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468A -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468A
KR20060119468A KR1020050042522A KR20050042522A KR20060119468A KR 20060119468 A KR20060119468 A KR 20060119468A KR 1020050042522 A KR1020050042522 A KR 1020050042522A KR 20050042522 A KR20050042522 A KR 20050042522A KR 20060119468 A KR20060119468 A KR 2006011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identifier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regist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인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468A/ko
Publication of KR2006011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4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multi-step notification using statistical or historical mo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현재 위치 등록된 교환기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된 교환기의 인접 교환기에서도 동시에 페이징 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청 받으면, 라우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며, 발신 교환기와 연결되면 착신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셀 식별자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며,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교환기들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전달 받으면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한다.
다중, 멀티, 페이징, 인접, 통신, 경계

Description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Improved Multi-paging}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페이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위치등록기(HLR)에서의 호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환기가 관장하는 통신 경계 지역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현재 등록된 착신 교환기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된 착신 교환기와 인접하는 교환기에서도 동시에 페이징 하도록 하는 방법 및 상기 페이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와 상태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통지하여, 항상 시스템에 등록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위치 영역 식별자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관리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MS)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기지국(BTS)(11)과, 상기 기지국(11)들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12)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12)와 전용선을 통해 통신하는 교환기(MSC)(13)와,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교환기가 관할하는 통신 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방문자위치등록기(VLR)(14)와, 상기 방문자위치등록기(14)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서비스 가입 정보 등을 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HLR)(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교환기는 자신이 관장하는 통신 지역에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가 들어오면, 방문자위치 등록기(14)에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속하는 홈위치등록기(15)로 위치 정보의 등록을 요구한다. 그러면, 홈위치등록기(15)는 기존의 위치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 통지된 정보로 위치 정보를 등록함과 동시에 기존의 방문자위치등록기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삭제를 요구한다.
그런데, 교환기들이 담당하는 통신 경계 지역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상태에서 다른 교환기의 통신 담당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홈위치등록기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실제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가 다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이 실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424446호에는 홈위치 등록기를 이용한 멀티 페이징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 제424446호에서는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 정보를 홈위치 등록기에 각각 등록 저장하고, 최종 등록된 위치 정보의 등록 시간을 연계 저장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 착신 요청 시, 그 최종 등록된 위치 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최종 등록된 위치 정보로 페이징 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위치 정보로 각각 다중 페이징 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특허 제424446호에서는 교환기1과 교환기2의 경계 지역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여 교환기1과 교환기2에서 이동하는 경우, 위치 등록된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호 요청된 시간과 위치 등록된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이하이면, 교환기1과 교환기2로 동시에 페이징을 수행하고, 호 요청된 시간과 위치 등록된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이상이면(이는 위치 등록된 시간이 많이 경과한 것을 의미), 현재 등록된 교환기로 페이징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다중 페이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경계 지역에서 반드시 위치 등록이 된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1의 통신 지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교환기2의 통신 지역으로 이동하였지만, 아직 홈위치등록기에 교환기2로 위치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은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현재 위치 등록된 교환기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된 교환기의 인접 교환기에서도 동시에 페이징 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다중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는 제1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셀 식별자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는 제2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교환기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실제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기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는 제4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제4 단계의 응답으로 라우팅 정보들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라우팅 정보들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와 상기 착신 교환기 가 연결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페이징 과정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다중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이한지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상이한 경우 상기 교환기가 상기 변경된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는 제2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현재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와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는 제3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교환기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실제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기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는 제5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제4 단계의 응답으로 라우팅 정보들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라우팅 정보들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연결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페이징 과정을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 및 방문자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청 받으면, 라우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며, 발신 교환기와 연결되면 착신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셀 식별자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며,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교환기들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전달 받으면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 및 방문자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위치등록기는 자신의 통신 지역 내의 셀에 대한 식별자 정보와 상기 셀들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 정보를 매칭시켜 관리하고, 상기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상기 방문자위치등록기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이한 경우 상기 변경된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청 받으면 라우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며, 발신자 교환기와 연결되면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페이징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현재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와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교환기들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담당하는 교환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는 경우 홈위치등록기에 등록된 위치 정보를 새롭게 갱신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의 갱신이 요구되는 경우 홈위치등록기로 위치 정보의 갱신을 요구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교환기는 자신의 통신 담 당 지역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들어오면 자신의 방문자위치등록기에 새로 들어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와 위치 정보를 임시 저장한 다음에 홈위치등록기로 위치 정보의 등록을 요구한다. 하지만 교환기는 자신의 통신 담당 지역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셀 위치를 변경하면 방문자위치등록기의 정보는 갱신하지만, 홈위치등록기로 새롭게 위치 등록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이 담당하는 통신 지역내에서 이동을 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통신 경계 지역으로 다른 교환기의 통신 담당 지역과 인접하고, 또한 이전에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와 상이한 경우에는 홈위치등록기로 새롭게 위치 정보를 갱신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2에서 중앙이 교환기 1(MSC #1)이 관장하는 통신 영역이며, 교환기 1은 12개의 셀로 구성된다. 교환기 1의 셀들 중에서 셀 1은 교환기 4와 교환기 5에 인접한 셀이고, 셀2는 교환기 4에 인접한 셀이다. 셀 3은 교환기 5에 인접한 셀이고, 셀 5는 교환기 4와 교환기 3에 인접한 셀이다. 그리고 셀 6은 교환기 5와 교환기 2에 인접한 셀이고, 셀 9는 교환기 3에 인접한 셀이다. 그리고 셀 10과 셀 11은 교환기 2에 인접한 셀이고, 셀 12는 교환기 2와 교환기 3에 인접한 셀이다. 셀 4와 셀 7 및 셀 8은 다른 교환기들의 통신 지역과 인접하지 않는 셀들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셀 11에 위치한 경우에는 교환기 1로 위치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 2의 통신 지역으로 이동하면, 교환기 2는 자신의 VLR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임시 등록하고, HLR로 위치 정보의 등록을 요구하게 된다. 그런데,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착신 호가 발생되면, HLR에는 교환기1로 위치 등록되어 있으나,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교환기 2의 통신 지역에 있으므로 페이징이 실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환기가 관할하는 통신 지역을 다수개의 지역으로 분할한다. 즉, 교환기가 관할하는 통신 지역을 크게는 교환기간 인접 지역과 비 인접 지역으로 구분하며, 인접 지역도 인접하는 교환기별로 다수개로 구분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교환기가 관할하는 통신 지역을 다수개로 구분하는 이유는 홈위치등록기에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교환기 식별자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홈위치등록기에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인접한 교환기 식별자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첫째, 홈위치등록기에서 각 교환기별 셀 식별자와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테이블로 관리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셀 7에서 셀 10으로 이동하면,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로 셀 식별자(ID)를 전송한다. 또한, 셀 3에서 셀 1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셀 정보를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며, 셀 1에서 셀 2로 이동하는 경우, 셀 2에서 셀 4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셀 식별자 정보를 전송한다. 셀 1에서 셀 2로 이동하는 경우 셀 정보를 홈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이유는, 셀 1에 인접하는 교환기는 교환기 5와 교환기 4이나, 셀 2에 인접하는 교환기는 교환기 4 하나이기 때문이다.
물론,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속한 셀이 변경되면, 무조건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와 셀 식별자를 홈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위치등록기는 교환기로부터 교환기 식별자와 셀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테이블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속한 셀이 그 교환기가 담당하는 통신 지역의 경계 지역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경계 지역인 경우에는 홈위치등록기는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확인한 후, 위치 등록 정보로 현재 이동통신단말기가 속한 교환기 식별자를 등록하고, 다중 페이징을 위해 상기 인접 교환기 식별자를 등록한다.
둘째는 교환기의 방문자위치등록기에 자신이 담당하는 통신 지역내에 있는 셀이 어떤 교환기와 인접하고 있는지를 테이블로 관리하여, 인접하는 교환기 식별자가 변경될 때마다 홈위치등록기로 변경 사실을 통지하는 것이다. 즉,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는 자신의 통신 지역에 속하는 셀들의 식별자와, 상기 셀들 중 다른 교환기의 통신 지역과 인접한 셀인 경우 상기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대응시켜 관리하는 매칭 테이블이 존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셀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현재 위치한 셀의 식별자가 교환기로 통보된다. 교환기는 방문자위치등록기에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속한 셀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교환기는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가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했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와 상이한지 확인한다. 교 환기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와 이전에 위치했던 셀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가 상이한 경우 변경된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한다. 홈위치등록기는 교환기로부터 통보된 변경된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신 교환기는 홈위치등록기로 위치 조회를 하면서 발신자 단말기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홈위치등록기는 대기 상태에서 발신 교환기로부터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101), 현재 착신 단말기가 속한 착신 교환기의 식별자를 확인한다.
홈위치등록기는 착신자 단말기 정보를 이용해 착신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착신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현재 착신자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ID)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홈위치등록기는 착신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102),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교환기의 통신 지역과 인접한 통신 경계 지역에 있는지 판단한다(103).
홈위치등록기는 착신자 단말기가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103), 다중 페이징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현재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와 현재 착신 단말기의 경계 지역에 있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를 확인한다. 그리고, 현재 착신자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뿐만 아니라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TLDN)를 요구한다(105). 착신자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에서는 라우팅 정보를 정상적으로 할당하여 홈위치등록기로 제공하지만, 착신자 단말기가 등록되지 않은 인접 교환기 는 자신의 VLR에 착신자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라우팅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착신자 단말기가 등록되지 않은 인접 교환기가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구 받으면, 임시로 라우팅 정보를 할당하여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도록 한다.
한편, 현재 착신 단말기가 통신 경계 지역에 있지 않으면(103), 일반적인 호 처리와 동일하게 등록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TLDN)를 요구한다(104).
홈위치등록기는 교환기들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면(106), 발신 교환기로 착신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TLDN)를 전송한다(107). 그러면, 발신 교환기는 전달된 착신 교환기의 라우팅 정보를 이용해 통화 경로를 설정한다.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간에 통화 경로가 설정되면 착신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를 페이징 한다. 이때,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착신 교환기에서 통상의 페이징 과정을 수행하고, 착신 단말기가 등록되지 않은 인접 교환기는 전달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해 페이징을 수행한다. 페이징의 결과로 착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착신 교환기에서는 발신 교환기로 호 설정 완료를 통보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의 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가 교환기들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 등록된 교환기뿐만 아니라 인접한 교환기에서도 동시에 페이징을 수행하고, 이러한 다중 페이징 과정이 일차 페이징 실패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차 호 처리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 없이 호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다중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는 제1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셀 식별자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는 제2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교환기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실제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기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는 제4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제4 단계의 응답으로 라우팅 정보들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라우팅 정보들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연결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페이징 과정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페이징 방법.
  2. 발신 교환기와, 착신 교환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 및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다중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이한지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상이한 경우 상기 교환기가 상기 변경된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는 제2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현재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와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는 제3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교환기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실제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착신 단 말기의 현재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환기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는 제5 단계;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제4 단계의 응답으로 라우팅 정보들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라우팅 정보들을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발신 교환기와 상기 착신 교환기가 연결되면 상기 착신 교환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페이징 과정을 수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페이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교환기가 담당하는 통신 지역을 타 교환기들과의 경계 지역과 비 경계 지역으로 구분하고, 다시 상기 경계 지역을 인접하는 교환기에 따라 다수개로 구분한 상태에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셀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가 상기 다수개로 구분된 지역 중 이전에 등록된 지역과 다른 지역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다른 지역에 해당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와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페이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셀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한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교환기 식별자가 상이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전송하여 다중 페이징을 위한 인접 교환기 정보의 갱신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페이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셀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하는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교환기 식별자가 상이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를 다중 페이징을 위한 인접 교환기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페이징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교환기가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구 받으면, 임시로 라우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페이징 방법.
  7. 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 및 방문자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청 받으면, 라우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며, 발신 교환기와 연결되면 착신 단말기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셀 식별자를 확인하여 현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교환기들간의 통신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등록하며,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교환기들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전달 받으면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교환기와, 홈위치등록기 및 방문자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위치등록기는 자신의 통신 지역 내의 셀에 대한 식별자 정보와 상기 셀들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 정보를 매칭시켜 관리하고,
    상기 교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변경되면 상기 방문자위치등록기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의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이한 경우 상기 변경된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통보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요청 받으면 라우팅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응답하며, 발신자 교환기와 연결되면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페이징 과 정을 수행하고,
    상기 홈위치등록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달된 현재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와 인접 교환기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발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요구를 수신 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등록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와 인접한 교환기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실제 등록된 교환기와 상기 인접한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구하며, 상기 교환기들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담당하는 통신 지역을 타 교환기들과의 경계 지역과 비 경계 지역으로 구분하고, 다시 상기 경계 지역을 인접하는 교환기에 따라 다수개로 구분한 상태에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셀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가 상기 다수개로 구분된 지역 중 이전에 등록된 지역과 다른 지역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다른 지역에 해당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와 자신의 교환기 식별자를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위치등록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셀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하는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전에 위치했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인접 교환기 식별자가 상이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교환기 식별자를 다중 페이징을 위한 인접 교환기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50042522A 2005-05-20 2005-05-20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060119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522A KR20060119468A (ko) 2005-05-20 2005-05-20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522A KR20060119468A (ko) 2005-05-20 2005-05-20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468A true KR20060119468A (ko) 2006-11-24

Family

ID=3770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522A KR20060119468A (ko) 2005-05-20 2005-05-20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4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77B1 (ko) * 2011-05-20 2013-02-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교환기 간의 페이징을 제어하는 콜 에이전트 및 그 동작 방법
KR101395832B1 (ko) * 2008-09-09 2014-05-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페이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30042A (ko) * 2021-01-06 2023-03-03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효율적인 위치 등록을 위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32B1 (ko) * 2008-09-09 2014-05-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페이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9177B1 (ko) * 2011-05-20 2013-02-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교환기 간의 페이징을 제어하는 콜 에이전트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30042A (ko) * 2021-01-06 2023-03-03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효율적인 위치 등록을 위한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7810B2 (en) Optimization or circuit call setup and delivery associated with inter-MSC packet data handoff
US6292667B1 (en) Multicell area paging for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101382B1 (en) Location management for cellular systems
KR100734644B1 (ko)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378653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EP1238556B1 (en) Location area upd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10913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12424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re network, radio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network for containing the system
US6597910B1 (en) Method for making network direct system selec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0455138C (zh) 核心网故障恢复后业务重分担的方法
EP1329121B1 (en) Method and means for providing enhanced subscriber identity confidentiality during roming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19468A (ko) 다중 페이징 방법 및 이동통신 시스템
US7308257B2 (en)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public network busy stat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8897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선택적위치등록방법및그를이용한선택적다단계페이징방법
KR10029244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영역등록방법및그를이용한다단계페이징방법
KR100491859B1 (ko) 이동통신 지능망 서비스에서의 일반 호 전환방법
US8725155B2 (en) Process for updating location information
KR20010053764A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라우팅 영역 갱신 방법
KR20040033981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국의 위치 관리 및 페이징 방법
KR101211184B1 (ko) 이동 교환기에서의 착신 페이징 호 처리 방법
KR2001003752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10029836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이동가입자의위치등록중에호착신방법
KR2008000993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등록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30019830A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KR201000134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라우팅 영역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