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782A -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782A
KR20060120782A KR1020050042942A KR20050042942A KR20060120782A KR 20060120782 A KR20060120782 A KR 20060120782A KR 1020050042942 A KR1020050042942 A KR 1020050042942A KR 20050042942 A KR20050042942 A KR 20050042942A KR 20060120782 A KR20060120782 A KR 2006012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rimary
members
fixed
pis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399B1 (ko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39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3Balancing means attached to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marking, e.g. by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프레임(1)으로 진입되어 리프터(3)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T)의 밸런스 측정 시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를 구비한 밸런스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와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는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1)에 연결되면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1차기동부(51,71)와, 상기 1차기동부(51,71)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트(52,72)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1차기동부(51,71)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차기동부(53,73)와, 상기 2차기동부(53,73)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54,74)은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2차기동부(53,73)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55,75)와, 상기 동력발생부(55,75)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일정한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타이어마킹부(57,77)로 구성되어져, 타이어(T)의 밸런스 측정시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를 이용하여 언밸런스한 부위에 확실한 표식을 남길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balance of t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구비한 타이어 밸런스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디프레임 3 - 리프터
5 - 상부마킹유니트 7 - 하부마킹유니트
51,71 - 1차기동부 53,73 - 2차기동부
55,75 - 동력발생부 57,77 - 타이어마킹부
T - 타이어
본 발명은 휠과 조립된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시 언밸런스한 부위를 보다 선 명하게 마킹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과 타이어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바퀴는 통상적으로 차체에 장착되기 전에 타이어의 밸런스(balance)를 측정하여 이의 불평형 상태를 보정하게 되고, 이와 같이 타이어의 밸런스 보정이 완료된 바퀴만을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주행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휠과 타이어를 따로 분리하여 기재하지 않고, 타이어란 통합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장치는,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타이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컨베이어 라인상에 설치되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으로 진입된 타이어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업/다운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밸런스를 측정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상에서 밸런스 측정 후 언밸런스한 부위에 마킹을 하는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컨베이어를 타고 바디프레임으로 공급되는 타이어는 눕혀진 상태로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마킹유니트는 눕혀진 상태의 타이어에서 윗면의 언밸런스한 부위를 마킹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하부마킹유니트는 눕혀진 상태의 타이어에서 아래면의 언밸런스한 부위를 마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킹이 종료된 타이어는 밸런스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어지고, 작업자는 마킹된 부위에 웨이트(weigth)를 달아서 타이어의 불평형 상태를 보정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하는 장치는 타이어의 언밸런스한 부위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기능도 중요하지만, 상부마킹유니트와 하부마킹유니트에 의해 언밸런스한 부위를 확실하게 표시하여 주는 기능도 매우 중요하다.
즉, 언밸런스한 부위의 마킹이 희미하면 이후 웨이트를 이용한 보정작업이 지연되고, 이는 결국 생산성의 감소로 이어지게 되어 이에 대한 중요성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 시 언밸런스한 부위에 확실한 표식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구비한 밸런스 측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웨이트를 이용한 보정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 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밸런스 측정장치는, 바디프레임으로 진입되어 리프터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 시 타이어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구비한 밸런스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킹유니트와 상기 하부마킹유니트는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면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1차기동부와; 상기 1차기동부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1차기동부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차기동부와; 상기 2차기동부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은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2차기동부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일정한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타이어마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구비한 타이어 밸런스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실차에 장착되기 전 타이어의 밸런스를 측정할 때 언밸런스한 부위를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구비한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타이어(T)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컨베이어 라인상에 설치되는 바디프레임(1)과, 상기 바디프레임(1)으로 진입된 타이어(T)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업/다운시킴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밸런스를 측정하는 리프터(3)와, 상기 리프터(3)상에서 밸런스 측정 후 언밸런스한 부위에 마킹을 하는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컨베이어를 타고 바디프레임(1)으로 공급되는 타이어(T)는 눕혀진 상태로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는 눕혀진 상태의 타이어(T)에서 윗면의 언밸런스한 부위를 마킹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는 눕 혀진 상태의 타이어(T)에서 아래면의 언밸런스한 부위를 마킹하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는 리프터(3)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는 리프터(3)를 기준으로 아래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와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는 서로 동일한 부품으로 구성되어지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동일한 부위에 각각 두 개씩의 도면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와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에 연결되면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1차기동부(51,71)와, 상기 1차기동부(51,71)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트(52,72)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1차기동부(51,71)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차기동부(53,73)와, 상기 2차기동부(53,73)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54,74)은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2차기동부(53,73)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55,75)와, 상기 동력발생부(55,75)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일정한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타이어마킹부(57,7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기동부(51,71)는, 상기 지지프레임(1)에 마운팅블록(511a,711a)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1차에어실린더(511,711)와, 상 기 1차에어실린더(511,71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면에 상기 연결브라켓트(52,72)가 고정되도록 결합된 1차피스톤(513,713)과, 상기 마운팅블록(511a,711a)의 상하측 부위에 고정 설치된 1차상단근접센서(515,715) 및 1차하단근접센서(517,7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에어실린더(511,711)에는 에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511a,71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2차기동부(53,73)는, 상기 1차에어실린더(511,711)의 측부에서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브라켓트(52,72)를 통해 상기 1차피스톤(513,71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2차에어실린더(531,731)와,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로부터 돌출된 하단에 상기 연결수단(54,74)의 한쪽 끝단이 일체로 결합된 2차피스톤(533,733)과, 상기 1차피스톤(513,713)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상기 1차상단근접센서(515,715) 및 상기 1차하단근접센서(517,717)와 상호 신호검출을 할 수 있도록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2차근접센서(535,7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에도 에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531a,731a)가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55,75)는, 상기 2차피스톤(533,733)의 측부에서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수단(54,74)의 다른쪽 끝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2차피스톤(533,73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모터케이스(551,751)와, 상 기 모터케이스(551,751)에 고정 설치된 에어모터(553,75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54,74)은, 상기 2차피스톤(533,733)의 하단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파이프부재(541,741)와, 상기 모터케이스(551,751)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부재(541,74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타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543,743)와, 상기 연결부재(543,743)상에 위치한 일단은 볼트(545a,745a)를 매개로 상기 연결부재(543,743)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부재(541,74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파이프부재(541,741)를 따라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축부재(545,745)와, 상기 연결부재(543,743) 및 상기 가이드축부재(545,745)가 그 내측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2차피스톤(533,733)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543,743)에 고정된 스프링부재(547,74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부재(541,741)의 하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중심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41c,741c)이 지름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부재(545,745)의 상단에는 걸림턱(541c,741c)과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축부재(545,745)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545c,745c)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어마킹부(57,77)는, 상기 에어모터(553,75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케이스(551,751)의 하단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모터케이스(551,751)로부터 돌출된 선단은 리프터(3)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T)를 수직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설치되는 홀더부재(571,771)와, 상기 홀더부 재(571,771)내에 일단이 끼워져서 다수개의 스크루(573a,773a)를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1차기동부(51,71)와 2차기동부(53,73) 및 동력발생부(55,75)의 작동에 의해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표식을 남기도록 하는 마킹부재(573,773)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컨베이어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동을 하던 타이어(T)가 바디프레임(1)으로 진입되면, 상기 타이어(T)는 리프터(3)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언밸런스한 부위가 측정되어지게 된다.
한편, 리프터(3)상에 눕혀진 상태로 존재하는 타이어(T)는 언밸런스한 부위가 상하면 두군데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마킹유니트(5)를 이용하여 먼저 타이어(T)의 윗면에 존재하는 언밸런스한 부위를 표시하고, 그 다음에 하부마킹유니트(7)를 이용하여 타이어(T)의 아래면에 존재하는 언밸런스한 부위를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타이어(T)의 윗면에 존재하는 언밸런스한 부위가 리프터(3)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면, 포트(511a)를 통해 1차에어실린더(511)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어지고, 1차피스톤(513)이 돌출되며 동시에 2차에어실린더(531)는 지지프레임(1)의 아래쪽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의 하강은 1차하단근접센서(517)와 2차근접센서(535)가 상호 신호검출을 할 때 그 이동이 멈춰지게 된다.
그리고, 2차에어실린더(531)의 하강이동이 종료되면 포트(531a)를 통해 2차에어실린더(511)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어져 2차피스톤(533)도 2차에어실린더(531)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상기 2차피스톤(533)이 돌출되면 연결수단(54)를 통해 연결된 동력발생부(55) 및 타이어마킹부(57)는 리프터(3)상에 고정된 타이어(T)의 윗면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피스톤(533)의 돌출양은 타이어마킹부(57)를 구성하는 마킹부재(573)가 상기 리프터(3)상에 고정된 타이어(T)의 윗면에 접촉하는 순간 멈춰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부재(573)가 타이어(T)의 윗면과 접촉하는 순간 상기 마킹부재(573)는 파손될 수도 있으나, 이는 연결수단(54)을 구성하는 가이드축부재(545)의 이동 및 스프링부재(547)의 탄성력에 의해 충분히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킹부재(573)가 타이어(T)의 윗면에 접촉하는 부위는 언밸런스한 위치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마킹부재(573)가 타이어(T)의 윗면에 접촉하고 2차피스톤(533)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면, 에어모터(553)가 구동하게 되고 이의 동력을 전달받는 홀더부재(571) 및 마킹부재(753)는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T)의 윗면에서 언밸런스한 부위는 마킹부재(753)의 회전시 확실하게 표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마킹부재(753)에 의한 언밸런스한 부위의 표시가 종료되고 나면, 반 대되는 포트(531a)를 통해 2차에어실린더(531)로 에어가 재차 공급됨으로써 돌출되었던 2차피스톤(533)은 다시 2차에어실린더(531)의 내부로 들어가는 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동력발생부(55) 및 타이어마킹부(57)는 타이어(T)의 윗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상승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2차피스톤(533)의 이동이 종료되고 나면, 반대되는 포트(511a)를 통해 1차에어실린더(511)로 에어가 재차 공급됨으로써 돌출되었던 1차피스톤(513)은 다시 1차에어실린더(511)의 내부로 들어가는 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2차에어실린더(531)는 원래의 위치로 상승이동을 하여, 다음번의 작동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2차에어실린더(531)의 상승이동은 1차상단근접센서(515)와 2차근접센서(535)가 상호 신호검출을 하는 순간 그 이동이 멈춰지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는 상부마킹유니트(5)를 이용하여 먼저 타이어(T)의 윗면에 존재하는 언밸런스한 부위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하부마킹유니트(7)를 이용하여 타이어(T)의 아래면에 존재하는 언밸런스한 부위를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타이어(T)의 아래면에 존재하는 언밸런스한 부위는 리프터(3)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된 후 진행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의 작동과정은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하부마킹유니트(7)는 리프터(3)상에 고정된 타이어(T)를 기준으로 상 기 상부마킹유니트(5)와 반대되는 아랫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마킹유니트(7)를 구성하는 1차피스톤(713)과 2차에어실린더(731) 및 2차피스톤(733)의 이동방향은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작동이 진행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에 의해 마킹이 종료된 타이어(T)는 밸런스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어져 다음 공정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후 작업자는 타이어(T)의 상하면에 마킹이 표시된 부위에 웨이트(weigth)를 달아서 타이어의 불평형 상태를 보정시켜 주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는 에어모터(553,753)의 강력한 회전을 이용하여 타이어(T)의 상하면에 마킹부재(573,773)를 이용한 확실한 표식을 남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웨이트를 이용한 작업자의 언밸런스 보정작업이 빠른 시간내에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보정작업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시 상부마킹유니트 및 하부마킹유니트를 이용하여 언밸런스한 부위에 확실한 표식을 남길 수 있게 됨으로써, 웨이트를 이용한 작업자의 언밸런스 보정작업이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보정작업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바디프레임(1)으로 진입되어 리프터(3)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T)의 밸런스 측정 시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상부마킹유니트(5) 및 하부마킹유니트(7)를 구비한 밸런스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킹유니트(5)와 상기 하부마킹유니트(7)는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1)에 연결되면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1차기동부(51,71)와;
    상기 1차기동부(51,71)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트(52,72)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1차기동부(51,71)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2차기동부(53,73)와;
    상기 2차기동부(53,73)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54,74)은 매개로 설치되면서 상기 2차기동부(53,73)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않고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55,75)와;
    상기 동력발생부(55,75)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일정한 표식을 남기도록 작동하는 타이어마킹부(57,7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기동부(51,71)는,
    상기 지지프레임(1)에 마운팅블록(511a,711a)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1차에어실린더(511,711)와;
    상기 1차에어실린더(511,71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면에 상기 연결브라켓트(52,72)가 고정되도록 결합된 1차피스톤(513,713)과;
    상기 마운팅블록(511a,711a)의 상하측 부위에 고정 설치된 1차상단근접센서(515,715) 및 1차하단근접센서(517,71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기동부(53,73)는,
    상기 1차에어실린더(511,711)의 측부에서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브라켓트(52,72)를 통해 상기 1차피스톤(513,71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2차에어실린더(531,731)와;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로부터 돌출된 하단에 상기 연결수단(54,74)의 한쪽 끝단이 일체로 결합된 2차피스톤(533,733)과;
    상기 1차피스톤(513,713)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상기 1차상단근접센서(515,715) 및 상기 1차하단근접센서(517,717)와 상호 신호검출을 할 수 있도록 상기 2차에어실린더(531,73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2차근접센서(535,73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55,75)는,
    상기 2차피스톤(533,733)의 측부에서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수단(54,74)의 다른쪽 끝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2차피스톤(533,73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모터케이스(551,751)와;
    상기 모터케이스(551,751)에 고정 설치된 에어모터(553,75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4,74)은,
    상기 2차피스톤(533,733)의 하단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파이프부재(541,741)와;
    상기 모터케이스(551,751)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부재(541,74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타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543,743)와;
    상기 연결부재(543,743)상에 위치한 일단은 볼트(545a,745a)를 매개로 상기 연결부재(543,743)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부재(541,74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파이프부재(541,741)를 따라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축부재(545,745)와;
    상기 연결부재(543,743) 및 상기 가이드축부재(545,745)가 그 내측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2차피스톤(533,733)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543,743)에 고정된 스프링부재(547,74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541,741)의 하단에는 원의 중심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41c,741c)이 지름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부재(545,745)의 상단에는 걸림턱(541c,741c)과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축부재(545,745)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545c,745c)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마킹부(57,77)는,
    상기 에어모터(553,75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케이스(551,751)의 하단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모터케이스(551,751)로부터 돌출된 선단은 리프터(3)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T)를 수직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설치되는 홀더부재(571,771)와;
    상기 홀더부재(571,771)내에 일단이 끼워져서 다수개의 스크루(573a,773a)를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1차기동부(51,71)와 2차기동부(53,73) 및 동력발생부(55,75)의 작동에 의해 타이어(T)의 언밸런스한 부위에 표식을 남기도록 하는 마킹부재(573,77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KR1020050042942A 2005-05-23 2005-05-23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KR10068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942A KR100680399B1 (ko) 2005-05-23 2005-05-23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942A KR100680399B1 (ko) 2005-05-23 2005-05-23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782A true KR20060120782A (ko) 2006-11-28
KR100680399B1 KR100680399B1 (ko) 2007-02-08

Family

ID=3770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942A KR100680399B1 (ko) 2005-05-23 2005-05-23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1836A (zh) * 2012-07-20 2015-05-27 施耐宝仪器股份有限公司 用于轮胎维护机的驱动总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1836A (zh) * 2012-07-20 2015-05-27 施耐宝仪器股份有限公司 用于轮胎维护机的驱动总成
US9862241B2 (en) 2012-07-20 2018-01-09 Snap-On Equipment Srl A Unico Socio Drive assembly for tire service machines
CN104661836B (zh) * 2012-07-20 2018-04-06 施耐宝仪器股份有限公司 用于轮胎维护机的驱动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399B1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0598A (zh) 一种翻转密封测试及打标装置
KR20090008747U (ko) 대형 샤프트 굽힘 측정장치
KR100680399B1 (ko) 타이어의 밸런스 측정장치
CN110823736A (zh) 一种混凝土回弹仪自动打点装置
CN104897092A (zh) 一种螺母螺纹检验机的螺纹检测装置
CN101915680A (zh) 阻尼器回位时间测试装置
CN206489008U (zh) 一种ik撞击测试仪
CN205448901U (zh) 圆筒形标准件检测工装
CN219694423U (zh) 一种转向机传感器标定测试台
CN203813615U (zh) 一种伺服电机自动化辅助生产线
CN210109294U (zh) 一种可测温度的压缩机磁通量测试装置
CN208182093U (zh) 一种轮辋的定位装置
KR200490100Y1 (ko) 정밀한 각도측정이 가능한 거치장치
CN210070886U (zh) 一种表面跳动公差检测装置
CN219178836U (zh) 一种汽车塑料件端盖泄漏测试设备
CN218329870U (zh) 一种应用于石油机械法兰的检测装置
JP3823905B2 (ja) ねじリード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CN218329872U (zh) 一种缸体轮系孔自动测量系统
CN212030375U (zh) 雨刮器摆角与位置度检测复合检具系统
CN215573494U (zh) 一种深沟球轴承旋转扭矩检测机构
CN210243680U (zh) 一种汽车车速预警测试装置
CN111735637B (zh) 动态自动动平衡制动仪检验台
CN216284290U (zh) 一种测试用的球头杆端关节轴承扭矩检测装置
CN220322320U (zh) 一种交叉滚子轴承圆跳动检测工装
CN216178960U (zh) 多功能刀具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