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395A - 습기 장벽부재를 갖는 팽창기 장치 - Google Patents

습기 장벽부재를 갖는 팽창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395A
KR20060127395A KR1020067010742A KR20067010742A KR20060127395A KR 20060127395 A KR20060127395 A KR 20060127395A KR 1020067010742 A KR1020067010742 A KR 1020067010742A KR 20067010742 A KR20067010742 A KR 20067010742A KR 20060127395 A KR20060127395 A KR 20060127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barrier
barrier member
initiator
gas generating
infla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591B1 (ko
Inventor
마커스 클락
브래드리 더블유. 스미스
알랜 알. 라센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2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9/00Machines or 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17/00
    • F04B19/20Other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B19/24Pumping by heat expansion of pumped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를 포함하는 팽창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팽창기 장치는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를 구비한 기폭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팽창기 장치의 내부에 내장된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와 기폭기 사이의 연결을 기폭시키는 반응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습기 장벽부재가 파열된다.
기폭기, 점화기, 하우징, 습기 전달,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가스 발생물질, 슬리브, 배플, 오리피스, 캐니스터, 어댑터, 리셉터클, 핀, 전기커넥터

Description

습기 장벽부재를 갖는 팽창기 장치{INFLATOR DEVICES HANVING A MOISTURE BARRIER MEMBER}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 속박설비에 사용되는 팽창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습기에 민감한 내용물과의 습기 연통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는 및/또는 피할 수 있게 하는 팽창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안전 속박설비에 사용되는 팽창기 장치는 통상적으로 가스 발생물질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가스 발생물질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이나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폭기 장치에 의한 작동에 따라 양호하게 반응하거나 또는 가스를 생성하거나 가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스 발생물질은 타블렛으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설정의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가스 발생 본체로서 형성된다. 가스 발생 본체의 표면이 가스 발생물질의 반응에 따라 가스 생성율에 대한 양호한 제어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때, 가스 발생물질 본체의 형상 및 크기는 특정한 표면적을 제공하기 위해 양호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 가스 발생물질은 습기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련의 팽창기 장치는 밀봉된 챔버나 공기기밀식 챔버내에 상기 가스 발생물질을 저장하거나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타블렛 등과 같은 다양한 가스 발생물질 형체 또는 본체는 예를 들어 팽창기 장치의 조립중이나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부스러지거나 파괴되는 경향을 띄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상태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스 발생율에 악영향을 끼친다. 또한, 가스 발생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점화기 물질로 타블렛 등과 같은 다양한 가스 발생물질 본체를 코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점화기 물질로 코팅된 가스 발생물질 본체의 부스러짐 및 파괴는 코팅된 가스 발생 본체의 사용과 성능에 악영향을 끼친다.
기폭기 조립체는 기폭기를 팽창기 장치의 하우징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폭기 조립체는 한쪽 단부에 가스 발생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팽창기 장치의 저장 챔버를 밀봉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의 기폭기 조립체는 기폭기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된 어댑터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소성 물질로 형성되는 사출성형된 어댑터는 제조 및 비용절감에 상당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일부 열가소성 물질은 습기를 흡수 및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차량의 팽창가능한 속박시스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팽창기 장치에 공통적인 사용기간이나 수명동안 특정의 열가소성 물질을 통한 습기 전달율이 매우 낮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낮은 습기 전달율은 적어도 가스 발생물질의 성능과 이러한 가스 발생물질이 내장되어 있거나 이를 포함하는 팽창기 장치에 치명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감안하였을 때, 팽창기 장치에 대해 지속적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팽창기 장치내에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의 습기 전달을 양호하게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또는 이를 방지하거나 피할 수 있게 하는 팽창기 장치에 대한 개선사항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개선된 팽창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화된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하나이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팽창기 장치의 개선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는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기폭기 조립체는 하우징에 연결된다. 기폭기 조립체는 가스 발생물질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기폭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기폭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는 습기 장벽부재를 개선하였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파열된다.
종래기술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또한 비용면에서도 효과적인 방식으로, 가스 발생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공급부로의 습기 전달을 양호하게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또는 방지하거나 피할 수 있게 하는 팽창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실패하였다. 특히, 종래기술은 단일성과 효율성 그리고 비용 효과성이 한가지 이상 증가되거나 개선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습기에 민감한 공급부로의 습기 전달을 양호하게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또는 방지하거나 피할 수 있게 하는 팽창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실패하였다.
본 발명은 팽창기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팽창기 장치는 내측면이 구비된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는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기폭기 조립체는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폭기 조립체는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제1면과, 이러한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이 구비된 기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면은 기폭기 조립체와 대면하고 있으며, 상기 제2면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대면하고 있다.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는 저장 챔버의 내측면에 인접하고 있으며, 슬리브는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로부터 연장되고 있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기저부의 제2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컵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컵형 부분은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파열된다.
본 발명은 팽창기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팽창기 장치는 내측면이 구비된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에는 배플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플은 통로와 다수의 배출구를 포함한다.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는 배플 통로의 외부에서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폭기 조립체는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폭기 조립체는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폭기는 배플 통로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내장된다. 비평탄한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제1면과, 이러한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이 구비된 기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면은 기폭기 조립체와 대면하고 있으며, 상기 제2면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대면하고 있다.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인접하고 있으며, 슬리브는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로부터 연장되고 있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기저부의 제2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컵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컵형 부분은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컵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기폭기와 배플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의 컵형 부분은 파열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고 있는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는, 도전성 핀을 통한 전기 신호의 수용에 따라 기폭기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의 반응을 작동시키거나 기폭시킬 수 있게 하는 기폭기의 위치조정을 의미한다.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로의 습기 전달에 대한 습기 장벽부재의 기능에 있어서, "방지한다"라는 용어는 특정한 기폭기 조립체에 대해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습기 전달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기폭기 조립체에 대한 습기 전달의 허용가능한 수준은 예를 들어 내부 체적 및/또는 팽창기 장치의 기하학적 형상과, 팽창기 장치 및/또는 하우징 저장 챔버와, 사용된 가스 발생물질의 흡수율 등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요소에 의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지한다"라는 용어는 습기의 전달을 약 1.7×10-5 gram water(H2O)/1일(24시간) 이하의 습기 전달율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의 청구범위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팽창기 장치의 부분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팽창기 장치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기 장벽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습기 장벽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기 장치의 부분단면도.
본 발명은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가 내장되어 있는 저 장 챔버로 그 내부의 습기 연통을 양호하게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는 및/또는 피할 수 있게 하는 개선된 팽창기 장치를 제공한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습기에 민감한 가스 발생물질이 내장되어 있는 저장 챔버와 기폭기 조립체의 열가소성 성형 어댑터 사이에 배치되는 습기 장벽부재를 포함하는 팽창기 장치를 제공한다.
도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팽창기 장치(20)가 도시되어 있다. 도2는 선2-2를 따라 취한, 도1의 팽창기 장치(20)의 일부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팽창기 장치(20)는 제1단부(24)와 이러한 제1단부(24)에 대향하는 제2단부(26)가 구비된 하우징(22)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하우징(22)은 일반적으로 관형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하우징(22)의 내측면(28)은 저장 챔버(30)를 형성한다.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는 저장 챔버(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는 발생물 캐니스터(34)에 내장되며; 상기 캐니스터는 저장 챔버(3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내측면(36)을 포함하고 있다.
기폭기 조립체(40)는 하우징의 제1단부(24)에 연결된다. 상기 기폭기 조립체(40)는 하우징의 제1단부(24)로 지향되어 있는 한쌍의 도전성 핀(44)이 구비된 기폭기(42)를 포함한다. 또한, 기폭기 조립체(40)는 판(46)과, 상기 판(46) 및 기폭기(42)를 연결하기 위한 성형 어댑터(48)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기폭기 조립체(40)가 형성된다. 제1단부(24)에서 하우징(22)의 궤도 주름부(49)와 판(46)은 기폭기 조립체(40)를 하우징(22)에 단단히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판(46)은 기폭기 조립체(40)를 하우징(22)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22)의 내측면(28)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2) 및 판(46)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의 제1단부(24)에 기밀식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용접되거나 주름잡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식 밀봉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습기나 물 또는 수증기 등의 습기에 의해 가스 발생물질(32)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주위 대기가 하우징(22)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와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사람일 경우, 그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물질의 불필요한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조립체라면, 일반적으로 팽창기 장치의 긴 수명동안 가스 발생물질이 원하는 팽창기 출력성능의 제공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기폭기 조립체(40)는 기폭기(42)가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22)에 연결된다. 달리 설명한다면, 기폭기(42)는 전기 충전신호를 수용함에 따라 기폭기(42)가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와의 반응을 작동시키거나 기폭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22)에 연결된다. 상기 기폭기 조립체(40)는 도전성 핀(4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50)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50)은 전기커넥터(도시않음)를 수용하며, 이러한 전기커넥터를 통해 전하가 도전성 핀(44)으로 이송된다. 기폭기(42)에는 반응성 전하(도시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반응성 전하는 도전성 핀(44)을 통해 수용된 전하에 의해 기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등과 같은 설 정된 상태로의 도달에 따라, 센서(도시않음)는 전기신호를 전기커넥터를 통해 도전성 핀(44)에 전송한다. 기폭기(42)를 작동시켜 반응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기신호는 반응성 물질의 반응을 기폭시킨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와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사람이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폭기(42)는 불꽃 등과 같은 하나이상의 공지되어 있는 반응성 전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성 전하 물질은 도전성 핀(44)을 통해 유도된 전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전하는 예를 들어 서로 혼합된 후 기폭기에 배치되는 연료 슬러리 및 산화제 슬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작동기 작동에 유용한 반응성 전하의 실시예로는 지르코늄 및 포타슘 포클로레이트(ZPP)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가스 발생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기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는 다수의 가스 발생물질 본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가스 발생물질 본체는 타블렛과, 웨이퍼와, 돌출물과,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선택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저장 챔버(30)의 내부에 내장된 가스 발생물질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점화기 물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폭기 조립체(40)의 성형 어댑터(48)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성형 어댑터(48)는 사출성형 처리과정에 의해 기폭기 조립체(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출성형 처리과정에서는 액체 또는 유동가능한 물질이 기폭기(42) 및 판(46)의 일부 주위에 배치된다. 사출성형된 어댑터(48)가 응고될 때, 기폭기(42) 및 판(46)은 상기 성형 어댑터(48)에 고정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성형 어댑터(48)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열가소성 조성물이나 이와 유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로 성형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물질들은 사출성형을 통한 처리과정에 기여하고 있으며, 전기 절연성을 제공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용도에 적합한 적절한 물질의 선택에 매우 중요한 특성이나 상태는 그 관련된 반응성 전하물질의 자동점화 온도 보다 양호하게 낮은 용융온도 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 전기 절연성 및 특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성형 어댑터의 성형에 양호하게 사용되는 물질중의 한가지는 유리보강된 나일론이다. 예를 들어 그 성형 품질 및 강도 등을 포함하여 나일론의 다양한 특성이나 품질로 인해, 이러한 나일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유용하거나 적합한 기타 다른 물질의 실시예로는 유리보강된 폴리에스테르 및 유리보강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이 포함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와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사람이라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다른 다른 열가소성 물질 등과 같은 기타 다른 물질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실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스 발생물질은 습기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따라서, 상기 가스 발생물질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스 발생물질의 반응에 의존하는 팽창기 장치의 출력 및 성능 뿐만 아니라, 가스 발생물질을 통한 가스 생성은 주위 대기로부터의 습기와 상기 가스 발생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폭기 조립체(40)는 주위 대기 및 습기가 하우징의 제1단부를 통해 하우징(2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팽창기 장치(20)의 내구수명동안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22)의 제1단부를 밀봉한다. 그러나, 특정의 다양한 열가소성 물질들은 습기를 흡수 및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일론은 기폭기 조립체의 성형 어댑터를 성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양호한 열가소성 물질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나일론은 습기를 흡수 및 전달하는 열가소성 물질이다. 나일론에 의한 습기 전달율이 매우 낮다고 할지라도, 소량의 습기는 전형적인 팽창기 장치의 연장된 수명동안 상기 팽창기 장치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물질에 해롭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팽창기 장치(20)는 기폭기 조립체(40) 및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는 습기 장벽부재(60)를 포함한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습기 장벽부재(60)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특히 성형 어댑터로부터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실행하거나 습기의 전달을 방지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습기 장벽부재(60)는 평탄하며; 기폭기 조립체(40)와 대면하고 있는 제1면(62)과, 상기 제1면(62)의 대향측에서 가스 발생물 질(32)의 공급부와 대면하는 제2면(64)을 포함한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60)는 발생물 캐니스터(34)를 횡단하여 연장되므로, 습기 장벽부재(60)의 외측 엣지(66)는 발생물 캐니스터(34)의 내측면(36)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60)는 습기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 양호하게 제조되거나 형성되므로써, 효과적인 습기 밀봉을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습기 장벽부재는 약 1.7×10-5 gram water(H2O)/1일(24시간) 이하의 습기 전달율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습기 장벽부재(60)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과 같은 변형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가능한 물질로 형성된 습기 장벽부재를 사용하면, 기폭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물질 사이에서 습기 장벽부재가 댐퍼 패드 등으로서 양호하게 사용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타블렛 형상처럼 설정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원하는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원하는 반응율을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팽창 가스가 형성된 후 대응의 팽창기 장치로부터 해제되는 비율이 훨씬 정밀하게 되며, 또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팽창기 장치의 저장 챔버내에서 가스 발생물질의 이동량이나 이동도가 양호하게 한정되므로,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물질 본체 또는 형체의 부스러짐이나 파괴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스 발생물질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가스 발생물질의 원하는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점화기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점화기 물질로 코팅된 가스 발생물질 본체 또는 형체의 부스러짐이나 파괴는 특히 매우 귀찮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와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사람이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습기 장벽부재가 댐퍼 패드로서 작용하는 본 발명을 실행하면, 점화기 물질로 코팅된 가스 발생물질 본체 또는 형체를 포함하여, 가스 발생물질 본체 또는 형체의 부스러짐이나 파괴를 감소시키거나 피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발생물 캐니스터(34)는 일반적으로 캐니스터 본체(69)와 캐니스터 덮개(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니스터 덮개(70)는 기폭기 조립체(40)를 향해 배치되어 있는 발생물 캐니스터(34)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발생물 캐니스터(34)는 기폭기 조립체(40)에 인접한 상태로 양호하게 배치되어,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기폭기(42)에 의한 직접적인 연결을 촉진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니스터 덮개(70)는 기폭기 조립체(40)와 습기 장벽부재(60)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범위한 실행은, 가스 발생물질을 지지하거나 이를 내장하기 위해 발생물 캐니스터를 포함하거나 채택하고 있는 팽창기 조립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할 경우, 본 발명은 발생물 캐니스터를 포함하지 않는 팽창기 조립체로 실행될 수도 있다.
발생물 캐니스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발생물 캐니스터는 예를 들어 강철, 구리, 황동,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이러한 구성물질은 증가된 내부식성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코팅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생물 캐니스터는 황동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 장벽부재(60)는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와 함께 발생물 캐니스터(34)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이에 내장될 수 있다.
팽창기 장치(20)는 기폭기(42)에 대향하는 발생물 캐니스터(34)의 한쪽 단부에 배플(7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플(72)은 적어도 한쪽 단부에 다수의 팽창가스가 통과하는 오리피스(74)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오리피스를 통해 발생물 캐니스터(34)로부터 탈출되는 팽창 가스는 팽창기 장치(20)로부터의 궁극적인 방출을 위해 배플(72)로 유입될 수 있다.
팽창기 장치(20)는 오리피스(78)가 통과하는 오리피스판(76)을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판(76)은 드로잉 챔버(80)로부터 배플(72)을 분리시킨다. 상기 드로잉 챔버(80)는 도면부호 82로 도시된 가스 처리소자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스 처리소자는 드로잉 챔버(80)의 벽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출구 포트(84)를 통해 팽창 가스가 팽창기 장치(20)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상기 팽창 가스를 여과, 냉각 및/또는 처리한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플과, 팽창가스 통과용 오리피스와, 가스 처리소자와, 드로잉 챔버와, 출구 포트의 크기와 형상 그리고 구조 및 형태는 팽창기 장치의 형태와 그 원하는 성능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팽창기 장치(20)의 내부에 내장된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의 적어도 일 부와 기폭기(42) 사이의 연결을 기폭시키는 반응을 허용하기 위해, 기폭기(42)의 작동은 캐니스터 덮개(70)를 파열시키거나 또는 파열시키지 않을 경우 캐니스터 덮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반응물의 형성으로 나타난다. 특히, 상기 개방에 의해, 반응물은 그 반응과 팽창가스의 생성을 기폭시키는 가스 발생물질(32)의 공급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압력이 충분히 높아졌을 때, 캐니스터 본체(69)가 파열되거나 개방되어; 팽창가스는 팽창가스 통과용 오리피스(74)를 통해 배플(72)내로 통과되고, 또한 상기 오리피스판의 오리피스(78)를 통해 팽창기 장치의 드로잉 챔버(80) 및 그 내장되어 있는 가스 처리소자(82)내로 통과되고, 궁극적으로는 팽창기 장치(20)로부터 출구 포트(84)를 통해 관련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도시않음)을 통과하게 된다.
도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장벽부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100)는 일반적으로 비평탄한 형상을 취하며; 제1면과 이러한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이 구비된 기저부(102)와, 외측 엣지(108)를 포함한다. 슬리브 부분(110)은 상기 외측 엣지(108)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100)는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양호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 부분(110)의 적어도 일부는 기폭기 조립체와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서 기폭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끼워지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100)는 중앙에 배치된 컵형 부분(112)을 포함하며, 이러한 컵형 부분은 제2면(106)으로부터 연장된다. 컵형 부분(112)은 제1단부(116)의 기저부(102)에 부착된 측벽(114)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114)은 제2단부(118)의 측벽에서 단부벽(119)에 부착된다. 일실시예에서,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컵형 부분은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폭기의 작동에 의해, 컵형 부분(112)의 단부벽(119)은 양호하게 파열된다. 필요할 경우,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부벽(119)은 기저부(10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므로써, 단부벽(119)의 파열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습기 장벽부재가 사용될 팽창기 장치의 형상에 따라 슬리브 부분이나 컵형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슬리브 부분 및 컵형 부분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부재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습기 장벽부재(100)가 내장되어 있는 팽창기 장치(120)를 도시하고 있다. 팽창기 장치(120)는 저장 챔버(130)를 형성하는 내측면(128)과 제1단부(124)가 구비된 하우징(122)을 포함한다.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는 저장 챔버(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폭기 조립체(140)는 하우징의 제1단부(124)에 연결된다. 상기 기폭기 조립체(140)는 하우징의 제1단부(124)를 향해 지향되는 한쌍의 도전성 핀(144)이 구비된 기폭기(142)를 포함한다. 또한, 기폭기 조립체(140)는 판(146)과, 상기 판(146)을 기폭기(142)에 연결하는 성형 어댑터(148)를 포함한다. 하우징(122)에 서의 제1주름부(148) 및/또는 판(146)의 용접부는 기폭기 조립체(140)를 하우징(122)에 단단히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2)과 판(146)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의 제1단부(124)에서 기밀식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용접되거나 주름잡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밀식 밀봉은 주위 대기나 습기가 가스 발생물질(132)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반적으로 팽창기 장치의 긴 수명동안 가스 발생물질이 원하는 팽창기 출력성능의 제공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기폭기(142)는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기폭기 조립체(140)는 도전성 핀(144)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어 있는 리셉터클(150)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150)은 전기커넥터(도시않음)를 수용하며, 이러한 전기커넥터를 통해 전하가 도전성 핀(144)으로 이송된다. 기폭기(142)에는 반응성 전하(도시않음)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반응은 도전성 핀(144)을 통해 수용된 전하에 의해 기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등과 같은 설정된 상태의 발생에 따라, 센서(도시않음)는 전기신호를 전기커넥터를 통해 도전성 핀(144)에 전송한다. 기폭기(142)를 작동시켜 반응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기신호는 반응성 물질의 반응을 기폭시킨다.
배플(160)은 저장 챔버(130)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배플(160)은 통로(162)와, 다수의 가스 통과용 오리피스(164)를 포함한다.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는 배플(160)과 하우징의 내측면(128) 사이에서 저장 챔버(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배플(160)은 기폭기(142)를 향해 지향되고 기폭기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단부(166)를 포함한다. 상기 배플(160)은 오리피스판(176)에 인접하여 플랜지(170)를 구비한 제2단부(168)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판(176)은 배플 통로(162)와 드로잉 챔버(180)를 연결하는 오리피스(178)를 포함한다. 필요할 경우, 오리피스판(176)은 제2주름부(182)에 의해 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주름부(149) 및 제2주름부(182)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에어백 설비에 팽창기 장치(120)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드로잉 챔버(180)는 다수의 출구 포트(184)를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100)는 기폭기 조립체(140)와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 사이에서 기폭기 조립체(14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습기 장벽부재의 기저부(102)의 제1면(104)은 기폭기 조립체(140)와 대면하며, 습기 장벽부재의 기저부(102)의 제2면(106)은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를 향해 대면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108)는 도4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측면(128)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우징의 내측면(128)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범위한 실행에 있어서,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는 내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하우징의 내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가 내장되어 있는 발생물 캐니스터는 하우징의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는 발생물 캐니스터의 내측면과 접촉하고는 있지만, 하우징의 내측면에 인접한 것으로 여겨진다.
습기 장벽부재의 슬리브 부분(110)은 기폭기 조립체(140)의 일부와 하우징의 내측면(128) 사이에서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108)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의 컵형 부분(112)은 기폭기(142)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으며, 컵형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는 기폭기(40)와 배플의 내측면(166) 사이에서 배플(16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습기 장벽부재(100)는 기폭기 조립체(140)로부터 저장 챔버내의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예를 들어 습기 장벽부재(100)는 기폭기 조립체(140)의 열가소성 성형 어댑터(148)를 통해 전달된 습기를 방지한다. 또한, 습기 장벽부재(100)는 기폭기(142)가 작동되기 전에 팽창기 장치(120)가 정적 상태로 있을 때,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가 기폭기 조립체(140)의 성형 어댑터(148)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100)는 습기 장벽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에 대해 댐퍼 패드로도 작용한다. 기폭기(142)의 작동에 따라,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100)가 파열된다. 습기 장벽부재(100)의 컵형 부분(112)은 기폭기(142)와 배플(166)의 내측면 사이에 쿠션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자동차 사용중의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불필요한 덜거덕거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폭기(142) 및/또는 배플(166)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기폭기(142)의 작동은 반응물의 형성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반응물은 습기 장벽부재(100)의 단부벽(119)을 파열하거나, 또는 파열하지 않을 경우 개방하도록 작동되며, 배플 통로(162)로 유입된다. 도4에 도시된 배플(160)은 배플 통로(162) 를 2개의 배플 서브챔버(192, 194)로 분리시키는 차단 소자(190)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물은 제1배플 서브챔버(192)로 유입되어, 가스 통과용 오리피스(164)를 통해 상기 배플 서브챔버(192)로부터 탈출된다. 그후, 상기 반응물은 팽창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발생물질(132)의 공급부의 반응을 기폭시킨다. 팽창가스는 가스 통과용 오리피스(164)를 통해 제2배플 서브챔버(194)로 유입되고, 팽창 가스는 오리피스(178)를 통해 이동된 후, 출구 포트(184)를 통해 탈출하여, 관련의 에어백(도시않음)을 팽창시킨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 소자를 포함하고 이를 사용하는 대신에, 배플 통로를 2개의 서브챔버로 분리시키기 위해 배플 측부의 주름잡음 및 핀칭(pinching)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팽창기 장치(120)는 도1을 참조로 서술한 바와 같이 드로잉 챔버(180)내에 냉각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플(160)은 작동된 가스 발생물질(132)에 의해 생성된 팽창가스를 수용 및 지향시킬 뿐만 아니라, 기폭기(142)로부터 반응물을 분배하는데 도움을 준다. 배플(160)은 작동된 기폭기(142)의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는데도 유리하다. 이것은 가스 발생물질(132)의 성형된 본체의 설정 형상 및 크기를 유지시켜, 예측가능한 팽창가스 생성을 제공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설명을 따른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플은 특정하게 필요로 하는 팽창기 장치의 형상 및 출력성능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기에 민감한 내용물로의 습기 연통을 양호하게 감소시 키거나 최소화하고 및/또는 이를 피할 수 있도록 습기 장벽부재가 양호하게 배치되는 팽창기 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습기 장벽부재는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열가소성 물질로 적어도 일부 형성된 팽창기 장치의 내부에 내장된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습기 장벽부재는 저장 챔버내에서 가스 발생물질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해 기폭기 조립체와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서 댐퍼 패드로서 작용하므로써, 가스 발생물질의 불필요한 부스러짐 및 파괴를 피할 수 있고, 관련의 기폭기 작동으로 인한 효과를 완화시킨다.
서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특정하게 서술되지 않은 그 어떤 소자, 부품, 단계, 성분, 또는 구성요소가 없어도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25)

  1.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및 상기 하우징에 조립 연결되며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가 구비된 기폭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팽창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폭기 조립체와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는 습기 장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기폭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습기 장벽부재가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는 타블렛, 웨이퍼, 돌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 형상을 갖는 다수의 가스 발생물질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가 작동되기 전에 상기 팽창기 장치가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가 상기 기폭기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변형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물질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비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와 대면하는 제1면과,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대면하는 대향의 제2면과, 외측 엣지를 포함하며;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로부터 연장되는 슬리브 부분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저부와 컵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컵형 부분은 상기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컵형 부분은 측벽 및 단부벽을 포함하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의 기저부는 제1두께를 갖고, 상기 컵형 부분의 단부벽은 제2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두께는 상기 제1두께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기저부와 컵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컵형 부분은 상기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부 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의 적어도 일부는 점화기 물질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6. 내측면이 구비된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를 포함하는 기폭기 조립체; 및
    상기 기폭기 조립체와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로 구성되는 팽창기 장치로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와 대면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대향측에서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기저부;
    상기 저장 챔버의 내측면에 인접한 외측 엣지;
    상기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로부터 연장되는 슬리브; 및
    상기 기저부의 제2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컵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컵형 부분은 상기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상기 가스 발생물 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가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변형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물질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가 작동되기 전에 상기 팽창기 장치가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가 상기 기폭기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1. 내측면이 구비된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통로 및 다수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챔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배플;
    상기 배플 통로의 외측에서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가스 발생물질 의 공급부;
    상기 배플 통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되고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기폭기 조립체; 및
    상기 기폭기 조립체와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로 구성되는 팽창기 장치로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와 대면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대향측에서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대면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기저부;
    상기 저장 챔버의 내측면에 인접한 외측 엣지;
    상기 습기 장벽부재의 외측 엣지로부터 연장되는 슬리브; 및
    상기 기저부의 제2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컵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컵형 부분은 상기 기폭기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컵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플의 내측면과 상기 기폭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기폭기 조립체로부터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로 습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기폭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의 상기 컵형 부분이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변형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물질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장벽부재는 상기 가스 발생물질의 공급부와 상기 기폭기 조립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평탄형 습기 장벽부재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기 장치.
KR1020067010742A 2003-12-05 2004-11-01 습기 차단부재를 갖는 팽창기 장치 KR101138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29,769 US7185588B2 (en) 2003-12-05 2003-12-05 Inflator devices having a moisture barrier member
US10/729,769 2003-12-05
PCT/US2004/036345 WO2005060440A2 (en) 2003-12-05 2004-11-01 Inflator devices having a moisture barrier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395A true KR20060127395A (ko) 2006-12-12
KR101138591B1 KR101138591B1 (ko) 2012-05-10

Family

ID=3463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742A KR101138591B1 (ko) 2003-12-05 2004-11-01 습기 차단부재를 갖는 팽창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5588B2 (ko)
EP (1) EP1720732A4 (ko)
JP (1) JP4773367B2 (ko)
KR (1) KR101138591B1 (ko)
CN (1) CN101242974A (ko)
WO (1) WO20050604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3393B2 (en) * 2002-08-30 2006-08-01 Sullair Corporation Combination sight glass, strainer and orifice
US7814838B2 (en) * 2004-06-28 2010-10-1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802812B2 (en) * 2005-11-16 2010-09-28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DE102006002435A1 (de) * 2006-01-12 2007-07-26 Takata-Petr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generators und mittels des Verfahrens hergestellter Gasgenerator
JP2008062685A (ja) * 2006-09-05 2008-03-21 Daicel Chem Ind Ltd 点火器組立体を備えた装置
US7712778B2 (en) * 2007-10-29 2010-05-11 Autoliv Asp, Inc. Dual stage cylindrical inflator with outside to inside axial flow
JP4943301B2 (ja) * 2007-11-07 2012-05-30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783715B2 (en) * 2008-08-22 2014-07-22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DE102008050763A1 (de) * 2008-10-08 2010-04-29 Takata-Petri Ag Gasgenerator für ein Airbagmodul
US7730838B1 (en) 2009-01-30 2010-06-08 Raytheon Company Buoyancy dissipater and method to deter an errant vessel
JP2010260387A (ja) * 2009-04-30 2010-11-18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CN102414057A (zh) * 2009-04-30 2012-04-11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发生器
CN102414058A (zh) * 2009-04-30 2012-04-11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发生器
JP5545703B2 (ja) * 2009-04-30 2014-07-09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8393641B1 (en) * 2009-06-12 2013-03-12 Tk Holdings, Inc. Gas generator
CN102548807A (zh) * 2009-10-08 2012-07-04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发生器用多孔管的制造方法和气体发生器
FR2955932B1 (fr) * 2010-02-01 2012-04-06 Livbag Generateur de gaz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8402895B2 (en) 2010-04-30 2013-03-26 Raytheon Company Vortice amplified diffuser for buoyancy dissipater and method for selectable diffusion
US8371204B2 (en) 2010-04-30 2013-02-12 Raytheon Company Bubble weapon system and methods for inhibiting movement and disrupting operations of vessels
DE102010033417B4 (de) 2010-08-04 2023-12-28 Zf Airbag Germany Gmbh Anzündereinheit mit Kunststoffumspritzung
US8162350B1 (en) * 2010-10-07 2012-04-24 Autoliv Asp, Inc. Gas generator
JP5616800B2 (ja) * 2011-01-06 2014-10-2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979121B2 (en) * 2011-03-18 2015-03-17 Autoliv Asp, Inc. Pyrotechnic inflator with central diffuser and composite overwrap
US9073512B1 (en) * 2012-07-23 2015-07-07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with gas generant cushion
KR101400237B1 (ko) * 2014-02-13 2014-05-28 국방과학연구소 이중챔버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JP6399781B2 (ja) * 2014-03-31 2018-10-03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9440615B2 (en) * 2014-12-10 2016-09-13 Autoliv Asp, Inc. Initiator assemblies
CN109642127A (zh) * 2016-05-23 2019-04-16 日东电工株式会社 防潮层材料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710A (en) 1961-02-27 1964-09-08 Ethyl Corp Ignition system for solid propellants
BE786494A (fr) 1971-07-19 1973-01-19 France Etat Laque pyrotechnique
NO113574C (no) 1975-05-10 1985-08-14 Dynamit Nobel Ag En- eller flerbasiske kruttlegemer for drivladninger og fremgangsmaate til deres fremstilling
US4089716A (en) 1977-05-10 1978-05-16 Teledyne Mccormick-Selph, An Operating Division Of Teledyne Industries, Inc. Ignition enhancing propellant coatings
JPS581333B2 (ja) 1978-03-02 1983-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焼器
US4244758A (en) 1978-05-15 1981-01-13 Allied Chemical Corporation Ignition enhancer coating compositions for azide propellant
US4339288A (en) 1978-05-16 1982-07-13 Peter Stang Gas generating composition
US4246051A (en) 1978-09-15 1981-01-20 Allied Chemical Corporation Pyrotechnic coating composition
US4590041A (en) 1984-11-21 1986-05-20 Morton Thiokol, Inc. Gas bag inflators
US4698107A (en) 1986-12-24 1987-10-06 Trw Automotive Products, Inc. Gas generating material
US4878690A (en) 1988-03-09 1989-11-07 Morton Thiokol, Inc. Light weight vehicle restraint bag inflator
DE3923046A1 (de) 1989-07-13 1991-01-17 Dynamit Nobel Ag Ringtabletten fuer gasgeneratoren
US5470406A (en) 1992-04-10 1995-11-28 Nof Corporation Gas generator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345873A (en) 1992-08-24 1994-09-13 Morton International, Inc. Gas bag inflator containing inhibited generant
US5454593A (en) 1993-08-02 1995-10-03 Morton International, Inc. Metal igniter tube boot with permanent retention system
US5483813A (en) 1994-02-14 1996-01-16 Morton International, Inc. Process to make a toroid outer shell from sheet stock
US5616883A (en) 1994-03-18 1997-04-01 Oea, Inc. Hybrid inflator and related propellants
WO1996040541A1 (en) * 1995-06-07 1996-12-19 Takata Moses Lake, Inc. Airbag inflator system
WO1997010127A1 (fr) 1995-09-13 1997-03-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enerateur de gaz pour airbags
US5681055A (en) 1995-09-28 1997-10-28 Morton International, Inc. Side-impact airbag module assembly incorporating combination airbag inflator and module housing
US5670738A (en) 1996-08-08 1997-09-23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inflator with pop-out diffuser
US5716072A (en) 1996-09-17 1998-02-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irbag gas generator with snap joint connection
FR2757118B1 (fr) 1996-12-18 1999-01-08 Livbag Snc Generateur tubulaire integral de gaz par voie pyrotechnique, pour gonfler des coussins de protection
US5871228A (en) 1997-01-21 1999-02-16 Autoliv Asp, Inc. Airbag module with sized inflator
US6000718A (en) 1997-03-06 1999-12-1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End cap assembly for airbag inflator
FR2761982B1 (fr) 1997-04-11 1999-05-07 Livbag Snc Procede pour assurer un deploiement progressif d'un coussin de protection et chargement pyrotechnique pour sa mise en oeuvre
DE19728438A1 (de) 1997-07-03 1999-01-07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Pyrotechnischer Gasgenerator
US5944343A (en) 1997-08-21 1999-08-3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iniature inflator
US5882036A (en) 1997-09-10 1999-03-16 Autoliv Asp, Inc. Hybrid inflator with reduced solid emissions
DE19742204B4 (de) * 1997-09-24 2006-07-13 Trw Airbag Systems Gmbh & Co. Kg Gasgenerator für eine Sicherheitseinrichtung
US6053110A (en) 1998-01-16 2000-04-25 Autoliv Asp, Inc. Airbag generant wafer design with I-beam construction
US6095559A (en) 1998-07-23 2000-08-01 Autoliv Asp, Inc. Chemical cooling of airbag inflation gases
US6096147A (en) 1998-07-30 2000-08-01 Autoliv Asp, Inc. Ignition enhanced gas generant and method
US6168200B1 (en) 1998-12-01 2001-01-02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Dual level inflator
US6103030A (en) 1998-12-28 2000-08-15 Autoliv Asp, Inc. Burn rate-enhanced high gas yield non-azide gas generants
US6077372A (en) 1999-02-02 2000-06-20 Autoliv Development Ab Ignition enhanced gas generant and method
US6132480A (en) 1999-04-22 2000-10-17 Autoliv Asp, Inc. Gas forming igniter composition for a gas generant
US6142519A (en) 1999-09-01 2000-11-07 Autoliv Asp, Inc. Inflation assembly
US6244623B1 (en) 2000-02-02 2001-06-12 Autoliv Asp, Inc. Flow-open inflator
US6314889B1 (en) 2000-06-12 2001-11-13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pyrotechnic inflator
US6527297B1 (en) * 2000-08-30 2003-03-04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 ignition of gas generant
US6382668B1 (en) * 2000-11-16 2002-05-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6709011B2 (en) * 2001-02-21 2004-03-23 Autoliv Asp, Inc. Leak detection enhancing insert for an airbag inflator assembly
US6860510B2 (en) * 2001-08-21 2005-03-0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inflating-type hybrid inflator
US20030146611A1 (en) * 2002-02-06 2003-08-07 Kenney Steven B. Adaptive output passenger disk inflator
US6854764B2 (en) * 2002-02-20 2005-02-15 Autoliv Asp, Inc. Flexible airbag inflator
JP2005225346A (ja) * 2004-02-12 2005-08-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7814838B2 (en) * 2004-06-28 2010-10-1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18548A (ja) 2007-07-12
KR101138591B1 (ko) 2012-05-10
US20050123406A1 (en) 2005-06-09
JP4773367B2 (ja) 2011-09-14
WO2005060440A2 (en) 2005-07-07
WO2005060440A3 (en) 2007-07-05
US7185588B2 (en) 2007-03-06
EP1720732A2 (en) 2006-11-15
EP1720732A4 (en) 2008-08-13
CN101242974A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591B1 (ko) 습기 차단부재를 갖는 팽창기 장치
JP2909007B2 (ja) 圧力センサを備えたエアバッグ膨張器
US6485053B2 (en) Hybrid inflator improved in mountability to a module
US5803493A (en) Hybrid blowdown inflator with reduced pressure buildup
US6295935B1 (en)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US6231078B1 (en) Air bag inflator
US5670738A (en) Hybrid inflator with pop-out diffuser
US6012737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20060087106A1 (en) One-piece initiator device for inflators
US5890735A (en) Hybrid inflator with diffuser end translating initiator boss
US6644206B2 (en) Electrically actuatable initiator with output charge
US6086094A (en) Air bag inflator
EP0811533B1 (en) Integral projectile squib for air bag inflators
JP3049693U (ja) 車両の乗員拘束装置を膨張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用混成型膨張装置
GB2247214A (en) Vehicle airbag
US5429386A (en) Auto ignition device for an air bag inflator
EP0816185B1 (en) Gas generating device for air bag
EP1620292B1 (en) Airbag module with controlled venting of inflation gas
US20220281405A1 (en) Dual stage inflator
US7204513B2 (en) Gas generator for an occupant protection system of a vehicle
US6168199B1 (en) Inflator for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11603072B2 (en) Dual stage inflator
JP2965583B2 (ja) ガス発生器
US5810386A (en) Sealing ring f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5242228B2 (ja)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