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85A - 클램프,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85A
KR20060122785A KR1020060047724A KR20060047724A KR20060122785A KR 20060122785 A KR20060122785 A KR 20060122785A KR 1020060047724 A KR1020060047724 A KR 1020060047724A KR 20060047724 A KR20060047724 A KR 20060047724A KR 20060122785 A KR20060122785 A KR 20060122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lamp
bolts
loop
folde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개리 이베스
귄터 하르틱
그레그 릴리스톤
Original Assignee
라스무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스무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스무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2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램프는 클램프 동체의 원주 방향에서 제 1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링 부분의 클램프 동체를 가진다. 제 1 단부는 제 1 의 접혀진 밴드에 의해 형성된 제 1 의 루프를 가진다. 제 1 의 볼트는 제 1 의 루프 안에 배치된다. 제 1 의 볼트는 원주상의 표면과 2 개의 반대편 단부면들을 가진다. 제 1 볼트는 2 개의 단부면들중 하나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원주상의 표면에 배치된 요부를 가진다. 제 1 의 접혀진 밴드는, 제 1 의 볼트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의 접혀진 밴드로부터 돌출되고 요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가진다.

Description

클램프,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Clamp, especially profiled clamp or hose clamp}
도 1 은 형상화된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사시도에서 형상화된 클램프이다.
도 3 은 클램프 동체의 단부에서 루프(loop)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 는 상이한 사시도에서 서스펜션 볼트(suspension bolt)를 각각 도시한다.
도 5 는 루프 안에 배치된 서스펜션 볼트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 는 상이한 상대 위치들에서 도 5 의 상세도 VI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 는 나사화된 볼트를 사시도와 단면도로 각각 도시한다.
도 8 은 개량된 구현예의 서스펜션 볼트의 일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원주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접혀진 밴드로 형성 된 루프를 가지는 고리 부분 형태인 클램프 동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볼트는 루프 안에 배치되며 접혀진 밴드는 볼트와 상호 작용하는 형상화된 부분을 가진다.
형상화된 클램프로서 구성된 클램프는 Rasmussen Gmbh (독일, 63477 마니탈)에 의해 간행된 소책자인 "Normaconnect V QRC"에 개시되어 있다. 클램프 동체의 양쪽 단부들에는 루프가 제공되며 볼트는 각각의 루프 안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나사는 2 개의 볼트들중 하나로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는 다른 볼트로부터 매달릴 수 있다. 2 개의 루프들은 축방향 단부의 부위 안에서 각각 다소 눌리게 된다. 이러한 눌림은 볼트가 루프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축방향 고정 수단을 형성한다.
그러한 클램프는 실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접혀진 밴드의 변형은 일단 볼트가 삽입되었을 때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와 관련해서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의 제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의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볼트의 원주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요부가 제공되며, 그러한 요부가 볼트를 향하는 방향에서 접혀진 밴드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맞물리는 것으로 달성된다.
돌출부는 접혀진 밴드가 여전히 그것의 최초 형상으로 평면에 있을 때 이미 만들어진다. 따라서, 돌출부의 제작은 상대적으로 단순하다. 예를 들면, 밴드가 스 탬핑(stamping)됨으로써, 즉, 자국(impression)이 소정의 위치에 있음으로써 돌출부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탬핑 공정은 절제부(cutout)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절제부를 통하여 나사가 이후에 안내된다. 자국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볼트는 루프(loop)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특정의 힘을 필요로 한다. 돌출부가 요부 안의 정위치에 물리자마자, 볼트는 루프 안에서 축방향으로 포착되어 고정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요부가 소정의 원주 부위에 제한된다. 돌출부와 요부의 상호 작용은 이후에 더욱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돌출부는 볼트가 루프의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축방향 고정 수단만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또한 회전 고정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각도 위치에 대하여 볼트가 소정의 정렬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루프 안에서 적어도 소정의 정렬 범위내에 유지된다. 이것은 클램프의 장착 동안에 나사가 볼트와 맞물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볼트를 서스펜션 볼트로서 구성할 때, 나사가 삽입되어야 하는 요부는 항상 나사를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요부와 돌출부는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나사가 이미 볼트의 나사 없는 구멍을 통하여 안내되었을 때, 회전 고정 작용은 그것이 나사를 다른 볼트의 나사의 나선이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시키는게 용이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바람직스럽게는, 요부가 오목하게 만곡되거나 또는 직선을 형성하는 저부를 가진 홈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한 홈은 예를 들면 디스크 밀링(milling) 공구를 가지고 밀링 가공함으로써 볼트 안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부가적으로, 요부는 경계 벽을 가진 홈에 의해 형성되는데, 경계 벽은 원주 방향으로 반경 방향에 대하여 최대 45°의 각도로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부와 홈의 상호 작용을 극복함으로써 허용 범위를 넘어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이탈 순간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는 거의 전단(shear off)되어야만 하는데, 이것은 정상 범위의 힘을 가할 때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재료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볼트가 서스펜션 볼트(suspension bolt)로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서스펜션 볼트는 Norma Connect QRC 유형의 상기 언급된 형상화 클램프와 관련하여 개시된다. 이러한 클램프에 있어서, 볼트의 회전 고정 수단의 장점들은 특히 잘 나타나 있다. 회전 고정 수단에 의해서 서스펜션 볼트의 수용부가 항상 나사를 면하고 있는 것이 보장될 때, 볼트를 이전의 수용 위치로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아무런 문제없이 클램프가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위치는 이미 클램프를 제조할 때 조절되었던 것이다.
유리하게는, 요부가 40°내지 80°의 원주 각도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나사에 대한 볼트의 특정한 회전이 허용 가능하다. 이것은 클램프를 조일 때 볼트가 루프 안에서 일정한 정도로 회전하여야만 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 운동은 커다란 공칭 직경을 가진 클램프의 경우 보다 작은 공칭 직경을 가진 클램프의 경우에 커지게 된다. 적절하게 커다란 원주상의 각도가 제공되었을 때, 같은 볼트가 상이한 공칭 직경을 가진 클램프들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50 mm 내지 대략 300 mm 의 공칭 직경을 가진 클램프들에 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루프 안에서 가능한 볼트의 회전은 나사가 그것의 수용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는 한 장애가 되지 않는다.
클램프 동체의 다른 단부에, 접혀진 밴드로부터 제작되고 그 안에 제 2 의 볼트가 배치되어 있는 제 2 의 루프가 제공되면 유리한데, 접혀진 밴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제 2 볼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볼트의 원주 표면내에 배치된 제 2 볼트의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된 요부와 맞물린다. 마찬가지의 장점이 이전에 언급된 제 1 볼트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적용된다. 볼트는 루프의 축방향 운동에 대하여 돌출부와 요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고정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2 볼트내의 요부가 원주상의 홈으로서 구성된다. 그러한 원주상의 홈은 예를 들면 선삭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의 볼트는 실질적으로 홈 안에서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 1 볼트가 서스펜션 볼트일 때 유리하다. 나사가 제공된 제 2 볼트의 자유 회전은 예를 들면 파이프나 또는 파이프 연결부를 가로질러서 형상화된 클램프를 밀어넣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나사가 장착 경로의 밖으로 피봇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2 볼트가 나사화된 볼트이다. 이것은 나선이 제공된 구멍을 가진다. 나사는 이러한 나선으로 나사 결합된다.
볼트가 적어도 일 단부면에 사면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사면은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볼트는 다음에 루프 안으로 가압될 수 있다. 사면은 돌출부의 부위에서 접혀진 밴드를 다소 반경 방향 외측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돌출부가 말하자면 요부 안에 잠기도록 접혀진 밴드는 그것의 탄성 때문에 뒤로 튕겨진다.
돌출부가 클램프 동체의 다른 단부를 향하여 배향되는 접혀진 밴드의 부위에 배치될 때 유리하다. 클램프가 조여질 때, 볼트가 루프 안에서 고정될 가능성이 향상되도록 돌출부는 요부 안으로 당겨진다.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볼트는 접혀진 밴드에 의해 여전히 단단하게 둘러싸여서 돌출부는 요부 안으로 충분히 안전하게 돌출된다.
클램프(1)는 도시된 구현예에서 형상화된 클램프로서, 클램프 밴드(2)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 밴드는 고리형 부분으로서 형상화되고 탄성적으로 굽힐 수 있는 금속으로부터 제작된다. 3 개의 형상화된 구획부(3)들은 클램프 부분(2)에 대하여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형상화된 구획부(3)들은 상대적으로 경직된 금속을 구비한다. 이들은 부등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데, 즉, 이들에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써 각이 형성된 2 개의 옆에 있는 측면들이 제공된다.
클램프 밴드(2)는 그들의 2 개 단부들에 있는 접혀진 밴드(4,5)들로서 지칭되는 부분들을 각각 가진다. 각각의 접혀진 밴드(4,5)들은 루프(6,7)를 형성하며, 루프 안에 볼트가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볼트는 서스펜션 볼트(8)인 반면에, 다른 볼트는 나사화 볼트(9)이다. 나사(10)는 나사화 볼트에 나사 결합된다. 나사(10)는 서스펜션 볼트(8) 안의 요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다음에 그 안에서 도 4b 에 도시된 접촉 표면(12)에 대하여 안착된다. 접촉 표면(12)이 적어도 부분 적으로 고리형 벽(13)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나사(10)의 헤드(14)는 그곳에서 고정 유지된다. 클램프(1)는 특정의 장력으로 외측을 향해 힘을 받으므로, 나사(10)는 일단 서스펜션 볼트(8) 안으로 삽입되면 더 이상 서스펜션 볼트(8)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나사(10)가 헤드(14)와 맞물리도록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될 때, 클램프 밴드(2)의 2 개 단부들은 서로를 향하여 움직여서 클램프(1)가 죄여진다.
도 3 은 서스펜션 볼트(8)를 위한 루프(7)를 형성하는 접혀진 밴드(5)를 가지는 클램프 밴드(2)의 일 단부를 도시한다. 서스펜션 볼트(8)는 도 4a 및, 도 4b에서 상이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접혀진 밴드(5)는 슬롯(15)을 가지는데, 상기 슬롯은 클램프 밴드(2)의 평탄한 상태에서 클램프 밴드(2)의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하여 평행하다. 조립하는 동안에, 나사(10)는 슬롯(15)을 통해서 밀려질 수 있다.
접혀진 밴드(5)는 그것의 단부면(16)에서 2 개의 돌출부(17,18)들, 즉, 루프(7)의 내부에서 내측으로 배향된 돌출 요소들을 형성하는 자국을 가진다. 이들 돌출부(17,18)들은 슬롯(15)이 예를 들어 스탬핑(stamping)되거나 또는 다이 커팅(die-cutting)될 때 클램프 밴드(2)의 펼쳐지거나 또는 평탄 상태에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접혀진 밴드(5)가 루프(7)를 형성하도록 굽혀지고 2 개의 용접 지점(19)들에 의해서 클램프 밴드(2)의 나머지 부분들에 연결될 때, 돌출부(17,18)들은 도시된 위치에 있다.
도 3 은 단지 하나의 접혀진 밴드(5)를 도시한다. 루프(8)를 형성하는 다른 접혀진 밴드(4)는 접혀진 밴드(5)와 동일하고 거울 대칭이어서, 접혀진 밴드(5) 안의 돌출부(17,18)는 접혀진 밴드(4) 안에 대응하는 반대편 돌출부 또는 자국을 가진다.
도 4a 및, 도 4b 는 서스펜션 볼트(8)의 부가적인 상세를 도시한다. 서스펜션 볼트(8)는 그것의 단부면들에 사면(bevel,21,22)들을 가지는 실린더(20)이다. 실린더(20)의 축방향 중심에, 상기 언급된 요부(11)가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요부(11)는 일측에서 접촉 표면(12)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접촉 표면(12)에 반대편 측부에서, 서스펜션 볼트(8)는 그것의 원주 표면내에 2 개의 홈(23,24)들을 가진다. 그러나 이들 홈(23,24)들은 서스펜션 볼트(8) 안에서 전체적인 원주 주위로 연장되지 않으며, 단지 원주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된다. 이러한 원주 부분이 바람직스럽게는 40°내지 80°의 각도 범위에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대략 60°이다.
예를 들면, 도 6a 내지 도 6c 의 단면도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23,24)들은 볼록한 저부를 가진다. 홈(23,24)들의 저부는 또한 직선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개량된 구현예에 있어서, 원주 방향에서 홈(23,24)은 경계벽(25,26)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데, 경계벽들은 서스펜션 볼트(8)의 반경 방향에 대하여 최대 45°의 각도로 위치된다. 바람직스럽게는, 경계벽(25,26)들은 반경 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가지며, 특히 이들은 반경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장착을 위해서, 서스펜션 볼트(8)는 돌출부(17,18)들이 홈(23,24)들과 맞물 리는 방식으로 루프(7)로 가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특정한 양의 힘이 서스펜션 볼트(8)를 루프(7)로 가압하도록 가해져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스펜션 볼트(8)의 어느 단부가 루프(7)로 가압되는가에 따라서) 사면(21,22)들중 하나는 서스펜션 볼트(8)가 돌출부(17,18)를 지나서 움직일 수 있도록 접혀진 밴드(5)를 다소 넓히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넓힘 작용은 접혀진 밴드(5)의 탄성 범위내에서 실현됨으로써, 돌출부(17,18)들이 일단 홈(23,24)들의 반대편에 위치되면 홈(23,24)과 맞물린다. 서스펜션 볼트(8)는 다음에 루프(7) 안에 포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홈(23,24)들은 서스펜션 볼트(8)의 전체 원주를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도 접혀진 밴드(5)에 의해 형성된 루프(7)에서 서스펜션 볼트(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회전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것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서스펜션 볼트(8)를 루프(7) 안에서 상이한 회전 각도로 도시한다. 도 6a 에 있어서, 최대의 회전 각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즉, 홈(24)은 돌출부(17)의 하부 가장자리와 접촉한다. 도 6c 에 있어서, 반대편의 맨 끝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즉, 서스펜션 볼트(8)는 루프(7) 안에서 (도 1 에 도시된 것에 비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었다. 도 6b 는 중앙의 위치를 도시한다.
그러나, 3 개의 모든 위치들에서, 나사(10)의 단순한 하방향 운동에 의해 요부(11)와 맞물리고 그러한 방식으로 나사(10)를 요부(11)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사(19)가 요부(11)의 저부(27)와 접촉하자마자, 저부(27)는 길이 방향 연장부에 평행하게 정렬되어서 나사(10)의 헤드(14)가 접촉 표면(12)에 대하여 안착하게 될 수 있다.
홈(23,24)들은 원주 방향에서 예를 들면 60°의 각도에 걸쳐서만 연장되기 때문에, 루프(7) 안의 서스펜션 볼트(8)의 회전 운동성은 단지 상기 각도에 제한된다.
이것과 대조적으로, 도 7a 에 도시된 나사화된 볼트(9)는 그 어떤 회전 제한도 받아서는 아니된다. 나사화된 볼트(9)는 실린더(28)도 가진다. 실린더(28)는 중앙의 나사화된 구멍(29)을 가진다. 그것의 단부면들에는 사면(30,31)들이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나사화된 볼트(9)는, 홈(23,24)들과 같은, 단부면들로부터의 소정 간격으로 원주상의 홈(32,33)들을 가진다.
도 7b 는 홈(32)의 부위에 있는 나사화된 볼트(9)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것은 홈(32)이 나사화된 볼트(9)의 전체 원주 둘레에 연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나사화된 볼트(9)는 서스펜션 볼트와 같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즉, 그것은 측부로부터 루프(6)로 가압된다. 사면(30,31)의 선단부는 접혀진 밴드(4)를 탄성적으로 넓힘으로써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돌출부들이 홈(32,33) 안에 잠길 수 있다. 차후에, 접혀진 밴드(4)는 다시 수축해서 나사화된 볼트(9)가 루프(6) 안에 포착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차후에, 나사(10)는 나선이 있는 볼트(9)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나사화된 볼트(9) 안으로 너무 멀리 나사 결합되지 않았을 때, 상대적으로 훨씬 더 피봇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클램프 밴드(2)에 대략 90°의 각도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피봇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에서, 클램프(1)가 파이프 연결로 위치되지 않을 때, 또는 마무리된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때 그 어떤 장애물도 만들지 않는다.
돌출부(17,18)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탬핑(stamping) 이나 또는 엠보싱(embossing)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나사(10)가 나사화된 볼트(9) 안으로 나사 결합될 때 홈(23,24 또는 32,33)의 안으로 각각 가압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서스펜션 볼트(8)와 나사화된 볼트(9)는 그 어떤 경우에라도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보장된다.
서스펜션 볼트(8) 대신에,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볼트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관통 볼트는 나사가 없는 구멍을 가지며 그러한 구멍을 통하여 나사(10)가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나사(10)의 헤드(14)는 관통 볼트의 적절한 접촉 표면에 대하여 안착된다.
클램프에 나사화된 볼트(9) 및 관통 볼트가 제공되면, 나사화된 볼트(9)에 회전 각도 제한을 제공하는 홈(23,24)들을 형성하는 것과, 관통 볼트가 다소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해질 수 있다. 물론, 나사화된 볼트의 경우뿐만 아니라, 관통 볼트의 경우에서 회전 각도의 제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스펜션 볼트(8)와 나사화된 볼트(9), 또는 관통 볼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나사화된 볼트(9)는 클램핑할 때 루프(6,7) 안에서 다소 회전하기 때문에, 그러한 회전 운동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서스펜션 볼트(8)에서 특정의 원주 각도 둘레로 연장되는 홈(23,24)들에 의해 그 어떤 경우에라도 보장된다.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도록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그러한 원리를 이탈함이 없이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파이프등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조가 간단하다.

Claims (11)

  1. 클램프 동체의 원주 방향에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는 고리 부분의 클램프 동체로서, 제 1 단부는 제 1 의 접혀진 밴드에 의해 형성된 제 1 루프를 가지는, 고리 부분의 클램프 동체;
    제 1 루프 안에 배치된 제 1 볼트;를 구비하고,
    제 1 볼트는 원주상의 표면과 2 개의 반대편 단부면들을 가지고;
    제 1 볼트는 2 개의 단부면들중 하나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원주상의 표면 안에 배치된 요부를 가지고;
    제 1 의 접혀진 밴드는, 제 1 의 접혀진 밴드로부터 제 1 의 볼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요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가지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요부는 소정의 원주 부위로 제한되는, 클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요부는 오목하게 만곡되거나 또는 직선인 저부를 가지는 홈이 되는, 클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요부는 원주 방향에서 경계 벽을 가지는 홈이고, 경계 벽은 반경 방향에 대 하여 최대 45°의 각도로 연장되는, 클램프.
  5. 제 2 항에 있어서,
    볼트는 서스펜션 볼트가 되는, 클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요부는 40°내지 80°의 원주상의 각도 범위로 연장되는, 클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부는 제 2 의 접혀진 밴드에 의해 형성된 제 2 의 루프를 가지고,
    클램프는, 제 2 루프 안에 배치되고 원주상의 표면과 2 개의 반대편 단부면들을 가진 제 2 볼트를 구비하고, 제 2 의 접혀진 밴드는 제 2 볼트를 향하는 방향에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고 제 2 의 볼트는 요부를 가지며, 제 2 의 접혀진 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제 2 볼트의 요부와 맞물리고, 제 2 볼트의 요부는 제 2 볼트의 단부면들중 하나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 2 볼트의 원주 표면내에 배치되는, 클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볼트의 요부는 원주상의 홈이 되는, 클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볼트는 나사화된 볼트인, 클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의 볼트들은 단부면들중 하나에 적어도 사면을 각각 가지는, 클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클램프 동체의 제 2 단부를 향하여 배향된 제 1 의 접혀진 밴드의 부위에 배치되는, 클램프.
KR1020060047724A 2005-05-27 2006-05-26 클램프,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 KR20060122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4402 2005-05-27
DE102005024402.5 2005-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85A true KR20060122785A (ko) 2006-11-30

Family

ID=3693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724A KR20060122785A (ko) 2005-05-27 2006-05-26 클램프,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29427A (ko)
KR (1) KR20060122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60B1 (ko) * 2009-01-21 2009-12-03 벽진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시트와 금속 밴드 혼합형 파이프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60B1 (ko) * 2009-01-21 2009-12-03 벽진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시트와 금속 밴드 혼합형 파이프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29427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993B2 (en) Insert for an opening of an appliance
RU2350824C1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US8979417B2 (en) Attachment system
US7850485B2 (en) Plug connector for front plate or back plate assembly
JP2008095960A (ja) ホースクランプ
JP2005169071A (ja) 脊椎固定装置
US20060172580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RU2560348C2 (ru) Самоконтрящееся навинчивающееся крепеж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набженный им узел
US20120211274A1 (en) Cable Feedthrough
JP2006248486A (ja) 車両用ルーフアンテナ取付け装置
US7054158B2 (en) Cooling body
KR20180115304A (ko)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US10471517B2 (en) Cutting tool and cutting tool body with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 coupling screw
US7687819B2 (en) Optical semiconductor package with compressible adjustment means
KR20150115411A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KR20060122785A (ko) 클램프, 특히 형상화된 클램프 또는 호스 클램프
KR200392312Y1 (ko) 체결구
RU276662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гибания шплинта
JP2022173514A (ja) ねじ締結機構の逆回転防止構造及びねじ締結機構の介在部材
JP2020507043A (ja) プリアセンブリを用いて二つの管を連結する装置
CN109654092B (zh) 用于零件的固定装置
KR20190081444A (ko) 커넥터 클립 고정구조
JP2006339230A (ja) コイル装置の取付構造
KR20150031615A (ko) 공차흡수 브래킷
JP2005112082A (ja) 一対のネジ部品を用いた固定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