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384A - 공중 지점을 이용한 포커스 관리 - Google Patents

공중 지점을 이용한 포커스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384A
KR20060117384A KR1020047009194A KR20047009194A KR20060117384A KR 20060117384 A KR20060117384 A KR 20060117384A KR 1020047009194 A KR1020047009194 A KR 1020047009194A KR 20047009194 A KR20047009194 A KR 20047009194A KR 20060117384 A KR20060117384 A KR 2006011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control element
focus
digitiz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099B1 (ko
Inventor
알랙산더 제이. 콜마이코브-조토브
시라즈 솜지
루돌프 발라즈
삼 조지
브링겟테 크란티즈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잉크 등의) 입력을 수용하도록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요소나 영역을 지정 또는 성립한다. 포커스는 예를 들어, 시스템을 "대기" 모드에서 "깨우기"하고; 증가된 디지타이저 폴링 빈도수를 트리거하고; 데이터 구조를 설정하거나 입력을 수용하도록 메모리 리소스를 할당하고; 입력또는 그 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등에 의해 입력을 수용하도록 관련 요소를 준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a)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용하는 것과; (b)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고/거나 접촉하여 위치될 때, 스타일러스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요구된다면,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 포커스와 별개로 및/또는 동시에 유지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을 수용하고 각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 요소들과 관련하여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독자적으로 및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포커스 수용, 디지타이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요소

Description

공중 지점을 이용한 포커스 관리{FOCUS MANAGEMENT USING IN-AIR POI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펜-기반(pen-based) 컴퓨팅 시스템이나 그 외 컴퓨팅 시스템에 스타일러스 포커스(stylus focus)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를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텍스트를 기입하기 위한 키보드, 및 하나 이상의 버튼을 갖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별개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용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이런 GUI의 일 예는 Windows(등록상표) 컴퓨터 운영 체제 (워싱톤 레드몬드 소재의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 상용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있다. 도처에 있는 키보드 및 마우스 인터페이스는 문서,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필드, 도면, 사진 등의 빠른 생성 및 수정을 제공한다.
GUI에서, 몇몇 개의 개별적 및/또는 독자적인 "제어 요소" (또한 이 명세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로 불림)는 스크린 상에서 보여질 수 있고/있거나 주어진 시간에 인터페이스에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인터페이스 스크린(300)에서의 제어 요소(302 내지 330) 참조). 통상의 GUI의 사용자 인터 페이스는 "키보드 포커스"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의 어느 제어 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에 타이프로 입력된 키스트로크를 수용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소스로부터 다른 입력을 수용)하게 되는지를 판단하여 성립시킨다. 적어도 어떤 경우에는, 키스트로크 포커스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외형은 궁극적인 목적의 향후의 키스트로크나 그 외 입력을 사용자에 대한 가시적인 표시로서 몇몇 방식으로 변경되게 된다. 키보드 포커스의 이용을 통해, 사용자는 다음 키보드 스트로크나 그 외 입력이 어디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제어 요소에서 다른 제어요소로 입력 커서를 탭 이동시키고/시키거나 마우스 버튼을 여러 제어 요소의 표시 내에서 클릭함으로써) 포커스에 필요하거나 원하는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어떤 요소도 키보드 포커스를 갖지 않으면, 컴퓨터 시스템은 통상 키보드 포커스가 유용한 제어 요소들 중 하나에서 성립될 때까지 입력 키스트로크를 무시하게 된다.
최근에, 태블릿 PC 등의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 유리하게는 사용자의 입력은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 (예를 들어, 종이 상에 펜이나 펜슬로 쓰는 것과 유사함)를 이용하여 도입될 수 있다. 실제로, 적어도 몇몇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입력이 전자 펜을 이용하여 기입 및 처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런 시스템에서, 종래의 "키보드 포커스"의 이용은 적어도 모든 상황에서 가능하거나 간편하지 않은데, 예를 들어,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의 전자 펜은 통상 키보드나 마우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포커스 영역의 성 립을 가능하게 하는 "탭" 키나 그 외 버튼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원하는 제어 요소에 전자 펜을 "가볍게 두드림"에 의해 또는 원하는 제어 요소 위에서 호버링 (hovering)하면서 (있다면) 펜 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포커스를 성립하는 것은 매우 만족스럽거나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폼 (도 3에 설명된 폼과 같음)을 채워넣을 때, 사용자는 폼의 각 제어 요소 박스 (예를 들어, 제어 요소(302 내지 330) 내측)에 전자 펜을 가볍게 두드려 그 제어 요소 박스에 전자 잉크 데이터를 기입하기 이전에 그 요소에 포커스를 성립할 필요가 있다. 전자 잉크를 기입하기 위해 기록 전에 제어 요소 박스를 두드리는 것이 실패하게 되면, 불수용, 불허용, 또는 전자 잉크 데이터의 불완전한 수용 및/또는 입력된 잉크 데이터의 잘못된 기입이 초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스템이 잉크를 정확하게 수용하거나 허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즉각적으로 주지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의 재기록 및/또는 다른 정정 동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부가하여, 기록하기 이전에 제어 요소 박스를 두드려야 한다는 것은 자연스런 기록의 경험이 되지 않는다. 이들은 사용자를 실망시키고 사용자의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의 경험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부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많은 제어 요소(302 내지 330)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입력 정보를 키보드를 이용하여 제어 요소(302 내지 330)에 타이프할 때 문제가 되지 않는 반면 (타이프 면은 제어 요소에 맞추도록 적당히 자동적으로 규격화될 수 있음), 이 작은 크기는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제어 요소에 정보를 수기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이들 어려움은 데이터의 불완전한 기입 및/또는 미기입의 결과를 낳는다. 또한 전자 펜 및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불만을 안겨주는 결과를 낳는다. (핸드헬드나 포켓 사이즈 컴퓨팅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갑자기 표시되는 제어 요소 박스와 별개인 "기록용 패드"를 제공하는 그 외 시스템도 또한 자연스런 기록의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과, 그 외 전자 잉크 형태의 입력 및/또는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는 장치에 이용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립하여 입력 데이터를 기입하는 용이하고 자연스러운 신뢰할만한 방법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형태는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 또는 그 외 전자 잉크의 형태의 입력 및/또는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는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제공하고/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시스템 및 방법은: (a)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를 거쳐) 수용하는 단계; 및 (b) 예를 들어, (i)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될 때 및/또는 (ⅱ) 스타일러스가 실제로 디지타이저 표면에 접촉할 때,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커스의 성립은 입력을 수용 (예를 들어, 전자 잉크나 그 외 입력을 수용)하도록 관련 제어 요소를 준비하는 것; 저전원 및/또 는 대기 모드로부터 시스템을 "깨우는" 것; 입력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노력으로 디지타이저 폴링 빈도수(polling frequency)의 증가를 트리거하는 것; 및/또는 그 외 다른 원하거나 적당한 프로세싱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어느 적당한 목적을 위해서나 이용될 수 있다. 요구된다면,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마우스 포커스 및/또는 키보드 포커스와 별개로 및/또는 동시에 유지될 수 있다. 부가하여,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단일의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단일의 제어 요소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고 각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요소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별의 스타일러스를 개별적으로 및 동시에 제공 및/또는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형태는 상술한 것과 유사한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하여, 여러 방법을 실행하고/하거나 여러 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범용 디지털 컴퓨팅 환경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태양을 구현할 수 있는 펜-기반 퍼스털 컴퓨팅 (PC) 환경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정 태양에 따라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랜더링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라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관리하는 방법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예에 따라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취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랜더링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취한 후에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가 확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랜더링 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은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외 전자 잉크의 형태의 입력 및/또는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는 장치의 동작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명세서를 읽는 사람을 돕기 위해 서브섹션으로 나뉘어진다. 서브섹션은: 본 발명의 여러 태양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하드웨어의 예; 시스템의 예;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결론을 포함한다.
Ⅰ. 용어
다음의 용어는 이 명세서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문맥으로부터 특정되거나 명확하지 않다면, 그 용어는 이하 제공되는 의미를 갖는다.
"펜" - 잉크를 입력하고/하거나 전자 문서를 취급하거나 제어하는 데에 유용 한 임의의 유형의 사용자 입력 장치. 이 용어 "펜" 및 "스타일러스"는 이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된다.
"펜-다운 이벤트(pen-down event)" - 펜이 디지타이저에 접속할 때에 초기화되는 이벤트. 통상 펜-다운 이벤트는 펜이 디지타이저 표면을 떠날 때 (또한 "펜-업 이벤트"로 불림) 끝나게 된다.
"호버(hover)" - 펜을 표면과 접촉시키는 것이 아니라 디지타이저 표면에 근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 "호버" 동작을 구성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서의 이동의 어떠한 특정 시간 주기 또는 중지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호버"는 사용자가 펜을 디지타이저 표면 쪽으로 접촉시키게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시간 동안 발생할 수 있다.
"포커스" -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 영역, 또는 일부 (예를 들어,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타겟 영역이나 요소)를 지정하거나 성립시키는 것. 어떤 경우에는, 인터페이스의 전체 가시 부분이나 입력 영역 및/또는 전체 인터페이스가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랜더" 또는 "랜더링된" 또는 "랜더링" - 스크린 상에 몇몇 개의 다른 방식으로 인쇄 또는 출력되든 지간에, (텍스트, 그래픽 및/또는 전자 잉크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을 판단하는 과정.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를 의미한다. "컴퓨터 판독 매체"는 제한의 의도가 아니라, 예시로서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외 데이터 등의 정보의 저장을 위한 방법 및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성 및 비이동성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이에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나 그 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그 외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그 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그 외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이용되고 컴퓨터에 의해 억세스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통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이나 그 외 데이터를 반송파나 그 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 데이터 신호로 구현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의 정보를 엔코드하는 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그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망이나 직접 유선 접속 등의 유선 매체와, 음향, RF, 적외선 및 그 외 무선 매체 등의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의 어느 조합이라도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영역 내에 포함된다.
Ⅱ. 본 발명의 여러 형태의 개괄적인 설명
본 발명의 형태는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 또는 그 외 전자 잉크로서의 입력 및/또는 펜이나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는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시스템 및 방법은; (a)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수용하는 단계; (b) (예를 들어, 컴 퓨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서는, 초기에 스타일러스의 존재를 나타내는 입력은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의 표면 근처에 위치되어 있을 때 그러나 디지타이저 표면에 실제 접촉하기 전에 수용되게 된다. 사용상, 스타일러스는 디지타이저 표면 쪽으로 계속 이동하고 있으며, 일단 표면에 접촉하면, 디지타이저는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예를 들어, 전자 잉크나 그 외 입력과 같은) 입력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 및/또는 다른 형태는: (a) 제1 스타일러스가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를 통해)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ⅰ)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는 판단, 또는 (ⅱ) 제1 스타일러스와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이들 형태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스타일러스가 유용한 제어 요소의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실제로 접촉할 때 초기 스타일러스 존재의 표시가 나오게 되면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어느 유용 제어 요소에나 즉각적으로 성립될 수가 있다.
포커스의 성립은 본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포커스를 성립하는 것과 관련하는 종래의 목적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어느 목적에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몇몇 예에서, 포커스의 성립은 입력을 준비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입력 영역을 전자 잉 크나 다른 입력을 수용하도록 준비하기 위해, 데이터 타입 (잉크, 삭제, 하이라이트, 선택 등)과 같이 들어오는 데이터의 여러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검색 및/또는 수용하기 위해) 관련 제어 요소를 준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서 성립될 때, 이것은 시스템을 저전원 및/또는 대기 모드에서 "깨우기"할 수 있어 더욱 활동적인 처리 모드로 초기화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예로서,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성립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포커스를 수용하는 제어 요소와 관련되는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입력 데이터를 찾는 (예를 들어, 새로운 입력 전자 잉크나 그 외 입력을 찾는) 디지타이저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키도록 시스템에 대한 트리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취될 때, 임의의 다른 적당하거나 요구되는 처리가 트리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방법의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서 그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떨어지게 되어 스타일러스 근접을 나타내는 입력이 더 이상 수용되지 않게 될 때, 제1 제어 요소로부터의 포커스는 철회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스타일러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떨어지게 되면, 포커스는 적어도 새로운 포커스 위치가 성립될 때까지 제1 제어 요소에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타일러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떨어지게 될 때, 포커스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제1 제어 요소에 유지된 다음에, 새로운 포커스 위치가 성립되지 않으면 철회되거나 새로운 포커스 위치가 성립되면 새로운 제어 요소에 재성립되게 된다. 포커스는 스타일러스가 호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횡단 이동함에 따라 제어 요소 간에 이동하게 된다.
디지타이저 스크린 상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제어 요소와 관련한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위치나 성립은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적당한 방법으로 성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하는 제어 요소는,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고 근접하여 호버함에 따라 스타일러스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제어 요소의 정체(identity)를 판단하고 그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함으로써 성립될 수 있다. 그 제어 요소 그 자체는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될 수 없지만,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 가능한 제어 요소 내에 포함되면,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컨테이너" 또는 "부모(parent)" 요소들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성립은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서,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커스는 컬러 변경, 인터페이스 스타일 변경, 레이아웃 변경 또는 그 외 포커스를 수용한 제어 요소와 관련되는 가시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서 또는 포인팅 요소는 인터페이스의 다른 위치에서의 외형과 비교하여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요소에 존재할 때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음성 표시기가 사용자에게 스타일러스 포커스 성립을 알려줄 수 있다. 몇몇 다른 특정 예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성립은 포커스를 수용하는 제어 요소의 표시의 적어도 일부분의 확장된 뷰(view)를 랜더링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제어 요소의 표시를 확장하는 것은,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에 관련된 입력을 기입하기 위해 확장 영역 (전자 잉크나 그 외 입력을 기입하기 위한 확장 영역)을 제공하는 데에 유용하다. 다른 표시기들 및/또는 상술한 표시기들의 조합은 또한 본 발명으로부터 동떨어짐없이 가능하다. 또한, 요구된다면,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성립의 가시적인, 음성, 또는 그 외 표시기가 필요하지 않다.
요구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적어도 몇몇 예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마우스 포커스 및/또는 키보드 포커스와 별개 및/또는 동시에 유지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적어도 몇몇 예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단일의 제어 요소에서의 포커스 및/또는 단일의 물리적 스타일러스와 관련한 포커스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특히,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각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 요소와 관련하여 별개의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독자적 및 동시에 제공하여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형태는 상술한 것과 유사한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하여, 여러 방법을 실행하고/하거나 여러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Ⅲ. 하드웨어 예
도 1은 본 발명의 여러 형태를 실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범용의 디지털 컴퓨팅 환경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컴퓨터(100)는 처리 유닛(110), 시스템 메모리(120) 및 시스템 메모리(120)를 포함하는 여러 시스템 구성 요소를 처리 유닛(110)에 결합시키는 시스템 버스(130)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30)는 각 종 버스 아키텍쳐를 이용하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 버스 및 로컬 버스를 포함한 몇몇 유형의 버스 구조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0)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140) 및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 150)를 포함한다.
기동 동안과 같이, 컴퓨터(100) 내의 요소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160) (BIOS)이 ROM(140)에 저장되어 있다. 컴퓨터(100)는 또한 하드 디스크 (도시 생략)로부터 판독하고 여기에 기록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70), 이동성 자기 디스크(190)로부터 판독하거나 여기에 기록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80), 및 CD ROM 또는 그 외 광 매체 등의 이동성 광 디스크(192)로부터 판독하거나 여기에 기록하기 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191)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70),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80),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9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92),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93)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94) 각각에 의해 시스템 버스(13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 관련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그 외 퍼스널 컴퓨터(100)의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자기 카세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베르누이(Bernoulli) 카트리지, 랜덤 억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리 메모리 (ROM) 등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억세스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도 이 예의 동작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운영 체제(195),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96), 그 외 프로그램 모듈(197), 및 프로그램 데이터(198)를 포함하는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70), 자기 디스크(190), 광 디스크(192), ROM(140), 또는 RAM(15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101)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102)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컴퓨터(100)에 명령과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입력 장치 (도시 생략)는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수신기, 스캐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그 외 입력 장치는 때론 시스템 버스(130)에 결합된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처리 유닛(110)에 접속될 수 있지만, 또한 병렬 포트, 게임 포트, 또는 유니버설 직렬 버스 (USB) 등의 다른 인터페이스에 의해서도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장치는 적당한 인터페이스 (도시 생략)를 통해 시스템 버스(13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모니터(107) 또는 기타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비디오 어댑터(108)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3)에 접속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는 모니터(107)에 부가하여, 통상 그 외 스피커와 프린터 등의 주변 출력 장치 (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펜 디지타이저(165) 및 이와 동반하는 펜이나 스타일러스(166)가 프리핸드 입력을 디지털 캡쳐하기 위해 제공된다. 펜 디지타이저(165)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06) 사이의 접속을 도 1에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펜 디지타이저(165)가 처리 유닛(1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거나, 당 기술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병렬 포트나 다른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 버스(130)를 거치는 것과 같은 적당한 방법으로 처리 유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디지타이저(165)가 도 1에서 모니터(107)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디지타이저(165)의 가용 입력 영역은 모니터(107)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동일 공간에 있을 수 있다. 더더욱, 디지타이저(165)는 모니터(107)에 일체화될 수 있거나, 모니터(107) 위에 덮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니터에 부착되는 별개의 장치로 존재할 수 있다.
컴퓨터(100)는 원격 컴퓨터(109)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에의 논리적 접속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109)는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PC, 피어 장치 또는 그 외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간략하게 하기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1)만을 도 1에 도시하고 있지만, 컴퓨터(100)에 관련하여 상술된 요소들 중 다수나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논리적 접속은 근거리 통신망 (LAN; 112) 및 광역 통신망 (WAN; 113)을 포함한다. 이런 네트워크 환경은 무선 및 유선 접속 둘다를 이용하는, 사무실, 전사적(enterprise-wide) 컴퓨터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 인터넷에서는 일반적인 것이다.
컴퓨터(100)는 LAN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용될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4)를 통해 근거리 통신망(112)에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100)는 WAN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용될 때, 통상 모뎀(115) 또는 그 외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통신망(113)을 통한 통신 링크를 성립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컴퓨터(100)에 대해 내부적이나 외부적일 수 있는 모뎀(115)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시스템 버스(130)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퍼스널 컴퓨터(100) 또 는 그 일부에 관련하여 도시된 프로그램 모듈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나타낸 네트워크 접속은 예시로서 컴퓨터 간의 통신 링크를 성립하는 다른 기술들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TCP/IP, 이더넷(Ethernet), FTP, HTTP, UDP 등과 같은 여러 공지의 프로토콜의 존재가 예상되며, 시스템은 웹-기반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를 사용자가 검색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서버 구성에서 동작될 수 있다. 종래의 여러 웹 브라우저 어느 것도 웹 페이지 상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처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의 환경이 예시적인 환경을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컴퓨터 환경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는 도 1에 도시되고 상술된 모든 여러 태양보다 더 적은 태양을 갖는 환경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태양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게 되는 여러 조합이나 부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 형태에 따라서 이용될 수 있는 펜-기반 퍼스널 컴퓨터(PC; 201)를 도시한다. 도 1의 시스템의 특성, 서브 시스템, 및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는 도 2의 컴퓨터에 포함될 수 있다. 펜-기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201)은 복수의 윈도우(203)가 표시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표면(202),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LCD) 스크린과 같은 디지타이징 평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스타일러스(204)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디지타이징 디스플레이 패널상에서 선택, 강조(highlight) 및 기입할 수 있다. 적당한 디지타이징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들은 무토 캄파니(Mutoh Co.) (현재 파인포인트 이노베이션 캄파니(FinePoint Innovations Co.)로 알려짐) 또는 와콤 테크놀러지 캄파니(Wacom Technology Co.)로부터 입수 가능한 펜 디지타이저와 같은 전자기적 펜 디지타이저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펜 디지타이저, 예를 들어, 광 디지타이저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201)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텍스트를 입력하고, 스프레드시트의 생성, 편집 및 수정 등의 종래의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작업,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기 위해 스타일러스(204)를 이용하여 행해진 동작을 해석한다.
스타일러스(204)는 그 능력을 배가하도록 버튼이나 다른 특징부가 설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타일러스(204)는, 일단부가 기록부를 구성하고 다른 단부가 "삭제" 단부를 구성하고, 디스플레이를 횡단 이동할 때 삭제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전자 잉크 부분을 지시하는 "펜슬" 또는 "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우스, 트랙볼, 키보드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입력 장치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다르게, 사용자 자신의 손가락이 접촉 감지 또는 근접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화상의 일부를 선택하거나 지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이용되는 용어 "사용자 입력 장치"는 폭 넓은 의미의 정의를 가지며 잘 알려진 입력 장치에 대한 여러 변형을 포괄하는 것이다.
여러 예에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잉크를 캡쳐, 처리 및 저장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한 세트의 COM (component object model) 서비스로서의 잉크 플랫폼을 제공한다. 잉크 플랫폼은 또한 확장성 마크업 언어 (XML)와 같은 언어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다른 구현으로서 DCOM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32 프로그래밍 모델 및 .Net 프로그래밍 모델을 포함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들 플랫폼은 상용 가능하며 본 기술에 알려져 있다.
전성능의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 또는 "태블릿 PC" (예를 들어, 변환 가능한 랩톱이나 "슬레이트" 형 태블릿 PC)의 이용 외에도, 본 발명의 태양은 다른 유형의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그 외 핸드 헬드 또는 팜톱 컴퓨터 시스템, PDA; 포켓 퍼스널 컴퓨터, 이동 및 셀룰러 전화, 페이저 및 그 외 통신 장치; 시계; 가전 제품; 및 그 외 모니터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인쇄된 또는 그래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하거나 전자 펜이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입력을 허용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장치나 시스템과 같이, 전자 잉크로서 데이터를 수용하고/하거나 펜이나 스타일러스 입력을 수용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예 및 본 발명의 설명을 도와주는 정보를 나타내는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 특정 도면과 정보는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Ⅳ.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은 일반적으로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그 외 입력 데이터로 전자 잉크를 수용하고/하거나 펜이나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용하는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치 "포커스"의 주목적은 어느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들어오는 입력을 수용하게 되는지를 판단 및/또는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통상 나타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3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당업자는 임의의 데이터나 정보가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스크린(300)은 사용자로부터의 연락처 정보가 여러 다른 제어 요소(302 내지 330)에 입력될 것을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 입력에 대해서는, 키보드 포커스는 "TAB" 키를 이용하여 다음 제어 요소(302 내지 330)로 탭 이동하고/하거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302 내지 330)의 표시를 클릭하는 것으로 여러 다른 제어 요소(302-330)에 설정되고/되거나 이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키보드 포커스는 (예를 들어, 초기 키보드 포커스를 설정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특정 제어 요소(302 내지 330)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 마우스는 또한 관련 "포커스"를 가질 수 있다. 통상, 마우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300)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상의 우측 또는 좌측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지 않고 마우스 이동), 이 마우스의 이동으로 인터페이스 스크린(300) 내에서 마우스와 관련되는 포인터 요소가 이동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살표, 커서 또는 그 외 포인터 요소의 이동). 이 시스템에서, 마우스 포커스는 마우스 포인터 요소 위에 직접 그 표시가 위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302 내지 33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 포커스는 마우스 포인터 요소가 인터페이스 스크린(300)을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마우스 포커스"를 수용하는 특정 제어 요소(302 내지 330)는 "히트 테스팅 (hit testing)" 을 행하고 마우스 포인터 위치의 (X, Y) 좌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30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302 내지 330)의 표시의 위치와 관련되는 좌표나 그 외 정보와 비교하여 어느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표시(302 내지 330)가 포인터 요소 아래에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마우스 포인터 위치의 (X, Y) 좌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302 내지 330)가 판단될 수 있고, 그 요소가 포커스를 얻도록 지정될 수 있다. "마우스 포커스"의 성립의 원하는 가시적인 또는 그 외 표시기를 이용할 수 있거나, 요구된다면 표시기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 및/또는 그 외 장치나 시스템에서 "스타일 포커스"를 성립하여 관리하는 것은 "마우스 포커스"나 "키보드 포커스"를 성립하여 관리하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점과 문제점을 안고 있다. 스타일러스는 몇몇 중요한 점에서 마우스 및 키보드와는 다르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는 절대적인 포인팅 장치인 반면 (이는 스크린(300) 상의 요소(302 내지 330)를 바로 지적하여 이것과 상호작용할 수 있음), 마우스는 상대적인 포인팅 장치이다 (이것은 연속적인 마우스의 굴림으로 스크린(300)에서 초기에 위치된 영역으로 스크롤될 수 있음). 마우스의 포인팅 요소는 항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검출 가능하고, 이는 (스크린 상에서 보이는 실제 요소는 마우스가 이동함에 따라 변경되기는 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300)의 가시의 경계 내에 위치된다. 한편 스타일러스 (그 자체가 포인팅 요소를 구성함)는 인터페이스 스크린 표면(33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 표면(332)로부터 멀리 위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스타일러스는 디지타이저에 의해 검출되거나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거나, 디지타 이저에서 벗어나 이 검출의 범위 외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마우스나 키보드로 포커스된 제어 요소(302 내지 330) 내에 일단 위치되면, (키보드나 다른 소스로부터의) 입력이 이 제어 요소(302 내지 330)로 고정되어 향해지게 된다. 한편,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 (예를 들어, 전자 잉크의 형태)의 시도는 스타일러스 제어를 갖는 제어 요소(302 내지 330) 내측에서 시작하지만, 사용자가 입력 데이터를 (예를 들어, 다른 포커스 가능한 제어 요소 영역이나 포커스 불가능한 영역에) 기록하려고 하고/하거나 기입함에 따라 그 제어 요소(302 내지 33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부가하여, 스타일러스로부터의 입력의 시도는 인터페이스 상의 모든 포커스 가능한 제어 요소(302 내지 330)의 외측에서 시작한 다음에 사용자가 기록을 시도하고/하거나 입력 데이터를 기입함에 따라 포커스 가능한 제어 요소(302 내지 330) 내로 이동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몇몇 스타일러스는 제어 요소(302 내지 330)에 대하여 포커스의 능동적인 설정, 활성화 또는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키보드의 "TAB" 키나 좌측 마우스 버튼과 유사함)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존재한다고 해도, 제어 요소(302 내지 33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입하기 시작하기 전에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되어 있는 원하는 제어 요소(302 내지 330)에 접촉하거나 짧은 간격 (예를 들어, 1/2인치 내지 2인치) 떨어져 호버링하면서 스타일러스 상의 버튼을 누르는 것은, 자연스럽거나 원활한 사용자의 경험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르면, 적어도 몇몇 경우에서, 스타일러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면(332)에 인접하여 호버하며 디지타이저의 검출 범위 내에 위치될 때 스타일러스의 팁 바로 아래나 이에 인접하여 표시가 위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의 제어 요소(302 내지 330)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립하도록 운영 체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코드가 실행되게 된다. 스타일러스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공지의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그 표면(332)에 인접하여 호버하면서 디지타이저에 의해 검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몇몇 스타일러스는 "활성중"이며, 이는 이 명세서에서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 표면(332) 근처에 위치될 때 에너지, 데이터 또는 그 외 디지타이저에 의해 전송되고/되거나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 반영, 변경, 또는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로, 몇몇 스타일러스는 디지타이저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를 수용하고/하거나 디지타이저에 의해 전송되고/거나 감지된 자계나 전계를 변경하는 회로나 그 외 구조를 포함하여, 검출된 자계나 전계의 변경으로 인해 디지타이저에 의해 스타일러스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몇몇 스타일러스는 데이터, 전계 또는 자계, 또는 그 외 디지타이저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에너지나 정보를 전송 또는 반영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의 존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 표면(332) 근처에 위치될 때 감지하거나 검출하는 적당하거나 요구되는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및 디지타이저 조합은 디지타이저 표면과 관련하여 실제로 어느 합당한 위치에서나 스타일러스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활성 펜을 갖는 적어도 몇몇 종래의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에서, 스타일러스는 초기에 디지타이저 표면에서 약 1/2인치나 2인치 정도 떨어져 있을 때, 어떤 예에서는 디지타이저 표면에서 약 1/2인치나 1인 치 떨어져 있을 때 검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립 및 관리하는 일 예를 도 4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한다. 시작 S400에서,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의 검출 범위 외에서 시작하므로 스타일러스의 존재를 시스템으로 검출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이 시점에서는, 이 때에,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302 내지 330)도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지 않는다. S402에서, 시스템은 스타일러스 (또는 펜)가 디지타이저의 표면(332) 근처에서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체크한다. "아니오"이면, 프로세스는 S402로 돌아가고, 짧은 시간 후에 시스템은 디지타이저 표면(332) 근처에서의 스타일러스의 존재를 다시 체크하게 된다.
스타일러스가 S402에서 검출되면 (S402에서 응답 "예",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를 디지타이저의 표면(332) 근처로 기록할려고 접근하면서 이동시킬 때), 본 발명의 이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표면(332) 근처에서 호버 (또는 접근)함에 따라 스타일러스의 표면(332) 위치에 대응하는 "공중 (in-air)" 지점을 형성한다 (S404). "공중" 지점은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팁에 가장 근접하는 디지타이저의 표면(332) 상의 지점 (예를 들어, (X, Y) 좌표); 검출된 자계나 전계가 가장 강하고, 약하거나 가장 변경가능한 지점; 스타일러스에 의해 방사되거나 반사된 포커스된 빔의 검출 지점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공중" 지점을 검출 및 성립하는 임의의 방법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가 이 방법으로 검출되면, 잉크 색상; 스트로크 폭; 스트로크 타입 (입력 잉크 스트로크, 이레이저 스트로크, 하이라이팅 스트로크, 선택 등); 스타일러스 ID 정보; 사용자 ID 정보 등과 같은, 스타일러스 및/또는 들어오는 입력 데이터와 관련되는 여러 특성들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검색되고/되거나 여기에 입력될 수 있다.
"공중" 지점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의 호버 위치의 (X, Y) 좌표)은 "히트-테스팅"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어느 제어 요소(302 내지 330)가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된다. 적어도 몇몇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인터페이스(300)의 제어 요소(302 내지 330) 또는 다른 아이템들이 계층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이런 유형의 계층적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요소(302 내지 306)는 공통의 "이름" 제어 요소(334) 내에 들어간다. 유사하게, 제어 요소(308 내지 318)은 공통의 "집 주소" 제어 요소(336) 내에 들어가고, 제어 요소(320 내지 330)는 공통의 "회사 주소" 제어 요소(338) 내에 들어간다. 이들 제어 요소 모두는 공통의 부모 제어 요소 (예를 들어, "연락처 정보 기입" 요소) 내에 들어가고, 이것 자체는 하나 이상의 부가의 부모 제어 요소 내에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스타일러스의 "공중" 지점에 바로 인접하는 요소에 제공될 수 없으면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가 개별의 제어 요소(302 내지 330) 사이에 위치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적어도 몇몇 경우에, 스타일러스가 위치되는 공중 지점에 대응하는 더 큰 "부모" 또는 "컨테이너" 요소 (예를 들어, 요소(334, 336, 338) 등)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5는 계층적 제어 요소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500)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테스트나 설문 조사에 기입하여 넣을 때, 개별적 응답(502)은 제어 요소의 계층적 트리 구조의 개별의 "리프 (leaf)" 또는 "자식 (child)" 노드나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반면, 각 질문(504 내지 510)은 그 자신의 관련 리프나 자식 노드를 갖는 "루트", "컨테이너" 또는 "부모" 노드 또는 제어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자식 노드나 리프 노드(502)를 개별적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하게 만들기보다는, 부모 제어 요소(504 내지 510)에 대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보유시킬 수 있다. 스타일러스가 부모 제어 요소(504 내지 510)의 일부에 근접하여 호버함에 따라, 전체 부모 제어 요소(504 내지 510)는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그 부모 제어 요소(504 내지 510) 내의 개별의 리프 노드(502) 어디에나 입력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도 4에 나타낸 방법 예로 다시 돌아가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공중 지점이 S404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이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인접하는 특정 위치 및/또는 요소가 S406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도 5와 관련하여 상기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에서의 모든 제어 요소나 영역은 독립적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할 필요는 없으며, 운영 체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되는 코드는 특정 제어 요소나 영역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제어 요소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치가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하지 않으면 (대답 "아니오"), 이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그 요소가 계층 구조에서 마지막 (또는 최고의) 요소인지를 판단한다 (S408). 아닌 경우 (응답 "아니오"), 본 발명의 이 예의 시스템 및 방법은 부모 요소로 이동하고 (S410), S406으로 돌아가 이 요소가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 사용자의 펜이 초기에 리프 요소(502) 근처에서 호버하면, 본 발명의 이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S406에서 이 리프 요소(502)가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S408에서, 이 예의 시스템 및 방법은 리프 요소(502)가 부모 요소(504) 내에 포함되었다고 판단한 다음에, S406이 반복될 때, 요소(504)가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S408에서, 고려중인 요소가 계층 구조에서 마지막 요소이고/이거나 계층 구조에서 유일한 요소라고 판단되면 (응답 "예"), 필요한 다음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S412), 이 과정은 S402로 돌아갈 수 있다 (불렛 지점 A). 적당하거나 원하는 처리를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나 텍스트 박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적당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 디폴트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인터페이스의 가장 고위 계층 요소 또는 인터페이스의 미리 정해진 부분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예로서, 스타일러스 아래의 요소나 그 부모 요소 어느 것도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적어도 몇몇 예에서는, 인터페이스의 어느 요소도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하지 않게 되고, 이 시스템 및 방법은 다른 스타일러스 이동을 대기한다. 이 상태를 처리하는 다른 적당한 방법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S406에서, 고려중인 요소가 스타일러스 포커스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스타일러스가 호버하고 있는 원래 제어 요소나 그 부모 요소 - S406에서 응답 "예"), 본 발명의 이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이 요소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부여하도록 코드를 실행하게 된다 (S414).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하는 요소는 이 사실을 통지 받아,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적당한 동작을 취하고/하거나 (이하 더욱 상세히 기입되는 바와 같이, 제어 요소 크기의 확장, 폴링 빈도수의 증가 등의) 원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계층의 다른 요소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전혀 요소가 없는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의 몇몇 다른 요소와 반대로) 이 특정 요소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부여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부가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된 후에,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에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 표면에 접촉하는지를 판단한다 (S416). "예"이면, 시스템은 입력 (예를 들어, 전자 잉크나 그 외 입력)을 수용하거나, 다른 적당한 동작을 취하고 (S418), 이 과정은 종료한다 (S420) (선택적으로, 이 과정은 S402로 돌아가서 다음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이 예에서는, 일단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되고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시작하거나 아니면 (예를 들어, 기록이나 그 외 다른 방법으로) 시스템이 입력을 수용하기 시작하면,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선택적으로, (전자 잉크 기입과 같은) 데이터 기입이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 외측의 영역에서 계속되는 경우에도) 그 펜- 다운 이벤트 동안 변경되지 않는다. 이것은 펜-다운 이벤트 동안의 모든 데이터 입력이 데이터 입력이 시작된 제어 요소에 보내지는 것을 확실히 한다 (선택적으로, 제어 요소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동 가능하면, 제어 요소는 그 펜-다운 이벤트 동안 펜에서 떨어져 이동하지만, 일단 포커스가 성립되면, 펜-다운 이벤트 동안 들어오는 데이터는 요소가 이벤트 동안 펜에서 떨어져 이동하는 경우에도,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에서 계속 수용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입력 데이터의 수용은 사용자 입력 장치가 펜-다운 이벤트 동안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 외측으로 일단 이동하면 종료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포커스는 손실될 수 있음). 본 발명의 몇몇 예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를 디지타이저 표면에서 충분한 거리 떨어지게 올려야 하므로 (펜-업 이벤트), 이것은 디지타이저에 의해 검출될 수 없으며 도 4의 과정을 다시 시작할 필요가 있다. 대안으로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스타일러스가 이 시간 전체에 걸쳐 디지타이저에 의해 항상 검출 가능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도, 펜을 디지타이저 표면으로부터 올려 다른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에 자동으로 변경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소정의 시간 지연 후에만 및/또는 스타일러스가 포커스를 갖는 이전의 제어 요소 및/또는 포커스를 갖는 이전의 제어 요소와 관련되는 마지막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최소한의 거리 이동한 후에만 상술한 여러 상황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서, 펜이 포커스나 입력을 수용할 수 없는 영역 (예를 들어, 포커스를 수용할 수 있는 제어 요소 간의 영역)에서 디지타이저에 초 기에 접촉하게 되면, 펜이 펜-다운 이벤트 동안 포커스 가능한 제어 요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 펜-다운 이벤트 동안에는 포커스가 전혀 성립되지 않는다. 다르게, 요구된다면, 펜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펜-다운 이벤트 동안 포커스 가능한 제어 요소를 지나는 시간에 포커스가 성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상황에서 포커스가 성립되면, 포커스 가능한 요소에의 입력은 펜이 포커스 가능한 제어 요소로 이동하기 전에 펜-다운 이벤트 동안 생성 또는 기입된 입력 데이터의 모두나 적어도 약간을 포함할 수 있다.
S416에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 스크린에 접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이 과정은 S402로 돌아가 펜이 범위 내에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유지되지 않으면 (응답 "아니오"),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철회되고 (S422), 펜을 검출하는 시도가 짧은 시간 후에 재개된다. 스타일러스가 검출 가능 유지되면 (S402에서 응답 "예"), 이 과정은 펜-다운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즉,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 표면에 접촉함) 펜이 철회될 때까지 반복되게 된다. 스타일러스가 검출 가능 유지 (예를 들어, 호버링 위치)되는 동안과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 표면에 접촉하기 전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스타일러스가 하나의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영역에서 다른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 상에서 한 제어 요소에서 다른 제어 요소로 시프트하게 된다. 또한, S422에서, 요구된다면,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선택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및/또는 새로운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될 때까지, 포커스를 갖는 마지막 제어 요소에 남을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여러 과정들은 단지 본 발명의 몇몇 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적당한 처리의 예일 뿐이다. 당업자라면 다른 과정들이 실행될 수 있고/거나 도 4와 관련하여 기입한 과정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기입한 특정 단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몇몇 단계는 제거되고/되거나 부가의 단계가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부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특정 예로서, 어느 제어 요소 표시가 펜의 위치 근처에 놓여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은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히트-테스팅"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부가하여, 운영 체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편리하거나 원하는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공중 포커스 관리 및 판단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실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크기의 배경 처리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중 포커스 관리 과정 중 일부 또는 모두를 다소 덜 자주 실행할 수 있어, 다른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가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한 과정은 예를 들어, 컴퓨터가 저전원, 슬립, 또는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 덜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적당한 동작이나 처리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성취하는 결과로 발생하거나 초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타일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 변경, 가청 발생음 등과 같이,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는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될 때를 표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은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하는 제어 요소로부터 결과되 는 다른 예의 잠재적인 처리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은 여러 제어 요소(302 내지 330)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332)을 설명한다. 도 3의 화살표(350)는 한 위치에서 인터페이스 스크린(332)에 접근하지만 스크린(332)에 인접하여 호버링하는 스타일러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스크린(332)과 관련되는 디지타이저가 그 스타일러스 존재와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일단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성립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 발명의 이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스크린(352)으로 변경된다. 특히, 이 예에서, 스타일러스는 제어 요소(312) (인터페이스의 "집 주소" 제어 요소의 "도시(city)" 제어 요소와 관련됨)에 인접하여 스크린(332)에 접근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제어 요소(312)에 성립될 때, 이 제어 요소(312)의 크기는 확장되고,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제어 요소(312) 내에 유지되는 한 이 확장 크기로 유지되게 된다. 적어도 몇몇 예에서는, 확장 박스(354)에서의 스타일러스 위치(350)는 제어 요소(312)에서의 스타일러스 위치(350)와 동일한 상대적 위치에 있게 된 후에 크기가 확장되게 된다 (사용자에게 작은 크기와 확장된 크기 간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함).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어 요소에 전자 잉크를 기록 및 기입하려고 하는 펜-기반 컴퓨터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제어 요소가 작으면, 전자 펜 및/또는 전자 잉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크기를 확장하는 것은 전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 크기, 및/또는 제어 요소가 매우 작은 상태에서 유용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가 본 발명의 이 예에서 제어 요소(312)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이 요소(312)의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손실되고, 확장 박스(354)는 사라진다. 선택적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손실은 스타일러스가 제어 요소(312)를 떠나거나 디지타이저 검출 범위 외로 이동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의 만료 후에만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한 경미한 의도하지 않은 스타일러스 이동으로 인해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더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새로운 포커스가 성립될 때까지, 및/또는 어느 다른 적당하거나 원하는 시간에 등과 같이 그 외 적합한 시간 때까지 이 요소(312)에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확장된 박스(354)가 원래 중심에 있는 제어 요소에 부가하여 인접하는 제어 요소를 포함하므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확장된 박스(354)가 사라지지 않고 원래의 제어 요소 (상기 예에서 제어 요소(312))로부터 그 인접 제어 요소 중 하나로 시프트될 수 있다. 포커스를 갖는 원래의 요소 외측의 스타일러스 이동을 처리하는 다른 바람직한 방법을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얻는 결과로 부가 및/또는 다른 동작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얻는 것은 전체 시스템 및/또는 특정 제어 요소를 입력을 수용하도록 "준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예로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절전 모드나 "대기" 모드로부터 시스템을 "깨우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얻는 것은 입력의 제어 요소와 관련되는 영역을 더욱 자주 체크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트리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로 하여금 들어오는 전자 잉크나 그 외 입력 데이터에 대해 더욱 자주 체크하거나 "폴(poll)"하도록 하고, 선택적으로는 특히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빈도수를 증가시킨다).
더 부가적인 예로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펜-다운 이벤트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 표면 근처에 펜이 호버하는 동안)의 진행 중에 이용되어 포커스를 갖는 영역에 기입되는 입력 데이터의 여러 특성이나 특징의 판단을 개시하다 (예를 들어, 잉크 컬러, 잉크 하이라이팅 특성, 펜 팁 특성, 잉크 데이터가 "압력 감지"식으로 수집되는지의 여부, 입력 데이터 타입 (예를 들어, 잉크, 삭제, 하이라이팅, 선택 등) 등). 포커스를 갖는 영역에 대한 잉크 특성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공중" 시간 주기를 이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이 펜-다운 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할 때 잉크를 매우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랜더링하기 시작하여, 더욱 자연스런 펜과 잉크의 경험을 제공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잉크가 펜-다운 이벤트가 발생할 때 즉각 나타나게 되어, 잉크같이 보이게 만든 것이 전자 펜의 팁으로부터 전자 서류 상으로 흐르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서 시스템을 입력 전자 잉크 데이터를 수용하도록 준비하는 다른 방법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성립이 이용될 수 있다. 펜-기반 컴퓨팅 시스템의 입력 전자 잉크는 통상 이것과 관련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잉크 위치, 잉크 컬러, 잉크압, 스타일러스와 교차되는 디지타이저 지점, 스타일러스 이동 방향, 잉크와 관련되는 데이터의 분석, 스트로크 ID 정보, 사용자 ID 정보, 언어 데이터 등). 예를 들어, 잉크 데이터를 (예를 들어, 계층적 문서 트리 포맷, 등으로) 수용 및 저장하도록 메모리에 데이터 구조를 설정 및/또는 할당하고; 예를 들어, 레이아웃 분석, 분류, 파싱(parsing), 인식 등을 위해 잉크의 미러 트리와 스냅샷을 위한 메모리 위치를 설정 및/또는 할당하고; 여러 메모리 위치로부터 캐시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잉크를 수용하도록 준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어느 다른 적합하거나 요구되는 처리나 동작이나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얻는 결과로 트리거되거나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단일의 스타일러스와 관련되는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제공하고 유지하는 데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개수의 스타일러스 포커스라도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성립되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타일러스 포커스가 제1 제어 요소와 관련하여 검출, 성립 및 유지되는 동안, 디지타이저는 또한 제2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용하여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요소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제공하여 유지한다. 또한, 제2 스타일러스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 예에서 이미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정 예에서는, 공중 지점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를 판단하는 데에 이용된다. 일단 입력 잉크 스트로크가 시작되면 그 스트로크 (그 펜-다운 이벤트 동안)와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는 동일한 제어 요소와 계속 관련되어야 하는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에 (최소한 펜이 그 제어 요소의 영역을 떠날 때까지, 선택적으로 펜이 그 제어 요소의 영역을 떠난다고 해도 펜-업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공중 지점만이 이 예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변경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 예에서,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제어 요소만이 임의의 시간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이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의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을 수용할 수 있으면,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 내의 스타일러스만이 입력 잉크를 기입할 수 있게 되지만,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 내의 모든 스타일러스가 잉크 (또는 그 외 입력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기입할 수 있게 된다. 모든 다른 스타일러스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 외측에 위치된 것)는 마우스와 같이 동작한다. 이 예에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갖는 제어 요소는 모든 스타일러스가 최소한 제어 요소의 영역에 남겨지고/거나 디지타이저의 검출 범위 외에 있을 때까지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손실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부가의 선택적 특성은 스타일러스와 디지타이저 표면 간의 접촉의 결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의 성립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경우, 컴퓨터 시스템이 저전원이나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또는 디지타이저가 스타일러스의 존재를 검출하려고 가끔 폴링하고 있을 때, 스타일러스는 디지타이저 표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호버 배향으로 검출되기 전에 디지타이저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가 펜을 디지타이저 표면상에 신속히 위치시켜 입력 을 기입하기 시작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적어도 몇몇 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탭이 포커스를 성립하고 제2 펜-다운 이벤트가 데이터의 기입을 시작할 필요 없이, 디지타이저 표면과 스타일러스 접촉하는 위치에서 (및 접촉 결과로) 제어 요소에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제공하여 입력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접촉의 결과로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수용하는 제어 요소의 판단은: 선택적으로 제어 요소의 계층적 구조 및 상술한 바와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고려할 때,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접촉의 (X, Y) 좌표를 이용한 히트-테스팅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요구된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스타일러스 포커스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마우스 포커스 및/또는 키보드 포커스 및/또는 다른 스타일러스 포커스와 독자적 및 개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포커스를 초기화하여 유지하는 동안 다른 사용자 (또는 동일한 사용자)는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 및/또는 다른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다른 제어 요소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는 디지타이저 표면에 근접하는 스타일러스의 검출에 응답하여 모든 경우에 성립될 필요는 없다. 요구된다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적어도 몇몇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또는 운영 체제는 포커스를 거부하고/하거나 포커스를 성립하는 데에 관련되는 데이터 전송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드를 포함하고/하거나 이벤트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가 입력 전자 잉크를 수용할 공간을 갖고 있지 않으면, 그 요소가 포커스를 수용하도록 할 이유가 없다. 부 가하여, 요소가 몇가지 이유로 수용할 수 있는 전자 잉크에 대해 한계에 이르게 되면, 그 요소의 포커스는 거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ID 및/또는 패드워드 필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오직 1회 기록할 수 있거나 하려고 하는 필드에는, 그 필드에 잉크가 이미 존재하거나 기입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특정 시간의 만료 후에) 포커스가 수용되지 않게 된다. 포커스 거부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한 제어 요소씩 마다에 근거하거나 어느 다른 방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시스템과 방법을 포함하여, 여러 방법을 실행하고 여러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여러 특정 예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구성할 수 있다.
Ⅴ. 결론
몇몇 경우, 상기 설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요소"에 대한 스타일러스 및 마우스의 상호 작용 및 위치 관계를 기입한다. 이것은 전달의 용이함과 편리성을 위해 간략히 설명한 것이다. 실제로, "제어 요소"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의 운영 체제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이 간략한 설명을 스타일러스와 마우스가 실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또는 그 일부로서 존재하는 여러 제어 요소의 표시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기입한 것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이들의 상호 작용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표시된 제어 요소를 활성화시키고, 여기에 입력을 보내고, 아니면 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예들이 상술되었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이들 예의 모든 조합과 부조합을 그 영역 내에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가하여, 당업자라면 상기 예가 본 발명의 여러 형태를 간단히 예시화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여러 변경 및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다.

Claims (72)

  1.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전자 잉크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근접을 나타내는 입력이 더 이상 수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스타일러스를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접촉시키지 않고 상기 디지타이저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1 제어 요소로부터 포커스를 철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포커스를 제공하기 전에,
    스크린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제어 요소의 표시에 대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의 표시의 적어도 일부분의 확장 뷰(view)를 랜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요소로 향해진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와는 별개로 마우스 포커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와는 별개로 키보드 포커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입력을 수용하도록 준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 지타이저의 영역에서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제2 스타일러스가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와 동시에 제공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를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로 포커스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접촉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포커스가 제공될 때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는 판단, 또는 (b) 상기 제1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이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전자 잉크 또는 그 외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요소로 향해진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입력을 수용하도록 준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의 상기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a) 상기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는 판단, 또는 (b) 상기 제2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가 상기 제2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대응할 때 제2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와 동시에 제공되는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타일러스를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로 포커스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19항에 있어서, 포커스가 제공될 때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1.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생성하도록 된 입력 장치; 및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입력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전자 잉크 입력을 포함하는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근접을 나타내는 입력이 더 이상 수용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제1 스타일러스를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상기 디지타이저에서 떨어지게 이동시킬 때, 추가로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포커스를 철회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커스를 제공하기 전에 추가로 스크린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제어 요소의 표시에 대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제어 요소가 포커스를 수용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요소로 향해진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 영역을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와는 별개로 마우스 포커스를 유지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와는 별개로 키보드 포커스를 유지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커스를 수용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입력을 수용하게 준비시키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1 제어 요소가 입력을 수용하게 준비시키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추가로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추가로 상기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와 동시에 제공되는 시스템.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될 때, 추가로 포커스를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로 변경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포커스가 제공될 때 추가로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46.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될 때를 나타내는 입력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입력 장치; 및
    (a) 상기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는 판단, 또는 (b) 상기 제1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추가로 제1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전자 잉크 또는 그 외 입력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제어 요소가 포커스를 수용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요소로 향해진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로 확장 영역을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커스를 수용한 것에 응답하여 추가로 상기 입력을 수용하는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준비시키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켜 상기 입력을 수용하는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준비시키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추가로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a) 상기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는 판단, 또는 (b) 상기 제2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가 상기 제2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대응할 때 추가로 제2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는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한 포커스와 동시에 제공되는 시스템.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될 때 추가로 포커스를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로 변경시키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55.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포커스가 제공될 때 추가로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되어 프로그램된 시스템.
  56.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전자 잉크 또는 그 외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근접을 나타내는 입력이 더 이상 수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디지타이저로부터 떨어지게 이동될 때,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포커스를 철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커스를 수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요소로 향해진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제2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될 때 포커스를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4.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포커스가 제공될 때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5. 제1 스타일러스가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는 판단, 또는 (b) 상기 제1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타일러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전자 잉크 또는 다른 입력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커스를 수용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어 요소로 향해진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8.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서 폴링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9.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제2 스타일러스가 상기 디지타이저에 근접하여 위치되었다는 판단, 또는 (b) 상기 제2 스타일러스와 상기 디지타이저의 표면 간의 접촉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스타일러스의 위치가 제2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상기 디지타이저의 영역에 대응할 때 상기 제2 제어 요소에 포커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1.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타일러스가 상기 제1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제어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요소로 포커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2.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커스가 제공될 때 가시 또는 가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47009194A 2003-08-21 2003-08-21 공중 지점을 이용한 포커스 관리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042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3/026204 WO2005029460A1 (en) 2003-08-21 2003-08-21 Focus management using in-air points
US10/644,899 US7499035B2 (en) 2003-08-21 2003-08-21 Focus management using in-air poi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384A true KR20060117384A (ko) 2006-11-17
KR101042099B1 KR101042099B1 (ko) 2011-06-16

Family

ID=3459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194A KR101042099B1 (ko) 2003-08-21 2003-08-21 공중 지점을 이용한 포커스 관리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99035B2 (ko)
EP (1) EP1656660A4 (ko)
KR (1) KR101042099B1 (ko)
CN (1) CN100444154C (ko)
AU (1) AU2003269976B2 (ko)
BR (1) BR0306578A (ko)
CA (1) CA2466951C (ko)
MX (1) MXPA04005720A (ko)
WO (1) WO2005029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8122354B1 (en) * 2005-02-25 2012-02-21 The Math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dicator of detection of input related to an element of a user interface
US8640959B2 (en) * 2005-03-18 2014-02-0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cquisition of a user expression and a context of the expression
US8340476B2 (en) * 2005-03-18 2012-12-2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lectronic acquisition of a hand formed expression and a context of the expression
US7809215B2 (en) * 2006-10-11 2010-10-0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ntextual information encoded in a formed expression
US8229252B2 (en) * 2005-03-18 2012-07-2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lectronic association of a user expression and a context of the expression
US7813597B2 (en) 2005-03-18 2010-10-1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Information encoded in an expression
US8102383B2 (en) * 2005-03-18 2012-01-2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erforming an action with respect to a hand-formed expression
US20070273674A1 (en) * 2005-03-18 2007-11-2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Machine-differentiatable identifiers having a commonly accepted meaning
US8823636B2 (en) * 2005-03-18 2014-09-0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Inclu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 manual expression
US7672512B2 (en) * 2005-03-18 2010-03-02 Searete Llc Forms for completion with an electronic writing device
US8290313B2 (en) 2005-03-18 2012-10-1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lectronic acquisition of a hand formed expression and a context of the expression
US8232979B2 (en) * 2005-05-25 2012-07-3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erforming an action with respect to hand-formed expression
US20070274300A1 (en) * 2006-05-04 2007-11-29 Microsoft Corporation Hover to call
US20080120568A1 (en) * 2006-11-20 2008-05-22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data using a three dimensional position of a pointer
US20080158171A1 (en) * 2006-12-29 2008-07-03 Wong Hong W Digitizer for flexible display
US8269727B2 (en) 2007-01-03 2012-09-18 Apple Inc. Irregular input identification
US7924271B2 (en) * 2007-01-05 2011-04-12 Apple Inc. Detecting gestures on multi-event sensitive devices
US20080168478A1 (en) 2007-01-07 2008-07-10 Andrew Platz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US20080168402A1 (en)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EP1947561B1 (en) * 2007-01-19 2019-06-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displaying browser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080068491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78291A (ko) 2007-02-23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US20080180412A1 (en) * 2007-01-31 2008-07-3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e digitizer
US8645827B2 (en) 2008-03-04 2014-02-04 Apple Inc. Touch event model
US8717305B2 (en) 2008-03-04 2014-05-06 Apple Inc. Touch event model for web pages
US8416196B2 (en) 2008-03-04 2013-04-09 Apple Inc. Touch event model programming interface
JP4533943B2 (ja) * 2008-04-28 2010-09-0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466077A (en) * 2008-12-15 2010-06-16 Symbian Software Ltd Emulator for multiple computing device inputs
KR20100069842A (ko) * 2008-12-17 201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US9684521B2 (en) 2010-01-26 2017-06-20 Apple Inc. Systems having discrete and continuous gesture recognizers
US8285499B2 (en)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9311112B2 (en) 2009-03-16 2016-04-1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566045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20100325565A1 (en) * 2009-06-17 2010-12-23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graphical interfaces
US8552999B2 (en) 2010-06-14 2013-10-08 Apple Inc. Control selection approximation
US9298363B2 (en) 2011-04-11 2016-03-29 Apple Inc. Region activation for touch sensitive surface
US9195351B1 (en) * 2011-09-28 2015-11-24 Amazon Technologies, Inc. Capacitive stylus
US10684768B2 (en) * 2011-10-14 2020-06-16 Autodesk, Inc. Enhanced target selection for a touch-based input enabled user interface
US9182840B2 (en) 2012-07-31 2015-11-10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a stylus having a plurality of non-passive location modalities
US8957878B2 (en) 2012-07-31 2015-02-17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tylus location-determin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a plurality of non-passive stylus-location modalities
KR20140138224A (ko) * 2013-01-06 2014-12-03 인텔 코오퍼레이션 터치 데이터의 분산된 전처리와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733716B2 (en) 2013-06-09 2017-08-15 Apple Inc. Proxy gesture recognizer
US11256410B2 (en) 2014-01-22 2022-02-22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ic launch and data fill of application
EP2913749A1 (en) * 2014-02-26 2015-09-02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Method and system for focus management in a software application
US9524428B2 (en) 2014-04-28 2016-12-20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ed handwriting input for entry fields
US20150347364A1 (en) * 2014-06-03 2015-12-03 Lenovo (Singapore) Pte. Ltd. Highlighting input area based on user input
US10817124B2 (en) * 2014-06-03 2020-10-27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ing user interface on a first device based on detection of a second device within a proximity to the first device
US10146409B2 (en) * 2014-08-29 2018-1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erized dynamic splitting of interaction across multiple content
FR3050891A1 (fr) * 2016-05-02 2017-11-03 Orange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simultanee d'une pluralite de messages
US9971426B2 (en) 2016-07-26 2018-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Fi enabled stylus with variable area range
US10599444B2 (en) 2018-01-09 2020-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sible input stack for processing input device data
US20190213015A1 (en) * 2018-01-09 2019-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sible input stack for processing input device data
CN112929717B (zh) * 2019-12-06 2022-07-29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焦点管理的方法及显示设备
US11209902B2 (en) * 2020-01-09 2021-12-28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rolling input focus based on eye gaz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9942A (en) * 1993-05-10 1996-09-24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e for an application program
JP3744552B2 (ja) * 1994-03-07 2006-02-15 富士通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
JPH0822370A (ja) * 1994-07-06 1996-01-23 Minolta Co Ltd 情報処理装置
US5634102A (en) * 1995-08-07 1997-05-27 Apple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electable backdrop
JPH09190268A (ja) * 1996-01-11 1997-07-2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049329A (en) * 1996-06-04 2000-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rtion Method of and system for facilitating user input into a small GUI window using a stylus
US6128007A (en) * 1996-07-29 2000-10-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ode handwritten input and hand directed control of a computing device
US5905486A (en) * 1997-03-03 1999-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combine cursor, control and input functions
US6073036A (en) * 1997-04-28 2000-06-06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with touch input having automatic symbol magnification function
US6292857B1 (en) * 1997-06-05 2001-09-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mechanism for coordinating input of asynchronous data
JP3933278B2 (ja) * 1997-11-04 2007-06-20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を検出可能な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US6313853B1 (en) * 1998-04-16 2001-11-06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service user interface
US6971067B1 (en) * 1999-08-23 2005-11-29 Sentillion, Inc. Application launchpad
US7006711B2 (en) * 2000-06-21 2006-02-28 Microsoft Corporation Transform table for ink sizing and compression
US7397949B2 (en) * 2000-06-21 2008-07-08 Microsoft Corporation Serial storage of ink and its properties
US20050024341A1 (en) * 2001-05-16 2005-02-03 Synaptics, Inc.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7533351B2 (en) * 2003-08-13 2009-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ynamic expansion and overlay of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6660A4 (en) 2006-09-13
CA2466951A1 (en) 2005-02-21
MXPA04005720A (es) 2005-06-03
AU2003269976B2 (en) 2010-06-10
CN1666247A (zh) 2005-09-07
BR0306578A (pt) 2005-06-28
WO2005029460A1 (en) 2005-03-31
US7499035B2 (en) 2009-03-03
KR101042099B1 (ko) 2011-06-16
EP1656660A1 (en) 2006-05-17
CN100444154C (zh) 2008-12-17
US20050052434A1 (en) 2005-03-10
AU2003269976A1 (en) 2005-04-11
CA2466951C (en) 201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099B1 (ko) 공중 지점을 이용한 포커스 관리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6903730B2 (en) In-air gestures for electromagnetic coordinate digitizers
CN1864155B (zh) 带自增长的文本输入窗
US7319454B2 (en) Two-button mouse input using a stylus
US20180239450A1 (e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KR101120850B1 (ko) 잉크의 스케일링된 텍스트로의 대체
KR101098642B1 (ko) 잉크 정정 패드
US6897853B2 (en) Highlevel active pen matrix
US20070176904A1 (en) Size variant pressure eraser
KR20060087410A (ko) 스타일러스 로케이션에 의한 시스템 제어
RU2328030C2 (ru) Управление фокусом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очек, соответствующих положению пера над поверхностью цифров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KR10036014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바이스에서의 제스처를 통한필기입력 방법
JP4808029B2 (ja) 空中点を利用したフォーカス管理
KR100379917B1 (ko)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