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978A -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978A
KR20060129978A KR1020060095578A KR20060095578A KR20060129978A KR 20060129978 A KR20060129978 A KR 20060129978A KR 1020060095578 A KR1020060095578 A KR 1020060095578A KR 20060095578 A KR20060095578 A KR 20060095578A KR 20060129978 A KR20060129978 A KR 2006012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song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047B1 (ko
Inventor
남영택
Original Assignee
남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택 filed Critical 남영택
Priority to KR102006009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04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10L13/0335Pitch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음원과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플레이어는, 복수의 곡에 대한 곡 데이터, MP3 데이터 및 편집된 편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휴대용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명령 키신호에 응답하여 편집을 원하는 곡 데이터를 선택하고, 외부 편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함에 의해 상기 곡 데이터를 편집하는 제어부와; 상기 곡 데이터 및 상기 편집데이터의 노트값에 기초하여 이를 출력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MP3 데이터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믹싱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원부와: MP3 데이터의 엔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MP3 디코딩 및 엔코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구비하면서, 장소나 장치에 구애됨이 없이 원하는 곡의 편집이 가능하며, 박자연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원, 편집, MP3, 박자, 음정, 노트값

Description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Portable player having music data editing function and MP3 player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레이어의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집기능 동작시의 디스플레이화면이고,
도 3은 도 1의 편집기능 동작시의 동작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박자연습 동작시의 디스플레이 화면이고,
도 5는 도 1의 박자연습 동작시의 동작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어부 115 : 메모리부
120 : 음원부 125 : 음원 버퍼부
130 : MP3 디코딩 및 엔코딩부 135 : 키신호 입력부
140 : 디스플레이부 145 : 마이크 입력부
150 : 음성변환부 155 : 출력부
160 : 데이터 통신부
본 발명은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MP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하면서 곡 데이터를 유저에 의해 자유롭게 편집하고 이를 플레이 및 저장하거나, 박자 연습기능을 구비하는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는 음악과 같은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 카세트 테이프, CD 대신에 메모리 카드(memory card)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에 저장하여 이를 재생시켜 음성정보를 들일 수 있는 플레이어이다.
여기서, MP3는 소리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파일 저장방식 중의 하나로서 상기한 MP3는 'MPEG PLAYER 3' 를 줄여 본 것으로서, 동영상 압축기술을 뜻하는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_3' 가 개발된 이후 등장한 새로운 디지털 음악파일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MP3 방식의 디지털 음악 데이터는 압축율이 커서 파일 크기가 작으며, 별도의 카세트 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하는 MP3 파일을 컴퓨터(PC)통신 등을 통해 쉽게 다운로드(Download)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메모리 카드dp 쉽게 저장할 수 있으므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MP3 파일은 하나의 웨이브 파일형태로 되어 있어서 연주시에 사용되는 악기 하나하나를 컨트롤하거나 편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저가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편집하여 음악을 듣고자 할 경우 불편한 점이 있다. 즉 특정 악기로만 연주하는 음악이나 특정악기를 제외한 음악을 듣고자 하거나 특정부분을 편집하여 음악을 듣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문적인 음악편집장치나 PC를 이용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케이크 워크나 큐베이스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하고 다시 다운로드를 수행하여 들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어 장소적으로 나 장치 선택 면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유저의 취향에 맞는 편집 및 편집된 곡의 플레이가 가능한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박자 연습이 가능한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P3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플레이어는, 복수의 곡에 대한 곡 데이터, MP3 데이터 및 편집된 편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휴대용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명령 키신호에 응답하여 편집을 원하는 곡 데이터를 선택하 고, 외부 편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함에 의해 상기 곡 데이터를 편집하는 제어부와; 상기 곡 데이터 및 상기 편집데이터의 노트값에 기초하여 이를 출력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MP3 데이터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믹싱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원부와; MP3 데이터의 엔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MP3 디코딩 및 엔코딩부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외부 명령 키신호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입력 키들이 구비된 키 신호 입력부와;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편집시에는 상기 음원데이터에 대응되는 악보, 음의 높이나 길이, 편집 노트값, 상기 곡 데이터의 선택 채널 및 선택악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원부를 통하여 플레이되는 상기 곡 데이터 또는 편곡데이터에 대하여 에코, 리버브, 딜레이를 포함하는 음향효과처리를 수행하는 음원버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편집신호는, 상기 키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편집 키신호 및/또는 마이크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음성신호가 변환된 음정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마이크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실시간 주파수 변환하여 그 크기에 따른 음높이 및 길이를 갖는 음정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키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악보 및 음의 높이나 길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하고, 상기 음정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음정신호에 대응되는 노트값을 직접 변경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 노트값을, 외부 박자신호의 입력시점에 동기시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박자연습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실제 노트값의 연주시점과 상기 외부박자신호의 입력시점의 차이를 점수화하는 채점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박자신호는 압력센서나 입김에 대응하는 슬라이더 스위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 각도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입력장치 등의 별도의 박자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상기 키신호 입력부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 데이터나 MP3 데이터의 업그레이드 또는 데이터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구비하면서, 장소나 장치에 구애됨이 없이 원하는 곡의 편집이 가능하며, 박자연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센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레이어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레이어(100)는, 메모리부(115), 제어부(110), 음원부(120), MP3 디코팅 및 엔코딩부(130) 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키신호 입력부(135), 디스플레이부(140), 음원버퍼부(125), 음성변환부(150), 마이크 입력부(145), 출력부(155), 데이터 통신부(1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15)는 복수의 곡에 대한 데이터, MP3 데이터 및 편집된 편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모리부(115)는 낸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와 디램(DRAM)이나 에스디램(SDRAM)등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하드 디스크(HDD)와 같은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 데이터는 다양한 악기의 음에 대한 정보가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미디(MIDI ;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파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MIDI는, 음악 합성기(synthesizer), 디지털 피아노,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적 음악 장비들을 연결하여 서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전자 악기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컴퓨터와 악기를 연결하여 각종 특수 효과나 편집을 하는데 편리하다. 동시에 16개 이상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고 각각의 악기를 통해 동시에 16개 이상의 음을 낼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상기 곡 데이터는 상기 MIDI 파일 뿐 아니라 편집이 가능한 데이터 파일 형태의 모든 음악 관련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P3 데이터는 상기 MP3 디코딩 및 엔코팅부(130)에서 처리되거나, 상기 데이터 통신부(160)를 통하여 입력된 웨이브(wave) 형태의 파일로써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 )에게 잘 알려진 MP3 파일의 형태를 가진다. MP3 데이터는 데이터 파일은 아니나 용어의 통일성을 위해 데이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상기 MP3 데이터는 MIDI파일과 같이 악기별 소리크기나 노트값 자체를 변경하는 등의 편집이 불가능하다
상기 편곡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10)를 통하여 상기 곡 데이터를 편집한 데이터를 말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플레이어(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곡 데이터 편집기능과 박자 연습기능을 가진다.
곡 데이터 편집기능이란, 상기 키 신호 입력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명령 키신호에 응답하여 편집을 원하는 곡 데이터를 선택하고, 편집을 위해 입력되는 외부 편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함에 의해 상기 곡 데이터를 편집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외부 편집신호는 상기 키신호 입력부(135)나 상기 마이크 입력부(145)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박자연습 기능이란, 선택된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 노트값을, 외부 박자신호의 입력시점에 동기시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이를 채점화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으로, 박자연습 및 게임기능도 가능하다. 여기서 채점기능은 곡 데이터의 실제 노트값의 연주시점과 상기 외부박자신호의 입력시점의 차이를 점수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의 곡 데이터 편집기능 및 박자연습기능의 자세한 동작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음원부(120)는 상기 곡 데이터 및 상기 편집데이터의 노트값에 기초하여 이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MP3 데이터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믹싱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샘플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음원부(120)는 각 악기별(또는 채널별)로 소리를 샘플링하고 있다가 해당 노트값(note)이 들어오면 해당음의 높이 및 길이로 변환하여, 실제 소리를 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노트(note)란 음의 장단과 동시에 악보상의 위치 즉음 높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MIDI에서는 보통 음정으로 표시되기도 하며 0 ∼ 127 까지의 음정을 나타낼 수 있고 이는 0 ∼ 10 옥타브의 범위 정도에 해당된다.
MP3 디코딩 및 엔코딩부(130)는 MP3 데이터의 엔코딩 및 디코팅을 위한 것이다. 즉 마이크 입력부(14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위하여 엔코딩하거나 상기 메모리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MP3 파일을 포함하는 MP3 데이터를 외부 출력을 위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것이다. 엔코딩 된 MP3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115)에 저장된다. 그리고, 디코딩된 MP3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10)를 통하여 전송되어, 상기 음원부(120)에서 곡 데이터 또는 편집데이터의 플레이된 출력과 믹싱되어 상기 출력부(155)로 출력되거나, 믹싱됨이 없이 상기 출력부(155)로 출력된다.
상기 키신호 입력부(135)는 상기 외부 명령 키 신호 및 편집 키신호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입력 키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박자연습기능을 위한 외부 박자 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키들이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 명령키 신호를 위한 입력키는,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에 구비되는 플레이(paly) 키, 정지(stop)키, 건너뛰기( >>,<<)키, 기타 필요에 의해 입력키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편집 키 신호를 위한 입력키들은 편집을 위해 필요한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조이스틱 등에서 이용되는 좌우키, 상하키, 입력키(enter)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 박자 신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키 들은 왼손, 오른손 각각 1개 또는 2개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신호 입력부(135)에 구비되는 각각의 기능을 위한 입력키들은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용도에 따라 중복되거나 기능선택된 의해 용도가 변경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입력키들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을 위해 사용되는 좌우키는 외부 명령신호를 위해서는 건너뛰기 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박자연습기능을 위해서는 왼손, 오른손 각각 1개의 압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신호 입력부(135)의 박자연습기능을 위한 입력키들은 입력키들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입김에 대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슬라이더 스위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 각도,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입력장치 일 수 있다 상기 키 신호 입력부(135)가 박자 연습기능에 중점을 두는 경우에 상기 키 신호 입력부(135)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플레이어(100)의 외형을 드럼형이나 트럼펫형으로 구성하고 별도의 박자입력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휴대용 플레이어(100)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편집기능 동작에는 상기 곡 데이터에 대응되는 악보, 음의 높이나 길 이, 및 편집 노트값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곡 데이터의 선택 채널 및 선택악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박자 연습기능 동작시에는 곡 데이터의 실제 노트값의 연주시점과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박자신호의 입력시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버퍼부(125)는, 상기 음원부(120)를 통하여 플레이되는 상기 곡 데이터 또는 편집데이터에 대하여 에코(echo), 리버브(reverb), 딜레이(delay)를 포함하는 음향효과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음성 변환부(150)는 상기 외부 편집신호 중 하나인 음정신호의 생성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마이크 입력부(145)를 통하여 입력되는 유저의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음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음정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실시간으로 인가한다. 상기 마이크 입력부(145)를 통하여 입력되는 유저의 음성신호는 하나 하나의 음을 포함하며, 연속적인 음높이 및 길이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유저의 노래나 흥얼거리는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유저의 노래나 흥얼거리는 소리는 연속적으로 음정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편집대상 곡 데이터의 악보에 연속적으로 노트값을 입력하여 편집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 변환부(150)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유저의 음성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변환, 즉 주파수 변환하여 그 크기에 따른 음높이 및 길이를 갖는 음정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음정신호는 상기 노트값과 명칭만 다를 뿐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입력부(145)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마이크들과 연결될 수 있다. 녹음을 통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음정신호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의 입력 또는 유저가 직접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 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마이크 입력부(145)가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유저의 음성으로 상기 외부박자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155)는 상기 음원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는 데이터(파일)을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60)는 상기 곡 데이터나 MP3 데이터의 업그레이드 또는 데이터의 확장을 위한 것이다. 즉 PC와의 통신 또는 확장팩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60)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상기 제어부(110)에서의 편집기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는 편집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편집기능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편집기능 동작을 위해서 상기 키신호 입력부(135)를 통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곡 데이터의 채널(210)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210)에 할당할 악기(220)를 세팅한다(S10).
선택된 채널과 악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상에서, 채널1(Ch1)을 선택하고 악기로서 피아노를 선택한다. 여기서 편집할 부분(240)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편집 대상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곡 데이터가 여러 가지의 악기를 가지고 여러채널을 가지며, 각 채널에는 할당한 악기와 같은 채널의 세팅값과,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를 가지는 노트값들의 연속적인 연결구조로 이루어짐은 이미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편집 키신호를 통하여 편집하는 경우에 먼저 편집하고자 하는 음표를 원하는 음표로 변경하고, 위 아래로 이동하여 음의 높이를 선택하여 하나의 노트 값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악보상의 한부분(270)을 4분음표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 화면 하단의 음표 선택부(250)상에서 조이스틱이나 상기 키신호 입력부(135)의 좌우 이동키 및 엔터키를 이용하여 4분음표를 선택하고 해당부분(270)에 표시하고, 상하 이동키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상에서 음의높이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원하는 하나의 노트값을 입력할 수 있고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키를 이용하여 음계를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악기의 음이 해당높이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정신호를 이용하여 편집하는 경우에는, 편집을 원하는 부분(270)을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 입력부(145)를 통하여 입력되는 유저의 음성신호가 자동으로 음정신호로 변환되어 해당부분(270)에 노트값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이는 상기 음성변환부(150) 및 상기 제어부(110)의 내부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의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편집 키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악보 및 음의 높이나 길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하고, 상기 음정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음정 신호에 대응되는 노트값을 직접 변경 입력함에 의해 편집기능이 수행된다.
해당부분의 편집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화면 상단의 스크롤키(230)에 의해 좌로 스크롤되고 다시 원하는 부분의 편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편집을 원하는 부분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S20), 편집된 곡(음원데이터)을 플레이(연주)한다(S30). 상기 편집된 편집데이터는 상기 음원부(120)에서 MP3 데이터와 믹싱되어 플레이 되거나 독립적으로 플레이될수 있다. 상기 플레이는 편집된 채널만을 플레이할 수도 있고, 모든 채널에 대하여 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의 선택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좌하단의 선택부분(260)에서 터치스크린이나 키 신호 입력부(135)의 키 입력에 의해 가능하다
이후 편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S40). 편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YES) 편집기능을 끝내거나 다음채널이나 다른 곡을 편집하고, 편집이 잘못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NO)에는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은 편집을 수행하고 이를 플레이하여 판정하는 과정(S20,S30,S40)을 거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상기 제어부(110)에서의 박자연습 기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4는 박자연습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박자연습 기능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자연습동작을 위해서는 먼저 플레이 하고자 하는 곡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해당곡에 대응되는 곡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곡 데이터에 대하여 연주를 하고자 하는 채널(악기)를 선택한다(S31). 선택된 채널이나 악기는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후 모든 세팅이 끝나면 해당 채널에 의한 곡 플레이가 시작되고, 이에 대응하여 유저에 의해서 외부 박자신호가 입력된다(S33). 여기서 유저는 플레이되는 곡의 박자에 맞춰 외부 박자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해당 채널의 악기에 대한 악보는 옵션 설정에 따라 화면상에 스크롤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10)에서는 내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박자신호와 기존 악보상의 노트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 박자 신호와 가장 근접한 부분의 노트값을 서치하고 그 차이를 체크한다(S35).
이후 비교된 값이 오차범위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S37), 해당 노트값과 일정시간 내에 오차를 가지고 입력되는 외부 박자신호가 있으면(YES), 상기 외부 박자신호의 입력 시점에 상기 노트값을 플레이 한다(S39). 그러나 오차 범위내에 입력되는 외부박자신호가 없으면(S38) 에러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11,12,13 시점에 상기 외부 박자신호를 입력했다면, 실제 악보상의 노트값과의 차이는 각각 D1,D2,D3가 된다. 여기서 11,12 시점에 입력되는 외부박자신호는 실제 노트값보다 D1,D2 만큼 빨리 입력되었으므로, D1,D2 만큼 빨리 플레이하고, 13시점에 입력된 외부박자신호는 실제 노트값보다 D3만큼 늦게 입력되었으므로, D3만큼 늦게 플레이한다. 즉 해당 외부 박자신호의 입력시점에 서치된 해당노트값을 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에서는 외부박자신호의 입력시점과 실제 악보상의 노트값의 연주시점과의 차이를 비교한 비교값에 따라 이를 점수화하고, 이를 채점 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박자신호를 시간정보로 바꾸거나 데이터화하여 상기 메모리부(115)에 저장한다(S40). 상기 저장된 외부 박자신호는 원래곡의 노트값과의 차이를 표시하므로 유저의 부족한 부분을 체크하는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MP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플레이어에 곡 데이터의 편집기능과 박자연습기능을 부여하여 장소 및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형태의 음악을 편집하거나 박자연습 및 게임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소나 장치에 구애됨이 없이 유저의 취향에 맞는 곡의 편집 및 편집된 곡의 플레이가 가능하며, 박자 연습 및 게임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MP3 플레이어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휴대용 플레이어에 있어서:
    복수의 곡에 대한 곡 데이터, MP3 데이터 및 편집된 편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휴대용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명령 키신호에 응답하여 편집을 원하는 곡의 곡 데이터를 선택하고, 외부 편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함에 의해 상기 곡 데이터를 편집하는 제어부와;
    상기 곡 데이터 및 상기 편집데이터의 노트값에 기초하여 이를 출력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MP3 데이터 또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와 믹싱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원부와;
    MP3 데이터의 엔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MP3 디코딩 및 엔코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명령 키신호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입력 키들이 구비된 키 신호 입력부와;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편집시에는 상기 곡 데이터에 대응되는 악보, 음의 높이나 길이, 편집 노트값, 상기 곡 데이터의 선택 채널 및 선택악 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부를 통하여 플레이되는 상기 곡 데이터 또는 편집데이터에 대하여 에코, 리버브, 딜레이를 포함하는 음향효과처리를 수행하는 음원버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편집신호는, 상기 키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편집 키신호 및/또는 마이크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음성신호가 변환된 음정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그 크기에 따른 음높이 및 길이를 갖는 음정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키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악보 및 음의 높이나 길이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곡 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로 대응되는 노트값을 변경 입력하고, 상기 음정신호 입력시에는 상기 음정신호에 대응되는 노트값을 직접 변경 입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음원데이터의 채널별 또는/및 악기별 노트값을, 외부 박자신호의 입력시점에 동기시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박자연습 기능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노트값의 연주시점과 상기 외부박자신호의 입력시점의 차이를 점수화하는 채점기능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박자신호는 압력센서나 입김에 대응하는 슬라이더 스위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 또는 각도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별도의 박자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상기 키신호 입력부에 의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 데이터나 MP3 데이터의 업그레이드 또는 데이터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 통신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플레이어.
KR1020060095578A 2006-09-29 2006-09-29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KR10084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78A KR100841047B1 (ko) 2006-09-29 2006-09-29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578A KR100841047B1 (ko) 2006-09-29 2006-09-29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731U Division KR200435595Y1 (ko) 2006-09-29 2006-09-29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978A true KR20060129978A (ko) 2006-12-18
KR100841047B1 KR100841047B1 (ko) 2008-06-26

Family

ID=3781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578A KR100841047B1 (ko) 2006-09-29 2006-09-29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86A1 (ko) * 2011-12-06 2013-06-13 Kim Jeong Ho 오선화면 및 음악기호자판을 이용하여 음과 리듬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32B1 (ko) * 2009-05-19 2011-09-07 주식회사 게임빌 리듬게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590B2 (ja) * 1999-05-26 2008-11-19 ヤマハ株式会社 携帯カラオケシステム
JP3859200B2 (ja) 2001-06-15 2006-12-20 ヤマハ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ミキシング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40090183A (ko) * 2003-04-16 2004-10-22 주식회사 한솔마이크로시스템 엠피쓰리 파일을 이용한 노래 연습 기능 제공 장치 및 그방법
KR20050117776A (ko) * 2004-06-11 200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서의 음악 및 보이스 믹싱 기록장치및 방법
KR100675437B1 (ko) * 2004-09-16 2007-01-29 주삼영 Mp3 및 노래방기기용 중앙처리장치
KR20060080166A (ko) * 2006-06-19 2006-07-07 정해평 동시 녹음 기능을 가진 mp3플레이어와 이를 이용한 동시녹음 및 재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86A1 (ko) * 2011-12-06 2013-06-13 Kim Jeong Ho 오선화면 및 음악기호자판을 이용하여 음과 리듬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047B1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296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JP6645956B2 (ja) 携帯用音声合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495947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JP5318095B2 (ja) 電子装置を用いて複数のソングを自動的にビートミックス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618404B2 (en) File creation process, file format and file playback apparatus enabling advanced audio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US9892720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20120014673A1 (en) Video and audio content system
US10741155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WO2015053278A1 (ja) 複数セットの波形データを切り替えて波形再生を行う技術
KR100841047B1 (ko)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JP2005331806A (ja) 演奏練習装置および演奏練習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11388B2 (ja) カラオケ装置
KR200435595Y1 (ko) 곡 데이터 편집 기능 및 mp3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플레이어
JP5109426B2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JP4858174B2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Nahmani Logic Pro-Apple Pro Training Series: Professional Music Production
JP4429244B2 (ja) カラオケ装置
JP4407559B2 (ja) カラオケ装置
JP6057079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用プログラム
KR101243199B1 (ko) 노래 반주 장치에서 악보 표시 방법
JP2008170532A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JP2015191086A (ja) 演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06209A (ko) 변주 가능한 뮤직레코드 및 플레이어와 그 방법
JP2011197579A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