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055A -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055A
KR20060125055A KR1020050046847A KR20050046847A KR20060125055A KR 20060125055 A KR20060125055 A KR 20060125055A KR 1020050046847 A KR1020050046847 A KR 1020050046847A KR 20050046847 A KR20050046847 A KR 20050046847A KR 20060125055 A KR20060125055 A KR 2006012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mobile terminal
information
body fat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474B1 (ko
Inventor
김유미
정재부
이주문
이상연
이명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7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은, A)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측정 센서부; B) 상기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고, 상기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에 대응하는 기준 값을 독출하여 상기 측정 값이 상기 기준 값으로부터 초과된 수치를 연산하여 경고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부; C) 상기 제어부에서 디지털화된 특정 성분 또는 이동 속도, 상기 특정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 값, 및 상기 경고 레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 건강 진단 센서, 혈당량, 운동량(속도량), 체지방

Description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HEALTH USING APPARATUS FOR MEASURING HEALTH AND SYSTEM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 측정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건강 측정 장치
110 : 건강 진단 센서
130 : 제어부
160 :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200 : 이동 단말기
300 : 이동 통신망
400 : 건강 관리 서버
500 : 의료 기관 서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당량, 운동량(속도량), 체지방 측정 기능을 구비한 건강 진단 센서가 구비된 건강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관리하기 위한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셀룰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S 등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유선 인터넷 뿐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도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의 건강 상태는 그 사람의 혈당량, 운동량(속도량), 체지방 등의 상태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될 수 있으므로, 각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검사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건강 상태 측정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 상태 측정기는 휴대용으로도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각종 건강 상태 측정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검사한다고 하여도 검사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현재 자신의 혈당량, 운동량(속도량), 체지방을 측정했다고 하여도 이 수치를 보고 자신의 몸 상태가 어떠한지를 알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각종 의학 서적, 인터넷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사항을 알 수는 있겠지만 정확성을 기하기 어려우며 특히 건강에 관계된 것인 만큼 정확한 판단은 필수적이지만 매일 병원에 들려 자신의 건강 상태를 문의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한, 각종 휴대용 측정 기구를 모두 구입하는데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종 휴대용 측정 기구를 항상 휴대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와 각종 건강 상태 측정기를 연동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 상태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해 줄 필요성이 크다 할 것이다.
또한, 현대인은 운동량이 현저하게 부족하므로 하루 동안의 운동량을 관리할 필요성 뿐만 아니라, 일별, 주간별, 월별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부족한 운동량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 측정 장치에 구비된 건강 진단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피측정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 측정 장치 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기초적인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건강에 이상 여부를 간편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는,
A)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측정 센서부;
B) 상기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고, 상기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에 대응하는 기준 값을 독출하여 상기 측정 값이 상기 기준 값으로부터 초과된 수치를 연산하여 경고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부;
C) 상기 제어부에서 디지털화된 특정 성분 또는 이동 속도, 상기 특정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 값, 및 상기 경고 레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은,
1)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추출하여 저장하며, 소정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수치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건강 측정 장치;
2) 상기 건강 측정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건강 측정 장치에 저장 된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건강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 데이터를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3)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상기 건강 데이터 또는 건강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에 따른 건강 정보를 독출하여 회송하기 위한 건강 관리 서버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은,
a)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각 양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수치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각 양 및 상기 단계(b)에서의 비교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강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건강 측정 장치(100), 이동 단말기(200), 이동 통신망(300), 건강 관리 서버(400), 및 의료 기관 서버(5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는 건강 진단 센서(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경고 메시지 생성부(140), 표시부(150), 저장부(160),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강 진단 센서(110)는 혈당량 측정센서(111), 체지방 측정센서(112), 운동량 측정 센서(113), 신호 증폭부(117), 및 A/D 변환부(119)를 포함한다.
상기 혈당량 측정센서(111)는, 피측정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접촉한 후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혈중 당 농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발생 시킨다.
상기 체지방 측정 센서(113)는 피측정자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체지방율 산출에 필요한 신체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표면에 접촉된 적극에 미세한 교류전류를 흘려주고 이 전극 양단에 전압을 측정하여 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게 된다.
체지방율은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데, 적당한 체지방은 신체기관을 보호하고 열을 차단하거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과다한 체지방은 신진대사를 원활하지 못하게 하여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의 성인병과 노화현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인체에서 적당한 체지방율을 유지하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상기 운동량 측정 센서(112)는, 예컨대, 만보기 등과 같은 속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시간별 운동량을 측정하게 된다.
상술한 혈당량 측정 센서(111), 체지방 측정 센서(112) 및 운동량 측정 센서(113)로부터의 각 측정값은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되고, 이 신호는 다시 증폭되어 상기 제어부(130)로 입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신호 증폭부(117)는 상기 혈당량 측정센서(111), 체지방 측정 센서(112) 및 운동량 측정 센서(113)에서 측정된 혈당량, 체지방,?운동량(속도량) 데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며, A/D 변환부(119)는 상기 신호 증폭부(117)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샘플링 하여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주기적 또는 소정 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건강 진단 센서(110)로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피측정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로 건강 상태 측정을 요청하는 경우,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건강 상태 측정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30)는 제어 신호를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로 출력한다. 또는,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에 입력부(120)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0)의 조작을 통해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A/D 변환부(119)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혈당량인 경우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에 내장된 저장부(160)에 저장된 소정 기간, 예컨대 하루 동안 정상인 혈당량의 기준 값을 독출하여, 상기 A/D 변환부 (119)로부터 출력된 혈당량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상기 혈당량의 기준 값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수치를 연산하여 초과된 수치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30)는 A/D 변환부(119)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체지방 수치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체지방 연산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고 연산 처리된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백분율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된 체지방에 대한 기준 값, 즉 인간의 신체정보(성별, 연령, 키, 몸무게)를 토대로 한 기준 수치를 독출하여 상기 체지방 수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기준 수치를 초과한 경우 초과된 수치를 연산하여 초과된 수치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건강 진단 센서(110)로부터 입력된 건강 측정값을 측정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연결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부(170)로 출력한다.
일 응용 예에서,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는 상기 경로 레벨에 상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고 메시지 생성부(140) 및 상기 알림 메시지 또는 각종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표시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응용 예에서,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에 소정의 램프가 형성되어 혈당량 및 체지방 수치가 설정치를 초과할 경우, 또는 사용자의 운동량이 설정 치에 못 믿치는 경우 등에는 상기 램프가 점멸 또는 붉은 색으로 점등 되는 것이 가능하다.
부언하면, 상기 측정 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된 혈당량은 날짜별로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체지방 수치는 주별 또는 월별로 그래프화 하여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뿐만 아니라, 운동량도 하루 동안의 사용자의 이동량 즉 이동 거리를 속도 데이터로부터 환산하여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예컨대, USB 단자를 지원하는 동글(Dongle)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기 건강 측정 값을 근거리 통신용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도 내장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RF(Radio Frequency), 및 초 광대역 통신(UWB) 등이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건강 표준 값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건강 표준 값은 정상 혈당량, 정상 체지방, 정상 운동량(속도량)등을 포함하며, 이들 값들은 각각 소정의 오차 범위를 갖는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건강 측정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건강 표준 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동시에 이동 통신망(300)을 통하여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건강 측정 값, 비교 결과, 및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가입자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의 일 예로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DN(Mobile Directory Number), 및 OMA 표준에서 정의된 클라이언트 ID(Client ID) 등이 있다.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건강 측정값, 비교 결과,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비교 결과를 검색하여 상기 건강 표준 값의 상한 값을 초과하거나 하한 값 미만인 경우 의료 기관 서버로 진료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진료 요청에 따라 의료 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의료진의 소견서, 진료 기록, 처방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의료진의 소견서, 진료 기록, 및 처방 정보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건강 측정/처방 정보 DB(Database)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측정 값이 전송된 날짜 및 상기 의료 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혈당량, 체지방율, 운동량(속도량) 등과 같은 건강 측정값을 참조하여 진료하는 해당 전문의가 근무하는 치료 기관의 명칭 정보, 해당 전문의가 소속되어 있는 전공 의료 분야, 해당 전문의의 성명 정보, 건강 측정값을 토대로 전문 의의 진료 내용을 나타내는 진료 내용 정보, 약 또는 약물의 지급이 필요할 경우 생성되는 처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의료 기관 서버(500)는 건강 관리 서버(400)로부터 진료 요청을 수신하면 진료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즉, 건강 측정값, 개인의 신체 정보, 그 동안의 병력 등을 의사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의사가 상기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의견을 진술하고 필요한 경우 소견서, 처방전 등을 작성하여 상기 의료 기관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의료 기관 서버(500)는 채팅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접수되는 질의에 실시간으로 응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건강 측정 장치(10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혈당량 및 체지방을 측정하고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를 소유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센서부(110)는 상기 운동량 및/또는 혈당량 및 체지방을 추출하고,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데이터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S300).
이후, 상기 측정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혈당량을 소정 시간 동안 합산하여 저장하는데, 상기 소정 시간은 하루, 이틀, 일주일 등으로 사용자가 설정한다(S305, S310).
이후, 상기 합산된 혈당량이 소정 시간에 따른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합산된 혈당량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한다(S315, S320).
일 응용 예에서, 상기 건강 측정 장치(100)에 표시부(150)가 구비된 경우에는, 경고 레벨이 결정되면 경고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경고 레벨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한다. 다른 응용 예에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램프의 점멸 또는 음성 메시지이다. 또한, 상기 단계(S315)에서 혈당량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현재량 및 기준 값을 대비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혈당량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 경우에는 소정의 메모리에서 합산된 혈당량을 삭제하여 제로(0)로 만든다.
상기 단계(S350)에서 측정 성분이 체지방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체지방율 연산 프로그램에 의해 피측정자 체중에 차지하는 지방으로부터 체지방율을 연산한다(S355).
상기 체지방율이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어느 정도 초과하는지에 따라 경고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한다(S360). 그러나, 상기 체지방율이 기준 수치 이하인 경우 현재 상태를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 및/또는 상기 현재 상태 및 기준 수치를 상기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건강 관리 서버(400)로 건강 관리를 받고자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건강 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의 건강을 관리해 줄 것을 요청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이동 단말기(200)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측정된 혈당량 및/또는 체지방율을 전송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혈당량 및/또는 체지방율을 기반으로 건강 정보 및 소정의 건강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부언하면, 상기 운동량 정보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운동량 정보를 날짜 정보와 함께 이동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또한, 상기 운동량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목표 운동량을 비교한다. 상기 목표 운동량은 일일 혈당량, 주별 또는 월별 체지방율에 따른 소정의 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개인의 신체 조건, 질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상기 운동량 정보와 상기 목표 운동량을 비교한 결과를 이동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날짜 별로 누적된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비교 결과는 그래프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유선 인터넷 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체중 관리 및/또는 건강 관리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중 관리 및/또는 건강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개별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해야 된다. 체중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 등록해야 되는 상기 개별 정보로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신체 조건을 포함하며, 건강 관리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부가적으로 질병 내역 등을 등록하도록 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체중 관리 및/또는 건강 관리 요청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개별 정보를 등록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량 정보 및 현재 체중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체중 정보를 저장되어 있는 체중 정보와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업 데이트를 수행한다. 상기 체중 정보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에 등록된 개별 정보에 포함된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건강 관리 서버(400)는 상기 개별 정보에 따라 상기 운동 기기 이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운동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 내부에 형성된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한 시간 내에 발생한 혈당량 및 체지방율을 정량화하여 획득하고 피측정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건강체크 및 건강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이 운동을 할 때마다 그 운동량을 이동 단말기에 저장하여 관리하므로 자신이 평소에 운동을 어느 정도 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맞는 운동량 또는 사용자가 스스로 정한 목표 운동량과 사용자의 운동량을 비교하여 제공 받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운동 상태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알 수 있다.
게다가, 자신의 체중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자신의 체중에 적절한 체중 관리 프로그램을 이동 단말기로 제공 받음으로써 체중이 표준 체중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적절한 식이요법 및 추천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5)

  1. A)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측정 센서부;
    B) 상기 측정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고, 상기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에 대응하는 기준 값을 독출하여 상기 측정 값이 상기 기준 값으로부터 초과된 수치를 연산하여 경고 레벨을 결정하는 제어부;
    C) 상기 제어부에서 디지털화된 특정 성분 또는 이동 속도, 상기 특정 성분에 대응하는 기준 값 및 상기 경고 레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부는,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만보기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부는,
    피측정자의 혈당량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량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부는,
    피측정자의 체지방율을 측정하기 위한 체지방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부는,
    피측정자의 혈당량 또는 체지방율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및
    상기 신호 증폭부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A/D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센서부가 흡연량 측정 센서인 경우,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흡연량 기준 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경고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경고 레벨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로부터 전송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합산된 혈당량 및 체지방율이 날짜 정보와 함께 저장되며, 상기 합산된 혈당량 및 체지방율은 날짜 정보와 함께 각각 그래프로 구현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단자를 지원하는 기기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
  11. 1)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추출하여 저장하며, 소정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수치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건강 측정 장치;
    2) 상기 건강 측정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건강 측정 장치에 저장된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건강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 플레이 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 데이터를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3)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저장된 상기 건강 데이터 또는 건강 관리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에 따른 건강 정보를 독출하여 회송하기 위한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측정 장치는,
    피측정자의 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운동량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량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운동량은 날짜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운동량 및 날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경고 레벨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경고 메시지 생성부로부터 전송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단자를 지원하는 기기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6. a) 피측정자의 혈당량, 체지방율 또는 운동량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각 양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된 수치에 따른 경고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각 양 및 상기 단계(b)에서의 비교 결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강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e)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합산된 혈당량 및 체지방율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f)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요청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소정 시간 동안 합산된 혈당량, 체지방율 및 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수신된 혈당량, 체지방율 및 운동량을 기반으로 건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h)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혈당량, 체지방율 및 운동량을 시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이동 속도로부터 날짜별 운동량 정보를 연산하고 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j)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운동량 정보를 혈당량 및 주별 또는 월별 체지방율에 따른 소정의 운동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목표 운동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된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운동량 정보와 설정된 목표 운동량과의 비교 결과는 그래프로 변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k)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하는 개별 정보가 건강 관리 서버에 등록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문의하는 단계;
    l) 상기 건강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운동량 및 상기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m) 상기 사용자의 체중 정보가 상기 개별 정보에 포함된 체중 정보와 상이한 경우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n)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p)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체중 관리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체중 관리에 따른 체중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1020050046847A 2005-06-01 2005-06-01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3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847A KR100735474B1 (ko) 2005-06-01 2005-06-01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847A KR100735474B1 (ko) 2005-06-01 2005-06-01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055A true KR20060125055A (ko) 2006-12-06
KR100735474B1 KR100735474B1 (ko) 2007-07-03

Family

ID=3772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847A KR100735474B1 (ko) 2005-06-01 2005-06-01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4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678A3 (en) * 2010-07-13 2012-03-08 Philosys Co., Lt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blood glucose meter having step counter function
KR101145142B1 (ko) * 2010-11-09 2012-05-14 이지케어텍(주) 당뇨병 관리 전문가의 의사결정 룰을 채용한 유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당뇨병 관리방법
KR101277175B1 (ko) * 2011-02-16 2013-06-19 주식회사 에바코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인바디 측정 부재
KR102591973B1 (ko) * 2023-04-24 2023-10-24 (주)파밀리데이터 시니어 돌봄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088A (ja) 1997-10-06 1999-04-20 Koji Akai 居場所及び身体状態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0374979B1 (ko) * 2001-02-28 2003-03-06 천영선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을 통한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8953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진단 시스템
KR20030058711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678A3 (en) * 2010-07-13 2012-03-08 Philosys Co., Lt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blood glucose meter having step counter function
KR101141251B1 (ko) * 2010-07-13 2012-05-04 주식회사 필로시스 만보기 기능을 가지는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
KR101145142B1 (ko) * 2010-11-09 2012-05-14 이지케어텍(주) 당뇨병 관리 전문가의 의사결정 룰을 채용한 유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당뇨병 관리방법
KR101277175B1 (ko) * 2011-02-16 2013-06-19 주식회사 에바코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인바디 측정 부재
KR102591973B1 (ko) * 2023-04-24 2023-10-24 (주)파밀리데이터 시니어 돌봄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474B1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0409B2 (ja) 生体情報活用システム、生体情報活用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4239415B (zh) 一种健康信息数据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JP4552878B2 (ja) 活動量計及び活動量演算システム
CN104768460A (zh) 用于测量肺容量和耐力的系统和方法
WO2004014228A1 (ja) データ測定装置、ヘルスケアデータ取得システムおよびヘルスケアデータ取得方法
US9506910B2 (en) Urine component analysis device
KR20060124082A (ko)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N110689938A (zh) 一种健康监测一体机和健康监测管理系统
CN103784124B (zh) 人体健康数据自动存储方法
KR100735474B1 (ko)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3284B1 (ko) 무채혈 혈당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20092420A (ko)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JP201008622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測定端末及びサーバ
CN111430047A (zh) 线下线上结合的自助医疗问诊方法及系统
KR100716417B1 (ko)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JP201312144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100673237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0467338U (zh) 一种健康监测一体机
KR100654555B1 (ko) 무채혈 혈당 측정 센서가 내장된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8525B1 (ko) 구취/공기 오염 감지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TWI664952B (zh) 穿戴式體重檢測系統及計算體重變化量的方法
KR20070101659A (ko) 헬스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00045153A (ko) 욕실의 신체 상태 측정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4299A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CN110895962A (zh) 健康周报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