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115B1 -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115B1
KR101072115B1 KR1020040055731A KR20040055731A KR101072115B1 KR 101072115 B1 KR101072115 B1 KR 101072115B1 KR 1020040055731 A KR1020040055731 A KR 1020040055731A KR 20040055731 A KR20040055731 A KR 20040055731A KR 101072115 B1 KR101072115 B1 KR 10107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ll connection
gain mode
output power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624A (ko
Inventor
한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1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콜 접속 시도 시 송신신호의 출력전력 레벨이 전력증폭모듈의 이득모드 스위치 지점에 있을 때 언제나 고이득 모드에서 콜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여 콜 접속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은 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콜 접속 시도에 의해 송출되는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와 저 이득 모드간의 스위칭 지점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모듈을 고이득 모드에 고정시키고,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콜 접속이 실패하면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고, 상기 콜 접속이 성공하면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METHOD FOR STABILIZATION OF CALL ACCES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RF 송신단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전력증폭모듈의 이득 제어를 위한 HDET 테이블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대역선택 필터 2 : 전력증폭모듈(PAM)
3 : 커플러 4 : 듀플렉서
5 : 안테나 6 : 고전압 검출기(HDET)
7 : ADC 8 : MSM
본 발명은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콜 접속 시도 시 송신신호의 출력전력 레벨이 전력증폭모듈의 이득모드 스위치 지점에 있을 때 언제나 고이득 모드에서 콜 접속이 수행되도록 하여 콜 접속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가 콜 접속(call access)을 시도할 때, 기지국으로부 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에 따라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결정한다. 즉,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콜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이동단말기가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 세기에 따라 결정되는 송신전력으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이동단말기에서 송신전력의 레벨을 조정하는 부분이 전력증폭모듈(Power Amplifier Module: PAM)인데, 전력증폭모듈의 이득은 스텝 제어(STEP control) 방식(즉, 고이득 모드과 저이득 모드)에 의해 조정된다.
콜 접속 시도 상태에서, 이동단말기의 송신출력전력이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high gain mode)와 저이득 모드(low gain mode)의 중간 위치(스위치 지점)에 놓여 있을 때, 전력증폭모듈이 만약 저이득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송신전력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져 콜 접속이 실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콜 접속 시도 시 송신출력이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전력증폭모듈이 저이득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고 고이득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송신전력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콜 접속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은 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콜 접속 시도에 의해 송출되는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간의 스위칭 지점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모듈을 고이득 모드에 고정시키고,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콜 접속이 실패하면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고, 상기 콜 접속이 성공하면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RF 송신단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송신단은 대역선택 필터(Band select filter)(1), 전력증폭모듈(Power Amplifier Module: PAM)(2), 커플러(coupler)(3), 듀플렉서(duplexer)(4), 안테나(5), 고전압검출기(High power DETector: HDET)(6), AD 컨버터(7) 및 모뎀부(MSM)(8)로 구성되어 있다.
대역선택 필터(1)는 비선형성의 구동증폭기(Drive amplifier)를 통해 증폭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사용 중인 채널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력증폭모듈(2)은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를 공중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전력증폭모듈(2)은 이득(gain)을 갖고 신호를 증폭하되, 다른 증폭기들과 달리 출력에서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출력단에서 높은 dBm의 전력을 소화할 수 있다.
커플러(3)는 안테나(5)를 통해 신호가 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 문에, 특정 방향으로만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신호의 방향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출력방향으로는 신호가 흐르고, 역방향으로 들어온 신호는 termination 시켜 버려서 역으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신호가 역으로 유입되어 PAM(2) 출력단의 임피던스를 교란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PAM(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듀플렉서(4)는 비선형의 PAM(2)를 통해 전력 증폭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안테나(5)로 보내는 대역 필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안테나(5)는 듀플렉스(4)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변화를 최종적으로 공기중의 전자기파로 복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전압 검출기(6)는 커플러(3)로부터 입력된 송신신호의 전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AD 컨버터(7)는 고전압 검출기(6)의 출력 DC 전압값을 기준으로 각 레벨마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 즉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MSM(8)은 수신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PAM(2)의 이득을 제어하여 다른 이동단말기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송신신호의 전력 레벨을 조정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콜 접속의 안정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통화키를 눌러 콜 접속을 시도하면(S10), 이동단말기는 콜 접속 시도 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레벨에 따라 전력증폭모듈(2)의 이득을 조정하여 전력증폭된 송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다음, 전력증폭모듈(2)에서 출력된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검출하고(S20) 이 검출된 출력전력레벨이 전력증폭모듈(2)의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간 스위칭이 일어나는 지점에 속해 있는 레벨값인지를 판단한다.(S30) 판단 결과, 검출된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으면 전력증폭모듈(2)의 이득을 고이득 모드로 고정시켜 이득 제어를 수행하고(S40), 검출된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지 않으면 종래와 같이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한다.(S60)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을 검출하여 검출 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전력증폭모듈(2)의 이득 모드가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될 수 있는 전력레벨의 범위는 예를 들어 13-17dBm이다. 이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간의 스위칭 지점에 대응하는 전력레벨 범위 내 값들(13-17dBm)을 HDET 출력값(직류전압값)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각 레벨마다 디지털화하여 HDET 테이블을 작성한다.
도 3은 HDET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13-17dBm 사이를 일정한 레벨로 나누어 각 레벨에 해당하는 n개의 디지털값들(예를 들어, 100-200)을 구한 후, 이 디지털값들로 HDET 테이블을 구성한다. 이 HDET 테이블은 이렇게 미리 작성되어 MSM(8) 내부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은 HDET(6)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날로그 직류전압은 AD 컨버터(7)에서 입력되어 직류전압을 기준으로 각 레벨마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MSM(8)에 입력되고, MSM(8)은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에 대응하는 디지털값과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비교하여, 그 디지 털값이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 디지털값이 테이블에 들어 있으면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이 스위칭 지점에 속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디지털값이 테이블에 들어 있지 않으면 송신신호의 전력레벨이 스위칭 지점에 속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송신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다고 판단되어 전력증폭모듈(2)의 이득을 고이득 모드로 고정(S40)시켜 이득 제어를 수행한 후, 이어서 콜 접속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콜 접속이 성공하면 전력증폭모듈(2)은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고(S60), 콜 접속이 실패하면 다시 처음 단계로 돌아가 상기의 단계들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콜 접속 시도 시 송신출력이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전력증폭모듈이 저이득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고 언제나 고이득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송신전력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콜 접속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콜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콜 접속 시도에 의해 송출되는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간의 스위칭 지점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모듈을 고이득 모드에 고정시키고, 상기 검출된 출력전력이 스위칭 지점에 있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콜 접속이 실패하면 상기 각 단계들을 반복하고, 상기 콜 접속이 성공하면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에 따라 상기 전력증폭 모듈의 이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직류전압을 기준으로 각 레벨마다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간의 스위칭 지점에 대응하는 전력 범위 내 값들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미리 테이블에 저장해 놓고, 상기 송신신호의 출력전력에 대응하는 디지털값이 상기 테이블에 들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4. 콜 접속 시도에 의해 송출되어, 커플러로부터 입력된 송신신호의 전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검출기;
    상기 고전압 검출기의 변환된 DC 전압값을 기준으로 각 레벨마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전력증폭모듈의 고이득 모드와 저이득 모드 간의 스위칭 지점에 있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모듈을 고이득 모드에 고정시킨 후, 콜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수신신호의 전력레벨에 따라 전력증폭 모듈의 이득을 제어하는 모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40055731A 2004-07-16 2004-07-16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KR10107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31A KR101072115B1 (ko) 2004-07-16 2004-07-16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31A KR101072115B1 (ko) 2004-07-16 2004-07-16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24A KR20060006624A (ko) 2006-01-19
KR101072115B1 true KR101072115B1 (ko) 2011-10-10

Family

ID=3711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731A KR101072115B1 (ko) 2004-07-16 2004-07-16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1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24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566B1 (ko) 제어된 이득 수신기를 위한 디지털화된 자동 이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668486B2 (ja) 隣接チャネル・パワー・リジェクションのために一定のマージンを維持するために最大送信パワー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AU752712B2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US82753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ain state of a wireless receiver operating in an idle mode
US20100073080A1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 gain control
JP2002314345A (ja) 高周波増幅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US71107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ression of a power amplifier circuit
KR10044260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의 선형성 유지 장치 및 방법
KR101072115B1 (ko)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JP4048589B2 (ja) 携帯電話機の送信電力制御方式
JPH07170202A (ja) 送信回路
JP2009177568A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0385807C (zh) 具有逆向输出功率设定功能的移动通信终端
KR200100401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1040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pdm 신호를 이용한 송신전력제어장치
JP2003017957A (ja) 高周波増幅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受信機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6528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력 증폭기의 각 채널별 스위칭포인트 설정 방법
KR1005824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WO2000065728A1 (fr) Appareil et procede pour regler la puissance
KR1005913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KR20010098011A (ko) Cdma 이동통신 단말기내 송신단의 송신전력 제어장치및 그 방법
KR100606688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전력 제어 장치
KR20000015353A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지국내 자동 이득 조절회로
JP2006166161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