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292A - 마루틀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루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292A
KR20060117292A KR1020060070168A KR20060070168A KR20060117292A KR 20060117292 A KR20060117292 A KR 20060117292A KR 1020060070168 A KR1020060070168 A KR 1020060070168A KR 20060070168 A KR20060070168 A KR 20060070168A KR 20060117292 A KR20060117292 A KR 20060117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height
support holder
base plate
fram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972B1 (ko
Inventor
김성자
이만익
이승규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이승규
이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이성진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102006007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97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낮은 높이의 마루바닥을 시공할 때 전용으로 사용하여 상기 마루바닥의 수평상태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여 제작단가 및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높낮이조절봉이 일체로 입설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봉에는 받침홀더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단부가 나사 결합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마루틀 시스템{Floor fram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받침홀더와 베이스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홀더가 높낮이조절봉에 결합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받침홀더의 높낮이 조절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가 안착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가 안착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면 3: 마루널지지부재
10: 베이스판 11: 높낮이조절봉
20: 받침홀더 22: 결합단부
본 발명은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재로 사용하는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낮은 높이의 마루바닥을 시공할 때 전용으로 사용하여 상기 마루바닥의 수평상태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여 제작단가 및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등의 바닥재로는 목재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목재의 특수한 성질에 의해 시공 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뒤틀림, 갈라짐, 부패 등으로 인해 바닥재가 배부름, 꺼짐, 소음 등의 하자가 발생되어 사용자인 학생과 교직원의 불만이 가중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상기 목재를 이용한 마루바닥의 시공방법은 숙련된 기능공에 의해서만 시공이 가능하여 기능공 수급이 점차 어려워지는 건설현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매우 불합리하며, 복잡한 작업공수 및 많은 자재가 소요됨에 따라 인건비, 자재비의 과다 지출로 인해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마루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경기중 운동선수 및 무용수의 움직임 동작(뜀뛰기, 구름동작 등)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는 체육관이나 무용실 등의 마루바닥을 설치하기에는 한계가 따르는 것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되어 기술평가 등록유지결정된 『실용신안등록 제280824호, 제287038호 명칭 마루바닥 시공장치』가 연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선등록 고안이 내포하는 일부의 개선점을 해소하는 또 다른 고안이 선출원되어 기술평가 등록유지결정된 『실용신안등록 제316250호 명칭 철재 마루틀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제시된 실용신안등록 제316250호(이하, 선등록 고안이라 함)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받침홀더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맞춰 놓은 후 상기 받침홀더에 마루널지지부재를 안착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루바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마루바닥의 위치가 비교적 높은상태로 시공할 때 사용하도록 제안된 것으로, 일정한 최저높이 및 최고높이를 확보한 상태에서 마루바닥의 수평상태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따라서 받침홀더가 높낮이조절구에 밀착되는 최저높이에 도달하더라도 마루바닥은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지역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최저높이 이하로 마루바닥을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상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상기 선등록 고안은 근자에 신축하는 마루바닥이 대부분 높은 높이로 설치되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실시됨에 따라 마루바닥의 신축에는 별 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종래의 마루바닥은 대부분 낮은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마루바닥이 노후하여 이를 교체하거나 보수할 경우 상기 선등록 고안을 그래도 적용함에는 무리가 따르는 것이었다.
더욱이 낮은 높이로 마루바닥을 시공함에 있어 상기 선등록 고안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지므로써 불필요한 제작비용 및 시공비용의 증가로 귀결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 고안에 의해 시공 가능한 최저높이 이하의 마루바닥을 시공할 때 전용으로 적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마루바닥을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높낮이 조절을 통해 마루바닥의 균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함에도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콤팩트하여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하는 동시에 작업시간 및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높낮이조절봉이 일체로 입설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봉은 받침홀더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단부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낮은 높이의 마루바닥을 시공할 때 전용으로 사용함은 물론 이에 따라 매우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 및 시공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함을 발명의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상기 특징적인 요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에 입설된 높낮이조절봉(11)에 직접 낮은 높이로 결합되는 받침홀더(20)의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베이스판(10)은 바닥면(1)에 앙카볼트(2)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낮은 높이의 마루바닥 시공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마루바닥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봉(11)이 일체로 입설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낮이조절봉(11)은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마루바닥이 낮음을 고려하여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특별함을 갖는다.
한편, 다른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높낮이조절봉(11)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받침홀더(20)는 마루널지지부재(3)의 저부를 안정되게 부분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저면에는 나사부(21)로 이루어진 체결공(24)이 형성된 결합단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단부(22)는 높낮이조절봉(11)에 직접 결합되므로써 받침홀더(20)는 설치가 완료된 상태임에도 전체적으로 바닥면(1)으로부터 높이가 낮아 비교적 낮은 높이를 갖는 마루바닥을 전용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낮은 높이의 마루바닥을 전용으로 시공함에 따라 별도의 불필요한 다수의 구성품을 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받침홀더(20)의 하부에 직접 설치되는 결합단부(22) 및 베이스판(10)에 직접 입설되는 높낮이조절봉(11)의 간단한 구성요소 및 이들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에 따른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함은 물론 시공에 따른 인력 및 시간을 감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체결단부(22)에 형성된 체결공(24)은 받침홀더(20)를 관통 하여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체결공(24)이 받침홀더(20)를 관통하여 형성된 이유는 마루바닥을 더욱 낮은 높이로 시공할 경우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체결공(24)이 받침홀더(20)를 관통하여 형성됨에 따라 도 6과 같이 높낮이조절봉(11)이 받침홀더(2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써 전체적으로 받침홀더(20)의 높이가 더욱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홀더(2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높낮이조절봉(11)은 마루널지지부재(3) 및 마루널고정목(4)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높낮이조절봉(11)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마루널지지부재(3) 및 마루널고정목(4)은 별도의 드릴링작업을 통해 각각 통공(5)(6)을 형성하는 작업을 병행하여야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에 무리가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마루바닥의 시공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바닥면(1)에 앙카볼트(2)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베이스판(10)을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각각의 베이스판(10)에 입설된 높낮이조절봉(11)에는 받침홀더(20)의 결합단부(22)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바닥면(1)이 수평상태로 균일하지 않더라도 상기 받침홀더(20)를 회전시킴에 따라 받침홀더(20)는 높낮이조절봉(11)을 타고 상,하로 이송함에 따라 일률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홀더(20)의 수평상태가 균일하게 유지되면 마루널지지부 재(3)에 마루널고정목(4)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루널지지부재(3)를 도 5와 같이 받침홀더(20)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마루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즉 간단한 조립방법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마루바닥을 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낮은 높이를 갖는 마루바닥의 시공시 전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마루바닥의 균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함은 물론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 및 인력을 획기적으로 감축하므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하자발생의 우려가 전혀 없어 제품의 내구연한이 증진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바닥면(1)에 설치되는 베이스판(10)의 상부에 높낮이조절봉(11)이 일체로 입설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봉(11)에는 받침홀더(20)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단부(22)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단부(22)에 형성된 체결공(24)은 받침홀더(20)가 더 낮은 높이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홀더(20)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틀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높낮이조절봉(11)은 전체적으로 낮은 높이의 마루바닥을 전용으로 시공하도록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받침홀더(2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틀 시스템.
KR1020060070168A 2006-07-26 2006-07-26 마루틀 시스템 KR10076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68A KR100763972B1 (ko) 2006-07-26 2006-07-26 마루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68A KR100763972B1 (ko) 2006-07-26 2006-07-26 마루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559U Division KR200392800Y1 (ko) 2005-05-13 2005-05-13 마루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92A true KR20060117292A (ko) 2006-11-16
KR100763972B1 KR100763972B1 (ko) 2007-10-10

Family

ID=3770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68A KR100763972B1 (ko) 2006-07-26 2006-07-26 마루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95B1 (ko) * 2010-01-06 2013-08-20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50Y1 (ko) 2003-03-20 2003-06-18 이만익 철재 마루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95B1 (ko) * 2010-01-06 2013-08-20 (주)엘지하우시스 이중바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972B1 (ko)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731B1 (ko) 조적용 시공장치
CN210597997U (zh) 一种架空地板
US20070006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100767645B1 (ko)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KR200392800Y1 (ko) 마루틀 시스템
KR102210403B1 (ko)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KR100763972B1 (ko) 마루틀 시스템
KR200465696Y1 (ko) 높이 조절이 편리한 마루틀 시스템
KR200492348Y1 (ko)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CN209760456U (zh) 可调节高度的网架支座
KR100499910B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CN201217927Y (zh) 一种活动地板支撑架
CN210713661U (zh) 一种用于底板的可升降地面支撑结构
CN109610752A (zh) 一种楼梯装饰总成及楼梯装修方法
KR200459321Y1 (ko) 목재바닥용 마루틀 고정장치
KR200287038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200316250Y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CN208415852U (zh) 支撑组件及架空地面系统
KR20110078593A (ko) 상부철근 받침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초 시공방법
CN202544394U (zh) 早拆模板体系
CN207452595U (zh) 一种组合式轨枕
CN202865867U (zh) 一种预埋螺杆空间定位器
KR200280824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KR20170077364A (ko)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KR10070493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