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818A - 송신기와, 기지국 및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 및 송신기의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기와, 기지국 및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 및 송신기의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818A
KR20060122818A KR1020067006724A KR20067006724A KR20060122818A KR 20060122818 A KR20060122818 A KR 20060122818A KR 1020067006724 A KR1020067006724 A KR 1020067006724A KR 20067006724 A KR20067006724 A KR 20067006724A KR 20060122818 A KR20060122818 A KR 2006012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level
supply voltage
chang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시스쿠스 에이 씨 엠 츄프스
피에테르 지 블란켄
기우셉 그릴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2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44Stepped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4Control by varying the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0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being continuously controlled by a controlling signal, e.g. the controlling signal of a transistor implemented as variable resistor in a supply path for, an IC-block showed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11Many discrete supply voltages or currents or voltage levels can be chosen by a control signal in an IC-block amplifi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송신기는 출력 전력(Po)를 갖는 송신 신호(Vo)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입력단(PI) 및 출력단(PAO)을 갖는 전력 증폭기(PA)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원(PS)는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과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을 갖는다. 스위칭 회로(SC)는 상기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과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증폭기(PA)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 또는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중의 선택된 전압을 제공한다. 제어기(CO)는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1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2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후속하는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 1 원하는 레벨 및 상기 제 2 원하는 레벨의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 혹은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중의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상기 전력 공급 전압(PV1, PV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출력 전력(Po)을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레벨을 갖는 전력 공급 전압 들 중의 이용가능한 것을 항상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송신기와, 기지국 및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 및 송신기의 송신 방법{POWER SAVING IN A TRANSMITTER}
본 발명은 송신기, 송신 방법, 및 모바일 송신기 및 기지국을 포함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송신기는 WO 98/49771에서 개시되는 모바일 무선 송신기일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모바일 무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배터리 수명 연장 기법을 개시하고 있다.
배터리 수명 연장은 셀룰러 전화기 및 기타 휴대형 송수신기의 사용자 및 제조사의 핵심 관심대상이다. 송수신기의 출력 전력은 수신 신호의 크기에 의존하여 만들어진다. 가능하다면, 최대 출력 전력보다 더 낮은 출력 전력이 생성되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며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다. 모바일 무선 송수신기 내의 송신기 전력 증폭기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은 모든 출력 전력 레벨에서 송신기의 고효율성을 획득하도록 다이나믹하게 제어된다. WO 98/49771에서 개시되는 송신기의 일 실시예에서, 고효율성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송신기 내의 전력 증폭기의 동작 전압을 조정하고 있다. 이 제어 회로는 입력으로서 송신기의 실제 출력 전력, 원하는 출력 전력, 또는 송신기의 출력 전압 스윙을 반영하는 다양한 신호를 갖는다.
동작 전압 혹은 전력 공급 전압은 요구되는 평균 출력 전력에 따라 가변된다. 통상적으로, 동작 전압을 가변시키는 시간은 제한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 전압 또는 전력 공급 전압을 단시간 내에 변경 및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스위칭 주파수의 전력 공급이 요구된다. 이러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는 전력 공급원의 효율을 감소시키며 설계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공급원에 부가되는 요건이 덜 엄격한 전력 절감을 갖는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청구항 제 1 항의 송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청구항 제 16 항의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청구항 제 18 항의 모바일 송신기와 기지국을 포함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송신기는 소정의 출력 전력을 갖는 송신 신호를 제공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는 전력 공급 전압을 수신하는 전력 공급 입력단을 갖는다. 한편, 전력 공급 전압은 전력 증폭기가 요청된 출력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히 높은 레벨을 가져야 한다. 한편, 전력 공급 전압은 핸드헬드형 배터리 동작 송신기에서 매우 중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가능한 낮은 레벨을 가져야 한다.
가령, 기존의 모바일 및 무선 통신 체계에서, 전력 증폭기의 평균 출력 전력은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다. 그 결과, 전력 증폭기는 최대의 출력 전력으로 지속적으로 동작할 필요가 없다. 가령, (W)CDMA(코드 분할 다중화 액세스) 시스템에서, 통상 10dB의 낮은 출력 전력이 요구된다. 출력 전력은 통신 요건에 대처하기 위해 가변된다. 가령, (W)CDMA 시스템에서, 출력 전력은 셀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가변된다. 기지국은 핸드셋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측정하여 그 출력 전력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도록 핸드셋에 전력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이는 전력 제어 루프로 지칭되는데, 이의 예는 ETSI 2001, UMTS TETRA 표준 챕터 TS125.101와 ETSI 2001,UMTS TETRA 표준 챕터 TS125.214의 UMTS에 대해 기재되고 있다. UMTS 호환 핸드셋에서, 전력 공급 전압은 50마이크로초 내에 변경 및 안정화되어야 한다. 출력 전력을 변경하고 전력 공급 전압을 적응시키는 데 다른 트리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전력 공급원은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레벨보다는 더 높은 제 2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 출력단을 갖는다. 스위칭 회로는 전력 공급 출력단과 증폭기의 전력 공급 입력단 사이에 배열된다. 제어기는 전력 변경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단을 갖는다. 이전의 전력 변경 명령에 응답하여 제 1 전력 공급원이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다고 가정된다. 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원은 사용되지 않는다. 다음의 전력 변경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이나 제 2 전력 공급 전압을 전력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에 제공하도록 스위칭 회로를 제어한다. 두개의 상이한 전력 공급 전압의 가용성에 의해, 상기 다음의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 순간에 바로 혹은 거의 바로, 전력 변경 명령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은 요청된 출력 전력에 대해 보다 적합한 전력 공급 전압 레벨의 선택이 가능하다. 단시간 내에 단일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보다 높은 전력 공급 레벨이 항상 거의 바로 사용되도록 제공된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초단 시간 내에 보다 높은 출력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단시간 내에 이용가능한 낮은 전력 공급 레벨을 갖는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낮은 레벨의 전력 공급 전압은, 최적값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의 레벨이 원하는 낮은 레벨로 강하될 때까지 전력 공급원을 단지 스위칭 오프함으로써 쉽게 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것은 송신기가 배터리로 동작되는 경우 배터리로부터 소비되는 전력에 대해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스위칭 오프된 전력 공급원의 전력 소비는 실질적으로 제로이기 때문이다.
전력 공급 전압 PV가 미리 알려진 평균 출력 전력에 합당하게 적응되도록 하는 전력 증폭기 PA의 적응성 바이어싱이 가령, GSM, UMTS, CDMA, IS95, CDMA2000, 및 W-CDMA 모바일 통신 시스템과 출력 전력 변동이 요구되는 모든 기타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의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가령, 기지국으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GSM 전화기와 같은 핸드헬드 장치이다. 기지국은 핸드헬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검출하고, 핸드헬드 장치가 그 출력 전력에서 송신해야만 한다는 것을 핸드헬드 장치에게 표시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바람직한 송신 상황이거나 기지국 근처일 경우, 낮은 출력 전력은 만족될 것이다. 낮은 출력 전력은 핸드헬드 장치의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기지국에 의한 핸드헬드 장치의 출력 전력의 제어는, 기지국이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셀 용량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제 3 항의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타임 슬롯에 기반한 송신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통상, 전력 제어 명령은 전이 구간이 시작되기 전의 소정 시간에 수신되며, 상기 전이 구간은 통상적으로 타임 슬롯의 종료 이전에 시작된다. 송신기의 출력 전력은 전이 구간 동안 변경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상기 전이 구간은 통상적으로 타임 슬롯의 종료 및 해당 연속 타임 슬롯의 시작을 커버한다. 타임 슬롯은 통상적으로 전이 슬롯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기지국은 다음 송신 슬롯 동안 필요한 소정의 출력 전력을 표시하는 전력 제어 명령을 핸드헬드 송신기에 송신한다.
제어 회로는 전력 제어 명령이 수신되자마자 혹은 다음 타임 슬롯의 시작의 마지막에 가장 적절한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하도록 스위칭 회로를 제어한다. 만약 전력이 감소해야만 한다면, 바람직하게도 전이 구간까지 높은 전력 공급 전압이 유지된다. 만약 전력이 증가해야만 한다면, 높은 전력 공급 전압은 즉시 혹은 전이 구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 송신기가 정보를 송신해야만 할 경우 슬롯 동안 정확한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도록 증폭기의 전력 공급 전압은 송신 기간 내에 변경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람직하게도, 제어 회로는 제어 신호를 스위칭 회로에 제공하여 전이 구간의 시작 이후에, 즉 현재의 타임 슬롯의 종료 전이나 후에 두개의 상이한 전력 공급 레벨들 중의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 항상 이러한 두개의 이용가능한 전력 공급 전압 레벨들 중의 하나는 전력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서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는 레벨보다 더 높다.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은 다음의 타임 슬롯 동안 사용될 것이다. 만약 다시 전력 제어 명령이 수신된다면, 레벨들 중의 하나가 연속 슬롯에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될 것인지 판정이 다시 행해진다. 또한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지 않는 전력 공급 전압이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전압보다 더 높은 레벨을 갖도록 조치가 취해진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이 수신될 경우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전력 공급 전압이 항상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즉시 혹은 요구되자마자 보다 높은 레벨의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할 수가 있다.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은 또한 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이나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으로 지칭되기도 하며, 반면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지 않는 전력 공급 전압은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이나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전력 공급원을 제어하여 타임 슬롯의 구간과 관련한 비교적 단시간의 전이 구간 내에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도록 요구되지는 않는다. 상기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갖도록 전체 타임 슬롯이 사용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전력 공급 전압은 단시간의 전이 구간 동안 변경되어야만 한다. 이는 고속 스위칭 주파수에서 동작하며 복잡한 제어 루프를 갖는 고가의 전력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원은 적어도 타임 슬롯만큼의 시간 구간에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변경해야만 한다. 타임 슬롯의 구간은 전이 구간보다 휠씬 더 길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원은 복잡성이 덜하며 설계가 더 용이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응성 전력 공급 전압 방안은 고효율 DC/DC 컨버터에 의해 생성되는 다수의 적응가능한 전력 공급 전압들로부터 전력 증폭기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한다. 항상, 증폭기의 출력 전력이 변경될 시점에서,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전력 증폭기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을 갖는다. 이 높은 레벨의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은 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보다 충분히 더 높아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핸드셋인 송신기는 기지국을 갖는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다음, 핸드셋과 기지국 사이에 제어 루프가 제공된다. 그러한 제어 루프에서, 각각의 전력 제어 명령은 송신 전력을 가령 ±1dB, ±2dB, 또는 ±3dB의 고정된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의 변경을 나타낸다. 증폭기의 최적인 고 레벨 혹은 저 레벨 전력 공급 전압은 고정된 변경량에 의해 결정된다. 고레벨의 가용성으로 인해, 요구될 때마다 고 레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시간의 전이 시간 내에 전력 공급원의 출력 전압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가령, UMTS에서, 전이 구간은 50마이크로초 동안 지속되며 전력 제어 명령은 전이 구간 180마이크로초 전에 발행되며, 타임 슬롯은 667마이크로초의 지속 구간을 갖는다. 항상 미사용 고레벨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기 때문에, 출력 전력이 증가해야만 한다고 알려진 경우 전이 구간 동안 이 고레벨을 선택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고레벨 전력 공급 전압으로의 스위칭 이후에, 미사용 저 레벨 전력 공급 전압은 사용된 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증가되어야만 한다. 저레벨 전력 공급 전압의 증가는 아주 오랫 동안 지속되는 667마이크로초의 타임 슬롯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발행된 전력 제어 명령이 제어기와 함께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 변경 명령을 획득하는데 사용될 필요는 없다. 그것은 전력 증폭기의 요구된 전력 출력 변경이 전이 구간 동안 이용가능하거나, 혹은 전이 구간의 시작에서 이용가능하다면 충분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는 무관하다. UMTS와 같은 송신 시스템에서, 바람직하게는 이용가능한 전력 제어 명령이 전력 변경 명령을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 순간이 조회되면, 이는 전이 구간 108마이크로초 전에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도, 전력 변경 명령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전력 변경 명령이다. 그러나, 다음 타임 슬롯 동안 요구되는 전력과 다음 타임 슬롯 이전에 발생하거나 결정되는 전력을 표시하는 임의의 다른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청구항 제 4 항의 실시예에서, 현재의 타임 슬롯 동안 제 2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서, 시작 상황이라는 것은, 전력 증폭기에 제 1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며 그리고 보다높은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이다. 제 2 전력 변경 명령은 다음 타임 슬롯의 출력 전력이 증가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 회로는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원으로서 제 2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한다. 이러한 것은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된 직후에 바로 혹은 전이 구간 동안 발생할 수도 있다. 제 2 전력 공급 전압으로의 스위칭 이후에,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이제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을 증가시켜, 요구되는 양이 현재 사용되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보다 더 높게 된다. 제 1 전력 공급 전압은 다음 전력 변경 명령에 후속하는 타임 슬롯의 시작 이전에 요구되는 레벨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제 1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시간 구간은 전이 구간보다 훨씬 더 깊다.
청구항 제 5 항의 실시예에서, 현재의 타임 슬롯 동안, 제 2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서, 시작 상황이라는 것은, 전력 증폭기에 제 1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며 그리고 최적 레벨보다 높은 미사용 제 2 전력 공급 전압이 이용가능하다는 것이다. 제 2 전력 변경 명령은 다음 타임 슬롯의 출력 전력이 감소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 1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이 최적의 레벨모다 더 높다할지라도, 제어 회로는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원으로서 제 1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한다. 제어기는 전력 공급원을 제어하여 미사용 제 2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감소시켜, 요구량이 제 1 전력 공급 전압보다 낮게 된다.
청구항 제 6 항의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이 제 1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 아래의 요구된 양을 가지자마자 제 2 전력 공급 전압으로 스위칭한다. 제 1 전력 공급 전압은 이제 제 2 전력 공급 전압보다 높은 소정의 레벨을 자동으로 가지며 그 시스템은 다음의 전력 변경 명령을 위한 준비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도, 제 2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은 하나의 타임 슬롯 내의 요구된 낮은 레벨에 도달하게 된다.
청구항 제 7 항의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이전의 전력 변경 명령에 의해 표시되는 낮은 출력 전력이 여전히 요구된다고 다음의 전력 변경 명령이 나타낸다면 제 2 전력 공급으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것은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단지 단기간 동안 최적의 전력 공급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배터리로부터 여분의 전력이 인출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8 항의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이전의 전력 변경 명령에 의해 표시되는 것보다 낮은 전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다음 전력 변경 명령이 나타내면 제 2 전력 공급으로 스위칭한다.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 전압은 단지 하나의 타임 슬롯 동안만 최적의 레벨보다 더 높다. 이러한 것은 그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단기간 동안 최적의 전력 공급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인해 배터리로부터 여분의 전력이 인출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9 항의 실시예에서, 현재의 타임 슬롯 동안 제 2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서, 시작 상황이란 전력 증폭기에 제 1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며 보다높은 레벨을 갖는 미사용 제 2 전력 공급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2 전력 변경 명령은 다음 타임 슬롯 내의 출력 전력이 감소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 회로는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원으로서 최적 레벨 이상의 제 2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한다. 제어기는 전력 공급원을 제어하여 제 2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이 감소시켜, 요구된 양이 제 1 전력 공급 전압보다 낮게 되는 반면, 제 1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제 2 전력 공급 전압의 감소하는 레벨은 가령, 전력 공급원을 스위칭 오프함으로써 획득된다. 제 2 전력 공급 전압 상의 부하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 출력에 접속된 캐패시터를 방전시킬 것이다. 만약 캐패시터 상의 전압이 요구된 값으로 강하된다면, 전력 공급원은 다시 활성화된다. 통상, 부하는 주로 전력 증폭기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에 의해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도 캐패시터의 값은 하나의 타임 슬롯 혹은 그 미만의 출력 전력 레벨 감소분과 더불어 상응하는 전압 강하를 획득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청구항 제 10 항의 실시예에서, 현재의 타임 슬롯 동안 제 1 전력 변경 명령이 수신되는 시점에서, 시작 상황이란, 전력 증폭기에 제 1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며, 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미사용 제 2 전력 공급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2 전력 변경 명령은 다음 타임 슬롯 내의 출력 전력이 감소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 회로는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최적보다 높은 제 1 전력 공급 전압을 전력 증폭기의 전력 공급원으로서 선택하도록 한다. 제어기는 전력 공급원을 제어하여 제 1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감소시킨다.
청구항 제 11 항의 실시예에서, 미사용 제 2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단지 하나의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만이 제어될 것이다.
청구항 제 12 항의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원은 3개의 전력 공급 전압을 제공한다. 그 전력 공급 전압의 하나는 전력 증폭기에 제공된다. 두개의 다른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은, 하나가 전력 증폭기에 공급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는 반면, 나머지 하나가 전력 증폭기에 공급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제어된다. 요구된 시점에서, 스위칭 회로는 출력 전력이 증가해야만 하는 경우 높은 레벨을 갖는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하거나 혹은 스위칭 회로는 출력 전력이 감소해야만 하는 경우 낮은 레벨을 갖는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한다. 따라서 요구된 시점에 전력 공급 전압의 요구된 높은 혹은 낮은 레벨로 실질적으로 바로 스위칭할 수가 있다. 요구된 시점은 통상 다음 전이 구간의 시작 혹은 전이 구간 내의 임의의 시점이다. 이러한 것은, 출력 전력이 변경되어야 한다고 알려진 시점으로부터 지속되는 단기간 내의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과 다음 전이 구간의 시작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출력 전력이 감소한다면, 실질적으로 바로 낮은 전력 공급 전압을 선택하여 최적의 전력 소비를 얻을 수 있다.
이전의 타임 슬롯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를 선택한 후, 미선택된 다른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의 레벨이 채택되거나, 다음의 전이 구간의 시작에서 전력 공급 전압의 하나가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초과하는 레벨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가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 미만의 레벨을 갖도록 미선택된 나머지 모든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이 채택된다. 따라서, 미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는 낮은 레벨을 갖거나 낮은 레벨을 갖도록 만들어지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다음 전이 구간의 시작에서, 항상 정확한 전력 공급 전압으로 바로 스위칭할 수가 있다. 만약 가능한 전력 공급 전압의 최대 혹은 최소값에 도달되면, 물론 특정 전력 컨버터가 제공되지 않는한 최소값보다 낮은 레벨을 갖거나 최대값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는 없다.
청구항 제 14 항의 실시예에서, 출력 전력이 변경되어야만 할 경우 제어기는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과 더불어 최대 차이를 갖는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제어한다. 이러한 것은, 단지 하나의 전력 공급 전압만이 한번에 변경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제 15 항의 실시예에서, 출력 전력이 변경되어야만 할 경우 제어기는 미선택된 모든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제어한다. 과 더불어 최대 차이를 갖는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의 레벨을 제어한다. 이러한 것은, 단지 하나의 전력 공급 전압만이 한번에 변경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레벨에 가장 근접한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은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과 교차한다. 따라서, 만약 가장 근접 레벨을 갖는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이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 미만의 레벨을 갖는다면, 이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 레벨은 상기 선택된 출력 전압의 레벨보다 더 크게 만들어질 것이다. 다른 미선택 출력 전압의 레벨은 이전의 타임 슬롯에서와 마찬가지로 선택된 출력 전압 레벨에 대해 동일한 차이값을 갖도록 증가해야한다. 이제 두개의 레벨이 변화해야만할지라도, 출력 전압 레벨의 최대 변동량은 더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 및 기타 측면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분명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력 소비를 갖는 송신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핸드헬드 및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송신기의 출력 전력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전력 공급 전압의 선택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력 공급 전압의 선택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력 공급 전압의 선택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신호 혹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항목을 언급한다.
도 1은 전력 소비를 갖는 송신기의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력 증폭기 PA는 입력 신호 Vi와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를 수신하며, 출력단 PAO 상에 송신 신호 Vo를 공급한다. 전력 공급원 PS는 스위칭 회로 SC에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출력단 PS01, PS02, PS03을 갖는다. 스위칭 회로 SC는 노드 a, b,c에서 제각기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 간의 선택을 위한 스위치 S를 갖는다.
제어기 CO는 전력 변경 명령 PC를 수신하여 스위치 S의 위치와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의 레벨을 제어한다. 전력 변경 명령 PC은 도 2에 도시된 기지 국(BS)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 PCB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 RC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치 S에 의해 선택되는 전력 공급 전압은 인덕터 L을 통해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 공급된다. 캐패시터 C는 전력 공급 입력단 PI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선택적인 필터는 인덕터 L과 캐패시터 C를 포함하며, 두개의 기능을 갖는다. 먼저,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의 리플을 필터링하며, 다음에 스위치 S가 노드 a, b, c의 임의의 것에 접속되지 않은 시간 구간 동안 전력 증폭기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송신기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작한다. 송신기의 소정의 출력 전력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는 스위치 S를 통해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 중의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값을 갖는다. 만약 송신기의 출력 전력이 채택되어야 한다면 상기 스위치는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 중에서 새로운 출력 전력에 가장 적합한 다른 전압을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선택되지 않은 전력 공급 전압(혹은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 대신에 단지 두개만이 사용되는 경우의 전압)의 레벨은, 송신기의 출력 전력이 다음 시간에 채택되어야만 할 경우 적절한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이 이용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물론 세개 이상의 전력 공급 전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핸드헬드 및 기지국을 도시한다. 송신기는 핸드헬드 HH로서, 가령 기지국 BS와 통신하는 GSM 전화기이다. 핸드헬드 HH의 전력 증폭기 PA는 출력 전 력 Po를 갖는 송신 신호 Vo를 생성한다.
도 3은 송신기의 출력 전력 Po의 변화의 예를 도시한다. 전력 제어 루프에서, 기지국 BS는 핸드헬드 HH로부터 송신 신호 Vo를 수신하여 이 신호의 수신된 전력을 측정한다. 필요하다면, 기지국 BS는 핸드헬드 HH에 전력 제어 명령 PCB를 전송하여 핸드헬드 HH의 출력 전력 Po를 적절한 레벨로 조정한다. 도 3은 UMTS 핸드헬드 HH에 대한 전력 제어 루프의 타이밍의 예를 도시한다.
UMTS 시스템과 같은 현대의 통신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이 사용된다. 만약 세개의 연속 타임 슬롯 n-1, n, n+1이 고려된다면, 각각의 타임 슬롯 n-1, n, n+1 동안, 송신 신호의 출력 전력 Pox, Poy은 고정된 값을 갖는다. 각각의 타임 슬롯 n-1, n, n+1은 타임 슬롯 구간 Tsl 동안 지속된다. 전이 구간 Tsw은 타임 슬롯 n-1의 종료 및 대응하는 연속의 타임 슬롯 n, n+1의 시작에서 이용가능하여 출력 전력 Pox, Poy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에서, 전이 구간 Tsw는 타임 슬롯 n-1, n의 종료와 대응하는 연속 타임 슬롯 n, n+1의 시작을 중첩시킨다. 다른 표준으로서, 전이 구간 Tsw는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전이 구간 Tsw는 완전히 타임 슬롯 n-1, n, n+1의 종료에서 혹은 완전히 타임 슬롯 n-1, n, n+1의 시작에서 배치될 수 있다. 타임 슬롯 n-1은 시점 t2까지 지속되며, 타임 슬롯 n은 시점 t2에서 시점 t5까지 지속되며, 타임 슬롯 n+1은 시점 t5에서 시작된다. 타임 슬롯 n-1의 종료 및 타임 슬롯 n의 시작에서의 전이 구간 Tsw는 시점 t1에서 t3까지 지속되며, 타임 슬롯 n의 종료 및 타임 슬롯 n+1의 시작에서의 전이 구간 Tsw는 시점 t4에서 시점 t6까지 지속된다.
시점 t1 이전에, 핸드셋은 출력 전력 Pox를 갖는 송신 신호 Vo를 제공한다. 시점 t1에서 전이 구간 Tsw는 개시된다. 시점 t1에서 시점 t3까지 지속되는 전이 구간 Tsw 동안, 출력 전력은 Pox에서 Poy로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점 t3 이후의 다음의 타임 슬롯 n 동안, 출력 전력은 Poy가 된다. 타임 슬롯 n이 종료하기 전에, 시점 t4에서 전이 구간 Tsw는 다시 개시된다. 출력 전력은 Poy에서 Pox로 변경되며, 그에 따라 타임 슬롯 n+1 내의 시점 t6에서 출력 전력은 다시 Pox가 된다. 전력 제어 명령 PCB는 전이 구간 Tsw의 시작 이전에 기지국 BS에 의해 발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시점 tc 및 tc'에서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는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력 공급원 PS에 의해 공급되는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의 레벨은 각각 소형의 원과 X가 마킹된 실선으로 표시된다. 요구된 출력 전력 Po에 적합한 전력 공급 전압 PV의 레벨은 파형 OV로 표시된다.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 전압 PV의 실제 레벨은 소형 정방형으로 마킹된 실선으로 표시된다. 타임 슬롯 Tsl은 시점 t0 내지 t12의 두개의 연속하는 것 사이에서 발생한다. 전이 구간 Tsw는 표시되지 않지만 통상 시점 t0 내지 t12의 각각의 근방에서 발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1, PV2의 선택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은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시점 t0에서, 단계 S1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과, 최적 레벨 OV와, 실제 레벨 PV 모두는 L1과 동일하다. 단지 명료하게 하기 위해, 도 4의 파형들이 약간 상이한 레벨을 가지면서 도시된다.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은 L2이며, 따라서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보다 높다. 전력 공급 전압 PV1은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된다. 따라서,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 PNU의 레벨은 전력 공급 전압 PV의 레벨보다 높다.
단계 S2에서, 공급 전압 PV가 증가되어야 하거나, 감소되어야 하거나, 변경없이 유지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 S3에서, 알고리즘은 전이 구간 Tsw가 개시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4에서, 알고리즘은 전력 공급 전압 PV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혹은 동일하게 유지하는지에 따라 선택할 브랜치를 결정한다.
시점 t1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증가해야만 한다고 알려지면, 브랜치 UP가 선택된다. 단계 S5에서, 제어기 CO가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증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적절한 레벨 L2를 갖는 아직 미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단계 S6에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 PV가 전력 공급원 PS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최대의 이용가능 레벨을 갖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만약 그러하다면, 단계 S7은 수행되지 않으며, 알고리즘은 단계 S2로 진행된다. 따라서, 전력 공급원 PS가 이용가능한 최대의 전압을 제공하는 이러한 제한된 상황에서, 상기 선택된 것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이용가능한 전력 공급 전압이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단계 S7에서,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을 레벨 L3으로 증가시킨다. 이러한 것은 도 5에서 PNU:=PNU+2로 표시되는데, 이는 미사용 전력 공급 레벨이 두 단계만큼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가 이용가능한데, 그 하나(PV1)는 다른 하나(PV2)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다음, 알고리즘은 단계 S2로 진행한다.
시점 t2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증가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적절한 레벨 L3을 갖는 보다높은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을 레벨 L4로 증가시킨다.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가 이용가능하며, 그 중 하나(PV2)는 다른 하나(PV1)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단계 S4에서, 시점 t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력 Po가 변경되지 않는다고 검출되면, 알고리즘은 브랜치 EQ를 따르며 모든 파형은 동일한 레벨을 유지한다. 단계 S8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요구된 레벨 OV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것이 (가령 시점 t3에서) 사실인 경우, 알고리즘은 단계 S2로 진행하며, 이와는 달리 (가령 시점 t9에서) 단계 S9는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중의 나머지 하나를 선택한다.
시점 t4에서, 출력 전력 Po가 다시 한 단계 증가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적절한 레벨 L4를 갖는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을 레벨 L5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가 이용가능하며, 그 중 하나(PV1)는 다른 하나(PV2)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시점 t5에서, 출력 전력 Po가 변경되지 않으며, 모든 파형이 동일한 레벨로 유지된다고 알려져 있다.
단계 S4에서 시점 t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감소해야한다고 검출되면, 알고리즘은 브랜치 DO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미사용 전력 공급 전압 PNU가 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V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그러하다면, 비록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4가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다시 선택하며, 알고리즘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만약 그러하지 않다면, 단계 S11에서 아직 미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이 선택되며, 단계 S12에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 PV가 전력 공급원 PS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최소 레벨을 갖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그러하다면, 단계 S13은 수행되지 않으며 알고리즘은 단계 S2로 진행한다. 따라서, 전력 공급원 PS가 최소 이용가능 전압을 제공하는 제한된 상황에서, 상기 선택된 것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전력 공급 전압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단계 S13에서,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미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4 아래의 레벨 L3으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것은 도 5에서 PNU:=PNU-2로 도시되며, 이는 미사용된 전력 공급 레벨이 두 단계만큼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고리즘은 단계 S2로 진행한다.
시점 t7에서, 출력 전력 Po가 다시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3가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3 아래의 레벨 L2로 감소시킨다.
시점 t8에서, 출력 전력 Po가 다시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가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 아래의 레벨 L1으로 감소시킨다.
시점 t9에서, 출력 전력 Po가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제,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1은 제공될 출력 전력 Po에 대해 정확하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2는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1을 초과하는 레벨 L2에서 유지된다.
시점 t10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증가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적절한 레벨 L2를 갖는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을 레벨 L3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다시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가 이용가능한데, 그 중 하나(PV1)는 나머지 하나(PV2)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시점 t11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감소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가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다시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을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 아래의 레벨 L1로 감소시킨다.
시점 t12에서, 출력 전력 Po가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제,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1은 제공될 출력 전력 Po에 대해 정확하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2는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1을 초과하는 레벨 L2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시점 t0 내지 t12의 각각에서,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레벨이 제공되며, 그 중 하나는 항상 전력 증폭기 PA에 의해 제공될 출력 전력 Po에 요구되는 것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높은 출력 전력 Po가 요구된다면 높은 전력 공급 전압을 항상 즉시에 선택할 수가 있다. 출력 전력 Po가 감소해야 한다면, 낮은 전력 공급 전압으로 최적으로 항상 즉시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출력 전력 Po가 감소해야만 하는 시간 동안 최소의 여분의 전력 소비를 발생시킨다.
도 6은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력 공급원 PS에 의해 제공되는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의 레벨은 소형의 원과 X로 각기 마킹된 실선으로 표시된다. 요구되는 출력 전력 Po에 맞는 전력 공급 전압 PV의 최적의 레벨은 파형 OV로 표시된다(도 4 및 5를 참조).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 PV의 실제 레벨은 소형의 정방형으로 마킹된 실선으로 표시된다. 타임 슬롯 Tsl은 시점 t20 내지 t32 간의 두개의 연속하는 시점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전이 구간 Tsw는 표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시점 t20 내지 t32의 각각의 근방에서 발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1, PV2의 선택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의 단계 S21 내지 S27은 도 5의 단계 S1 내지 S7과 제각기 동일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증가해야한다고 단계 S24에서 검출되면 동일한 브랜치 UP가 수행되어야 하며 그리고 동일한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단계 S24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검출되면, 브랜치 EQ가 수행되며, 이는 알고리즘이 단계 S22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24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감소해야 한다고 검출되면, 단계 S28에서 아직 미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V1, PV2가 선택되어 전력 공급 전압 PV로 된다. 단계 S29에서 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V의 레벨은 2단계만큼 감소되며, 즉 PV:=PV-2로 되며 알고리즘은 단계 S22로 진행한다.
도 6에 도시된 전력 공급 전압 PV의 원하는 일련의 레벨의 예에서, 시점 t20에서 시점 t26까지의 파형의 부분은 도 4의 시점 t0에서 시점 t6까지의 파형의 부분과 동일하며, 따라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시점 t26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5가 최적의 레벨보다 두 단계 높고 반면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4가 최적의 레벨보다 단지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4 아래의 레벨 L3으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안은 전력 공급원 PS이 단순히 레벨 L3에 도달할 때까지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 출력단 PS01 상의 전력 증폭기 PA의 부하는 이 전력 공급 출력단 PS01에 제공된 캐패시터 C를 방전시킬 것이다. 이는 전력 공급 전압 PV1을 낮추는 용이한 수단으로서 실질적으로 추가의 전력 소비는 없다. 따라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일정 시간 동안 최적의 레벨보다 높다할지라도, 전력 소비는 요구된 것보다 높지 않다.
시점 t27에서, 출력 전력 Po가 다시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4가 최적의 레벨보다 두 단계 높고 반면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3이 최적의 레벨보다 단지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3 아래의 레벨 L2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안은 전력 공급원 PS이 단순히 레벨 L2에 도달할 때까지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제공하는 전력 공급 출력단 PS02 상의 전력 증폭기 PA의 부하는 이 전력 공급 출력단 PS02에 제공된 캐패시터 C를 방전시킬 것이다. 이는 전력 공급 전압 PV2를 낮추는 용이한 수단으로서 실질적으로 추가의 전력 소비는 없 다. 따라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일정 시간 동안 최적의 레벨보다 높다할지라도, 전력 소비는 요구된 것보다 높지 않다.
시점 t28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3가 최적의 레벨보다 두 단계 높고 반면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가 최적의 레벨보다 단지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 아래의 레벨 L1로 감소시킨다.
시점 t29에서, 출력 전력 Po가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제,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1은 제공될 출력 전력 Po에 대해 정확하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2는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1을 초과하는 레벨 L2에서 유지된다.
시점 t30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증가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적절한 레벨 L2를 갖는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을 레벨 L3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다시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가 이용가능한데, 그 중 하나(PV1)는 나머지 하나(PV2)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시점 t31에서 동일한 상황이 시점 t28에서와 마찬가지로 발생하며 동일한 조 치가 취해진다.
따라서, 시점 t20 내지 t32의 각각에서,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레벨이 제공되며, 그 중 하나는 항상 전력 증폭기 PA에 요구된 출력 전력 Po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높은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높은 출력 전력 Po가 요구된다면 높은 전력 공급 전압을 항상 즉시에 선택할 수가 있다. 출력 전력 Po가 감소해야 한다면, 낮은 전력 공급 전압으로 최적으로 항상 즉시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출력 전력 Po가 감소해야만 하는 시간 동안 최소의 여분의 전력 소비를 발생시키는데, 그 이유는 캐패시터에 이미 저장된 에너지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도 8은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력 공급원 PS에 의해 제공되는 두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의 레벨은 소형의 원과 X로 각기 마킹된 실선으로 표시된다. 요구되는 출력 전력 Po에 맞는 전력 공급 전압 PV의 최적의 레벨은 파형 OV로 표시된다.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 PV의 실제 레벨은 소형의 정방형으로 마킹된 실선으로 표시된다. 타임 슬롯 Tsl은 시점 t40 내지 t52 간의 두개의 연속하는 시점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전이 구간 Tsw는 표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시점 t40 내지 t52의 각각의 근방에서 발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1, PV2의 선택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의 단계 S31 내지 S37은 도 5의 단계 S1 내지 S7과 제각기 동일하다. 따라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안정화되어야한다고 단계 S34에서 검출되면, 브랜치 EQ가 수행되며, 이는 알고리즘이 단계 S32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34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감소해야 한다고 검출되면, 단계 S40에서 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V의 레벨은 1단계만큼 감소되며, 즉 PV:=PV-1로 되며 알고리즘은 단계 S32로 진행한다. 만약 단계 S34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가 증가해야만 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브랜치 UP가 수행된다. 단계 S35, S36, S37은 각각 도 5의 단계 S5, S6, S7과 동일하다. 미사용된 전력 공급 전압 PNU의 레벨이 2 단계로 증가되는 단계 S37 이후, 단계 S38에서 사용 전력 공급 전압 PV의 레벨이 원하는 레벨 OV와 동일한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동일하다면, 알고리즘은 단계 S32로 진행한다. 만약 동일하지 않다면, 단계 S39에서, 사용 전력 공급 전압 PV는 제공될 출력 전력 Po에 최적으로 맞는 원하는 레벨 OV로 감소된다.
도 8에 도시된 전력 공급 전압 PV의 원하는 일련의 레벨의 예에서, 시점 t40에서 시점 t46까지의 파형의 부분은 도 4의 시점 t0에서 시점 t6까지의 파형의 부분과 동일하며, 따라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시점 t46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4가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을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2를 레벨 L3으로 감소시키며 전력 공급 전압 PV1을 레벨 L5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전압 PV2의 강하는 다시 전력 공급 출력단 PS02에 접속된 캐패시터를 방전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시점 t47에서, 출력 전력 Po가 다시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3이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2를 레벨 L2로 감소시키며, 레벨 L5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시점 t48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감소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2가 최적의 레벨보다 한 단계 높다할 지라도,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로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2를 레벨 L1로 감소시키며 레벨 L5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시점 t49에서, 출력 전력 Po가 안정화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제,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1은 제공될 출력 전력 Po에 대해 정확하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1은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 L1을 초과하는 레벨 L5에서 유지된다.
시점 t50에서, 출력 전력 Po가 한 단계 증가해야한다고 알려져 있다.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PV1의 레벨 L가 최적의 레벨보다 훨씬 더 높다할 지라도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을 레벨 L2로 강하시키고,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 L2를 초과하는 레벨 L3으로 증가시킨다.
시점 t51에서, 시점 t48에 대해 비교할만한 상황이 발생하며, 유사한 조치가 취해진다.
도 10은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며, 그에 따라 두개의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 중의 하나는 항상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 아래의 레벨을 가지며, 상기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 중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초과하는 레벨을 갖는다.
세개의 연속하는 타임 슬롯 n-1, n, n+1이 도시된다. 일 예로서, 전이 구간 Tsw는 각각의 타임 슬롯 n-1, n, n+1의 종료시에 발생한다. 시점 t100 이전에, 타임 슬롯 n-1 동안, 제어기 CO는 스위칭 회로 SC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선택한다. 전력 공급 전압 PV2는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보다 높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가지며, 전력 공급 전압 PV3은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보다 낮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갖는다.
전력 증폭기 PA의 출력 전력은 타임 슬롯 n-1 동안보다 타임 슬롯 n 동안 더 높은 레벨을 가져야 한다. 전이 구간 Tsw 동안, 바람직하게는 시점 t100에서, 제어기 CO는 스위치 S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타임 슬롯 n 동안, 전이 구간 Tsw 외부에서, 현재 선택되지 않은 전력 공급 전압 PV1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미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3 은 현재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2보다 더 높은 사전결정된 레벨로 변화된다. 타임 슬롯 n의 종료 전에, 다음 전이 구간 Tsw가 시점 t200에서 개시될 때, 다시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2보다 더 높고 그리고 더 낮은 전력 공급 전압 PV3, PV1이 각각 이용가능하다. 다시 송신기의 출력 전력이 증가해야만 한다면, 전이 구간 Tsw 동안, 바람직하게는 시점 t200에서 변경된 전력 공급 전압 PV3이 선택된다. 타임 슬롯 n+1 동안, 전이 구간 Tsw 외부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2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전력 공급 전압 PV1은 현재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3보다 더 높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갖도록 변경된다. 타임 슬롯 n+1의 종료 이전에, 다시 높은 전력 공급 전압 PV1 및 낮은 전력 공급 전압 PV2가 선택되도록 이용가능하다.
대부분의 무선 통신 표준에서, 전력 증폭기 PA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전이 구간 Tsw 동안 그 출력 전력을 변경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표준이 규정하는 것은 두개의 연속하는 타임 슬롯 n-1과 n 동안 제공되는 평균 출력 전력Po가 단지 소정의 양, 가령 ±1dB, ±2dB, ±3dB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 PA의 출력 전력 Po의 실제 값이 변경되어야 할 때, 단지 두개의 가능성이 고려된다. 결과적으로, 타임 슬롯 n 에서,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전압 PV는 동일해야 하거나 고정된 양만큼 증가하거나 감소해야만 한다. 전력 증폭기 PA에 제공될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외의 모든 시간에 요구된 높은 레벨을 갖는 전력 공급 전압과 요구된 낮은 레벨의 전력 공급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면, 다음 타임 슬롯 n에 선행하는 전이 구간 Tsw 동안 요구된 전력 공급 전압 PV를 선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또다른 출력 전력 Po가 요구되는 것이 분명한 시점이 전이 구간 Tsw의 시작 t200에서 발생하는 경우에조차, 단기간의 전이 구간 Tsw 내에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의 레벨을 변경할 필요없이 요구된 전력 공급 전압으로 스위칭할 수가 있다.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령 5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네 개의 미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중 두개의 전압은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초과하는 상이한 레벨을 가지며, 두개는 미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 미만의 상이한 레벨을 가진다. 이러한 것은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제어 루프가 전력 변경의 상이한 단계를, 가령 ±1dB 혹은 ±2dB 전력 변경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용가능한 출력 전력에 대한 실질적으로 최적인 전력 공급 전압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단 기간 내에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정확한 전압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만약 7개의 상이한 전력 공급 전압이 생성된다면, 7개의 이용가능한 출력 전력들 중의 상응하는 것에 맞는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로의 스위칭을 즉시에 구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실시예는 정확히 출력 전력 Po가 변경되어야 한다는 명령 PCB가 수신될 때에 의존적이지는 않으며, 다음의 전이 구간 Tsw의 시작 이전에 명령 PCB가 이용될 수 있는 한, 다음 타임 슬롯 n+1에 대한 가장 적절한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이 스위치 S를 제어함으로써 제시간에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중요한 것으로서, 그 이유는 대부분의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송신기, 혹은 핸드헬드) HH에 출력 전력 Po를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것이 기지국 BS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하 명령 PCB는 사용자 장비 HH에 전달 되며, 이 장비는 그것을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사용자 장비 HH의 전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PC를 획득한다. 사용자 장비 HH는 명령 PCB가 기지국 BS에 의해 명령 PC가 디코딩될 때까지 송신되는 시점으로부터 미지의 지연을 도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지연은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변경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전력 증폭기 PA가 이용가능한 최소 혹은 최대의 전력 공급 전압으로 동작중이라면 특정한 상황이 발생한다. 만약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전압 PV가 최소의 값을 가진다면,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은 최소의 값을 가지며, 미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최소의 값보다 높은 사전결정된 양의 값을 갖는다. 다른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은 중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레벨은 최소의 레벨 혹은 사전결정된 보다 높은 레벨, 혹은 보다 높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이러한 레벨은 최소의 레벨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1은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원 PS는 세개의 전력 공급 전압 PV1, PV2, PV3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속적인 타임 슬롯 n-1, n, n+1이 도시된다. 예를 통해, 전이 구간 Tsw는 타임 슬롯 n-1, n, n+1의 시작시에 발생한다.
타임 슬롯 n-1 동안, 제어기 CO는 스위치 S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증폭기 PA에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제공한다.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 PV2는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1보다 높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갖는다.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 PV3은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1보다 낮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갖는 다.
전력 증폭기 PA의 출력 전력 Po는 타임 슬롯 n-1동안보다 타임 슬롯 n동안 더 높은 레벨을 가져야 한다. 시점 t101에서 개시하는 전이 구간 Tsw 동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시점 t101에서 제어기 CO는 스위치 S를 제어하여, 전력 증폭기 PA의 전력 공급 전압 PV로서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선택한다. 타임 슬롯 n 동안, 미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1은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을 초과하는 사전결정된 레벨을 획득하도록 변화된다.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 PV3의 레벨은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2의 레벨보다 낮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획득하도록 증가된다. 타임 슬롯 n의 종료 시점 혹은 그 이전에, 시점 t201에서, 다시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2보다 높고 낮은 전력 공급 전압 PV1, PV3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송신기의 출력 전력 Po가 시점 t201에서 개시하는 전이 구간 Tsw 동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시점 t201에서 증가해야 한다면, 변경된 전력 공급 전압 PV1이 선택된다. 타임 슬롯 n+1 동안, 전이 구간 Tsw 외부에서 전력 공급 전압 PV1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미선택된 모든 전력 공급 전압 PV2, PV3은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 PV1의 레벨보다 높고 낮은 사전결정된 레벨을 획득하도록 변화된다. 타임 슬롯 n+1의 종료 이전에, 다시 높고 낮은 전력 공급 전압 PV2, PV3이 선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에 가장 근접한 레벨을 갖는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은 상기 선택된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과 교차하도록 변경된다. 모든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의 변동은, 최대 변동이 미선택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오직 하나만 이 변화되는 경우보다 작다는 이점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출력 전력 Po를 갖는 송신 신호 Vo를 제공하도록 전력 공급 입력단 PI 및 출력단 PAO를 갖는 전력 증폭기 PA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원 PS는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 PV1 및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 PV2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출력단 PS01, PS02를 갖는다. 스위칭 회로 SC는 전력 공급 출력단 PS01, PS02과 전력 공급 입력단 PI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 증폭기 PA에 대해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 PV1 혹은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 PV2 중의 선택된 전압을 제공한다. 제어기 CO는 출력 전력 Po의 제 1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전력 변경 명령 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 SC에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 제 1 전력 공급 전압 PV1을 제공한다. 출력 전력 Po의 제 2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 PC에 후속하는 제 2 전력 변경 명령 PC에 응답하여, 제어기 CO는 상기 스위칭 회로 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 1 원하는 레벨 혹은 상기 제 2 원하는 레벨의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 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 PV1 혹은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 PV2 중의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제어기 CO는 전력 공급원 PS를 제어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전력 공급 전압들 PV1, PV2 중의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필요하다면 출력 전력 Po을 거의 순간적으로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레벨과 함께 이용가능한 전력 공급 전압들 중의 하나를 항상 가지도록 변화시킨다.
주목할 것은,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 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여러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어 "포함"이라는 것은 청구항에 언급된 것외의 구성요소 혹은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수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 하드웨어의 수단과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개의 수단을 나열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러한 수단은 하나의 동일한 하드웨어 항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소정의 수단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항에서 열거된다는 것은 이러한 수단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Claims (19)

  1. 송신기에 있어서,
    출력 전력(Po)를 갖는 송신 신호(Vo)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입력단(PI) 및 출력단(PAO)을 갖는 전력 증폭기(PA)와,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과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을 갖는 전력 공급원(PS)과,
    상기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과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회로(SC)와,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1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을 제공하며,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2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후속하는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 1 원하는 레벨 및 상기 제 2 원하는 레벨의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 혹은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중의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제어기(CO)를 포함하는
    송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핸드핼드 장치(HH)이며, 기지국(BS)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PCB)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 및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을 제공하기 위한 수신 회로(RC)를 더 포함하는
    송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타임 슬롯(n-1, n, n+1)에 기반하여 송신 시스템에서 동작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은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의 발생 시점 후에 개시되는 타임 슬롯(n) 동안 요구되는 출력 전력(Po)의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은, 상기 타임 슬롯(n)에 후속하며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의 발생 시점 후에 개시되는 다음 타임 슬롯(n+1) 동안 요구되는 출력 전력(Po)의 값을 나타내는
    송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출력 전력(Po)이 증가해야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점, 혹은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의 시작의 가장 최근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에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에 후속하는 타임 슬롯(n+2)의 시작 이전에,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레벨을 상기 제 2 레벨을 초과하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출력 전력(Po)이 감소해야한다고 나타내면, 실질적으로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의 시작시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레벨을 상기 제 1 레벨 미만으로 감소시키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제 2 레벨이 상기 제 1 레벨 미만으로 감소된 후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는 송신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실질적으로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 동안 제 3 전력 변경 명령(PC)이 수신되는 시점, 혹은 상기 제 3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에 의해 표시되는 낮은 출력 전력(Po)이 여전히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에 후속하는 타임 슬롯(n+2)의 시작 시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실질적으로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 동안 제 3 전력 변경 명령(PC)이 수신 되는 시점, 혹은 상기 제 3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에 의해 표시되는 것보다 더 낮은 출력 전력(Po)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에 후속하는 타임 슬롯(n+2)의 시작 시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실질적으로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이 수신되는 시점, 혹은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출력 전력(Po)이 감소해야한다고 나타내면, 실질적으로 상기 다음 타임 슬롯(n+1)의 시작 시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에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레벨을 감소시키지만 상기 제 1 레벨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출력 전력(Po)이 감소해야한다고 나타내는 시점에,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PA)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레벨을 강하시키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미사용 제 2 전력 공급 전압의 레벨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원(PS)은 제 3 레벨을 갖는 제 3 전력 공급 전압(PV3)을 제공하기 위해 배열되며,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동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과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3 레벨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스위칭 회로(SC)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이 상기 출력 전력(Po)이 안정화되어야 하는지, 증가되어야 하는지, 혹은 감소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각각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상기 제 3 전력 공급 전압(PV3) 중의 하나를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공급하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O)는,
    상기 스위칭 회로(SC)를 제어하여, 만약 상기 출력 전력(Po)이 변경되어야 한다면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또는 상기 제 3 전력 공급 전압(PV3) 중의 하나를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전력 공급원(PS)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레벨 또는 제 3 레벨이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제공되는 전력 공급 전압(PV)의 레벨로부터 최대의 차이점을 갖는지에 따라, 상기 제 2 레벨 또는 상기 제 3 레벨을 단지 적응시키도록 배열되는
    송신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C0)는,
    상기 스위칭 회로(SC)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전력(Po)이 변경되어야 한다면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또는 상기 제 3 전력 공급 전압(PV3) 중의 하나를 공급하도록 적응되며, 그리고,
    상기 전력 공급원(PS)을 제어하여, (ⅰ) 만약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이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제공된다면, 상기 제 2 레벨을 초과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 1 레벨과, 상기 제 3 레벨을 적응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ⅱ) 상기 제 3 전력 공급 전압(PV3)이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제공된다면, 상기 제 3 레벨을 초과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제 1 레벨과, 상기 제 2 레벨을 적응시키도록 하는
    송신기.
  16. 출력 전력(Po)를 갖는 송신 신호(Vo)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입력단(PI) 및 출력단(PAO)을 갖는 전력 증폭기(PA)와,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과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을 갖는 전력 공급원(PS)을 포함하는 송신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1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제공될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을 제어하는 단계(CO, SC)와,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2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후속하는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원하는 레벨 및 상기 제 2 원하는 레벨의 값에 따라 상기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제공될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 또는 상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중의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CO, SC)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송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타임 슬롯(n-1, n, n+1)에 기반하여 송신 시스템에서 동작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은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의 발생 시점 후에 개시되는 타임 슬롯(n) 동안 요구되는 출력 전력(Po)의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은, 상기 타임 슬롯(n)에 후속하며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의 발생 시점 후에 개시되는 다음 타임 슬롯(n+1) 동안 요구되 는 출력 전력(Po)의 값을 나타내는
    송신기의 송신 방법.
  18. 기지국과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출력 전력(Po)를 갖는 송신 신호(Vo)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입력단(PI) 및 출력단(PAO)을 갖는 전력 증폭기(PA)와,
    제 1 레벨을 갖는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과 상기 제 1 레벨보다 높은 제 2 레벨을 갖는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을 갖는 전력 공급원(PS)과,
    상기 전력 공급 출력단(PS01, PS02)과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회로(SC)와,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1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을 제공하며, 상기 출력 전력(Po)의 제 2의 원하는 레벨을 나타내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에 후속하는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SC)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 1 원하는 레벨 및 상기 제 2 원하는 레벨의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 전력 공급 입력단(PI)에 상기 제 1 전력 공급 전압(PV1) 혹은 상 기 제 2 전력 공급 전압(PV2) 중의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제어기(CO)를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타임 슬롯(n-1, n, n+1)에 기반하여 송신 시스템에서 동작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은 상기 제 1 전력 변경 명령(PC)의 발생 시점 후에 개시되는 타임 슬롯(n) 동안 요구되는 출력 전력(Po)의 값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은, 상기 타임 슬롯(n)에 후속하며 상기 제 2 전력 변경 명령(PC)의 발생 시점 후에 개시되는 다음 타임 슬롯(n+1) 동안 요구되는 출력 전력(Po)의 값을 나타내는 시스템.
KR1020067006724A 2003-10-10 2004-10-01 송신기와, 기지국 및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 및 송신기의송신 방법 KR20060122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3751.8 2003-10-10
EP03103751 2003-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818A true KR20060122818A (ko) 2006-11-30

Family

ID=3442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724A KR20060122818A (ko) 2003-10-10 2004-10-01 송신기와, 기지국 및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 및 송신기의송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57595B2 (ko)
EP (1) EP1673873A1 (ko)
JP (1) JP2007508734A (ko)
KR (1) KR20060122818A (ko)
CN (1) CN1864337A (ko)
WO (1) WO2005036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3896B2 (en) * 2004-02-04 2009-11-24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22302B2 (en) * 2008-08-01 2013-08-27 Arris Enterprises, Inc. Adaptive power control for CATV systems
US8417199B2 (en) * 2010-07-23 2013-04-0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in a power supply modulated system
US8483633B2 (en) 2010-07-23 2013-07-0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ing in a power supply modulated system
US8269558B1 (en) 2011-03-01 2012-09-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supply controller for a multi-gain step RF power amplifier
GB2493529A (en) 2011-08-09 2013-02-13 Nujira Ltd A voltage-selecting tracking power supply with an asynchronous delta-sigma controller
US9066305B2 (en) * 2011-12-06 2015-06-23 Ht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ouput power and method thereof
US9119162B2 (en) * 2013-02-19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Parallel arrangement of asynchronous buck converters for advanced power capability
US9838058B2 (en) * 2015-02-15 2017-12-05 Skyworks Solutions, Inc. Power amplification system with variable supply volta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8813C (en) * 1992-03-02 2004-02-03 Willem G. Durtler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for dual mode analog/digital cellular telephone
US5404586A (en) * 1992-09-29 1995-04-04 Fujitsu Ltd. Transmitter having automatic power controller
JPH08307159A (ja) * 1995-04-27 1996-11-22 Sony Corp 高周波増幅回路、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H10215130A (ja) * 1997-01-30 1998-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増幅装置及び送信出力制御装置
US6148220A (en) 1997-04-25 2000-11-14 Triquint Semiconductor, Inc.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US6275478B1 (en) * 1998-07-10 2001-08-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st power control of signals transmitted on a multiple access channel
JP2001217663A (ja) * 2000-02-02 2001-08-10 Nec Saitama Ltd 送信回路
US6734724B1 (en) * 2000-10-06 2004-05-11 Tropian, Inc. Power control and modulation of switched-mode power amplifiers with one or more stages
US6781452B2 (en) * 2001-08-29 2004-08-24 Tropian, Inc. Power supply processing for power amplifiers
US7151947B2 (en) * 2002-05-08 2006-1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ssociated with a transmitt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57595B2 (en) 2008-11-25
EP1673873A1 (en) 2006-06-28
WO2005036764A1 (en) 2005-04-21
US20070015475A1 (en) 2007-01-18
CN1864337A (zh) 2006-11-15
JP2007508734A (ja)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3681B2 (en) Power saving in a transmitter
US8843180B2 (en) Multimode operation DC-DC converter
CN1307786C (zh) 以多个所需功率输出电平提供电力的功率放大电路及方法
US5438683A (en)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for dual mode analog/digital cellular telephone
US5999829A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used by a portable radiotelephone
US7171168B2 (en) Ramp signal with boost portion preceding a time slot
US7129680B2 (en) Voltage step-up and step-down DC/DC converter
JP415961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0216690A (ja) 増幅器の動作パラメ―タを動的に変化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60122818A (ko) 송신기와, 기지국 및 송신기를 포함한 시스템, 및 송신기의송신 방법
US6798845B1 (en) Transmitter for mobile terminal with carrier leak suppressing circuit
US7190228B2 (en) Gain control device of transmit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952526B1 (ko) 이득을 자동으로 세팅하는 위상 고정 루프
KR1003534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GB2402279A (en) A dual-mode GSM-UMTS mobile phone with a DC-DC converter power supply for the transmit amplifiers
KR20010098011A (ko) Cdma 이동통신 단말기내 송신단의 송신전력 제어장치및 그 방법
CN116865681A (zh) 射频功率放大器的供电电压控制方法及基带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