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998A - 데이터의 기록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기록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998A
KR20060117998A KR1020067016578A KR20067016578A KR20060117998A KR 20060117998 A KR20060117998 A KR 20060117998A KR 1020067016578 A KR1020067016578 A KR 1020067016578A KR 20067016578 A KR20067016578 A KR 20067016578A KR 20060117998 A KR20060117998 A KR 2006011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file
data
recording
str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760B1 (ko
Inventor
사또시 이또이
노리아끼 사까이
마사히로 나까시까
야스후미 쯔마가리
신이찌 기꾸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Abstract

제1 파일(401)에는, 관리 데이터(404)가 포함되어 있다. 참조 부호 404에는, 제2 파일(403)을 구성하는 복수의 트랜스포트 스트림(406 및 407)에 관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제3 파일(402)에는, 한 쪽의 트랜스포트 스트림(406)의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 데이터(405)만이 포함되어 있고, 다른 쪽의 트랜스포트 스트림(407)에 관한 타임 맵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구성에서는, 멀티 스트림 데이터, 멀티 채널 데이터, 또는 풀 TS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407)으로서 기록된다. 이에 의해, DVD 등의 비디오 레코더에서, 멀티 스트림 기록, 또는 멀티 채널 기록 풀 TS 기록을 용이하게 실현한다.
데이터 기록, 제이터 재생, 관리 데이터, 타임 맵 데이터, 트랜스포트 스트림

Description

데이터의 기록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DATA RECORDING METHOD, DATA REPRODUC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DVD 컴포넌트형 비디오 레코더, DVD 비디오 레코더, DVD 스트림 레코더, 하드 디스크 비디오 레코더 등의 기록 장치에서의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록 재생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DVD(Digital Versatile Disc)에서의 비디오, 스트림 관련 어플리케이션 포맷은, DVD-Forum에서, 재생 전용의 DVD-Video, 기록 재생과 편집이 용이한 DVD-VR(Video Recording), 방송 또는 전송 스트림을 직접 기록 재생이 용이한 DVD-SR(Stream Recording) 포맷이 규격화되어 있다.
DVD-Video는, 영화 등 미리 콘텐츠가 기록된 디스크 재생 전용 포맷으로서, 홈시어터를 메인 타깃으로 하고 있다. DVD-VR은, 아날로그 비디오를 디지털화하여, MPEG-2 인코더하여 기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 포맷으로서, 아날로그 방송 기록과 비디오 카메라를 메인 타킷으로 하고 있다. DVD-SR은, MPEG 스트림으로서 보내져 온 데이터를 기본적으로는 그대로 기록하는 포맷으로서, 디지털 방송의 다이렉트 기록을 메인 타깃으로 하고 있다. 현재, DVD-Video는 상품으로서 전 세 계에 보급되고, DVD-VR도 대폭적으로 계속 보급되고 있지만, DVD-SR은 상품화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 DVD-VR에 의해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하는 경우, 통상은 1채널만의 기록을 행하고 있었다. 즉, 1개의 채널(예를 들면, NTV(4채널))만의 기록, 또는 다른 채널(예를 들면, TBS(6채널))만의 기록을 행하고 있었다. DVD-Video는 재생 전용 포맷이지만, 기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DVD-Video에 의해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하는 경우에도, 통상은 1채널만의 기록을 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기록하는 멀티 채널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이 일본 특개 2001-67802호에 기록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복수의 채널에 걸친 화상, 음성, 및 데이터 등을 DVD에 동시적으로 기록하는 요구에 대하여, DVD-SR에 의해 디지털 방송을 다이렉트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에서는 1개의 방송파가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맷으로서는 복수 스트림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록 방법에 의해 복수 채널 동시 기록을 행하고자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DVD-VR, 또는 DVD-Video로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하는 경우, 2채널 이상의 비디오 오디오를 동시에 기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서로 상이한 채널(예를 들면, NTV와 TBS)을 동시에 기록하고자 하면, NTV를 인코드한 스트림을 1초분 A영역 에 기록하고, 그 후 TBS를 인코드한 스트림을 1초분 B영역에 기록하고, 이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록 방식에서는, 시크가 번잡하게 발생하고, 또한 부분적으로 매체 에러레이트가 악화된 경우, 기록 에러로 되는 경우도 있다. 기록 에러는 재생 에러와 달리, 리트라이가 곤란하여, 무리하게 재기록하고자 하면 지연이 더욱 축적되어 기록 파탄 상태로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3채널 기록, 4채널 기록으로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실현 곤란성이 증가한다.
한편, 복수 채널에서 상관을 갖는 프로그램이 방송될 가능성도 고려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축구 중계를, 한 쪽의 채널(예를 들면, NTV)은 프런트 스탠드로부터, 다른 채널(예를 들면, TBS)은 골 네트 뒤쪽으로부터 방송하는 프로그램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들을 동시에 기록하고자 하였을 때, 재생 시에 양 채널(이 경우, NTV와 TBS)을 고속으로 동기시켜, 절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고속 동기 및 절환은 매우 어렵다.
또한, DVD-SR에 의해 디지털 방송을 다이렉트로 멀티 스트림 기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경우, 기록 후에 기록 스트림의 내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스트림을 판독하여 내용을 해석해야만, 멀티 스트림인 것, 멀티 스트림 중인 각 채널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위치, 기록 시각, 상관 관계에 관하여, 유저는 알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서로 상이한 2개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규정된 데이터 길이 단위로 교대로 디스크 형상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제어에 의해, 복수의 채널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 허 문헌 1에 기재된 기록 방법에서도, 기록 시의 처리가 복잡하게 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채널의 동시 기록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채널의 동시 기록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 채널을 동시 기록할 때,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을 복수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타임 맵을 발생시키지 않는 스트림을 의도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복수 채널의 동시 기록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이, 제2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이 얻어진다.
또한,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종류(n≥2)의 스트림이 제2 파일에 기록되고, 제2 파일에 기록된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종류의 스트림이, 제1 스트림이 제2 파일에, 제2 스트림이 제3 파일에, 이하 마찬가지로 진행되어, 제n 스트림이 제(n+1) 파일에 각각 기록되고,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 종류의 스트림이, 제2 파일∼제(m+1)(단 m≥2) 파일에 기록되고,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단, k≥1, k≥n-1) 스트림, 타입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여, 제1∼k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3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n=2, k=1로 하여,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여, 제1∼k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n+2)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여, 제1∼k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m+2)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PMT(Program Map Table)를 갖는 파샬 TS(Transport Stream)를 제1 스트림, 그 이외의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스트림은 적어도 1PMT 파샬 TS이고, 1PMT 파샬 TS라도,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은 제2 스트림으로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 구성된 1개의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부터 1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을 재구성하고, 상기 스트림을 제1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은, 상이한 채널의 파샬 T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은, 풀 T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각 정보가 기술된 스트림을 제1 스트림, 시각 정보가 기술되지 않은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각 정보가 PTS(Presentation Time Stam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스트림 모두, 스트림 포맷이 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스트림 모두,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의 내용이 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트림 포맷이 불분명한 스트림이, 그 외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의 내용이 불분명한 스트림이, 그 외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적형 방송에 의해 방송된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 데이터의 내용이, 스트림 포맷 식별 정보, 1PMT의 파샬 TS인지 다른 TS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PMT 수, 다른 TS에서의 다중화 채널 수, TS 포맷 구성 정보, 및, 각 채널마다, 방송국 정보,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애니메이션 데이터 압축 방식, 타임 맵이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시각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통상 방송 스트림인지 축적형 방송 스트림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중 전부 또는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비디오인지 H.264 비디오인지 Windows(등록 상표) Media 비디오인지의 종별,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오디오인지 Dolby 오디오인지 DTS 오디오인지의 종별,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JPEG인지 PNG인지의 종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록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또는 상기 기록 방법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록 방법으로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구체적인 구조의 예로서, 방송 스트림을 기록하는 파일에는, 프로그램마다 ESOB(Extended Stream Object)가 1개 이상 기록되고, ESOB는 1개 이상의 ESOBU(0.4∼1s 이내의 Unit: Extended Stream Object Unit)로 구성되고, ESOBU는, 1개 이상의 Packet Group(TS Packet을 일정 개수 모은 그룹)으로 구성되고, Packet Group은 Packet Group Header와, 그 Header의 뒤에, 각 TS Packet과 상기 TS Packet의 도착 시간인 PATS(Packet Arrival Time Stamp)를 1조로 한 일정 수(170 조)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타임 맵이란, 미리 정해진 포맷을 갖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DVD-VR 포맷으로 규정되는 데이터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에서의 포맷을 갖지 않은 스트림은, DVD-VR 포맷으로 규정되는 데이터를 갖지 않은 스트림이라고 정의할 수 잇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전술한 DVD-VR의 규정에 의한 타임 맵은, DVD-Forum으로부터 발행되어 있는 “DVD Specifications for Rewritable/Rerecordable Discs Part 3 VIDEO RECORDING Version 1.0”의 VR4-3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즉, 타임 맵은, 적어도 이하의 데이터, 혹은 이하의 데이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어야만 한다.
1. 1STREF_SZ: 1 이상의 정수의 GOP(Group of Pictures)를 VOBU(Video Object) 또는 ESOBU라고 하였을 때, VOBU 또는 ESOBU에서의 제1 레퍼런스 픽처, 즉, I 픽처의 사이즈를 패킷 그룹 수 또는 섹터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2. VOBU_PB_TM(SOBU_PB_TM): 해당 VOBU(ESOBU)가 재생 표시되어 있는 시간을 비디오 필드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3. VOBU_SZ(SOBU_SZ): 해당 VOBU(ESOBU)가 기록되어 있는 사이즈를 패킷 그룹 수 또는 섹터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이러한 점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중 1개라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스트림은,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이라고 부를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서의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은, 실제로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뿐만 아니라, 상기 DVD-Forum으로 규정된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도 포함하고 있다. 즉, DVD-Forum으로 규정된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에는,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및/또는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도 포함된다.
또한, 별도의 예로서, 타임 맵의 정의는, 재생 표시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로 한 경우, 이 정의에 맞는 테이블을 갖고 있지 않는 스트림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에는 해당하지 않고,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은 타임 맵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관리 정보용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ESOB)이, 제2 이후의 파일(Stream Object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ESOB)을 제1∼k(단, k≥1, k≥n-1) 스트림으로 하였을 때, 이들 스트림이 제2 이후의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이라고 하였을 때, 이들 스트림이 또 다른 1 또는 복수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로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 또는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PATS)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또는 시각(표시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이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이 얻어진다.
이 경우,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일정한 스트림마다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스트림을,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이거나,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이거나, 타임 맵 및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모두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이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여도 된다.
상기한 플래그는 제1 파일에 기록되어도 된다.
또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또는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이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여도 된다.
또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일정한 스트림마다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스트림을,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이거나, 타임 맵 및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모두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이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여도 된다.
상기한 플래그는 제1 파일에 기록되어도 된다.
또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 또 는 테이블이, 별도의 파일에 기록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또는 상기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 블록도로서, 여기에서는, 기록계를 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 블록도로서, 여기에서는 재생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른 파일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파일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PMT 다중화 스트림의 발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PMT 다중화 스트림의 발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풀 TS 다중화 스트림의 발생 처리를 도시한 블록도.
도 11a는 DVD_HDVR 파일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b는 DVD_HDVR 파일 구성의 다른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이 제2 이후의 파일에 기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이 제2 파일 이후의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이 또 다른 파일에 기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 멀티 채널 비디오 오디오 기록을 실현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의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에서는, 멀티 채널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를, HDD 또는 DVD 비디오 레코더에 기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장치에는, 입력 신호(101)로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가 부여되고, 여기에서는, 복수 채널 입력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어 신호(102)가 입력한다. 제어 신호(102)는, 다중화하는 채널 넘버와 다중화 방법을 지정하는 유저 오퍼레이션 데이터이다.
입력 신호(101)를 받은 튜너(103)는, 각각 멀티 채널 파샬 TS를 출력하고, 선택 블록(104)에 의해 필요한 채널이 선택된다. 또는, 튜너(103)는 풀 TS를 출력하고, 출력된 풀 TS를 선택 블록(104)에 의해 선택하여도 된다.
선택 블록(104)에 의해 선택된 각 파샬 TS 또는 풀 TS 스트림은, 통합 블록(105)에 입력한다. 통합 블록(105)에서는, 지정된 채널의 파샬 TS를 복수 PMT로 다중 통합화한다. 또는, 통합 블록(105)은 지정된 채널의 파샬 TS를 1PMT로 다중 통합화한다. 지정은 블록(109)의 제어 하에서 행해진다.
통합 블록(105)에 의해 다중 통합화된 데이터는, 기록 포맷화 블록(106)에 의해, HDD(107) 또는 DVD(108)에 대응한 포맷화가 행해진다. 포맷화는, HDD(107), DVD(108) 각각의 물리 포맷, 파일 포맷,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포맷에 따른 형태로 행해진다.
기록 포맷화 블록(106)에 의해 포맷화된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는, HDD(107) 또는 DVD(108)에, 블록(109)에 의해 지정된 파일로서 기록된다.
동시에, 제어 입력(102)은, 기록 파일 결정, 관리 데이터 발생 블록(109)에 부여되고, 기록 포맷화 블록(106)에서 기록 포맷, 기록 파일을 지정함과 함께, 다중 통합화되는 채널, 방법, 데이터에 부합한 관리 데이터를 발생하고, 전용의 관리 데이터 파일 또는 타임 맵 데이터 파일로서 HDD(107) 및 DVD(108)에 기록한다. 기록 파일 구조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HDD(107) 및 DVD(108)에 기록된 데이터는, 양자 사이에서 더빙이 행해짐과 함께, 출력(110)으로서 재생된다. 재생은 도시한 바와 같이 HDD(107)는 재생 1, DVD(108)는 재생 2로서 재생하여도 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재생 1과 재생 2를 선택하는 셀렉터를 경유한 후, 1계통으로서 재생하여도 된다.
도 2에, 멀티 채널 기록/재생된 데이터를 표시 출력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재생(201)으로부터 재생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하는 재생 신호는 도 1에 도시한 출력(110)에 상당한다.
또한, 동시에 제어 신호(202)가 입력한다. 제어 신호(202)는, 다중화된 재생 데이터를 표시 출력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유저 오퍼레이션 데이터이다.
재생 신호(201)는, 재생 포맷 해독 블록(203)에 부여되고, 해당 재생 포맷 해독 블록(203)에 의해,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의 다중화 채널, 방법, 데이터 등이 해독된다.
재생 포맷 해독 블록(203)의 출력은, MPEG 디코드 블록(204)에 의해 MPEG 압축이 디코드된다. 또한, 압축 방식은 MPEG 이외이어도 되고, MPEG 이외의 압축 스트림은, 압축된 방식으로 디코드된다.
MPEG 디코드 블록(204)의 출력은, 재생 영상 재구성 블록(205)에 의해 재구성된다. 기록된 멀티 채널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중 선택 표시되는 채널, 표시 위치 등이 지정되고, 이에 의해 재생 영상 데이터의 재구성이 행해진다.
재생 영상 재구성 블록(205)의 출력은, D/A(206)에 의해 아날로그 비디오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에는, 노이즈 리듀서, 필터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제어 신호(202)는, 관리 데이터 해독, 재생 파일 결정 블록(207)에 의해, 재생 데이터로부터 관리 데이터가 해석되고, 재생하는 파일이 결정되어, 재생 제어하 고, 재생 영상 재구성 방법이 결정되어, 재생 영상 재구성 블록(205)을 제어한다.
D/A(206)의 출력은, 출력(208)으로부터, 비디오 오디오로서 출력된다.
도 3에,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관리되고,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1개의 포맷 내용이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또한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가 기록되지 않는 스트림이, 제2 스트림에 기록되는 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301이 제1 파일, 참조 부호 302가 제2 파일이다.
제1 파일(301)에는, 관리 데이터(303)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 데이터(303)에는, 제2 파일(302)을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304)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관리 데이터(303)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파일(302)에는,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에 의해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304)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304)에 관해서는, 기록 매체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은 기록할 수 있지만,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은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파일(301), 제2 파일(302)에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관리 데이터와 개별의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복수 스트림에서의 타임 맵을 계산할 필요가 없어져, 용이하게 복수 스트림의 동시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2종류의 스트림이 제1 파일에 기록되고, 제2 파일에 기록된 2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고, 타임 맵이 제3 파일에 기록되는 예를 도시한다(이 예는, 청구항 2, 5에서의 n=2, k=1인 경우, 또는 청구항 6의 경우를 나타냄).
참조 부호 401이 제1 파일, 참조 부호 402가 제3 파일, 참조 부호 403이 제2 파일이다.
제1 파일(401)에는, 관리 데이터(404)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 데이터(404)에는 제2 파일(403)을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406 및 407)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관리 데이터(404)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파일(402)에는, 타임 맵 데이터(405)가 포함되어 있다. 타임 맵 데이터(405)는, 트랜스포트 스트림(406)의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또한, 도 4에서는, 관리 데이터(404)가 제1 파일(401)에 포함되고, 타임 맵 데이터(405)가 제3 파일(402)에 포함된다고 하고 있으나, 관리 데이터(404)와 타임 맵 데이터(405)가 양쪽 모두 제1 파일(401)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3 파일(402)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제2 파일(403)에는,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에 의해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406, 407)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406)에 관해서는, 기록 장치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을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도 기록된다. 즉,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파일(401) 중 관리 데이터(404), 또는, 타임 맵 전용의 제3 파일(402) 중에, 타임 맵 데이터(405)의 형태로 타임 맵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타임 맵은, 관리 데이터(404) 또는 타임 맵 데이터(405) 중 어느 한 쪽으로 하여 기록되어도 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407)에 관해서는, 기록 매체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은 기록할 수 있지만,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은 기록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파일(401), 제3 파일(402), 그 외의 파일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407)에 관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5에,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2종류의 스트림이, 제2 파일, 제3 파일에 각각 기록되고, 상기 2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고, 타임 맵이 제4 파일에 기록되는 예를 도시한다(본 예는, 청구항 3, 7에서의 n=2, k=1인 경우를 나타냄).
참조 부호 501이 제1 파일, 참조 부호 502가 제4 파일, 참조 부호 503이 제2 파일, 참조 부호 504가 제3 파일이다.
제1 파일(501)에는, 관리 데이터(505)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 데이터(505)에는, 제2 및 제3 파일(503 및 504)을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507 및 508)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관리 데이터(505)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 파일(502)에는, 타임 맵 데이터(506)가 포함되어 있다. 타임 맵 데이터(506)는, 트랜스포트 스트림(507)의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또한, 도 5에서는, 관리 데이터(505)가 제1 파일(501)에 포함되고, 타임 맵 데이터(506)가 제4 파일(502)에 포함된다고 하고 있으나, 관리 데이터(505)와 타임 맵 데이터(506)가 양쪽 모두 제1 파일(50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4 파일(502)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제2 및 제3 파일(503, 504)에는, 각각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에 의해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507, 508)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507)에 관해서는, 기록 장치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을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도 기록된다. 즉, 제1 파일(501) 중 관리 데이터(505), 또는 타임 맵 전용의 제4 파일(502) 중 타임 맵 데이터(506)로서 타임 맵이 기록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508)에 관해서는, 기록 매체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은 기록할 수 있지만,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은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파일(501), 제4 파일(502), 그 외의 파일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508)에 관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종류(단 n≥2)의 스트림이, 제2 파일∼제(m+1)(단 m≥2) 파일에 기록되고, 상기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고, 타임 맵이 제4 파일에 기록되는 경우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2종류의 스트림이 제2 파일, 다른 2종류의 스트림이 제3 파일에 각각 배치될 때에는, 도 5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1과 트랜스포트 스트림 2가 제2 파일(503), 트랜스포트 스트림 3과 트랜스포트 스트림 4가 제3 파일(504)에 각각 배치되는 형태로 하면 된다(청구항 4, 8에서의 n=4, m=2인 경우를 나타냄).
여기에서, k=2의 경우, 타임 맵은 2종류의 스트림에 관하여 작성되기 때문 에, 예를 들면, 제2 파일(503)에 포함되는 스트림 1, 2에 관하여 작성되고, 제3 파일(504)에 포함되는 스트림 3, 4에 관하여 작성되지 않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k=1의 경우, 타임 맵은 1종류의 스트림에 관하여 작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파일(503)에 포함되는 스트림 1에 관하여 작성되고, 제2 파일(503)에 포함되는 스트림 2, 및 제3 파일(504)에 포함되는 스트림 3, 4에 관하여 작성되지 않는 것으로 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림의 종류에 부합하여 파일의 수는, 파일 제어의 용이성 및 편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 도 4에서 포맷 내용이 불분명한 스트림이, 제4 파일에 기록되는 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601이 제1 파일, 참조 부호 602가 제3 파일, 참조 부호 603이 제2 파일, 참조 부호 604가 제4 파일이다.
제1 파일(601)에는, 관리 데이터(605)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 데이터(605)에는, 제2 파일(603) 및 제4 파일(604)을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607, 608 및 609)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609)은 포맷 내용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모든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관리 데이터(605)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파일(602)에는, 타임 맵 데이터(606)가 포함되어 있다. 타임 맵 데이터(606)는, 트랜스포트 스트림(607)의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또한, 도 6에서는, 관리 데이터(605)가 제1 파일(601)에 포함되고, 타임 맵 데이터 (606)가 제3 파일(602)에 포함된다고 하고 있으나, 관리 데이터(605)와 타임 맵 데이터(606)가 양쪽 모두 제1 파일(60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3 파일(602)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제2 파일(603)에는,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에 의해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607, 608)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607)에 관해서는, 기록 매체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을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도 기록된다. 즉, 제1 파일(601) 중 관리 데이터(605), 또는 타임 맵 전용의 제3 파일(602) 중 타임 맵 데이터(606)로서, 타임 맵이 기록된다. 타임 맵은, 관리 데이터(605) 또는 타임 맵 데이터(606)의 어느 한 쪽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608)에 관해서는, 기록 장치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은 기록할 수 있지만,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은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파일(601), 제3 파일(602), 그 외의 파일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608)에 관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4 파일(604)에는, 포맷 내용이 불분명한 프라이빗 데이터(609)가 포함된다. 이는, 예를 들면 방송국이 불분명한 방송 데이터, 방송 이외의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관리 데이터(605)에는, 프라이빗 데이터(609)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판명되어 있는 것만 기록하면 되고,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 파일(601), 제3 파일(602), 제2 파일(603)에서, 참조 부호 609에 관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방송국이 불분명한 방송 데이터, 방송 이외의 데이터 등의 프라이빗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도 7에, 도 6에서 포맷 내용이 불분명한 스트림이, 제5 파일에 기록되는 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701이 제1 파일, 참조 부호 702가 제4 파일, 참조 부호 703이 제2 파일, 참조 부호 704가 제3 파일, 참조 부호 705가 제5 파일이다.
제1 파일(701)에는, 관리 데이터(706)가 포함되어 있다. 관리 데이터(706)에는, 제2 파일(703) 및 제3 파일(704) 및 제5 파일(705)을 구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708, 709) 및 프라이빗 데이터(710)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프라이빗 데이터(710)는 포맷 내용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모든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아무것도 기록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관리 데이터(706)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 파일(702)에는, 타임 맵 데이터(707)가 포함되어 있다. 타임 맵 데이터(707)는, 트랜스포트 스트림(708)의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다. 또한, 도 7에서는, 관리 데이터(706)가 제1 파일(701)에 포함되고, 타임 맵 데이터(707)가 제4 파일(602)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관리 데이터(706)와 타임 맵 데이터(707)가 양쪽 모두 제1 파일(701)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4 파일(702)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제2, 제3 파일(703, 704)에는,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에 의해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708, 709)이 포함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708)에 관해서 는, 기록 매체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을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도 기록된다. 즉, 제1 파일(701) 중 관리 데이터(706), 또는 타임 맵 전용의 제4 파일(702) 중 타임 맵 데이터(707)로서, 타임 맵이 기록된다. 타임 맵은, 관리 데이터(706) 또는 타임 맵 데이터(707) 중 어느 한 쪽으로 하여 기록되어도 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709)에 관해서는, 기록 장치로서, 방송국명, 영상 부호화 포맷, 음성 부호화 포맷은 기록할 수 있지만,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은 기록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1 파일(701), 제4 파일(702), 그 외의 파일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709)에 관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5 파일(705)에는, 포맷 내용이 불분명한 프라이빗 데이터(710)가 포함된다. 이는, 예를 들면 방송국이 불분명한 방송 데이터, 방송 이외의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관리 데이터(706)에는, 프라이빗 데이터(710)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판명되어 있는 것만 기록하면 되고,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1 파일(701), 제4 파일(702), 제2 파일(703), 제3 파일(704)에서, 프라이빗 데이터(710)에 관한 타임 맵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 6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이후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인 도 4의 406, 도 5의 507, 도 6의 607, 또는 도 7의 708을,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으로 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도 3의 304, 도 4의 407, 도 5의 508, 도 6의 608, 또는 도 7의 709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으로서 예시한다.
1PMT(Program Map Table)를 갖는 파샬 TS(Transport Stream)를,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인 도 4의 406, 도 5의 507, 도 6의 607, 또는 도 7의 708에 기록하고, 그 이외의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도 3의 304, 도 4의 407, 도 5의 508, 도 6의 608, 또는 도 7의 709에 기록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PMT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이라고 부르고, 방송된 스트림 등에서, 1개의 서비스 중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데이터 방송 데이터, 자막 데이터 등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통상은 1개의 서비스에서 1개의 PMT를 갖지만, 금후의 새로운 방송에서는, 복수의 PMT를 갖는 프로그램도 고려된다.
제1 스트림은 적어도 1PMT 파샬 TS인 것이 필요하지만, 제2 스트림에 관해서는, 1PMT 파샬 TS가 아니어도 된다. 1PMT 파샬 TS인 경우, 타임 맵을 갖지 않는다.
제2 스트림으로서 기록된 타임 맵을 갖지 않는 1PMT 파샬 TS는, 나중에 타임 맵이 계산되고, 타임 맵을 갖는 제1 스트림으로서, 재정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트림은 재기록되지 않아도 되고, 관리 데이터만이 고쳐쓰기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1PMT의 파샬 TS를 제1 스트림, 다른 TS를 제2 스트림으로 하였을 때, 제1 및 제2 스트림이 제2 파일에 기록되고, 제2 파일에 기록된 2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여, 제1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3 파일에 기록하고 있다. 이 경우, 관리 데이터는, 스트림 포맷 식별 정보, 1PMT의 파샬 TS인지 다른 TS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PMT 수, 다른 TS에서의 다중화 채널 수, TS 포맷 구성 정보, 및, 각 채널마다, 방송국 정보,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애니메이션 데이터 압축 방식, 타임 맵이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시각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통상 방송 스트림인지 축적형 방송 스트림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냄으로써, 1PMT의 파샬 TS를 제1 스트림에 타임 맵 첨부로, 다채널 파샬 TS, 또는 풀 TS를 제2 스트림에 타임 맵 없이 용이하게 기록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에,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 구성된 1개의 스트림을, 1파일에 기록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101)으로부터 튜너(103)을 경유하고, 예를 들면 각 1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부터, 파샬 스트림 추출 블록(801)에 의해 3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을 추출하고, 다중화 블록(802)에 의해 다중화하고, 다중화 스트림(803)을 발생하면, 다중화 스트림(803)에는 상이한 3채널의 데이터가 다중화되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이한 PMT를 갖는 복수의 방송국(예를 들면, NTV, TBS, 후지 TV)에 의해 방송된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3개의 PMT를 갖는 다중화 스트림(803)을 구성하는 이미지로 된다.
이와 같은 복수 채널이 다중화된 다중화 스트림(803)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도 3의 304, 도 4의 407, 도 5의 508, 도 6의 608, 또는 도 7의 709에 기록하 여도 된다.
도 9에,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프로그램 맵 테이블)를 갖는 스트림으로 구성된 1개의 스트림을, 1파일에 기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101)으로부터 튜너(103)를 경유하고, 예를 들면 1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부터, 파샬 스트림 추출 블록(901)에 의해 3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을 추출, 다중화·1PMT화 블록(902)에 의해 다중화·1PMT화하고, 다중화 스트림(903)을 발생하면, 다중화 스트림(903)에는 상이한 3채널의 데이터가 1PMT로서 다중화되게 된다. 이는, 상이한 PMT를 갖는 복수의 방속국(예를 들면, 일본 TV, TBS, 후지 TV)에 의해 방송된 스트림을 다중화하고, 또한 1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903)을 구성하는 이미지로 된다.
이와 같은 복수 채널이 다중화된 스트림(903)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인 도 4의 406, 도 5의 507, 도 6의 607, 또는 도 7의 708에 기록하여도 된다.
그런데, 도 8, 도 9에 도시한 스트림은, 복수 채널의 파샬 TS이어도 된다.
또는, 도 8, 도 9에 도시한 스트림은, 풀 TS이어도 된다.
도 10에 풀 TS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101)으로부터 튜너(103)를 경유하고, 풀 TS 추출 블록(1001)에 의해 풀 TS를 추출하고, 다중화 스트림(1002)을 발생한다.
여기에서, 풀 TS란, 예를 들면, BS 디지털 방송에서는 1방송파인 1트랜스폰더가 2개의 풀 TS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풀 TS란, 1개의 통상 방송의 방송국과 복수의 데이터 방송 또는 오디오 방송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방송파를 1개의 TS로 통합한 스트림이다.
즉, 풀 TS는, 예를 들면 상이한 PMT를 갖는 BS 일본, BS 후지, 독립 데이터 방송에 의해 방송된 다중화 스트림의 이미지로 된다.
이와 같은 풀 TS 스트림(1002)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도 3의 304, 도 4의 407, 도 5의 508, 도 6의 608, 또는 도 7의 709에 기록하여도 된다.
또한, 관리 데이터 중에 시각 정보가 기술된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인 도 4의 406, 도 5의 507, 도 6의 607, 또는 도 7의 708에 기록하여도 된다.
관리 데이터 중에 시각 정보가 기술되지 않은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도 3의 304, 도 4의 407, 도 5의 508, 도 6의 608, 또는 도 7의 709에 기록하여도 된다.
상기 시각 정보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로 규정된 PTS(Presentation Time Stamp)이어도 된다.
상기 PTS는, SOB(Stream Object) 개시 PTS, SOB 최후 PTS, CELL 개시 PTS, CELL 최종 PTS 중, 전부 또는 일부로 한다. 여기에서, SOB는 스트림을 1회 기록할 때마다 1개 발생하는 기록 단위이다. 또한, CELL은 SOB를 미리 결정된 시간, 또는 유저 지정에 의해 분할 또는 참조하는 단위이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1, 트랜스포트 스트림 2 모두, 스트림 포맷이 기지이어야만 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Stream Format(스트림 포맷)이란, Application format(어플리케이션 포맷)과 Country code(국가 코드)의 양쪽 또는 한 쪽을 나타낸다. Application fromat은, 방송 방식이 일본의 디지털 방송(ARIB) 포맷 또는 미국의 ATSC 포맷 또는 유럽의 DVB 포맷 등의 어느 포맷에 속하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Country code는 데이터가 기록된 국가의 코드를 나타낸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1, 트랜스포트 스트림 2 모두,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의 내용이 기지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1, 트랜스포트 스트림 2 모두, 일본의 디지털 방송으로 규정된 포맷인 것을 알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의 609, 도 7의 710의 프라이빗 데이터에 관해서는, 스트림 포맷이 불분명하여도 된다.
또한, 도 6의 609, 도 7의 710의 프라이빗 데이터에 관해서는,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의 내용이 불분명하여도 된다.
그런데,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도 3의 304, 도 4의 407, 도 5의 508, 도 6의 608, 도 7의 709, 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인, 도 4의 406, 도 5의 507, 도 6의 607, 도 7의 708은, 축적형 방송에 의해 방송된 스트림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축적형 방송이란, 통상의 방송에서 방송 비트레이트에 여유가 있을 때, 여유분에 의해 저 비트레이트로 방송을 행하고, 또는 심야 등 통상의 방송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 방송을 행하고, 방송된 신호는 홈 서버에 축적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시청 시에, 축적된 비트 스트림이 통상 속도로 일거에 재생되는 것이다.
제2 스트림으로서 기록된 축적형 방송 데이터는, 나중에 타임 맵이 계산되고, 타임 맵을 갖는 제1 스트림으로서, 재정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트림은 재 기록되지 않아도 되고, 관리 데이터만 고쳐쓰기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의 303, 도 4에서의 404, 도 5에서의 505, 도 6에서의 605, 도 7에서의 706에 나타내는, 관리 데이터에 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관리 데이터에는,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스트림 포맷 식별 정보, 1PMT의 파샬 TS인지 다른 TS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PMT 수, 다른 TS에서의 다중화 채널 수, TS 포맷 구성 정보, 및, 각 채널마다, 방송국 정보,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애니메이션 데이터 압축 방식, 타임 맵이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시각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통상 방송 스트림인지 축적형 방송 스트림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중 전부 또는 일부를 배치한다.
또한, 그 중에서,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비디오인지 H.264 비디오인지 Windows(등록 상표) Media 비디오인지의 종별,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오디오인지 Dolby 오디오인지 DTS 오디오인지의 종별,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JPEG인지 PNG인지의 종별을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면, 이하와 같이 된다.
파일 구성을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전체의 파일명을 DVD_HDVR이라고 하였다.
DVD_HDVR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HR_MANGR.IFO 파일, HR_STMAP.IFO 파일, HR_STRMx.SR0 파일, HR_EXTBC.DAT 파일 등의 파일로 구성된다. 이들 파일은 존재하지 않아도 되고, HR_MANGR.BUP라는 백 업 파일을 비롯한 다른 파일이 존재하여도 된다.
도 3에서의 303, 도 4에서의 404, 도 5에서의 505, 도 6에서의 605, 도 7에서의 706로 나타내는 관리 데이터는, HR_MANGR.IFO 파일에 상당한다.
HR_MANGR.IFO는, Stream File Information Tables(STM_AVFIT), 그 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Stream File Information Tables(STM_AVFIT)은, SOB Stream Information #1∼SOB
Stream Information #n, 그 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SOB Stream Information은 1회 기록이 행해질 때마다 1개씩 발생한다.
SOB Stream Information은, STM_ATR(Stream Attribute), 그 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STM_ATR에는, 이하의 플래그, 데이터가 포함된다.
·Stream format
*Application format
000일 때, 일본의 디지털 방송(ARIB) 포맷
001일 때, 미국의 ATSC 포맷
010일 때, 유럽의 DVB 포맷
그 외일 때, 보류
*Country code: 데이터가 기록된 국가의 코드
·TS flag: SOB(Stream Object)가, 1PTM의 파샬 TS로 구성되어 있는지, 그 외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는지.
00일 때, 1PMT 파샬 TS
01일 때, 다른 TS(예를 들면 멀티 채널 TS)
11일 때, 보류
·PMT number: PMT 넘버, PMT 수
SOB가, 몇 개의 PMT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PMT 수
·Channel number: 채널 수
1PMT 파샬 TS가 기록되어 있을 때, 채널 수는 1이기 때문에, 1을 나타낸다.
다른 TS(예를 들면 멀티 채널 TS)가 기록되어 있을 때, 채널 수를 나타낸다.
·TS Format information: TS 포맷 구성 정보
000일 때, 1PMT, 또한 1채널의 파샬 TS
001일 때, 1PMT, 또한 상이한 복수 채널의 파샬 TS
010일 때, 복수 PMT, 또한 상이한 복수 채널의 파샬 TS
011일 때, 1PMT, 또한 풀 TS
100일 때, 복수 PMT, 또한 풀 TS
그 외일 때, 보류
이하, 채널 수만큼 기술한다.
·Broadcast channel: 방송국을 나타낸다.
000000일 때, NHK 종합 000001일 때, NHK 교육 000010일 때, 일본TV(NTV)
000011일 때, TBS 000100일 때, 후지 TV 000101일 때, TV 아사히
000110일 때, TV 동경 000111일 때, MXTV
001000일 때, 디지캐스 001001일 때, BS 커뮤니케이션즈
001010일 때, 미디어서브 001011일 때, BS 일본 TV 라디오
010000일 때, 플랫원 010001일 때, SkyPerfecTV!
그 외일 때, 보류
·Broadcast video mode: 방송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식
000일 때, MPEG-2 001일 때, MPEG-1 010일 때, MPEG-4 011일 때, H.264
100일 때, WM9 101∼111일 때, 보류
·Broadcast audio mode: 방송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식
000일 때, MPEG-2 AAC 001일 때, Dolby AC-3 010일 때, MPEG-1
011일 때, MPEG-2B 100일 때, DTS 101일 때, LPCM 110∼111일 때, 보류
·Broadcast still-picture mode: 방송되고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
000일 때, JPEG 001일 때, PNG 010∼111일 때, 보류
·Broadcast animation mode: 방송되고 있는 애니메이션 데이터의 압축 방식
000일 때, MNG 001∼111일 때, reserved
·Time map flag: 타임 맵 유무
00일 때, 타임 맵을 갖지 않음 01일 때, 타임 맵을 가짐
10∼11일 때, 보류
·PTS flag: PTS 유무
00일 때, PTS를 갖지 않음 01일 때, PTS를 가짐
10∼11일 때, 보류
·Storage broadcast flag: 축적형 방송 스트림 표시
00일 때, 이 SOB는 통상 방송 스트림임
01일 때, 이 SOB는 축적형 방송 스트림임
10∼11일 때, 보류
도 11b에 도시된 HR_STMAP.IFO는, 1PMT 파샬 TS용 타임 맵 테이블이고,
·1STREF_SZ: SOBU 제1 레퍼런스 픽처 사이즈
·DATABC_PB_TM: SOBU 재생 시간(비디오 필드 수)
·DATABC_SZ: SOBU 사이즈(섹터 수)
로 구성된다.
HR_STRMx.SRO는, 1PMT 파샬 TS, 및 다른 TS(예를 들면 멀티 채널 TS)로 구성되는 스트림 데이터 파일이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인, 1PMT 파샬 TS
스트림 포맷, 또는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1개의 포맷 내용이 HR_MANGR.IFO 파일에 기록되고, 또한 타임 맵이 HR_MANGR.IFO 또는 HR_STMAP.IFO 파일에 기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트랜스포트 스트림 2인, 다른 TS(예를 들면 멀티 채널 TS)
스트림 포맷, 또는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1개의 포맷 내용이 HR_MANGR.IFO 파일에 기록되고, 또한 타임 맵이 기록되지 않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다.
HR_EXTBC.DAT는, 스트림 포맷, 또는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이 불분명한 Private TS, 또는 유저 데이터, 그 외의 스트림이다.
그런데, 관리 데이터에 의해, 이하와 같이 멀티 채널 기록이 행해진다.
유저는, 멀티 채널 기록을 행하고자 하는 채널 넘버를 입력한다. 이는, 예를 들면 리모컨 등에 의해, 「NHK(제1 채널)와 NTV(제4 채널)를 기록」과 같이 지정된다.
이 제어 신호는, 도 1에서의 제어 입력(102)으로부터 입력되고, 기록 파일 결정, 관리 데이터 발생 블록(109)에 의해, 기록 파일이 지정되고, 관리 데이터가 발생된다.
기록 파일은, HR_STRMx.SRO가 지정되고, 타임 맵을 갖지 않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2로서 기록된다. 트랜스포트 2를 위해서, 1PMT 파샬 TS 이외의 TS, 또한 PTS를 갖지 않는 모드가 선택된다.
관리 데이터는, HR_MANGR.IFO가 지정되고, 그 중 SOB Stream Information의 STM_ATR에서,
·Stream format
*Application format: 000 일본의 디지털 방송(ARIB) 포맷
*Country code: 일본을 나타내는 코드
·TS flag:01 다른 TS(멀티 채널 TS)
·PMT number: 2 PMT 넘버, PMT 수
·Channel number: 2 채널 수
·TS Format information: 010 복수 PMT, 또한 상이한 복수 채널의 파샬 TS
(제1 채널)
·Broadcast channel: 000000 NHK 종합
·Broadcast video mode: 000 MPEG-2
·Broadcast audio mode: 000 MPEG-2 AAC
·Broadcast still-picture mode: 000 JPEG
·Broadcast animation mode: 000 MNG
·Time map flag:00 타임 맵을 갖지 않음
·PTS flag: 00 PTS를 갖지 않음
·Storage broadcast flag: 00 통상 방송 스트림임
(제2 채널)
·Broadcast channel: 000010 일본TV(NTV)
·Broadcast video mode: 000 MPEG-2
·Broadcast audio mode: 000 MPEG-2 AAC
·Broadcast still-picture mode: 000 JPEG
·Broadcast animation mode: 000 MNG
·Time map flag: 00 타임 맵을 갖지 않음
·PTS flag: 00 PTS를 갖지 않음
·Storage broadcast flag: 00 통상 방송 스트림임
와 같이, 데이터가 지정된다.
관리 데이터(HR_MANGR.IFO 파일)에서는, 적어도 Stream format, TS flag에 의해, 멀티 채널 기록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1, 트랜스포트 스트림 2를 정의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은 타임 맵을 갖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2는 타임 맵을 갖지 않음.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은 1PMT 파샬 TS이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2는 그 외의 TS임.
·트랜스포트 스트림 1은 관리 데이터 중에 PTS를 갖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2는 관리 데이터 중에 PTS를 갖지 않음.
으로 한 후에,
관리 데이터(HR_MANGR.IFO 파일)에 의해 각각의 내용을 나타냄으로써, 트랜스포트 스트림 2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멀티 채널 기록, 재생을 실현할 수 있고,
처음에는 타임 맵이 없는 멀티 채널 기록이더라도, 나중에 타임 맵을 계산함으로써, 용이하게 타임 맵 첨부의 멀티 채널 기록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관리 데이터는, 데이터 구성, 데이터 배치순, 플래그명, 비트 수, 비트 할당은 예시한 것과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에 기술한 관리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도, 그 일부만이 존재하여도 된다.
상기에 기술한 관리 데이터는, 발생하는 단위가, 더 큰 단위이어도, 작은 단 위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관리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었을 때의,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데이터 길이가, 적절히 기록되어도 된다.
스트림은 트랜스포트 스트림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스트림, PES, ES 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또한, 이상 설명해 온 기록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또는 이상 설명해 온 기록 방법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상 설명해 온 기록 방법으로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DVD-Forum으로 규정된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도,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첨부 스트림과, 이들 테이블을 갖지 않는 테이블 무첨부 스트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테이블 첨부 스트림과 테이블 무첨부 스트림을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테이블 첨부 스트림 및 테이블 무첨부 스트림을,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과 함께 기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 중 일부에,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관리 데이터가 관리 파일로서 마련된 제1 파 일(1201)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이 제2 파일(1202)에 기록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파일(1202)은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을 기록하는 파일(1203)과, 해당 테이블을 갖지 않는 파일(120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일(1203)에 기록된 스트림의 테이블 데이터가 제3 파일(1205)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일(1201)에는, 관리 데이터로서, 플래그(1206)가 기록되어 있고, 도시된 플래그(1206)는, 각각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인지,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인지, 타임 맵 및 테이블의 양쪽을 갖지 않은 스트림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플레이어는, 플래그(1206)를 판독하고, 제2 파일(1202)이,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기록한 파일로서, 이 파일 중, 파일(1203)은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을 기록한 파일, 파일(1204)은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기록한 파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플래그(1206)에 의해, 제3 파일(1205)에, 파일(1203)에 기록된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된 파일(1203)에 기록된 스트림에 대해서는 간단한 타임서치가 행해지고, 한편, 파일(1204)에 기록된 스트림에 대해서는 타임 서치가 행해지지 않는다.
도 13에는,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1301)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이 제2 이후의 파일에 기록됨과 함께,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이 또 다른 파일에 기록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예는, 관리 파일(제1 파일)(1301),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기록하는 파일(1302, 1303), 및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에 의해 구성되는 파일(1304, 1305)을 갖고 있다. 또한, 파일(1304)은,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을 기록하는 파일(1306) 및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기록 파일(1307)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파일(1305)은,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을 기록하는 파일(1308) 및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기록하는 파일(130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파일(1302 및 1303)에 기록된 스트림의 타임 맵의 데이터를 기록한 파일(1310 및 1311)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파일(1306, 1308)에 기록된 스트림의 테이블 데이터를 기록한 파일(1312, 131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일(1301)에 기록된 플래그(1314)는, 각 스트림이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인지,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인지, 혹은, 타임 맵 및 테이블 중 어느 하나도 갖지 않은 스트림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플레이어는, 플래그(1304)를 판독하고, 파일(1302∼1309)에 기록된 스트림을 식별함과 함께, 파일(1310∼1313)에 기록된 타임 맵, 테이블을 식별한다.
파일(1302, 1303)에 기록된 스트림에 대하여, 파일(1310, 1311)에 기록된 타임 맵을 이용한 정확한 타임 서치가 행해지고, 파일(1306, 1308)에 기록된 스트림 에 대해서는, 파일(1312, 1313)의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타임 서치가 행해진다. 또한, 파일(1307, 1309)에 기록된 스트림에 대해서는 타임 서치는 행해지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은,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및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되고, 혹은,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억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또는, 표시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상기 스트림의 정의에 따라서, 플래그도 정의된다.
다음으로, 스트림에 부합하여 정의된 플래그의 일례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해당 플래그에 의해,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인지,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인지, 타임 맵 및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쌍방을 갖지 않은 스트림인지를 식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 파일인 HR_MANGR.IFO는, Stream File Information Tables(STM_AVFIT), 그 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Stream File Information Table(STM AVFIT)은, SOB Stream Information #1∼SOB Stream Information #n, 그 외로 구성된다. SOB Stream Information은 1회 기록이 행해질 때마다 1개씩 발생한다. SOB Stream Information은, STM ATR(Stream Attribute), 그 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STM ATR에는, 이하의 플래그가 포함된다.
·Recording mode
0: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
1: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
·Map content for stream
00: Recording mode=0, 또는, Recording Mode=1 또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
01: Recording mode=1 또한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10: Recording mode=1 또한 타임 맵 및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쌍방을 갖지 않은 스트림
11: 보류
다음으로, 타임 맵은 이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1. 1STREF_SZ: 1 이상의 정수의 GOP(Group of Pictrues)를 VOBU(Video Object) 또는 ESOBU라고 하였을 때, VOBU 또는 ESOBU에서의 제1 레퍼런스 픽처, 즉, 1픽처의 사이즈를 패킷 그룹 수 또는 섹터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2. VOBU_PB_TM(SOBU_PB_TM): 해당 VOBU(ESOBU)가 재생 표시되어 있는 시간을 비디오 필드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3. VOBU_SZ(SOBU_SZ): 해당 VOBU(ESOBU)가 기록되어 있는 사이즈를 패킷 그룹 수 또는 섹터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또한,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은, 이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1. AT_SOBU_SZ: 예를 들면, ESOBU를 10초마다 도착하는 데이터의 덩어리라고 하였을 때, ESOBU 사이즈를 패킷 그룹 수 또는 섹터 수 등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상기한 스트림, 타임 맵, 테이블에 관한 파일 구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 데이터 배치순, 플래그명, 비트 수, 비트 할당도,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관리 데이터는 발생하는 단위가 더 큰 단위마다 발생되어도 되고, 작은 단위마다 발생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관리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었을 때의,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데이터 길이가 적절하게 기록되어도 된다.
타임 맵, 및,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관해서는, 예시 이외의 데이터가 기록되어도 된다.
또한, 스트림은 트랜스포트 스트림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스트림, PES, ES 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한 데이터 기록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데이터 기록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해당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도 본 발명에 포함되고, 또한, 해당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기록하는 스트림과,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기록하지 않는 스트림을 개별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 중 어느 하나 로 하여 기록함으로써, 복수의 스트림 또는 채널의 동시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크를 번잡하게 발생시키지 않고, 동시 기록이 가능하게 되고, 그 때문에, 기록 에러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중화해야 할 스트림의 수에 부합한 시각 관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중화해야 할 스트림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정확한 타임 맵을 기록함으로써 정확한 재생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다중화해야 할 스트림이 많은 경우에는, 간편한 시간 정보를 계산, 기록하거나, 혹은, 시간 정보를 계산하지 않고 기록함으로써, 계산에 필요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DVD, HDD 등, 각종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0)

  1.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이, 제2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종류(n≥2)의 스트림이 제2 파일에 기록되고, 제2 파일에 기록된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종류의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이 제2 파일에, 제2 스트림이 제3 파일에, 이하 마찬가지로 진행하여, 제n 스트림이 제(n+1) 파일에 각각 기록되고,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4.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구별된 n종류의 스트림이, 제2 파일∼제(m+1)(단 m≥2) 파일에 기록되고, n종류의 스트림을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단, k≥1, k≥n-1) 스트림, 타입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여, 제1∼k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3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n=2, k=1로 하고,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여, 제1∼k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n+2)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 스트림,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여, 제1∼k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을 제1 파일, 또는 제(m+2)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1PMT(Program Map Table)를 갖는 파샬 TS(Transport Stream)를 제1 스트림, 그 이외의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트림은 적어도 1PMT 파샬 TS이고, 1PMT 파샬 TS이더라도, 타임 맵을 갖지 않은 스트림은 제2 스트림으로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 구성된 1개의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 구성된 1개의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부터 1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을 재구성하고, 상기 스트림을 제1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으로부터 1개의 PMT를 갖는 스트림을 재구성하고, 상기 스트림을 제1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13항 또는 제14항의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은, 상이한 채널의 파샬 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13항 또는 제14항의 복수의 스트림, 또는 복수의 PMT를 갖는 스트림은, 풀 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관리 데이터 중에 시각 정보가 기술된 스트림을 제1 스트림, 시각 정보가 기술되지 않은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시각 정보가 PTS(Presentation Time St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 스트림 모두, 스트림 포맷이 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0.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 스트림 모두,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의 내용이 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1. 제2항에 있어서,
    스트림 포맷이 불분명한 스트림이, 그 외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2. 제2항에 있어서,
    영상 또는 음성 또는 데이터 포맷의 내용이 불분명한 스트림이, 그 외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3. 제2항에 있어서,
    축적형 방송에 의해 방송된 스트림을, 제2 스트림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4. 관리 데이터의 내용이,
    스트림 포맷 식별 정보, 1PMT의 파샬 TS인지 다른 TS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PMT 수, 다른 TS에서의 다중화 채널 수, TS 포맷 구성 정보, 및, 각 채널마다, 방송국 정보,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 애니메이션 데이터 압축 방식, 타임 맵이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시각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통상 방송 스트림인지 축적형 방송 스트림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중 전부 또는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비디오인지 H.264 비디오인지 Windows(등록 상표) Media 비디오인지의 종별, 음성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 오디오인지 Dolby 오디오인지 DTS 오디오인지의 종별, 정지 화상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JPEG인지 PNG인지의 종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록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또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록 방법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록 방법으로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
  28. 복수의 스트림 또는 채널을 동시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에 있어서,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기록하는 제1 스트림, 또는 시각과 기록 위치의 관계를 기록하지 않은 제2 스트림 중 어느 하나로 하여, 파일에 기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림을 식별하는 관리 데이터를 별개의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복수의 스트림 또는 채널의 동시 기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9.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이, 제2 이후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0. 관리 데이터가 제1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을 제1∼k(단, k≥1, k≥n-1) 스트림으로 하였을 때, 이들 스트림이 제2 이후의 파일에 기록되고,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제(k+1)∼n 스트림으로 하였을 때, 이들 스트림이 또 다른 1 또는 복수의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 또는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또는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그것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일정한 스트림마다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스트림을,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이거나,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이거나, 타임 맵 및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모두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그것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 또는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그것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을 일정한 스트림마다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스트림을, 방송 스트림의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갖는 스트림이거나, 타임 맵 및 도착 시각과 기록 어드레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모두 갖지 않은 스트림 중 1개로 하고, 그것들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별도로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플래그를 제1 파일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 또는 테이블이, 제1 파일, 또는, 제29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8. 제30항에 있어서,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 스트림에 대한 타임 맵, 반드시 타임 맵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는 스트림에 대한 테이블이, 제1 파일, 또는, 제30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또 다른 파일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9. 제29항의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및/또는 제29항의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40. 제29항의 기록 방법으로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
KR1020067016578A 2004-01-20 2005-01-20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58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2375 2004-01-20
JP2004012375 2004-01-20
JP2004255136 2004-09-02
JPJP-P-2004-00255136 2004-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98A true KR20060117998A (ko) 2006-11-17
KR100958760B1 KR100958760B1 (ko) 2010-05-18

Family

ID=3482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578A KR100958760B1 (ko) 2004-01-20 2005-01-20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38041A1 (ko)
EP (1) EP1711011A4 (ko)
JP (1) JP4347297B2 (ko)
KR (1) KR100958760B1 (ko)
WO (1) WO2005074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940A (ja) * 2004-12-29 2008-07-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記録媒体に記録されるビデオデータについてのナビゲーション情報の構造とその構造を利用する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KR20070011701A (ko) 2005-07-21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정보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용하는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JP5034608B2 (ja) * 2007-03-30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337A (en) * 1995-01-27 1997-04-08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MPEG transport encoding/decoding system for recording transport streams
EP1067770B1 (en) * 1999-07-08 2011-03-02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recording transport streams of data
JP3383580B2 (ja) * 1998-05-1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情報記録再生装置と方法
JP2002175683A (ja) * 1999-03-17 2002-06-21 Toshiba Corp ストリームデータの記録方法およびそのデータ構造
JP4292654B2 (ja) * 1999-03-19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1067802A (ja) * 1999-08-27 2001-03-16 Toshiba Corp マルチチャンネル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2170361A (ja) * 2000-12-04 2002-06-14 Nec Corp 光ディスク映像記録再生装置
KR100598285B1 (ko) * 2001-06-21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JP2003228921A (ja) * 2002-01-31 2003-08-15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2005323325A (ja) * 2004-03-26 2005-11-17 Nec Corp 放送映像音声データ記録方法、装置、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1011A1 (en) 2006-10-11
KR100958760B1 (ko) 2010-05-18
JP4347297B2 (ja) 2009-10-21
US20080138041A1 (en) 2008-06-12
WO2005074273A1 (ja) 2005-08-11
JPWO2005074273A1 (ja) 2007-09-13
EP1711011A4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38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ata streams containing audio, video and/or other data
JP4597453B2 (ja) 書き換え可能なメディアでのコマーシャルスキップ機能及びチャプター描写機能
US7869691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 main file and auxiliary files in a track on a record carrier
CN100438606C (zh) 数据处理装置
US7376340B2 (en) Data allocation in DVD recording
EP1761054A1 (en) Program recording device and program recording method
US20040001402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20060083485A1 (en) Information medium, recording method, playback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playback apparatus for digital stream signal
JP2003288767A (ja) 映像伝送記録方法、装置、およびディスク媒体
KR100958760B1 (ko)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12160B1 (ko) 데이터 방송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88602B1 (ko) 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정보저장매체
JP200313262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109685A (ja) 番組格納再生システム、番組格納再生方法、プログラム
WO2006025606A1 (ja) データ放送記録方法、装置、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