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760A -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 Google Patents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760A
KR20060117760A KR1020050040292A KR20050040292A KR20060117760A KR 20060117760 A KR20060117760 A KR 20060117760A KR 1020050040292 A KR1020050040292 A KR 1020050040292A KR 20050040292 A KR20050040292 A KR 20050040292A KR 20060117760 A KR20060117760 A KR 20060117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oad
water
firewall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550B1 (ko
Inventor
김근환
Original Assignee
김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광 filed Critical 김호광
Priority to KR102005004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55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은 차량이 소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도로면; 상기 도로면의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화벽; 상기 방화벽 상단으로 연장 설치되어 고공에서 소방수가 살수될 수 있도록 한 고공 살수관; 상기 고공 살수관에 소방수를 공급하거나 별도의 소방호수 연결이 가능하도록 된 복수개의 소화전; 및 상기 복수개의 소화전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위해 도로면 중앙에 형성되는 급수관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산림에 근접한 인가나 사찰 등과 같은 방호 시설의 적정 반경 내에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도로를 설치함으로서, 방화벽에 의해 잔불이 번지 것이 차단되고, 소방도로를 따라 다수 개의 고공 살수관이 설치되도록 하여 원격제어에 의한 소화망을 형성함으로써, 고목을 타고 번지는 불의 이동경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등 산림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불을 초기에 진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시스템{ fire wall Structure and fire-fighting system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구조물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산림지역에서의 소방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방화벽 구조물 110: 도로면
120: 방화벽 130: 살수관
140: 소화전 150: 급수관로
A: 방호지역 B: 소방도로
C: 연결로
본 발명은 산림지역에 근접한 인가나 사찰 등과 같은 방호 시설의 적정 반경 내에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도로를 설치함으로서, 방화벽에 의해 잔불이 번지 것이 차단되고, 소방도로를 따라 다수 개의 고공 살수관이 설치되도록 하여 원 격제어에 의한 소화망을 형성함으로써, 초기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대형 산불로 인해 오랜 세월 가꾸어온 산림이 파괴되고, 나아가 민가나 가축, 인명이 피해를 입거나, 소중한 문화유산 등이 소실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산림화재는 사람의 부주의로 인한 것이 80% 이상으로 특히, 관계습도가 가장 낮은 3~5월 사이에 연간 산불 발생 총건수의 78%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3~5월과 11월을 산불경방기간(警防期間)으로 정하고, 산불예방 및 진화에 철저를 기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미 발생된 대형 산불 앞에서는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로는 울창한 산림지역 내에 산불이 발생할 경우, 소방도로가 없어 소방차량의 진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진화 인력이 투입되어 진화작업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항공기를 이용한 진화작업에 대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고가의 항공장비를 구입하여 보유하는데 재정적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항공장비를 적시에 투입해야 하는 등의 운용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초기 진화는 물론 소방용 차량이나 진화인력을 현장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원적 소방시스템의 제안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림에 근접한 인가나 사찰 등과 같은 방호 시설의 적정 반경 내에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도로를 설치함으로서, 방화벽에 의해 잔불이 번지 것이 차단되고, 소방도로를 따라 다수 개의 고공 살수관이 설치되도록 하여 원격제어에 의한 소화망을 형성함으로써, 고목을 타고 번지는 불의 이동경로가 차단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울창한 산림지역에서의 산불 발생 시, 소방용 차량이나 진화인력을 현장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소방도로의 방화벽에 설치된 소화전에서 직접 소방호스를 연결시켜 진화작업에 나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방수의 원할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방도로를 거점으로 한 안전한 진화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위급상황에서 인명이나 차량 등의 장비를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수관 설비를 산림방제 작업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이나 항공장비를 이용한 방제작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은 차량이 소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도로면; 상기 도로 면의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화벽; 상기 방화벽 상단으로 연장 설치되어 고공에서 소방수가 살수될 수 있도록 한 고공 살수관; 상기 고공 살수관에 소방수를 공급하거나 별도의 소방호수 연결이 가능하도록 된 복수개의 소화전; 및 상기 복수개의 소화전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위해 도로면 중앙에 형성되는 급수관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로면이 20~40M 폭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벽의 높이는 소방용 차량의 높이보다 높은 3~4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수관 상측 끝단에서 소방수가 일정각도 비산되도록 하여 방화벽 전방에 소화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시스템은 방호시설지역의 적정반경 내에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도로를 형성하고, 상기 소방도로를 따라 급수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소방도로를 따라 적정 간격 배치된 살수관을 통해 고공에서 분사되도록 하여 소화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방도로는 방호시설지역으로부터 동심원 상에 다중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중설치 되는 각각의 소방도로는 연결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구조물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100)은 차량이 소통될 수 있도록 도로면(110)을 형성하는데, 상기 도로면(110)의 폭은 불씨가 바람에 날려 이동되는 것을 최소한 방지하기 위해 대략 20~40M 폭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도로면(110)의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는 각각 수직하게 방화벽(120)이 세워지도록 한다.
상기 방화벽(120)은 덤불이나 낙엽을 통해 이동되는 비교적 낮은 불(잔불)을 막는 역할을 하거나, 방화벽(120) 안쪽의 인명이나, 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소방용 차량의 높이보다 높은 3~4M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화벽(120) 상단으로 고공 살수(撒水)관(130)이 연장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공 살수관(130)은 방화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로 제작되고, 고공 즉, 상기 파이프 끝단에서 방화수가 일정각도 비산되어 살수되도록 하여 방화벽 전방에 광범위한 소화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공 살수관(130)은 키가 비교적 큰 고목을 타고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적어도 20M 이상의 높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공 살수관(130)에 방화수(소방수)를 공급하거나 별도의 소방호수 연결이 가능하도록 된 복수개의 소화전(140)을 방화벽(120) 내측 하단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소화전(140)과 고공 살수관(13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로 떨어져 각각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소화전은 고공 살수관(130)으로 진화되지 않는 곳을 소방호스를 연결시켜 소방인력이 직접진화에 나설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소화전(140)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위해 도로면 아래측 중앙을 따라 급수관로(15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급수관로(150)는 또다른 방화벽 구조물(100)의 급수관로(150)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상수도관이나 가압설비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산림지역에서의 소방시스템을 보인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산림지역에 인접한 인가나 사찰과 같은 시설물을 산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갖는 것으로서,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방화벽 구조물(100)을 이용해 방호시설지역(A)의 적정반경 내에 소방도로를 구축하도록 한다. 상기 소방도로는 방호시설지역을 중심으로 반원형 또는 원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도로(B)는 필요에 따라 방호시설지역(A)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다중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호시설지역(A)으로부터 소방도로(B)까지의 거 리를 0.5 ~ 1k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중 소방도로 간의 거리 또한 1 ~ 2km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소방도로(B) 망이 형성되면, 상기 소방도로(B)를 따라 형성된 급수관로(150)를 따라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소방수는 별도의 상수도관이나 가압시설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이때, 상기 소방도로(B) 망을 따라 형성된 급수관로(150)를 통해 고공 살수관(130) 및 소화전(140)으로 소방수가 공급되고, 화재 시, 조기 감지시스템이 작동되어 고공 살수관(130)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거나, 감지시스템으로부터 경보를 받은 관리자에 의한 상황 판단에 의해 선별적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공 살수관(130)은 공중에서 비산되는 소방수를 이용해 방화벽(120) 전면에 소화망을 형성하고, 특히 키가 큰 고목을 타고 번지는 불을 진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다중설치 되는 각각의 소방도로(B) 사이에는 연결로(C)가 설치되어 야생동물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은 산림에 근접한 인가나 사찰 등과 같은 방호 시설의 적정 반경 내에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도로를 설치함으로서, 방화벽에 의해 잔불이 번지 것이 차단되고, 소방도로를 따라 다수 개의 고공 살수관이 설치되도록 하여 원격제어에 의한 소화망을 형성함으로써, 고목을 타고 번지는 불의 이동경로가 차 단되도록 하는 등 산림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불을 초기에 진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창한 산림지역에서의 산불 발생 시, 소방용 차량이나 진화인력을 현장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소방도로의 방화벽에 설치된 소화전에서 직접 소방호스를 연결시켜 진화작업에 나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수문제가 해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방도로를 거점으로 한 안전한 진화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위급상황에서 인명이나 차량 등의 장비를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수관 설비를 산림방제 작업에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력이나 항공장비를 이용한 방제작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차량이 소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도로면;
    상기 도로면의 마주보는 양측 끝단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지는 방화벽;
    상기 방화벽 상단으로 연장 설치되어 고공에서 소방수가 살수될 수 있도록 한 고공 살수관;
    상기 고공 살수관에 소방수를 공급하거나 별도의 소방호수 연결이 가능하도록 된 복수개의 소화전; 및
    상기 복수개의 소화전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위해 도로면 중앙에 형성되는 급수관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면이 20~40M 폭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의 높이는 소방용 차량의 높이보다 높은 3~4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 상측 끝단에서 소방수가 일정각도 비산되도록 하여 방화벽 전방에 소화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5. 방호시설지역의 적정반경 내에 상기 1항에 따른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도로를 형성하고, 상기 소방도로를 따라 급수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수가 소방도로를 따라 적정 간격 배치된 살수관을 통해 고공에서 분사되도록 하여 소화망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도로는 방호시설지역으로부터 동심원 상에 다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설치 되는 소방도로는 수직방향의 연결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KR1020050040292A 2005-05-13 2005-05-13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KR10068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92A KR100683550B1 (ko) 2005-05-13 2005-05-13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92A KR100683550B1 (ko) 2005-05-13 2005-05-13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60A true KR20060117760A (ko) 2006-11-17
KR100683550B1 KR100683550B1 (ko) 2007-02-15

Family

ID=3770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92A KR100683550B1 (ko) 2005-05-13 2005-05-13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5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856B1 (ko) * 1989-08-28 1992-12-19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레인지에서의 데이타 초기화 방법
JP3357923B2 (ja) * 1992-06-10 2002-12-16 充弘 藤原 消火システム
JPH10155926A (ja) 1996-11-28 1998-06-16 Nohmi Bosai Ltd 防災樹林帯設備
KR200209701Y1 (ko) * 2000-07-20 2001-01-15 이성문 산불 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550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76212A (en) Fire-shielding device
US20100070097A1 (en) Remotely controlled fire protection system
WO2014127604A1 (zh) 全自动森林灭火工程设备
KR20070106398A (ko) 대형화재 초기진화 및 인명구조를 위한 소방방재 시스템.
KR100981287B1 (ko) 산불 초기진화장치
CN104027922A (zh) 大型罐区储罐火灾水幕喷淋防护系统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CN205177260U (zh) 烟火模拟训练装置
KR101423877B1 (ko) 분기형 스프링클러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CN105363154B (zh) 嵌入式可伸缩火灾救援设备
KR100683550B1 (ko) 산림지역의 소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방화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소방방법
US20070056753A1 (en) System for the control and extinction of forest fires
CN217661191U (zh) 水喷雾自动灭火装置及火灾报警灭火联动系统
US6719214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US20140374127A1 (en) System for self-protection against forest fires in an urban forest interface
CN211215069U (zh) 一种林业用防火报警设备
KR20070031974A (ko) 대형산불 초기진화를 위한 소방관창 및 진화방법
KR102508165B1 (ko) 산불 초기 진압이 가능한 등산로 가이드레일 구조
CN103055460B (zh) 用于敞开式室内文物遗址的高压细水雾灭火系统
CN218129675U (zh) 工业园区消防系统及应急救援系统
CN108905027A (zh) 一种特殊的多功能消防动力车
CN106730550A (zh) 一种具有监控和定位功能的玻璃退火车间消防栓理器器栓理器
CN218685816U (zh) 一种森林火灾灭火设施
CN201612965U (zh) 消防喷淋复合管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