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448A -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448A
KR20060124448A KR20050046380A KR20050046380A KR20060124448A KR 20060124448 A KR20060124448 A KR 20060124448A KR 20050046380 A KR20050046380 A KR 20050046380A KR 20050046380 A KR20050046380 A KR 20050046380A KR 20060124448 A KR20060124448 A KR 20060124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integrated video
video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4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019B1 (ko
Inventor
김유미
한은석
최지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0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0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영상 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가 장착된 송신 단말;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쳐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되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되는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 접수되는 다수의 동영상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 영상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을 유선 단말로 접속시켜 화상채팅, VOD 촬영, 포토촬영 등을 실행하고, 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도록 함에 따라, 동영상에 대한 교류를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단말은 유선 단말로 USB 포트, IrDA, 블루투스 등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구현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카메라, 카메라폰, 동영상, 화상채팅, VOD, AOD, 통신, USB, IrDA, 블루투스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 IMAGE SERVICE USING CAMERA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나타낸 VOD 화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동통신망 103 : WAP 서버
105 : 인터넷 109 : 관리서버
111 : 데이터베이스 113 : 단말
115 : 이동단말 117 : 송신단말
201 : 통신모듈 203 : 웹페이지 운용모듈
205 : 인증부 207 : 화상채팅 모듈
209 : VOD 운용모듈 211 : 포맷 설정부
213 : 포토촬영 모듈 215 :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카메라로 촬상된 동영상을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탑재하여 화상채팅, 포토 서비스, 브이오디(VOD), 에이오디(AOD)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은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통신 단말기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화상 송수신 등의 기능과 음성 송수신 기능이 함께 구현된 휴대용 복합통신 단말기가 구현되었다. 이러한 복합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평소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예컨대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현해 놓은 일명 카메라폰이 개발되었다. 사용자는 갑자기 어떠한 장면이나, 업무상 필요한 피사체를 찍어 간직하고 싶을 때 이러한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면을 찍어 내부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촬영한 화상을 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PC(Personal Computer) 등과 연결하여, PC의 화면으로 출력 및 PC에 저장할 수도 있다. 최근 들어 TV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일명 TV폰)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터넷 정보를 다운받을 수 있는 통신단말기 및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모두 수행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데, 일반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를 유선 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동 전화기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공간적, 시간적 제한 없이 각종 정보 검색이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간에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채팅 서비스, 예를 들면 웹 기반의 양방향 대화형 통신 방식의 하나로 화상 채팅이나 문자 채팅 또는 음성 채팅 등과 같은 다양한 채팅 서비스가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채팅 서비스를 손쉽게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채팅 서비스는 중요한 사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인터넷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이에 관련한 다수의 컨텐츠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컨텐츠를 기반으로 인터넷 환경 및 모바일 환경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컨텐츠와 모바일 간의 네트워크 접속은 통신환경의 기반을 보다 확고히 하여, 모바일과 인터넷 단말기간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단말기와의 채팅이 가능하도록 한 컨텐츠로서, 모바일을 대상으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WAP/Web에 기반을 둔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의 음성 통화가 결합된 방식으로 문자 위주의 채팅 문제점을 보완하여 모바일과 인터넷 단말기 간의 문자/음성 채팅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술한 채팅 서비스는 문자화된 채팅 서비스만을 제공하여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많은 통신자원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텐츠의 활용범위가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에서 생성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특정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여 화상채팅, 포토 서비스, VOD, AOD 등과 같은 영상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간 또는 모바일과 인터넷 단말과의 실시간 화상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텍스트화된 정보교류를 벗어나 음성 및 영상에 의한 폭 넓은 정보가 교류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에서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개별 생성되는 영상, 음향 등의 정보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모바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정보 수집의 폭을 극대화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영상 서비스 운 용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가 장착된 송신 단말;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며, 상기 영상에 대한 취합 관리를 기반으로 통합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시스템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쳐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되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되는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 접수되는 다수의 동영상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은, USB 포트, 적외선 포트(IrDA), 블루투스, WLAN,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는, 화상 채팅 서비스, VOD 촬영 서비스, Photo 촬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수의 웹페이지를 운용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 운용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화상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자와의 통신로를 설정하고, 화상채팅을 위한 초기 화면 포멧을 제공하는 화상채팅 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브이오디(VOD)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동영상을 저장 관리하며, 소정의 포멧화된 화면상으로 각종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VOD 운용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포토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화면을 저장 관리하며, 소정의 포멧화된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포토촬영 모듈; 및 상기 VOD 운용모듈 및 포토촬영 모듈의 기동시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영상 서비스 운용 방법에 있어서, a)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유선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유선단말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는 단계; 및 c) 상기 영상에 대한 취합 관리를 기반으로 통합 영상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통합 영상 서비스 생성은, c-1)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c-2)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되는 영상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는, 화상 채팅 서비스, VOD 촬영 서비스, Photo 촬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 채팅 서비스는, 웹 카메라가 장착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간 화상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채팅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VOD 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별로 축적하되, 해당 영상에 대한 제목, 내용 등을 포함하며, 상기 포토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을 테마별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01) 및 유무선 통신망(105)을 포괄하는 유무선 통신망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쳐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113)과, 상기 단말(113)과 소정의 접속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송신 단말(117)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105)으로 탑재되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되는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109)와, 상기 관리서버(109)로 접수되는 다수의 동영상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1)로 구성된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이동통신망(101)과 인터넷(105)과의 호환을 위한 WAP 서버 또는 WAP 게이트웨이(103 : WAP G/W)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망(101)에는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임의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폰을 갖는 이동단말(115)이 접속된다.
상기 송신단말(117)은 카메라를 장착하며, 송신단말(117)의 카메라로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접속수단(119)을 통해 단말(113)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수단(119)은 유선 및 무선이 가능하며, 유선은 USB 포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일 경우 송신단말(117)로 구비되는 적외선 포트(IrDA)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접속수단(119)은 RF 방식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WLAN,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109)에서 제공되는 통합 영상 서비스는 화상 채팅, VOD 촬영, Photo 촬영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채팅 서비스는 웹 카메라가 장착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과 상기 송신단말(117)과 접속되는 단말간의 화상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채팅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VOD 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117)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별로 축적하되, 해당 영상에 대한 제목, 내용 등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에 반해, 상기 포토 촬영은 송신단말(117)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을 테마별로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는 유료화된 시스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201)과,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수의 웹페이지를 운용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 운용모듈(203)과,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화상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자와의 통신로를 설정하고, 화상채팅을 위한 초기 화면 포멧을 제공하는 화상채팅 모듈(207)과,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브이오디(VOD)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동영상을 저장 관리하며, 소정의 포멧화된 화면상으로 각종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VOD 운용모듈(209)과,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포토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화면을 저장 관리하며, 소정의 포멧화된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포토촬영 모듈(213)과, 상기 웹페이지 운용모듈(203)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되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05)와, 상기 VOD 운용모듈(209) 및 포토촬영 모듈(213)의 기동시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21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포멧화된 화면은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111)는 다수 종류의 포멧화면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09)는 VOD 운용모듈(209) 및 포토촬영 모듈(213)로 포멧화된 화면을 제 공할 수 있는 포멧 설정부(2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VOD는 동영상 또는 영화를 선택적으로 시청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실시간 주문형 오디오(AOD)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S301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단말(113)은 유무선 통신망(105)으로 접속한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105)은 이동통신망(101)과 인터넷(105)을 포함하며, 이종망 연결을 위한 WAP 서버(게이트웨이)(103)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113)은 인터넷(105)과 접속되는 유선 단말기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101)과 접속 가능한 이동단말(1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13) 또는 이동단말(115)은 웹카메라가 장착되거나 단말의 일측으로 휴대폰 카메라가 장착된다.
반면, 상기 단말 즉, 유선단말(113)이 웹카메라를 보유하지 않을 경우, 카메라가 장착된 송신단말(117)을 상기 단말(113)과 접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송신단말(117)은 단말(113)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상호 접속할 수 있으며, 송신단말(117) 및 단말(113)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은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 WLAN, DSRC, NFC 등이 가능하며 RF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송신단말(117)을 단말(113)로 접속한 후, 사용자는 단말(113)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109)로 접속한다. 관리서버(109)는 S305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통신모듈(201)을 통해 상기 단말(113)의 접속상태를 인지한다. 관리서버(109)의 웹페이지 운용모듈(20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11)로 기 저장 된 웹페이지를 상기 단말(113)로 제공한다. 단말(113)은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웹페이지 운용모듈(203)은 상기 인증부(205)를 기동하여 단말(113)의 인증요청에 응답한다. 상기 인증부(205)는 접속된 단말(113)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인증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인증서버와 연동한다. 인증결과는 상기 웹페이지 운용모듈(203)로 통지된다. 웹페이지 운용모듈(203)은 다음 절차에 따라, 상기 단말(113)로 통합 영상 서비스의 선택을 요구한다.
S307 단계에서, 관리서버(109)는 화상채팅 서비스, VOD 촬영 서비스 및 포토 촬영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는 단말(113)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되, S309 단계와 같이 화상채팅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S311 단계로 진입한다. 이는 상기 화상채팅 모듈(207)이 기동되는 것으로, 상기 화상채팅 모듈(207)은 단말(113)로부터 동영상이 제공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113)로부터 동영상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관리서버(109)는 시스템 오류를 경고한다. 반면,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이 감지될 경우, S311 단계에서 상기 화상채팅 모듈(207)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11)로 기 저장된 화상채팅을 위한 포멧화된 화면을 추출한다. 포멧화된 화면은 상기 단말(113)로 제공되며, 상기 화면상으로 송신단말(117)로부터 촬상되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후, S313 단계에서, 상기 화상채팅 모듈(207)은 또 다른 단말로부터 화상채팅이 요청됨을 인지하여 상기 단말(113)과의 동영상 교류를 제어한다.
상기 포멧화된 화면은 채팅 인원에 따라 설정되며, 포멧 설정부(211)는 접속 자 인원에 따라 적절한 화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신단말(117)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은 화상채팅 모듈(207)을 통해 다수의 접속자와 교류한다. 물론, 텍스트화된 정보 또는 음성 정보의 교류가 부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S309 단계에서 사용자는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한 선택시, S315 단계를 통해 VOD 촬영 서비스가 선택될 경우, S317 단계로 진입하여 관리서버(109)는 VOD 운용모듈(209)을 기동한다. 상기 VOD 운용모듈(209)은 포멧 설정부(211)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11)에 기 저장된 포멧 화면을 추출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13)은 다수 종류의 포멧 중 어느 하나의 포멧 화면을 선택한다. S319 단계에서, 상기 VOD 운용모듈(209)은 단말(113)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을 사용자 ID별로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는 동영상과 더불어 해당 영상에 대한 제목, 내용 등을 텍스트화된 정보로 입력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D 촬영은 송신단말(117)을 통해 촬상된 영상을 텍스트화된 정보와 더불어 저장하는 것으로, 해당 웹페이지 일측으로 동영상을 실행할 수 있는 제어키(401)와, 상기 동영상에 대한 제목정보(403) 및 동영상에 대한 내용정보(405)를 포함한다. 상술된 화면은 사용자 ID별로 구성되거나, VOD 영상을 업로드한 접속자 순으로 저장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11)는 포멧 화면과 더불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 ID에 대응하도록 저장하며, 상기 VOD 운용모듈(209)은 동영상에 대한 재생 제어 즉, 저속 재생, 고속 재생, 반복 재생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알고 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15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113)로부터 포토촬영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관리서버(109)는 S321 단계로 진입한다. 이는 단말(113)로부터 포토촬영 서비스가 요청된 것으로, 관리서버(109)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포토촬영 모듈(213)을 기동한다. 상기 포토촬영 모듈(213)은 포멧 설정부(211)를 통해 포토촬영을 위한 다수의 포멧 화면을 제공받는다. 상기 포멧 화면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정보로서, 포토촬영을 위한 다수의 배경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단말(113)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배경화면 즉, 포멧 화면을 설정한 후, 송신단말(117)에서 촬상된 또는 기 촬상된 화면을 업로드한다. S323 단계에서, 상기 포토촬영 모듈(213)은 사용자 ID별로 접수되는 화면과 사용자가 설정한 포멧 화면을 상호 매칭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111)로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109)는 단말(113)로부터 접수되는 통합 영상을 취합하여 임의의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단말(113)은 시간에 관계 없이 상기 관리서버(109)에서 제공하는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115)은 이동통신망(101)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109)로 접속함에 따라, 관리서버(109)에서 제공하는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송신단말(117)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109)로 업로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115)에서 실시간 촬상된 영상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105)을 통해 관리서버(109)로 업로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을 유선 단말로 접속시켜 화상채팅, VOD 촬영, 포토촬영 등을 실행하고, 이를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도록 함에 따라, 동영상에 대한 교류를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단말은 유선 단말로 USB 포트, IrDA, 블루투스 등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구현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5)

  1.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영상 서비스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가 장착된 송신 단말;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며, 상기 영상에 대한 취합 관리를 기반으로 통합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영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으로 구성되며, 이종망 접속을 위한 WAP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시스템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접속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쳐 통합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되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되는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제어하기 위한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 접수되는 다수의 동영상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기 위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에 대한 유선 접속장치는,
    상기 단말의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에 대한 무선 접속장치는,
    적외선 포트(IrDA), 블루투스, WLAN,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는,
    화상 채팅 서비스, VOD 촬영 서비스, Photo 촬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채팅 서비스는,
    웹 카메라가 장착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간 화상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채팅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VOD 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별로 축적하되, 해당 영상에 대한 제목, 내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을 테마별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채팅 서비스 또는 VOD 촬영 서비스 또는 포토촬영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유료이며, 상기 관리서버는 과금서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다수의 웹페이지를 운용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웹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 운용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화상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자와의 통신로를 설정하고, 화상채팅을 위한 초기 화면 포멧을 제공하는 화상채팅 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브이오디(VOD)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동영상을 저장 관리하며, 소정의 포멧화된 화면상으로 각종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VOD 운용모듈;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 중 포토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화면을 저장 관리하며, 소정의 포멧화된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포토촬영 모듈; 및
    상기 VOD 운용모듈 및 포토촬영 모듈의 기동시 단말로부터 접수되는 각종 영상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 운용모듈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되는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멧화된 화면은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 종류의 포멧화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15.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영상 서비스 운용 방법에 있어서,
    a)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유선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유선단말과 상기 유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는 단계; 및
    c) 상기 영상에 대한 취합 관리를 기반으로 통합 영상 서비스를 생성하고,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탑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송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통합 영상 서비스 생성은,
    c-1)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c-2)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접수되는 영상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기 위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에 대한 유선 접속장치는,
    상기 단말의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에 대한 무선 접속장치는,
    적외선 포트(IrDA), 블루투스, WLAN,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21.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영상 서비스는,
    화상 채팅 서비스, VOD 촬영 서비스, Photo 촬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 상의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채팅 서비스는,
    웹 카메라가 장착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간 화상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채팅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VOD 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별로 축적하되, 해당 영상에 대한 제목, 내용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촬영 서비스는,
    상기 송신단말로부터 생성되는 다수의 화면을 테마별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채팅 서비스 또는 VOD 촬영 서비스 또는 포토촬영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유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방법.
KR1020050046380A 2005-05-31 2005-05-31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80A KR100701019B1 (ko) 2005-05-31 2005-05-31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80A KR100701019B1 (ko) 2005-05-31 2005-05-31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48A true KR20060124448A (ko) 2006-12-05
KR100701019B1 KR100701019B1 (ko) 2007-03-27

Family

ID=3772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80A KR100701019B1 (ko) 2005-05-31 2005-05-31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02B1 (ko) * 2006-12-08 2008-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src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합 단말 장치와 그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002A1 (en) * 2008-11-27 2010-06-03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An electrically conductive and anti-corrosive coating composition,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 article coated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632B1 (ko) * 1994-12-30 1998-07-01 김준성 평판디스플레이 소자의 진공봉입 방법
KR960025979A (ko) * 1994-12-30 1996-07-20 김준성 평판표시 소자의 진공실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02B1 (ko) * 2006-12-08 2008-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src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통합 단말 장치와 그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019B1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7202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establishing method and program
JP4114421B2 (ja) 電子機器装置、サーバ装置、レイアウト記述文書の提供方法
KR101643238B1 (ko) 공유된 장치 및 개인용 장치를 이용한 개인맞춤화된 사용자 기능의 협력적 제공
JP6385429B2 (ja) ストリーム・メディア・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964722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WO2018076358A1 (zh) 多媒体信息播放方法及系统、标准化服务器、直播终端
JP2017501598A5 (ko)
JP5349656B1 (ja) 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845684A1 (en) Content repurposing
CN106303286B (zh) 图片处理方法、发送方法、处理装置及发送装置
JP2019122027A (ja) 撮像動画サービスシステム、撮像動画表示方法、通信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01019B1 (ko)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868620A (zh) 基于电视机的远程互动系统及方法
US8407312B2 (en) Data delivery apparatus
KR100980198B1 (ko) Iptv 기반의 노래방 서비스와 연계된 셀프 동영상 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90011729A (ko) 노래방 기기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93492B1 (ko) 사용자 제작 컨텐츠 편집 및 서비스 방법
KR100671147B1 (ko) 명장면 체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1289B1 (ko) 동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50050909A (ko) 촬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촬영 단말기와 통신하는 그룹 영상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JP2008259009A (ja) 情報記録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方法
JP2005074856A (ja) 印刷システム
KR2006005946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를 활용한 웹 서비스
WO2019130585A1 (ja) 撮像動画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バ装置、撮像動画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28249A (ja) 電子メール配信用の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