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129A - 조명 기구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129A
KR20060120129A KR1020067009782A KR20067009782A KR20060120129A KR 20060120129 A KR20060120129 A KR 20060120129A KR 1020067009782 A KR1020067009782 A KR 1020067009782A KR 20067009782 A KR20067009782 A KR 20067009782A KR 20060120129 A KR20060120129 A KR 2006012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tube
ballast
voltage
gas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레스 다라스
파스칼 메일라츠
Original Assignee
폰테노이 필리페
페닌 루도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폰테노이 필리페, 페닌 루도빅 filed Critical 폰테노이 필리페
Publication of KR2006012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05B41/042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044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for lamp provided with pre-heating electrodes
    • H05B41/046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for lamp provided with pre-heating electrodes using controlled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광이 데이터 수집 및 전송 기능으로 증가된 전력 효율을 유도하는 제어된 펄스에 의해 발생되는 신규한 가스 여기 모드를 사용하는 형광 튜브 밸러스트 및 그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 및 그 동작 방법{LIGHTING FIXTUR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형광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등 내 형광 튜브의 새로운 동작 모드에 관한 것이다.
형광 튜브는 내측이 형광층으로 커버된 방전 유리 벌브로서 벌브를 채우는 가스 매질로부터의 자외선 방사에 의해 여기될 때 가시광선을 발광함으로써 동작한다. 여기서 가스는 매우 낮은 압력의 수은 증기를 포함한다.
도 1은 단일 형광 튜브 조명등의 구성 및 동작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양 단에 위치된 두개의 전극 사이의 튜브 양단의 전자 플럭스는 수은 원자를 여기시키고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상기 전극들은 백열로 가열해야 하는 전자 열-방출 필라멘트(예열 음극(pre heating cathode))로 구성된다. 교류 주 전류 전압은 회로에 포함된 고 유도성 코일(밸러스트; Ballast)을 통해 음극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밸러스트는 저 임피던스 이온화 가스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허용가능한 값으로 제한한다.
가스를 통한 전도 점등은 가스 매질과 병렬인 가열 필라멘트를 직접 서로 연결하는 특정 장치(스타터; Starter)를 필요로 한다(도 1 참조). 상기 스타터는 상 온에서 오픈되어 온도에 반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필라멘트 벌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이 회로에 인가되면, 전류 스타터 벌브는 켜지고 내부 온도는 급속히 상승하면서 형광 튜브의 음극은 백열광을 낸다. 온도가 충분히 높으면, 스위치는 닫히고, 스타터를 단시간 차단하여 급속히 온도가 감소됨으로써 다시 스위치를 오픈시킨다. 갑자기 전류를 차단하면 고전압 서지가 코일의 출력에서 유도(자기 유도 효과; self induction effect)되어 백열 필라멘트에 의해 가열된 수은 증기를 통해, 두개의 음극 사이를 전도 점등시킨다. 이때부터, 증기의 전도가 유지되는 한, 스타터는 더이상 동작되지 않는다. 음극의 필라멘트는 튜브 양단을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자신의 표면을 통해 흐르고 또한 수은 이온과 충돌하여 충돌 에너지를 방산시켜 온도 유지를 돕는 구성 및 위치로 인해 백열 상태를 유지한다.
전도 점등되고 전류가 안정화됨에 따라, 튜브의 임피던스는 상당히 감소한다. 주 전력의 동작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 값으로 인해, 밸러스트 코일은 적당한 전류 제한을 보장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자기-유도 밸러스트(magneto-inductive ballast)"로 정의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전술된 설명보다 향상된 밸러스트 기술에 대한 개발이 있다.
일반적으로, 밸러스트는 형광 튜브의 전류를 안정화시키는 직렬 임피던스이고, 보통, 전술된 바와 같이, 간단한 인덕터가 튜브에 직렬 연결될 때 약간의 손실을 갖는 리액턴스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밸러스트로서 사용된다. 일부 자기 밸러스트는 예를 들어 전압 레벨을 증가시키는 트랜스포머와 같이 튜브에 대해 직렬 임피 던스보다 더 많은 특징을 제공한다.
에너지 절약의 목적으로, 다른 유형의 밸러스트가 반도체를 사용하는 솔루션을 적용하여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보다 복잡한 디자인은 또한 주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종래의 50/60 Hz 보다 더 높은 동작 주파수를 사용할 가능성을 제공했다. 25 kHz 범위의 주파수가 채택되었다. 전자 밸러스트 디자인의 예가 WO 00/21342(2000.4.공개), WO 99/05889(1999.2.공개), WO 97/33454(1997.9.공개), WO 99/60825(1999.11.공개), WO 98/34438(1998.8.공개) 및 EP-O-955794-A2(1999.11.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솔루션들은 주로 파형, 전압 진폭 등과 같은 상이한 파라미터를 최적화함으로써 형광 튜브의 수명 개선 및 전류 절감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6,262,542는 램프를 통해 흐르는 구형파 전류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램프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밸러스트를 공개한다. 주목할 것은 램프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아니라 램프 동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회로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이다. 또한 상기 문헌에 기술된 램프 커플링 방법은 전류가 음극의 필라멘트를 통해 흐르도록 강요한다.
미국 특허 제4,902,939는 전력을 최소에서 최대 가변 광 세기로 온/오프 할 때 광 깜박임을 피할 수 있는 구동 회로를 공개한다. 명백히 목적은 형광 램프의 전력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과의 주요 차이점은 특허 제4,902,939에 기술된 구동 전압이 주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유도된 사인파형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전자 밸러스트가 형광 튜브의 동작 모드를 통해 에너지 절감과 형광등의 수명 연장을 목적으로 하나, 이 분야에 더 많은 조사와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주로 형광 조명 기구에 설치된 종래의 자기 밸러스트보다 램프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40% 내지 50% 감소시키는 새로운 형광 튜브 동작 모드를 공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구동된 튜브의 수명은 3배까지 증가하고 발광된 광은 깜박임 또는 스트로보스코픽 효과를 갖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장점은 본 발명에 공개된 방법으로 형광등을 동작시킴으로써 달성되며, 이러한 조명등은 수은 증기 가스 및 단부에 가열 필라멘트 음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표준 형광 튜브, 형광 튜브에 대해 적절한 지지 및 접속 장치를 일체화하는 고정기구 및 형광 튜브를 구동하는 하나의 밸러스트를 포함한다. 밸러스트 동작 모드는 형광 가스를 여기시키기 위해 전극에 인가된 전압 펄스를 사용하고, 상기 펄스가 가변 존속 부동 시간(variable duration dead time)에 의해 분리되는 비 주기적 전압 레벨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스템과 상이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는 완전히 교류 전압 진폭으로 구성된 펄스를 발생시킨다. 밸러스트는 또한 펄스의 타이밍과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부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튜브의 전류를 실시간 샘플링하여 펄스 간 부동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튜브의 접속부에 설치된 특정 커플링은 통과하여 흐르는 임의의 전류를 중지시켜 전압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정확한 시간에 음극의 필라멘트를 단시간 차단하는 밸러스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튜브 내 전도 점등은 모든 형광 튜브의 단부에서 전압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전도가 확립되면 즉시 접속이 끊어지는 커패시터를 일시적으로 연결하는 이점을 갖는다. 밸러스트는 전도가 발생한 후 튜브 내 전류를 변경하여, 접속을 끊기 전에 커패시터 내 전류를 최소로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는 성능 모니터링 및 원격 고장 감지를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제어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또한 수은 증기 가스와 양 단에 위치된 가열 음극을 포함하고, 튜브 접속/지지 장치 및 형광 튜브 동작용 밸러스트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로 구성되는 다수의 표준 형광 튜브와 호환하는 조명등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형광 가스를 여기시키기 위해 전극에 인가된 전압 펄스를 사용하고, 상기 펄스가 가변 존속 부동 시간에 의해 분리되는 비 주기적 전압 레벨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스템과 상이하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는 양호하게 교류 전압 진폭으로 구성된 펄스를 발생시킨다. 밸러스트는 또한 펄스의 타이밍과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부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는 형광 튜브 내 가스를 가로지르는 전류를 실시간 샘플링하여 펄스 간 부동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형광 튜브의 접속부는 통과하여 흐르는 임의의 전류를 중지시켜 전압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정확한 시간에 음극의 필라멘트를 단시간에 차단하는 밸러스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특정 커플링을 포함한다. 커패시터는 가스를 통한 전도 점등을 허여하는 모든 형광 튜브의 단부에서 전압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전도가 확립되면 즉시 접속이 끊어지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러스트는 전도가 발생한 후 튜브 내 전류를 변경하여, 접속을 끊기 전에 커패시터 내 전류를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가 온라인 또는 무선으로 중앙 제어 유닛과 링크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조명등이 한 장소에서 사용될 때, 성능 모니터링 및 원격 고장 감지에 특히 적절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는 정상 주 전력 공급 전압에서 동작하는 표준 밸러스트와 본 발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 주기적 펄스로 동작하도록 특히 설계된 부분인 두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상 동작 조건의 형광 튜브에 대해 주로 전압 공급 신호로서 제3의 형태로 제시되는데, 상기 신호는 가변 길이의 부동 시간에 의해 분리된 비주기 전압 레벨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펄스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신호 펄스는 교류 특성, 즉, 신호가 양과 음의 극성의 동일 진폭을 포함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자기-유도 밸러스트 및 스타터를 구비한 간략화된 종래 형광 튜브의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자기-유도 밸러스트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밸러스트 간의 비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밸러스트가 기존의 조명등에 설치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원격 모니터링을 위해 조명등 세트를 네트워크에 상호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형광 튜브와 직렬인 자기-유도 타입 밸러스트의 가장 간단한 형상을 나타내며, 여기서 전기 주 전압은 튜브에 50 또는 60 Hz의 주파수를 공급한다. 약간의 개발 가능성을 갖는 이런 유형의 밸러스트는 주로 오늘날 조명등에 사용된다. 일부 제조업자들이 계속 새로운 전자 밸러스트 시장을 찾고 있었으나, 이러한 전자 밸러스트를 장착한 조명등은 이러한 기술의 다양한 분포를 상당히 제한하는 고 비용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밸러스트를 설치할 때 원래의 자기 밸러스트를 제거할 필요없이 기존의 조명등의 종래 자기 밸러스트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시스템과 상이한 새로운 종류의 전자 밸러스트에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신규 밸러스트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종래 자기 밸러스트가 장착된 형광 튜브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예열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자의 충돌에 의해 수은 원자의 여기가 무작위적으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함을 보여준다(광 방사를 유도하는 충돌만 나타냄).
도 2는 매우 다른 성질의 전압 레벨로 동작하는 신규 밸러스트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는 훨씬 더 많은 충돌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수은 원자를 여기시킨다. 이 현상은 도면에서 더 높은 자외선 방사를 야기하는 세 개의 충돌로 도시된다. 효율은 종래 자기 밸러스트의 단위 전력 (와트) 당 65 루멘스의 표준 레벨에 서 본 발명의 신규 밸러스트를 사용함으로써 와트 당 120 루멘스의 값으로 증가한다.
광 효율에 대한 신규 밸러스트의 주 요점은 형광 튜브의 한 전극으로부터 다른 전극으로 인가된 점등 전압이 가변 존속 부동 시간에 의해 분리된 비주기적 펄스로 구성되는 고주파수 교류 전압이다. 이 특정 전압 파형은 발생되어 매 부동 시간 (무 전압 시간)이 튜브 양단을 흐르는 전류의 실시간 샘플링으로부터 모니터링된다. 전류 세기는 전자와 수은 원자 사이의 충돌 수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가스 내 공진 효과에 의존한다. 이러한 공진 현상을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비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고주파수 전압은 공진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도록 사용되고 전압 레벨은 공진 현상이 광 방출을 유지하는 한 제거된다. 전류 측정은 밸러스트에 포함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시간 전압 파형을 모니터링하도록 허용하는, 공진 효과를 즉시 보여준다.
전압 펄스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교류 파형, 즉, 동일 진폭 및 반대 극성의 전압을 사용하고 비 주기적 이벤트이다. 파형은 밸러스트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임베드된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 제어된다.
상기 알고리즘은 바람직하게는 전류 레벨의 값에 따라 특히 펄스 간 부동 시간 존속 기간을 제어하기 위해 튜브 내 플라즈마를 가로질러 흐르는 전류의 측정치를 인용한다. 전류는 연속적인 실시간 샘플링이다.
도 3은 특히 조명등에 맞춰 설계된, 새로운 부품 키트로 장착된 기존의 조명등이다. 이러한 신규 키트는 본 발명의 전자 밸러스트에 추가로, 원래의 플러그 위 치에 삽입된 신규 튜브 커넥터를 포함한다. 구 부품(즉, 자기 밸러스트 및 스타터)은 적당한 곳에 두고 신 밸러스트가 퀵 커플링 장치를 사용하여 주 전력 공급 버스에 연결된다.
신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고 신규 밸러스트는 음극의 필라멘트를 단시간 차단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어 이들을 통해 흐르는 임의의 전류와 이로 인한 전압 손실을 제거할 수 있다.
형광 튜브에서 전도 점등을 위해, 커패시터는 간단히 튜브와 병렬로 연결되어 전극 간 전압을 증가시킨다. 전도가 수은 증기를 통해 발생되는 즉시, 커패시터는 연결이 끊어진다. 밸러스트는 커패시터 양단의 전류가 커패시터를 제거하기 전에 최소로 감소되는 방법으로 전도가 발생하면 수은 증기를 통해 전류를 변경한다.
전술된 형광 튜브의 신규 동작 모드는 신규 전압 파형이 광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매질의 분자성 여기로 전극과 수은 원자 사이의 충돌 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원리에 기초한다. 사용된 고 주파수 교류 신호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로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정확한 모니터링된 부동 시간 위상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전압 변화를 커플링하는 물리적 파라미터 및 조건과 전자 및 수은 원자 간의 충돌률을 감독하는 프로그램된 기능에 따라, 부동 시간의 계속적인 조정 및 튜브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일정한 모니터링에 의해 최적화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조명등 내에 설치된 신규 밸러스트에 위치된 전자 장치에 포함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의 모든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매크로칩" 전자 부품과 같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및 프로그램으로의 임의의 원 치 않는 액세스를 피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보안되고 보호된 칩에 일체화하고 또한 정확한 조건 하에서만 사용가능하게하는 코딩된 기능을 포함하는 컨트롤러(중앙 프로세싱 유닛)을 구성한다.
주파수와 전압 파형은 주 공급기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 범위에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전압의 변형은 비사인파이고 비주기적이다는 것이 중요하다. 전압 변화는 튜브 내 전류가 제거된 부동 시간 위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동작 모드로 인해, 일부 전류가 튜브 내 전자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전극의 필라멘트를 가로질러 흐를 필요가 없다.
가스 내 음극과 수은 원자에 의해 발생된 전자 간의 충돌 수를 증가시키는 공진 현상의 발생으로 인해,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모드는 동작 온도를 감소시키고 전자 밸러스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최적 동작은 튜브 내 온도가 얼마이든지 증기의 전도 점등 동안 특정 여기 모드와 음극의 제어된 예열로 인해 도달한다. 정상 구동 모드는 따라서 프로세스에 의해 유지되는 공진 현상이 안정화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도달된다. 수 분을 요하는 이러한 점진적인 변환 단계 동안, 튜브를 통과하는 전류 및 광 방출이 연속적인 단계에 의해 증가한다. 상기 단계의 종료시에, 공진 현상은 특정 환경 조건에 따라 안정해진다. 전류는 점점 감소하고 약 15분 후 최소 평균 값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사용으로, 전극의 온도는 40℃ 이상까지 낮춰질 수 있고, 이는 튜브의 수명에 대해 상당한 인시던스를 갖는다.
도 4는 각각이 신규 밸러스트를 일체화한 다수의 조명등이 특정 통신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또는 원격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무선 접속은 GSM을 이용하는 SMS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런 유형의 제어 유닛에서, 정전의 경우 사이트의 발광 시스템의 성능이 기록될 수 있고 동작이 영구히 원격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동작의 통계 및 보고와 관리가 필요할 때 매우 신속하게 개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다른 것들 중 에너지 소비를 진술하는 통계 및 보고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9)

  1. 수은 증기 가스 및 단부에 가열 필라멘트 음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표준 형광 튜브, 형광 튜브에 대해 적절한 지지 및 연결 장치를 일체화하는 고정기구 및 형광 튜브를 구동하는 하나의 밸러스트를 포함하는 조명등의 형광 튜브 동작 모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동작 모드는 형광 가스를 여기시키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를 사용하며, 상기 전압 펄스가 가변 존속 부동 시간에 의해 분리된 비주기 전압 레벨로 구성되어 기존 시스템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교류 전압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에 의해 부동 시간 및 전압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형광 튜브 내 가스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의 실시간 샘플링에 따라 각각의 부동 시간 존속 기간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튜브의 접속/고정의 특정 커플링은 밸러스트에 의해 활성화되어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를 제거하여 전압 손실을 피하는 방법으로 형광 튜브의 전극 필라멘트를 단시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튜브의 가스를 통한 전도는 커패시터의 일시적인 접속에 의해 점등되어 각 형광 튜브의 전극들 간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전도가 달성되는 즉시 연결이 끊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커패시터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가 커패시터의 연결이 끊어지기 전에 최소가 되는 방법으로 가스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성능 모니터링 및 원격 고장 감지를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원격 중앙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모드.
  9. 수은 증기 가스 및 단부에 가열 필라멘트 음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표준 형광 튜브, 형광 튜브에 대해 적절한 지지 및 연결 장치를 일체화하는 고정기구 및 형광 튜브를 구동하는 하나의 밸러스트를 포함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의 동작 모드는 형광 가스를 여기시키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펄스를 사용하며, 상기 전압 펄스가 가변 존속 부동 시간에 의해 분리된 비주기 전압 레벨로 구성되어 기존 시스템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교류 형태로 전압 펄스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에 의해 전압 신호 및 부동 시간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형광 튜브 내 가스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의 실시간 샘플링에 따라 각각의 부동 시간 존속 기간을 모니터링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튜브의 접속/고정의 유지는 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형광 튜브의 전극 필라멘트를 단시간 차단하는 밸러스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특정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4. 제9항에 있어서, 커패시터가 가스를 통한 전도를 개시하도록 각각의 형광 튜브의 전극 간의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패시터가 전도가 획득되는 즉시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전도가 획득될 때, 커패시터의 연결이 끊어지기 전에 커패시터의 전류가 최소 레벨로 감소되는 방법으로 형광 튜브 가스를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를 변경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성능 모니터링 및 원격 고장 감지를 위해 원격 중앙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주 섹터로 단순히 기능하는 표준 밸러스트와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펄스로 동작하는 특별히 어셈블된 부분인 두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튜브 조명등.
  18. 펄스를 구성하는 정상 동작 조건의 형광 튜브의 공급 전압 신호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비주기 펄스 및 가변 부동 시간 존속 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전압 신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펄스는 양의 극성 및 음의 극성이나 동일한 진폭 값을 포함하는 교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전압 신호.
KR1020067009782A 2003-10-21 2004-10-19 조명 기구 및 그 동작 방법 KR20060120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34700 2003-10-21
NO20034700A NO322474B1 (no) 2003-10-21 2003-10-21 Lysrorarmatur samt fremgangsmate for drift av lysror i slik armat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129A true KR20060120129A (ko) 2006-11-24

Family

ID=2977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782A KR20060120129A (ko) 2003-10-21 2004-10-19 조명 기구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519643B2 (ko)
EP (1) EP1683399B1 (ko)
JP (1) JP5038717B2 (ko)
KR (1) KR20060120129A (ko)
CN (1) CN1871880A (ko)
AT (1) ATE387833T1 (ko)
AU (1) AU2004307828A1 (ko)
CA (1) CA2542822A1 (ko)
DE (1) DE602004012135T2 (ko)
DK (1) DK1683399T3 (ko)
ES (1) ES2303108T3 (ko)
NO (1) NO322474B1 (ko)
PL (1) PL1683399T3 (ko)
RU (1) RU2354085C2 (ko)
WO (1) WO2005046295A1 (ko)
ZA (1) ZA200603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6183A1 (fr) * 2008-01-03 2009-07-10 Pascal Paul Arthur Maillach Procede d'alimentation des lampes a decharge sans composants inductifs et capacitifs dans certaines phases fonctionnelles
CN103458592B (zh) * 2012-11-13 2015-10-28 武汉和光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磁场触发荧光灯的方法及运用此方法的荧光灯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8716A (en) * 1980-04-14 1982-11-09 White Castle System, Inc. Adjustable electrical power control for gas discharge lamps and the like
US4375608A (en) * 1980-05-30 1983-03-01 Beatrice Foods Co. Electronic fluorescent lamp ballast
US4388563A (en) * 1981-05-26 1983-06-14 Commodore Electronics, Ltd. Solid-state fluorescent lamp ballast
US4415839A (en) * 1981-11-23 1983-11-15 Lesea Ronald A Electronic ballast for gaseous discharge lamps
JPS58147995A (ja) * 1982-02-25 1983-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低圧水銀蒸気放電灯点灯装置
US4488088A (en) * 1982-06-07 1984-12-11 Gte Products Corporation Starter circuit for lamps with high reignition voltages
US4730147A (en) * 1986-08-19 1988-03-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peration of a gas discharge lamp
CA2006034C (en) * 1988-12-27 1995-01-24 Takehiko Sakurai Rare gas discharge fluorescent lamp device
US5444333A (en) * 1993-05-26 1995-08-22 Lights Of America, Inc.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a fluorescent light
DE4410492A1 (de) * 1994-03-25 1995-09-2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Betrieb von Niederdruckentladungslampen
FR2721475B1 (fr) * 1994-06-15 1996-07-19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 de commande de commutation et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mpe fluorescente à basse pression.
US5668446A (en) * 1995-01-17 1997-09-16 Negawatt Technologies Inc. Energy management control system for fluorescent lighting
DE19520999A1 (de) * 1995-06-08 1996-12-12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Wendelvorheizung von Leuchtstofflampen
DE19608655A1 (de) * 1996-03-06 1997-09-11 Bosch Gmbh Robert Leistungssteuerung einer mit Wechselstrom betriebenen Hochdruckgasentladungslamp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6011362A (en) * 1996-11-19 2000-01-04 Electro-Mag International, Inc. Magnetic ballast adaptor circuit
US6181086B1 (en) * 1998-04-27 2001-01-30 Jrs Technology Inc. Electronic ballast with embedded network micro-controller
JP2000223289A (ja) * 1999-01-29 2000-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コンによる周波数の切替方式および切替回路
JP2000311788A (ja) * 1999-04-28 2000-11-0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調光システム
JP2001250699A (ja) * 1999-12-28 2001-09-1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ATE348354T1 (de) * 2000-10-20 2007-01-15 Int Rectifier Corp Ballaststeuer-ic mit leistungsfaktorkorrektur
TW487208U (en) * 2001-03-09 2002-05-11 Quanta Comp Inc Dual adjustment back-lighted light adjusted controller
JP4538998B2 (ja) * 2001-08-20 2010-09-08 株式会社デンソー 放電灯装置
US7042170B2 (en) * 2003-05-31 2006-05-09 Lights Of America, Inc. Digital ball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2368A1 (en) 2007-03-08
US8519643B2 (en) 2013-08-27
NO20034700L (no) 2005-04-22
EP1683399A1 (en) 2006-07-26
CA2542822A1 (fr) 2005-05-19
NO20034700D0 (no) 2003-10-21
DE602004012135T2 (de) 2009-02-19
ATE387833T1 (de) 2008-03-15
ZA200603965B (en) 2008-04-30
RU2354085C2 (ru) 2009-04-27
AU2004307828A1 (en) 2005-05-19
PL1683399T3 (pl) 2008-07-31
DE602004012135D1 (de) 2008-04-10
CN1871880A (zh) 2006-11-29
ES2303108T3 (es) 2008-08-01
WO2005046295A1 (fr) 2005-05-19
DK1683399T3 (da) 2008-06-23
WO2005046295A8 (fr) 2006-08-24
JP5038717B2 (ja) 2012-10-03
EP1683399B1 (fr) 2008-02-27
NO322474B1 (no) 2006-10-09
RU2006117119A (ru) 2007-12-10
JP2007509477A (ja)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578B2 (en) LED lamp with variable input power supply
US9084333B2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s
EP0954207B1 (en) Self ballasted fluorescent lamp and lighting fixture
KR20130088890A (ko) 전력제어
US7161312B2 (en) Distributed fluorescent light control system
KR20060120129A (ko) 조명 기구 및 그 동작 방법
US8018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inherent ignition voltage in operation of a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US7982411B2 (en) Ignition and operation of electronic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
US20120262063A1 (en) Flourescent luminaire drive circuit
JP4479559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857155B1 (ko)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JP4283348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54339Y1 (ko) 에이치아이디 램프 장치
Dillian et al. A dc-dc converter used as a light dimmer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Ahmadi et al. Experimental performance analysis of electronic and magnetic ballasts for fluorescent lamps
JP4099696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0147011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50216023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d powering discharge lamps
JP2000091085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パルス発生回路
JP2010067574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IL193084A (en) Ignition and operation of high-intensity electronic discharge lamps
KR20030014994A (ko) 에이치아이디 램프 장치
JP2007103136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これを含む照明器具
JP2006092943A (ja) フィラメント断線検知方法、フィラメント断線検知装置、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