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922A -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922A
KR20060130922A KR1020050049260A KR20050049260A KR20060130922A KR 20060130922 A KR20060130922 A KR 20060130922A KR 1020050049260 A KR1020050049260 A KR 1020050049260A KR 20050049260 A KR20050049260 A KR 20050049260A KR 20060130922 A KR20060130922 A KR 2006013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en
state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00667B1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임코
Priority to KR102005004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667B1/en
Publication of KR2006013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A checking syste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know a disconnection and opening or closing state of a break part by installing a circuit part for checking the opening or closing state of the break part in a receiving part and making a signal processing part analyze the checked signal. The checking system includes: a detecting part(9) for detecting leakage of gas; a sensing part(10) for sensing a preliminary fire and a fire; a signal processing part(20) having a microcomputer and an IC(integrated circuit) so as to output a high or low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and IC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a break control part(30) having a motor driving IC(31) driven by the high or low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a break part(40) having a first and second stop switch(SW1,SW2) and a motor(41) so as to control an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of a gas valve from the driving; and first and second check circuit parts(50,60) connected parallel with each other for checking an operation status of the break part.

Description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도 1은 종래 자동식 소화기 시스템의 차단장치 회로도.1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system.

도 2는 종래 리미트스위치가 적용된 자동식 소화기 시스템의 차단장치 회로도.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of a circuit breaker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system applied with a conventional limit switch.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에 대한 회로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for the disconnection and open state check system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uto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자동식 소화기에 대한 주방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Figure 4,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kitchen installation stat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센서 20; 신호처리부10; Sensor 20; Signal processor

30; 차단 제어부 31; 모터구동IC30; Blocking control unit 31; Motor Drive IC

40; 차단부 41; 모터40; Blocking part 41; motor

50; 제 1 체크회로부 60; 제 2 체크회로부50; A first check circuit unit 60; 2nd check circuit

70; IC전원공급 제어부 500; 수신부70;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500; Receiver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가스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가스누출시 또는 예비 화재 및 화재시에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하는 자동식 소화기의 차단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부의 단선상태는 물론, 차단부의 개폐상태(열림/닫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ker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that normally controls the gas valve remotely, and automatically shuts off the gas at the time of gas leakage or preliminary fire and fire, more specifically, the disconnection state, as well as the breaker of the br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hecking the disconnection and the open / closed state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lock that enables the open / closed state of a part to be checked.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식 소화기란 평상시에 원격으로 차단부를 작동시켜 가스의 유입을 제어하고, 가스누출시나 예비화재 또는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차단부를 닫고 경보(시각적 경보 및 청각적인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가스로 인한 추가적인 사고 및 인명피해를 줄이고, 화재 발생시에는 자동으로 소화기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As is well known,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used to remotely control the inflow of gas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 normal times, and automatically close the shutoff and generate an alarm (visual alarm and audio alarm) in case of a gas leak, a preliminary fire or a fire. To reduce additional accidents and casualties caused by fire, and to extinguish fire by automatically operating fire extinguisher in case of fire.

이러한 자동식 소화기는 주방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발생시에 초기에 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설치요건이 강화 및 확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Such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are mandator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ires in the kitchen in advance and for extinguishing at the time of a fire, and the requirements for installation are being reinforced and expanded.

즉, 상기 자동식 소화기의 차단부는 가스의 누설시에는 가스밸브를 닫아 가스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스로 인한 중독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시에는 가스의 유입을 막음으로써 가스로 인한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으로, 자동식 소화기에 있어서 차단부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That is, the shut off part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loses the gas valve when the gas leaks to prevent gas leakage and prevents poisoning due to the gas, and prevents the inflow of gas during the fire, thereby preventing explosion. In order to prevent the danger of the back, the importance of the blocking portion i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indisputable.

이때, 종래 자동식 소화기의 차단부(100)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차단 제어부(200)에 의해 그 제어가 이루어지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blocking unit 100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controlled by the blocking control unit 200 as shown in FIG. 1,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의 차단부(100)가 열림상태이고, 센서(300)에 의해 가스누출 또는 예비 화재 및 화재가 감지되어 신호처리부(400)으로 그 감지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신호처리부(400)에 의한 차단부(100)의 닫힘구동으로 가스밸브의 닫힘조작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First, the blocking unit 100 is in an open state, and a gas leak or a preliminary fire and a fire are detected by the sensor 300, and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400,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400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400. The case whe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gas valve is to be proceeded by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unit 100 is as follows.

상기 차단부(100)가 열림상태에서는 열림시의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오프(OFF)상태이고,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는 온(ON)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open state of the blocking unit 100, the first stop switch SW1 in the open state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top switch SW2 in the closed state maintains the on state.

이때, 상기 차단 제어부(200)내 모터구동IC(1)의 입력핀(PIN5, PIN6)에 각각 닫힘신호(PIN5=HIGH, PIN6=LOW)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터구동IC(1)의 출력핀(PIN2≒VCC[V], PIN10=0[V])에서는 각각 출력이 발생한다.At this time, when the closing signals (PIN5 = HIGH, PIN6 = LOW) are input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1 in the cutoff control unit 200, the output of the motor driving IC 1 is output. Outputs are generated at the pins PIN2 VCC [V] and PIN10 = 0 [V], respectively.

즉, 상기 열림시의 제 1 정지스위치(SW1)가 오프상태일 경우, 상기 모터구동IC(1)의 출력핀(PIN2≒VCC[V])의 출력전류는 출력핀(PIN2)→다이오드(D1)→모터(2)→제 2 정지스위치(SW2)를 통해 흐르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stop switch SW1 in the open state is turned off, the output current of the output pins PIN2 ≒ VCC [V] of the motor driving IC 1 is changed from the output pin PIN2 to the diode D1. ) Flows through the motor (2) → the second stop switch (SW2).

이때, 상기 모터(2)는 닫힘방향으로 회전구동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2)에 연동하여 감속기어 등이 연동되면서, 상기 차단부(100)는 닫힘동작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tor 2 is driven to rotate in the closing direction, while the reduction gear and the like interlocked with the motor 2, the blocking unit 100 is to proceed with the clos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차단부(100)가 열림 정지위치를 벗어나면, 상기 모터(2)와 감속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해 상기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오프상태에서 온상태가 되며, 이 경우 전류의 흐름은 상기 모터구동IC(1)의 출력핀(PIN2)→제 1 정지스위치(SW1)→모터(2)→제 2 정지스위치(SW2)를 통해 흐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unit 100 is out of the open stop position, the first stop switch SW1 is turned on from the off state by mechanical linkage of the motor 2 and the reduction gear.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output pin PIN2 → first stop switch SW1 → motor 2 → second stop switch SW2 of the motor driving IC 1.

다음, 상기 차단부(100)가 닫힘 정지위치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 2 정지스위치(SW2)는 상기 모터(2)와 감속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Next, when the blocking unit 100 reaches the closed stop position, the second stop switch SW2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mechanical linkage of the motor 2 and the reduction gear.

이때, 상기의 제 2 정지스위치(SW2)가 오프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2)로는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바,At this time, the second stop switch (SW2) is turned off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is no longer flowing to the motor (2),

상기 모터(2)는 자동으로 정지되면서 상기 모터(2)를 포함하는 차단부(100)는 닫힘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motor 2 is automatically stopped while the blocking unit 100 including the motor 2 is kept at the stop position of the closing.

이후, 상기 차단 제어부(200)에서는 닫힘신호를 해제하는 신호를 모터구동IC(1)의 입력핀(PIN5=LOW, PIN6=LOW)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차단부(100)에 의한 가스밸브의 닫힘 제어가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blocking control unit 200 applies a signal for releasing the closing signal to the input pins PIN 5 = LOW and PIN 6 = LOW of the motor driving IC 1, thereby closing the gas valve by the blocking unit 100. Control can be completed.

한편, 상기 차단부(100)가 닫힘상태에서, 센서(300)에 의해 가스누출 또는 예비 화재 및 화재가 감지되지 않으면서 신호처리부(400)으로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상기 신호처리부(400)에 의한 차단부(100)의 열림구동으로 가스밸브의 열림조작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osed state 100, the sensor 300 does not detect the gas leakage or preliminary fire and fire by the sensor 300 is not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400, the signal processing unit 400 The case wher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gas valve is to be proceeded by the opening driving of the blocking unit 100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차단부(100)가 닫힘상태에서는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는 오프상태이고,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irst, 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top switch SW2 is closed and the first stop switch SW1 is kept in the closed state.

이때, 상기 차단 제어부(200)내 모터구동IC(1)의 입력핀(PIN5, PIN6)에 각각 열림신호(PIN5=LOW, PIN6=HIGH)가 인가되면, 상기 모터구동IC(1)의 출력핀(PIN2≒0[V], PIN10≒Vcc[V])에서는 각각 출력이 발생한다.At this time, when the open signals PIN5 = LOW and PIN6 = HIGH are applied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1 in the cutoff control unit 200, the output pins of the motor driving IC 1 are applied. At (PIN2 ≒ 0 [V], PIN10 ≒ Vcc [V]), an output is generated.

즉, 상기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구동 IC(1)의 출력핀(PIN10≒Vcc[V])의 출력전류는 출력핀(PIN10)→다이오드(D2)→모터(2)→제 1 정지스위치(SW1)를 통해 흐른다.That is, since the second stop switch SW2 at the time of closing is turned off, the output current of the output pins PIN10 ≒ Vcc [V] of the motor driving IC 1 is changed from the output pin PIN10 → diode D2. → it flows through the motor (2) → the 1st stop switch (SW1).

이때, 상기 모터(2)는 열림방향으로 회전 구동을 하게 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모터(2)에 연동하여 감속기어 등이 연동되어, 상기 차단부(100)는 열림동작을 진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tor 2 is driven to rotate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reduction gear and the like interlock with the motor 2 to interlock, and the blocking unit 100 proceeds to the open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차단부(100)가 닫힘 정지위치를 벗어나면, 상기 모터(2)와 연동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해, 상기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며, 이때 전류의 흐름은 출력핀(PIN10)→제 1 정지스위치(SW1)→모터(2)→제 2 정지스위치(SW2)를 통해 흐르게 된다.When the blocking unit 100 is out of the closed stop position, the first stop switch SW1 is turned on in an off state by mechanical linkage between the motor 2 and the interlocking gear.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output pin PIN10-> first stop switch SW1-> motor 2-> second stop switch SW2.

다음, 상기 차단부(100)가 열림 정지위치에 이르는 경우, 상기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상기 모터(2)와 연동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해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된다.Next, when the blocking unit 100 reaches the open stop position, the first stop switch SW1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mechanical linkage of the motor 2 and the interlocking gear.

이때, 상기의 제 1 정지스위치(SW2)가 오프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2)로는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바,At this time, the first stop switch (SW2) is turned off at the same time, no current flows further to the motor (2),

상기 모터(2)는 자동으로 정지되면서 상기 모터(2)를 포함하는 차단부(100)는 열림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motor 2 is automatically stopped while the blocking unit 100 including the motor 2 is kept at the stop position of the open.

이후, 상기 차단 제어부(200)에서는 닫힘신호를 해제하는 신호를 모터구동IC(1)의 입력핀(PIN5=LOW, PIN6=LOW)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차단부(100)의 닫힘 제어가 완료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blocking control unit 200 applies a signal for releasing the closing signal to the input pins PIN 5 = LOW and PIN 6 = LOW of the motor driving IC 1, thereby completing the closing control of the blocking unit 100. will be.

이와 같이, 종래 자동식 소화기의 차단부(100)는 그 열림 및 닫힘 제어가 마 이컴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모터구동IC(1)의 입력핀(PIN5, PIN6)에 각각 하이(HIGH) 또는 로우(LOW)를 입력함으로써 차단부(100)의 열림과 닫힘 동작이 진행되고, 일정시간 후에 모터구동IC(1)의 입력핀(PIN5, PIN6)에 인가된 신호를 해제함으로써 차단부(100)의 열림과 닫힘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100 is controlled by the microphone, and high (HIGH) or low (respectively) to the input pins (PIN5,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1), respectively. Open and close operation of the breaker 100 is input by inputting LOW, and the breaker 100 is opened by releasing a signal applied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1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losing operation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모터구동IC(1)의 종류에 따라 입력 및 출력신호의 형태가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의 내용과 유사하며, 기본적인 동작 과정은 같다.Here, the type of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tor driving IC 1, but the basic operation is similar to the above, and the basic operation process is the sa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식 소화기의 차단부(100)는 차단 제어부(200)의 제어가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단부(10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는 물론, 상기 차단부(100)의 단선상태를 판단할 수는 없었다.However, the block 100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s described above has a one-way control of the block controller 200, so that the block 100 is opened or closed, as well as the block 100 of the block 100. The disconnection status could not be determined.

즉,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는 최초 전원을 투입할 때 차단부(100)의 상태를 전혀 알 수 없는 구조인 바, 차단부를 제조하는 메이커별로 전원 투입 초기에 서로 임의로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설정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차단부(100)를 1회이상 작동시킨 이후에 차단부(100)의 위치에 맞는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a structure that the state of the blocking unit 100 is not known at all when the first power is turned on, so that the makers manufacturing the blocking unit to set the open or closed state arbitrarily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on to display each other. And, after operating the blocking unit 100 or more times, it can display the open and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unit 100.

다시 말해, 종래에는 차단부(100)의 초기 설치상태를 확인하여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 임으로 표시하고 있다가 상기 차단부(100)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1회 이상 차단부(100)를 조작하는 경우, 차단 제어부(200)에서 상기 차단부(100)를 제어하여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제어한 후 이를 표시할뿐, 상기 차단부(100)의 동작상태를 체크하여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표시하지는 못하였다.In other words, in the related art,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of the blocking unit 100 is not checked to display an open or closed state, and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at random, and the operation switch of the blocking unit 100 is operated at least once. In the case of operating 100, the blocking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blocking unit 100 to control the open or closed state and then displays it, and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the blocking unit 100 to open or close it. It did not indicate the status.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10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수신부(또는 조작부)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표시하는 부분과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는 오히려 경보시스템의 혼란만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manually operating the blocking unit 100,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part indicat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receiving unit (or the operation unit), which is rather an alarm system It often caused only confusion.

또한, 종래에는 상기 차단부(100)를 제어하는 차단 제어부(200)가 상기 차단부(100)의 상태를 피드백을 받지 못하고 제어신호만을 출력하는 바, 이는 상기 차단부(100)의 단선상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Further, in the related art, the blocking control unit 200 controlling the blocking unit 100 does not receive a feedback of the state of the blocking unit 100 and outputs only a control signal, which is even an disconnected state of the blocking unit 100. There is a tendency for control to be poorly understood.

즉, 상기 차단부(100)가 단선이어서 가스밸브가 열림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가스누출경보 또는 예비화재 및 화재경보 등의 경보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차단 제어부(200)는 차단부(100)를 닫힘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지만, 단선상태인 차단부(100)는 상기의 제어신호로부터 닫힘동작을 진행하지 못하고, 아울러 출력상태에 따라 조작부의 램프는 상기 차단부(100)의 닫힘을 지시하게 되는 바,That is, when the gas leakage alarm or a preliminary fire or fire alarm occurs when the gas shutoff part 100 is disconnected and the gas valve is kept open, the blocking part 200 is the blocking part 100. )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be closed, but the disconnection unit 100 in the disconnected state does not proceed with the closing operation from the control signal, and the lamp of the operation unit stops the closing of the block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output state. As directed,

사용자는 상기의 램프로부터 차단부(100)가 닫혔다고 판단하여 가스밸브를 별도로 조작(수동으로 닫힘조작을 하지 않음)하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안전상의 커다란 문제점이 초래되었던 것이다.The user judges that the blocking unit 100 is closed from the lamp, so that the gas valve is not operated separately (not manually closed), thereby causing a large safety problem in which a large accident occurs.

즉, 종래의 차단부(100)는 단선체크기능 및 열림과 닫힘의 상태체크기능이 전혀 없는 관계로, 이를 유통시킬 경우 장기적인 차원에서 매우 불합리하며, 가스폭발 등으로 인한 인적·물적인 손실의 우려를 가지고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blocking part 100 has no disconnection check function and no open / close state check function, and when it is distributed, it is very unreasonable in the long term, and there is a fear of human and physical loss due to gas explosion. Have

이에 종래에는 상기의 단점을 개선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부 (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별도로 위치 감지용 제 1,2 리미트스위치(SW3)(SW4)를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상기 위치 감지용 제 1,2 리미트스위치(SW3)(SW4)는 그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고, 아울러 비용 발생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us,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disadvantage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SW3 and SW4 for position detection are separately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blocking unit 100, but the position detection is performed.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SW3 and SW4 have inconveniences due to their installation, and also have problems such as high cost.

즉, 상기 차단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차단부(100)의 열림 또는 닫힘 종료 위치에 상기의 제 1,2 리미트 스위치(SW3)(SW4)를 설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 1,2 리미트 스위치(SW3)(SW4)가 동작된 것을 체크하여 상기 차단부(10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이는 별도의 제 1,2 리미트 스위치(SW3)(SW4)를 부착하고 배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SW3 and SW4 are installed at the opening or closing end position of the blocking unit 100 inside or outside the blocking unit 100,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SW3 and SW4 are installed. 2, the limit switch (SW3) (SW4)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cut-off unit 100 can be confirmed, but it is attached to a separat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 (SW3) (SW4)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wiring, as well as a costly structural disadvanta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정지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차단부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체크하는 회로부를 수신부내에 구성하고, 상기의 체크신호를 마이컴 또는 기타 논리회로에 의한 신호처리부에서 분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단부의 단선 여부와 열림 또는 닫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it portion for check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block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of the stop switch is configured in the receiver, the check signal By analyzing the signal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by a microcomputer or other logic circu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checking the disconnection and open state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reaker to determine whether the breaker is disconnected and the state of the open or closed.

또한, 본 발명은 모터구동IC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차단제어부에 연결 구성함으로써, 모터구동IC의 출력이 차단부측의 바이어스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차단부에 대한 단선 여부와 열림 또는 닫힘의 상태 파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circuit portion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driving IC to the cutoff control unit, so that the output of the motor driving IC does not affect the bias on the breaker side, whether or not the disconnection to the breaker and open o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disconnection unit disconnection and open / closed state check system that makes it easie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clos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에 대한 회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자동식 소화기에 대한 주방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 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a system for checking the disconnection and open state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kitchen installation state f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탐지부(9); 예비 화재 및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부(10);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의 닫힘/열림 제어신호와 IC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마이컴과 IC 등으로 구성된 신호처리부(20); 상기 하이 또는 로우의 닫힘/열림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구동IC(31)를 포함하는 차단제어부(30); 상기의 구동으로부터 가스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 1,2 정지스위치(SW1)(SW2)와 모터(41)를 포함하는 차단부(40); 를 구성하고,3 to 5, the detection unit 9 for detecting a gas leak; A detector 10 for detecting a preliminary fire and a fire; A signal processor 20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computer and an IC to output a high / low close / open control signal and an IC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A cutoff control unit 30 including a motor driving IC 31 driven according to the high / low close / open control signal; A shut-off part 40 including first and second stop switches SW1 and SW2 and a motor 4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of the gas valve from the driving; Configure

상기 수신부(500)에는 모터구동IC(31)의 출력라인에 상기 제 1,2 정지스위치(SW1)(SW2)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차단부(40)의 단선과 열림 또는 닫힘 동작상태를 체크하는 제 1,2 체크회로부(50)(60)를 병렬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of the motor driving IC 31, the disconnection of the breaker 40 and the open or closed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first and second stop switches SW1 and SW2. The first and second check circuit units 50 and 60 to be checked are connected in parallel.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2 체크회로부(50)(60)의 체크신호는, 신호처리부(20)로 피드백되어 차단부(40)의 단선과 열림 또는 닫힘의 동작상태가 분석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heck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check circuit units 50 and 60 are fed back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to analyze the disconnection of the blocking unit 40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n or closed. do.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에는, 신호처리부(20)의 닫힘 또는 열림의 구동신호에 따라 턴-온/오프되어 로우 또는 하이레벨의 제 1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Q1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of the closing or opening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to generate a low or high level first blocking unit check signal. And a transistor Q11.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체크회로부(60)에는, 신호처리부(20)의 닫힘 또는 열림의 구동신호에 따라 턴-오프/온되어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제 2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Q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is turned off / 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losing or opening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to generate a high or low level second blocking unit check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ransistor (Q12).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IC(31)의 입력라인에는, 신호처리부(20)의 IC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40)의 바이어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모터구동IC(31)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IC전원공급 제어부(70)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 line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connected to the motor driving IC 31 so as not to affect the bias of the breaker 40 according to the IC power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여기서, 상기 모터구동IC(31)가 출력상태에서 오픈(OPEN) 기능이 없을 때, 상기 모터구동IC(31)의 스톱(STOP) 기능이 작동하여 출력단의 상태가 모두 O[V]상태를 유지하는 등 상기 차단부(40)에 바이어스 상태가 고정되어 임의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모터구동IC(31)의 입력단에 반드시 IC전원공급 제어부(70)를 연결해야 하지만, 만약 모터구동IC(31)가 출력상태에서 오픈(OPEN)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모터구동IC(31)의 입력라인에서 IC전원공급 제어부(70)를 삭제하여도 무방하다.Here, when the motor driving IC 31 does not have an OPEN function in an output state, the stop function of the motor driving IC 31 operates to maintain all O [V] states. Since the bias state is fixed to the blocking unit 40, and thus, a bias cannot be applied, an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must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motor driving IC 31. When the driving IC 31 has an OPEN function in the output state,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may be deleted from the input line of the motor driving IC 31.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R1~R12는 저항, C1,C2는 콘덴서, D1~D4는 다이오드, Q1,Q2는 트랜지스터 이다.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R1 to R12 denote resistors, C1 and C2 denote capacitors, D1 to D4 diodes, and Q1 and Q2 transistors.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as follows.

먼저, 차단부(40)가 열림상태이고, 탐지부(9)에 의한 가스누출 또는 센서(10)에 의해 예비 화재 및 화재가 감지되어 신호처리부(20)로 그 감지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에 의한 차단부(40)의 닫힘구동으로 가스밸브의 닫힘조작의 작동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First, the blocking unit 40 is in an open state, and a gas leak by the detector 9 or a preliminary fire and a fire are detected by the sensor 10, and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The case whe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gas valve is advanced by the closing part 40 of the processing part 20 is as follows.

상기 차단부(40)가 열림상태에서는 열림시의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오프 상태이고,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open state of the blocking unit 40, the first stop switch SW1 at the open state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top switch SW2 at the closed state remains in the on state.

이때, 차단제어부(30)내의 모터구동IC(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저항(R3,R4,R5,R6)과 트랜지스터(Q1)(Q2)로 이루어진 IC전원공급 제어부(70)로 하이의 IC전원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IC전원공급 제어부(70)는 상기 모터구동IC(31)로 전원을 공급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driving IC 31 in the cutoff control unit 30, the IC power source consisting of resistors (R3, R4, R5, R6) and transistors (Q1) (Q2)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When the high IC power supply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supply control unit 70,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supplies power to the motor driving IC 31.

여기서, 상기 모터구동IC(3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는, 상기 모터구동IC(31)가 입력핀(PIN5, PIN6)의 상태와 관계없이 차단부(40)와 완전 분리된 상태로서, 이는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이 차단부(40)측의 바이어스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when power is not applied to the motor driving IC 31, the motor driving IC 31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reaker 40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This is to prevent the output of the motor driving IC 31 from affecting the bias at the side of the breaker 40.

그리고, 상기 차단제어부(30)내 모터구동IC(31)의 입력핀(PIN5, PIN6)에 각각 신호처리부(20)으로부터 출력되는 닫힘신호(PIN5=HIGH, PIN6=LOW)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핀(PIN2≒VCC[V], PIN10=0[V])에서는 각각 출력이 발생된다.When the closing signals (PIN5 = HIGH and PIN6 = LOW)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31 in the cutoff control unit 30, the Output is generated at the output pins PIN2? VCC [V] and PIN10 = 0 [V] of the motor driving IC 31, respectively.

이때, 상기 차단부(40)내의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핀(PIN2≒VCC[V])의 출력전류는 출력핀(PIN2)→다이오드(D1)→모터(41)→제 2 정지스위치(SW2)를 통해 흐른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top switch SW1 in the blocking unit 40 is in an off state, the output current of the output pins PIN2 ≒ VCC [V]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changed from the output pin PIN2 to the diode. (D1)-> motor 41-> 2nd stop switch SW2.

이때, 상기 모터(41)는 닫힘방향으로 회전 구동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41)에 연동하여 감속기어 등이 연동되어, 상기 차단부(40)는 가스밸브를 닫기 위한 닫힘동작의 작동을 진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tor 41 is driven to rotate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reduction gear and the like interlocked in conjunction with the motor 41, the blocking unit 40 proceeds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operation for closing the gas valve. Done.

또한, 상기 차단부(40)가 열림 정지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모터(41)와 연동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하여, 상기 열림시의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전류의 흐름은 출력핀(PIN2)→제 1 정지스위치(SW1)→모터(41)→제 2 정지스위치(SW2)를 통해 흐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ut-off part 40 is out of the open stop position, the mechanical stop of the motor 41 and the interlocking gear, etc., causes the first stop switch SW1 to be in an on state from the off state. In this case,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output pin PIN2 → the first stop switch SW1 → the motor 41 → the second stop switch SW2.

다음, 상기 차단부(40)가 닫힘 정지위치에 이르는 경우, 상기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는 모터(41)와 연동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하여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상기 모터(41)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모터(41)는 자동으로 정지되면서, 상기 모터(41)를 포함하는 차단부(40)는 닫힘 정지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Next, when the blocking part 40 reaches the closed stop position, the second stop switch SW2 at the time of closing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mechanical interlocking operations such as the motor 41 and the interlocking gear. At this time, no current flows to the motor 41, and accordingly, the motor 41 is automatically stopped, and the blocking unit 40 including the motor 41 is kept at the closed stop position. .

이때,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모터구동IC(31)의 입력핀(PIN5, PIN6)에 인가되던 닫힘신호를 해제하여(PIN5=LOW, PIN6=LOW) 닫힘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차단부(40)에 의한 가스밸브의 닫힘 제어가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the closing signal applied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released (PIN5 = LOW, PIN6 = LOW) to complete the closing operation. By the closing control of the gas valve can be completed.

그리고, 상기 가스밸브의 닫힘제어가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구동IC(31)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20)이 로우의 IC전원제어신호를 IC전 원공급 제어부(70)로 출력하면, 상기 IC전원공급 제어부(70)를 통해 모터구동IC(31)에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는 바,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단은 차단부(4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전환된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sends a low IC power control signal to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so that the closing control of the gas valve is completed and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stopped. When output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driving IC 31 through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is interrupted,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switched to a stat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locking unit 40. do.

그러면, 상기 모터구동IC(31)는 전원전압의 공급이 중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구동IC(31)는 없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에따라 신호처리부(20)이 하이의 닫힘신호와 로우의 열림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하이의 닫힘신호는 다이오드(D3)와 저항(R9)을 거쳐 수신부(500)내에 구성된 제 1 체크회로부(50)내의 트랜지스터(Q11)를 턴-온시키게 된다.Then, since the motor driving IC 31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of the power voltage is stopped, the motor driving IC 31 is in a state in which the motor driving IC 31 is not present. 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opens the high closing signal and the low opening. When the signal is output, the high closing signal turns on the transistor Q11 i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configured in the receiving unit 500 via the diode D3 and the resistor R9.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1)의 턴-온으로부터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에서는 로우의 제 1 차단부 체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하이의 닫힘신호는 다이오드(D3)와 저항(R10) 및 온 상태인 열림의 제 1 정지스위치(SW1) 및 모터(41)를 통과하지만 오프상태인 닫힘의 제 2 정지스위치(SW2)에 의해 그 흐름이 막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circuit check signal of the low is generated i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from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Q11, and the high closing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diode D3 and the resistor ( The flow is blocked by R10) and the first stop switch SW1 in the open state and the second stop switch SW2 in the closed state but passing through the motor 41.

이때, 상기 로우의 열림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와 모터구동IC(31)에서 병렬로 연결 구성된 수신부(500)내의 제 2 체크회로부(60)내 트랜지스터(Q12)는 턴-오프되면서, 상기 제 2 체크회로부(60)에서는 하이의 제 2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차단부(40)에 대한 단선 여부는 물론, 그 열림과 닫힘의 동작상태를 체크하게 되는 것이다.(표1 참조)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n signal of the row, the transistor Q12 in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in the receiver 500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and the motor driving IC 31 is turned on. While being turned off,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s well as disconnection of the blocking unit 40 while generating a second blocking unit check signal of high. See Table 1)

반면, 상기 신호처리부(20)이 로우의 닫힘신호와 하이의 열림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하이의 열림신호는 다이오드(D4)와 저항(R13)을 거쳐 제 2 체크회로부 (60)내의 트랜지스터(Q12)을 턴-온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outputs a low closing signal and a high opening signal, the high opening signal passes through the diode D4 and the resistor R13 and the transistor Q12 in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 Will be turned on.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턴-온으로부터 상기 제 2 체크회로부(60)에서는 로우의 제 2 차단부 체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하이의 열림신호는 다이오드(D4)→저항(R11)→다이오드(D2)→모터(41)→제 1 정지스위치(SW1)→저항(R10)→저항(R9)를 통해 제 1 체크회로부(50)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blocking circuit check signal of the low is generated in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from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Q12, and the open signal of the high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diode D4? R11) → diode D2 → motor 41 → first stop switch SW1 → resistance R10 → resist R9 is appli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11 in first check circuit section 50.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Q11)는 턴-온되면서,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에서는 로우의 제 1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차단부(40)에 대한 단선 여부는 물론, 그 열림과 닫힘의 동작상태를 체크하게 되는 것이다.(표1 참조)Then, while the transistor Q11 is turned o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generates a low first blocking unit check signal, as well as whether the breaking unit 40 is disconnected or no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losing is checked (see Table 1).

한편, 상기 차단부(40)의 닫힘상태에서, 탐지부(9)에 의해 가스 누출 또는 감지부(10)에 의해 예비 화재 및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처리부(20)에 의한 차단부(40)의 열림구동으로 가스밸브의 열림조작을 진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osed state of the blocking unit 40,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liminary fire and the fire is not detected by the gas detector or the detection unit 10 by the detection unit 9, the blocking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The case wher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gas valve is to be proceeded by the opening driving of the part 40 is as follows.

상기 차단부(40)가 닫힘상태에서는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는 오프상태이고, 상기 열림시의 제 1 정지스위치(SW1)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closed state, the second stop switch SW2 in the closed state is in the off state, and the first stop switch SW1 in the open state is kept in the closed state.

이때, 상기 모터구동IC(31)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IC전원공급 제어부(70)로 하이의 IC전원제어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IC전원공급 제어부(70)는 모터구동IC(31)에 전원을 공급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supply the power of the motor driving IC 31, when the IC power supply control signal of the high from the signal processor 20 to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Supply power to the motor drive IC 31.

이때, 상기 차단제어부(30)내 모터구동IC(31)의 입력핀(PIN5, PIN6)에 각각 열림신호(PIN5=LOW, PIN6=HIGH)가 인가되면,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핀(PIN2≒ 0V], PIN10=Vcc[V])에서는 각각 출력이 발생한다. At this time, when the open signals PIN5 = LOW and PIN6 = HIGH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31 in the cutoff control unit 30, the output pins of the motor driving IC 31 are applied. Output is generated at (PIN2 # 0V) and PIN10 = Vcc [V],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차단부(40)내에 구성된 닫힘시의 제 2 정지스위치(SW2)가 오프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핀(PIN10≒VCC[V])의 출력전류는 출력핀(PIN10)→다이오드(D2)→모터(41)→제 1 정지스위치(SW1)→출력핀(PIN2)를 통해 흐른다.Here, since the second stop switch SW2 at the time of closing in the shut-off part 40 is turned off, the output current of the output pins PIN10 ≒ VCC [V]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output pin ( PIN10) → diode D2 → motor 41 → first stop switch SW1 → output pin PIN2.

이때, 상기 모터(41)는 열림방향으로 회전구동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41)에 연동하여 감속기어 등이 연동되어, 상기 차단부(40)는 열림동작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tor 41 is driven to rotate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reduction gear, etc. in conjunction with the motor 41 is interlocked, the blocking unit 40 is to proceed to the open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차단부(40)가 닫힘 정지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모터(41)와 연동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정지스위치(SW2)는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전류의 흐름은 출력핀(PIN10)→제 2 정지스위치(SW2)→모터(41)→제 1 정지스위치(SW1)→출력핀(PIN2)를 통해 흐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unit 40 is out of the closed stop position, the second stop switch SW2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mechanical interlocking of the motor 41 and the interlocking gear.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output pin PIN10 → second stop switch SW2 → motor 41 → first stop switch SW1 → output pin PIN2.

이때, 상기 차단부(40)가 열림 정지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 1 정지스위치(SW1)는 모터(41)와 연동기어 등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하여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상기 모터(41)에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상기 모터(41)는 자동으로 정지되어, 상기 차단부(40)는 열림 정지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blocking unit 40 reaches the open stop position, the first stop switch SW1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mechanical interlocking of the motor 41 and the interlocking gear, and at this time, the motor As the current flows in the 41, the motor 41 is automatically stopped, and the cutoff part 40 is maintained at the open stop position.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모터구동IC(31)의 입력핀(PIN5, PIN6)에 인가되던 열림신호를 해제하여(PIN5=LOW, PIN6=LOW) 열림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차단부(40)에 의한 가스밸브의 열림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en the opening signal applied to the input pins PIN5 and PIN6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released (PIN5 = LOW, PIN6 = LOW) and the ope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blocking unit 40 is completed. The opening control of the gas valve can be made by.

이때, 상기 가스밸브의 열림제어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모터구동IC(31)의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20)이 로우의 IC전원제어신호를 IC전원공급 제어부(70)로 출력하면, 상기 IC전원공급 제어부(70)를 통해 모터구동IC(31)에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는 바, 상기 모터구동IC(31)의 출력단은 차단부(40)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전환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gas valve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outputs a low IC power control signal to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70 so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driving IC 31 is stopped.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driver IC 31 is interrupted through the IC power supply controller 70, the output terminal of the motor driver IC 31 is switched to a stat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reaker 40. .

그러면, 상기 모터구동IC(31)는 전원전압의 공급이 중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구동IC(31)는 없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에따라 신호처리부(20)이 하이의 닫힘신호와 로우의 열림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하이의 닫힘신호와 로우의 열림신호는 다이오드(D3)와 저항(R9)을 거쳐 제 1 체크회로부(50)내의 트랜지스터(Q11)를 턴-온시키게 된다.Then, since the motor driving IC 31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of the power voltage is stopped, the motor driving IC 31 is in a state in which the motor driving IC 31 is not present. 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opens the high closing signal and the low opening. When the signal is output, the high closing signal and the low opening signal turn on the transistor Q11 i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through the diode D3 and the resistor R9.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1)의 턴-온으로부터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에서는 로우의 제 1 차단부 체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하이의 닫힘신호는 다이오드(D3)→저항(R10)→다이오드(D1)→모터(41)→제 2 정지스위치(SW2)→저항(R11)→저항(R13)을 통과하여 제 2 체크회로부(60)내 트랜지스터(Q12)를 턴-온시킨다.At this time, the first blocking circuit check signal of the low is generated i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50 from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Q11, and the high closing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diode D3? R10) → diode D1 → motor 41 → second stop switch SW2 → resistance R11 → resistance R13 to turn on transistor Q12 in second check circuit section 60. .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턴-온으로부터 상기 제 2 체크회로부(60)에서는 로우의 제 2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단부(40)에 대한 단선 여부는 물론, 그 열림과 닫힘의 동작상태를 체크하게 되는 것이다.(표1 참조)Then, from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Q12,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generates a low second block check signal to open or close the disconnection unit 40 as well as whether the breaker 40 is disconnected.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see Table 1).

반면, 상기 신호처리부(20)이 로우의 닫힘신호와 하이의 열림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하이의 열림신호는 다이오드(D4)와 저항(R13)을 거쳐 제 2 체크회로부 (60)내의 트랜지스터(Q12)을 턴-온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outputs a low closing signal and a high opening signal, the high opening signal passes through the diode D4 and the resistor R13 and the transistor Q12 in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 Will be turned on.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턴-온으로부터 상기 제 2 체크회로부(60)에서는 로우의 제 2 차단부 체크신호가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하이의 열림신호는 다이오드(D4)→저항(R11)→제 2 정지스위치(SW2)→모터(41)를 통과한 후 오프상태의 제 1 정지스위치(SW1)에 의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되는 바,At this time, the second blocking circuit check signal of the low is generated in the second check circuit unit 60 from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Q12, and the open signal of the high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he diode D4? R11) → second stop switch SW2 → after passing through motor 41, the first stop switch SW1 in the off state prevents further progression,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내의 트랜지스터(Q11)는 턴-오프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체크회로부(50)에서는 하이의 제 1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차단부(40)에 대한 단선 여부는 물론, 그 열림과 닫힘의 동작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표1 참조)The transistor Q11 in the first check circuit section 50 is turned off, and accordingly, the first check circuit section 50 generates a high first block check signal while disconnecting the block 40. Whether or no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 and closed (see Table 1).

입력input 출력Print 비고 Remarks 닫힘신호Closing signal 열림신호Open signal 제1체크신호First check signal 제2체크신호Second check signal 로우low 하이Hi 로우low 로우low 닫힘상태Closed state 하이Hi 로우low 로우low 하이Hi 로우low 하이Hi 로우low 로우low 중간상태 Intermediate 하이Hi 로우low 로우low 로우low 로우low 하이Hi 하이Hi 로우low 열림상태 Open 하이Hi 로우low 로우low 로우low 로우low 하이Hi 하이Hi 로우low 단선상태 Disconnection 하이Hi 로우low 로우low 하이Hi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정지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차단부의 열림 또는 닫힘상태를 체크하는 회로부를 수신부내에 구성하고, 상기의 체크신호를 신호처리부 또는 기타 논리회로에 의한 신호처리부에서 분석함으로써, 차단부의 단선 여부와 열림 또는 닫힘의 상태를 파악하고, 아울러 모터구동IC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차단제어부에 연결 구성함으로써 모터구동IC의 출력이 차단부측의 바이어스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차단부에 대한 단선 여부와 열림 또는 닫힘의 상태 파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unit for checking an open or closed state of a breaker unit according to on / off of a stop switch is configured in a receiving unit, and the above check signal is analyzed by a signal processing unit or a signal processing unit by other logic circuits. In addition, the disconnection part is disconnected and the state of open or closed, and the circuit part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driver IC is connected to the breaker control unit so that the output of the motor driver IC does not affect the bias of the breaker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ier to determine whether the disconnection and the open or closed state for the blocking unit.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5)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탐지부;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gas leak; 예비 화재 및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부;A detector for detecting a preliminary fire and a fire; 상기 감지된 신호 및 닫힘/열림 조작신호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의 닫힘/열림 제어신호와 IC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마이컴과 IC 등으로 구성된 신호처리부;A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output a high / low close / open control signal and an IC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and the close / open manipulation signal; 상기 하이 또는 로우의 닫힘/열림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구동IC를 포함하는 차단제어부;A cutoff control unit including a motor driving IC driven according to the high / low close / open control signal; 상기의 구동으로부터 가스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 1,2 정지스위치와 모터를 포함하는 차단부; 를 구성하고,A blocking unit including first and second stop switches and a mo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of the gas valve from the driving; Configure 상기 모터구동IC 출력라인의 수신부에는 상기 제 1,2 정지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차단부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상태를 체크하는 제 1,2 체크회로부를 병렬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Receiving unit of the motor drive IC output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 circuit unit for checking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state of the cut-off part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of the first and second stop switch in parallel configuration Check system for disconnection and open / close of fire extinguish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2 체크회로부의 체크신호는,The check signal of the first and second check circuit units is 신호처리부로 피드백되어 차단부의 단선과 열림 또는 닫힘의 동작상태가 분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A system for checking the disconnection and open / closed state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onnection of the breake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n or closed are analyzed by feeding back to the signal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체크회로부에는, In the first check circuit unit, 신호처리부의 닫힘 또는 열림의 구동신호에 따라 턴-온/오프되어 로우 또는 하이레벨의 제 1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Disconnection and open / close state check syste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istor which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losing or opening of the signal processor to generate a low or high level first blocking check signal.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체크회로부에는,In the second check circuit section, 신호처리부의 닫힘 또는 열림의 구동신호에 따라 턴-오프/온되어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제 2 차단부 체크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Disconnection and open / close state check system of a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istor which is turned off / on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of the signal processor close or open to generate a second block check signal of high or low level. .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터구동IC의 입력라인에는,In the input line of the motor drive IC, 신호처리부의 IC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의 바이어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모터구동IC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IC전원공급 제어부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 차단부의 단선과 개폐상태 체크시스템.Disconnection and open state check system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IC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driving IC so as not to affect the bias of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IC power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or.
KR1020050049260A 2005-06-09 2005-06-09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0700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260A KR100700667B1 (en) 2005-06-09 2005-06-09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260A KR100700667B1 (en) 2005-06-09 2005-06-09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922A true KR20060130922A (en) 2006-12-20
KR100700667B1 KR100700667B1 (en) 2007-03-27

Family

ID=3781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260A KR100700667B1 (en) 2005-06-09 2005-06-09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6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875A (en) 2021-02-12 2022-08-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m forming method and film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396B1 (en) * 2000-10-31 2002-08-10 이기원 Alarm and cutoff device for gas leaking
KR20010002192U (en) * 2000-12-22 2001-05-07 이기원 Automatic extinguisher using electric assembly
KR200343725Y1 (en) 2003-12-05 2004-03-09 정춘섭 A inspector of a fire extinguisher using g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875A (en) 2021-02-12 2022-08-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m forming method and film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667B1 (en)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8026B1 (en) Periodic tester to determine readiness of a fire pump system
JP2005188925A (en) Gas cut-off device
US20100138054A1 (en) Microprocessor based jockey pump controller
JP4479966B2 (en) Gas leak alarm system
KR20060130922A (en) System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20190094647A (en) Wireless control type gas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gas management system having this same
KR100348396B1 (en) Alarm and cutoff device for gas leaking
JP2725153B2 (en) Gas backup supply device
JP2713835B2 (en) Shut-off valve abnormality judgment device
JP4627639B2 (en) fire hydrant
JPH08280838A (en) Fire extinguishing facility
KR200268430Y1 (en) Alarm and cutoff device for gas leaking
JP2532844B2 (en) Gas accident prevention system
JPH08215330A (en)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for engine room
JP6276071B2 (en) Map display device for fire fighting equipment
KR200340163Y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re of a valve
JP2001183207A (en) Gas safety control circuit
KR200266350Y1 (en) Gas alarm and cut off device
KR200261521Y1 (en) A controller for alarm and cutoff device of gas leaking
KR100527863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re of a valve
JPH067345Y2 (en) Gas shutoff valve controller
KR200185659Y1 (en) gasbreaker of fire exting uisher
KR200268431Y1 (en) Alarm and cutoff device for gas leaking having a sensing for valve state
JP2560460Y2 (en) Operating device for gas emergency shutoff valve
JP2932656B2 (en) Opening device for gas shut-off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