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506B1 -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506B1
KR100747506B1 KR1020070044088A KR20070044088A KR100747506B1 KR 100747506 B1 KR100747506 B1 KR 100747506B1 KR 1020070044088 A KR1020070044088 A KR 1020070044088A KR 20070044088 A KR20070044088 A KR 20070044088A KR 100747506 B1 KR100747506 B1 KR 10074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disinfection
disinfecting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순
Original Assignee
박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순 filed Critical 박태순
Priority to KR102007004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기분해로 오존을 생성시킨 물을 소독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수도와 배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을 복수개의 필터 및 다수개의 세라믹 볼을 내장한 활수 필터를 거쳐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제1 소독부; 상기 활수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물을 고압트랜스에 의하여 인가되는 고전압으로 전기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를 통과시켜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제2 소독부; 상기 오존발생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물을 임시로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저수부; 및 전원의 온/오프 제어, 상기 고압트랜스의 가동 제어 및 상기 저수부의 수위에 따라 소독 용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2 소독부 및 저수부의 소독용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양한 의료용 기구나 환자의 상처 부위 등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존, 활수, 제1 소독부, 제2 소독부, 저수부, 컨트롤러, 오존발생기, 고압트랜스

Description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Apparatus of ozone sterilization and active water creation}
도 1은 종래 오존 소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 소독부 200...제2 소독부
300...저수부 400...컨트롤러
500...프레임 600...건조기
본 발명은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2 소독부 및 저수부를 통하여 각각 배출되는 소독 용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양한 의료용 기구나 환자의 상처 부위 등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살균효과가 뛰어나 의료 기구 등의 소독 및 세척에 오존 이 용해된 물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17075호의 "오존 살균 기능을 이용한 정수기"(이하 '선행기술 1')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04-58603호의 "오존을 이용한 살균 정수기"(이하 '선행기술 2') 등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몸체(110) 내부 또는 외부에 오존발생기(2210), 오존주입용호스(220), 고압트랜스(230), 공기공급펌프(240), 제어부(250) 및 잔류오존제거장치(260)로 이루어진 오존발생장치(200)로 구성된다.
도 1(a)에서 미설명 부호로 100은 정수기, 120은 저수조, 270은 기포돌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2에 따른 정수기(100)는 도 1(b)와 같이 상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발생되는 오존을 통해 살균하는 오존셀(110), 저수탱크(104)에 저장된 물을 상기 오존셀(110)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0), 상수원과 상기 오존셀(110) 사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130), 상기 오존셀(110)과 순환펌프(120)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140), 상기 저수탱크(104)에 내장된 수위감지센서(150) 및 냉각 컴프레샤(106)와 온수탱크(108)와 오존셀(110)과 순환펌프(120) 및 솔레노이드 밸브(13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60)로 구성된다.
도 1(b)에서 미설명 부호로 102는 정수필터, 170은 이온 트랜스, 그리고 180은 1차 정수필터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정수기, 즉 음용수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으로 의료용의 소독과 살균세척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발생되는 오존을 그대로 물에 투입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물속에 오존이 균일하게 용해되지 못하고 투입되는 오존의 10 내지 20% 정도가 혼합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소독용수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오존을 물속에 바로 투입시키는 상기 선행기술들은 오존농도의 반감기가 물속에서 20 내지 30분에 불과한 관계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소독이나 세척을 실시하여야 하는 의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의 경우 이온 트랜스(170)를 포함하는 불필요한 구성부품의 갯수가 많아 제조 비용의 상승이 불가피하며, 대기중으로 방출시 주변의 쇠붙이를 급격하게 산화시키는 오존의 특성과 함께 호흡기나 눈에 치명적인 오존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단점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양한 의료용 기구나 환자의 상처 부위 등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로 오존을 생성시킨 물을 소독용으로 사용하는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수도와 배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을 복수개의 필터 및 다수개의 세라믹 볼을 내장한 활수 필터를 거쳐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제1 소독부; 상기 활수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서 분기되어 공 급되는 물을 고압트랜스에 의하여 인가되는 고전압으로 전기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를 통과시켜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제2 소독부; 상기 오존발생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물을 임시로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저수부; 및 전원의 온/오프 제어, 상기 고압트랜스의 가동 제어 및 상기 저수부의 수위에 따라 소독 용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2 소독부 및 저수부의 소독용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소독부(100), 제2 소독부(200), 저수부(300) 및 컨트롤러(4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소독부(100)는 상수도(T)와 배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을 복수개의 필터(110) 및 다수개의 세라믹 볼(122)을 내장한 활수 필터(120)를 거쳐 활수시키고 제1 배출관(P1)을 통하여 소독용수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활수된 물을 소독 용수로써 장기간의 소독 및 세척을 요하는 환경에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110) 및 활수 필터(120)는 공지의 것이며 특히 상기 활수 필터(120)는 복수개의 물분자가 수소결합으로 그룹을 이루는 클러스터의 수소결합을 해제시켜 상기 클러스터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산소를 용이하게 받아들이는 구조로 바뀌면서 상수도(T)로부터 유입된 물 속의 중금속 등 불순물을 침전시키고 유기 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필터(110, 120)를 거친 물은 소독력은 후술할 제2 소독부(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디지만 세포재생 등과 같은 장시간 및 장기간에 걸친 치료를 요하는 경우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 소독부(200)는 상기 제1 배출관(P1)에서 분기되는 제1 분지관(P1')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고압트랜스(220)에 의하여 인가되는 고전압으로 전기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210)를 통과시켜 제2 배출관(P2)을 통하여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오존이 함유된 소독 용수를 단기간의 소독 및 세척을 요하는 환경에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오존발생기(210)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수개의 전극선을 구비하는 전극판과 고압트랜스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선이 내장된 복수개의 격벽으로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오존발생기(210)는 신속하게 살균 소독 또는 세척을 행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 후술할 컨트롤러(400) 조작으로써 지속적으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면서 소독 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소독 및 살균력을 지닌 오존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수부(300)는 상기 제2 배출관(P2)에서 분기되는 제2 분지관(P2')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임시로 저장하며 제3 배출관(P3)을 통하여 배출시켜 소독 용수로 사용하는 것으로, 물의 사용량에 따라 저장하고 배출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크게 제1, 2 저수조(310, 320),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배출 펌프(3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저수조(310)는 제3 배출관(P3)과 이어지는 상기 제2 분지관(P2')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소독부(200)로부터 공급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12)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제2 저수조(320)는 제1 저수조(310)와 연결되는 제3 배출관(P3)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저수조(310)로부터 공급된 물을 임시 저장하고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22)를 내장한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30)는 상기 오존발생기(210)와 제1 저수조(3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저수조(310)의 수위감지센서(312)로 감지된 수위가 낮은 경우 후술할 컨트롤러(400)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오존발생기(210)로부터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배출 펌프(340)는 상기 제1, 2 저수조(310, 3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하여 가동 제어되면서 상기 제3 배출관(P3)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사용량에 따른 수압 변동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400)는 전원의 온/오프 제어, 상기 고압트랜스(220)의 가동 제어 및 상기 저수부(300)의 제1, 2 저수조(310, 320) 수위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330) 및 배출 펌프(340)의 가동 등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400)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판단과 대응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과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의 각 구성 부(100, 200, 300, 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소독부(100)는 제2 소독부(20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300)는 제1 소독부(10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프레임(500)의 일측, 즉 사용자의 접근 및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500)에는 상기 제1 소독부(100)와 제2 소독부(200) 사이에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을 소독 건조하는 건조기(6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건조기(600)는 크게 챔버(610), 팬(620) 및 살균램프(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610)는 상기 제1 소독부(100) 하부측에 배치되어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히터(612)를 구비하며, 상기 팬(620)은 상기 히터(612)측에 장착되어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을 열풍 건조하고, 상기 살균램프(630)는 상기 챔버(610) 상부측에 내장되어 상기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의 살균을 행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상수도(T)와 제1 소독부(100)를 연결하고 제1 배출관(P1)을 통하여 세포 재생 등의 장기간에 걸친 치료 목적의 소독 용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출관(P1)에서 분기되는 제1 분지관(P1')을 통하여 제2 소독부(200)의 오존발생기(210)로 물을 공급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컨트롤러(400) 조작으로 전원을 켜고 고압트랜스(220)를 가동시켜 상기 고압트랜스(220)와 연결된 오존발생기(210)에 고전압을 인가시킴으 로써 상기 제1 소독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전기분해로 발생되는 오존이 함유된 물을 제2 배출관(P2)을 통하여 단시간의 살균 및 소독에 필요한 소독 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오존발생기(210)를 거쳐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제2 배출관(P2)에서 분기되는 제2 분지관(P2')을 통해 제1, 2 저수조(310, 320)에 임시 저장되고, 사용자는 컨트롤러(400)로써 상기 각 저수조(310, 320)에 내장된 수위감지센서(312, 322)의 감지 수위에 따라 상기 오존발생기(210)와 제1 저수조(310) 사이의 솔레노이드 밸브(330)의 개폐 조작으로 상기 각 저수조(310, 320) 내의 물을 일정 수위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2 저수조(320)와 연결된 제3 배출관(P3)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일정한 수압 유지를 위하여 소독 용수로 배출 사용시 상기 제1 저수조(310)와 제2 저수조(320) 사이에 장착된 배출 펌프(340)를 컨트롤러(400) 조작으로 가동시켜 물을 배출시켜 소독 또는 세척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소독 또는 세척이 이루어진 의료용 기구 및 용기를 상기 제1 소독부(100)와 제2 소독부(200) 사이에 구비된 건조기(600)의 챔버(610) 내에 투입후, 컨트롤러(400) 조작으로 히터(612), 팬(620) 및 살균램프(630)를 가동시켜 살균 건조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양한 의료용 기구나 환자의 상처 부위 등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기체 상태의 오존을 직접 물에 투입하고 대기 중으로 오존을 방출시켜 살균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필터 및 활수 필터를 통과시킨 물과, 물의 전기분해시켜 지속적으로 오존을 생성시킨 물을 선택적으로 소독 용수로 사용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치료와 신속하게 살균 처리해야 하는 등의 다양한 의료 환경에 폭넓고 적극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기간 치료 및 소독 목적의 제1 소독부와, 단기간에 신속한 살균 처리를 위한 제2 소독부와 함께 배출되어 사용되는 소독 용수의 사용량에 따른 임시 저장 및 일정 수압으로 배출을 유도하는 저수부를 구비하여 용수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내에 제1, 2 소독부, 저수부와 건조기를 일체로 장착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의료용 기구 및 용기를 소독, 세척하고 건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장치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전기분해로 오존을 생성시킨 물을 소독용으로 사용하는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수도(T)와 배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을 복수개의 필터(110) 및 다수개의 세라믹 볼(122)을 내장한 활수 필터(120)를 거쳐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제1 소독부(100);
    상기 활수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물을 고압트랜스(220)에 의하여 인가되는 고전압으로 전기분해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210)를 통과시켜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제2 소독부(200);
    상기 오존발생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에서 분기되어 공급되는 물을 임시로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소독 용수로 배출시키는 저수부(300); 및
    전원의 온/오프 제어, 상기 고압트랜스의 가동 제어 및 상기 저수부의 수위에 따라 소독 용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2 소독부 및 저수부의 소독용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소독부(100, 200), 저수부(300) 및 컨트롤러(400)는 프레임(500)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소독부는 제2 소독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는 제1 소독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300)는,
    상기 오존발생기를 통해 배출되는 배관이 형성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12)를 내장하고 상기 제2 소독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제1 저수조(310);
    상기 오존발생기(210)와 제1 저수조(3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로 감지된 수위가 낮은 경우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오존발생기로부터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300)에는,
    상기 제1 저수조(310)에서 물이 배출되는 배관 상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22)를 내장하고 상기 제1 저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제2 저수조(320); 및
    상기 제1, 2 저수조(310, 3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하 여 가동 제어되는 배출 펌프(3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0)에는,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히터(612)가 구비된 챔버(610);
    상기 히터측에 장착되어 상기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을 열풍 건조하는 팬(620); 및
    상기 챔버 상부측에 내장되어 상기 의료용 기구 및 용기 등의 살균을 행하는 살균램프(630);로 이루어진 건조기(600)가 상기 제1 소독부(100)와 제2 소독부(200) 사이에 더 구비되며,
    상기 히터, 팬 및 살균램프의 가동은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및 활수 소독 장치.
KR1020070044088A 2007-05-07 2007-05-07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KR10074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88A KR100747506B1 (ko) 2007-05-07 2007-05-07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88A KR100747506B1 (ko) 2007-05-07 2007-05-07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506B1 true KR100747506B1 (ko) 2007-08-13

Family

ID=3860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088A KR100747506B1 (ko) 2007-05-07 2007-05-07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5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494Y1 (ko) * 1990-12-14 199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오존 살균장치
KR20040040122A (ko) 2002-11-06 2004-05-12 신영일 티타늄 오존발생기를 이용한 의료기구 소독장치
KR100598417B1 (ko) * 2000-09-06 2006-07-12 양원동 의료기구 살균세정장치
KR20060086637A (ko) 2005-01-27 2006-08-01 오존스코리아 주식회사 내시경 오존 세척 소독장치
KR200428872Y1 (ko) * 2006-08-01 2006-10-16 허태균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정화기
KR20060131386A (ko) 2005-06-16 2006-12-20 김동균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494Y1 (ko) * 1990-12-14 199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오존 살균장치
KR100598417B1 (ko) * 2000-09-06 2006-07-12 양원동 의료기구 살균세정장치
KR20040040122A (ko) 2002-11-06 2004-05-12 신영일 티타늄 오존발생기를 이용한 의료기구 소독장치
KR20060086637A (ko) 2005-01-27 2006-08-01 오존스코리아 주식회사 내시경 오존 세척 소독장치
KR20060131386A (ko) 2005-06-16 2006-12-20 김동균 오존 용해수를 이용한 의료용 살균 처리장치
KR200428872Y1 (ko) * 2006-08-01 2006-10-16 허태균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3462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及び温水の滅菌方法
KR100531667B1 (ko)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ES2393940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iominar peróxido de hidrógeno vaporizado de una zona
JP2007518954A (ja) オゾンで強化した過酸化水素蒸気汚染除去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308124B1 (ko)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EA01222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еззараженной воды и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еззараженного солевого раствора
KR101177868B1 (ko) 핸드피스 소독 멸균장치
KR101726670B1 (ko) 치과용 살균소독수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800379B1 (ko) 물과 공기 겸용 플라즈마 처리장치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200380283Y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독을 위한 소독 장치
KR100747506B1 (ko) 오존 및 활수 소독장치
KR100656379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독을 위한 소독 장치
JP7129757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滅菌方法
JP6783676B2 (ja) 飲料水生成装置
KR101824245B1 (ko) 의료용 멸균기의 일회용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0068A (ko)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방법
KR101068629B1 (ko) 멸균장치 및 방법
KR100624700B1 (ko) 내시경 오존 세척 소독장치
KR100538722B1 (ko) 가습 장치
CN214713557U (zh) 一种医用内镜清洗消毒设备
WO2024001712A1 (zh) 衣物处理设备及洗涤设备及洗涤装置
KR102162262B1 (ko) 화재예방을 위한 발열저감 기능과 친환경 배오존처리 기능을 가지며 오존생성농도를 증가시킨 오존발생장치
CN117385601A (zh) 洗涤装置
TW200405805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in dental water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