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002A - 계층적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에서의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계층적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에서의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002A
KR20060129002A KR1020067015911A KR20067015911A KR20060129002A KR 20060129002 A KR20060129002 A KR 20060129002A KR 1020067015911 A KR1020067015911 A KR 1020067015911A KR 20067015911 A KR20067015911 A KR 20067015911A KR 20060129002 A KR20060129002 A KR 2006012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node
networks
list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936B1 (ko
Inventor
애드리언 버클리
앤드류 앨런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노드가 통신하려고 시도해야 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을 개시한다. 복수의 리스트가 이동 노드에 구현된 저장 엔티티에 유지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이동 노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그 리스트들은 순서대로 액세스되고, 그 리스트 내에 포함된 엔트리는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가진 네트워크와 비교된다. 가능하다면,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네트워크로서, 아이덴티티가 첫번째 액세스된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유효하도록 시도된다.

Description

계층적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이동 노드에서의 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BY A MOBILE NODE OF A NETWORK THROUGH WHICH TO COMMUNICATE USING A HIERARCHICAL SELECTION PROCESS}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이동 노드에서의 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Network)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계층적인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가용 WLAN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리스트가 작성되어 이동 노드에 유지된다. 각각의 리스트는 이동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엔트리를 선택 가능하게 포함한다. 리스트는 그 이동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을 우선순위화한 계층적인 네트워크의 선취권을 정의한다. 복수개의 리스트를 이용하면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성이 향상된다. 개별 리스트 상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트리는 개별적인 선택 기준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이동 노드에 의해 통신이 유효해지는 경우,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는 리스트에 순서대로 액세스함으로써 결정된다. 맨처음 액세스된 리스트상에 있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유효할 수 있다 면, 후속 리스트에는 액세스될 필요가 없다. 그에 따라, 리스트는 계층적 선택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네트워크의 계층을 정의한다.
통신하기 위하여 통해야 하는 최신식의 통신 시스템의 이용은 현대 사회의 필수 양상이다.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정식으로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어 다양한 형태의 통신 서비스가 달성된다.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필수 서비스가 통신 시스템의 준비된 가용성 및 준비된 액세스에 바탕된다.
통신 기술이 계속해서 진보함에 따라, 기존의 통신 서비스에 대한 개선과 함께 부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기술의 진보는 통신 서비스를 유효하게 하도록 전달된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을,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또는 높은 데이터 통신 레이트로, 또는 불리한 통신 상태에도 불구하고 수신국으로의 성공적인 데이터 전달을 위해 더 양호하게 제공하는 방법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통신 기술에 있어서 기술 진보의 결과로 디지털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최신식 통신 시스템은 디지털 통신 기술을 이용한다. 디지털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다양한 이점이 있다.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데이터의 용장성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되어, 보다 유효한 형태로, 용장성 없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율이 높아지고, 데이터를 통신하는데 필요한 대역폭 요건이 낮아지게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의 일례이다. 디지털 통신 기술은 정식으로 다수의 최신식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된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이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다양한 동작 표준 중 임의의 표준에 준거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구축되면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이격된 기지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를 구비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포함한다. 기지 송수신국 각각은 셀을 정의하며,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통신국은 일반적으로, 통신이 유효한 경우에, 그 휴대용 통신국이 위치하는 셀에 있는 기지 송수신기국과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유사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구현되고 있으며, 예컨대 사무실 또는 건물 구조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과 같은 제한된 영역을 포함하기 위한 다른 형태들이 제안되고 있다. 소위 마이크로 셀룰러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및 WLAN(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동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다양한 태양으로 동작 가능한 대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부가 설명하면, 애드훅(ad hoc)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즉 고정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도 이용 가능하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부 태양에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종래의 근거리 네트워크의 기술적 연장이다. 즉, 통상의 근거리 네트워크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양쪽은 패킷 형식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이동 노드는 근거리 네트워크의 고정 노드와 유사하며, 때때로 기능적으로 동등하다.
전술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선택된 통신 표준의 동작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공포된 다양 한 동작 표준이 대폭 채택되고 있으며, 많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IEEE 802.11(b) 동작 사양 및 그것의 변형에 준거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구축된다. IEEE 802.11(b) 표준은 IEEE에서 공포하였으며, 그 동작 사양은 상업용 2.4 ㎓ 무선 LAN(근거리 네트워크) 주파수 범위와 함께 5 ㎓ 주파수 범위의 미규제 대역에 관한 유력한 무선 LAN 표준이 되고 있다. 802.11(b) 표준은 그 중에서도 무선 클라이언트, 예컨대 이동 노드와, 기지국이나 액세스 포인트 간의 대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명시한다.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구현되는 일부 다른 통신 시스템과 달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비교적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긴급 배치 및 재배치가 가능하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그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검출하기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선택 주파수를 모니터링하도록 통상 구성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장치는 그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장치가 부분을 형성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이동 노드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동보한다.
이동 노드가 특정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그 이동 노드는 복수의 WLA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용 WLAN들 중 소정의 WLAN 또는 소정의 WLAN들을 통한 통신을 시도할 수 있는 선취권이 있다. WLAN은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의해 식별된다. SSID이 특정 WLAN마다 고유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단일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복수의 WLAN도 때때로 단일 SSID에 의해 식별된 다. 단일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서로 다른 WLAN들은 많이 떨어진 지점들에 위치할 수 있다. SSID에 의해 식별되는 WLAN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노드의 상대적인 선취권은 통신이 유효한 경우, 그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지점에 종속될 것이다. 이동 노드가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예컨대 SSID에 의해 식별되는 WLAN은 제1 선취 레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이동 노드가 다른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동일한 SSID에 의해 식별된 WLAN은 다른 선취 레벨을 가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SSDI에 의해 식별된 WLAN을 선취권의 순서대로 식별하는 단일 리스트는 이동 노드가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네트워크를 식별함에 있어서 불충분한 방법이다.
부가해서, 선취권은 연장 시간 동안 반드시 정적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양호한 로밍 협정을, 그리고 일부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다른 양호한 로밍 협정을 맺을 것이다. 선취권의 정적 리스트 역시 선취권의 우선순위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에서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개선은 이동 노드의 WLAN 네트워크 선택에 관한 배경 정보에서 발상된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노드에서의 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통해, 계층적인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가용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계층적 선택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동 노드가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계층적 선택 프로세스는, 이동 노드가 통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는 엔트리들을 각각 선택 가능하게 포함하는 복수의 리스트를 이용한다.
서로 다른 리스트 상에 포함된 엔트리는 이동 노드가 통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을 식별하는 식별자들을 순서대로 식별한다. 이동 노드에 의해 통신이 유효하게 되는 경우에, 통신이 유효하게 될 때에 그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지점에서의 WLAN의 가용성이 결정된다. 그 가용 네트워크는 제1 리스트 상에서 식별된 네트워크와 비교된다. 일치하면, 이동 노드는 관련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시도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즉 이동 노드가 제1 리스트에 있는 가용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없다면, 제2 리스트에 액세스되어 다시 비교 동작이 행해진다. 이 프로세스는 통신이 유효해질 때까지 또는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복수개의 리스트의 연속 리스트로 계속된다.
서로 다른 리스트 상의 엔트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적절한 리스트의 순서 매김을 통해, 선택 프로세스의 선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이동 노드는 홈 네트워크와 관련된다. 예컨대, 이동 노드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그리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한 멀티모드 장치이다. 그리고, 이동 노드가 관련되는 홈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하나 이상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선택 가능하게 추가로 운용한다. 또한, 그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의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경우, 그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운용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그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운용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노드가 통신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또한, 부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그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운용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동작 가능한 동일한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다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이동 노드에 대하여 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덜 바람직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노드가 그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동 노드는 먼저 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려고 시도한다. 그리고, 이 양호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유효할 수 없다면, 덜 양호한 네트워크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시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상이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된다. 그리고, 상이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간에는 제휴 관계(affiliation)가 유지된다. 또한, 이동 노드는,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의해 둘러싸이지는 않지만,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의 제휴 관계를 유지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위치 가능하다. 그러한 제휴 관계를 유지하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은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의 제휴 관계가 유지되지 않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다. 그렇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의 제휴 관계를 유지하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를 갖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먼저 시도된다. 다른 네트워크는 제휴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네트워크와의 통신 유효화 실패 시에만 통신이 유효화되는 덜 바람직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선택 리스트를 유지한다. 이동 노드와 홈 네트워크 운용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사이에서, 또는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의 제휴 관계를 유지하는 네트워크와 이동 노드 사이에서 통신이 유효할 수 없다면, 사용자가 양호한 네트워크라고 알고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작업(effort)이 행해진다.
이동 노드에서의,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커버러지 영역을 갖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대한 결정은 그 네트워크가 동보한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값을 포함한다. 그 값은 이동 노드에 의해 검출되면 신호로부터 추출되고, 그 값은 개별 리스트 상에 포함된 저장 값과 비교된다. 제1 리스트는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그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그외 다른 네트워크들을 식별한다. 제2 리스트는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유효할 수 없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게 바람직한, 통신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네트워크, 즉 양호한 네트워크들을 식별한다. 제3 리스트는 로밍하는 네트워크 및 다른 것, 즉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다른 파트너를 식별한다. 그리고, 제4 리스트는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네트워크들을 식별한다.
이동 노드에 의해 통신이 유효해지는 경우에, 관련 리스트에서 식별된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네트워크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리스트들이 순서대로 액세스된다.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 노드는 일치하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시도한다. 그렇지 않다면, 후속 리스트가 액세스되고, 네트워크가 액세스되어 통신이 유효해질 때까지 그 절차가 반복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태양 및 다른 태양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장치 및 관련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한 그룹의 네트워크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 내에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이동 노드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려는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의 선택이 용이해진다. 제1 저장 엔티티는 이동 노드에서 구현된다. 제1 저장 엔티티는 네트워크 그룹의 제1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1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한다. 적어도 제2 저장 엔티티는 이동 노드에서 구현된다. 적어도 제2 저장 엔티티는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2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적어도 제2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한다. 가용 네트워크 리스트 작성기는 이동 노드에서 구현된다. 가용 네트워크 리스트 작성기는 네트워크 그룹의 어떤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를 식별하는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를 작성한다. 선택기는 제1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제1 엔트리 리스트의 지표를 수신하고, 적어도 제2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제2 엔트리 리스트의 지표를 수신하며, 가용 엔트리 리스트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는 데이터를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가 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선택기는 제1 리스트와 가용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첫번째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후에 선택기는 필요하다면 제2 리스트와 가용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첫번째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벽한 이해와 그에 대한 기술 사상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본 발명의 현재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자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청구범위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노드가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 노드에서 작성되어 유지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따라 이용되는 리스트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프로세스, 부분적인 메시지 시퀀스, 도해, 및 그 시스템 내에서 동작 가능한 이동 노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의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방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시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은 이동 노드(12)를 대표로 하는 이동 노드들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동 노드는 상이한 시간에 그리고 상이한 지점에서 이동 가능하고 배치 가능하다. 예시적인 구현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파트의 부분뿐만 아니라 이동 노드는 일반적으로 IEEE 802.11(b) 동작 사양으로 공포된 동작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대개 동작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네트워크 파트의 이동 노드 및 부분들이 다른 구현예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을 기술하지만, 통신 시스템은 다른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예컨대 통신 시스템은 IEEE 802.11(a) 또는 (g) 표준에 따라, 그리고 다른 통신 표준에 따라 동작 가능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면에서 복수의 네트워크(14)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는 네트워크 파트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4)는 이동 노드(12)가 정의하는 네트워크의 지정에 대하여 정의된다. 네트워크는 다른 이동 노드에 의해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고, 도면에 나타내는 네트워크(14)의 지정은 그러한 다른 이동 노드에 의해 정의된 방식으로 지정된다면 그에 따라 변경된다. 그리고,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상호관계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동 노드(12)는 그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14-1)를 구성하는 특정 네트워크와 관련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는, 이동 노드가 셀룰러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도 동작 가능한 멀티모드 장치이다. 그에 따라 이 예시적인 구현에서는 홈 네트워크(14-1)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정의한다. 또한 네트워크 오퍼레이 터는 네트워크(14-2), 즉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동작시킨다. 동일한 식별자가 네트워크(14-1, 14-2)의 양쪽 모두를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도면에는 3개의 방문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 14-3, 14-4, 14-5가 도시되어 있다. 네트워크(14-3, 14-4, 14-5)는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이다. 홈 네트워크(14-1)의 오퍼레이터는 네트워크(14-3, 14-4)의 오퍼레이터와, 선분(16)이 나타내는 관계를 유지한다. 네트워크(14-3, 14-4)와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의 관계 때문에, 네트워크(14-3, 14-4)는 홈 네트워크에 대하여 양호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즉, 이동 노드(12)가 로밍 중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와 또는 그 홈네트워크와 관련된 네트워크(14-2)와 통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첫번째 통신 선택은 양호한 네트워크(14-3, 14-4)의 하나와의 통신이다. 대응하는 관계가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 네트워크(14-5)의 오퍼레이터 사이에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14-5)는 양호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선분(18)이 나타내는 관계는 네트워크(14-3, 14-4)에 의해 네트워크(14-6), 즉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선분(20)이 나타내는 관계는 네트워크(14-5)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네트워크(14-2, 14-7)와 유지된다. 또한 네트워크(14-7)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이다. 제8 네트워크(14-8)도 표시되어 있다. 네트워크(14-8) 역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이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14-8)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유지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네트워크 부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는 적어도 2개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에 의해 둘러싸인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 다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간의 제휴 관계 및 다른 기준에 따라,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중 하나와의 통신 유효화는 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다른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취권은 지점에 종속된다. 이동 노드가 제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통신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선택의 순서는 그 이동 노드가 제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의 선택 순서와 달라야 한다. 더욱이, 선택의 순서는 정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간의 제휴 관계가 변하는 것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통신을 시도하기 위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를 선택의 순서대로 식별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단일 리스트 또는 무변경 리스트는 이동 노드가 통신을 유효화하도록 시도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선택 순서를 식별하는데 있어서 매우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노드가 통신을 유효화하려고 시도해야 하는 네트워크를 더 잘 식별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복수개의 리스트가 작성되어 이동 노드에 저장된다. 그 리스트는 이동 노드가 통신을 유효화하려고 시도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액세스된다.
이동 노드(12)는 도면에서 수신부(28)와 송신부(3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는 무선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노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34)를 포함한다. 장치(34)는 이동 노드와 통신이 유효화되는 경우에, 이동 노드에 의해 그 이동 노드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려고 동작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장치가 복수의 저장 엔티티(38)를 형성하는 저장 요소(36)를 포함한다. 각각의 저장 엔티티, 즉 본 명세서에서는 저장 엔티티(38-1, 38-2, 38-3, 38-4)는 선택된 수의 엔트리로 구성된 리스트(40)를 저장한다. 리스트, 즉 본 명세서에서는 스트링(40-1, 40-2, 40-3, 40-4)과 그 리스트를 구성하는 엔트리는 이동 노드의 구성 시에 저장 요소에 저장되거나, 또는 적합할 때에 이동 노드로 다운로드된다. 선분(42)은 수신부(28)와, 저장 유닛으로의 정보의 다운로드를 허용하는 저장 유닛 사이의 접속을 나타낸다. 장치는 선택기(46)를 더 포함한다. 선택기는 이동 노드에 의해 통신이 유효화되는 경우에 그 이동 노드가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저장 엔트리와 그 개별 엔트리에 형성된 리스트에 액세스한다.
또한, 이동 노드의 동작 중에, 그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에 대한 결정이 본 명세서에서는 결정기(48)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결정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신호를 식별하는 SSID를 동보하는 채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가용 네트워크 리스트(52)는 가용 네트워크, 즉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네트워크를 목록화한 것이며, 결정기에 의해 유지된다.
이동 노드에 의해 통신이 유효하게 되는 경우에, 선택기는 그 리스트에 유지된 가용 네트워크의 지표를 취득하여 그 네트워크와 제1 리스트(40-1) 상에 있는 네트워크를 비교한다. 일치하면, 선택기는 그 네트워크 또는 그 네트워크들을 선택하고, 그 네트워크 또는 그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이 순서대로 시도된다. 일치하지 않으면, 즉 선택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과의 통신 링크가 형성될 수 없으면, 선택기는 제2 리스트(40-2)에 액세스하고, 동일한 비교가 행해진 다음, 일치하면, 그 선택된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유효하도록 시도된다. 필요하다면, 남아있는 리스트에 동일한 방법으로 순서대로 액세스된다.
예시적인 구현에 있어서, 리스트(40-1)는 이동 노드에 대해 홈 네트워크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하나 이상의 SSID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SSID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제2 리스트(40-2)는 양호한 네트워크의 SSID 리스트를 구성한다. 리스트는 예컨대 서비스를 셀룰러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다른 WLAN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임의개의 선택된 SSID를 포함한다. 리스트(40-3)는 다른 네트워크의 SSID 리스트이다. 리스트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의 다른 로밍 파트너를 식별하는 임의개의 선택된 SSID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4 리스트(40-4)는 임의의 원하는 수의 SSID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네트워크 SSID 리스트를 구성한다.
선택기는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가용 네트워크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스캐닝하고, 그러한 네트워크 SSID 값의 지표는 리스트(52)에 유지된다. 선택기는 먼저 임의의 가용 SSID가 홈 네트워크 리스트(40-1)에도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럴 경우, 표시된 SSID 중 하나를, 예컨대 제1 선택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선택되지 않는다면 다른 일치 네트워크와의 랜덤 접속으로 선택한다.
제1 리스트(40-1) 중에서 성공적인 통신이 되게 하는 일치 네트워크가 없다면, 그러한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것이 리스트(52)에 있는 가용 네트워크와 일치하 는 경우, 리스트(40-2)로부터 양호한 네트워크가 선택된다. 성공적이지 않다면, 제3 리스트(40-3)에, 필요하다면 제4 리스트(40-4)에 액세스된다. 그리고, 성공적인 통신 링크가 되게 하는 일치하는 것이 없다면, 가용 네트워크에 대하여 랜덤한 선택이 이루어지고, 그와의 통신이 유효하도록 시도된다.
이에, 복수개의 리스트(40)를 이용함으로써, 통신을 시도하기 위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성이 증가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 노드(12)에서 구현된 장치(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저장 요소(36)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저장 요소는 복수의 저장 엔티티, 도면에서는 저장 엔티티(38-1, 38-2, 38-3, 38-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저장 요소는 한 세트의 엔트리로 구성된 리스트(40)를 저장하며, 이 세트의 각각의 엔트리는 네트워크(14-6, 14-2, 14-7, 14-8) 중 하나의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에 의해 각각 식별되고, 리스트(40)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SSID 값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저장 요소(38-1)에 유지된 리스트(40-1)는 홈 네트워크(14-1)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2)의 SSID를 포함한다. 저장 엔티티(38-2)에서 구현된 리스트(40-2)는 홈 네트워크(14-1)의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 제휴 관계를 유지하는 네트워크들의 SSID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14-3, 14-4, 14-6)의 식별자는 리스트(40-2)에 포함된다.
저장 요소(38-3)에서 구현된 리스트(40-3)는, 덜 양호한 네트워크이지만,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의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 제휴 관계를 유지하는 네트워크들의 식별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14-5, 14-2, 14-7)의 식별자는 리스트(40-3)를 구성하는 엔트리이다. 저장 엔티티(38-4)에서 구현된 리스트(40-4)는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게 양호한 네트워크들을 식별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4-8)를 식별하는 식별자는 사용자에게 양호한 네트워크이며, 그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는 리스트(40-4)의 엔트리를 구성한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도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 의해 양호한 네트워크라고 선택될 수 있으며, 그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는 저장 엔티티(38-4)에 저장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10)의,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52로 표시하는 예시적인 동작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14)와의 상호동작과 함께, 이동 노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노드에 유지된 리스트는 도면에서 선분(54)으로 표시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의한 이동 노드로의 정보의 다운로드딩에 의해 작성된다. 다운로딩된 정보는 블록(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의 적절한 저장 엔티티(38)(도 1에 도시)에 저장된다.
그 후에, 블록(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는 네트워크(14)의 부분에 의한 신호의 동보가 전달되는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네트워크의 상이한 부분에 의해 동보된 신호들은 선분(64)으로 표시된다. 이동 노드가 신호의 수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동 노드의 수신부는 동보 신호를 검출한다. 결정 블록(6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의의 네트워크 부분에 의해 동보된 신호의 검출 여부에 관 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검출이 없다면, 다음 단계로의 분기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동 노드는 계속해서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와 반대로, 이동 노드에 의해 신호가 검출되면, 이동 노드는 블록(6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가 검출되는 네트워크의 SSID 값과 같은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도록 동작한다.
이어서, 결정 블록(72)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에 의해 데이터가 통신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다면, 다음 단계로의 분기가 이루어지지 않고, 채널은 계속해서 모니터링된다. 이와 다르게, 데이터가 통신되고 있다면, "Y"로의 분기가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저장 엔티티(38)(도 1에 도시)에 액세스되어 이동 노드가 통신하려고 시도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부분이 결정된다.
여기서, 블록(7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스트가 먼저 검색될 수 있도록 변수를 설정하여 제1 리스트의 엔트리를 먼저 검색한다. 블록(7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노드가 위치하고 있는 통신 범위를 갖는 네트워크가 액세스 리스트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비교가 이루어진다. 그 결정은 결정 블록(82)에 의해 표시된다. 일치하지 않으면, 분기는 이루어지지 않고, 도면에서는 블록(84)에서 리스트 번호를 증분함으로써 표시되는 다른 리스트가 액세스된다.
반대로, 일치가 검출되면, "Y"로의 분기가 이루어져, 이동 노드는 블록(8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려고 시도한다. 그리고 결정 블록(92)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시도가 성공적인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성공적이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의 분기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성공적이라면 "Y"로의 분기가 이루어지고, 블록(9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세션이 개시된다.
도 4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2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방법은 이동 노드가 데이터를 통신하려고 시도하는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먼저, 블록(104)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그룹의 제1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1 엔트리 리스트가 저장된다. 그리고, 블록(10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그룹의 제2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적어도 제2 엔트리 리스트가 저장된다. 그리고, 블록(10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네트워크 그룹의 네트워크들이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를 식별하는 가용 엔트리 리스트가 작성된다.
이어서, 블록(112)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기 위한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인지에 대해 결정한다. 네트워크의 선택에 있어서, 먼저, 제1 리스트와 가용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네트워크가 선택된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제2 리스트와 가용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네트워크가 선택된다.
서로 다른 리스트상에 저장된 아이덴티티를 갖는 네트워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이동 노드가 먼저 통신하려고 시도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우수한 선택이 보다 잘 이루어진다. 저장 리스트 상의 엔트리가 동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 기준이 변할 때, 적절한 변경이 리스트에서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양호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러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어지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은 계층적인 선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기 위해 통해야 하는 가용 WLAN 또는 기타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20)

  1. 한 그룹의 네트워크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 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선택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는 이동 노드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노드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려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상기 이동 노드에서 구현되며,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제1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1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엔티티와;
    상기 이동 노드에서 구현되며,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2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적어도 제2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제2 저장 엔티티와;
    상기 이동 노드에서 구현되며,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식별하는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를 작성하는 가용 네트워크 리스트 작성기와;
    상기 제1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제1 엔트리 리스트의 지표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제2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적어도 제2 엔트리 리스트의 지표를 수신하며, 상기 가용 엔트리 리스트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선택기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기는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려는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가 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기는 상기 제1 엔트리 리스트와 가용 네트워트 엔트리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첫번째 네트워크를 선택한 다음, 필요하다면 상기 제2 엔트리 리스트와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 는 첫번째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네트워크들은 서비스 세트 아이덴티티(SSID)에 의해 각각 식별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각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식별되는 서비스 세트 아이덴티티의 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동보하고, 상기 가용 네트워크 리스트 작성기는 상기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서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의해 동보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세트 아이덴티티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1 엔티티 리스트는 관련된 서비스 세트 아이덴티티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세트의 각각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상기 제2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2 엔티티 리스트는 관련된 서비스 세트 아이덴티티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세트의 각각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선택된 셀룰러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 가능한 셀룰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홈 네트워크와 관련되고, 상기 네트워크 그 룹의 네트워크들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 가능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노드는 상기 셀룰러 표준 프로토콜과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표준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선택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노드는 상기 선택기가 상기 제1 선택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선택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며, 상기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는 상기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고, 상기 제1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제1 엔트리 리스트를 형성하는 아이덴티티를 갖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세트는 상기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상기 제1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아이덴티티를 갖는 네트워크를,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제1 선택 네트워크로서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는 제1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와 적어도 제2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적어도 제2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들은 상기 제1 저장 엔티티에 저장되고, 상기 가용 네트워크 리스트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는 상기 제1 및 제2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의 양쪽 모두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기는 선택 기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 중 하나를 상기 제1 선택 네트워크로서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1 선택 네트워크로 선택되는, 상기 제1 및 제2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 중 하나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없다면, 상기 선택기는 상기 제1 및 제2 홈 네트워크 운용 네트워크 중 다른 것을 상기 제1 선택 네트워크로서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관련된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며,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는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고, 상기 제2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제2 엔트리 리스트를 형성하는 아이덴티티를 갖는 적어도 제2 네트워크 세트는 상기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그들 사이에 제휴 관계를 유지하고, 상기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는, 상기 제2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상기 제2 엔트리 리스트의 적어도 부분을 형성하는 아이덴티티를 갖고 상기 제휴 관계가 유지되는 상기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상기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네트워크가 상기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와 제2 엔트리 리스트 양쪽 모두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며, 상기 제1 저장 엔티티에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유효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비-홈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상기 제2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아이덴티티를 갖는 네트워크를,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제1 선택 네트워크로서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2 저장 엔티티는 상기 제2 저장 엔티티와 적어도 제3 저장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저장 엔티티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3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3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것인 네트워 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필요하다면 상기 제3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제3 엔트리 리스트에서 식별된 네트워크를,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제1 선택 네트워크로서 더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3 저장 엔티티는 상기 제3 저장 엔티티 및 적어도 제4 저장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저장 엔티티는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4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4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는 필요하다면 상기 제4 저장 엔티티에 저장된 제4 엔트리 리스트에서 식별된 네트워크를,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제1 선택 네트워크로서 더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7. 한 그룹의 네트워크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적어도 제1 주파수 대역 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선택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는 이동 노드를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에서, 상기 이동 노드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기를 시도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그룹 내에서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제1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제1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2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적어도 제2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 노드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를 식별하는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를 작성하는 작성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통신하려고 시도하기 위한 적어도 제1 선택 네트워크가 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제1 엔트리 리스트와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첫번째 네트워크를 선택한 다음, 필요하다면 상기 제2 엔트리 리스트와 상기 가용 네트워크 엔트리 리스트 양쪽 모두에 있는 첫번째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3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적어도 제3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필요하다면 상기 제3 엔트리 리스트에서 식별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그룹의 적어도 제4 네트워크 세트를 식별하는 적어도 제4 엔트리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는 필요하다면 상기 제4 엔트리 리스트에서 식별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 동안 선택된 제1 선택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KR1020067015911A 2004-01-07 2004-02-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81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3481104P 2004-01-07 2004-01-07
US60/534,811 2004-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002A true KR20060129002A (ko) 2006-12-14
KR100881936B1 KR100881936B1 (ko) 2009-02-06

Family

ID=3474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911A KR100881936B1 (ko) 2004-01-07 2004-02-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64912B2 (ko)
EP (1) EP1723816A1 (ko)
JP (1) JP4436930B2 (ko)
KR (1) KR100881936B1 (ko)
CN (1) CN100542322C (ko)
AU (1) AU2004312941B2 (ko)
CA (1) CA2552755C (ko)
WO (1) WO2005067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8364B2 (en) * 2001-12-20 2007-03-06 Cranite Systems, Inc. Personal virtual bridged local area networks
US7986937B2 (en) * 2001-12-20 2011-07-26 Microsoft Corporation Public access point
US7120791B2 (en) * 2002-01-25 2006-10-10 Cranite Systems, Inc. Bridged cryptographic VLAN
US7466984B2 (en) * 2004-02-19 2008-12-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improvement in facilitating routing of data by a mobile node operable in a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369873B2 (en) * 2004-03-10 2008-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modifying reconfigurable hardware in a mobile station
US20050202828A1 (en) * 2004-03-12 2005-09-15 Pecen Mark 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y associated with a wireless network
US7647061B1 (en) * 2004-03-22 2010-01-12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detection of extra system signals for a multi-node RLAN system
US7275165B2 (en) * 2004-03-22 2007-09-25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wireless scanning feature
US7978683B2 (en) * 2004-04-14 2011-07-12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transferring call transition messages between network controllers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JP4033302B2 (ja) 2004-05-07 2008-01-1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参加方法
US7852825B2 (en) * 2004-07-30 2010-12-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network access by mobile stations which support an incompatible internet protocol version
US7292592B2 (en) * 2004-10-08 2007-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ome network-assisted selection of intermediary network for a roaming mobile terminal
US7298725B2 (en) * 2004-10-08 2007-11-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ment of AAA routing initiated from a home service network involving intermediary network preferences
US7551926B2 (en) * 2004-10-08 2009-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assisted selection of intermediary network for a roaming mobile terminal
US7590732B2 (en) * 2004-10-08 2009-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ment of AAA routing originated from a local access network involving intermediary network preferences
US7647048B2 (en) * 2005-03-31 2010-01-12 Alcatel-Lucent Usa Inc. Selecting a hidden network to connect a user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GB2425439B (en) * 2005-04-19 2007-05-09 Motorola Inc Determination of a network identity for a network access point
CN1326424C (zh) * 2005-09-19 2007-07-11 北京天碁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选择网络注册登记的双模或多模终端和方法
US8396041B2 (en) * 2005-11-08 2013-03-12 Microsoft Corporation Adapting a communication network to varying conditions
US8381047B2 (en) 2005-11-30 2013-02-19 Microsoft Corporation Predicting degrada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below a threshold based on data transmission errors
US20070178933A1 (en) * 2006-01-30 2007-08-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KR101273131B1 (ko) * 2006-03-09 2013-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시스템 선택 방법
CN101461192B (zh) * 2006-05-30 2012-10-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指明优选的接入点和服务供应商的系统、设备和方法
US8223729B2 (en) * 2006-07-19 2012-07-17 Qualcomm Incorporated Radio interface selection for a terminal
US7885222B2 (en) * 2006-09-29 2011-02-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Task scheduler responsive to connectivity prerequisites
US8032150B2 (en) * 2006-09-29 2011-10-04 Globalfoundries Inc. Connection manager with location learning
US20080080458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with deferred configuration
US20080080419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with fast connect
US20080080457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responsive to power state
US20080081606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with branded connection notification
US20080081580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with selective support determination based on problem diagnosis
US20080081597A1 (en) * 2006-09-29 2008-04-03 Cole Terry L Connection manager with prompter for service subscription
US8244241B2 (en) * 2006-10-24 2012-08-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WLAN network information caching
KR100969751B1 (ko) * 2006-11-28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7663481B2 (en) * 2006-12-05 2010-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ensor node roam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environment
ATE462286T1 (de) 2006-12-22 2010-04-1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darstellung von listen mit profilinformationen zu drahtlosen lokalen netzwerken
US7957357B2 (en) * 2006-12-22 2011-06-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list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ofile information
US9973421B2 (en) * 2006-12-29 2018-05-15 Orange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on mana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594663B2 (en) * 2007-09-24 2013-11-26 Airvana Llc Selecting embedded cells in wireless networks
US8516096B2 (en) * 2008-07-09 2013-08-20 In Motion Technology Inc. Cognitive wireless system
US8190768B2 (en) * 2008-10-31 2012-05-2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Network selection mechanism
US8411604B2 (en) * 2009-12-21 2013-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access to aggregator servic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3410781B1 (en) * 2009-12-21 2020-02-05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access to aggregator servic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971342B2 (en) * 2010-04-19 2015-03-03 Nec Corporation Switch and flow table controlling method
US8503424B2 (en) * 2010-06-23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operator information
US9107142B2 (en) * 2010-08-18 2015-08-11 Blackberry Limited Network selection methods and apparatus with use of a master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a prioritized list of multiple aggregator service profiles
US20120327849A1 (en) * 2011-06-24 2012-12-27 Yung-Sen Lin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wireless network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network device
TWI442805B (zh) * 2011-06-24 2014-06-21 Acer Inc 控制無線網路裝置進行網路連線的方法及相關的無線網路裝置
US8948802B1 (en) * 2011-07-08 2015-02-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3154577A1 (en) * 2012-04-13 2013-10-17 Intel Corporation Overhead-free provisioning of roaming wifi networks
CN105075345B (zh) * 2013-03-26 2019-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网络选择的系统和方法
CA2941669C (en) * 2014-03-07 2023-02-28 Thomson Licensing Determin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US10368305B2 (en) * 2016-03-25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network selection for multefire
US11109290B2 (en) 2017-08-04 2021-08-3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Switching connections over frequency bands of a wireless network
US11160003B2 (en) 2017-08-04 2021-10-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device mobility state
US10506616B2 (en) * 2017-08-04 2019-12-1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Prioritizing preferred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338A (en) 1994-12-22 1996-12-17 Bell Atlantic Mobile Systems, Inc. System identification (SID) list for selecting operating frequencies
US5734980A (en) 1995-01-31 1998-03-31 Ericsson Inc. Preferred system selection techniques for mobile terminals
GB2326309B (en) * 1997-06-09 2002-04-10 Nokia Mobile Phones Ltd A telephone
GB2373676B (en) * 2001-03-19 2004-08-04 Motorola Inc Communication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FI114276B (fi) 2002-01-11 2004-09-15 Nokia Corp Verkkovierailun järjestäminen
US6799038B2 (en) * 2002-01-09 2004-09-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selection
US7209742B2 (en) * 2003-04-17 2007-04-24 Motorola, Inc. Wireless mobile station loss prevention in multi-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US7561879B2 (en) * 2003-10-07 2009-07-14 Motorola, Inc. Wireless access network sharing among core networks and methods
JP2005277815A (ja) * 2004-03-25 2005-10-06 Fujitsu Ltd 利用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2755C (en) 2012-05-08
JP2007518316A (ja) 2007-07-05
CA2552755A1 (en) 2005-07-21
JP4436930B2 (ja) 2010-03-24
EP1723816A1 (en) 2006-11-22
KR100881936B1 (ko) 2009-02-06
US20050148332A1 (en) 2005-07-07
AU2004312941A1 (en) 2005-07-21
WO2005067335A1 (en) 2005-07-21
CN100542322C (zh) 2009-09-16
AU2004312941B2 (en) 2008-07-24
CN1926902A (zh) 2007-03-07
US7164912B2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9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86500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WLAN selection by a mobile node
JP4255086B2 (ja) モバイルノードにおいて維持されるネットワーク選択リストを活用し、モバイルノード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選択を容易に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方法
JP5613458B2 (ja) モバイルノードによってネットワーク選択を容易に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方法
EP1774813B1 (en) Multimode roaming mobile device
EP1901571B1 (en) A method for finding network service provider and the apparatus
KR20100056557A (ko) 멀티모드 로밍 이동 장치들의 관리
KR100914942B1 (ko) 선택 통신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 통신할 네트워크부의모바일 노드에 의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관련방법
JP4528225B2 (ja) インターワーキング能力を有する多重ネットワーク無線通信システム内の移動ノードにより通信を促進する装置および方法
MXPA06007803A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by a mobile node of a network through which to communicate using a hierarchical selection process
MXPA06007858A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f a network selection by a mobile node
MXPA06007804A (es) Aparato y metodo asociado para facilitar la seleccion de red en un nodo movil utilizando una lista de seleccion de redes mantenida en el mi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