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895A -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895A
KR20060117895A KR1020060105672A KR20060105672A KR20060117895A KR 20060117895 A KR20060117895 A KR 20060117895A KR 1020060105672 A KR1020060105672 A KR 1020060105672A KR 20060105672 A KR20060105672 A KR 20060105672A KR 20060117895 A KR20060117895 A KR 2006011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haracters
input
frequenc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638B1 (ko
Inventor
김윤동
Original Assignee
김윤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동 filed Critical 김윤동
Priority to KR102006010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63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전자기기 등에서 문자를 손 쉽게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세하게는 영어처럼 여러개의 문자가 일렬로 배열되어 단어를 이루어서 문장을 이루는 언어인 경우 그 문자 수 만큼의 키가 없다고 하여도 손쉽게 단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휴대폰등에서 영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문자당 1번에서 3번 키를 눌러야만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많이 쓰는 단어, 문장에서 앞선 몇 개의 문자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여 이 결과를 미리 저장하여 놓은 후 문자를 입력할 때 앞선 문자 다음에 나오는 빈도수가 높은 순서로 문자를 배치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이 쓰는 단어는 각 문자당 한번씩 만 클릭하고서도 입력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METHOD FOR FAST TYPING IN SMALL ELECTRONIC DEVICE}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을 채택한 휴대폰을 도시하는 도면.
도4,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실제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전자기기등에서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PDA, 핸드폰,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한 소형기기들은 성능이 개선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다양하고 상세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장치 또한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러나 단순한 기능버튼이 아닌 여러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입력하는 등의 복잡한 입력을 위해서는 소형 전자기기 본체보다 더 큰 키보드를 별도로 사용한다거나 터치스크린으로 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문자를 터치한다거나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작은 키패드 에서 키 하나 하나에 여러 개의 문자를 나누어 키를 한번누를 때마다 표시되는 문자가 바뀌게 하여 하나씩 어렵게 입력하여 왔다. 특히 크기가 작은 소형제품일 수록 부착되는 문자판/숫자판의 크기가 작고 수가 적기 때문에 여러 문자로 된 단어의 입력이 어려웠다.
한글입력의 경우는 한글창제의 원리, 한글조합의 원리를 이용하여 키패드로도 빠른 입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 왔으나 영어입력의 경우는 아직도 키를 여러번 눌러야 한 개의 문자를 찍을 수 있는등 문자 입력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미국에서 등록된 특허(제5,392,338호)는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식으로 핸드폰에서 각 숫자키에 3~4개의 영문자를 할당해서 키를 반복해서 누름으로써 선택되는 문자가 바뀌도록 하여 다른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가장 간편한 방식으로 가장 널리 보급되었지만 몇자 안되는 단어를 입력하더라도 타수가 많아 효율이 떨어지며,
미국특허 제4,650,927호는 각 숫자키에 3~4개의 영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것은 같으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를 누르고 그 문자가 몇 번째의 문자인가를 다시한번 입력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문자당 적어도 두 번눌러야 하므로 이 것역시 타수가 많아 비효율적이다.
또한, 미국특허 제6,011,554호, 제5,664,896호, 제4,650,927호는 각 숫자키에 3~4개의 영문자를 할당 하는 것은 동일하나 키 반복없이 해당되는 숫자키를 누르면 입력된 숫자를 참조하여 저장된 DB에서 유사단어를 찾아 주는 방식인데, 많이 사용되는 문자의 경우는 위의 두 방식보다는 효율적이지만 대용량 DB가 필요하고 DB에 없는 단어는 입력이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6,847,706호는 영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9개 문자를 1~9번키 까지 할당하고, 가장 중앙에 있는 5번키를 제외한 다른 8개의 키에 다시 할당함으로써 처음 9개의 문자는 숫자키를 두 번누르면 선택이 되도록 하고 다음 8개문자는 해당숫자키를 한번 누르고 5번키를 한번 누르면 선택이 되며 그 다음 문자 8개는 5번을 먼저누르고 해당 숫자키를 한번 누름으로써 선택하는데 빈도가 높은 문자도 적어도 두 번씩은 눌러야 선택이 되기 때문에 역시 비효율적이다.
대한미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30765호에서는 문자입력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장을 저장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위에 제시한 방법중 DB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단어를 문장으로 치환한 것에 불과하다.
이처럼 영문 입력의 경우는 한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적어도 두 번 이상 키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그나마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는 PDA기기보다 작은 용량을 갖는 휴대폰과 같은 기기에서는 문자입력이 불편해 잘 사용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핸드폰과 같은 소형의 전자기기에서 가능한한 키 입력횟수를 줄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자를(특히 알파벳) 입력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방법을 제공하는데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으로서,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단어를 이루는 문자에 선행하는 한 개 이상의 문자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빈도수에 따라 문자를 복수개의 레벨로 나누는 레벨분류단계를 포함하는,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입력받을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현재 입력되고 있는 문자에 선행하여 입력된, 한개 이상의 문자를 참조하여 그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에 따라 상기 레벨분류단계에서 정해진 레벨 중 높은 레벨에 있는 문자들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 중에 입력하려는 문자가 없는 경우에 레벨키의 입력을 받아 그 다음 레벨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받을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에서 상기 문자의 앞에 선행하는 두개의 문자의 조합뒤에 나오는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문자가 상기 단어에서 두 번째 문자인 경우 상기 조합은 '스페이스+첫문자'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표시단계에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선행하여 입력된 두개의 문자의 조합 뒤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에 따라 정해진 레벨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레벨은 3개의 레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자 표시단계는 빈도수를 참조하여 가장 높은 빈도수의 순으로만 입력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입력을 위한 문자판 하나당 복수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상기 문자 표시단계에서, 앞선 문자의 조합을 참조하여 각 키에서 입력가능한 문자를 표시할 때 각 키에서 가장 높은 레벨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며 레벨키가 눌러질때마다 각키에서 그 다음 높은 레벨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여 각 키마다 입력되는 문자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문자를 표시하는 위치와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위치가 동일한 터치스크린 일 수 있다. 즉, 문자입력키에서 보여지는 문자가 변할 수 없는 '하드키'를 사용하는 휴대폰의 경우는 휴대폰 화면내에 문자에 할당된 키가 어느 것인지를 보여주는 키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상기 문자를 표시하는 위치와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즉 문자입력키에서 보여지는 문자가 변할 수 있는 '소프트키'를 사용하는 PDA의 터치스크린과 같은 것은 별도의 키 디스플레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페이스가 입력되는 경우 단어의 입력을 끝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문장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 또한 본원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영어사전이 아닌 일상대화나 책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어문장을 수집하여 특정 개수의 문자들 다음에 오는 문자들의 빈도수(frequency)를 분석한다. 이것은 특정 단어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단어에서 특정문자 다음에 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것으로서 빈도수를 계산하는 대상이 되는 단어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직업, 관심분야등에 따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즈니스 영어, 저널 등에 사용된 30만 단어를 기반으로 앞선 2개의 문자 뒤에 오게 되는 단어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분석을 하였다. 이 작업을 시퀀싱(sequencing)이라고 하며 예를 들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 분석한 결과 'SA'다음에 오는 문자들의 빈도는 다음과 같다.
(표1)
t n l c i g d m v p b s y r
1347 1014 645 530 487 365 313 208 180 167 159 143 106 101
w f h o e z u k q j a x
83 82 32 31 29 26 25 20 12 8 0 0
선행기술에서는 각각의 단어를 모두 저장하여야 하기 때문에 DB가 꼭 필요할 뿐아니라 DB에 단어가 전부 들어가기 때문에 DB저장을 위한 공간도 많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DB가 필요하다고 하여도 DB를 분석한 결과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DB를 저장할때만큼 큰 저장공간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빈도수 분석이 끝나면 영어 알파벳을 빈도수로 분류한 후에 빈도수가 가장 높은 문자 9개를 레벨1에 할당하고 그 다음 빈도수가 높은 문자 9개를 레벨2에 나머지 문자 8개를 레벨3에 할당한다. 본 실시예는 영어 알파벳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영어외에도 영어 알파벳과 비슷한 알파벳을 갖는 스페인어, 프랑스어나 그 외 일정수의 문자의 나열 혹은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언어라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지정키를 사용하는 방식이라면 9개의 문자입력키에는 각각 3개의 영문자가 할당되며 휴대폰의 표시창의 키디스플레이에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레벨1의 9개 문자들이 선택되어 표시되며 자유키를 사용하는 방식이라면 각 문자입력키에는 어떤 문자든지 할당 될 수 있으므로 그 빈도수에 따라 레벨을 나누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을 예시로 하여 레벨1에 9개의 문자가 선택되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에 따라 레벨1에 선택되는 문자의 수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그 이하가 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의 제한으로 인해 입력키가 6개 밖에 할당이 안되는 경우라면 레벨1에 6개의 문자를 할당하는 대신에 레벨의 수를 늘이면 되기 때문에 어떠한 방식의 소형 전자기기라고 하여도 알파벳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터치 스크린과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문자를 터치 함으로써 바로 입력시킬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그 앞에 스페이스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스페이스+문자'가 나온 다음의 빈도수에 따라 키디스플레이에 입력가능한 문자를 표시하고 현재레벨에 입력하고 싶은 문자가 없는 경우 레벨키를 눌러 표시 문자를 바꾸면서 문자의 입력을 받으며 스페이스가 입력되면 한 단어의 입력이 끝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사용자가 'SMART'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단어의 첫 글자로서 'S'는 레벨1의 문자이기 때문에 표시창의 위치에 해당하는 키를 누름으로써 'S'를 입력하게 된다. 'S'를 입력한 다음에는 'S'앞의 문자를 스페이스로 가정하고 '스페이스+S'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를 참조하여 그 다음에 나올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알파벳의 각 문자를 레벨1,2,3에 각각 할당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M'을 입력하게 되면 'M을 표시한뒤 'SM'조합다음에 빈도수가 많은 문자를 표시하고 다시 사용자가 'A'를 입력하게 되면 이번에는 'MA'조합 다음에 많이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를 참조하여 새로운 배열의문자를 표시하며 레벨키를 누르면 빈도수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의 그룹을 다르게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받기 전에 입력된 몇 개의 문자를 참조하여 키에 할당된 문자의 배열을 바꿈으로써 최소한의 입력만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한, 참조하게 되는 문자의 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로 하였지만 바로전의 한개 문자만을 참조할 수도 있으며 그 이상의 문자를 참조할 수도 있으며 다른방식으로 처음에는 1개의 문자 그다음에는 두개의 문자 그 다음에는 세 개의 문자등으로 입력이 될 수록 문자의 수를 늘여가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2개의 문자를 채택하여 참조하는 방식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앞의 두문자를 참조하여 다음 문자를 선택하게 될 경우 약 700개(27*26)의 조합이 생기고 이 조합에 따른 빈도수의 배열은 미리 분석되어져 나온 결과만이 휴대폰등의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약 700개의 알파벳 배열을 저장할 공간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고 빠르다. 또한, 앞의 두문자를 참조하여 다음에 많이 오는 문자를 레벨1에 할당했을때에는 일반영어 문장의 문자들의 86%이상을 레벨1에 나타낼 수 있으며 앞 세문자의 참조의 경우는 91% 이상을 레벨1에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아래의 표2,3에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표2)
분석데이터와 레벨당문자수 각레벨에 할당된 문자비율(%)
total 1,366,596
level 1 1,179,276 86.3%
level 2 164,666 12.0%
level 3 22,654 1.7%
(표3)
각레벨에 할당된 문자수(%)
level 1 90.8%
level 2 7.4%
level 3 1.8%
즉 91%의 영어 단어는 각문자당 1번씩만 누르면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으로서 짧은 단어라도 다른 방법에 의할 때에는 적어도 10회에서 20회의 입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비한다면 획기적으로 입력수를 줄인것이다.상기 통계는 지정키를 사용한 경우로서 자유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에서 레벨1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문 입력시 키를 눌러야 하는 횟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영문입력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앞의 3문자 이상을 참조로 하는 경우 저장해야 하는 알파벳 조합의 수는 19000개 이상이 되기 때문에 실용성이 낮아질 수 있어 적은 메모리 공간을 차지 하면서도 그 효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앞선 두개의 문자 참조방식'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한 메모리를 확보하고 있으며 조금이라도 키입력횟수를 줄이려는 경우에는 세문자나 그 이상의 문자 참조방식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방식이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참조되는 문자의 수를 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분석에서는 저널, 비즈니스 영어, 비소설 부분 도서에서 발췌된 영어 문장 (약 30만 단어)를 사용하였는데 휴대폰 SMS와 같은 용도를 위해서는 일상 대화에 많이 사용되는 구어체 문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적용함으로써 레벨1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 사용시에도 영어처럼 일정수의 알파벳 문자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모든 언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문자입력키에 문자를 배치하는 것은 '자유키'방식과 '지정키'두개의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자유키는 26개의 알파벳이 키 디스플레이에서 고정된 자리가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 방법에 의할 때 'A'는 어떤 경우는 휴대폰의 숫자키 배열에서 어느 경우는 1번키 위치에 어떤 경우는 3번 키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자유키 방식은 빈도수의 분석결과에 충실하게 키의 배열을 그때 그때 바꾸게 되고 최고 빈도수를 가진 9개의 문자가 레벨1에 배열되어 입력횟수를 줄일수 있지만 입력하는 사람은 입력할 때마다 그 문자가 어디에 할당이 되었는지를 키디스플레이에서 찾아 입력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문자를 찾기 위해 시간이 더 걸릴 수가 있다.
지정키는 9개의 숫자키에 각각 3개의 영문자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전체 조합의 레벨1에 있는 문자들이 최대한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레벨2,3의 문자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당한다. 즉, 'S,P,V'가 1번 숫자키에 할당되었다면 'S,P,V'는 같은 레벨에 할당될 수는 없다. 만약 S와P 모두 레벨1에 있어야 할 만큼 높은 빈도를 갖는다면 둘 중 하나를 레벨2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레벨1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레벨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벨변환키혹은 레벨키를 자주 눌러야만 한다. 따라서 지정키를 사용하는 경우 앞선 두문자의 참조결과에 따른다면 자유키 방식에서는 레벨1에 있어야 하지만 레벨2에 있을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키의 위치가 고정이 된다면 이 방식이 적용된 휴대폰등의 전자기기를 자주 사용하여 익숙해진 사람의 경우에는 어떤 위치에 어떤 키가 있다는 것을 어느 정도 외우고 있기 때문에 실제의 입력속도는 사용할 수록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식을 사용하는 휴대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MS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경우는 휴대폰에 부착된 숫자판을 포함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사용하는데 별도의 보조창이나 화면 의 일부를 키디스플레이로 할애하여 현재의 키에 어떤 문자가 배열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지정키 방식을 사용할때에는 숫자판에 할당된 문자 3개를 각각 문자판에 인쇄하여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지만 자유키 방식인 경우는 어떤 키가 배치되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보조창이나 표시창의 일부를 할애하여 현재의 키에 어떤 문자가 배열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입력키에 할당된 문자를 바로바로표시하며 그 문자를 클릭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장치를 갖춘 PDA등에서는 이와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필요없을 수 있다. 도3은 일반적인 휴대폰에서 본 방법을 적용시켜 사용하는 것의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창은 SMS윈도우와 키 디스플레이로 나뉘어져 있으며 12개의 키로 이루어진 입력부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9개의 키가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한개의 키는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레벨키에 할당이 되어 있는데 레벨키를 누를때마다 레벨1에서 2에서 3, 3에서 다시 1로 변환될 수 있다. 어퍼스트로피키는 어퍼스트로피를 입력한후에 어퍼스트로피 다음에 자주 오는 'm,s,ve,ll'등이 있는 조합으로 이동시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스페이스 키는 스페이스가 입력되면 단어의 첫문자로 자주 사용되는 문자들이 있는 '스페이스 조합'으로 가서 첫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즉 한개의 단어를 완성하고 다음 단어를 시작할 때 스페이스를 입력함으로써 이전 단어의 입력을 끝내고 다음단어를 시작한다는 것을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4는 지정키 방식인 경우 'SMART'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스페이스가 입력되는 경우 단어의 맨처음에 나오는 빈도수가 많은 't,a,w,i,h,s,o,c,m'등 이 레벨1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순히 'S'를 누름으로써 입력이 가능하며 'space +S'가 선행되는 2개의 문자인 경우 레벨1에는 't,e,o,h,a,y,i,p,c'등이 레벨1에 할당되어표시되는데 앞에 자음이 나오는 경우 그다음에는 모음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음이 전부 레벨1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그 다음문자 'M'은 레벨2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레벨키를 눌러 표시창에 표시되는 문자를 바꾸게 되는데 이 경우 '스페이스+S'가 선행하는 두개의 문자인 경우 레벨2에 M이 나타나기 때문에 레벨키를 한번 누르면 레벨2의 문자 'm,u,i,b,k,n,q,g,s'가 표시창에 뜨고 이중에서 'M'을 선택하면 입력이 되고 선행되는 문자가 'S+M'인 경우가 되므로 이 경우의 레벨1의 문자 'e,a,u,i,o,y,s,r,n'가 키 디스플레이에 다시 표시되고 이중에서 'A'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그 뒤로 레벨1로 연속해서 표시되는 'R','T'등을 선택하게 되면 'SMART'의 입력이 끝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벨키를 단 한번만 눌렀으며 각각의 문자에 한번씩의 키를 눌렀기 때문에 단 6번 만으로 'SMART'의 입력이 완성된다. 현재 사용되는 휴대폰에서는 10회가 넘는 다.
도5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각문자의 빈도와 레벨의 할당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표에 있는 문자들의 최상단 라인에 있는 문자의 앞에는 A가 온 것으로 가정되어 있으며 A다음에 'A,B,C,D,E,F,G'이 나오는 경우 그 다음 문자의 빈도수를 도식화하여 보여준다. 'AD'다음에는 'E'가 가장 많이 나오고, 'AG'다음에는 'E'의 빈도수가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정키를 사용함에 따라 C열의 'R'과 D열의 'M'은 높은 빈도수에도 불구하고 같은 키에 할당된 'C'와 'E'때문에 다음레벨로 밀려나게 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6은 지정키인 경우의 입력예를 도시한다. 휴대폰인 경우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휴대폰의 문자입력키가 형성되어 잇으며 있으며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창이 표시되는데, 각키에 할당된 현재 레벨의 9개 문자를 보여주는 키디스플레이가 휴대폰 화면 내 하단부에 위치함을 보여 준다. 각 문자 입력키에는 2~3개의 알파벳이 할당이 되는데, 데이터 분석 후 전체에서 레벨1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빈도수를 계산하기 위한, 단어, 문장의 종류와 수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번키에는 'A,K,Z'가 할당이 되어 있고 2번키에는 'E,F,M'이 할당이 되어 있다. 따라서 'SMART'의 'S'를 입력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S'는 레벨1에 해당하기 때문에 a)에서 보듯이 7번키에 배치되어 있으며 7번키를 누르면 'S'가 입력이 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S'를 입력하게 되면 '스페이스+S'다음에 나오는 빈도수를 참조하여 가장 많이 나오게 되는 문자들을 키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각 키에서 배치되어 있는 문자는 각각 3개이기 때문에 3개의 문자중에서 빈도수가 가장 큰 것이 배치되기 때문에 'S'를 입력할 때의 키디스플레이와 차이가 있다. 그런데 (b)에서 보듯이 키디스플레이에 'M'이 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레벨키를 눌러 두 번째의 빈도를 갖는 문자를 표시하게 하면 레벨2의 2번키 위치에 'M'이 나타나고, 2번키를 누르면 'M'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황이 c)에 도시되어 있다. 'SM'이 입력되었으면 'SM'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참조하여 레벨1의 문자들을 표시하는데 'A'가 1번키에 배치되므로 1번키를 누름으로써 'SMA'까지 입력이 가능하며(d) 'MA'를 참조하여 다시 레벨1의 문자들을 표시하는데 'R'이 4번키에 할 당되어 있으므로 번키를 눌러 'R'을 입력하고 'AR'을 참조하여 레벨1의 문자를 표시하고 'T'가 8번키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8번키를 누름으로써 입력이 된다. 만약 입력하고 싶은 문자가 'SMART'가 아니라 'SMARZ'와 같은 문자라면 레벨키를 한번내지 두 번누른후 1번키를 누르면 입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지 않는 단어이기 때문에 낮은 레벨에 있는 것 뿐이고 'ARZ'와 같은 문자의 배열이 좀 더 많이 사용되는 DB를 사용한다면 'AR'이 입력되었을때 'Z'가 좀 더 높은 레벨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입력이 끝난 다음에 '스페이스'키를 누르게 되면 일단 한 단어의 입력이 끝났다는 것을 알리게 되고 다시 맨처음의 입력화면으로 바뀌면서 다른 단어의 입력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준비가 된다.
미국 특허번호 제5,392,338호의 방법에 의할때는 같은 'SMART'의 입력에는 10번키를 눌러야 하며 미국특허번호 제4,650,927호의 경우도 10번을 눌러야 하며 미국특허번호 제6,011,554호의 방법에 의할때는 본 발명과 같이 5번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지만 DB에 없는 단어는 입력이 불가능하면서도 DB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요구되며 미국특허번호 제6,847,706호의 경우에는 9번 키를 눌러야만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방법들과 비교할 때 본원발명은 6번의 키입력만으로 입력이 가능하였으며 89%의 단어는 레벨1의 키들만으로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수만큼의 입력만으로 입력을 끝낼 수 있어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물론지정키 방식에 의할 때에도 최악의 경우 한개의 문자당 3번 키를 눌러야 하지만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기반으로 빈도수를 계산한것이기 때문에 3번키를 눌러야 하는 경 우는 많이 생기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발명은 영어와 같은 문자의 입력시에 한 문자의입력당 한개의 키를 여러번 누를 필요가 없이 대부분의 경우에 한번만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의 입력시간을 크게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영어 뿐 아니라 영어와 비슷한 문자 체계를 가진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어와 같은 글자의 입력에도 응용하여 입력횟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으로서,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단어를 이루는 문자에 선행하는 한 개 이상의 문자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빈도수에 따라 문자를 복수개의 레벨로 나누는 레벨분류단계를 포함하는,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입력받을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현재 입력되고 있는 문자에 선행하여 입력된, 한개 이상의 문자를 참조하여 그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에 따라 상기 레벨분류단계에서 정해진 레벨 중 높은 레벨에 있는 문자들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 중에 입력하려는 문자가 없는 경우에 레벨키의 입력을 받아 그 다음 레벨의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받을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단어에서 상기 문자의 앞에 선행하는 두개의 문자의 조합뒤에 나오는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문자가 상기 단어에서 두 번째 문자인 경우 상기 조합은 '스페이스+첫문자' 다음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문자 표시단계에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선행하여 입력된 두개의 문자의 조합 뒤에 나오는 문자의 빈도수에 따라 정해진 레벨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인,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은 3개의 레벨로 구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표시단계는 빈도수를 참조하여 가장 높은 빈도수의 순으로만 입력문자를 표시하는 단계인,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입력을 위한 문자판 하나당 복수개의 문자를 할당하여 상기 문자 표시단계에서, 앞선 문자의 조합을 참조하여 각 키에서 입력가능한 문자를 표시할 때 각 키에서 가장 높은 레벨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며 레벨키가 눌러질때마다 각키에서 그 다음 높은 레벨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여 각 키마다 입력되는 문자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표시하는 위치와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위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표시하는 위치와 상기 문자를 입력받는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스페이스가 입력되는 경우 단어의 입력을 끝내는 것으로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른 문자 입력을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도수를 계산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문장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 제1항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문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060105672A 2006-10-30 2006-10-30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082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72A KR100827638B1 (ko) 2006-10-30 2006-10-30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72A KR100827638B1 (ko) 2006-10-30 2006-10-30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895A true KR20060117895A (ko) 2006-11-17
KR100827638B1 KR100827638B1 (ko) 2008-05-07

Family

ID=3770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672A KR100827638B1 (ko) 2006-10-30 2006-10-30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6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998A (ja) 1998-08-28 2000-03-14 Kazuo Ishikawa 文字入力装置
KR20050051829A (ko) * 2003-11-28 2005-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확률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0856268B1 (ko) * 2004-07-13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에서 영문 글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33878B1 (ko) * 2004-07-29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온도 보정 피어스 펀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638B1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87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EP18353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CN102119375B (zh) 单词输入方法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827638B1 (ko) 빠른 문자입력을 위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CN100464285C (zh) 手机码手机输入平台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664651B1 (ko) 키패드 장치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66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626680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412571B1 (ko)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484224B1 (ko) 소형키패드를 갖는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88974A (ko) 키 사용 빈도에 따라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qwerty 키패드
KR200407401Y1 (ko) 한글입력장치
KR100741639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980013177A (ko)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