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675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675A
KR20060129675A KR1020050050278A KR20050050278A KR20060129675A KR 20060129675 A KR20060129675 A KR 20060129675A KR 1020050050278 A KR1020050050278 A KR 1020050050278A KR 20050050278 A KR20050050278 A KR 20050050278A KR 20060129675 A KR20060129675 A KR 2006012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body case
main body
suction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9675A/ko
Priority to EP06768830A priority patent/EP1891379A2/en
Priority to US11/450,414 priority patent/US20060278085A1/en
Priority to PCT/KR2006/002232 priority patent/WO2006135172A2/en
Priority to CN200610092666XA priority patent/CN1880859B/zh
Publication of KR2006012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의 전면과 하면 하단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100)의 하단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의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 상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조립체(130)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조립체(130)의 상측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6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20)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일측면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는 상기 전면패널(110) 및 후면패널(120)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된 틈새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관이 수려해지며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습기, 본체케이스, 하단부, 전면패널, 후면패널, 이격, 틈새

Description

제습기 { A dehumidifier }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패널이 개방되어 물통과 필터조립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개략적인 공기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케이스 110. ..... 전면패널
112. ..... 전면흡입구 114. ..... 표시창
120. ..... 후면패널 122. ..... 후면흡입구
130. ..... 필터조립체 132. ..... 필터
134. ..... 필터케이스 136. ..... 필터가이드
140. ..... 물통받침대 152. ..... 조작버튼
154. ..... 제습기손잡이 154'. ..... 제습기손잡이홈
156. ..... 토출구 158. ..... 토출루버
160. ..... 컨트롤박스 170. ..... 열교환기
180. ..... 재생커버 200. ..... 흡착어셈블리
220. ..... 흡착제 240. ..... 흡착로터
260. ..... 흡착로터하우징 262. ..... 흡착로터커버
264. ..... 로터회전축 266. ..... 로터회전축지지대
272. ..... 재생유로 274. ..... 순환유로
280. ..... 흡착모터 282. ..... 로터기어
300. ..... 흡입어셈블리 320. ..... 흡입팬
340. ..... 흡입팬하우징 342. ..... 회전축
344. ..... 회전축지지대 350. ..... 흡입모터
360. ..... 모터마운트 380. ..... 토출유로
400. ..... 재생어셈블리 420. ..... 재생팬
440. ..... 재생팬하우징 460. ..... 재생모터
480. ..... 히터 482. ..... 히터케이스
500. ..... 드레인팬 520. ..... 드레인홈
600. ..... 물통 620. ..... 물통커버결합돌기
640. ..... 물통커버 642. ..... 물통커버결합구
644. ..... 물통손잡이 646. ..... 물통유입구
648. ..... 유입구커버 660. ..... 플로트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케이스 내부의 흡입구 상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조립체와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除濕機)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濕度)를 낮추는 장치이다.
즉,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후면에 필터(4)가 장착된 캐비넷(1)과, 상기 캐비넷(1)에 장착된 상기 필터(4)의 전방에 위치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열교환기(20)의 전방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 시키는 팬어셈블리(10)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모으는 물통(30)과,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토출구(3a)가 형성된 전면패널(3)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에서는 상기 전면패널(3)에 토출구(3a)가 형성되어 전면 외관이 좋지 못하며, 사용자가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통(30)의 출입구가 케비넷(1)의 후면에 형성되어 물통(30)의 탈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20)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완전하게 제습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다시 실내 공간으로 바로 배출됨으로써 제습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관이 좋고, 물통의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습효율이 향상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의 상기 흡입구 상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 키는 필터조립체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는 제습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제습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된 틈새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출입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이 수려해지며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除濕機)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패널이 개방되어 물통과 필터조립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전방과 후방이 개구된 형상의 본체케이스(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면 및 하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각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방과 후방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20)이 구비됨으로써 제습기의 전체 외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면패널(110)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좌측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10)의 좌측단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좌측면 선단부와 상하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전면패널(110)이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제습기의 전방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이렇게 상기 전면패널(110)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와 힌지로 결합되어 측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전면패널(110)의 하단부와 본체케이스(100)의 하단부 사이에는 이격된 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격된 틈새에 의해 실내공기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전면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흡입구(112)와 대응되는 상기 후면패널(120)과 본체케이스(100)의 하반부에는 후면흡입구(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후면패널(120)도 상기 전면패널(1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일측면 선단부와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이러한 후면패널(120)의 하단부와 본체케이스(100)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된 틈새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안내하는 후면흡입구(12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내부 상측에는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조립체(13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됨으로써 본체케이스(1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조립체(130)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가로폭 및 세로폭과 대응되는 가로폭 및 세로폭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패널(110) 또는 후면패널(120)을 개방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30)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주는 필터(132)와, 상기 필터(132)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케이스(134)와, 상기 필터케이스(134)가 안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필터가이드(136)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10) 또는 후면패널(120)을 개방하여 상기 필터가이드(136)의 전단부를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넣게 됨으로써 상기 필터조립체(13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132)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 취필터, 그리고 전기적 작용으로 먼지를 모으는 집진필터 및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단일체나 이들을 여러 개로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결합체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필터조립체(130)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600)이 구비된다. 상기 물통(600)은 그 하부에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는 물통받침대(140)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물통(600)도 상기 필터조립체(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패널(110) 또는 후면패널(120)을 개방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110)의 전면 상반부에는 제습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창(114)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창(114)은 투명하게 형성되며, 실내공간의 현재 습도와 제습기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기능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창(114)의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제습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152)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152)의 후방에는 제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습기손잡이(154)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기손잡이(15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양측 단부에 스프링(Spring)과 터치수단 등이 구비되어 한번의 누름동작으로써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입되는 원터치(One-touch) 타입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습기손잡이(154)의 하방에는 제습기손잡이(154)가 수용되는 제습기손잡이홈(154')이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손잡이(154)의 후방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를 거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공기가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156)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실내공기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과 후방의 하부로 흡입되어 본체케이스(100) 내부에서 제습이 이루어져 본체케이스(100)의 상방으로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토출구(156)의 하방에는 토출구(156)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루버(158)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루버(158)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동수단에 의해 상기 토출구(156)에서 후단을 축으로 하여(도 2 에서) 상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습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토출루버(158)가 상기 토출구(156) 내부(하방)로 회동되어 토출구(156)를 차폐하게 되고, 제습기가 작동될 때에는 상기 토출루버(158)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토출구(156)가 개방됨으로써 토출구(156)로 토출되는 제습된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조작버튼(152) 등이 구비되는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 하부에는 조작버튼(152)의 조작으로 제습기가 작동되도록 컨트롤하 는 컨트롤박스(16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6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습기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60)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170)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크기가 다른 2개가 구비되어 겹으로 설치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재생어셈블리(40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접촉됨으로써 더 많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내부통로가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70)의 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케이스(482)와 대응되는 재생커버(180)가 구비된다. 상기 재생커버(180)는 아래에서 설명할 재생어셈블리(400)에 의해 순환되는 실내공기가 다시 열교환기(170)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재생커버(180)의 후방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회전하면서 흡착하는 흡착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어셈블리(200)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220)와, 상기 흡착제(220)를 수용하며 회전하는 흡착로터(240)와, 상기 흡착로터(240)가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흡착로터하우징(260)과, 상기 흡착로터(240)가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흡착모터(28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제(220)는 종이재질로 구성되며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벌집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2겹의 종이를 허니컴(Honey-com) 형태로 말아서 접합함으로써 여러 개의 통공을 형성되게 하고, 이렇게 접합된 종이에 흡착성분의 용액을 함침시킴으로써 상기 흡착제(220)가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실내공기가 상기 흡착제(220)의 통공을 통과할 때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흡착제(220)에 흡착됨으로써 공기를 제습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제(22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회전하는 흡착로터(240)에 장착된다. 상기 흡착로터(240)는 원형의 틀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로터(240)의 외측에는 상기 흡착모터(280)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로터기어(282)가 구비되며, 상기 로터기어(282)의 외주면도 상기 흡착로터(24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기어(282)는 상기 흡착로터(240)와 결합되어 상기 흡착모터(280)의 회전동력으로 천천히(예컨대 분당 1회전으로) 회전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게 된다.
상기 흡착로터(240)는 흡착로터하우징(260)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상기 흡착로터하우징(260)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가 관통되어 상기 흡착로터(2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의 테두리가 돌출되는 흡착로터커버(262)가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로터커버(262)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착로터(2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로터회전축(264)이 형성되고, 이러한 로터회전축(264)은 상기 흡착로터커버(262)의 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로터회전축지지대(266)와 결합됨으로써 지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흡착로터하우징(260)의 우측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재생유로(272)에 대응하여 상기 열교환기(170)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재생팬(42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27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흡착로터(240)가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흡착모터(280)가 로터기어(282)와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흡착어셈블리(200)의 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재생어셈블리(400)의 일구성품으로 상기 흡착제(220)를 건조시키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히터(48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480)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방이 관통되는 히터케이스(482)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케이스(482)는 상기 로터회전축지지대(26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로터커버(262)의 상단에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재생유로(272)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흡착제(220)의 일부분을 계속해서 건조시키게 되는 재생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히터(480)의 후방에는 실내공기를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하도록 강제하는 흡입어셈블리(300)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어셈블리(300)는 실내공기가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도록 회전하는 흡입팬(320)과, 상기 흡입팬(320)을 수용 하며 지지하는 흡입팬하우징(340)과, 상기 흡입팬(320)이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흡입모터(3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팬하우징(340)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가 원형으로 관통됨으로써 상기 흡입팬(320)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유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하우징(340)의 상단에는 상기 흡입팬(320)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하는 토출유로(38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팬하우징(340)의 관통 형성된 내부에는 상기 흡입팬(320)이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중심이 되는 회전축(342)을 수용하는 회전축지지대(344)가 성형되고, 상기 회전축(342)의 외측으로는 상기 흡입팬(320)이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흡입모터(350)가 모터마운트(36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지지대(344)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흡입어셈블리(300)의 상단 전방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된 실내공기의 일부를 상기 본체케이스(100)내부에서 순환시키도록 강제하는 재생어셈블리(400)가 구비된다.
상기 재생어셈블리(400)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일부가 본체케이스(100)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회전하는 재생팬(420)과, 상기 재생팬(420)을 수용하며 지지하는 재생팬하우징(440)과, 상기 재생팬(420)이 회전하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재생모터(460)와 상기 흡착제(220)를 건조시키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상기 히터(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재생팬하우징(440)은 상기 재생팬(420)이 그 내부에 장착되도록 원형으 로 형성되며, 상기 재생팬(420)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흡착로터커버(262)의 상단에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재생유로(272)로 안내하도록 재생유로(272)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재생팬하우징(440)은 상기 재생팬(42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히터(480)와 재생유로(272)로 안내하여 그에 대응하며 회전하는 상기 흡착제(220)의 일부분을 계속 건조시키게 하고, 상기 재생유로(272)에 대응하는 부분의 흡착제(220)를 제외한 나머지 흡착제(220)로는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계속해서 흡착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재생유로(272)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320)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흡착제(220)에서 흡착되어 상기 토출구(15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유로(272)에 대응되는 부분의 흡착제(220)는 상기 재생팬(42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480)를 지나면서 변환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계속해서 건조되며, 상기 흡착제(220)를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0)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70)의 하방에는 열교환기(170)에서 응축되는 수분을 모아 상기 물통(600)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팬(500)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500)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좌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70)에서 응축되는 수분을 상기 물통(600)으로 유도하는 드레인홈(520)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500)의 하방에는 상기 열교환기(170)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600)이 구비된다. 상기 물통(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물통받침대(140)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물통(600)은 대략 상방이 개구된 형상의 사각통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상방에는 물통(600)의 상면을 커버하는 물통커버(640)가 구비되며, 양측면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물통커버결합구(642)에 대응되는 물통커버결합돌기(620)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통커버(64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물통(6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물통손잡이(644)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손잡이(644)의 좌측에는 상기 드레인홈(520)의 하면과 연통되어 수분이 상기 물통(60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물통유입구(6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유입구(646)의 상면에는 상기 물통(600)의 출입시 물통(60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입구커버(648)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커버(640)의 양측단에는 상기 물통커버결합돌기(620)와 결합되는 물통커버결합구(642)가 2개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통(600)의 내부에는 물통(600)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모여 수위가 변하게 되면 그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만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Float,660)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트(66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지센서 등과 연결되어 상기 물통(600)의 물이 만수가 되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어셈블리(300)의 후방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습기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20)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패널(120)은 상기 전면패널(110)과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습기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면 전단부에 구비되는 조작버튼(152)을 조작하게 되면 본체케이스(100)의 상면 후단부에 형성되는 토출구(156)에서 상기 토출루버(158)가 노출되면서 상기 흡입어셈블리(300)의 흡입팬(320)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110) 및 후면페널(120)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하단부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 형성되는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를 통해 습한 실내공기가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어 본체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70), 흡착어셈블리(200), 흡입어셈블리(300) 등을 거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제습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56)를 통해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개략적인 공기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100) 내부의 공기흐름을 상세히 살펴보기 로 한다.
먼저 큰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가 상기 흡입팬(320)의 회전력으로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를 통해 본체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면, 상기 필터조립체(130)를 거치면서 공기 중의 이물이 제거되고 상기 열교환기(170)를 경유하여 상기 흡착어셈블리(20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흡착어셈블리(200)를 통과하는 습한 실내공기는 상기 흡착제(220)의 통공을 거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어 제습되고, 이렇게 제습된 공기는 상기 흡입어셈블리(300)를 경유하여 상기 흡입팬(320)의 회전력으로 상기 토출구(156)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작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어셈블리(200)의 흡착제(220)를 계속적으로 건조시키는 재생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재생팬(420)의 회전으로 강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재생팬하우징(440)을 경유하여 히터(48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히터(480)를 통과하면서 따뜻한 공기로 변환되어 회전하는 상기 흡착제(220)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제(220)를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0)로 이동되어 열교환기(170) 내부를 순환하게 됨으로써 상기 전면흡입구(112) 및 후면흡입구(122)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어 수분이 응축된다.
이렇게 상기 열교환기(170)에서 응축되는 수분은 상기 드레인팬(500)으로 안내되어 상기 물통(600)에 저장되고, 상기 열교환기(17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재 생팬(420)에 의해 다시 흡착로터하우징(260)의 순환유로(274)를 경유하여 상기 재생유로(272)로 안내되는 내부 순환을 계속 반복하게 됨으로써 상기 흡착제(220)를 건조시키는 재생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습기의 작동으로 상기 물통(600)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110) 또는 후면패널(120)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물통받침대(140)를 간단하게 인출하여 물통(600)의 물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필터조립체(130)의 필터(132)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전면패널(110) 또는 후면패널(120)을 개방하여 필터가이드(136)를 파지하여 간단하게 인출함으로써 필터(132)를 교환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에서는, 본체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하단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케이스 내부의 흡입구 상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조립체와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습기의 외관이 수려해지며 전면부와 후면부의 구분이 없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터의 교환과 물통에 저장되는 물의 제거를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 널만 개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습기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어셈블리와 흡착제를 계속적으로 건조시키는 재생어셈블리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제습기에 비해 제습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결국, 제습기의 디자인이 수려해지고 사용편의성과 제습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로 인해 소비자의 제습기 구매도가 상승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의 상기 흡입구 상측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조립체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패널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는 제습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표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제습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된 틈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출입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050050278A 2005-06-13 2005-06-13 제습기 KR20060129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78A KR20060129675A (ko) 2005-06-13 2005-06-13 제습기
EP06768830A EP1891379A2 (en) 2005-06-13 2006-06-12 Dehumidifier
US11/450,414 US20060278085A1 (en) 2005-06-13 2006-06-12 Dehumidifier
PCT/KR2006/002232 WO2006135172A2 (en) 2005-06-13 2006-06-12 Dehumidifier
CN200610092666XA CN1880859B (zh) 2005-06-13 2006-06-13 除湿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78A KR20060129675A (ko) 2005-06-13 2005-06-13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675A true KR20060129675A (ko) 2006-12-18

Family

ID=3781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278A KR20060129675A (ko) 2005-06-13 2005-06-13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96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579B1 (ko) 제습기
KR101174529B1 (ko) 제습기
KR20060131112A (ko) 제습기
KR20060129677A (ko) 제습기
US7856840B2 (en) Dehumidifier
US20070062370A1 (en) Dehumidifier
US20060278085A1 (en) Dehumidifier
US20060278084A1 (en) Dehumidifier
KR20090116301A (ko) 제습기
KR20060129678A (ko) 제습기
KR101153691B1 (ko) 제습기
KR20060129672A (ko) 제습기
KR101158581B1 (ko) 제습기
KR101158578B1 (ko) 제습기
KR20060129675A (ko) 제습기
CN100572964C (zh) 除湿机
KR20060131113A (ko) 제습기
KR20060129673A (ko) 제습기
KR102222574B1 (ko) 제습기
KR20060131115A (ko) 제습기
KR20060133206A (ko) 제습기
KR20130029691A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H11333241A (ja) 除湿機
JP2009154092A (ja) 吸着再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30029688A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