KR101097851B1 (ko) 2011-12-23
WO2005094529A2 (en) 2005-10-13
AR048513A1 (es) 2006-05-03
HK1111832A1 (en) 2008-08-15
CA2560842A1 (en) 2005-10-13
MXPA06010869A (es) 2007-01-19
US7539316B2 (en) 2009-05-26
EP1743505A2 (en) 2007-01-17
CN101076959A (zh) 2007-11-21
BRPI0509180A (pt) 2007-09-18
US20050232433A1 (en) 2005-10-20
AU2005228148A1 (en)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359B1 (ko)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재귀적디지털 필터
KR101097851B1 (ko)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
CA2255925C (en) Btsc encoder
US20020071574A1 (en) Phase shifting audio signal combining
US7929054B2 (en) Up-sampling television audio signals for encoding
TWI407792B (zh) 用於處理電視音頻信號之編碼器及解碼器
AU775460B2 (en) BTSC encoder
AU2004202656A1 (en) BTSC en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