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586A -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586A
KR20060117586A KR20050039523A KR20050039523A KR20060117586A KR 20060117586 A KR20060117586 A KR 20060117586A KR 20050039523 A KR20050039523 A KR 20050039523A KR 20050039523 A KR20050039523 A KR 20050039523A KR 20060117586 A KR20060117586 A KR 2006011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ession
packet
tunnel
ipv4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3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허지영
김선기
김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3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586A/ko
Priority to JP2006130573A priority patent/JP2006319979A/ja
Priority to US11/431,520 priority patent/US20060259608A1/en
Priority to DE200660002058 priority patent/DE602006002058D1/de
Priority to EP20060009783 priority patent/EP1722524B1/en
Publication of KR2006011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2Multiprotocol ro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5Involving tunnels, e.g.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91Mapping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at intermediate nodes, e.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3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 H04L47/785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among multiple network domains, e.g. multilateral agreements
    • H04L47/786Mapping reservation between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12/00Encapsulation of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IPv4/IPv6 통합망에서 RSVP에 따라 터널링 방법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 터널 구간에서 IPv6 헤더의 Flow Label 필드를 통해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패킷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Description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acket processing in IPv4/IPv6 combination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RSVP의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RSVP의 NODE_CHAR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다수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SVP의 경로 메시지의 전송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6 헤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망에서 RSVP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망의 종단간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종단간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 송신 종단 200, 210 : 수신 종단
300, 310, 320 : 노드
본 발명은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IPv4/IPv6 통합망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터널 세션을 구별하기 위한 IP/UDP 헤더의 캡슐화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정보화 사회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VoIP(Voice of IP) 및 인터넷 TV와 같이 실시간으로 고품질 서비스의 개발로 인하여, 인터넷을 통해 교환되는 트래픽도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트래픽에서 음성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트래픽으로 변화하고, 트래픽의 양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트래픽은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는 전송 지연이나 지터(Jitter)에 큰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현재 구축되어 있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기반의 인터넷은 급격히 증가하는 호스트와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하여 작은 주소 정보와 복잡한 헤더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하여 트래픽을 처리하는 라우터 및 노드의 처리 속도가 지연되어, 전체 인터넷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IPv4 기반의 인터넷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는 128 비트의 확장된 주소 체계와 단순화된 헤더 구조, 향상된 QoS 및 강화된 보안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인터넷은 IPv4 망으로 구축되어 널리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한 순간에 IPv6 망으로 전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IPv4 망과 IPv6 망이 공존하면서 점차적으로 IPv6 망으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으로 IPv6 망을 구축하게 위해서는 IPv6 호스트나 라우터가 현재 구축되어 있는 IPv4 망의 IPv4 호스트 및 라우터들과의 공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음성, 비디오 및 데이터와 같이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트래픽들에게 각 트래픽들이 요구하는 QoS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IPv4 망과 IPv6 망이 혼재된 IPv4/IPv6 통합망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위한 QoS를 종단간에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의 정의가 요구된다.
IPv4 호스트 및 라우터와, IPv6 호스트 및 라우터가 혼재된 IPv4/IPv6 통합망에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고안되었는데, 이중 스택(dual stack)을 이용하는 방법, 헤더 변환(header translation)방법, 터널링(tunneling)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이중 스택(dual stack)을 이용하는 방법은 IPv6 망으로 완전하게 이전하기 전에 모든 호스트 및 라우터가 이중 스택(dual stack) 프로토콜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터넷의 모든 시스템이 IPv6를 사용할 때까지 IPv4와 IPv6를 동시에 운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헤더 변환(header translation) 방법은 대부분의 인터넷이 IPv6를 사용하지만 아직도 일부 시스템이 IPv4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한 방법이다. 즉, 송신자는 IPv6를 사용하기 원하나 수신자는 IPv6를 이해하지 못할 때 송신자가 IPv6 패킷의 헤더를 IPv4 헤더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이다.
터널링(tunneling) 방법은 IPv6를 사용하는 두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려고 하는데 IPv4를 사용하는 영역을 통과해야만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즉 IPv6 패킷이 IPv4를 사용하는 영역에 들어갈 때 IPv6 패킷을 IPv4 패킷 내에 캡슐화하였다가 IPv4 영역을 빠져나올 때 탈캡슐화하는 방법이다.
IPv4/IPv6 통합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터널링 방법 중 하나의 규약인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는 IP 계층에서 서로 다른 QoS를 요구하는 트래픽들을 수용하기 위해 미리 망 자원을 예약하는 프로토콜이다.
RSVP는 한 사용자가 송신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일종의 가상 회선인 플로우 (flow)를 개설하고 송신지와 목적지 사이에 모든 라우터들이 플로우별로 필요한 자원을 예약하여 QoS를 보장하는 플로우 기반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플로우는 동일한 소스(source) 주소 정보, 목적지(destination) 주소 정보와, 소스 포트 정보, 목적지 포트 정보와 동일한 세션 식별(IDentifier) 정보를 가지는 패킷의 모임을 의미한다.
현재 RSVP에서는 터널을 포함하는 경로 상에서 종단간 RSVP를 지원하기 위해 한 플로우에 대한 RSVP 세션을 종단-대-종단(end-to-end) 세션과 터널 세션으로 나누어 두 세션을 맵핑시키고, 각 세션에 대한 자원 예약을 별도로 수행함으로써, 터널 내에서도 종단간 세션과 동일한 자원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RSVP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플로우가 요구하는 QoS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IntServ(Integrated Services) 모델에서 종단간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예약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이다.
RSVP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라우팅 프로토콜 등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의 상위에서 동작한다.
유니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 데이터 플로우에 대해 자원을 예약하는 RSVP는 목적지 IP 주소 정보, 전송(Transport) 계층 프로토콜과 선택적으로 목적지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각 패킷 흐름에 대한 세션을 정의하고, 소스 주소 정보와 선택적으로 소스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세션의 서브-플로우(sub-flow)를 정의한다.
플로우의 송신 종단은 이와 같은 세션과 서버-플로우를 초기화한 후, 목적지까지 자원이 예약되는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서 경로(Path) 메시지를 전송한다.
Path 메시지에는 세션 정보가 포함되는 'SESSION 오브젝트', 전송되는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RSVP_HOP 오브젝트' 및 서브-플로우를 정의하는 'Sender_Templeate'와, 플로우의 트래픽 특성을 정의하는 'Sender Tspec'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Path 메시지는 Route Alert IP 옵션을 포함하여 목적지인 수신 종단을 향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송신 종단에서 수신 종단까지의 경로 상에 있는 모든 노드를 경유하여 RSVP를 지원하는 노드에 의해 처리된다.
만일 중간 노드에서 경로 설정에 대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해당 중간 노드는 Path 메시지를 제거하고, 이전 노드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로 에러(PathErr)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 중간 노드는 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플로우에 대한 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Path 메시지를 다음 노드로 전달한다.
수신 종단은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플로우에 대한 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요구하는 QoS에 대한 자원을 요청하는 예약(Resv) 메시지를 Path 메시지를 통해 설정된 경로 정보에 따라 홉-바이-홉으로 송신 종단에 전송한다.
Resv 메시지에는 'SESSION 오브젝트', 'RSVP_HOP 오브젝트', 요구하는 QoS를 정의하는 'Flow spec'과 서브-플로우를 구별하기 위한 'Filter spec' 등이 포함된다.
RSVP를 지원하는 노드, 즉, Path 메시지를 통해 경로가 설정되는 모든 노드 는 홉-바이-홉으로 전송되는 Resv 메시지에 의해 요청되는 자원 예약 요청이 수락/거절하게 된다. 노드가 자원 예약 요청을 수락되는 경우에는 Path 메시지에 의해 설정된 경로에 따라 다음 노드로 Resv 메시지를 전송하고, 거절하는 경우에는 수신 종단에 예약 에러(ResvErr)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자원 예약 요청에 실패했음을 알린다.
현재 RSVP에서는 세션과, 서브-플로우를 구별하기 위해 IP 주소 정보와 포트 정보를 사용하고, 보안 등과 같은 이유로 포트 정보를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에 대비하여 IPv6 헤더의 IP 주소 정보와 플로우 레벨(flow label) 필드를 사용하여 서브-필드를 구별하는 'FILTER_SPEC' 또는 'SENDER_TEMPLATE 오브젝트' 형식을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RFC 2746'에는 터널이 설정된 경로 상에서 종단간 RSVP를 지원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기본적인 방식은 RSVP 메시지, 즉 Path 메시지 및 Resv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종단간 RSVP 메시지의 전송뿐만 아니라 터널 구간을 위한 RSVP 메시지를 따로 전송함으로써 터널 구간 내에 경로 설정과 자원 예약을 수행하고 터널 구간 내에 설정된 자원 예약과 터널 구간 외에 설정된 자원 예약을 맵핑함으로써 터널을 포함한 종단간에 자원 예약을 수행한다. 'RFC 2746'에서는 이러한 메커니즘을 위해 'SESSION_ASSOC'과 'NODE_CHAR 오브젝트'를 새로이 정의하였다.
'SESSION_ASSOC 오브젝트'는 터널 세션과 종단간 세션의 맵핑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RSVP의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SSION_ASSOC 오브젝트'에는 길이 정보를 가지는 길이(Length) 필드와, 종류 정보를 가지는 클래스(Class) 필드와, 타입 정보를 가지는 타입 필드와, 종단간 세션 정보를 가지는 'SESSION 오브젝트' 필드와 터널 세션 정보를 가지는 'FILTER_SPEC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SESSION_ASSOC 오브젝트'는 송신 종단에서 수신 종단으로 전송되는 Path 메시지에 포함된다.
그리고, 'NODE_CHAR 오브젝트'는 터널 구간의 마지막 노드가 터널 구간의 시작 노드에게 'RFC 2746'에서 정의된 터널 RSVP 메커니즘을 지원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RSVP의 NODE_CHAR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구간의 마지막 노드가 터널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을 경우에 수신 종단으로부터 송신 종단으로 전송되는 Resv 메시지의 'NODE_CHAR 오브젝트'에 RSVP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T bit'를 설정하여 전송한다.
도 3은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송신 종단(S1)(10)과 수신 종단(D1)(20)은 IPv4 망에 포함되고, 시작 노드인 Rentry(31) 및 마지막 노드인 Rexit(32)간 설정되는 터널은 IPv6 망에 포함된다.
그리고, 송신 종단(10)과 제 1 노드(31), 제 1 노드(31)와 마지막 노드(32), 그리고 마지막 노드(32)와 수신 종단(20)까지의 경로 상의 라우터 및 노드들은 생략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일례를 들어, 송신 종단(10)은 수신 종단(20)으로 10Mbps로 트래픽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단간에 10M의 대역폭을 예약하기 위하여, RSVP에 따른 종단간 Path 메시지를 수신 종단(20)으로 전송한다.
송신 종단(10)은 IP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 주소 정보인 'S_IP', 목적지 주소 정보를 수신 종단(20)의 IP 주소 정보인 'D_IP'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10)은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에 목적지 주소 정보인 'D_IP', 목적지 포트 정보인 'D_Port'로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주소 정보인 'S_IP', 소스 포트 정보를 자신의 포트 정보인 'S_Port'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종단간 Path 메시지는 'Router Alert IP 옵션'을 포함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송신 종단(10)과 수신 종단(20) 사이의 RSVP를 지원하는 모든 라우터에 의해 처리된다.
그리고, 터널의 시작 노드인 Rentry(31)는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터널의 마지막 노드인 Rexit(32)가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 상태를 저장하고, Path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Rexit(32)로 전송한다.
Rexit(32)는 수신되는 캡슐화된 Path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Path 메시지를 수신 종단(20)으로 전송한다.
수신 종단(20)은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Resv 메시지를 홉-바이-홉으로 송신 종단(10)으로 전송한다.
도 4는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 종단(20)은 IP 헤더(Hdr)의 소스 주소 정보를 'D_IP', 목적지 주소 정보를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업스트림 노드(Next_Hop)인 Rexit(32)의 IP 주소 정보로 설정하고, RSVP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는 Path 메시지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FILTER SPEC 오브젝트'는 Path 메시지의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시켜 Rexit(32)로 전송한다.
Rwxit(32)는 수신 종단(20)으로부터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 상태 예약하고,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이 없으므로 Rentry(31)에게 터널 RSVP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T bit'가 설정된 'NODE_CAHR 오브젝트'를 Resv 메시지에 추가한 이후에 Resv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Rentry(31)로 전송한다.
Rentry(31)는 수신되는 Resv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NODE_CHAR'을 제거한 이후에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을 예약한다. 그리고, Rentry(31)는 'NODE_CHAR'가 제거된 Resv 메시지를 송신 종단(10)으로 전송한다.
이때, Rentry(31)가 터널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다면, Rentry(31)는 Resv 메시지를 업링크로 송신 종단(10)으로 전송하면서 터널 Path 메시지를 Rexit 로 전송한다.
도 5는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널의 시작 노드인 Rentry(31)는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생성하고, 터널 내의 자원을 예약할 수 있도록 터널 Path 메시지(Tunnel Path message)와 경로 상의 변경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종단간 Path 메시지(E to E Path message)를 Rexit(32)로 전송한다.
터널 Path 메시지의 송신 노드는 Rentry(31)이고, 수신 노드(32)는 Rexit이므로, IP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는 Rentry(31)의 주소 정보인 'Entry_IP', 목적지 주소 정보는 'Exit_IP'로 설정되고, 'SESSION 오브젝트'의 목적지 주소 정보는 'Exit_IP', 목적지 포트 정보는 일례를 들어, '363'가 설정된다.
그리고, 터널 Path 메시지의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소스 주소 정보는 'Entry_IP', 소스 포트 정보는 터널 내에서 각 플로우를 구별하기 위해 Rentry(31)가 할당한 특정 값이 된다.
이와 같은, 터널 Path 메시지는 Rentry(31)와 Rexit(32)간에 설정되는 터널 내의 존재하는 RSVP를 지원할 수 있는 노드들이 터널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의 맵핑 정보를 전달하는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종단간 Path 메시지는 Rexit(32)가 터널 세션과 종단간 세션을 맵핑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Rexit(32)는 종단간 Psth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SSION_ASSOC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맵핑 정보를 설정하고,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제거한 이후에 수신 종단 향해서 터널 내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터널 Resv 메시지를 Rentry(31)로 전송한다.
도 6은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널 Resv 메시지의 IP 헤더에 포함되는 소스 주소 정보는 'Exit_IP', 목적지 주소 정보는 RSVP를 지원하는 Rexit(32)의 업스트림 노드(Next_hop)의 주소 정보로 설정된다.
그리고, 터널 Resv 메시지에서 'SESSION 오브젝트'의 목적지 주소 정보는 'Exit_IP', 목적지 포트 정보는 '363'으로 설정되고, 'FILTER SPEC 오브젝트'의 소스 주소 정보는 'Entry_IP', 소스 포트 정보는 Rentry가 종단간 세션에 해당하는 터널 세션을 위해 할당한 값(200)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터널 Resv 메시지는 홉-바이-홉 방식으로 Rexit(32)와 Rentry(31)간 설정되는 터널 내의 RSVP를 지원할 수 있는 노드들로 전송되어, 각 노드들이 터널 자원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일반적인 IPv4/IPv6 통합 망에서 다수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송신 종단(10)이 제 1 수신 종단(20)으로 10Mbps 속 도로 패킷을 전송하는 자원을 예약하고, 제 2 송신 종단(10')이 제 2 수신 종단(20')으로 200 Mbps 속도로 패킷을 전송하는 자원을 예약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Rentry(31)는 제 1 송신 종단(10)과 제 2 송신 종간(10')에 설정된 터널 내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스 포트 정보를 각각 '200'과 '201'로 할당한다.
Rentry(31)는 제 1 송신 종단(10)으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면, 패킷의 IP 헤더와 UDP 헤더를 캡슐화하여 Rexit(32)로 전송한다.
이때, 캡슐화되는 패킷의 IP 헤더와 UDP 헤더의 목적지 포트 정보는 모든 세션에 대해 동일하며, UDP 헤더의 소스 포트 정보가 각 종단간 설정된 세션에 따라 다른 값이 설정되어 전송됨으로써, 터널 내의 RSVP를 지원할 수 있는 노드가 수신되는 패킷의 소스 포트 정보를 통해 각 세션에 구별하여 각 세션에 요구하는 QoS를 제공할 수 있다.
Rexit(32)는 수신되는 패킷의 IP 헤더와 UDP 헤더를 탈캡슐화하여 수신 종단(2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RFC 2746'에 정의되어 있는 RSVP 메커니즘은 터널 구간의 시작 노드와 마지막 노드가 종단간 호스트들을 대신하여 터널 구간에서 자원을 예약할 수 있는 터널 RSVP 메시지를 전송하고,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을 맵핑함으로써 터널을 포함하는 경로에서 종단간 RSVP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RSVP 메커니즘에서는 터널 세션의 송신 종단(10)의 IP 주소 정보, 목적지 IP 주소 정보 및 목적지 포트 정보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터널 세션의 소스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세션을 구별하고 있다.
따라서, 터널 구간을 지나는 모든 패킷들이 터널 구간에서 원하는 자원을 할당받기 위해서는 IP/UDP 헤더를 캡슐화해야 하는데, IP/UDP 캡슐화는 IP 캡슐화에 비해 오버헤드가 많이 발생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IPv4/IPv6 통합망에서 RSVP 메커니즘에 따라 패킷을 터널링할 때, 각 터널 세션을 구별하기 위하여 IP/UDP 캡슐화를 하지 않고, 각 패킷의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는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는,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에 따른 세션의 자원을 요청하는 경로 메시지를 제공하고,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설정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 호스트와, 송신 호스트로부터 경로 메시지가 제공되면,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 로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종단 세션으로 수신되는 패킷을 맵핑되는 터널 세션으로 전송하는 제 1 노드와, 제 1 노드와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터널 경로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따라 터널 세션으로 수신되는 패킷을 맵핑되는 종단 세션으로 전송하는 제 2 노드와, 각 노드를 통해 경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예약 메시지를 각 노드를 통해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여 종단 세션을 설정하는 수신 호스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에 위치하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터널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는, RSVP에 따라 패킷을 전송할 세션의 자원을 요청하는 경로 메시지를 제공하고, 자원이 예약되면,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제공하고,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 호스트와, 송신 호스트에 설정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와, 맵핑되는 종단 세션의 정보를 관리하면서 패킷이 수신되는 터널 세션에 맵핑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와, 노드를 통해 수신되는 경로 메시지에 따라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여,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호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은, 송신 호스트가 각 노드를 통해 RSVP에 따른 경로 메시지를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호스트가 경로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예약 메시지를 각 노드를 통해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노드가 예약 메시지를 수신하면, 각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각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각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노드가 송신 호스트로부터 패킷이 수신된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패킷에 포함시켜 해당 터널 세션을 통해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노드가 패킷의 식별 정보에 따라 터널 세션에 맵핑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수신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은, 제 1 노드가 수신되는 경로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노드가 경로 메시지를 탈캡슐화하여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호스트가 경로 메시지에 따라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예약 메시지를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노드가 예약 메시지에 RSVP 지원 가능 정보를 포함시킨 이후에 캡슐화하여 제 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노드가 예약 메시지에 포함된 RSVP 지원 가능 정보에 따라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노드가 터널 경로 메시지에 따라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터널 예약 메시지를 제 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은, 송신 호스트가 노드를 통해 RSVP에 따른 경로 메시지를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호스트가 경로 메시지에 따라 노드와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예약 메시지를 노드를 통해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송신 호스트가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노드와 설정한 이후에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송신 호스트가 패킷에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해당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을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노드가 패킷의 식별 정보에 따라 터널 세션에 맵핑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수신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은, 송신 호스트가 경로 메시지에 헤더를 캡슐화하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노드가 경로 메시지의 헤더를 탈캡슐화하여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시 노드가 수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메시지에 헤더를 캡슐화하여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패킷의 전송은, 노드가 각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송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터널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SVP의 경로 메시지의 전송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종단(Source1)(100)과 수신 종단(Destination1)(200)이 IPv4 호스트이고, 터널의 시작 노드인 제 1 노드(TEP #1)(310)와 마지막 노드인 제 2 노드(TEP #2)(320)는 듀얼 스택, 즉 IPv4/IPv6 스택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100)에서 제 1 노드(310)까지, 제 1 노드(310)에서 제 2 노드(320)까지, 제 2 노드(320)에서 수신 종단(200)까지 경로 상의 중간 노드들은 생략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송신 종단(100)은 IP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 주소 정보인 'S_IPv4', 목적지 주소 정보를 수신 종단(200)의 IP 주소 정보인 'D_IPv4'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100)은 RSVP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에 목적지 주소 정보인 'D_IPv4', 목적지 포트 정보인 'D_Port'로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주소 정보인 'S_IPv4', 소스 포트 정보를 자신의 포트 정보인 'S_Port'로 설정하여 종단간 경로(E to E Path Message)를 생성한다.
송신 종단(100)에서 생성된 종단간 Path 메시지는 'Router Alert IP 옵션'을 포함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송신 종단(100)과 수신 종단(200) 사이의 RSVP를 지원하는 모든 라우터에 의해 처리된다.
그리고, 터널의 시작 노드인 제 1 노드(310)는 종단간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터널의 마지막 노드인 제 2 노드(320)가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 상태를 저장하고, 종단간 Path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노드(310)는 IPv6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v6 주소 정보인 'TEP1_IPv6'로 설정하고, 목적지 주소 정보를 제 2 노드(320)의 IPv6 주소 정보인 'TEP2_IPv6'로 설정한다.
제 2 노드(320)는 수신되는 캡슐화된 종단간 Path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수신 종단(200)으로 전송한다.
수신 종단(200)은 종단간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종단간 Resv 메시지를 홉-바이-홉으로 송신 종단(100)에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 종단(200)은 IP 헤더(Hdr)의 소스 주소 정보를 'D_IPv4', 목적지 주소 정보를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업스트림 노드(Next_Hop)인 제 2 노드(320)의 IPv4 주소 정보인 'D_IPv4'로 설정하고, RSVP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는 Path 메시지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FILTER SPEC 오브젝트'는 Path 메시지의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시켜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
제 2 노드(320)는 수신 종단(200)으로부터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 상태 예약하고,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이 없으므로 제 1 노드(310)에게 터널 RSVP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T bit'가 설정된 'NODE_CAHR 오브젝트'를 Resv 메시지에 추가한 이후에 Resv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제 1 노드(310)로 전송한다.
제 1 노드(310)는 Resv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NODE_CHAR'을 제거한 이후에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을 예약한다. 그리고, 제 1 노드(310)는 'NODE_CHAR'가 제거된 Resv 메시지를 터널의 송신 종단(310)으로 전송한다.
제 1 노드(310)는 'NODE_CHAR 오브젝트'의 T 비트가 특정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터널의 마지막 노드인 제 2 노드(320)가 터널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Resv 메시지를 업링크로 송신 종단(100)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만들고 터널 Path 메시지를 제 2 노드(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노드(310)는 종단간 세션과,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정보를 매핑 테이블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노드(310)는 터널 Path 메시지의 IPv6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TEP1_IPv6'로 설정하고, 목적지 주소 정보를 제 2 노드의 IPv6주소인 'TEP2_IPv6'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 1 노드(310)는 'SESSION 오브젝트'에는 목적지 정보인 목적지 IP 주소 정보(D_IPv4)와, 목적지 포트 정보(D_Port)를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Flow Label' 값을 설정한다.
즉, 제 1 노드(310)는 'SESSION 오브젝트'에는 제 2 노드(320)의 IPv6 주소 정보인 목적지 주소 정보를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에는 소스 주소 정보를 'TEP1_IPv6'으로, 'Flow Label' 값을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2 노드(320)까지의 경로 상에 있는 RSVP를 지원하는 노드들이 해당 플로우에 대한 경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1 노드(310)는 제 2 노드(320)가 종단간 세션과,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맵핑 할 수 있도록 수신 종단(200)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저장한 종단간 세션의 'SESSION 오브젝트'와 제 1 노드(310)의 IP 주소 정보와 'flow label' 값을 저장한 터널 세션의 'FILTER_SPEC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종단간 Path 메시지에 추가하여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6 헤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IPv6 헤더는 버전(Version) 필드,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필드, 플로우 라벨(Flow Label) 필드, 패이로드 길이(Payload Length) 필드, 넥스트 헤더(Next Header) 필드, 홉 리미트(Hop Limit) 필드, 소스 주소(Source Address) 필드 및 목적지 주소(Destination) 필드로 구성된다.
버전 필드는 IP 버젼 넘버 정보가 포함되고, 트래픽 클래스 필드는 송신 디 바이스의 패킷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플로우 라벨 필드는 패킷 구조를 식별하기 위한 레이블 필드이고, 페이로드 길이 필드는 부호 없는 정수(Unsigned Interger)타입이며, IPv6 헤더의 나머지 숫자 정보를 포함한다.
즉, 플로우 라벨 필드는 IPv6에 새로 추가된 필드로써, 특정 패킷 플로우에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된 필드이다.
넥스트 헤더 필드는 IP 헤더 다음에 오는 헤더의 타입을 정의한다. 이러한 넥스트 헤더 필드 값들은 'RFC 1700'에 정의되어 있다.
홉 리미트 필드는 홉의 최대 경로 수를 정의하며, 부호 없는 정수형이고, 패킷이 전송될 때 각각의 노드에 의해 1씩 감소된다. 홉 리미트 필드 값이 '0'이 되면 패킷은 무시된다.
소스 주소 필드는 128비트의 송신 노드의 주소 정보이고, 목적지 주소 필드는 128비트의 패킷 수신 노드의 주소 정보이다.
따라서, 제 1 노드(310)는 터널 Path 메시지의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에는 소스 주소 정보와, 각 플로우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값, 예를 들어 '200'을 'Flow Label' 값으로 설정하여, 수신되는 패킷을 전송할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노드(320)는 캡슐화된 터널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탈캡슐화하고,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을 맵핑한다.
즉, 제 2 노드(320)는 'SESSION_ASSOC 오브젝트'의 터널 'FILTER_SPEC 오브 젝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세션을 만들고, 터널 세션을 종단간 'SESSION 오브젝트'에 정의된 종단간 세션과 맵핑한다.
그리고, 제 2 노드(320)는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제거한 이후에 목적지인 수신 종단(200)을 향해 다운 스트림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노드(320)가 터널 세션에 대한 터널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터널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고,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의 맵핑 정보를 이용해 종단간 세션에 해당하는 자원을 터널 세션에서 예약하기 위한 터널 Resv 메시지를 업스트림으로 제 1 노드(310)로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노드(320)는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v6 주소 정보인 'TEP2_IPv6', 목적지 주소 정보를 RSVP를 지원하는 업스트림 노드의 주소(Next_Hop)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 2 노드(320)는 'SESSION 오브젝트'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TEP2_IPv6'로 설정하고, 'FILTER SPEC 오브젝트'는 소스 주소 정보를 'TEP1_IPv6'로 설정하고, 'Flow Label' 값을 특정 값인 '200'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터널 Resv 메시지는 홉-바이-홉으로 전송되어, 터널내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RSVP를 지원하는 노드들이 터널 세션 자원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 노드(310)는 터널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위한 자원을 예약한다.
송신 종단(100)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세션의 자원이 예약되면, 패킷을 제 1 노드(310) 및 제 2 노드(320)를 통해 수신 종단(200)으로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 종단(100)은 생성되는 패킷을 제 1 노드(310)로 전송하고, 제 1 노드(310)는 수신되는 패킷을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IPv6 헤더로 캡슐화한다.
제 1 노드(310)는 IPv6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v6 주소 정보인 'TEP1_IPv6', 목적지 주소 정보를 제 2 노드의 IPv6 주소 정보인 'TEP2_IPv6', 'Flow Label' 값을 특정 값인 '20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터널의 경로 상에 RSVP를 지원하는 노드들은 수신되는 패킷의 IPv6 헤더의 'Flow Label' 값에 해당하는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터널 구간을 지나는 모든 패킷의 소스 주소 정보와 목적지 주소 정보는 'TEP1_IPv6'와 'TEP2_IPv6'로 모두 동일하고, 각 세션에 따라 상이한 'Flow Label' 값이 설정되기 때문에 RSVP를 지원하는 각 노드는 IP 헤더의 'Flow Label' 값에 따라 상이한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IPv4/IPv6 통합망에서 하나 이상의 세션 자원이 예약된 상태에서 터널 세션의 시작 노드(310)가 패킷이 수신되는 종단간 세션에 매핑되는 터널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패킷이 수신된 종단간 세션에 따라 상이한 특정 값을 'Flow Label'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기 다른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망에서 RSVP 메시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송신 종단(Source)은 종단간 Path 메시지(E to E Path Message)를 터널 세션의 시작 노드인 제 1 노드(310)로 전송한다(S 10).
송신 종단(100)은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에 목적지 주소 정보인 'D_IPv4', 목적지 포트 정보인 'D_Port'로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주소 정보인 'S_IPv4', 소스 포트 정보를 자신의 포트 정보인 'S_Port'로 설정한다.
제 1 노드(310)는 종단간 Psth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 상태를 저장하고, 종단간 Path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S 20).
제 2 노드(320)는 수신되는 캡슐화된 종단간 Path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수신 종단(200)으로 전송한다(S 30).
수신 종단(200)은 종단간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예약 메시지를 홉-바이-홉 방식으로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S 40).
이때, 수신 종단(200)은 종단간 Resv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는 종단간 Path 메시지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FILTER SPEC 오브젝트'는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시켜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
제 2 노드(320)는 종단간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 상태 예약하고,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이 없으므로 제 1 노드(310)에게 터널 RSVP 메카니즘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T bit'가 설정된 'NODE_CAHR 오브젝트'를 종단간 Resv 메시지에 추가한 이후에 캡슐화하여 제 1 노드(310)로 전송한다(S 50).
제 1 노드(310)는 종단간 Resv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NODE_CHAR'을 제거한 이후에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을 예약한다. 그리고, 제 1 노드(310)는 'NODE_CHAR'가 제거된 종단간 Resv 메시지를 송신 종단(100)으로 전송한다(S 60).
이때, 제 1 노드(310)는 'NODE_CHAR 오브젝트'의 T 비트가 특정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종단간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 2 노드(320)가 터널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종단간 Resv 메시지를 송신 종단(100)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만들고 터널 Path 메시지를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S 70).
그리고, 제 1 노드(310)는 'SESSION 오브젝트'에는 목적지 정보인 목적지 IP 주소 정보(D_IPv4)와, 목적지 포트 정보(D_Port)를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는 'Flow Label' 값을 설정한다.
또한, 제 1 노드(310)는 제 2 노드(320)가 종단간 세션과,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맵핑 할 수 있도록 수신 종단(200)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저장한 종단간 세션의 'SESSION 오브젝트'와 제 1 노드(100)의 IP 주소 정보와 특정 값이 'flow label' 값으로 저장한 터널 세션의 'FILTER_SPEC 오브젝트'를 포함 하는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종단간 Path 메시지에 추가하여 제 2 노드(320)로 전송한다(S 80).
제 2 노드(320)는 캡슐화된 종단간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탈캡슐화하고,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을 맵핑한다.
즉, 제 2 노드(320)는 'SESSION_ASSOC 오브젝트'의 터널 'FILTER_SPEC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세션을 만들고, 터널 세션을 종단간 'SESSION 오브젝트'에 정의된 종단간 세션과 맵핑한다.
그리고, 제 2 노드(320)는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제거한 이후에 목적지인 수신 종단(200)으로 전송한다(S 90).
또한, 제 2 노드(320)가 터널 세션에 대한 터널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터널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고,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의 맵핑 정보를 이용해 종단간 세션에 해당하는 자원을 터널 세션에서 예약하기 위한 터널 Resv 메시지를 제 1 노드(310)로 전송한다(S 100).
그리고, 송신 종단(100)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세션의 자원이 예약되면, 패킷을 제 1 노드(310)로 전송하고, 제 1 노드(310)는 패킷이 수신되는 종단간 세션에 매핑되는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제 1 노드(310)는 수신되는 패킷의 IPv6 헤더를 캡슐화할 때, 패킷이 수신되는 종단간 세션에 따라 특정 값을 'Flow Label' 값으로 설정하여, 플로우에 따라 자원이 예약된 세션을 통해 패킷이 전송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망의 종단간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송신 종단 및 노드가 IPv4/IPv6 듀얼 스택이고, 수신 종단이 IPv4v 호스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110)에서 노드(300)까지, 노드(300)에서 수신 종단(210)까지의 경로 상의 중간 노드들은 생략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송신 종단(110)은 IPv6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 주소 정보인 'S_IPv6', 목적지 주소 정보를 노드(300)의 주소 정보인 'TEP_IPv6'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210)은 IPv4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v4 주소 정보인 'H1_IPv4', 목적지 주소 정보를 수신 종단(210)의 IPv4 주소 정보인 'H2_IPv4'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110)은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에 목적지 주소 정보인H2_IPv4', 목적지 포트 정보인 'H2_Port'로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주소 정보인 'H1_IPv4', 소스 포트 정보를 자신의 포트 정보인 'H1_Port'로 설정한다.
송신 종단(110)에서 생성된 종단간 Path 메시지는 'Router Alert IP 옵션'을 포함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송신 종단(110)과 수신 종단(210) 사이의 RSVP를 지원하는 모든 라우터에 의해 처리된다.
그리고, 노드(300)는 수신되는 종단간 Path 메시지를 탈캡슐화하고, 종단간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한 이후에 수신 종단(210)으로 전송한다.
수신 종단(210)은 종단간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Resv 메시지를 홉-바이- 홉으로 송신 종단(110)에 전송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신 종단(210)은 종단간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IP 헤더(Hdr)의 소스 주소 정보를 'H2_IPv4', 목적지 주소 정보를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업스트림 노드(Next_Hop)인 노드(300)의 'TEP_IPv4'로 설정하고, 'SESSION 오브젝트'는 종단간 Path 메시지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FILTER SPEC 오브젝트'는 종단간 Path 메시지의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와 동일한 정보가 포함되는 Resv 메시지를 노드(300)로 전송한다.
노드(300)는 수신 종단(210)으로부터 Resv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대한 자원 상태 예약하고,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이 없으므로 송신 종단(110)에게 터널 RSVP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T bit'가 설정된 'NODE_CAHR 오브젝트'를 Resv 메시지에 추가한 이후에 캡슐화하여 송신 종단(110)으로 전송한다.
송신 종단(110)은 노드(300)로부터 수신되는 Resv 메시지에서 'NODE_CHAR 오브젝트'의 T 비트가 특정 값, 예를 들어,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노드(300)가 터널 RSVP 메커니즘을 지원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만들고 터널 Path 메시지를 노드(300)로 전송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경로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송신 종단(110)은 터널 Path 메시지에서 IPv6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H11_IPv6'로 설정하고, 목적지 주소 정보를 노드(300)의 IPv6주소인 'TEP_IPv6'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종단(110)은 터널 Path 메시지의 'SESSION 오브젝트'에는 목적지 정보인 목적지 IP 주소 정보(TEP_IPv4)와,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의 'Flow Label' 값을 설정한다.
즉, 송신 종단(110)은 'SESSION 오브젝트'에는 노드(300)의 IPv6 주소 정보인 목적지 주소 정보를 설정하고, 'SENDER_TEMPLATE 오브젝트'에는 소스 주소 정보를 'H1_IPv6'으로, 'Flow Label' 값을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 값(예를 들어 '500')으로 설정함으로써, 송신 종단(110)과 노드(300)까지의 경로 상에 있는 RSVP를 지원하는 노드들이 해당 플로우에 대한 경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노드(300)는 터널 Path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맵핑할 수 있도록 수신 종단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저장한 종단간 세션의 'SESSION 오브젝트'와 노드(300)의 IP 주소 정보와 'flow label' 값을 저장한 터널 세션의 'FILTER_SPEC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SESSION_ASSOC 오브젝트'를 종단간 Path 메시지에 추가하여 수신 종단(2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노드(300)가 터널 세션에 대한 터널 Path 메시지를 수신되면, 터널 세션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고, 종단간 세션과 터널 세션의 맵핑 정보를 이용해 종단간 세션에 해당하는 자원을 터널 세션에서 예약하기 위한 터널 Resv 메시지를 송 신 종단(110)으로 전송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RSVP의 터널 예약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노드(300)는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v6 주소 정보인 'TEP_IPv6', 목적지 주소 정보를 RSVP를 지원하는 업스트림 노드의 주소(Next_Hop), 즉 송신 종단(110)의 IPv6 주소 정보로 설정한다.
그리고, 노드(300)는 'SESSION 오브젝트'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TEP_IPv6'로 설정하고, 'FILTER SPEC 오브젝트'는 소스 주소 정보를 'H1_IPv6'로 설정하고, 'Flow Label' 값을 특정 값인 '500'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터널 Resv 메시지는 홉-바이-홉으로 터널내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RSVP를 지원하는 노드들이 터널 세션 자원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송신 종단(110)은 터널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위한 자원을 예약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송신 종단(110)은 생성되는 패킷의 IPv6 헤더의 소스 주소 정보를 자신의 IPv6 주소 정보인 'H1_IPv6', 목적지 주소 정보를 노드의 IPv6 주소 정보인 'TEP_IPv6', 'Flow Label' 값을 특정 값인 '20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노드(300)는 수신되는 패킷의 IPv6 헤더의 'Flow Label' 값에 따라 종단간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터널 구간을 지나는 모든 패킷의 소스 주소 정보와 목적지 주소 정보는 'TEP1_IPv6'와 'TEP2_IPv6'로 모두 동일하고, 각 세션에 따라 상이한 'Flow Label' 값이 설정되기 때문에 RSVP를 지원하는 각 노드는 IP 헤더의 'Flow Label' 값에 따라 상이한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IPv4/IPv6 통합망에서 하나 이상의 세션 자원이 예약된 상태에서 터널 세션의 시작 노드가 패킷이 수신되는 종단간 세션에 매핑되는 터널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하여, 패킷이 수신된 종단간 세션에 따라 상이한 특정 값을 'Flow Label'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각기 다른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이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Pv4/IPv6 통합망에서 RSVP에 따라 터널링 방법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 터널 구간에서 IPv6 헤더의 Flow Label 필드를 통해 터널 세션을 구별함으로써 패킷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에 따른 세션의 자원을 요청하는 경로 메시지를 제공하고,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설정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 호스트와,
    상기 송신 호스트로부터 상기 경로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터널 세션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종단 세션으로 수신되는 패킷을 맵핑되는 터널 세션으로 전송하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터널 경로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터널 세션으로 수신되는 패킷을 맵핑되는 종단 세션으로 전송하는 제 2 노드와,
    상기 각 노드를 통해 상기 경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예약 메시지를 상기 각 노드를 통해 상기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여 상기 종단 세션을 설정하는 수신 호스트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종단 세션을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정보를 관리하면서 상기 수신되는 패킷의 소스 정보,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패킷에 포함시켜 해당 터널 세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수신 호스트로부터 상기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가진 헤더가 캡슐화된 터널 경로 메시지를 상기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IPv6 헤더의 'Flow Label' 필드에 포함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송신 호스트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 상기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상기 패킷의 IPv6 헤더에 포함시키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터널 세션으로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를 더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경로 메시지를 탈캡슐화한 이후에 상기 터널 세션에 상응하는 상기 종단 세션을 통해 상기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는,
    IPv4 스택 및 IPv6 스택을 가지는 이중 스택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스트는,
    IPv4 스택을 가지는 IPv4 호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단 세션이 설정되면, 상기 각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각 터널 세션을 상기 제 2 노드와 설정하고, 상기 각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소스 정보 또는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상기 패킷에 포함시켜 해당 터널 세션을 전송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는,
    상기 RSVP에 따른 터널 세션을 설정할 수 있으면, 상기 수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예약 메시지에 RSVP 지원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2. IPv4/IPv6 통합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RSVP에 따라 패킷을 전송할 세션의 자원을 요청하는 경로 메시지를 제공하 고, 자원이 예약되면,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터널 세션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송신 호스트와,
    상기 송신 호스트에 설정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와, 맵핑되는 종단 세션의 정보를 관리하면서 상기 패킷이 수신되는 터널 세션에 맵핑되는 상기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노드와,
    상기 노드를 통해 수신되는 경로 메시지에 따라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여,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호스트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송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IPv6 헤더를 탈캡슐화하여 상기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호스트는,
    IPv6 헤더에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패킷을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호스트는,
    IPv4 스택 및 IPv6 스택을 가지는 이중 스택 호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송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IPv6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맵핑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장치.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호스트가 상기 각 노드를 통해 RSVP에 따른 경로 메시지를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호스트가 상기 경로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예약 메시지를 상기 각 노드를 통해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노드가 상기 예약 메시지를 수신하면, 각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각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각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 를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송신 호스트로부터 패킷이 수신된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상기 패킷에 포함시켜 해당 터널 세션을 통해 상기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노드가 상기 패킷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터널 세션에 맵핑되는 상기 종단 세션으로 상기 패킷을 상기 수신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경로 메시지는,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각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IPv6 헤더를 캡슐화하여 생성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전송은,
    상기 각 노드가 상기 각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면서 수신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터널 세션으로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IPv6 헤더의 'Flow Label' 필드에 설정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가 수신되는 상기 경로 메시지를 캡슐화하여 상기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노드가 상기 경로 메시지를 탈캡슐화하여 상기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호스트가 상기 경로 메시지에 따라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예약 메시지를 상기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노드가 상기 예약 메시지에 RSVP 지원 가능 정보를 포함시킨 이후에 캡슐화하여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노드가 상기 예약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RSVP 지원 가능 정보에 따라 상기 종단 세션에 맵핑되는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상기 제 2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노드가 상기 터널 경로 메시지에 따라 터널 세션을 설정하고, 터널 예약 메시지를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는,
    IPv4 스택 및 IPv6 스택을 가지는 이중 스택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스트는,
    IPv4 스택을 가지는 IPv4 호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4.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호스트가 노드를 통해 RSVP에 따른 경로 메시지를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호스트가 상기 경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노드와 종단 세션을 설정하고, 예약 메시지를 상기 노드를 통해 상기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호스트가 상기 예약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종단 세션에 맵핑되 는 터널 세션을 상기 노드와 설정한 이후에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터널 경로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호스트가 상기 패킷에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해당 터널 세션을 통해 상기 패킷을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노드가 상기 패킷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터널 세션에 맵핑되는 상기 종단 세션으로 상기 패킷을 상기 수신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호스트가 상기 경로 메시지에 헤더를 캡슐화하여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노드가 상기 경로 메시지의 헤더를 탈캡슐화하여 상기 수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시 노드가 상기 수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예약 메시지에 상기 헤더를 캡슐화하여 상기 송신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전송은,
    상기 노드가 상기 각 터널 세션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터널 세션으로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호스트는,
    IPv4 스택과 IPv6 스택을 가지는 이중 스택 호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송신 종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IPv6 헤더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종단 세션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4/IPv6 통합 망에서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
KR20050039523A 2005-05-11 2005-05-11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장치 KR20060117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9523A KR20060117586A (ko) 2005-05-11 2005-05-11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장치
JP2006130573A JP2006319979A (ja) 2005-05-11 2006-05-09 IPv4/IPv6統合ネットワークのパケット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11/431,520 US20060259608A1 (en) 2005-05-11 2006-05-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cket in IPv4/IPv6 combination network
DE200660002058 DE602006002058D1 (de) 2005-05-11 2006-05-1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acketverarbeitung in einem IPv4/IPv6 Kombinationsnetzwerk
EP20060009783 EP1722524B1 (en) 2005-05-11 2006-05-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cket in IPv4/IPv6 combin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9523A KR20060117586A (ko) 2005-05-11 2005-05-11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586A true KR20060117586A (ko) 2006-11-17

Family

ID=3675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39523A KR20060117586A (ko) 2005-05-11 2005-05-11 IPv4/IPv6 통합 네트워크의 패킷 처리 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59608A1 (ko)
EP (1) EP1722524B1 (ko)
JP (1) JP2006319979A (ko)
KR (1) KR20060117586A (ko)
DE (1) DE60200600205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43B1 (ko) * 2007-12-07 2009-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팅 시스템에서의 포워딩 테이블 구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96B1 (ko) * 2006-02-17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IPv4/IPv6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RSVP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82355B1 (ko) * 2006-12-01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어 서버의 성능 향상을 위한 IPv6-IPv4 전환방법 및 시스템
CN101796769B (zh) * 2007-07-04 2013-03-27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改善控制服务器性能的因特网协议版本4上的因特网协议版本6转变方法和设备
US8763108B2 (en) 2007-11-29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Flow classification for encrypted and tunneled packet streams
KR100899809B1 (ko) * 2007-12-11 2009-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IPv6를 위한 코디네이터,게이트웨이 및 전송 방법
US8072975B2 (en) * 2008-11-12 2011-12-06 Dell Products, Lp Host discovery across different address spaces
WO2010064801A2 (en) * 2008-12-04 2010-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unneling-based mobility support equipment and method
CN101877892B (zh) * 2009-04-29 2012-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点关联通道能力的协商方法及节点设备
CN102065512B (zh) * 2009-11-12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层网络中区域边界控制的方法、建立连接的方法和系统
CN102215156A (zh) * 2010-04-02 2011-10-12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流转发的方法、装置和系统
CN102244688B (zh) 2010-05-11 2014-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转发的方法、装置及系统
US8867529B2 (en) * 2010-09-20 2014-10-2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ate sharing identifier in a network environment
CN102638388B (zh) 2011-02-09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流标签的协商方法、相关装置以及系统
JP5288506B2 (ja) * 2011-06-29 2013-09-1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及びそれらに用いる経路情報設定方法
US10263916B2 (en) * 2012-12-03 2019-04-1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handling in a network device
CN105282102B (zh) * 2014-06-30 2019-03-1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数据流处理方法和系统以及IPv6数据处理设备
FR3028371B1 (fr) * 2014-11-06 2016-11-18 Bull Sas Procede de surveillance et de controle deportes d'un cluster utilisant un reseau de communication de type infiniband et programme d'ordinateur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US10015093B2 (en) * 2015-05-05 2018-07-03 Dell Products L.P.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communication protocol failures
US10361971B2 (en) * 2016-08-31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ource reservation mechanism for overlay networking
CN108270673B (zh) * 2016-12-30 2019-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报文发送方法、装置以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0895A1 (en) * 2000-03-16 2001-11-15 Templin Fred Lambert An IPv6-IPv4 compatibility aggregatable global unicast address format for incremental deployment of IPv6 nodes within IPv4
US7650424B2 (en) * 2000-04-04 2010-01-19 Alcatel-Lucent Usa Inc. Supporting mobile hosts o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6925075B2 (en) * 2000-07-31 2005-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mobile IP and RSVP during route optimization
FR2825561B1 (fr) * 2001-06-01 2005-04-15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transmission de paquets ip a travers un systeme cellulaire de radiocommunication, et equipements du systeme cellulair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4311895B2 (ja) * 2001-09-17 2009-08-12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タ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装置
AU2003217301A1 (en) * 2002-02-04 2003-09-02 Flarion Technologies, Inc. A method for extending mobile ip and aaa to enable integrated support for local access and roaming access connectivity
US7321587B2 (en) * 2002-11-15 2008-01-22 Ntt Docomo, Inc. Handover resource optimization
US7417950B2 (en) * 2003-02-03 2008-08-26 Cie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flow ingress/egress admission control in a provider network
US20050099976A1 (en) * 2003-09-23 2005-05-12 Shu Yamamoto Enabling mobile IPv6 communication over a network containing IPv4 components using a tunnel broker mod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43B1 (ko) * 2007-12-07 2009-07-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팅 시스템에서의 포워딩 테이블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02058D1 (de) 2008-09-18
US20060259608A1 (en) 2006-11-16
EP1722524B1 (en) 2008-08-06
JP2006319979A (ja) 2006-11-24
EP1722524A1 (en)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2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cket in IPv4/IPv6 combination network
KR100636281B1 (ko) IPv4/IPv6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경로 자원을예약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3977331B2 (ja) Ip通信網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US7535829B2 (en) Tunnel reroute
US6968374B2 (en) Quality of service (QOS) mechanism in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US7778263B2 (en)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based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over a switched network through proxy signaling
US6765927B1 (en) RSVP proxy service for communication network
US7301951B2 (en)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based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over a switched network
US7065092B2 (en)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based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internet protocol (IP) connections over a switched network using newly assigned IP addresses
US7298750B2 (en) Enhancemen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enabling short-cut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over a switched network
US7246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IP data
US8514850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bidirectional point-to-point connection
KR100748696B1 (ko) IPv4/IPv6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RSVP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EP2475133B1 (en) Network system and network apparatus
JP3688525B2 (ja) パケットフロー制御方法及びルータ装置
FI112896B (fi) Sovelluskohtaisen palvelunlaadun optimointien ohjaus
Semeria RSVP signaling extensions for MPLS traffic engineering
Simon et al. Resource Reservation in DetNet with AVB
WO2004014000A1 (en) Enhancement of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enabling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short-cut internet protocol connections over a switched network
Wang et al. A scheme based on coexistence of NSIS and RSVP for realization of end-to-end QoS provis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19

Effective date: 200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