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721A - 광 도체 및 통합된 광학 렌즈를 구비한 조명 유닛 - Google Patents

광 도체 및 통합된 광학 렌즈를 구비한 조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721A
KR20060131721A KR1020067003450A KR20067003450A KR20060131721A KR 20060131721 A KR20060131721 A KR 20060131721A KR 1020067003450 A KR1020067003450 A KR 1020067003450A KR 20067003450 A KR20067003450 A KR 20067003450A KR 20060131721 A KR20060131721 A KR 2006013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conductor
illumination uni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에르베
안드레아스 라이트레터
Original Assignee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3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광원과, 광원의 하류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광 도체를 구비하고, 광 도체가 광원의 반대쪽을 향한 하나 이상의 출광 측면을 구비하며, 출광 측면이 하나 이상의 광학 렌즈를 포함하고, 광학 렌즈가 중공 홈에 접경하되, 하나 이상의 환형 홈에 의해 에워싸이는 조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재현 가능하게 정밀히 제조될 수 있는 조명 유닛이 개발된다.

Description

광 도체 및 통합된 광학 렌즈를 구비한 조명 유닛{ILLUMINATING UNIT COMPRISING A LIGHT GUIDING BODY AND AN INTEGRATED OPTICAL LEN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광원과, 광원의 하류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광 도체를 구비하는 조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소들은 US 4,698,730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조명 유닛의 광 도체는 수지의 몰딩에 의한 개별 제작으로 제조된다. 그 광 도체는 반구형 집속 렌즈를 구비하는데, 그 집속 렌즈는 그것을 둘러싸는 중공 원통과 예각의 노치를 이룬다. 몰드를 제거할 때에 재료 파열의 위험이 있고, 그로 인해 공작물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현 가능하게 정밀히 제조될 수 있는 조명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에 달성되게 된다. 그를 위해, 조명 유닛은 하나 이상의 광원과, 광원의 하류에 연결되고 광원의 반대쪽을 향한 하나 이상의 출광 측면을 구비한 광 도체를 포함하되, 출광 측면이 중공 홈에 접경하고 하나 이상의 환형 면에 의해 에워싸이는 하나 이상의 광학 렌즈를 포함한다.
광 도체의 출광 측면은 3개 이상의 면을 포함한다. 광학 렌즈는 중공 홈에 접경하고, 중공 홈은 다시 하나 이상의 환형 면에 의해 에워싸인다. 즉, 광학 렌즈는 나머지 기능 면들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 더욱 높은 정밀도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출 성형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별개의 스탬프가 광학 렌즈의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스탬프를 빼낼 때에, 환형 면들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그러한 조명 유닛의 제조는 매우 양호하게 자동화될 수 있고, 조명 유닛은 재현 가능하게 정밀히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조명 유닛은 예컨대 광학 광 전도 및 분배 장치가 통합된 광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완제품이다. 그러한 유형의 조명 유닛은 예컨대 자동차에 사용된다. 조명 유닛은 단일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조명 유닛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예컨대 후미등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차량의 구성 요소인 그러한 유형의 조명 유닛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들이 예컨대 공통의 광 도체에 통합될 수 있다.
광원은 여기서는 점 모양의 광원으로서 간주된다. 그러나, 광원은 예컨대 광 방사 면들, 구, 피라미드, 광 방사 입방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종속 청구항들 및 첨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의 명세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광원과 광 도체를 구비한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다수의 출광 면들을 구비한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3은 2개의 광원을 구비한 도 2에 따른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2개의 광 도체를 구비한 조명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광원(10)과 광 도체(20)를 구비한 조명 유닛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광원(10)의 하류에 연결된 광 도체(20)를 통해 인도되어 광 도체(20)로부터 주변(1)으로 방사된다.
광 도체(20)는 광학 렌즈(27)를 포함한다. 조명 유닛의 광축(5)은 광학 렌즈(27)에 대해 수직이다.
광원(10)은 예컨대 조명 유닛의 광축(5) 상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10)이다. 발광 다이오드(10)는 전자 부품들, 예컨대 발광 칩(13)과 그 칩(13)에 접속된 2개 이상의 전기 리드들로 이뤄진다.
발광 다이오드(10)는 광 도체(20)에 의해 에워싸인다. 광 도체(20)는 예컨대 PMMA 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이다. 광 도체(20)는 소켓(25) 및 절두 포물체(24)를 포함하고, 그들 사이에 전이 에지(23)가 놓인다.
소켓(25)은 지지 플랜지(36)를 구비하고, 그 지지 플랜지(36)에는 원통형 섹션(37)이 연결된다. 원통형 섹션(37)에는, 경사진 노치 베이스 면(39)을 갖는 둘레 방향으로 정향된 노치(38)가 배치된다. 발광 다이오드(10)는 예컨대 전이 에지(23)와 발광 다이오드(10)를 통과하는 직선이 조명 유닛의 광축(5)에 대해 수직으 로 발광 다이오드(10)를 통과하는 평면과 약 1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소켓(25)에 놓인다.
절두 포물체(24)는 외면(28)과 출광 측면(22)을 포함한다. 절두 포물체(24)의 지름은 소켓(25) 옆의 전이 에지(23)로부터 출광 측면(22) 쪽으로 계속 증가한다. 출광 측면(22)에서의 광 도체(20)의 지름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유닛의 경우에 조명 유닛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광 도체(20)의 외면(28)은 예컨대 폐쇄 면이다. 발광 다이오드(10)와 외면(28)의 임의의 지점(29)이 그 위에 놓이는 직선은 광 도체(20)의 재료와 외기(1)와의 계면(31)에서의 전반사의 한계 각보다 더 큰 각도로 그 지점(29)에서의 외면(28)에 대한 법선과 교차한다. 그러한 한계 각은 예컨대 PMMA의 경우에 약 42도이다.
출광 측면(22)은 예컨대 조명 유닛의 광축(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평탄한 환형 면(43)을 포함한다. 그러한 환형 면(43)의 표면적은 예컨대 출광 측면(22)의 횡단면 면적의 약 3/4에 달한다. 그 환형 면(43)에 동심상으로, 환형 면(43)에 의해 에워싸이는 집속 렌즈의 형태를 갖는 광학 렌즈(27)가 중공 원통(47) 내에 파묻혀 배치된다. 집속 렌즈(27)는 구결의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비구면 구결의 베이스 면(26)의 지름은 구결의 높이의 대략 4배에 달한다. 광원(10)에 대한 베이스 면(26)의 간격은 광 도체(20)의 길이의 대략 절반이다. 그러한 간격은 그 초점(33)에 대한 베이스 면(26)의 간격보다 더 크다. 집속 렌즈(27)의 베이스 면(26)과 표면은 경계 에지(34)에서 교차한다. 그러한 경계 에지(34) 둘레로 중공 홈(41)이 배치된다. 그러한 중공 홈(41)은 예컨대 그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중공 홈(41)은 예컨대 광축(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수평의 홈 베이스(42)를 구비한다.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중공 홈(41)은 중공 원통(47)에 접경한다. 홈 베이스(42)는 전이 홈들(51, 52)로 인접 면들로 넘어간다.
도 1에 도시된 조명 유닛의 실시 양태에서는, 집속 렌즈(27)의 경계 에지(34) 및 소켓(25)과 절두 포물체(24) 사이의 전이 에지(23)가 가상의 원통의 외면 상의 둘레 라인이 되는데, 그러한 가상의 원통의 축은 조명 유닛의 광축(5)과 합치된다.
그러한 조명 유닛의 제조는 예컨대 사출 성형 몰드에서 한 단계로 이뤄지게 된다. 그 경우, 사출 성형 몰드는 예컨대 삽입된 발광 다이오드 부근에 예컨대 돌출부를 구비한다. 그러한 돌출부는 사출 동안 전자 부품으로 흐르는 사출 성형 재료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유동 제동기로서 작용한다. 그러한 돌출부는 공작물에서는 인발 노치(38)로서 형성된다.
서출 성형 몰드의 단부 면에는 예컨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탬프가 배치된다. 스탬프는 가압을 행하여 예컨대 집속 렌즈(27)의 형태를 형성한다. 그 경우, 재료는 광 도체로 압축된다. 즉, 집속 렌즈(27)는 높은 표면 품질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스탬프를 빼낼 때에, 중공 홈(41)은 부품의 둘레 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조명 유닛을 완성하고 나서 스탬프를 빼내고 난 후에, 조명 유닛은 몰드로부터 양호하게 제거될 수 있다. 냉각 동안 공작물이 수축하는 것이 작아진다. 기능 면들, 그 중에서도 특히 집속 렌즈(27)와 환형 면(43)이 높은 표면 품질을 갖게 된다.
자동화된 제조 시에, 조명 유닛은 광학 특성들의 좁은 허용 오차 내에서 재현 가능하게 정밀히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완성된 조명 유닛의 집속 렌즈(27)는 광 도체(20)의 외곽 안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집속 렌즈(27)는 예컨대 손상에 대해 잘 보호되게 된다.
조명 유닛의 구동 시에, 빛은 발광 다이오드(10)로부터 출광 측면(22) 쪽으로 방출된다. 예컨대, 광축(5)에 대해 38도의 각도를 갖는 원추 내에서 방출되는 광선들(61)은 균질한 광 도체(20)를 통과하여 법선에 대해 예컨대 0도 내지 15도의 각도로 집속 렌즈(27)에 입사한다. 광선들(61)은 집속 렌즈(27)로부터 나올 때에 예컨대 그 광선들(61)이 집속 렌즈(27)로부터 나온 후에 서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광축(5) 쪽으로 굴절된다.
그 원추의 밖에서 방출되는 광선들(62)은 지점(29)에서 안으로부터 광 도체(20)의 외면(28)에 입사한다. 광선들(62)은 거기서 환형 면(43) 쪽으로 반사되어 수직 방향으로 그 환형 면(43)에 입사한다. 광선들(62)은 굴절됨이 없이 그 환형 면(43)을 통과한다. 광선들(62)은 광 도체(20)로부터 나온 후에 서로 평행으로 놓인다.
광축(5)에 대해 예컨대 약 75도의 각도로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선들(63)은 전이 에지(23) 부근에서 외면(28)에 입사한다. 여기서, 광선들(63)은 반사되어 홈 베이스(42)를 통해 주변(1)으로 나간다.
조명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10)에 대해 좀더 큰 간격을 갖는 집속 렌즈(27)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된 광선들(61)이 그 내부에서 집속 렌즈(27)에 입사하는 원추는 좀더 예각이다. 그러한 장치에서 광축(5)에 대해 예컨대 38도를 이룬 채로 발광 다이오드(10)로부터 방출되는 광선들(62)은 이제는 길게 연장된 외면(28)에 입사하여 거기서 반사된다. 그러한 구성 형태에 사용되는 광 도체(20)는 도 1에 도시된 광 도체(20)보다 더 길다.
그와 대응하여, 집속 렌즈(20)와 발광 다이오드(10) 사이의 간격을 단축할 경우에는, 조명 유닛이 좀더 짧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양태로부터 출발하여, 좀더 작은 지름을 갖는 집속 렌즈(27)를 구성하면, 광 도체(20)는 도 1에서보다 더 길게 구성되게 된다. 역으로, 좀더 큰 지름을 갖는 집속 렌즈(27)의 경우에는, 조명 유닛이 좀더 짧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조명 유닛은 도 1의 광 도체(20)보다 더 작은 외부 지름을 갖는 광 도체(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그 공 도체(20)는 도 1에 도시된 광 도체(20)보다 더 짧게 될 수 있다. 예컨대, 에지 구역에서의 그러한 조명 유닛의 조도 범위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유닛의 조도보다 더 밝다.
전술된 조치들의 조합도 역시 생각해볼 수 있다. 즉, 조명 유닛에서는, 예컨대 광축(5)에 대해 약 35도의 각도를 갖는 원추 내에서 발광 다이오드(10)로부터 방출되는 광선들(61)이 집속 렌즈(27)에 입사할 수 있다. 그 경우, 광 도체(20)의 최대 지름은 예컨대 광 도체(20)의 길이의 1.3배 내지 1.5배에 달한다. 최대 벽 두께는 출광 측면(22)의 지름의 약 1/3일 수 있다. 광 도체(20)는 그 출광 측면(22)의 반대쪽을 향한 단부에서 구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그 광 도체(20)가 다수의 출광 면들(43 내지 46)을 구비하는 조명 유닛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한 조명 유닛도 역시 발광 다이오드(10)의 형태로 된 광원(10)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10)는 전기 리드들(12)이 달린 소켓(15)만이 광 도체(20)로부터 돌출되게끔 광 도체(20)에 통합된다. 발광 다이오드(10)를 에워싸는 전자 부품 보호체(14)는 광 도체(20)의 일부로서, 광 도체(20)와 균질한 유닛을 형성한다.
광 도체(20)는 단부 면들(21, 22)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 대칭형 절두 포물체(24)의 형태를 갖는다. 절두 포물체(24)의 초점에는, 발광 다이오드(10)가 배치된다. 광 도체(20)의 횡단면은 발광 다이오드(10)의 소켓(15)이 돌출되는 단부 면(21)으로부터 출광 측면(22)까지 계속 커진다. 출광 측면(22)의 지름은 예컨대 대향 단부 면(21)의 지름의 약 2.7배에 달한다. 출광 측면(22)의 지름은 광 도체(20)의 길이보다 약 70% 정도 더 크다.
출광 측면(22)은 예컨대 서로 및 광축(5)에 대해 동심상으로 배치된 4개의 계단식 환형 면들(43, 44, 45, 46)을 포함한다. 여기서, 환형 면(43)은 광축(5)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환형 면(46은 광축(5)에 가장 가까이 놓여 있다. 바깥쪽에 놓인 환형 면(43, 44, 45)의 내부 지름은 예컨대 다음으로 안쪽에 놓인 환형 면들(44, 45, 46)의 외부 지름에 해당한다. 계단들 사이의 전이부는 각각 그 축선이 조명 유닛의 광축(5)과 합치하는 중공 원통(47, 48, 49)이다. 환형 면들 (43 내지 46)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놓인 환형 면(43)은 절두 포물체(24)의 외면(28)에 연결된다. 그 환형 면(43)의 크기는 출광 측면(22)의 횡단면의 약 29%이다. 그 면적이 출광 측면(22)의 횡단면의 약 24%인 제2 출광 면(44)은 제1 출광 면(43)에 대해 광 도체(20)의 길이의 약 6%만큼 광원(10) 쪽으로 떨어져 있다. 제3 출광 면(45)의 면적은 출광 측면(22)의 횡단면의 약 16%이다. 그 출광 면(45)은 제2 출광 면(44)에 대해 광 도체(20)의 길이의 약 22%만큼 광원(10) 쪽으로 떨어져 있다. 제4 출광 면(46)은 광 도체(20)의 길이의 약 13%만큼 광원(10) 쪽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그 면적은 예컨대 출광 측면(22)의 횡단면의 14%이다. 그러한 제4 환형 출광 면(46)은 그 길이가 광 도체(20)의 길이의 약 14%인 또 다른 중공 원통(53)과 접경한다. 중공 홈(41) 및 그에 의해 에워싸이는 광학 렌즈(27)가 그 중공 원통(53)의 밑면을 형성한다. 중공 홈(41)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조명 유닛의 광축(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공 홈(41)의 베이스 면(42)은 출광 측면(22)의 횡단면의 약 3%이다. 광학 렌즈(27)는 예컨대 프리즈넬 렌즈의 구조로 된 집속 렌즈(27)이다. 광학 렌즈(27)는 집속 렌즈(27)의 다수의 동심상 섹션들을 포함하는 평면 렌즈이다. 조명 유닛의 광축(5)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투영된 집속 렌즈(27)의 면적은 출광 측면(22)의 면적의 약 14%이다. 광원(10)에 대한 집속 렌즈(27)의 베이스 면(26)의 간격은 광 도체(20)의 길이의 약 38%에 달한다. 집속 렌즈(27)의 초점(33)은 광원(10)과 집속 렌즈(27) 사이에 놓인다.
본 실시예에서, 공작물의 최대 벽 두께는 광 도체(20)의 길이의 약 40%이다.
그러한 조명 유닛의 제조는 하나의 단계 또는 2개의 단계로 이뤄질 수 있다. 2단계 제조 시에는, 예컨대 제1 제조 단계로 전자 부품 보호체(14)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제조 단계로, 광 도체(20)를 생성하기 위해 그것을 사출한다. 그러한 조명 유닛에서도 역시, 출광 면들을 좁은 허용 오차 내에서 정밀히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조명 유닛의 구동 시에, 발광 다이오드(10)로부터 방출되는 광선들(61, 62)은 프리즈넬 렌즈(27) 쪽으로 아니면 외면(28) 쪽으로 인도된다. 광선들(61)은 프리즈넬 렌즈(27)를 통과할 때에 예컨대 외기(1)에서 평행하게 놓이도록 굴절된다. 광선들(62)은 외면(28)에서 반사되어 굴절됨이 없이 평행 광선들(62)로서 외기(1)로 나간다.
도 3은 2개의 광원(10)과 절두 포물체(24)의 형태의 광 도체(20)를 구비한 조명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도 역시, 광원들(10)은 발광 다이오드이다. 광원들(10)은 예컨대 광 도체(20)의 초점 밖에서 고아 도체(20)의 더 작은 단부 면(21)에 배치된다. 광 도체(2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광 도체(20)의 구조와 유사하다. 광 도체(20)의 외면(28)은 예컨대 경면으로 된다.
광원들(10)로부터 방출되는 광선들(61, 62) 중의 일부는 프리즈넬 렌즈(27)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광 도체(20)의 외면(28)에서 반사된다. 광선들(61, 62)은 프리즈넬 렌즈(27) 또는 출광 면들(43 내지 46)을 통과할 때에 굴절된다.
도 4에는, 2개의 광 도체(20)와 광원(10)을 구비한 조명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양자의 광 도체들(20)은 종 방향 중심 평면에서 절단된 회전 포물체의 형태를 갖는데, 그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면 된다. 그러한 가상의 절단 평면은 평탄 면(35)이다. 양자의 광 도체들(20)은 서로 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데, 양자의 광 도체들(20)의 작은 단부 면들이 서로 접하여 놓인다. 분리 이음매에는 광원(10)이 배치된다. 양자의 광 도체들(20)은 각각 절반까지 광원(10)을 에워싼다.
그러한 조명 유닛의 구동 시에,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된 광선들은 집속 렌즈(27), 평탄 면(35), 및 양자의 광 도체들(20)의 외면(28)에 입사한다. 광선들은 입사각에 따라 반사되든지 계면을 통과한다.
그러한 유형의 조명 유닛은 예컨대 자동차의 조명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조명 유닛은 예컨대 평탄 면(35)에 의해 차체에 접한다. 그러면, 빛은 예컨대 전방을 향해서는 물론 후방을 향해서도 방사되게 된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광 도체(20)는 예컨대 타원형 포물체일 수도 있거나 기타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외면(28)이 불연속적인 구역을 가질 수도 있다.
출광 면들(43 내지 46)은 조명 유닛의 광축(5)에 대해 경사져 배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출광 면(43 내지 46)은 예컨대 서로 접하는 다수의 개별 면 요소들로 이뤄질 수 있다. 그 경우, 그러한 개별 면 요소는 예컨대 굴곡진 입체의 표면 구역이 된다. 면 요소들은 타원체들, 통들, 원통들, 원추들, 게이트들, 또는 기타의 임의의 굴곡진 입체들의 표면 구역들일 수 있다. 면 요소들은 각종의 몸체들의 조합의 표면 구역들일 수도 있고, 연속 및 불연속 구역들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기타 등등일 수 있다. 그 경우, 그러한 개별 면 요소들은 예컨대 규칙적으로 또는 데카르트 좌표로 출광 면들(43 내지 46) 상에 배치된다.
광학 렌즈(27)는 발산 렌즈, 평면 렌즈 등일 수 있다. 광학 렌즈(27)는 상 이한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광학 렌즈(27)는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접하는, 예컨대 굴곡진 입체의 표면 구역들인 면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광학 렌즈(27)의 초점(33)은 렌즈(27)와 광원(10) 사이에 놓이지만, 그러한 구역 밖에 배치될 수도 있다.
조명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10) 대신에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 할로겐 램프, 백열 전구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광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실시예들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또 다른 조합들도 생각해볼 수 있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주변, 외기 2: 광축 10: 광원, 발광 다이오드
12: 전기 리드 13: 발광 칩 14: 전자 부품 보호체
15: 소켓 20: 광 도체 21: 20의 작은 단부 면
22: 20의 큰 단부 면, 출광 측면 23: 24와 25 사이의 전이 에지
24: 절두 포물체 25: 소켓 26: 27의 베이스 면
27: 광학 렌즈, 집속 렌즈, 프리즈넬 렌즈 28: 20의 바깥면, 외면
29: 20의 일 지점 31: 20과 1 사이의 계면 33: 27의 초점
34: 경계 에지 35: 평탄 면 36: 지지 플랜지
37: 원통형 섹션 38: 인발 노치 39: 노치 베이스
41: 중공 홈 42: 노치 베이스, 41의 베이스 면 43: 환형 면
44: 환형 면 45: 환형 면 46: 환형 면 47: 중공 원통
48: 중공 원통 49: 중공 원통 51: 전이 홈 52; 전이 홈
53: 중공 원통 61: 29를 통한 광선 62: 광선 63: 광선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광원(10)과, 광원(10)의 하류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광 도체(20)를 구비하고, 광 도체(20)는 광원(10)의 반대쪽을 향한 하나 이상의 출광 측면(22)을 구비하며, 출광 측면(22)은 하나 이상의 광학 렌즈(27)를 포함하고, 광학 렌즈(27)는 중공 홈(41)에 접경하되, 하나 이상의 환형 홈(43 내지 46)에 의해 에워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27)와 광원(10) 사이의 간격은 광 도체(27)의 길이의 약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는 집속 렌즈(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광 도체(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원(10)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광 도체(22)의 외면(2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두 포물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광 도체(20)는 인발 노치(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출광 측면(22)의 하나 이상의 환형 면(43 내지 46)은 광학 렌즈(27)를 동심상으로 에워싸는 평탄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출광 측면(22)은 2개 이상의 계단식 환형 평탄 면들(43 내지 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광원(10)의 하류에 2개의 광 도체들(20)이 연결되고, 광 도체들(20)의 출광 측면들(22)은 상이한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광학 렌즈(27)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출광 면(43 내지 46)은 굴곡진 입체의 표면 구역들인 면 요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유닛.
KR1020067003450A 2003-08-28 2004-08-30 광 도체 및 통합된 광학 렌즈를 구비한 조명 유닛 KR200601317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0040.0 2003-08-28
DE10340040A DE10340040A1 (de) 2003-08-28 2003-08-28 Beleuchtungseinheit mit Lichtleitkörper und integrierter optischer Lin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721A true KR20060131721A (ko) 2006-12-20

Family

ID=3422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450A KR20060131721A (ko) 2003-08-28 2004-08-30 광 도체 및 통합된 광학 렌즈를 구비한 조명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85351A1 (ko)
EP (1) EP1658645A2 (ko)
JP (1) JP2007504602A (ko)
KR (1) KR20060131721A (ko)
DE (2) DE10340040A1 (ko)
WO (1) WO20050220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275B2 (en) * 2004-09-21 2008-08-12 Lumination Llc Refractive optic for uniform illumination
JP5523204B2 (ja) * 2010-05-26 2014-06-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010062900A1 (de) 2010-12-13 2012-06-14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chtleitkörpern und deren Verwendung in Beleuchtungseinheit
US8427877B2 (en) 2011-02-11 2013-04-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Digital method to obtain the I-V curves of NVM bitcells
CN103899941A (zh) * 2012-12-29 2014-07-02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照明灯具
AT513887B1 (de) * 2013-01-22 2016-11-15 Din - Dietmar Nocker Facilitymanagement Gmbh Hinweistafel, insbesondere für eine Notbeleuchtungsanlage
EP2959214B1 (en) * 2013-02-19 2020-08-12 Signify Holding B.V. An arrangement comprising an optical device and a reflector
CN104100846A (zh) * 2013-04-02 2014-10-15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照明灯具
DE102013005988A1 (de) * 2013-04-08 2014-10-09 Emz-Hanauer Gmbh & Co. Kgaa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mit beleuchtetem Innenraum
US20140362581A1 (en) * 2013-06-05 2014-12-11 Tom Kim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with an internal protrusion providing refraction and heat transfer
CN105674213B (zh) * 2014-02-24 2018-10-30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件及平行光源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5900A (en) * 1939-10-28 1940-09-24 Ralph E Bitner Catadioptrical lens
DE1183455B (de) * 1962-04-19 1964-12-17 Licentia Gmbh Scheinwerfer, insbesondere fuer ueberrollbare Flugplatz-Bodenfeuer
DE2201574A1 (de) * 1972-01-13 1973-07-19 Siemens Ag Signalleuchte
EP0117606A1 (en) * 1983-01-28 1984-09-05 Xerox Corporation Collector for a LED array
US4767172A (en) * 1983-01-28 1988-08-30 Xerox Corporation Collector for an LED array
US4698730A (en) * 1986-08-01 1987-10-06 Stanley Electric Co., Ltd. Light-emitting diode
US5173810A (en) * 1991-08-21 1992-12-22 Aisens Co., Ltd. Light transmitting lens for use with a photoelectric sensor
EP1045193A1 (en) * 1999-04-13 2000-10-18 MCDERMOTT, Kevin F. Lighting device for concentrating axial light with an angled converging reflector
JP2001229710A (ja) * 2000-02-18 2001-08-24 Stanley Electric Co Ltd 重連型車両用灯具
US20020085390A1 (en) * 2000-07-14 2002-07-04 Hironobu Kiyomoto Optical device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TW552726B (en) * 2001-07-26 2003-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ght emitting device in use of LED
FR2836208B1 (fr) * 2002-02-21 2004-09-03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comportant une piece optique realisant une fonction de signalisation de maniere autonome
JP3996164B2 (ja) * 2002-05-17 2007-10-24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装置及び発光ダイオード装置の製造方法
US6981784B2 (en) * 2002-05-30 2006-01-03 Gelcore, Llc Side projecting LED signal
US6724543B1 (en) * 2002-10-23 2004-04-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ight collection assembly having mixed conic shapes for use with various light emitting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40040A1 (de) 2005-03-31
US20060285351A1 (en) 2006-12-21
WO2005022031A3 (de) 2005-08-25
EP1658645A2 (de) 2006-05-24
DE112004001578D2 (de) 2006-06-29
WO2005022031A2 (de) 2005-03-10
JP2007504602A (ja)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929B2 (en) Light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 elements
US7083313B2 (en) Side-emitting collimator
US7201509B2 (en) Lighting unit with light source and optical waveguide
AU2005295913B2 (en) Side-emitting optical coupling device
US7837349B2 (en) Near field lens
KR101173319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조명을 위한 측면 리플렉터
EP2943822B1 (en) Lens having densely-distributed convex facets on its entrance and exit surfaces
US9442241B2 (en) Optics for illumination devices
US6814479B2 (en) Lighting of indicat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20050152153A1 (en) Vehicular lamp
US20040218858A1 (en) Optical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60131721A (ko) 광 도체 및 통합된 광학 렌즈를 구비한 조명 유닛
US20150036347A1 (en) Compound lens and led light source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20110134636A1 (en) Led traffic signal device
CN106662295B (zh) 具有虚拟光源的照明装置
US9323095B2 (en) Lens with light-diffusion capping layers and backlight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WO200915332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ns and lens made in accordance therewith
JP2023160869A (ja) 照明装置
CN112513683A (zh) 光学准直器
US10451247B2 (en) Optic and apparatus for making an optic
CN111886446A (zh) 一种用于改变光分布的光学装置
WO2018141846A1 (en) A dielectric collimator with a rejecting center lens
US20130128590A1 (en) Led unit
TWM578246U (zh) Multiple mapped vehicle light fixture
US12000556B2 (en) Optical system for an automotive head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