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386A -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386A
KR20060131386A KR1020050051796A KR20050051796A KR20060131386A KR 20060131386 A KR20060131386 A KR 20060131386A KR 1020050051796 A KR1020050051796 A KR 1020050051796A KR 20050051796 A KR20050051796 A KR 20050051796A KR 20060131386 A KR20060131386 A KR 2006013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sterilization
tap wat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059B1 (ko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05005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05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이 가지고 있는 강력하고 순간적인 살균, 산화, 탈취, 정화 작용 등의 성질과 더불어 약제에 의한 살균, 소독시 발생되는 내성균 잠복 등의 위험성을 오존의 병원 감염성이 없는 살균 메커니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환경 내에서 얻게 되는 각종 미생물 감염으로 부터도 안전하게 보다 근본적인 살균, 소독, 세척작업이 신속하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살균, 소독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살균 처리장치는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살균용, 소독용, 세척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외과 수술용 장비에 대한 순간 멸균 세척, 외과 수술시 호흡기를 제외한 체내 관련기관 시술부분에 대한 소독, 임상병리적 실험 실습장비에 대한 소독 및 세척에 있어서 편리성, 안전성, 신속성, 효율성의 효과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전압 발생 및 콘트롤 회로기판, 오존 발생관, 에어필터, 진공 스위치로 이루어져 오존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오존 발생부에서 발생된 오존을 물과 안전한 농도로 용해시키고 폐오존에 대한 제거를 위하여 벤츄리 인젝터와 세라믹통, 폐오존 배출구, 오존 제거용 촉매 등으로 이루어져 물과 발생된 오존을 용해시키는 단계, 그리고 오존 용해 단계에서 얻어진 물에 용해된 오존 용해수를 각종 의료용 장비에 대한 살균, 소독, 세척에 손쉽게 사용하도록 디스펜서, 컴프레서, 순환밸브로 이루어져 살균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를 이용하여 각종 의료장비의 살균, 소독, 세척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존의 약제를 사용하여 의료장비를 살균, 소독, 세척할 시에 발생되었던 여러가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는 물론, 보호자, 병원에 납품 등 각종 공적인 업무로 빈번히 출입하는 관련 업체 종사자, 그리고 병원에 근무하는 모든 의료진들에 대해서 병원감염에 의한 노출로부터 안전함을 제공한다는 것에도 그 의미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오존, 오존발생, 오존 용해수, 살균처리, 병원감염, 병원 미생물, 내성균, 2차 감염

Description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The sterilization system for medical by the ozone which is soluble in water}
도 1은 본 발명이 이루어지는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오존의 살균과 약제를 이용한 살균의 메카니즘을 비교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트롤부 11 : 전원공급장치
12 : 에어필터 13 : 진공스위치
20 : 오존 발생부 21 : 고전압 발생관
22 : 오존 발생관 30 : 오존 용해부
31 : 수도물 유입관 32 : 벤추리 인젝터
33 : 세라믹통 34 : 역지변
35 : 부력구 36 : 폐오존 배출구
37 : 오존 제거용 촉매 40 : 살균 처리부
41 : 컴프레서 42 : 디스펜서
43 : 순환밸브
본 발명은 오존이 가지고 있는 강력하고 순간적인 살균, 산화, 탈취, 정화 작용 등의 성질과 더불어 약제에 의한 살균, 소독시 발생되는 내성균 잠복 등의 위험성을 오존의 병원 감염성이 없는 살균 메커니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환경 내에서 얻게 되는 각종 미생물 감염으로 부터도 안전하게 보다 근본적인 살균, 소독, 세척작업이 신속하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살균, 소독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살균 처리장치는 다양한 의료분야에 살균용, 소독용, 세척용 장비로 활용하고자 하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외과 수술용 장비에 대한 순간 멸균 세척, 외과 수술시 호흡기를 제외한 체내 관련기관 시술부분에 대한 소독, 임상병리적 실험 실습장비에 대한 소독 및 세척에 있어서 편리성, 안전성, 신속성, 효율성의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의료용 장비에 대한 살균, 세척 및 소독은 주로 약제의 사용과 자외선 램프(Ultra Violet Lamp)를 사용해 왔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먼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자외선 램프(Ultra Violet Lamp)의 경우는 살균을 위한 효과가 램프의 크기와 용량에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거리의 2승에 비례하여 살균효과가 감소하고 주기적으로 램프를 교환이 필요하며 가격이 고가여서 경제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약제를 이용한 살균의 경우, 청소작업, 습도조절작업 등의 전처리 작업이 필요하며, 약제등은 잔류성이 있어 후처리 작업 역시 필요하였다. 물론 약제를 이용하여 살균, 소독을 할 경우에는 그 사용 약제에 대한 별도의 보관과 관리가 필요하며 폭발성에 대한 취급 역시 필요하여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이 부족했다. 더우기 약제를 이용하여 살균, 소독을 할 경우에 가장 근본적인 문제 중의 하나로는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들이 각종 병원 미생물들의 면역성 항진으로 인한 내성균 출현 및 잔존에 의하여 2차 감염이 우려되어 감염물 취급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약제 사용을 통한 의료용 장비 및 병리학적 장비에 대한 살균, 소독, 세척시에 내성균의 잠복으로 인하여 발생이 가능한 2차 감염의 문제는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와 보호자, 병원에 납품 등 각종 공적인 업무로 빈번히 출입하는 관련 업체 종사자, 그리고 병원에 근무하는 모든 의료진들이 병원감염에 대한 노출 우려가 심각히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염소의 6배에 달하는 오존의 강력하고 순간적인 살균력과 더불어 약제에 의한 살균시 발생되는 내성균 잠복 등의 위험성을 오존의 병원감염성이 없는 살균 메커니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환경 내에서 얻게 되는 각종 미생물 감염으로 부터도 안전하게 보다 근본적인 살균, 소독, 세척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개발하였다.
오존이 가지고 있는 강력하고 순간적인 살균력과 비감염적 살균 메커니즘 특성을 이용하여 의료용 장비 및 병리학적 장비를 살균, 소독, 세척하는 설비는 기존의 약제를 이용하여 살균처리해 왔던 방법에서 발생이 가능하였던 세척 장비내 존재하던 각종 병원 미생물들의 면역성 항진으로 인한 내성균 출현 및 잔존, 약제 살균처리 전의 청소작업, 습도 조절 작업 등의 전처리 작업의 필요성, 약제 잔류성에 의한 후처리 작업의 필요성, 약제 보관 및 관리의 불편성, 간호사 등 의료진의 2차 감염 우려 등으로 부터 자유로워져 의료장비의 살균, 세척에 있어서 보다 근본적이고 안전한 처리에 기여할 것이다.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는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는 물론, 보호자, 병원에 납품 등 각종 공적인 업무로 빈번히 출입하는 관련 업체 종사자, 그리고 병원에 근무하는 모든 의료진들의 병원감염에 대한 우려로 부터 안전하고자 하는 요구에도 부응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이루어지는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오존의 살균과 약제를 이용한 살균의 메카니즘을 비교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는 전원 공급장치(11), 에어필터(12), 진공스위치(13)로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조절하는 콘트롤부(10)와 고전압 발생관(21), 오존 발생관(22)으로 이루어져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부(20), 수도물 유입관(31), 벤추리 인젝터(32), 세라믹통(33), 역지변(34), 부력구(35), 폐오존 배출구(36), 오존제거용 촉매(37)로 이루어져 발생된 오존을 물에 용해시키는 오존 용해부(30), 컴프레서(41), 디스펜서(42), 순환밸브(43)로 이루어져 물과 혼합된 오존을 살균,소독,세척에 사용하는 살균 처리부(40)로 구성된다.
콘트롤부(10)의 전원 공급장치(11)인 12볼트의 어뎁터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오존 발생부(20)의 고전압 발생관(21)에서 6,000볼트의 고전압을 출력하며(S1), 발생된 고전압이 석영관을 유전체로 사용하는 공냉식 오존 발생관(22)으로 전달(S5)되어 에어필터(12)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를 받아 고전압 플라즈마 방전을 통하여 오존이 발생된다(S7).
이때, 에어필터(12)가 오존 발생관(22)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이물질을 집진하며 투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한다(S2). 또한, 진공스위치(13)는 수도물 유입관(31)을 통하여 수도물이 벤추리 인젝터(32)를 통과할 때(S6)는 수축되어 스위치 접점을 흡착시켜 콘트롤부(10)의 작동을 진행시키고, 수도물이 벤추리 인젝터(32)를 통과하지 않을 때는 이완되어 스위치 접점을 떨어뜨려서 콘트롤부(10)의 작동을 정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S3, S4). 진공스위치(13)는 수도물 유입관(31)을 통하여 수도물이 벤추리 인젝터(32)로 유입되지 않을 시에는 자동으로 오존의 발생을 차단시켜서 불필요한 오존의 발생을 막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오존 발생부(20)의 오존 발생관(22)에서 고전압 플라즈마 방전을 통하여 발생된 오 존은 오존 용해부(30)의 벤추리 인젝터(32)로 이동되며(S7), 동시에 수도물 유입관(31)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도물 역시 좁아졌다 넓어지는 벤추리 형태의 관 모양인 벤추리 인젝터(32)로 유입되어(S6) 수압차를 이용하여 오존 발생부(20)에서 발생된 오존을 수도물에 용해시키게 된다. 벤추리 인젝터(32)를 통하여 오존과 혼합된 수도물이 세라믹통(33)으로 유입되어(S8) 세라믹에 의해서 오존과 수도물의 용해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오존 용해부(30)의 역지변(34)은 유입되는 오존가스가 벤추리 인젝터(32)에 순방향으로만 유입되고, 수도물이 오존 발생관(22)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기능을 한다(S9). 또한, 부력구(35)는 오존 용해부(30) 내부에서 유입되는 수도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오존 용해수와 폐오존 공기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데(S10) 이는 오존 용해부(30)에 오존 용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구(35)가 떠올라 폐오존 배출구(36)를 밀폐하게 되고(S11), 이로 인하여 폐오존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다시 오존 용해부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오존 제거용 촉매(37)는 폐오존 배출구(36)로 배출된 오존을 신선한 산소로 변환시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S12).
이렇게 오존 용해부(30)의 세라믹통(33)에서 수도물과 충분히 용해된 오존 용해수는 오존 살균 처리부(40)의 디스펜서(42)로 유입되어(S13) 살균, 소독, 세척에 이용된다(S16). 이때 살균, 소독, 세척에 이용되고 남은 잉여 오존 용해수는 순환밸브(43)에 의해 오존 용해부(30)의 벤추리 인젝터(32)로 이동되어 재활용 된다(S15). 또한, 컴프레서(41)는 디스펜서(42)를 통하여 살균, 소독, 세척에 사용 되는 오존 용해수의 수압을 높여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S11).
도 2는 도 1의 결과로 형성된 오존 용해수에 의한 살균 메커니즘이 기존의 약제를 이용한 살균 메커니즘과의 차이점을 나타낸 예시도로, 세척 장비 내에 존재하던 각종 병원 미생물들의 면역성 항진으로 인한 내성균 출현에 의한 사용자의 2차 감염 우려로 부터 자유로워져 살균, 소독, 세척에 있어서 보다 근본적이고 안전한 처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외과용, 치과용, 임상병리과용 등 다양한 의료분야에서의 사용, 외과적 수술용 장비에 대한 순간 멸균 세척, 외과적 수술시에 호흡기를 제외한 체내 관련기관 시술부분에 대한 소독, 임상병리적 실험 실습장비에 대한 소독 및 세척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그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존의 강력하고 순간적인 살균력과 더불어 약제에 의한 살균시 발생되는 내성균 잠복 등의 위험성을 오존의 병원 감염성이 없는 살균 메커니즘 특성을 이용하여 병원환경 내에서 얻게 되는 각종 병원 미생물 감염으로 부터도 안전하게 보다 근본적인 살균, 소독, 세척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물론, 기존의 약제를 이용하여 살균 처리해 왔던 방법을 사용할 시에 약제 살균처리 전의 청소작업, 습도 조절 작업 등의 전처리 작업의 필요성, 약제 잔류성에 의한 후처리 작업의 필요성, 약제 보관 및 관리의 불편성 등으로 부터도 자유로워지게 해주어 안전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는 각종 외과용 수술장비에 대한 순간 멸균 세척, 외과적 수술시 호흡기를 제외한 제내 관련기관 시술부분에 대한 소독, 임상병리적 의료장비에 대한 소독 및 세척 등에 편리성과 안전성, 신속성, 효율성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Claims (3)

  1. 본 발명의 콘트롤부(10)의 진공 스위치(12)가 수도물 유입관(31)을 통하여 수도물이 벤추리 인젝터(32)를 통과할 때는 수축되어 스위치의 접점을 흡착시켜 콘트롤부(10)의 작동을 진행시키고, 수도물이 벤추리 인젝터(32)를 통과하지 않을때는 이완되어 스위치 접점을 떨어뜨려서 콘트롤부(10)의 작동을 정지시켜 주는 기능(S3, S4)에 의하여 수도물 유입관(31)을 통하여 수도물의 유입 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존의 발생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오존의 발생과 유출을 막아주는 안전장치 역할 기능(S3, S4).
  2. 본 발명의 오존 용해부(30)의 부력구(35)가 오존 용해부 내부에서 유입되는 수도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오존 용해수와 폐오존 공기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능(S10). 즉, 오존 용해부(30)의 오존 용해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구(35)가 떠올라서 폐오존 배출구(36)를 밀폐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폐오존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다시 오존 용해부의 수위가 낮아지게 하는 기능.
  3. 본 발명의 오존 살균 처리부(40)의 컴프레서(41)가 오존 용해부(30)의 세라믹통(33)을 경유하여 살균, 소독, 세척을 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42)에 제공되는 오존 용해수의 떨어진 수압을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높여주는 역할.
KR1020050051796A 2005-06-16 2005-06-16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KR10118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796A KR101183059B1 (ko) 2005-06-16 2005-06-16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796A KR101183059B1 (ko) 2005-06-16 2005-06-16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386A true KR20060131386A (ko) 2006-12-20
KR101183059B1 KR101183059B1 (ko) 2012-09-20

Family

ID=3781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796A KR101183059B1 (ko) 2005-06-16 2005-06-16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06B1 (ko) 2007-05-07 2007-08-13 박태순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673A (ko) 2022-04-11 2023-10-18 정일진 오존수를 이용한 양압기 소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552Y1 (ko) 2005-04-22 2005-07-22 서경석 오존 압력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06B1 (ko) 2007-05-07 2007-08-13 박태순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059B1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810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medical devices having passageways with ozone gas
US5443801A (en) Endoscope cleaner/sterilizer
JP6929872B2 (ja) 通路を有する医療デバイスをオゾンガスで処理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CN2905066Y (zh) 多用途医用仪器内部结构消毒机
WO201718991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medical devices having passageways with ozone gas
ITMI20131764A1 (it) Unita&#39; operativa odontoiatrica composta da singole apparecchiature originali, tra loro unite mediante tubi e cavi, che permettono di operare in condizioni di assoluta sterilita&#39;
KR101183059B1 (ko)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JPH07500428A (ja) 洗浄及び滅菌機構
CN109674614B (zh) 一种口腔综合治疗台的水路灭菌冲洗装置
KR101031684B1 (ko) 치과용수 관리시스템
EP0350459A2 (en) A unit for the sterilization of operating fluids applicable to medical equipment, in particular to dental surgery instruments
JP7129757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滅菌方法
KR100904538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물공급 장치 및 방법
CN1287863C (zh) 医用快速杀菌、消毒、清洗机
KR20010035546A (ko) 치과용 물탱크 자동 급수장치 및 오존수 공급장치
TWI236892B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dental water tank
KR20080078171A (ko) 치과용 의료배관 및 치과용 의료기기를 소독하기 위한정수장치
KR100598591B1 (ko) 오존수를 이용한 의료기구 소독기
CN215711972U (zh) 一种口腔综合治疗台水路消毒系统
KR101599934B1 (ko) 치과 유니트 체어용 공급수 관리장치
CN213219063U (zh) 一种眼科急救用眼睛清洗装置
JP3098194U (ja) オゾン水供給システム
KR20220048579A (ko) 고온 고압 오일주입형 핸드피스 멸균장치
TWM624868U (zh) 淨水及空氣濾淨整合機
KR20230116136A (ko) 배오존 제거 기능을 갖는 살균 및 탈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