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108A -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108A
KR20060131108A KR1020050051314A KR20050051314A KR20060131108A KR 20060131108 A KR20060131108 A KR 20060131108A KR 1020050051314 A KR1020050051314 A KR 1020050051314A KR 20050051314 A KR20050051314 A KR 20050051314A KR 20060131108 A KR20060131108 A KR 20060131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electric fiel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섭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1108A/ko
Publication of KR2006013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2Number of plates being 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반투과 모드로 구동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이 노출될때까지 식각되어 형성된 소정의 투과홀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배면에 위치하여 서로 직교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 1 및 제 2 편광판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상기 화소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투명금속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반투과, 횡전계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Transflective type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횡전계 액정표시장치를 A ~ A'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빛의 진행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전압을 인가시에 빛의 진행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도 3의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의 제조공정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백라이트 105b:공통전극
106:제 1 편광판 107a:제 1 화소전극
107b:제 2 화소전극 108:제 1 위상차판
110:제 1 기판 118:게이트 절연막
120:보호층 126:제 2 편광판
128:제 2 위상차판 130:제 2 기판
134:컬러필터층 136:오버코트층
140a:제 1 ITO 금속 140b:제 2 ITO 금속
150:액정층 152:액정분자
본 발명은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부와 투과부를 갖는 반투과 타입의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한다. 상기 액정은 구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분자의 배열에 방향성을 갖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분자배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면, 상기 액정의 분자배열이 변하게 되고, 광학적 이방성에 의하여 상기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으로 빛이 굴절하여 화상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현재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전극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Active Matrix LCD: 이하 "액정표시장치"라 함)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우수하여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공통전극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과 화소전극이 형성된 어레이기판과, 두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 정표시장치에서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간의 상-하로 걸리는 수직 전기장에 의해 액정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투과율과 개구율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수직 전기장에 의한 액정구동은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평 전기장에 의해 액정을 구동시켜 광시야각 특성을 가지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기판인 제 1 기판(10)의 화소영역(P)은 종횡으로 배치된 게이트라인(3) 및 데이터라인(1)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화소영역 내의 게이트라인(3)과 데이터라인(1)의 교차영역에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는 상기 게이트라인(3)으로부터 스캔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전극(11)과, 상기 게이트전극(1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스캔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활성화 되어 채널층을 형성하는 반도체층(12)과, 상기 반도체층(12) 위에 형성되어 데이터라인(1)을 통해 화상신호가 인가되는 소스전극(13) 및 드레인 전극(14)으로 구성된다.
화소영역(P) 내에는 상기 데이터라인(1)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공통전극들(5a~5c)과 상기 공통전극들(5a~5c)과 교대로 배열된 화소전극(7a, 7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분자는 공통전극들(5a, 5b,5c) 및 화소전극들(7a,7b)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가 동작하여 상기 화소전극들(7a, 7b)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공통전극들(5a, 5b, 5c)과 화소전극들(7a,7b)사이에는 상기 제 1 기판(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횡전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액정분자는 상기 횡전계를 따라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액정분자의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계조반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횡전계 액정표시장치를 A ~ A'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제 1 및 제 2 기판(10, 3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10) 상에 게이트 절연막(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8) 상에 보호층(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120) 상에 제 1 및 제 2 화소전극(7a, 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7a, 7b) 상에는 보호층(20)이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공통전극(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30) 하부에는 컬러필터층(24)과, 오버코트층(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0, 30) 사이에는 액정층(50)이 주입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7a, 7b)으로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공통전극(5b)에 공통전압(Vcom)이 인가될때, 상기 액정층(50) 내의 액정분자(52)의 구동특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압 인가시 상기 공통전극(5b)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7a, 7b) 사이에는 횡전계 방향으로 전기장(E)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액정분자(52)는 전기장(E)에 평행한 방향으로 장축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포지티브(Positive) 액정에 해당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화소영역(P) 내에서, 전극 형성부(Id)에서의 전기장(E)과 전극 간의 이격구간(Ie)에서의 전기장(E)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극 형성부(Id)에 위치하는 액정분자(52)와, 상기 전극 간의 이격구간(Ie)에 위치하는 액정분자(52)의 배열 및 이에 따른 위상차(retardation)값이 다르게 된다.
결국 상기 전극 형성부(Id)와 상기 전극 간의 이격구간(Ie)에서는 전기장(E)의 세기차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의 액정분자(52)의 유효굴절률차에 의해 위상차값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휘도 특성에 기여하는 영역의 감소로 개구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공통전극(5b)은 불투명 금속물질,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7a, 7b)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한 예에 대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7a, 7b)와 상기 공통전극(5b)을 모두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한다고 해도,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이, 전극과 전극 사이의 투과율보다 작기 때문에 휘도 특성의 향상에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제 2 기판 상에 투명 도전성 재질의 ITO 금속을 형성하여 반투과 방식으로 구동되는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기 판이 노출될때까지 식각되어 형성된 소정의 투과홀과,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배면에 위치하여 서로 직교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 1 및 제 2 편광판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상기 화소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투명금속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게 제 1 및 제 2 기판(110, 13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라인 등을 절연하기 위한 게이트 절연막(118)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118) 상부에 보호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120) 상에는 불투명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화소전극(107a, 107b)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보호층(120) 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107a, 107b)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투명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공통전극(10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절연막(118)과 보호층(120)에는 제 1 및 제 2 투과홀(H1, H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과홀(H1, H2)를 형성할때, 상기 투명한 제 1 기판(110)이 노출될때까지 식각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과홀(H1, H2)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백라이트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어 상기 제 2 기판(130)으로 입사된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 하부에는 제 1 위상차판(108)과 제 1 편광판(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판(130)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블랙매트릭스과 중첩되지 않도록 컬러필터층(134)이 형성되고, 상기 컬러필터층(134) 상에 오버코트층(1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버코트층(136) 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107a, 107b)와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한 재질의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0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130) 하부에는 제 2 위상차판(128)과 제 2 편광판(12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110, 130) 사이에는 포지티브(Positive) 타입의 액정분자로 이루어진 액정층(150)이 충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ITO 금속(140a)은 상기 제 1 화소전극(107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ITO 금속(140b)은 상기 제 2 화소전극(107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40b)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107a, 107b) 사이의 셀갭(d/2)은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오버코트층(136) 사이의 셀갭(d)과 2배 정도 차이가 난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과홀(H1, H2)이 형성된 부분은 백라이트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되는 투과부(T)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전극(107a, 107b)과 상기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40b)이 대응되어 형성된 부분은 외부광원을 반사하여 상기 제 2 기판(130)으로 입사시키는 반사부(R)를 의미한다.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105b)이 위치한 부분(I)은 사실 상 투과부(T)에 더 가까우나 상기 투과부(T)의 광투과율에 비해 상당히 적은 양의 광을 투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전압을 인가하기 전에 빛의 진행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제 1 및 제 2 편광판(106, 126)의 편광축이 서로 직교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판(108, 128)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되, 서로 직교되게 편광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판(108, 128)을 모두 통과하는 투과부(T)의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판(108, 128)은 서로 상쇄효과를 가지게되며, 상기 액정층의 위상차는 λ/2를 가진다. 본 도면은 수직 배향막(미도시)으로 배향된 액정분자(152)를 일예로 설명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오프(OFF)시 상기 투과부(T)에서 백라이트(100)로부터 공급된 광원은 제 1 편광판(106)을 거쳐 제 1 선편광만이 투과되고, 상기 제 1 선편광은 액정층(150)을 그대로 통과하여 상기 제 2 편광판(126)의 투과축과의 불일치로 차단되어, 화면은 블랙 상태를 띠게된다.
전압 오프(OFF)시 상기 제 1 반사부(R1)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광이 제 2 편광판(126)을 거쳐 제 2 선편광이 되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1 ITO 금속(140a)을 거쳐 상기 액정층(150)을 그대로 통과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1 반사전극(107a, 제 1 화소전극을 의미함)에서의 반사로 제 1 원편광이 되고, 상기 제 1 원편광은 다시 상기 액정층(150)을 거쳐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에서 제 1 선편광이 되고, 상기 제 1 선편광 은 상기 제 2 편광판(126)과의 편광축의 불일치로 차단되어 블랙화면을 띠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반사부(R2)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광이 제 2 편광판(126)을 거쳐 제 2 선편광이 되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2 ITO 금속(140b)을 거쳐 상기 액정층(150)을 그대로 통과한 다음, 상기 제 2 반사전극(107b, 제 2 화소전극을 의미함)에서의 반사로 제 1 원편광이 된다.
상기 제 1 원편광은 다시 상기 액정층(150)을 거쳐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에서 제 1 선편광이 되고, 상기 제 1 선편광은 상기 제 2 편광판(126)과의 편광축의 불일치로 차단되어 블랙화면을 띠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전압을 인가시에 빛의 진행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온(ON)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T)에서 백라이트(100)에서 생성된 광원은 상기 제 1 편광판(106)을 통과하여 제 1 선편광만이 투과되고, 상기 제 1 선편광은 상기 액정층(150)을 거쳐 제 2 선편광이 되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2 편광판(126)과의 일치로 투과되어, 화이트 화면을 띠게 된다.
상기 제 1 반사부(R1)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광이 상기 제 2 편광판(126)을 거쳐 제 2 선편광만이 통과되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을 거쳐 제 2 원편광으로 바뀌고, 상기 제 2 원편광은 상기 제 1 ITO 전극(140a)을 거쳐 상기 액정층(150)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원편광은 상기 액정층(150)을 거쳐서 제 1 편광으로 바뀌고, 상기 제 1 편광은 상기 제 1 반사전극(107a, 제 1 화소전극을 의미함)을 거쳐 제 2 편광으로 바뀌며, 상기 제 2 편광은 다시 액정층(150)과 제 1 ITO 금속(140a)을 거쳐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을 거쳐 상기 제 2 편광은 제 2 선편광으로 바뀌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2 편광판(126)의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일치로 투과되어, 화이트 화면을 띠게 된다.
상기 제 2 반사부(R2)에서도 상기 제 1 반사부(R1)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광이 상기 제 2 편광판(126)을 거쳐 제 2 선편광만이 통과되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을 거쳐 제 2 원편광으로 바뀌고, 상기 제 2 원편광은 상기 제 2 ITO 전극(140b)을 거쳐 상기 액정층(150)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원편광은 상기 액정층(150)을 거쳐서 제 1 편광으로 바뀌고, 상기 제 1 편광은 상기 제 2 반사전극(107b, 제 2 화소전극을 의미함)을 거쳐 제 2 편광으로 바뀌며, 상기 제 2 편광은 다시 액정층(150)과 제 2 ITO 금속(140b)을 거쳐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위상차판(128)을 거쳐 상기 제 2 편광은 제 2 선편광으로 바뀌고, 상기 제 2 선편광은 상기 제 2 편광판(126)의 편광판의 편광축과의 일치로 투과되어, 화이트 화면을 띠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을 일으키는 액정분자(152)의 각각의 유효굴절률값은, 투과부(T) 액정분자(152)의 유효굴절률값의 1/2 수준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광은 전압 온(ON) 상태에서, 제 2 편광판(126)과 제 2 위상차판(128)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40b)을 거쳐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 제 1 및 제 2 화소전극을 의미한다.)으로 입사된다.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된 광은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액정층(150)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ITO 전극(140a, 104b)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ITO 전극(140a, 140b)으로 입사된 광은 다시 상기 제 2 위상차판(128)과 제 2 편광판(126)으로 투과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2 기판(130) 상에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 제 1 및 제 2 화소전극을 의미한다.)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ITO 전극(140a, 104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110) 상에 상기 공통전극(105) 과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컨택홀(H1, H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 2 기판(130) 상에 형성된 투명한 제 1 및 제 2 ITO 전극(140a, 140b)과 상기 제 1 기판(110) 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컨택홀(H1, H2)로 인해, 반사모드와 투과모드로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ITO 전극(140a, 140b)과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이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투명한 제 1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절연층(118)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절연층(118) 상에 보호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120) 상에 불투명한 도전성 금속인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 제 1 및 제 2 화소전극을 의미한다)이 형성된다.
동시에 상기 보호층(120) 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투명한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공통전극(105b)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과 상기 공통전극(105b)으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횡전계가 발생한다.
상기 보호층(120)과 게이트 절연층(118)을 식각하여 제 1 및 제 2 투과홀(H1, H2)을 형성한다. 상기 백라이트(100)에서 생성된 광원이 상기 제 1 및 제 2 투과홀(H1, H2)액정층을 거쳐 제 2 기판(130) 상으로 입사된다.
이러한 제조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투명한 제 1 기판(110) 배면에는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100)가 포함되고, 제 1 편광판(106) 및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1 편광판(106) 사이에서 빛의 위상차를 λ/4 만큼 변화시키는 값을 갖는 제 1 위상차판(108)을 더 포함한다.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40b)은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제 2 기판(130)상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기판(130)의 배면에는 제 2 편광판(도 5의 126)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판(130)과 제 2 편광판(126) 사이에는 빛의 위상차를 λ/4 만큼 변화시키는 값을 가지는 제 2 위상차판(도 5의 128)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판(106, 126)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판(108, 128)은 서로 90°의 각도차를 가진다.
외부로부터 발생한 광원이 상기 제 2 기판(130) 상에 입사되면, 상기 광원은 상기 제 2 기판(130)을 통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40b)을 거쳐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으로 입사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전극(107a, 107b)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상기 제 1 및 제 2 ITO 금속(140a, 140b)과 상기 제 2 기판(130)을 거쳐 상기 제 2 위상차판(128)과 상기 제 2 편광판(126)을 투과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투명한 재질의 도전성 ITO 금속을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기판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 1 기판 상에 소정의 투과홀을 형성하여 반사모드와 투과모드로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기판 상에 소정의 투과홀을 형성하고 제 2 기판 상에 투명한 재질의 도전성 ITO 금속을 형성하여, 백라이트로부터 공급된 광원은 상기 소정의 투과홀을 통해 상기 제 2 기판 상으로 투과하는 투과모드로 구동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발생한 광원은 상기 ITO 금속을 통해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으로 입사되어 상기 화소전극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 2 기판 상으로 투과하는 반사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상기 제 1 기판이 노출될때까지 식각되어 형성된 소정의 투과홀;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배면에 위치하여 서로 직교하는 편광축을 갖는 제 1 및 제 2 편광판;
    상기 제 2 기판 상에 상기 화소전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투명금속;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으로 외부광원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편광판 사이에 제 1 위상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편광판 사이에 제 2 위상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상차판은 90°의 각도차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투과홀은 상기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 구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배면에는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투명전극은 동일한 재질인 투명한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51314A 2005-06-15 2005-06-15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20060131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14A KR20060131108A (ko) 2005-06-15 2005-06-15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314A KR20060131108A (ko) 2005-06-15 2005-06-15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08A true KR20060131108A (ko) 2006-12-20

Family

ID=3781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314A KR20060131108A (ko) 2005-06-15 2005-06-15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11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541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ach with first and second branch electrodes
JP4883521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10076950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22242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69569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보상 필름 및 액정 디스플레이
JP433785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115774B1 (ko) 멀티 도메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6252A (ko)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와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KR101157290B1 (ko) 광시야각과 협시야각의 모드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그 제조방법
KR20080083791A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692742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US83848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organic alignment films having slow axe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by aligning polymer chains
KR20070066014A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117988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100958036B1 (ko) 멀티 도메인 광배향을 위한 배향막 노광용 마스크 장치
KR10071968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31108A (ko) 반투과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JP2008076503A (ja) 液晶表示装置
KR20070037092A (ko) 액정표시장치
KR101062696B1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0991540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8925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8661B1 (ko) 반투과 액정표시장치
KR20060035331A (ko) 표시장치
KR101332155B1 (ko) 반투과 수평전계인가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