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06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067A
KR20060122067A KR1020050044027A KR20050044027A KR20060122067A KR 20060122067 A KR20060122067 A KR 20060122067A KR 1020050044027 A KR1020050044027 A KR 1020050044027A KR 20050044027 A KR20050044027 A KR 20050044027A KR 20060122067 A KR20060122067 A KR 2006012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plasma display
wing
pan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9702B1 (ko
Inventor
정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702B1/ko
Priority to JP2006031461A priority patent/JP4335878B2/ja
Priority to US11/440,784 priority patent/US7408777B2/en
Priority to CNB2006100830027A priority patent/CN100476905C/zh
Publication of KR2006012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28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하여 구동할 경우에도 발열소자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회로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저면부와, 저면부로부터 신장되고 저면부의 변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가지는 공동형 방열판을 구비한다.
방열판, TCP, IPM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a는 통상적인 방열판의 설치 형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PDP가 90도 회전한 경우의 방열판과 공기의 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의 방열판(16)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방열판을 수직으로 내려다본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공동형 방열판과 공기의 흐름 방향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5a는 공동부분의 높이가 낮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공동부분의 높이가 높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일군의 날개부 중 중앙부분 날개들의 높이가 낮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일군의 날개부 중 중앙부분 날개들의 높이가 높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DP 2 : 방열판
3 : 케이스 4 : 패널
6 : 열전도시트 8 : 접착부재
10 : 프레임 12 : 인쇄회로기판
14 : 보호플레이트 16 : 방열판
17 : 연결부재 18 : 투광부
20 : 저면부 21 : 날개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하여 구동할 경우에도 발열소자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을 대체하는 많은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을 들 수 있다.
특히, PDP는 패널에서 가스방전을 발생시킬 때 방출되는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PDP의 패널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회로들이 PDP의 후면 방향에 설치되는 인쇄회로 기판에 형성된다.
이 인쇄회로기판에는 데이터 구동부, 스캔 구동부, 서스테인 구동부, 전원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구동부들이 기능별, 위치별로 분리된 여러장의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이러한 여러장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상술한 구동부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스캔 구동부와 서스테인 구동부는 하나의 기판에 형성되어 통합기판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은 데이터 구동부, 스캔 구동부 및 서스테인 구동부가 각각 형성된 구동부 기판들과, 이들에 구동신호의 생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형성된 기판, 각각의 구동부와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며, 외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가 형성된 기판들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구동부들이 형성된 기판들에는 전원 공급부와 별도의 전원 공급모듈이 하나 이상 실장된다. 보통 이 전원 공급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 이하 "IPM"이라 함)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직류(DC)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신호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IPM들은 직류(DC) 전원을 여러 단계의 다른 전위를 가지는 전압들로 변환하거나, 극성을 반전시키는 등의 역할을 하여, PDP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전원 생성한다.
PDP의 특성상 이러한 IPM들은 동작시 많은 열이 발생된다. 이는 PDP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파형의 전위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비해 매우 높고, 파형 인가 횟수도 매우 많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하나의 서브필드를 어드레 스기간, 리셋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나누어 구동하는 PDP의 경우, 각 기간에 리셋 방전, 어드레스 방전 및 서스테인 방전을 발생시킨다. 특히, 서스테인 방전의 경우, 하나의 서브필드 기간에도 최대 128회까지 발생될 수 있으며, 1회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전압의 크기도 작게는 수십 볼트[V]에서 크게는 수백 볼트[V] 정도의 매우 높은 신호 전압을 사용하게 된다. 어드레스 방전의 경우도 두 전극에 상이한 극성의 어드레스 신호를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두 전극에 인가되는 신호 전압의 차이도 크게는 수백 볼트[V]에 이른다. 이러한 고압의 신호가 1초에도 수십번씩 인가되기 때문에 이 구동신호들을 생성하는 IPM도 이와 같은 부하를 견디도록 설계된다.
더욱이, IPM과 같은 발열 소자들은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할 경우, 열화 또는 파손되거나 신호의 왜곡들이 발생하여 PDP의 정상적이 동작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 소자들로부터의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IPM의 일측에는 방열판(Heat Sink)과 같은 냉각수단이 부착된다.
도 1은 종래 방열판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a는 통상적인 방열판의 설치 형태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PDP가 90도 회전한 경우의 방열판과 공기의 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PDP(1)는 가로 방향 즉, 수평 방향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도 1a의 PDP(1)는 설치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매우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내부의 구성물은 도시하지 않았다. PDP(1) 가 도 1a와 같이 설치되면, IPM과 같은 발열부위에 설치되는 방열판(2)은 날개(2a)의 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도 1a와 같이 공기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방열판(2)의 날개(2a)들 사이로 공기가 유통되고, 이로 인해 방열판(2) 냉각된다. 즉, 공기의 밀도차에 의한 순환을 고려한 방식으로 이것이 도 1b와 같이 가로 방향 즉, 수평 방향을 향하게 되면 냉각 효율이 매우 저하된다.
도 1b와 같이 방열판(2) 날개(2a)의 설치 방향이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면, 최외각에 위치하는 날개(2a) 외에는 공기와의 접촉 비율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열이 어려워진다.
그런데, 최근 출시되는 PDP는 도 1a와 도 1b의 형태를 모두 취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시용 및 산업체 이용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는 PDP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업체들도 이에 발맞추어, 종래의 수평 방향이 긴 형태의 제품을 경우에 따라 90도 회전하여 수직 방향이 길게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PDP 제품들은 피봇(Pivo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가로 및 세로의 양방향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함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봇 기능이 적용된 제품들은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방열판들은 종래와 같이 발열부위에 고정되고, 날개방향도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PDP를 피봇 기능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경우, 고정된 방열판의 날개 방향이 공기의 대류방향과 수직 이 된다. 즉, 종래의 PDP는 피봇 기능을 사용할 경우, 수직 또는 수평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한 형태에서 냉각효율이 매우 낮아져 오동작 및 소자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하여 구동할 경우에도 발열소자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회로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저면부와, 저면부로부터 신장되고 저면부의 변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가지는 공동형 방열판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로부는 구동신호의 생성을 위한 신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회로부와 패널을 연결하고, 구동신호의 중계를 위한 구동칩이 실장된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분은 전원 공급부 및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저면부는 구동칩에 접촉될 수도 있다.
한편, 날개부는 변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의 수평길이가, 변부의 귀퉁이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의 수평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날개부는 변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들은 제 1 높이를 가지 고, 변부의 귀퉁이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들은 제 2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의 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변의 높이가 타측 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일변은 방열판의 중앙측 변일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는 교류 직류 변환기, 전원공급모듈(I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일 수 있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3), 패널(4), 열전도시트(6), 접착부재(8), 프레임(10), 인쇄회로기판(12) 및 공동형 방열판(16)을 구비한다.
케이스(3)는 전면케이스(3a) 및 후면케이스(3b)로 나뉘어지면, 전면케이스(3a)는 후면케이스(3b)와 체결되어, 패널(4), 열전도시트(6), 접착부재(8), 프레임(10) 및 인쇄회로기판(12)을 내부에 수납하며, 외부의 충격 및 오염물질로부터 내부의 수납물을 보호한다. 또한, 이 전면케이스(3)는 패널(4)에서 발생된 가시광이 방출될 수 있도록 투광부(18)가 형성되고, PDP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전면케이스(3a)의 투광부(18)와 패널(4)의 전면기판(4a)의 사이에는 필터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조립체는 일부 가시 광을 흡수하여 색상을 보정하는 보정필터,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차단필터 및 외부광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하는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한다. 후면케이스(3b)는 전면케이스(3a)와 같이 내부의 수납물을 보호하며, 후면케이스(3b)에는 방열을 위한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된다.
패널(4)은 인쇄회로기판(12)에 형성된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방전에 의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패널(4)은 두 장 이상의 기판(4a, 4b) 사이에 격벽, 전극, 형광체, 유전체 및 보호막 등을 형성하여, 방전이 일어날 공간 즉, 방전셀을 형성한다. 또한, 이 방전셀에는 방전시 형광체를 여기시키는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된다. 이러한, 패널(4)은 FPC, 일부 구동칩이 실장된 칩 온 필름 형태의 TCP와 같은 연결부재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의 구동부와 연결된다. 아울러, 패널(4)의 배면에는 접착부재(8)와 열전도시트(6)와 같은 부속부재들이 부착될 수 있다.
열전도시트(6)는 패널(4)과 프레임(10) 사이에 삽입되어 PDP의 구동시 패널(4)에서 발생되는 열을 프레임(10)에 전달하거나, 방열하여 패널(4)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열전도시트(6)는 불균일한 패널(4)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하여, 패널(4)이 국부적인 온도 차이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열전도시트(6)는 프레임(10)에 재질에 따라 부착 방법과 역할을 달리하는 것이 PDP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의 재질이 금속프레임 같이 열전도 특성과 방열 특성이 좋은 재질일 경우, 열전도시트(6)는 프레임(10)과 밀착하게 된다. 이 경우, 패널(4)에서 발생되는 열 중 상당량은 열전도시트(6)에 의해 프레임(10)에 전달되어 방열되고, 일부는 열전도시트(6)에 의해 방열된다. 반면에, 프레임(10)의 재질이 플라스틱 프레임과 같이 열전도 특성과 방열 특성이 좋지 않은 경우, 열전도시트(6)와 프레임(10)은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다. 이때, 패널(4)에서 발생하는 열의 대부분이 열전도시트(6)에 의해 방열되어, 패널(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접착부재(8)는 열전도시트(6) 또는 패널(4)을 프레임(1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접착부재(8)는 도 1에서와 같이 열전도시트(6)의 가장자리 부분에 띠 형태 또는 액자형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도시트(6)나 패널(4)을 프레임(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착부재(8)로는 접착제, 접착시트 및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부재(8)는 프레임(10)의 특성에 따라, 부착 방법 및 접착부재(8)의 두께와 모양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도 및 방열 특성이 열악한 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부재(8)간에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접착부재(8)들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는 이유는, 접착부재(8) 간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여 열전도시트(6)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접착부재(8)가 패널(4)을 프레임에 직접부착시키는 경우도 열전도시트(6)의 방열을 위해 접착부재(8)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열전도 및 방열 특성이 양호한 재질의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에는 열전도시트(4)와 프레임이 밀착할 수 있도록 접착부재(8)의 모양과 형태를 결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프레임(10)은 패널(4) 또는 열전도시트(6)를 접착부재(8)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프레임(10)의 재질에 따라 패널(4), 인쇄회로기판(12) 및 TCP의 열을 방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레임(10)은 보스,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을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질에 따라 열전도시트(6)와의 밀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아울러, 금속 재질의 프레임(10)을 사용할 경우, 인쇄회로기판(12)에 형성된 구동회로 중 일부의 접지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의 가장자리나 모서리에는 전면케이스(2)나 후면케이스(14)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은 PDP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형성된다. 이 회로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 패널(4)의 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어드레스 구동부, 스캔 구동부 및 서스테인 구동부와 전원 공급부 및 각 구동부를 제어하고 외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가 형성된다. 이 인쇄회로기판(12)은 이러한 회로부 각각이 형성된 여러 조각의 기판들로 나뉘어 진다. 특히, 인쇄회로기판(12) 중 전원 공급부에는 교류-직류 변환기가 실장되고, 각 구동부에는 구동신호의 생성을 위한 전원공급모듈(IPM)이 실장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의 각 구동부와 패널(4)의 사이에는 구동버퍼보드가 설치되고, 구동부로부터의 구동신호는 이 구동버퍼보드를 경유하여 패널(4)에 공급된다. 여기서, 스캔 구동부와 서스테인 구동부는 동일한 기판(12d)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하나의 버퍼보드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패널(4), 인쇄회로기판(12)간에는 TCP(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함, 17c), FPC(Flexible Printed Circuit, 17b) 및 FFC(Flexible Flat Cable, 17a)와 같은 연결부재(17)가 설치되 어,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한다. 그리고, 교류-직류 변환기와 IPM에는 공동형 방열판(16)이 부착되어, 변환기와 IPM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한다.
연결부재(17)들은 각 인쇄회로기판(1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신호를 패널(4)에 전달한다. 이 연결부재(17)로는 TCP(17c), FPC(17b) 및 FFC(17a)와 같은 가요성 케이블이 주로 이용되며, 특히 패널(4)의 어드레스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구동칩이 실장된 칩온필름(Chip On Film) 형태의 TCP가 이용된다. 아울러, 이 TCP(17C)는 도 2에 도시된 보호플레이트(14)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보호플레이트(14)는 프레임(10)에 고정되어 TCP(17c)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TCP(17c)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공동형 방열판(16)을 고정한다. 이 보호플레이트(14)와 TCP(17c)의 사이에는 열전도 매체층 및 서멀 그리스(Thermal Grease) 층이 형성되어, TCP(17c) 상의 구동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는다.
공동형 방열판(16)은 교류-직류 변환기, IPM 및 TCP(17c)와 같은 발열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여, 발열소자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이를 위해 공동형 방열판(16)은 교류-직류 변환기의 외부케이스, IPM의 표면 및 보호플레이트(14)에 부착된다. 또한, 이 공동형 방열판(16)은 피봇 기능과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방열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날개의 형성방향을 방열판(16)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한다. 이 공동형 방열판(16)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도 2의 방열판(16)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방열판을 수직으로 내려다본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공동형 방열판(16)은 저면부(20)와, 저면부(20)부터 신장되는 날개부(21)를 구비한다.
저면부(20)는 발열소자들과 접촉하여, 발열소자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일부 방열함과 아울러 날개부(21)에 전달한다. 이 전면부(20)의 모양은 발열소자와 설치위치에 따라 다각형, 원형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면부(20)는 발열소자와 직접 접촉되거나, 발열소자와 저면부(20)의 사이에 열전도 매체 및 서멀 그리스층(Thermal Grease)을 경유하여 발열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는다.
날개부(21)는 저면부(2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열을 방열한다. 이를 위해 날개부(21)는 저면부(20)의 일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에 근접한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 날개부(21)는 도 3a 및 도 3b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날개의 형성방향이 방열판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 즉, 일측 변부에서 대면하는 변 방향(또는 내측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이 날개부(21)는 일측변에 형성된 날개만을 고려했을 때, 변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날개(21a) 수평길이가 주변에 형성되는 날개(21b)의 수평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이 중앙부분의 날개(21a)들 가상 교차점에는 도 3b에 점섬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가상의 공동(X)이 형성된다.
도 4는 공동형 방열판과 공기의 흐름 방향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공 동형 방열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공동형 방열판(16)은 90도 단위로 방열판을 회전시킬 경우에 날개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PDP에 피봇 기능을 적용시켜, PDP를 90도 혹은 270도 회전시켜도 공동형 방열판(16)의 날개 방향은 회전시키기 이전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Z 방향이 상부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PDP가 구동되어 발열에 의해 공기의 대류가 이루어진다. 이때, 공동형 방열판(16)의 하부 방향(A)에서 공동형 방열판(16)의 날개들 사이를 거쳐 상부 방향으로 공기가 진행된다. 이때 차가운 공기(A)는 공동형 방열판(16)의 날개부를 거치면서 뜨거워지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밀도가 작아진다. 밀도가 작아진공기는 대류 현상에 의해 상부방향(Z)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방열판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통상의 방열판들이 이와 같은 공기 순환을 이용하기 때문에 날개 방향이 공기의 흐름과 수직이 되면 방열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태로 날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공동형 방열판(16)은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이 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4의 A 방향 및 B 방향에서 공동형 방열판(16)의 날개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동형 방열판(16) 중심에 형성되는 가상 공동 부분(X)에서 흐름이 빨라지게 된다. 베르누이 정리를 통해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공동 부분(X)에서 빨라진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공동 부분(X)의 압력이 작아지게 된다. 공동 부분(X)의 압력이 작아지게 되면, 공기흐름(A)와 수직 방향(C)으로 형성된 날개들의 사이를 통해 측면에서 차가운 공기가 추가적으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하부 방향(A)에서뿐만이 아니라 측면방향(C)에서도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90도 정도로 PDP를 회전시켜 동작하는 한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PDP를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냉각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의 흐름 방향이 대략 수직방향이라고 가정할 때, 공기 흐름 방향과 날개가 이루는 최대각은 45도를 넘지 않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 방향과 날개의 방향이 수직이 되어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상황은 발생되지 않게된다.
도 5 및 도 6은 공동형 방열판의 날개부 형성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공동부분의 높이가 낮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도 5b는 공동부분의 높이가 높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a는 일군의 날개부 중 중앙부분의 날개들의 높이가 낮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도 6b는 일군의 날개부 중 중앙부분 날개들의 높이가 높은 형태의 공동형 방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공동형 방열판은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는 4가지 경우에 대한 예만을 기술하였으나, 이들의 조합 또는 다른 형태로의 제작도 가능하다. 또한, 저면부의 형태도 사각형, 장방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공동형 방열판의 다양한 형태는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려된 것으로, 방열판의 중심부분 즉, 공동부분(X)과 네 변 부분의 날개 높이가 달리 형성되는 예와, 하나의 변에 형성되는 일군의 날개부 중 중심부와 가장자리의 날개 높이가 달리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5b 및 도 6b의 경우와 같이 중앙부분의 날개들의 높이가 높게 형성하여 공동형 방열판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동형 방열판(16)이 발열소자에 부착될 경우, 많은 열이 전달되어 상대적으로 고온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공동형 방열판(16)의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즉, 발열 소자들로부터의 열 전달이 집중되는 부분의 날개 높이, 넓이 등을 이외의 곳보다 크게 하여, 발열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열판의 내측부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날개부를 가지는 공동형 방열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 공동형 방열판을 구비함으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열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여, 발열소자의 온도를 정상 동작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열소자의 과도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소자의 파손, 신호 왜곡 및 화질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저면부의 변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가지는 공동형 방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구동신호의 생성을 위한 신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회로부와 상기 패널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신호의 중계를 위한 구동칩이 실장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상기 구동칩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 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변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의 수평길이가, 상기 변부의 귀퉁이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의 수평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변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들은 제 1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변부의 귀퉁이 부분에 형성되는 날개들은 제 2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변의 높이가 타측 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변은 상기 방열판의 중앙측 변인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 레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교류 직류 변환기, 전원공급모듈(IP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44027A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27A KR100719702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31461A JP4335878B2 (ja) 2005-05-25 2006-02-08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11/440,784 US7408777B2 (en) 2005-05-25 2006-05-24 Plasma display device
CNB2006100830027A CN100476905C (zh) 2005-05-25 2006-05-25 等离子体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027A KR100719702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067A true KR20060122067A (ko) 2006-11-30
KR100719702B1 KR100719702B1 (ko) 2007-05-17

Family

ID=3744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027A KR100719702B1 (ko) 2005-05-25 2005-05-2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08777B2 (ko)
JP (1) JP4335878B2 (ko)
KR (1) KR100719702B1 (ko)
CN (1) CN1004769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0802A (ja) * 2006-11-30 2008-06-1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ヒートシンク
JP2009016674A (ja) * 2007-07-06 2009-01-22 Tyco Electronics Amp Kk ヒートシンク及び冷却装置
KR20090036853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108292A1 (en) * 2008-10-31 2010-05-06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Heat sink system with fin structure
CN201336791Y (zh) * 2008-12-17 2009-10-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装置
CN201422226Y (zh) * 2009-05-06 2010-03-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组合
CN101998807A (zh) * 2009-08-19 2011-03-30 富瑞精密组件(昆山)有限公司 散热装置
US11129299B2 (en) * 2011-03-31 2021-09-21 Tejas Network Limited Heat sink
KR101614669B1 (ko) * 2012-08-27 2016-04-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력용 반도체 장치
US20160198071A1 (en) * 2014-02-21 2016-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liant support for component alignment
KR20150145084A (ko) *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방열 장치
KR102365738B1 (ko) * 2015-03-10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9659466B1 (en) * 2016-03-04 2017-05-23 Penetek Technology, Inc. POS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6649854B2 (ja) * 2016-07-21 2020-02-1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US10415895B2 (en) * 2016-11-21 2019-09-17 Abl Ip Holding Llc Heatsink
CN111034380A (zh) * 2017-08-08 2020-04-17 Nec平台株式会社 散热结构
US10470321B1 (en) * 2017-12-22 2019-11-05 Rockwell Collins, Inc. Reinforced emissive displa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1238A (en) * 1982-05-05 1986-09-09 Burroughs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corporating low-stress omnidirectional heat sink
US4541004A (en) * 1982-11-24 1985-09-10 Burroughs Corporation Aerodynamically enhanced heat sink
US4823869A (en) * 1986-06-19 1989-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t sink
US4715438A (en) * 1986-06-30 1987-12-29 Unisys Corporation Staggered radial-fin heat sink device for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4753290A (en) * 1986-07-18 1988-06-28 Unisys Corporation Reduced-stress heat sink device
US4682651A (en) * 1986-09-08 1987-07-28 Burroughs Corporation (Now Unisys Corporation) Segmented heat sink device
US4733293A (en) * 1987-02-13 1988-03-22 Unisys Corporation Heat sink device assembly for encumbered IC package
JPH04366528A (ja) * 1991-06-13 1992-12-18 Nec Corp 大電力マイクロ波管
CN2212836Y (zh) 1994-07-12 1995-11-15 金松山 肋片式散热器
US5582240A (en) * 1994-09-19 1996-12-10 Motorola, Inc. Pneumatically coupled heat sink assembly
US5673177A (en) * 1995-08-01 1997-09-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t sink structure with corrugated wound wire heat conductive elements
US5828551A (en) * 1997-03-04 1998-10-27 Hoshino Kinzoku Koygo Kabushiki Kaisha Heat sink apparatus for an electronic component
JPH10260641A (ja) * 1997-03-17 1998-09-29 Nec Corp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用ドライバicの実装構造
JPH1183355A (ja) * 1997-09-02 1999-03-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ァン付きヒートシンク
US6176299B1 (en) * 1999-02-22 2001-01-23 Agilent Technologies, Inc. Cool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US6199624B1 (en) * 1999-04-30 2001-03-13 Molex Incorporated Folded fin heat sink and a heat exchanger employing the heat sink
US6942025B2 (en) * 2000-09-20 2005-09-13 Degree Controls, Inc. Uniform heat dissipating and cooling heat sink
KR100382726B1 (ko) * 2000-11-24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냉각 장치
US6418020B1 (en) * 2001-03-30 2002-07-09 Advanced Thermal Technologies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ribbed fin plates
US20030007867A1 (en) * 2001-07-05 2003-01-09 Enlight Corporation CPU cooling structure with a ventilation hood
US6446708B1 (en) * 2001-10-17 2002-09-10 Tai-Sol Electronics Co., Ltd. Heat dissipating device
KR100846771B1 (ko) * 2002-03-11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JP2004126151A (ja) 2002-10-01 2004-04-22 Nec Corp 表示装置
US7539017B2 (en) * 2003-03-27 2009-05-26 Kuo Ta Chang Heat dissipating device for central processor
KR100553932B1 (ko) * 2003-07-24 200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059388B2 (en) * 2003-12-19 2006-06-13 Kuo Ta Chang Heat dissipating device
US7213636B2 (en) * 2005-03-15 2007-05-08 Delphi Technologies, Inc. Cooling assembly with impingement cooled heat s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30680A (ja) 2006-12-07
US7408777B2 (en) 2008-08-05
JP4335878B2 (ja) 2009-09-30
CN1870081A (zh) 2006-11-29
KR100719702B1 (ko) 2007-05-17
CN100476905C (zh) 2009-04-08
US20060268510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482B1 (ko)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85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75965A1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efficiency
KR20080101007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74962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700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6567B1 (ko)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118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2206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672B1 (ko) 구동회로보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6354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409B1 (ko) 구동보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2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3952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 조립체
KR1006697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6847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7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058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11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6575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78769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7006278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