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122A -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122A
KR20060120122A KR1020067009645A KR20067009645A KR20060120122A KR 20060120122 A KR20060120122 A KR 20060120122A KR 1020067009645 A KR1020067009645 A KR 1020067009645A KR 20067009645 A KR20067009645 A KR 20067009645A KR 20060120122 A KR20060120122 A KR 20060120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cording
replacement area
file sys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에프. 알. 블랙끼에르
게리트 제이. 숄
포페 이츠마
디르크 하멜링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12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11B2020/189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using linear replacement to relocate data from a defective block to a non-contiguous spare area, e.g. with a secondary defect list [SD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장치가 제안된다. 이 장치는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21, 22, 25)과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을 구비한다. 이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를 어드레싱하는 제 1 파일 시스템 데이터와 제 2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매체 상의 사용자 영역(UA)이 저장할 수 있다. 제어수단(20)은 파티션들이 동일한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두가지 파일 시스템에 대해 파티션을 정의하고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들을 제 1 파일 시스템 엔트리들 외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2개의 파일 시스템이 그들의 파일 엔트리들을 공유하게 허용하여 제 2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줄이며, 매체가 제 1 파일 시스템의 제어하에 있을 때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들이 소거되지 않게 한다.
결함 관리, 교체 영역, 기록매체,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파일 시스템 파티션

Description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신호로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결함 관리를 위한 교체 영역을 포함하는 예비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와 예비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교체 영역과 사용자 영역에 있는 결함 영역의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결함 테이블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 영역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들을 기록하는 기록장치로서,
매체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디지털 정보신호의 기록을 제어하고, 사용자 영역 내부에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1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file entries)를 기록하며 제 1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며,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사용자 영역과 중첩되고 제 2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신호로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결함 관리를 위한 교체 영역을 포함하는 예비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와 예비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교체 영역과 사용자 영역에 있는 결함 영역의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결함 테이블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 영역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들을 기록하는 기록방법으로서,
- 사용자 영역 내부에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1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제 1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는 단계와,
-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사용자 영역과 중첩되고 제 2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접속된 컴퓨터를 구비한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정보신호가 사용자 데이터, 제 1 파일 시스템 데이터 및 제 2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표시하고, 각각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대응하는 세트의 파일 엔트리들을 포함하고, 파일 엔트리들이 소정의 포맷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고 기준점에 대해 정의된 어드레스 기준값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가,
컴퓨터에 접속되어 디지털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디지털 정보신호를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디지털 정보신호를 컴퓨터로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디지털 정보신호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광 디스크(DVD+RW, 블루레이 디스크 등)와 같은 기록매체는 다량의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기록매체는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의 구조에 대해 특정한 요구를 갖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데이터는 특수한 파일 시스템의 규칙에 따라 파일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파일 시스템은 기록매체 상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한 모든 종류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그 자신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갖는다. 특히, 파일 시스템 데이터는 논리 및/또는 물리 볼륨의 구조를 표시하는 볼륨 구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들의 구조를 표시하는 파일 엔트리들, 파일의 그룹화를 기술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들과, 기록매체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할당된 공간 및/또는 미할당 공간을 표시하는 예비 비트맵을 포함한다. 기록매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싱가능한 기록 유니트들을 포함한다. 파일 시스템 레벨에서, 이들 기록 유니트들은 파일 시스템, 예를 들어 UDF의 (규칙에 따른) 제어를 받는 파일들 등과 같은 정보 블록들의 시퀀스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인접하는 어드레싱(저장) 공간을 규정하는 논리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참조된다. 기록매체의 분할(partitioning)은 기록매체에 이 공간을 할당한 다.
현재에는, 예를 들어, DVD+RW 디스크가 민수용 전자(CE) 장치들과 퍼스널 컴퓨터(PC)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CE 환경에서는 DVD+RW 디스크가 DVD+VR로 보통 불리는 DVD 비디오 레코딩의 포맷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것은 비디오 정보 그 자체와, 타이틀 정보, 메뉴 구조 등의 비디오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한 할당 규칙과 파일 세트가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옆에는, (소정의) 파일들의 리스트가 특정한 순서로 매체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해야 한다.
PC 환경은 이와 다른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특정한 할당 요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특수한 애플리케이션이 일부 파일들이 특정한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을 요구하며, 애플리케이션은 전형적으로 파일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파일에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그 자신의 데이터 포맷을 갖는다. 이것은 매체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한 모든 종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매체에 데이터 파일들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일 디스크에 서로 혼합된 멀티미디어 파일, 텍스트 파일 및 실행가능한 파일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최근에, 비디오 플레이어/레코더 등의 점점 더 많은 수의 CE 장치들이 이들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특정한 형태의 파일들을 찾기 위해 디스크 상의 파일 시스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것의 예로는 (주로) JPEG 파일들과, 더욱 더 많은 수의 MP3 파일을 들 수 있다. 미래에는, 더욱 더 많은 종류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이 CE 세상에서 지원될 것이다. 이 이외에, 예를 들면 다양한 환경 에서 공통된 "룩 앤드 필(look and feel)"을 제공하여, PC와 가정용 전자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이동을 더 쉽게 하도록 설계된 (예를 들어 MPV 또는 HighMAT 등의) 새로운 메타 데이터 표준도 제정되었다.
공개된 국제특허출원 WO 01/22416 A1은 CD-RW 디스크 등의 재기록형 매체의 초기화, 포맷화 및 결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고용량 플로피 디스크로서의 CD-RW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즉각적인 파일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하다. 이러한 매체는 일반적으로 마운트 레이니어(Mount Rainier) 재기록형(MRW) 매체, 예를 들어 CD-MRW, DVD+MRW로 불린다.
장치는 할당된 물리 어드레스에 위치한 트랙에 광 디스크에 논리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 블록들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갖는다. 논리 어드레스들은 인접한 저장 공간을 구성한다. 실제로, 기록매체는 트랙의 결함 부분들, 특히 블록이 특정한 물리 어드레스에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함을 보일 수도 있다. 이들 결함은 스크래치, 먼지, 지문 등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처음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결함을 검출하고, 결함 섹터들의 물리 어드레스들을 사용하지 않게 결함 테이블에서 제거하는데 이것은 보통 슬리핑(slipping)으로 불리는 과정이다. 기록매체의 사용중에 결함이 검출된 경우에는, 결함 물리 어드레스에 할당된 논리 어드레스가 예비 영역으로도 불리는 결함 관리 영역의 다른 물리 어드레스로 할당되는데, 이것은 보통 재맵핑(remapping) 또는 선형 교체(linear replacement)로 불리는 과정이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소위 "브리지 매체(bridge medium)"로 불리는 한 개의 기록매체에 다양한 파일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다양한 환경, 예를 들어 CE 환경과 PC 환경 사이에서의 브리지 매체의 공유를 촉진시킨다. 예를 들어 다른 장치들에 의해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범용 애플리케이션 영역(GAA)으로 불리는 기록매체의 특수한 부분이 할당된다. DVD+MRW 매체의 경우에는, GAA가 2Mbyte의 크기를 갖는다.
PC 환경에서, 브리지 매체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큰 방법은 "드래그 앤드 드롭"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후, 상자는 PC 상에서 실행되는 준수(compliance) (브리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통해 매체가 레거시 플레이어와 호환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CE-브리지"로 불리는 두 번째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적절한 파일 시스템(들)과 콘텐츠 포인터를 사용하여 매체에 기록하여, 레거시 "비-MRW" 시스템이 그 자체의 주 파일 시스템 하에서는 이것을 콘텐츠로 해석할 수 있다. 그 결과, CE 플레이어는 이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참조하는 콘텐츠를 재생하게 되며, 이를 위해 이 플레이어는 적절한 콘텐츠 디코더를 갖는다.
CE 브리지의 생성 또는 변형은 제 1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탐색과 파일/디렉토리 엔트리의 CE 브리지에의 복사를 요구한다. 더욱이, 이것은 CE 브리지에 복사되는 모든 파일/디렉토리 엔트리의 변형을 요구한다. 이것은 파일/디렉토리 엔트리 내부에 기억된 어드레스 참조값들이 파일 시스템의 파티션의 시작에 대해 정의되기 때문에 그렇다. 파일/디렉토리 엔트리들을 탐색, 복사 및 변형하는 것은 시간과 공간 소모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 사이에서 브리지 매체를 공유하는 더욱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따르면, 도입부에 기재된 형태의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의해 성취되며, 이것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와 동일하게 이들 두 개의 파티션을 정의하고, 상기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외부에 외부 부분을 갖는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정의하고 이 외부 부분에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2개의 파일 시스템이 그들의 파일 엔트리를 공유하도록 허용하는 한편, 매체가 제 1 파일 시스템의 제어하에 있을 때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들이 소거되지 않게 보호함으로써 CE 브리지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절감한다.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사용자 영역의 내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두가지 파일 시스템 파티션이 사용자 영역 내부에 들어맞으므로 매체 상의 다른 영역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수단이 상기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이 사용자 영역 내에서 최대 크기를 갖는 것을 허용한다.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예비 영역의 내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규정하고 상기 외부 부분과 중 첩하는 예비 영역의 중첩 부분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외부 부분에 있는 제 2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결함 관리에 의해 오버라이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중첩 부분에 있는 교체 영역의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 않는 상기 중첩 부분의 외부에 있는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빈 교체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교체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제 2 파일 파티션에 할당된 예비 영역의 중첩 부분에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오버라이트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제어수단이 예비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파일 파티션을 정의하도록 구성되면 유리하다. 이것은 예비 영역에 재맵핑된 사용자 데이터가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 내부에서 어드레싱되도록 허용한다.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어수단이 예비 영역 외부에 있는 추가 예비 영역과 상기 추가 교체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는 매체에 대해 추가 예비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함 테이블이 상기 교체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에서 접근불가능한 추가 예비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가 추가될 수 없게 보장한다.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수단은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교체 영역의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추가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 않는 교체 영역의 외부에 있는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추가 교체 영역으로부터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빈 교체 영역에 있는 추가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추가 교체 영역을 상기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추가 예비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재맵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에 따르면, 도입부에 기재된 형태의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와 동일하게 이들 두 개의 파티션을 정의하는 단계와,
- 상기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외부에 외부 부분을 갖는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정의하는 단계와,
- 이 외부 부분에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에 따르면, 도입부에 기재된 형태의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상기 컴퓨터가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제 2 국면과 관련하여 기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에 따르면,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d 기록된 디지털 정보시호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제 2 국면과 관련하여 기술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게 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국면들은 이하의 설명에서 예를 들기 위해 기술되고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를 참고하여 더욱 자명해지고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이다(평면도).
도 1b는 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이다(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신호 기록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비-MRW 형태의 매체의 단순화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MRW 형태의 매체의 단순화한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다른 위치에서 시작하는 MRW 파티션과 CE 파티션을 갖는 DVD+MRW 브리지 매체의 단순화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UDF 파일 시스템의 단순화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엔트리를 공유하는 MRW 및 CE 파일 시스템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정보신호 기록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MRW 파티션과 CE 파티션이 동일 위치에서 시작하고 CE 디렉토리 엔트리들이 결함 관리의 예비 영역에 기록된 DVD+MRW 브리지의 단순화한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다수의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를 갖는다.
도 1a는 트랙(9)과 중심공(10)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가진 기록매체(11)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디지털 정보신호(데이터)를 표시하는 일련의 기록된(기록하려는) 마크들의 위치인 트랙(9)이 정보층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트랙을 구성하는 나선형의 회전 패턴에 따라 배치된다.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로 불리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할 수 있으며, 기록가능한 형태를 갖는 정보층을 가진다. 기록가능한 디스크의 예는 CD-RW와, DVD+RW 등의 DVD의 기록가능한 버전과, 블루레이 디스크(BD)로 불리는 블루 레이저를 사용하는 고밀도의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이다. 디지털 정보신호(데이터)는 트랙을 따라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크들,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에서 결정성 또는 비정질 마크를 기록하여 정보층 상에 표시된다. 기록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 상의 트랙(9)은 빈 기록매체의 제조중에 설치된 미리 엠보싱된(pre-embossed) 트랙 구조로 표시된다. 트랙 구조는, 예를 들면 판독/기록 헤드가 주사하는 동안 트랙을 따라가게 하는 프리그루브(14)에 의해 구성된다. 트랙 구조는 보 통 정보 블록들 또는 패킷들로 불리는 정보 유니트들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어드레스들을 포함한다.
도 1b는 기록가능한 형태를 갖는 기록매체(1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투명 기판(15)에는 기록층(16)과 보호층(17)이 설치된다. 보호층(17)은 예를 들어 기록층이 0.6mm 기판에 위치하고 0.6mm의 추가적인 기판이 이 기판의 이면에 접착된 DVD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기판층을 구비하여도 된다. 프리그루브(14)는 기판(15) 재료의 홈 또는 돌출부로 실현되거나, 그것의 주위에서 벗어나는 재료 특성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CD-RW, DVD+RW 또는 BD 등의 기록매체(11)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기록매체 상의 트랙을 주사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이 수단은 기록매체(1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1), 헤드(22) 및 트랙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헤드(22)를 거칠게 배치하는 배치부(25)를 구비한다. 헤드(22)는 광학부재들을 통해 안내되어 기록매체의 정보층의 트랙에 있는 방사 스폿(23)에 포커싱되는 방사 빔(24)을 발생하는 공지된 형태를 갖는 광학계를 구비한다. 방사빔(24)은 방사원,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된다. 헤드는 상기 빔의 광축을 따라 방사빔(24)의 초점을 이동시키는 포커싱 액추에이터와 트랙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스폿(23)의 섬세한 배치를 하는 트랙킹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한다(미도시). 트랙킹 액추에이터는 광학부재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들을 구비하거나, 반사부재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디지털 정보신호(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방사빔이 제어되어 기록층에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크를 생성한다. 마크들을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형태, 예를 들면 염료, 합금 또는 상변화 재료 등의 재료에 기록할 때 얻어진 그것의 주위와 다른 반사계수를 갖는 영역들의 형태, 또는 광자기 재료에 기록할 때 얻어진 그것의 주위와 다른 자화의 방향을 갖는 영역들의 형태를 가져도 된다. 판독을 위해, 정보층에 의해 반사된 방사빔은 헤드(22) 내부의 통상저인 형태의 검출기, 예를 들면 4개의 사분면 다이오드(four-quadrant diode)에 의해 검출되어, 판독신호와, 상기한 트랙킹 및 포커싱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트랙킹 신호와 포커싱 신호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판독신호는 복조기, 포맷제거기(deformatter)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형태를 갖는 판독처리부(30)에 의해 처리되어 디지털 정보신호(데이터)를 검색한다. 따라서, 정보를 판독하는 검색수단은 구동부(21), 헤드(22), 배치부(25) 및 판독 처리부(30)를 구비한다. 장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헤드(22)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신호를 발생하는 기록 처리수단을 구비하며, 이 수단은 입력부(27)와, 포맷화기(28)와 변조기(29)를 포함하는 변조수단을 구비한다.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실시간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또는 기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된다. 입력부(27)는 입력 데이터를 정보 유니트들로 처리하고, 이것은 포맷화기(28)로 전달되어, 예를 들어 오류정정 코드(ECC)의 추가 및/또는 인터리빙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고 데이터를 포맷한다. 포맷화기(28)의 출력에서 발생된 포맷된 데이터는 변조부(29)로 전달되고, 이 복조부는 예를 들어 헤드(22)를 구동하는 변조된 데이터를 발생하는 채널 코더를 구비한다. 더욱이, 변조부(29)는 변조된 신호에 동기 패턴을 포함시키는 동기수 단을 구비한다. 변조부(29)의 입력에 주어진 포맷된 유니트들은 어드레스 정보를 구비하며, 제어부(20)의 제어하에서 기록매체 상의 대응하는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기록된다. 제어부(20)는 정보의 기록 LC 검색을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명령을 받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제어부(20)는 제어 라인(26), 예를 들어,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기 입력부(27), 포맷화기(28), 변조기(29), 판도 처리부(30), 구동부(21) 및 배치부(25)에 접속된다. 제어부(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절차와 가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회로,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 게이트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논리 회로의 상태머신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저장 시스템 전용,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제어부(20)는 표준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 내부의 처리부와 통신하도록 배치된다. 디지털 데이터가 포맷화기(28)로, 그리고 판독 처리부(30)로부터 직접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인터페이스는 입력부와 출력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옵션으로, 입력부(27)가 장치에 존재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스탠드얼론 장치로, 예를 들어 민수용 용도의 비디오 기록장치로 배치된다. 제어부(20), 또는 장치 내부에 포함된 추가적인 호스트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어되어 파일 시스템(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처리회로를 구비한다. 사용자 정보는 아날로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또는 디지털 비압축 된 오디오/비디오 등의 입력신호에 대한 압축수단을 구비하여도 되는 입력부(27)에 주어진다. 판독처리부(30)는 적절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디코딩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제어부(30)는 DVD+RW 디스크 등의 재기록가능한 매체의 초기화, 포맷화 및 결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의 간략화된 레이아웃의 한가지 예를 도 3b와 도 4에 나타낸다. 이것은 리드인 영역 LI, 리드아웃 영역 LO, 범용 애플리케이션 영역 GAA, 예비 영역 SA(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서브 영역 SA1, SA2를 포함), 사용자 영역 UA과 테이블 영역 MTA 및 STA를 포함한다. LI와 LO는 주로 매체 판독/기록 정의와 관리 데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 영역 UA는 주로 실제 사용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와, 제 1 파일 시스템의 규칙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 MRW DFE를 포함하는 파일 데이터 FD와 제 1 (주) 파일 시스템 데이터 MRW FS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 등과 같이 기록매체 상에 저장된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범용 애플리케이션 영역 GAA는 결함을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브, 또는 추가 파일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 등의 결함 관리에 의한 교체를 허용하지 않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결함 관리는 주 테이블 영역 MTA에 저장된 주 결함 테이블 MDT와, 보조 데이터 영역 STA와 예비 영역 SA1, SA2에 포함된 교체 영역(패킷)에 저장된 보조 결함 테이블 SDT에 근거한다. 보조 결함 테이블은 주 결함 테이블의 복사본으로, SDT는 MDT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다. STA는 MTA와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리던던시(redundancy)로 사용되며, 비-MRW PC 시스템이 (비- MRW 드라이브에 의해 해석이 불가능한) 결함 관리 재할당을 보상하는 어드레스 공간을 논리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어드레스 재맵퍼(remapper)를 위해 이들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주 테이블 영역 MTA는 리드인 영역 LI 내부에 놓인다.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레이아웃을 갖는 기록매체는 보통, 도 3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레이아웃을 가진 "비-MRW"와 대조적으로, 마운트 레이니어 재기록(MRW) 매체, 예를 들어 CD-MRW 또는 DVD+MRW로 불린다. DVD+MRW 기록매체의 경우에, GAA, SA1 및 SA2는 각각 2, 8 및 120(또는 504) MByte의 크기를 가진다. MRW PS 및 CE PS는 각각 MRW 파일 시스템 파티션과 CE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시작(개시)을 표시한다.
제어부(20)는 1개의 기록매체, 소위 "브리지 매체" 상에서 다양한 파일 시스템들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환경, 예를 들어 도입부에서 설명한 CE 환경과 PC 환경 사이에서 브리지 매체의 공유를 용이하게 한다.
MRW 정의에 근거하여, PC 상에 재맵핑 드라이브를 설치함으로써, MRW 매체가 비-MRW 가능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재맵핑 드라이버는 다른 무엇보다도 GAA를 사용하여 쉽게 얻어질 수 있어, GAA에 있는 파일 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이 애플리케이션이 이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이것을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다. 비-MRW 인식(aware) CE 장치와의 컨버전스(convergence)를 위해, 동일하거나 다른 형태의 파일 시스템(보통 ISO9660 또는 UDF)을 사용하여 CE 장치가 보통 인식하는 콘텐츠의 어드레싱을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그 자체의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 CE DFE를 갖는, 이하에서는 제 2 파일 시스템 데이터 CE FS로도 불리는 GAA에 저장된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UA 또는 MRW 매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리킴으로써 행해진다. 제 2 파일 시스템이 CE 장치나 MRW를 알지 못하는 장치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최소한 제 2 파일 시스템의 기본 구조(앵커(anchor) 등)가 항상 표준 GAA 내부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
결함 테이블 MDT는 결함 관리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결함 테이블은 결함 관리의 규칙에 따라 검증하는 동안 또는 매체를 사용하는 동안 결함을 지닌 것으로 판정된 결함 영역들(패킷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더욱이, 결함 테이블은 결함 영역의 교체물로서 사용되도록 예약된 교체 영역들(패킷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결함 및 교체 영역들은 매체 상의 그들의 어드레스들에 의해 참조된다. 결함 테이블 내부의 다양한 플래그들 또는 사태 비트들은 이들 영역들의 특징, 예를 들어 데이터 기록을 위한 가용성을 표시한다. 결함 테이블은 GAA의 크기 및 위치 등과 같이 결함 관리가 활성화되지 않은 매체 상의 영역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소위 "브리지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한다. 한 개의 파일 시스템의 파일 및 디렉토리 엔트리들은 다른 파일 시스템에 속하는 다른 데이터 구조의 동등물로 미러링된다. 이와 같은 과정 동안, 파일 시스템의 변경에 관한 정보가 수집된 후, 모든 또는 단지 선택된 파일/디렉토리 엔트리들이 미러링된다. 이러한 선택은 사전에 정의된 세트의 파일 형태들, 파일 시스템 특징들 또는 기타 조건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브리지 매체에 데이터의 추가(변경)후에,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브리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기되어야 한다. 매체가 "정통한(knowledgeable)" 환경, 즉 w가지 파일 시스템이 동기가 유지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는 환경이나, 또는 (2가지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동기가 유지될 수 없는) "비정통한(unknowledgeable)" 환경에서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체가 올바르거나 틀린 CE 브리지 정보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따라서, CE 브리지를 복원할 수 있는 특수한 컨버전스 브리지 애플리케이션의 특수한 동작이 행해져야만 한다. 이것은, 매체가 항상 올바른 CE 브리지를 갖도록 보장하기 위한 "정통한" 환경의 기능의 일부일 수 있다.
도 5는 기록매체 상의 디렉토리 및 파일 구조를 표시하는 UDF 파일 시스템의 간략화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앵커 볼륨 서술자 포인터 AVDP는, 논리 볼륨 서술자 LVD, 파티션 서술자 PD, 주 볼륨 서술자 PVD, 구현(Implementation) 사용 볼륨 서술자 IUVD와 미할당 공간 서술자 USD를 포함하는 주 볼륨 서술자 시퀀스 MVDS를 가리킨다. LVD는 논리 볼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것은 파일 세트 서술자 FSD를 가리킨다. 파티션들은 논리 공간을 물리 공간에 매핑한다. 보통 이것은 오프셋(위치)과 길이(크기)가 PD에 의해 지정되는 선형 매핑이다. PVD는 물리 볼륨에 대한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한편, IUVD는 볼륨에 대한 구현 특유(implementation specific) 정보를 포함한다. 볼륨 상의 빈 공간에 대한 정보가 USD에 포함된다. SVDP는 논리 어드레스 256을 갖는 논리 블록에 놓인다. 예를 들어, DVD+MRW 매체 상의 MRW FS에 대해, (적용된 재맵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 논리 어드레스는 리드인 다음의 5376번째 논리 블록에 해당한다. UDF 파일 시스템 구조는 논리 어드레스 16에 볼륨 인식 시퀀스 VRS를 더 포함한다. AVDP, MVDS 및 VRS는 파티션의 외부에 놓인다. FSD는 파일들 및 디렉토리들의 세트를 확인하며, ROOT 디렉토리를 기술하는 소위 ROOT 엔트리 RE를 가리킨다. 사용자에게 매체 상의 콘텐츠의 개관을 제공하는 디렉토리 및 파일 트리는 ROOT 디렉토리에서 시작하며, 도 5에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포인터들을 통해 서로 모두 연결되는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들, DE 및 FE 각각을 통해 생성된다. 도 5에 더 도시된 것은 파일 식별자 서술자(FID)로서, 이것은 디렉토리의 데이터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 특정한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가리키는 포인터들을 포함한다. RE, FID, DE 및 FE는 함께 UDF 파일 시스템의 파일 및 디렉토리 구조를 형성한다. 이것들은 파티션 내부에 놓인다. 각각의 파일 엔트리는 대응하는 파일에 속하는 데이터를 가리키는 어드레스 기준값들(링크들)을 포함한다. 어드레스 기준값들은 주어진 파일 시스템에 특정한 포맷을 가지며, UDF 파일 시스템의 경우에 파티션의 시작점인 기준점에 대해 정의된다. UDF 파일 시스템의 ROOT 엔트리, 디렉토리 엔트리들 및 파일 엔트리들은 UDF 사양에 의해 정의된 동일한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동일한 기준점을 사용하고, 이것들은 간단히 파일 엔트리로 불리는 일이 많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MRW와 CE 파티션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지점에서 시작할 때에는, MRW 및 CE 어드레스 기준값들이 다른 기준점들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 1 위치가 제 2 위치와 같도록 두 개의 파티션을 정의하고,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 바깥에 외부 부분을 갖는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정 의하고 이 외부 부분에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들을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두가지 파일 시스템 데이터(이 경우에는 UDF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AVDP, MVDS, VRS 및 FSD는 매체에 기록된다. 이것은 한 개의 동작(MRW 및 CE 파일 시스템 데이터의 기록)으로 또는 시간 상으로 분리된 2개의 동작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MRW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기록되고, 그후에 예를 들어 "컨버전스 형성" 요구의 결과로써 CE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기록된다. 제어부(20)는 파티션 서술자들 MRW PD 및 CE PD에 의해 정의된 파티션들에 대해 동일한 시작점(위치)을 설정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두가지 파일 시스템 데이터에 의해 공유된 한 개의 공통된 세트의 파일 엔트리들을 기록하는데 충분한 브리지 매체가 얻어진다. 한 개의 공통된 세트를 형성하는 파일 엔트리들 FE는 서로 다른 파일 시스템 데이터 MRW DE 및 CE DE에 대응하는 디렉토리 엔트리들에 의해 가리켜진다. 도 8은 공유된 파이 엔트리들 FE를 갖는 DVD+RW 브리지 매체의 간략화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CE 파티션은 MRW 파티션의 크기 "k"보다 큰 크기 "1"을 갖는다. 이것은 CE 파티션이 MRW 파티션의 바깥에 있는(도 9의 "k"와 "l" 사이에 있는) CE 외부 부분 CE OP로 불리는 부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20)는 이 부분을 사용하여 CE FS 디렉토리 엔트리들 CE DE를 기록한다. 또한, CE FS의 파일 세트 서술자, ROOT 엔트리 및 파일 식별자 서술자들이 CE 외부 부분에 기록된다. 이것은, 이 공간에 기록된 CE FSD 및 다른 CE FS 뷰(view) 엔트리들이 MRW 파티션 내부에 존재하지 않으며, 그 결과 MRW 파티션에 있는 파일들의 오버라이트 또는 소거에서 안전하며 이것의 역이 성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사용자 영역 UA 내부에서 CE 외부 부분을 정의한다.
장치의 일 실시에의 제어부(20)에 의해 행해지는 특정한 방법을 도 7에 나타낸다. 스텝 INIT1(101)에서,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이 정의되고 AVDP, MVDS, VRS 및 FSD 등의 기본적인 MRW FS 구조가 매체에 기록된다. 다음에, 스텝 INT2(102)에서, 제 2 파일 파티션이 정의되고, AVDP, MVDS, VRS 및 FSD 등의 기본적인 CE FS 구조가 매체에 기록된다. 두가지 파티션은 동일한 시작점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데,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크기가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크기보다 크다. (대응하는 MRW FID와 함께) MRW FS 파일 및 디렉토리 엔트리들이 스텝 GENERATE1(103)에서 발생된 후 스텝 RECORD1(104)에서 매체에 기록된다. 다음에, 스텝 GENERATE2(105)에서 (대응하는 CE FID와 함께) CE FS 디렉토리 엔트리들이 생성된 후 스텝 RECORD2(106)에서 매체 상의 CE 외부 부분에 기록된다. 두가지 파일 시스템이 그들의 파일 엔트리들을 공유하므로, CE FS 파일 엔트리들을 생성 및 기록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스텝 INIT2(102)는 스텝 RECORD1(104) 뒤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이의 대안으로, 스텝 103 및 105 및/또는 스텝 104 및 106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UA의 바깥에 CE 외부 부분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수한 경우에, CE 외부 부분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비 영역 SA2 내부에 존재한다. SA2에 CE FSD, CE RE, CE FID 및 CD FD를 기억하는 것은 이 정보가 저장된 SA2 위치를 사용하여 MRW 결함 관리가 이 정보를 소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약간의 예방조치를 요구한다. 제어부(20)는, 결함 관리와의 충돌을 피 하기 위해, CE 외부 부분과 중첩하는 이하에서 중첩부로도 불리는 예비 영역 SA2의 일부를 MDT에서 사용불능으로 표시한다. 이 중첩부에 포함된 모든 교체 영역이 MDT에서 사용불능으로 표시된다.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MDT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그것의 콘텐츠(사용자 데이터 또는 MRW FS 데이터)를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SA2의 중첩 부분에 있는 공간을 비울 수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방법의 스텝 102 또는 스텝 106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첩부의 교체 영역의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MDT를 탐색하고,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데이터를 갖지 않는 중첩부 바깥의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MDT를 탐색하고,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교체 영역으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교체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빈 교체 영역에 기록하고, MDT에 빈 교체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하고 교체 영역을 MDT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장치의 백그라운드 처리에 의해 행해지거나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정의하는 특수한 포맷 명령의 결과일 수 있다. 비워진 SA2 위치들은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된다. 그 결과, 이들 위치는 MRW 시스템에서 오버라이트되지 않는다. 이들 위치는 CE 파티션-CE 외부 부분에 추가된다.
유리하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20)가 도 8에 도시된 전체 SA2를 커버하는 CE 파티션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결함 관리에 의해) SA2로 재맵핑되는 MRW 파티션에서 얻어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것이 CE 파티션 내 에서부터 어드레싱될 수 있도록 보증한다.
DVD+MRW는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추가 예비 영역 SA1을 구비한다. MRW 파티션에서 발생된 일부 데이터가 SA1으로 재맵핑될 수 있다. CE 파티션이 md가될 수 있으므로, 이것이 전체 SA1을 커버한다. 그러나, 이것은 CE 파티션이 MRW 파티션과 동일한 물리 위치에서 시작하여 모든 MRW 파일 엔트리들이 MRW FS와 CE FS 사이에서 공유되도록 한다는 필수조건을 위반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가 추가 예비 영역 SA1을 MDT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SA1이 결함 관리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20)는 MDT에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그것의 콘텐츠(사용자 데이터 또는 MRW FS 데이터)를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SA1에 있는 공간을 비울 수 있다. 이것은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교체 영역의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배치하고, 데이터를 갖지 않은 교체 영역들 중에서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추가 교체 영역으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추가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데이터를 빈 교체 영역에 기록하고, 결함 테이블에 빈 교체 영역이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추가 교체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서 사용불능으로 표시하여 SA2의 경우에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사용자 영역 UA와 예비 영역 SA2는 단편화되고 서로 인터리브되어 매체 상에 "얼룩말 형태(zebra-like)"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어부(20) 는 예비 영역의 필요한 수의 단편들만큼 연장되는 CE 파티션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가 예비 영역의 1개 또는 그 이상의 단편들의 일부를 MDT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고 이들 부분을 CE 외부 부분에 대해(으로서) 할당(정의)할 수 있다. 필요하면, 상기한 기술을 이용하여 예비 영역의 단편들에 있는 공간을 비울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과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스트 시스템의 처리부가 제어부(20)를 제어하여 위에서 주어진 장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들과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어부(20) 또는 호스트 시스템의 처리부가 위에서 주어진 장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들과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을 이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이 제한적인 실시예가 아니다. 따라서, 청구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모든 새로운 특징 또는 위에서 설명한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기록매체에 대해 광 디스크를 설명하였지만,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다른 매체가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범용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또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포함한다"는 단어는 주어진 것과 다른 부품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척하지 않고 부품 앞의 "a" 또는 "an"이 복수의 이와 같은 부품의 존재를 배척하지 않으며 참조부호가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수단"이 한 개의 항목 또는 복수로 표시되어도 되고 다수의 "수단"이 동일한 하드웨어 항목으로 표시되어도 된다.

Claims (18)

  1. 디지털 정보신호로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결함 관리를 위한 교체 영역을 포함하는 예비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와 예비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교체 영역과 사용자 영역에 있는 결함 영역의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결함 테이블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 영역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들을 기록하는 기록장치로서,
    매체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디지털 정보신호의 기록을 제어하고, 사용자 영역 내부에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1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제 1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며,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사용자 영역과 중첩되고 제 2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와 동일하게 이들 두 개의 파티션을 정의하고, 상기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외부에 외부 부분을 갖는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정의하고 이 외부 부분에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사용자 영역의 내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예비 영역의 내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규정하고 상기 외부 부분과 중첩하는 예비 영역의 중첩 부분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중첩 부분에 있는 교체 영 역의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 않는 상기 중첩 부분의 외부에 있는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빈 교체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교체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예비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파일 파티션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체는 예비 영역 외부에 있는 추가 예비 영역과 상기 추가 교체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결함 테이블이 추가 교체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이 추가 예비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교체 영역의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추가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 않는 교체 영역의 외부에 있는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고, 상기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추가 교체 영역으로부터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빈 교체 영역에 있는 추가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추가 교체 영역을 상기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디지털 정보신호로 표시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결함 관리를 위한 교체 영역을 포함하는 예비 영역과 사용자 영역의 외부와 예비 영역의 외부에 있으며 교체 영역과 사용자 영역에 있는 결함 영역의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결함 테이블을 기록하기 위한 테이블 영역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들을 기록하는 기록방법으로서,
    - 사용자 영역 내부에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1 파일 시스템 디 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제 1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는 단계와,
    -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는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및 파일 엔트리를 기록하며 사용자 영역과 중첩되고 제 2 위치에서 시작하는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매체 상에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와 동일하게 이들 두 개의 파티션을 정의하는 단계와,
    - 상기 제 1 파일 시스템 파티션의 외부에 외부 부분을 갖는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을 정의하는 단계와,
    - 이 외부 부분에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엔트리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 영역의 내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역의 외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기록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 상기 예비 영역의 내부에 상기 외부 부분을 규정하는 단계와,
    - 상기 외부 부분과 중첩하는 예비 영역의 중첩 부분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중첩 부분에 있는 교체 영역의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는 단계와,
    - 상기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교체 영역을 배치하는 단계와,
    -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 않는 상기 중첩 부분의 외부에 있는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는 단계와,
    - 상기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교체 영역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 상기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빈 교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와,
    - 결함 테이블에 상기 빈 교체 영역이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하 는 단계와,
    - 상기 교체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4.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일 시스템 파티션이 예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5.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체는 예비 영역 외부에 있는 추가 예비 영역과 상기 추가 교체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결함 테이블이 추가 교체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며, 추가 예비 영역을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교체 영역의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는 단계와,
    - 상기 추가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추가 교체 영역을 배치하는 단계와,
    - 사용자 데이터를 갖지 않는 교체 영역의 외부에 있는 빈 교체 영역의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를 찾기 위해 상기 결함 테이블을 탐색하는 단계와,
    - 상기 빈 교체 영역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빈 교체 영역을 배치하는 단계와,
    - 상기 추가 교체 영역으로부터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 상기 빈 교체 영역에 있는 추가 교체 영역에서 판독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와,
    - 결함 테이블에 상기 빈 교체 영역이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 상기 추가 교체 영역을 상기 결함 테이블에 사용불능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17.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접속된 컴퓨터를 구비한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정보신호가 사용자 데이터, 제 1 파일 시스템 데이터 및 제 2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표시하고, 각각의 파일 시스템 데이터가 대응하는 세트의 파일 엔트리들을 포함하고, 파일 엔트리들이 소정의 포맷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가리키고 기준점에 대해 정의된 어드레스 기준값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가,
    컴퓨터에 접속되어 디지털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디지털 정보신호를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매체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신호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판독된 디지털 정보신호를 컴퓨터로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디지털 정보신호의 기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장치의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제 9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
  18. 착탈가능한 재기록형 디스크형 기록매체 상의 어드레싱가능한 위치에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가 제 9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67009645A 2003-11-21 2004-11-15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120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4312.8 2003-11-21
EP03104312 2003-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122A true KR20060120122A (ko) 2006-11-24

Family

ID=3461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645A KR20060120122A (ko) 2003-11-21 2004-11-15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30419A1 (ko)
EP (1) EP1687821A1 (ko)
JP (1) JP2007512647A (ko)
KR (1) KR20060120122A (ko)
CN (1) CN1883002A (ko)
CA (1) CA2546430A1 (ko)
TW (1) TW200527389A (ko)
WO (1) WO2005050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1221B2 (en) * 2011-03-16 2014-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easing fragmented storage between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7495B2 (ja) * 1990-10-22 1998-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媒体の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US6223303B1 (en) * 1998-06-29 2001-04-24 Western Digital Corporation Disk drive having two tiered defect list comprising marginal and reserved data sectors
TW448437B (en) * 1999-08-09 2001-08-01 Ind Tech Res Inst Dynamic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erasable compact disk
ATE395700T1 (de) * 1999-09-23 2008-05-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m unmittelbaren schreiben oder lesen von dateien auf ein plattenähnliches aufzeichnungsmedium
TWI238397B (en) * 2001-04-25 2005-08-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s for storing and reading data on a storage medium and storage medium
JP2003114817A (ja) * 2001-08-03 2003-04-18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及び情報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3002A (zh) 2006-12-20
CA2546430A1 (en) 2005-06-02
WO2005050647A1 (en) 2005-06-02
US20070130419A1 (en) 2007-06-07
TW200527389A (en) 2005-08-16
EP1687821A1 (en) 2006-08-09
JP2007512647A (ja)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1993A1 (en) Apparatus for an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US20080298188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 Carrier
US20080273437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 Carrier
KR20060120122A (ko) 디지털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US77303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US20070136520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US2006023032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US7813624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audio/video signals
WO2005004149A1 (en)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nd method of storing of data sharable by different fil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