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215A -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215A
KR20060125215A KR1020050047142A KR20050047142A KR20060125215A KR 20060125215 A KR20060125215 A KR 20060125215A KR 1020050047142 A KR1020050047142 A KR 1020050047142A KR 20050047142 A KR20050047142 A KR 20050047142A KR 20060125215 A KR20060125215 A KR 2006012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align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988B1 (ko
Inventor
홍형기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988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02F1/13375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상필름을 제거하여 투과부에서의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의 광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상필름를 미사용함으로써 코스트를 절감하고자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제 1 기판 상에서 수직교차하여 반사부와 투과부로 구성되는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그 교차 지점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영역의 반사부에 형성되는 유기절연막 및 반사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의 투과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반사전극 및 제 1 전극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전극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부에서 상기 제 1 전극에 평행하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고 반사부의 배향방향과 투과부의 배향방향이 서로 다른 제 1 배향막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합착되고, 전면에 대해 동일한 배향방향을 가지는 제 2 배향이 구비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외측면에 각각 부착된 제 1 ,제 2 편광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투과형, 횡전계, 보상필름

Description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Trans-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향막 처리 공정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향막 처리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1 : TFT 어레이 기판 116 : 유기절연막
117 : 화소전극 118 : 절연층
120 : 반사전극 121 :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124 : 공통전극 131 : 액정층
150, 151 : 제 1 ,제 2 편광필름 160, 161 : 제 1 ,제 2 배향막
180 : 러빙롤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상필름을 제거하여 투과부에서의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상필름을 미사용함으로써 코스트를 절감하고자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는 평판표시소자 중 하나인 액정표시소자는 액체의 유동성과 결정의 광학적 성질을 겸비하는 액정에 전계를 가하여 광학적 이방성을 변화시키는 소자로서, 종래 음극선관(Cathod Ray Tube)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고 부피가 작으며 대형화 및 고정세가 가능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는 상부기판인 컬러필터(color filter) 어레이 기판과 하부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 화소 선택용 어드레스(address) 배선을 통해 수십 만개의 화소에 부가된 TFT를 스위칭 동작시켜 해당 화소에 전압을 인가해 주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상기 액정표시소자는 액정의 성질과 패턴의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모드가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방향자가 90°트위스트 되도록 배열한 후 전압을 가하여 액정 방향자를 제어하는 TN 모드(Twisted Nematic Mode)와, 한 화소를 여러 도메인으로 나눠 각각의 도메인의 주시야각 방향을 달리하여 광시야각을 구현하는 멀티도메인 모드(Multi-Domain Mode)와, 보상필름을 기판에 부착하여 빛의 진행방향에 따 른 빛의 위상변화를 보상하는 OCB 모드(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Mode)와, 한 기판 상에 두개의 전극을 형성하여 액정의 방향자가 배향막의 나란한 평면에서 꼬이게 하는 횡전계방식(In-Plane Switching Mode) 등 다양하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소자는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와,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이용하지 않고 외부 자연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와, 상기 백라이트 사용으로 인한 전력소모가 큰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단점과 외부 자연광이 어두울 때 사용이 불가능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단위 픽셀 내부에 반사부와 투과부를 동시에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반사형 및 투과형의 양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투과형 및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투과부는 하부기판을 통해 입사하는 백라이트에 의한 광을 액정층으로 입사시켜 휘도를 밝게 하고, 반사형 및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반사부는 외부 자연광이 밝을 때 상부기판을 통해 입사하는 외부 광을 반사시켜 휘도를 밝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다.
하나의 화소영역이 반사부(R)와 투과부(T)로 구분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복수개의 배선과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이 서로 대향합착되어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고 액정층의 하부면에는 반사부(R)에 한하여 반사전극(590)이 형성되어 외부자연광을 외부로 반사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반사부(R)로 입사하는 자연광은 상부에서 액정층(590)을 왕복하여 스크린 표면에 도달하고, 백라이트에서 투과부(T)로 입사하는 광은 액정층을 통과하여 스크린 표면에 도달한다.
참고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의 내측면에는 액정층(590)의 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기 위한 배향막이 더 구비되고, 기판의 외측면에는 빛의 광축을 조절하기 위한 편광필름(550,551)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액정층(531)과 편광필름(550,551) 사이에는 위상차를 지연시키기 위한 QWP(Quater Wave Plate) 필름(562,563)이 더 구비된다.
그러나, QWP필름만을 사용한 경우, 도 3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에 대해 반사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R,G,B의 각 색상이 반사될때 그 반사율이 서로 달라 화상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필름(550,551)과 QWP필름(562,563) 사이에 HWP(Half Wave Plate) 필름(561,564)을 더 구비하여 와이드밴드 QWP가 배치한 효과를 가지게 함으로써, 가시광선 전 파장에 대해서 균일한 반사율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같이,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경우 편광필름, 보상필름(QWP, HWP), 액정층, 보상필름(HWP, QWP), 편광필름의 적층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편광필름, 보상필름(QWP, HWP), 액정층, 보상필름(HWP, QWP), 편광필름의 적층구조로 구성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경우, 투과부(T)의 광이 보상필름 4매를 지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에서 화질 저하가 발생하며, 보상필름 사용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고 소자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상필름을 제거하여 투과부에서의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상필름을 미사용함으로써 코스트를 절감하고자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제 1 기판 상에서 수직교차하여 반사부와 투과부로 구성되는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그 교차 지점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영역의 반사부에 형성되는 유기절연막 및 반사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의 투과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반사전극 및 제 1 전극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전극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부에서 상기 제 1 전극에 평행하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고 반사부의 배향방향과 투과부의 배향방향이 서로 다른 제 1 배향막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합착되고, 전면에 대해 동일한 배향방향을 가지는 제 2 배향이 구비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외측면에 각각 부착된 제 1 ,제 2 편광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하부기판의 반사부(R)와 투과부(T)의 배향방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횡전계에 의해 액정분자가 수평방향으로 트위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파장에 대한 반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향막 처리 공정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향막 처리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와 투과부의 배향방향이 서로 다른 제 1 배향막(160)이 형성된 TFT 어레이 기판(111)과, 반사부와 투과부의 배향방향이 동일한 제 2 배향막(161)이 형성된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21)이 대향합착되어 있고, 상기 두 기판(111,121) 사이에는 액정층(131)이 구비되며, 상기 두 기판 외측면에는 제 1 ,제 2 편광필름(150,151)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때, 기판과 편광필름 사이에 보상필름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배향막(161)의 배향방향은 제 2 편광필름(151)의 투과축과 평행 또는 수직하도록 하고, 제 1 배향막(160)의 투과부 배향방향은 제 2 배향막(161)의 배향방향과 동일하도록 하며, 제 1 배향막(160)의 반사부 배향방향은 60∼80° 트위스트되도록 한다. 이 경우, Voff 상태에서 블랙 조건이 성립되어 노멀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가 된다.
즉, 제 2 편광필름(151)의 투과축이 0° 방향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편광필름(150)의 투과축은 상기 상부 편광필름의 투과축과 수직으로 이루도록 90°방향으로 구성되고, 제 2 배향막(161) 및 투과부의 제 1 배향막(160) 표면의 액정분자(130)가 0° 방향으로 배향되며, 반사부의 제 1 배향막(160) 표면의 액정분자(130)는 60∼80° 방향으로 배향된다. 상기 액정분자의 트위스트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액정층에 소량의 도펀트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반사부의 리타데이션값은 150∼250nm가 되도록 하고 투과부의 리타데이션값은 260∼360nm가 되도록 하는데, 상기 리타데이션값을 조절하기 위해 액정층의 셀갭 또는 액정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반사부와 투과부의 리타데이션 값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액정셀갭(d1,d2)을 다르게 하는 것이 용이한데, 반사부에 유기절연막(118)을 더 구비하여 반사부의 액정셀갭을 조절해준다.
구체적으로, TFT 어레이 기판(11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교차하여 단위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데이터 배선(115) 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의 교차 지점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 도시하지 않음)와, 반사부(R)에 한정하여 형성되어 반사부의 셀갭(d2)을 좌우하는 유기절연막(118)과, 반사부(R)의 상기 유기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에 콘택되는 반사전극(120)과, 투과부(T)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콘택되는 화소전극(117)과, 반사부(R)에서 반사전극 상부의 소정영역에 복수개 형성되고 투과부(T)에서 화소전극과 평행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공통전극(124)과, 상기 반사전극(120) 및 화소전극(117)으로부터 공통전극(124)을 절연시키는 절연층(118)과, 반사부의 배향방향과 투과부의 배향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배향 처리된 제 1 배향막(160)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화소전극(117)은 상기 반사전극(120)과 동일층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전압을 인가받는데, 상기에서와 같이 반사전극(120)과 화소전극(117)에 픽셀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공통전극에 Vcom 전압을 인가한다. 물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반사전극 상부에 화소전극을 구비함으로써, 반사전극 및 공통전극에 Vcom 전압을 인가하고 화소전극에 픽셀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전극(124)은 화소영역의 투과부(T)에서 상기 화소전극(117)에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제 1 횡전계를 형성하고, 화소영역의 반사부(R)에서 상기 반사전극(120) 상부에 배치되어 제 2 횡전계를 형성한다. 제 1 횡전계에 의해 투과부의 액정분자가 재배열되어 투과부의 투광 정도를 제어하고, 제 2 횡전계에 의해 반사부의 액정분자가 재배열되어 반사부의 투광 정도를 제어한다.
즉, 본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는 반투과모드로 동작하는데, 외부광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과부(T)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제 1 횡전계에 의해 투과모드로 구동되고, 외부광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반사부(R)의 반사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제 2 횡전계에 의해 반사모드로 구동된다.
이러한 TFT 어레이 기판(111)에 대향합착되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21)에는 컬러필터층(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고, 전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배향되는 제 2 배향막(161)이 구비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에 대해서 전기장 인가시 액정분자가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투과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제 1 배향막의 트위스트 각도가 66도이고 리타데이션값이 200nm인 소자에서의 전 파장에 대한 반사율(①)을 확인한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QWP의 보상필름만을 사용한 경우(②)에 비해 전 파장에 대해 반사율이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보상필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와이드밴드 QWP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고, 별도의 보상필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투과형 IPS와 동일한 전광 특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배향막에 대해서 반사부와 투과부의 배향방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배향처리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향처리는 광조사 또는 러빙에 의해 가능한데, 제 1 배향막의 경우 반사부와 투과부의 배향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2번의 배향처리를 실시한다.
먼저, 광조사를 이용하여 제 1 배향막을 배향처리하는 것을 살펴보면,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전극(120)이 형성되어 있는 TFT 어레이 기판(111) 상면에 광배향성 고분자 물질을 스핀-코팅(spin-coating) 방식과 롤-코팅(roll-coating)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 1 배향막(160)을 형성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전면에 대해 자외선(UV:Ultra-Violet Ray)을 조사하여 제 1 배향처리한다.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 하부에서 배면노광하여 투과부에 대해 제 2 배향처리한다. 배면노광시, 반사부의 반사전극이 광을 차광함으로써 반사부의 배향막에는 광조사되지 않도록 한다. 광조사시 사용되는 광으로는 선형편광, 비편광, 부분편광, 무편광, 딥(deep) UV, 미드(mid) UV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반사부의 제 1 배향막과 투과부의 제 1 배향막의 배향방향이 서로 상이해진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제 1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제 1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대해 60∼80° 트위스트된 방향이다.
한편, 러빙롤을 이용한 배향처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전극(120)이 형성되어 있는 TFT 어레이 기판(111) 상면에 배향막 원료액을 인쇄하여 제 1 배향막(160)을 형성하고, 러빙롤(180)을 이용하여 제 1 방향으로 러빙 처리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으로 러빙 처리된 제 1 배향막(160) 전면에 포토레지스트(190)를 도포하고 기판(111) 하부에서 배면노광하여,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패터닝한다. 이때, 반사전극(120)은 UV를 차광하므 로 광이 조사되지 않은 반사부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고 투과부의 포토레지스트만 남게 된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의 제 1 배향막(160)에 대해 제 2 방향으로 러빙공정을 수행한다. 이로써, 반사부의 제 1 배향막과 투과부의 제 1 배향막의 배향방향이 서로 상이해진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제 1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제 1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대해 60∼80° 트위스트된 방향이다. 물론, 포토레지스트의 성질에 따라 광이 조사된 부분의 포토레지스트가 남을 수도 있는데, 이경우에는 제 1 러빙방향을 60∼80° 트위스트되도록 하고 제 2 러빙방향을 제 1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수직 또는 평행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기판의 액정배향방향은 일정하게 하고 하부기판의 반사부 및 투과부의 배향은 다르게 한 후,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를 수평으로 트위스트되도록 함으로써 보상필름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와이드밴드 QWP의 조건을 만족하는 소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반사부의 초기 액정배향방향은 60∼80° 트위스트되도록 하고 반사부의 리타데이션값은 150∼250nm로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별도의 보상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상필름에 의해 투과부의 광학적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국, 투과형 IPS와 동일한 전광 특성을 가지게 된다.
둘째, 와이드밴드 QWP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총 4개의 보상필름을 사용하였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보상필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와이드밴드 QWP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보상필름 사용에 공정 코스트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보상필름에 의해 소자의 두께가 두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4)

  1. 제 1 기판 상에서 수직교차하여 반사부와 투과부로 구성되는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그 교차 지점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화소영역의 반사부에 형성되는 유기절연막과,
    상기 유기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반사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의 투과부에 형성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반사전극 및 제 1 전극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전극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과부에서 상기 제 1 전극에 평행하는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에 형성되고 반사부의 배향방향과 투과부의 배향방향이 서로 다른 제 1 배향막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합착되고, 전면에 대해 동일한 배향방향을 가지는 제 2 배향이 구비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외측면에 각각 부착된 제 1 ,제 2 편광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 및 투과부의 리타데이션값은 상기 유기절연층의 단차로 조절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액정층 리타데이션값은 150∼250nm이고, 투과부의 액정층 리타데이션값은 260∼36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액정은 반사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전기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투과부의 액정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전기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과 제 1 전극에 픽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전극에 Vcom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전극과 제 1 전극에 Vcom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 전극에 픽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필름과 제 2 편광필름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향막의 투과부 배향방향과 제 2 배향막의 배향방향은 제 2 편광필름의 투과축에 대해 평행 또는 수직하도록 구성하고, 제 1 배향막의 반사부 배향방향은 60∼80° 트위스트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필름의 편광축은 90°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편광필름의 편광축은 0°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향막 및 투과부의 제 1 배향막은 0°방향으로 배향되며,
    상기 반사부의 제 1 배향막 표면은 60∼80°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필름의 편광축은 90°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편광필름의 편광축은 0°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향막 및 투과부의 제 1 배향막은 90°방향으로 배향되며,
    상기 반사부의 제 1 배향막 표면은 60∼80°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는 노멀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향막은 광조사 또는 러빙에 의해 2방향으로 배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향막은 전면 광조사 이후, 상기 반사전극을 마스크로 한 배면 광조사에 의해 광배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향막은 전면 러빙처리 이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한 일부 러빙처리에 의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1020050047142A 2005-06-02 2005-06-02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10111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42A KR101117988B1 (ko) 2005-06-02 2005-06-02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42A KR101117988B1 (ko) 2005-06-02 2005-06-02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15A true KR20060125215A (ko) 2006-12-06
KR101117988B1 KR101117988B1 (ko) 2012-03-06

Family

ID=3772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42A KR101117988B1 (ko) 2005-06-02 2005-06-02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9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39B1 (ko) * 2008-08-29 201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00130112A (ko) * 2009-06-02 2010-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20160086021A (ko) * 2015-01-08 2016-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39B1 (ko) * 2008-08-29 2010-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00130112A (ko) * 2009-06-02 2010-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20160086021A (ko) * 2015-01-08 2016-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988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855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both a transmissive portion and a reflective portion
JP5537082B2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1424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866942B1 (ko) 액정표시장치
JP4337854B2 (ja) 液晶表示装置
US77334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pecific compensation film
KR101115774B1 (ko) 멀티 도메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988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20080083791A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98556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JP5397989B2 (ja) 液晶表示装置
US82539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59487B1 (ko) 광학적 자기 보상 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소자
KR101108066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10565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714272B2 (e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out color filter
JP2008076503A (ja) 液晶表示装置
KR102224092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5041436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20089976A (ko) 디에스티엔형 액정표시장치
KR20040103175A (ko)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0404A (ko) 횡전계 방식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액정표시 장치
KR20060131108A (ko)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20110075187A (ko) 횡전계 모드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200134365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