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758A -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 Google Patents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758A
KR20060117758A KR1020050040290A KR20050040290A KR20060117758A KR 20060117758 A KR20060117758 A KR 20060117758A KR 1020050040290 A KR1020050040290 A KR 1020050040290A KR 20050040290 A KR20050040290 A KR 20050040290A KR 20060117758 A KR20060117758 A KR 2006011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oil
water
infrared
nea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로
Original Assignee
삼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758A/ko
Publication of KR2006011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및 유성도료 건조 시 도장부스의 급/배기 시스템과 근적외선 건조장치의 혼용을 통해 상호간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최적의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종 유성 및 수성 도료를 사용하여 도장작업 후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유성도료배기장치(3) 및 수성도료배기장치(3a)를 통하여 연통되는 가온실상에는 팬과 버너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온실은 급기장치(5)를 통하여 다시 열풍을 도장부스(1)의 건조실(4)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통상의 도장부스(1)의 건조실(4) 내부에서 피건조물을 건조하되, 상기 건조실(4) 내부에 피건조물(17)을 투입하여 퍼티(putty)작업, 필러(filler)작업, 프라이머(primer)작업, 베이스 코트(base coat) 작업, 톱 코트(top coat) 작업, 광택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시에 거리 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근적외선히터(16)를 갖는 근적외선건조장치(2)를 가동하여 피건조물(17)과 50cm 정도의 거리에서 근적외선을 조사시켜 각각의 작업완료된 피건조물(17)을 신속 건조토록 한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도장부스의 대류방식과 근적외선 건조방식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동시 가동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수성 및 유성 도료의 건조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작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도장 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도장부스, 근적외선 건조장치, 무빙레일, 슬라이더

Description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Drying method and painting booth for distempers and oil paints utilizing near infrared ray}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
부스를 보인 상부 파절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
부스를 보인 상부 파절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
부스의 근적외선 건조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
부스의 근적외선 건조장치를 발췌한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도장부스 2: 근적외선 건조장치
3: 유성도료배기장치 3a: 수성도료배기장치
4: 건조실 5: 급기장치
6: 온도센서 6a: 거리센서
7: 무빙레일 8: 슬라이더
9: 1차 연결간 10: 죠인트
11: 2차 연결간 12: 죠인트
13: 3차 연결간 14: 죠인트
15: 4차 연결간 16: 근적외선히터
본 발명은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수성 및 유성도료 건조 시 도장부스의 급/배기 시스템과 근적외선 건조장치의 혼용을 통해 상호간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최적의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제품 표면에 도장, 열처리를 행하고자 할 시에 사용되는 도장부스 내에 피도장물을 투입한 후 도료를 스프레이 작업 후 60℃이상의 온도에서 20분 정도 열처리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도장부스 일측으로 연통되게 설치된 가온실상에는 버너와 팬이 설치되어 급기덕트를 통하여 공기를 가온시켜 소정 온도의 열풍을 급기하여 열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도장부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류방식은 건조속도가 빠른 유성도료의 건조에는 어느 정도 적합하지만, 수성도료를 건조할 경우, 건조속도가 약 5~6배 이상 늦어지며, 장시간의 표면가열로 인해 피건조물의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등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도장부스에서 피건조물의 건조작업을 수행할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의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기존 도장부스내에 대류방식과 근적외선 건조방식의 단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한 도장부스와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장부스의 급배기장치와 함께 근적외선 건조장치를 동시에 가동시켜 급기장치는 부스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고, 동절기에도 약 20℃정도의 온도로 건조가 행해질 수 있도록 하여 연료비 절감효과를 득할 수 있도록 하며, 근적외선 건조장치는 위치 및 각도조절수단 등에 의해 사각지대 없이 효율적인 건조작업이 가능토록 한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장부스(1)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배면구성도이며, 도 3,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근적외선 건조장치(2)를 발췌한 사시도 및 작용상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성도료배기장치(3) 및 수성도료배기장치(3a)를 통하여 연통되는 내부의 가온실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팬(fan)과 버너(burner)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온실은 급기장치(5)를 통하여 다시 열풍을 도장부스(1) 내부의 건조실(4)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구성된 도장부스(1)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4) 내부에는 근적외선 건조장치(2)가 설치되는 바, 상기 근적외선 건조장치(2)는 건조실(4) 상부에 설치되는 무빙레일(7)과, 상기 무빙레일(7) 상에서 좌우로 간격 조절될 수 있는 슬라이더(8)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8) 하측으로는 1차 연결간(9)이 일체 형성되고, 상기 1차 연결간(9)의 하단에는 죠인트(10)를 사용하여 2차 연결간(11)을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2차 연결간(11)의 단부에는 죠인트(12)를 사용하여 3차 연결간(13)을 연결하며, 3차 연결간(13)의 단부에 죠인트(14)를 사용하여 4차 연결간(15)을 연결하고, 4차 연결간(15)의 단부에 근적외선히터(16)를 구비한 근적외선 건조장치(2)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근적외선히터(16)에는 거리 및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6)와 거리센서(6a)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6)는 건조면의 온도가 최초설정온도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일시 정지되고 부저가 울리도록 하며, 거리센서(6a)는 건조면으로부터 거리변화에 따라 건조면적이 달라지므로, 작업자가 최초 설정한 건조거리를 벗어날 경우 부저를 통해 알리게 된다. 그리고 각 단계별 작업종료시마다 부저가 울리게 되며, 이러한 작업 전환 및 종료시 부저음을 울리게 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근적외선 히터(Near Infrared heater; 16)는 열없이 광속으로 사물에 열을 전달하는 아주 효율적 히팅 방식으로,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여 높은 경제성과 높은 열효율을 제공하며,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공기에 흡수되는 열의 손실이 없기 때문에 최고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달 유효거리 내에 있는 사람과 물체에만 열이 전달되며, 램프는 습기 찬 곳에서도 전기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평균 7,000~9,000hr 정도의 매우 긴 램프수명과 수명이 다할 때까지 동일한 수준의 열을 유지한다. 그리고 연소 부산물(석유 및 가스냄새, 그을음 등)이 전혀 없으며, 공기와 먼지의 움직임이 없고, 찬 공기나 바람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그리고 산소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환기를 시킬 필요가 없는 등 다수의 특징을 갖는 매우 유효적절한 건조수단인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17은 피건조물, 18은 컨트롤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피도장물에 유성 또는 수성도료로 도장을 행한 피건조물(17)에 건조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피건조물(17)을 도장부스(1)에 투입한 후 컨트롤러(18)를 사용하여 급기장치(5) 및 유성 및 수성도료배기장치(3,3a), 근적외선 건조장치(2)를 동시에 가동시킨다.
급기장치(5)는 건조실(4)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해주고, 겨울철 약 20℃정도의 온도만 유지해 주면되므로, 풍량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기존 대류방식에 비해 아주 작은 용량의 버너를 사용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근적외선 건조장치(2)는 건조실(4) 내부에서 건조작업 전에 피건조물(17)의 건조부위와 약 50cm 정도의 거리에 맞추어 무빙레일(7)상에서 슬라이더(8)를 수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한 후 1차 및 4차 연결간(9,11,13,15)을 각각 죠인트(10,12,14)를 기점으로 하여 각도 조절하여 피건조물(17)에 근적외선히터(16)에서 발산되는 근적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후 건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근적외선 건조장치(2)에 설치된 온도센서(6) 및 거리센서(6a)는 피건조물(17)의 온도 및 거리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가장 효율적인 조사 위치에서 근적외선 건조장치(2)를 작동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건조장치(2)를 이용한 건조프로그램은 다음의 6가지로 이루어지며, 건조프로그램의 선택은 다이얼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1) Putty (근적외선 건조 1분): 최대 출력의 70%
(2) Filler (근적외선 건조 1~2분): 최대 출력의 80%
(3) Primer(하도) (근적외선 건조 2~3분): 최대 출력의 80%
(4) Base coat(중도) (근적외선 건조 2~3분): 최대 출력의 80%
(5) Top coat[Bright(밝은상도), Medium(중간상도), Dark(어두운상도)(근적외선 건조 3~4분): 각각 최대출력의 100%, 90%, 80%
(6) 광택 (근적외선 건조 3~4분): 최대출력의 90%
이러한 건조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건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Putty 작업 → Putty 건조버튼 선택, Filler 작업 → Filler 건조버튼 선택, Primer(하도) 작업 → Primer 건조버튼 선택, Base coat(중도) 작업 → base coat 건조버튼 선택, Top coat(상도) 작업 → Top coat 건조버튼 선택, 광택작업 → 광택 건조버튼 선택을 하여 건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 건조방법은 기존 도장부스의 대류방식과 근적외선 건조방식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동시 가동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수성 및 유성 도료의 건조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작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도장 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각종 유성 및 수성 도료를 사용하여 도장작업 후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유성도료배기장치(3) 및 수성도료배기장치(3a)를 통하여 연통되는 가온실상에는 팬과 버너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온실은 급기장치(5)를 통하여 다시 열풍을 도장부스(1)의 건조실(4)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통상의 도장부스(1)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4)상에 설치되는 근적외선 건조장치(2)와,
    상기 근적외선 건조장치(2)는 건조실(4)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무빙레일(7)과,
    상기 무빙레일(7) 상에서 좌우로 거리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8)와,
    상기 슬라이더(8) 하측으로 일체 형성되는 1차 연결간(9)과,
    상기 1차 연결간(9)의 하단에 죠인트(10)로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2차 연결간(11)과,
    상기 2차 연결간(11)의 단부에 죠인트(12)로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한 3차 연결간(13)과,
    상기 3차 연결간(13)의 양단부에 죠인트(14)로 연결되어 조절이 가능한 4차 연결간(15)과,
    상기 4차 연결간(15)의 단부에 온도센서(6) 및 거리센서(6a)를 장착한 근적 외선히터(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2. 각종 유성 및 수성 도료를 사용하여 도장작업 후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유성도료배기장치(3) 및 수성도료배기장치(3a)를 통하여 연통되는 가온실상에는 팬과 버너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가온실은 급기장치(5)를 통하여 다시 열풍을 도장부스(1)의 건조실(4)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통상의 도장부스(1)의 건조실(4) 내부에서 피건조물을 건조함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4) 내부에 피건조물(17)을 투입하여 퍼티(putty)작업, 필러(filler)작업, 프라이머(primer)작업, 베이스 코트(base coat) 작업, 톱 코트(top coat) 작업, 광택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시에 거리 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근적외선히터(16)를 갖는 근적외선건조장치(2)를 가동하여 피건조물(17)과 50cm 정도의 거리에서 근적외선을 조사시켜 각각의 작업완료된 피건조물(17)을 신속 건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의 건조방법.
KR1020050040290A 2005-05-13 2005-05-13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KR20060117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90A KR20060117758A (ko) 2005-05-13 2005-05-13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90A KR20060117758A (ko) 2005-05-13 2005-05-13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58A true KR20060117758A (ko) 2006-11-17

Family

ID=3770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90A KR20060117758A (ko) 2005-05-13 2005-05-13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7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24B1 (ko) * 2006-11-14 2007-09-06 주식회사 오토기기 분체도장설비의 건조장치
KR100830228B1 (ko) * 2007-04-03 2008-05-19 주식회사 에이,에스,텍 수성 및 유성페인트 겸용 도장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24B1 (ko) * 2006-11-14 2007-09-06 주식회사 오토기기 분체도장설비의 건조장치
KR100830228B1 (ko) * 2007-04-03 2008-05-19 주식회사 에이,에스,텍 수성 및 유성페인트 겸용 도장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8408B (zh) 并联式打磨、喷漆、烘干钣喷系统
US9513057B2 (en) Radiant convection oven
CN105903660A (zh) 水性单涂层工艺烘干炉
MX2008014968A (es) Horno de combustion-conveccion.
KR101434622B1 (ko) 도장설비의 급기장치 및 급기 방법
AU20052023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glass panels
KR20060117758A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유성, 수성도료 겸용 도장부스 및건조방법
CN106399661A (zh) 立式带钢喷气热处理装置及方法
CN106975587A (zh) 多用途烘干炉及面漆工艺控制系统
CN100390085C (zh) 用于弯曲玻璃板的方法和炉子
CN208050238U (zh) 一种车轮喷塑生产线
CN211012141U (zh) 一种汽车消毒烘干房
EP1602413B1 (en) Spray booth with hybrid electrical heating
CN206897771U (zh) 一种立式喷涂固化炉
KR100755924B1 (ko) 분체도장설비의 건조장치
KR100725427B1 (ko) 원적외선 히터 도장 건조 장치
KR100632131B1 (ko) 자동차 도장 열처리 설비
IT8323074A1 (it) Apparecchio di riscaldamento ad aria per fabbricati od abitazioni
WO1981000448A1 (en) A method of supplying heat to a drying room and a drying roo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04294474U (zh) 一种彩涂焚烧炉加热系统
KR102123648B1 (ko) 냉방기를 갖는 급기장치와 여과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용 도장부스
CN209214285U (zh) 一种涂装烘干炉用天然气直接加热装置
CN106642451A (zh) 涂装车间用空调器系统
CN100391630C (zh) 层叠式换热器板翅清洗喷涂工艺及其所采用的设备
KR200355132Y1 (ko)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