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361A -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361A
KR20060124361A KR1020050046250A KR20050046250A KR20060124361A KR 20060124361 A KR20060124361 A KR 20060124361A KR 1020050046250 A KR1020050046250 A KR 1020050046250A KR 20050046250 A KR20050046250 A KR 20050046250A KR 20060124361 A KR20060124361 A KR 2006012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digital camera
memory card
uniq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157B1 (ko
Inventor
하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15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독출하여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적합한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메모리카드를 탑재하기 위한 메모리 슬롯;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되는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각종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및 영상파일 포맷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디코더로 전달하고, 사용자 명령이나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입력되는 사진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제어부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변환시켜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 및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진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스크린에 출려시키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카드, 텔레비젼, 사진, 영상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hoto image of digital camera in television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사진영상 처리 장치 110: 메모리 슬롯
120: 디코더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50: 신호 변환부
160: 스크린 170: 영상 처리부
200: 메모리카드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독출하여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적합한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영상이나 오디오 등 여러 형태의 정보를 결합하는 멀티미디어 분야까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디지털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요즘은, 그 정보의 저장 및 존재 형태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비교적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동영상데이터의 압축 표준인 MPEG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영상데이터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있어 컴퓨터, 방송, 가전, 통신 등 점차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가 제공되고,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디지털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중 TV는 일상 생활에서 쉽고, 효과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디지털 기술에 힘입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MPEG 기술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많은 양의 정보를 더욱 빠르고 안정 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TV의 등장으로 더욱 많은 방송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생생한 음향으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용량을 4~8배로 늘릴 수 있어 스포츠, 영화, 홈쇼핑,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공중파 방송을 비롯하여 케이블 방송, 주문형 비디오 등 갈수록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는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TV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영상을 TV를 통해 출력하지 못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공개특허공보 제 1998-0010584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상 촬영을 위한 포커싱 및 줌잉 동작을 수행하는 광학계와, 광학계에서 촬영된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또 저장하기에 적당하게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 전기신호를 저장하는 수단, 그리고 이 들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수단을 갖추고, 화상을 촬영하여 그 화상 정보를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에 기억시켰다가 인화 또는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현재는 TV가 메모리에 기록된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을 독출하여 선명한 사진영상을 출력하고 있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독출하여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적합한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한 사진영상을 독출하여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적합한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텔레비젼 수상기를 통해 선명한 사진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를 탑재하기 위한 메모리 슬롯; 상기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되는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각종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및 영상파일 포맷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상기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디코더로 전달하고, 사용자 명령이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입력되는 사진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진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려시키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가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탑재되면, 상기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디코딩한 후, 디코딩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합한 신호체계로 변환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독출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고유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확인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독출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되어 설정된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확인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가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탑재되면, 상기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디코딩한 후, 디코딩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합한 신호체계로 변환시키는 제 1 단계;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과 같은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과 일치되도록 사진영상의 화면 상태를 조정하는 제 3 단계;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에 따라 사진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세팅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내용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세팅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세팅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진영상 처리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200)를 탑재하기 위한 메모리 슬롯(110)과, 메모리 슬롯(110)에 탑재된 메모리카드(200)로부터 독출되는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120)와, 각종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및 영상파일 포맷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0)와, 메모리 슬롯(110)에 탑재된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디코더 (120)로 전달하고, 사용자 명령이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입력되는 사진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와, 디코더(120)에 의해 디코딩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제어부(140)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변환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150)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160)과,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사진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려시키는 영상 처리부(170)를 구비한다.
메모리 슬롯(110)은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200)를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부분에 노출되도록 부착되며, 이러한 메모리 슬롯(110)에 탑재되는 메모리카드(200)에는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가 압축되어 기록된다.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는 메모리카드(200)가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볼륨 넘버 등이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디코더(120)는 메모리 슬롯(110)에 탑재된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등이 제어부(140)에 의해 독출되어 입력되면, 독출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등을 디코딩하여 압축을 푼 다음 신호 변환부(150)로 전달한다.
저장부(1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서, 램(RAM)이나 이이프롬(EEPRO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 : Hard Disc Dr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130)에는 제어부(140)에 의해 라이팅되는 각종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및 영상파일 포맷 등이 각각 링크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파일 포맷에는 카메라 제조회사, 제품모델,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EXIF ifd tag 정보 및 IFDO의 tag 정보 등이 내포되어 기록되는데, 이러한 영상파일 포맷으로는 JFEG 파일 포맷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XIF ifd tag 정보에는 EXPOSE_TIME, F_NUMBER 및 EXPOSE_PROG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고, 또한 IFDO의 tag 정보에는 IMAGE_WIDTH, IMAGE_HEIGHT 및 MODEL_CAM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영상파일 포맷은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구비되는 모뎀(미도시)을 통해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또는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되어 텔레비젼 수상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진 촬영 당시의 촬영조건 등에 관한 부가정보가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되어 텔레비젼 수상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영상에 관한 영상 화면의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 등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는 경우, 이러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이 제어부(140)에 의해 라이팅되면,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 화면의 조정 값들을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메모리 슬롯(110)에 탑재된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을 독출하여 디코더(120)로 전달하고, 디코더(120)에 의해 디코딩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가 신호 변환부(150)를 통해 적합한 신호체계로 변환되어 입력되면, 저장부(130)를 검색하여 입력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영상파일 포맷을 읽어와서 영상 처리부(170)로 전달하고 동시에 입력된 사진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7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저장부(130)로부터 읽어온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사진영상 데이터를 스크린(160)에 출력시키도록 영상 처리부(170)를 제어한다.
만일, 확인결과 입력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사진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70)로 전달하고 이 사진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력시키도록 영상 처리부(170)를 제어한다. 이렇게,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된 사진영상이 스크린(160)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영상 화면의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 등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사진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스크린(160)의 화면 상태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 등에 따라 조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해 입력한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 등을 세팅하도록 지시하면, 제어부(140)는 이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메모리카드(200)로부터 독출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소정의 영상처리모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물이나 비디오 플레이어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물의 영상신호를 스크린(160)에 출력시킬 때의 영상 화면의 처리 상태로서,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호 변환부(150)는 메모리카드(200)로부터 독출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가 디코딩된 후 입력되면, 이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변환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사진영상신호를 스크린(160)에 출력시키되,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입력되는 사진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력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장치가 텔레비젼 수상기로 입력되는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과정에 대해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영상이 기록된 메모리카드(200)를 메모리 슬롯(110)에 탑재하면(S201), 제어부(140)는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을 독출하여 디코더(120)로 전달하고(S202), 디코더(120)는 독출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을 디코딩하여 압축을 푼 다음 영상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S203). 그리고, 영상 처리부(150)는 디코딩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제어부(140)에 적합한 신호체계로 변환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한다(S204).
이렇게 메모리카드(200)에 기록된 사진영상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를 검색하여 입력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S205), 확인결과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저장부(130)에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되어 저장된 영상파일 포맷을 읽어와서 영상 처리부(170)로 전달하고 동시에 입력된 사진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70)로 전달한다(S206). 이때, 영상 처리부(17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된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사진영상의 화면을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력시킨다(S207).
확인 과정(S205)에서의 확인결과 입력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사진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70)로 전달하고 이 사진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력시키도록 영상 처리부(170)를 제어하며(S208), 그리고 영상 처리부(170)는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사진영상의 화면을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력시킨다(S209).
이러한 사진영상의 화면이 출력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사용해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 등을 입력하면(S210), 영상 처리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입력된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에 맞도록 출력중인 사진영상의 화면을 조정한다(S211).
이때, 제어부(140)는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을 세팅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내용,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을 세팅하시겠습니까?"를 영상 처리부(170)를 통해 스크린(160)에 출력시킨다(S212).
그리고, 제어부(140)는 표시된 질의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세팅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13), 판단결과 세팅 거절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을 세팅하지 않는다.
판단 과정(S213)에서의 판단결과 세팅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40)는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메모리카드(200)로부터 독출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214). 이에 따라, 차후에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영상이 입력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에 따라 사진영상의 화면을 처리하여 스크린(160)에 출력시킨다.
한편, 사진영상 출력 과정(S207)에서와 같이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사진영상을 스크린(160)에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에 의한 영상 화면의 조정값을 입력하고 세팅하는 과정(S210 내지 S214)들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이 재세팅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 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독출하여 해당 디지털 카메라에 적합한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상에 출력함으로써, 선명한 사진영상을 제공하고,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영상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스크린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를 탑재하기 위한 메모리 슬롯;
    상기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되는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각종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및 영상파일 포맷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상기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디코더로 전달하고, 사용자 명령이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입력되는 사진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진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려시키는 영상 처리부
    를 포함하는 사진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종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 및 영상파일 포맷은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영상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가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영상파일 포맷이 상기 저장부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사진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시키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사진영상이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과 같은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과 일치되도록 사진영상의 화면 상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세팅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컨 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과 같은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상기 메모리카드가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영상 처리 장치.
  6. 스크린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가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탑재되면, 상기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디코딩한 후, 디코딩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합한 신호체계로 변환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독출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동일한 고유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확인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독출한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되어 설정된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 3 단계; 및
    확인결과 동일한 고유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사진영상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과 같은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과 일치되도록 사진영상의 화면 상태를 조정하는 제 5 단계;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에 따라 사진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세팅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내용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세팅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세팅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진영상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과 같은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이 입력되면, 소정의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출력되고 있는 사진영상의 화면 상태를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과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영상 처리 방법.
  9. 스크린을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가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탑재되면, 상기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독출하여 디코딩한 후, 디코딩한 사진영상 데이터와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를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에 적합한 신호체계로 변환시키는 제 1 단계;
    소정의 영상처리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스크린에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독출한 사진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트라스트 값, 브라이트니스 값, 감마 값 및 색상 값과 같은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과 일치되도록 사진영상의 화면 상태를 조정하는 제 3 단계;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에 따라 사진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세팅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내용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세팅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화면의 조정값들을 상기 메모리카드로부터 독출된 해당 디지털 카메라의 고유정보와 링크시켜 세팅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사진영상 처리 방법.
KR1020050046250A 2005-05-31 2005-05-31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6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50A KR100761157B1 (ko) 2005-05-31 2005-05-31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50A KR100761157B1 (ko) 2005-05-31 2005-05-31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61A true KR20060124361A (ko) 2006-12-05
KR100761157B1 KR100761157B1 (ko) 2007-09-21

Family

ID=3772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50A KR100761157B1 (ko) 2005-05-31 2005-05-31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1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423B1 (ko) * 2005-01-07 2006-10-04 (주)다인시스 메모리카드 데이터의 텔레비전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157B1 (ko) 200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11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recording/playback method, and program
JP4416606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264389B1 (ko) 촬상 장치 및 방법
US1070856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52285A1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124408A1 (en) Image Converter, Image Reproducer, Image Conversion/Reproduc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2013214346A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559796B2 (en) Video recorder apparatus for recording moving picture file in detachable recording medium
JP2006295652A (ja)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JP2007306403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カメラ
KR100491717B1 (ko) 디지털 텔레비젼상에서 동영상 캡쳐를 이용한 이미지앨범의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4013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61157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US9225931B2 (en) Moving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KR20010059871A (ko) 디지털 티브이의 화면 캡쳐 장치
KR100647953B1 (ko) 이미지 메타정보를 제공하는 광학줌 카메라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94055A (ko) 썸네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11594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섬네일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5109658A (ja) 撮影装置
KR100450077B1 (ko) 포토 앨범을 구현한 디지털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포토 앨범 구현 방법
KR100407837B1 (ko) 스틸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는 셋탑 박스 및 이를 이용한스틸 이미지 캡쳐 방법
JP7374698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6904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display program, and image editing program
KR101058035B1 (ko) 제이펙 파일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JP202104021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