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989A -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989A
KR20060118989A KR1020050041468A KR20050041468A KR20060118989A KR 20060118989 A KR20060118989 A KR 20060118989A KR 1020050041468 A KR1020050041468 A KR 1020050041468A KR 20050041468 A KR20050041468 A KR 20050041468A KR 20060118989 A KR20060118989 A KR 2006011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layer
main body
shoe
laye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최재호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이정우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05004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989A/ko
Publication of KR2006011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층에 왕겨숯이 혼합된 발포성 수지(특히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시켜 왕겨숯 고유의 조습기능이라든지 수분흡수기능, 원적외선/음이온방출기능이 나타나고 필요한 경우에 첨가되는 향료에 의한 방향기능도 갖도록 된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발포실 내부에 베이스층을 배치하고 그 베이스층 상측에 왕겨숯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발포시켜 신발창본체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층 상측에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되고나서 그 신발창본체층 상측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그 제 2신발창본체층 상측에 제 3의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층의 반대편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되어도 된다.

Description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SLIPSOLE FOR FOOTWEA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층, 12: 신발창본체층(제 1신발창본체층),
14: 제 2신발창본체층, 16: 제 2신발창본체층,
30a,30b: 제 1, 제 2금형, 40a: 제 1원료공급노즐,
40b: 제 2원료공급노즐.
본 발명은 신발중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숯 및/또는 화산재(바람직하게 제주도 화산재로서 일명 '송이')가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습도조절(調濕)과 탈취,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출 기능을 갖도록 된 신발중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체의 일부인 발(足)의 바닥에는 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주요한 경맥이라든지 혈이 분포되고, 그 때문에 발의 상태를 최상으로 관리하게 되면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상당히 유리한 영향을 받게 된다.
그래서, 신발의 내부에 적용되는 중창은 일례로 걷거나 뛰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예컨대 고무재 또는 스펀지로 제작되는 완충부재가 포함됨과 더불어 그 완충부재의 양측 면 또는 일측 면에는 필요에 따라 면직물이 덧대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발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외부로부터의 습기가 신발중창을 포함하여 신발내부에 흡습되면 해당하는 신발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하기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기 쉽고, 특히 그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 발에 무좀균 등에 의한 피부질환이 발행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발의 건강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발중창이 제안된 상태로, 그 예로서는 신발중창의 표면에 다수의 자석 또는 옥(玉)을 붙박아 놓은 형태라든지, 대략 1∼3㎜입경의 참숯알갱이를 분포시키거나 황토를 분포시켜 놓 은 형태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자석이나 옥, 또는 비교적 큰 입경의 숯알갱이나 황토가 적용된 신발중창은 신체의 발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외부로부터의 습기를 조절하는 능력이 충분하게 달성되기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자석이나 옥 또는 숯알갱이나 황토가 해당하는 신발중창의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제한적인 수만이 적용되기 때문에 발의 건강에 만족할만한 유리함을 제공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략 100메쉬 이상의 왕겨숯 및/또는 화산재(특히, 제주도 화산재로서 일명 '송이')의 미세분말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신발내부의 조습작용과 음이온방출, 원적외선방사 및 항균작용이 충분하게 달성되도록 한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베이스층상에는 왕겨숯 분말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수지원료를 발포하여 형성된 신발창본체층이 적층되어 제조된 신발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에 형성된 상기 신발창본체층 상측에는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적층된다.
또, 상기 제 2의 신발창본체층 상측에는 제 3의 신발창본체층이 선택적으로 더 적층된다.
그에 대해, 상기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반대편에 제 2의 신발창 본체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발포실 내부에 베이스층을 배치하고 그 베이스층 상측에 왕겨숯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발포시켜 신발창본체층을 형성하는 신발창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 상측에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되고나서 그 신발창본체층 상측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된다.
또, 상기 제 2의 신발창본체층상에 제 3의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층의 반대편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해당하는 신발창의 베이스층을 나타내는 바, 그 베이스층(10)으로는 대표적으로 면직물에 의해 형성되지만, 예컨대 유해성분의 제거를 위한 가공이 실시된 천연/인조 피혁이라든지 유연성 합성수지, 무독성 실리콘고무로 대표되는 고무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참조부호 12는 상기 베이스층(10)상에 비접착방식으로 일체화되어 신발내부의 조습작용, 탈취작용, 음이온방출작용 및/또는 원적외선방사작용을 행하도록 형성되는 신발창본체층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일예에 따르면, 상기 신발창본체층(12)은 예컨대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원료에다 참숯에 비해 기공(氣孔)의 크기가 작은 대략 100메쉬 이상의 미세한 왕겨숯 분말이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층(10)상에 발포가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한 방식에 의하면, 참숯알갱이가 제한된 수로 신발창에 붙박아지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상기 미세한 왕겨숯 분말이 수지원료에 혼합된 상태에서 발포가 실행되기 때문에 그 왕겨숯 분말이 폴리우레탄의 전체 셀에 고르게 분포되고, 그에 따라 신발내에서 해당하는 신발창에 의해 숯 고유의 조습작용과 탈취작용, 음이온방출작용이 만족할만하게 달성됨과 더불어 항균작용도 달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신발창본체층(12)의 형성을 위해 왕겨숯을 적용하는 대신에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대략 100메쉬 이상의 화산재(특히, 제주도 화산재로서 일명 '송이')분말을 적용하여 상기 왕겨숯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지원료에 혼합해서 발포되도록 해도 되는 바, 그 화산재 분말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수분흡수작용과 원적외선방사작용 및 항균작용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지원료에 왕겨숯과 화산재 분말이 적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발포되도록 해서 상기 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왕겨숯과 화산재 고유의 조습작용과 탈취작용, 음이온방출작용, 원적외선방사작용 및 항균작용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왕겨숯 또는/및 화산재에 의해 상기 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원료에 천연향료라든지 향수원료 등의 방향제를 적당한 양으로 첨 가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되고, 그 경우에는 왕겨숯 또는 화산재의 기공내에 방향제가 포집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해당하는 신발중창에 의해 신발내의 방향작용도 달성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은 대표적으로 면직물로 제조되는 베이스층(10)에 제 1신발창본체층(12)과 제 2신발창본체층(14)이 적층되어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되는 바, 상기 제 1신발창본체층(12)은 상기한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미세한 화산재 분말이 수지원료에 혼합된 상태에서 발포(발포두께는 대략 0.2㎜∼2㎜, 그 두께는 신발의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 2신발창본체층(14)은 그 제 1신발창본체층(14)상에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미세한 왕겨숯 분말이 수지원료에 혼합된 상태에서 발포(발포두께는 대략 1㎜∼5㎜, 그 두께는 신발의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본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상기 제 1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하는 화산재 분말과 상기 제 2신발창본체층(14)을 형성하는 왕겨숯 분말에 의해 신발내의 조습, 탈취, 음이온방출, 수분흡수, 원적외선방사의 작용이 제공된다.
또, 본 제 2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신발창본체층(12,14)을 형성하는 화산재 및 왕겨숯 분말의 발포과정에 천연향료 또는 향수원료를 적정량 첨가함으로써 신발내에서의 방향작용이 달성되도록 해도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신발창본체층(12,14)을 형성하기 위해 제 1신 발창본체층(12)에는 왕겨숯 분말의 혼합발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제 2신발창본체층(14)에는 화산재 분말이 혼합발포되도록 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제 3실시예의 신발창은 제 1 내지 제 3신발창본체층(12,14,16)으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층(10)에 대해 상기한 제 2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신발창본체층(12,14)을 형성하고나서, 그 제 2신발창본체층(14)상에다 상기 제 1신발창본체층(12)이 화산재 분말 또는 왕겨숯 분말의 혼합 발포에 의해 제조된 경우 왕겨숯 분말 또는 화산재 분말이 혼합된 상태에서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제 3신발창본체층(16)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 신발내에서의 방향작용을 위해 상기 제 1∼제 3신발창본체층(12,14,16)의 혼합 발포시에 천연향료 또는 향수원료가 더 첨가되도록 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은 베이스층(10)의 일면에 왕겨숯에 의한 제 1신발창본체층(1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면에 화산재에 의한 제 2신발창본체층(16)이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본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상기 베이스층(10)의 일면에 상기 왕겨숯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발포시켜 상기 제 1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층(10)의 타면에 상기 화산재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발포시켜 상기 제 2신발창본체층(16)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본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의 경우에도 상기 제 1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하기 위해 왕겨숯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와 상기 제 2신발창본체층(16)을 형성하기 위해 화산재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에다 각기 동일한 방향제 또는 상호 다른 방향제를 혼입시킨 상태에서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중창에서의 방향기능이 보장된다.
도 5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으로, 상측의 제 1금형(30a)과 하측의 제 2금형(30b)의 사이에 형성된 발포실 내부에는 베이스층(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하기 위한 왕겨숯 또는 화산재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가 원료공급노즐(40)을 통해 주입되어 발포되고,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이 형성된다.
도 5b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금형(30a)과 제 2금형(30b)의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실 내부에 베이스층(10)을 재치시키고나서 1차적으로 제 1원료공급노즐(40a)을 통해 제 1신발창본체층(12)을 형성하기 위한 화산재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주입하여 발포되도록 하고나서 제 2원료공급노즐(40b)을 통해 왕겨숯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주입하여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이 제조된다.
또, 도 5b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제조도 가능하게 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금형(30a,30b)사이의 발포실 내에 상기 베이스층(10)을 배치하고나서 상기한 제 2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신발창본체층(12,14)을 형성하고나서, 그 제 2신발창본체층(14)상에다 상기 제 1신발창본체층(12)이 화산재 분말 또는 왕겨숯 분말의 혼합 발포에 의해 제조된 경우 제 2원료공급노즐(40b)로부터 왕겨숯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공급하거나 제 1원료공급노즐(40a)로부터 화산재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제 3신발창본체층(16)이 형성된다.
도 5c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금형(30a)과 제 2금형(30b)의 사이에 형성된 발포실 내에서 중간위치에 상기 베이스층(10)을 배치하고나서 그 베이스층(10)의 일면에는 제 1원료공급노즐(40a)로부터 왕겨숯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발포되도록 하고나서 그 베이스층(10)의 타면에는 화산재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발포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이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화산재분말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다른 적정한 재료(예컨대 황토 등)로 대체해도 무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베이스층 을 중심으로 일면 또는 타면에 왕겨숯 분말 및/또는 화산재 분말이 혼합된 수지원료(바람직하게는 우레탄수지)를 공급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신발창에 대한 다양한 기능(예컨대 조습기능, 탈취기능, 항균기능, 원적외선/음이온방출기능 등)이 부가되어진다.
또, 그 발포과정에서 향료를 첨가하면 해당하는 신발창에서 유쾌한 방향기능도 부여된다.

Claims (7)

  1. 신발의 제조에 적용되는 신발창에 있어서,
    베이스층상에는 왕겨숯 분말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수지원료를 발포하여 형성된 신발창본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에 형성된 상기 신발창본체층 상측에는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적층되고, 그 제 2의 신발창본체층 상측에는 제 3의 신발창본체층이 선택적으로 더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된 베이스층의 반대편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4.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신발창제조방법에 있어서,
    발포실 내부에 베이스층을 배치하고 그 베이스층 상측에 왕겨숯이 혼합된 폴리우레탄 수지원료를 공급하여 발포시켜 신발창본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측에 신발창본체층이 발포형성되고나서 그 신발창본체층 상측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을 발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신발창본체층상에 제 3의 신발창본체층을 발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제조방법.
  7. 제 4항과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본체층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층의 반대편에 제 2의 신발창본체층을 발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20050041468A 2005-05-18 2005-05-18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KR20060118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468A KR20060118989A (ko) 2005-05-18 2005-05-18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468A KR20060118989A (ko) 2005-05-18 2005-05-18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989A true KR20060118989A (ko) 2006-11-24

Family

ID=3770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468A KR20060118989A (ko) 2005-05-18 2005-05-18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9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75B1 (ko) * 2007-03-30 2008-04-18 전규원 미분말 고무가 확산된 폴리우레탄 신발창
CN102875766A (zh) * 2012-09-24 2013-01-16 吴江市信许塑料鞋用配套有限公司 一种吸震鞋底材料的制备方法
CN102898618A (zh) * 2012-09-24 2013-01-30 吴江市信许塑料鞋用配套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材料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75B1 (ko) * 2007-03-30 2008-04-18 전규원 미분말 고무가 확산된 폴리우레탄 신발창
CN102875766A (zh) * 2012-09-24 2013-01-16 吴江市信许塑料鞋用配套有限公司 一种吸震鞋底材料的制备方法
CN102898618A (zh) * 2012-09-24 2013-01-30 吴江市信许塑料鞋用配套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材料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8846A1 (en) Insole with improved internal air circulation
KR100919137B1 (ko) 신발의 인솔
JP2016516542A (ja) 発泡体インサートを有する二材料の靴底
KR20060118989A (ko)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
KR200467023Y1 (ko) 그라파이트가 함유된 건강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002389B1 (ko) 항균 신발 깔창
KR20140123691A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신발용 쿠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5306B1 (ko) 신발창
CN207639742U (zh) 蚕丝鞋垫
KR101123748B1 (ko) 탄성 자극칩을 갖는 신발 깔창
KR20110012610A (ko) 신발 깔창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31363A (ko) 무좀치료 및 예방용 발가락 보호대
KR100494108B1 (ko) 다공성 숯라텍스 스폰지 신발창 제조방법 및 다공성숯라텍스 스폰지 신발창
KR102184494B1 (ko) 신발용 보조깔창
KR200392879Y1 (ko) 냉매가 함유된 신발안창
KR200465680Y1 (ko) 신발 깔창
TWM641406U (zh) 具除臭及精準足底刺激功能的鞋墊
KR101051640B1 (ko)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
JPH11103904A (ja) 履物用インソール
KR100437737B1 (ko) 강제 통풍식 신발 깔창
KR101068823B1 (ko)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0352363Y1 (ko) 기능성 신발깔창
KR200172246Y1 (ko) 안창에 숯가루를 갖는 신발
KR20080066116A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KR20140010763A (ko)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