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440B1 -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440B1
KR100353440B1 KR1019980031233A KR19980031233A KR100353440B1 KR 100353440 B1 KR100353440 B1 KR 100353440B1 KR 1019980031233 A KR1019980031233 A KR 1019980031233A KR 19980031233 A KR19980031233 A KR 19980031233A KR 100353440 B1 KR100353440 B1 KR 10035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eve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352A (ko
Inventor
이상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44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송신전력의 출력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트모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테스트할 수 있는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을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출력레벨에 근거하여 입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레벨에 대응된 코드값을 조정 입력시키면서 상기 단말기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을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에 일치하는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의 기준값으로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과정과, 송신모드시 상기 기준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전원을 단계적으로 공급시켜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송신전력의 출력전원 제어방법 및 그 제어를 위한 테스트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송신전력의 출력전원 제어방법 및 그 제어를 위한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일직류전원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은 고객이 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만족여부에 큰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의 용량이 동일하더라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제어장치의 구현 방법이강구되어야 한다.
본원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본원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특허 제1998- 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레벨(이하 "출력레벨"이라 칭함)에 따라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출력전원(이하 "출력전원"이라 칭함)을 달리 사용하여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제1998- 호에서는 송수신모드뿐만 아니라 전력제어모드에 따라서도 출력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줄이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전력을 기존에 항상 일정하게 한 단계로만 제어하던 방식을, 단말기의 수신전계강도(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e)에 따라 결정되는 단말기의 출력레벨에 대응하여 출력전원을 다단계로 공급한다. 그래서 단말기의 송신모드시에도 소비전력을 줄인다.
이때 상기 출력전원을 다단계로 공급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값들을 일률적으로 정하지 않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정해준다면 단말기를 효율적이고 성능높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전력을 더욱 줄어들 수 있게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출력레벨에 따라 출력전원을 달리 사용하여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방식에 있어서 출력전원을 다단계로 공급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값들을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정해주기 위한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테스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방식(또는 FM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알맞은상승점과 하강점(알맞은 일정 출력레벨)을 정하여서 단말기의 효율성 및 성능을 높이며 소비전력을 줄이게 하는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테스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송신전력의 출력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트모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테스트할 수 있는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을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출력레벨에 근거하여 입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레벨에 대응된 코드값을 조정 입력시키면서 상기 단말기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을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에 일치하는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의 기준값으로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과정과, 송신모드시 상기 기준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전원을 단계적으로 공급시켜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출력레벨에 따른 출력전원 스위칭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 6에서 수행하는 송신모드에서의 출력전원 스위칭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테스트모드 동작 수행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DMA방식의 경우 출력전원과 기준값인 PDM코드값과의 관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전계강도(RSSI)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에 대응된 출력(송신전력)레벨을 정하게 된다. 수신전계강도(RSSI)는 단말기의 모뎀(대표적인 일예로는 퀄컴사에서 제조한 MSM(Mobile Station MODEM)이 있슴)을통해 예컨대, PDM(Pulse Density Modulation)코드로 변환되어 제어부에 제공되고, 제어부는 상기 PDM코드값을 참조하여 출력레벨을 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의 출력레벨에 대응하여 출력전원을 다단계로 공급하여 단말기의 송신모드시에도 소비전력을 줄이고자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출력전원을 다단계로 공급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값들을 일률적으로 정하지 않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에 맞게 정해 주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스트모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테스트모드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출력레벨에 따른 출력전원 스위칭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출력레벨에 따른 출력전원 스위칭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부 6이 송신모드에서 수행하는 출력전원 스위칭 제어흐름도이다.
지금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2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DC/DC컨버터 4에서 해당 회로부에서 필요로 하는 출력전원 Vout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수신모드의 경우 제어부 6은 스위치 SW1을 "온"시키는데 이때 출력되는 출력전원 Vout는 "Vfb*(1+R2/R1)"으로 계산되며 예컨대, 약 3.6V로 된다(Vfb=1.25V로 가정). 송신모드의 경우 제어부 6은 스위치 SW1을 "오프"시킨다.
한편 송신모드일 경우 제어부 6은 도 2의 100단계 내지 106단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송신모드(스위치 SW1 "오프"상태)중에서도 고출력레벨 모드인지 저출력레벨 모드인지를 구별한다. 만약 고출력레벨 모드이면 제어부 6은 출력전원Vout가 고출력전원으로서 송신전력증폭기로 제공되게 제어한다(102,104단계). 즉, 스위치 SW1뿐만 아니라 스위치 SW2도 "오프"시키는데 이때 출력되는 출력전원 Vout는 "Vfb*(1+(R2+R3+R4)/R1)"으로 계산되며 예컨대, 약 5.0V로 된다(Vfb=1.25V로 가정). 만약 저출력레벨 모드이면 제어부 6은 출력전원 Vout가 저출력전원으로서 송신전력증폭기로 제공되게 제어한다(106,108단계). 즉, 스위치 SW2만 "온"시키는데 이때 출력되는 출력전원 Vout는 "Vfb*(1+(R2+R3)/R1)"으로 계산되며 예컨대, 약 4.0V로 된다(Vfb=1.25V로 가정).
상기한 바와 같이 송신모드경우에도 단말기의 출력레벨에 따라서 출력전원 Vout를 2단계(다단계로도 가능함)로 제어함에 따라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력레벨에 따른 출력전원 단계의 스위칭을 고정시켜 놓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 개개의 특성에 맞게 하도록 구현한다. 출력전원 단계의 스위칭을 위한 기준값을 도 3과 같은 테스트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및 효율성도 높인다.
CDMA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기준값이 상승점과 하강점으로 존재하며, FM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일정 출력레벨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DMA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상승점과 하강점을, FM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일정 출력레벨을 알맞게 결정해 주어 소비전력을 더욱 줄인다. CDMA방식에서 상승점과 하강점을 잘 조정하지 않는다면 출력레벨이 발진하거나 단말기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상승점과 하강점을 너무 근접시키면출력레벨이 발진할 가능성이 있고 너무 떨어지면 단말기의 출력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모드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전원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 키를 이용하여 테스트모드와 출력레벨체크값 입력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사용자가 테스트모드와 출력레벨체크값 입력모드에 대응하는 키들을 입력하면, 제어부 6은 상기 키들에 의거하여 200단계의 테스트모드로 진행한 후 202단계의 출력레벨체크값 입력모드로 진행한다. 출력레벨체크값 입력모드로 진행하게 되면 사용자는 출력레벨 체크값을 입력하고 그에 따라 제어부 6은 206단계에서 이를 입력받게 된다.
사용자는 출력레벨 체크값을 이통통신 단말기의 현재 RSSI에 근거된 출력레벨에 참조하여 결정한다. 현재 RSSI에 근거된 출력레벨이 20dB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는 CDMA방식의 경우의 출력레벨 체크값을 예컨대 상승점 20dB, 하강값 16dB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FM방식의 경우 상기 출력레벨 체크값을 20dB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출력레벨 체크값의 입력은 사용자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CDMA방식에서 상기 상승점은 고출력전원 공급이 필요한 고출력레벨의 체크값이고, 상기 하강점은 저출력전원 공급이 필요한 저출력레벨의 체크값이다.
204단계에서 출력레벨 체크값을 입력한 후 사용자는 PDM코드값을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PDM코드값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 6은 206단계에서 PDM코드값을 입력을 인식하고, 208단계로 진행한다. 208단계에서는 입력된 PDM코드값에 따른 송신부의 출력레벨을 검사한다. 상기 PDM코드값은 송신부를 통해출력되는 출력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값이다.
제어부 6은 송신부의 출력레벨이 입력된 출력레벨체크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212단계에서 PDM코드값을 조정하여 다시 입력시켜준다. 이렇게 해서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이 204단계에서 입력해준 출력레벨체크값과 일치하게 되면, 214단계로 진행한다. 214단계에서는 입력해준 출력레벨체크값에 일치하는 출력레벨의 PDM코드값을 출력전원 선택의 기준값으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의 일예에 따르면, CDMA방식의 경우 상승점 20dB, 하강점 16dB에 대응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PDM값, FM방식의 경우 20dB에 대응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PDM값을 출력전원 선택의 기준값으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후 사용자가 키를 이용하여 테스트모드를 종료하게 되면 제어부 6은 216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도 3의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3의 테스트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출력레벨에 따른 출력전원 단계의 스위칭 기준값이 이동통신 단말기 개개의 특성에 알맞게 조정된다. 그러므로 단말기의 성능 및 효율이 증대되고, 소비전력이 더욱 절감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DMA방식의 경우 출력전원과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의 기준값인 PDM코드값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2의 고출력레벨 모드 및 저출력레벨 모드의 단계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CDMA방식에서 PDM코드값의 상승점 PA_RISE_VALUE이상이 되면 제어부 6은 도 2의 102단계에서의 고출력레벨 모드로 판단을 하고 출력전원 Vout를 고출력전원인 도 4의 A값으로 스위칭제어하고, PDM코드값의 하강점 PA_FALL_VALUE이하가 되면 제어부 6은 도 2의 106단계에서의 저출력레벨 모드로 판단을 하고 출력전원 Vout를 저출력전원인 도 4의 B값으로 스위칭제어한다. 상기 PDM코드값의 상승점 및 하강점은 도 3의 테스트모드 동작에서 설명하였듯이 테스트되어 해당 단말기의 특성이 최대한 반영되어 조정된 값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 개개의 특성에 맞는 값을 조정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성능높은 단말기 특성을 갖도록 하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 송신전력의 출력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별 특성에 맞게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 하는 기준값을 정해주기 위한 테스트모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테스트할 수 있는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을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출력레벨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레벨에 대응된 코드값을 조정 입력시키면서 상기 단말기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을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에 일치하는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의 기준값으로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과정과,
    송신모드시 상기 기준값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전원을 단계적으로 공급시켜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DMA방식에서의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은 고출력레벨에 대응된 상승점과 저출력레벨에 대응된 하강점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FM방식에서의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은 일정 출력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원은 고출력레벨에 대응된 고출력전원과 저출력레벨에 대응된 저출력전원으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이동통신단말기 송신전력의 출력전원 제어를 위한 테스트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별 특성에 맞게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 하는 기준값을 정해주기 위한 테스트모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테스트할 수 있는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을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출력레벨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레벨에 대응된 코드값을 조정 입력시키면서 상기 단말기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을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에 일치하는 송신부에서의 출력레벨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출력전원 단계 스위칭의 기준값으로 사용되게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테스트모드를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CDMA방식에서의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은 고출력레벨에 대응된 상승점과 저출력레벨에 대응된 하강점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FM방식에서의 상기 특정출력레벨 체크값은 일정 출력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1233A 1998-07-31 1998-07-31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KR10035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233A KR100353440B1 (ko) 1998-07-31 1998-07-31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233A KR100353440B1 (ko) 1998-07-31 1998-07-31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52A KR20000010352A (ko) 2000-02-15
KR100353440B1 true KR100353440B1 (ko) 2002-12-26

Family

ID=1954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233A KR100353440B1 (ko) 1998-07-31 1998-07-31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4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556A (ko) * 1995-01-30 1996-08-17 와이, 비. 라 전압 폴로워 증폭기 구조의 완전 차동 플래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556A (ko) * 1995-01-30 1996-08-17 와이, 비. 라 전압 폴로워 증폭기 구조의 완전 차동 플래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52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3681B2 (en) Power saving in a transmitter
US6348744B1 (en) Integrated power management module
EP1713176A1 (en) Power amplifier unit,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power amplifier unit
JPH08316743A (ja) 増幅器の効率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415961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0248033A4 (en) MULTI-LEVEL POWER AMPLIFIER CIRCUIT FOR PORTABLE BROADCAST RECEIVERS.
KR199900739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WO2003005528A2 (en) Dual mode power supply
US200700462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erving battery charge
EP1306957A4 (en) LOAD / UNLOAD DEVICE AND METHOD,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PROGRAM MEMORY AND PROGRAM
JP3158833B2 (ja) 移動無線装置
KR1003534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송신전력의출력전원제어방법및그제어를위한테스트방법
US7457595B2 (en) Power saving in a transmitter
GB2316561A (e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 power amplifier by selecting stored values of supply and/or bias voltage in dependence on measured output power
KR1004442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출력전원제어장치및방법
KR10035786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KR0168028B1 (ko) 휴대용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2005009643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회로 및 방법
JP2004056399A (ja) 携帯電話機、送信パワー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47355B2 (ja) 降圧電源電圧使用回路
KR101072115B1 (ko)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JP3160217B2 (ja) 負電源電圧自動調整回路
KR19990056915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일정한 배터리전원 공급장치
KR19980046510A (ko) 송신출력레벨에 따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절전회로
JPH01314025A (ja) 送信出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