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603A -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603A
KR20060115603A KR1020060039937A KR20060039937A KR20060115603A KR 20060115603 A KR20060115603 A KR 20060115603A KR 1020060039937 A KR1020060039937 A KR 1020060039937A KR 20060039937 A KR20060039937 A KR 20060039937A KR 20060115603 A KR20060115603 A KR 20060115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bone
prelimina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키 피트캐넨
하리 하포넨
베사 부오리잘로
Original Assignee
이니온 오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니온 오위 filed Critical 이니온 오위
Publication of KR2006011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5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pliable or malleable elements or having a mesh-like structure, e.g. small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t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8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and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의 부착 방법이 개시된다. 판(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뼈 조각에 부착하기 위한 제1 부분(9)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뼈 조각에 부착하기 위한 제2 부분(10), 그리고 상부면(2) 및 하부면(3)을 구비한다. 상부면(2)은 여러 개의 구멍들을 구비하는데, 그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4)이고, 이 예비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제의 나사산 부착구멍(13)이 그 위치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며,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3)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인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멍(5, 7)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 구멍(5, 7)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크다.
요골, 절골술, 고정판

Description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PLATE, ITS USE, SYSTEM AND PLATE ATTACHM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을 상부면의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판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판을 상부면의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부분적인 단면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판의 상부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판의 측면도이다.
명확함을 위해, 본 발명은 도면에서 간략화되어 도시되었다. 유사한 도면번호는 도면들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뼈 조각들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부분과 하나 이상의 제2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2 부분,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뼈 조각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뼈 조각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목 및 그곳에 접하는 뼈들은 예를 들어, 떨어져 넘어지거나 걸려 넘어져서 부러질 수 있다. 매우 자주 요골은 부러진 손목 관절과 접해서 그것의 원위부가 하나 이상의 조각들로 부러져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요골의 몸통(shaft)을 벗어난다. 이러한 골절 중의 가장 전형적인 것은 소위 "콜리스 골절(Colles' fracture)"이다. 특히 요골의 원위부의 치료를 위한 통상 알려진 판들이 이러한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쓰인다. 이러한 판이 사용될 때, 느슨한 원위 조각들은 요골 몸통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판은 골절 부위를 덮도록 부착되어 그것의 원위부가 요골 몸통으로부터 떨어진 원위 뼈 조각에 부착되고 따라서 근위부는 요골의 몸통에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판은 요골의 몸통에 나사로 고정되는데, 나사나 핀을 그것의 원위부에 고정한다. 상기 나사나 핀은 원위부에 뚫린 구멍에 고정되고, 그 구멍은 서로에 대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판은 예를 들어, US 2003/0105461 및 US 6,358,250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판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판들은 뼈, 예를 들어 요골을, 예를 들어 그것의 모양이나 위치가 바뀌도록 의도적으로 자르는 절골술(osteotomy), 즉 수술시에 처치하기 위해 쓰일 수도 있다. 게다가, 판은 뼈의 융합, 즉 뼈 이식(bone implatation)에 쓰일 수도 있다.
알려진 판들은 문제가 좀 있다. 첫째, 뼈 조각을 서로 고정하기 위하여 뼈 조각의 올바른 위치에 판을 부착시키는 것이 어려운데, 왜냐하면 부착 구멍을 뚫는 동안 판을 지속적으로 뼈에 대고 고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다른 문제는 판을 뼈에 부착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즉, 뼈에 대고 판을 누르는 부착 나사의 장력이 장력 완화의 영향으로 감소하는데, 특히 부착 나사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을 때 그러하다. 장력이 감소하면 뼈 조각에 대한 판의 지지가 약해져서, 뼈 조각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골절의 치유를 지연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판, 그것의 용도, 상기 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판은, 여러 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상부면을 가지는데, 그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prehole)이며, 상기 예비구멍 중의 적어도 하나에 실제의 나사산이 있는 부착 구멍이 그 자리에 정렬되고, 또한 판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멍을 가지는데, 그것은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으로서, 개방 구멍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의 용도는 원위 요골 골절 또는 절골술 시의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판을 포함하며, 상기 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2 부분,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고, 상기 상부면은 여러 개의 구멍을 구비하는데, 그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이며,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 뻗어나가는 관통 구멍인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 구멍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바깥 지름이 최대로 개방 구멍의 최소 지름과 같은 크기이지만 예비구멍의 지름보다는 큰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부착나사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뼈 조각에 부착되는 제1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뼈 조각에 부착되는 제2 부분 및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진다. 상기 상부면은 여러 개의 구멍을 가지는데, 그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이다. 상기 판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멍을 가지는데, 그것은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이고, 상기 개방 구멍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의 지름보다 크다. 또한 상기 방법은 바깥 지름이 최대로 개방 구멍의 최소 지름과 같은 크기인 나사산부를 가지는 부착나사를 사용한다. 본 방법에서 뼈 위에 판을 정렬함으로써, 개방 구멍을 통과해 뼈에 마련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예비 부착 구멍을 뼈에 제공하고, 개방 구멍을 관통하여 부착 나사를 예비 부착 구멍에 고정시키며, 하나 이상의 예비구멍에 실제 부착 구멍을 마련하는데, 그것은 나사산 판 부분 및 이것과 평행하고 동축인 나사산 뼈 부 분을 포함하고 뼈 내부로 뻗어나가며 부착 나사를 부착 구멍 안으로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판이 부착구멍을 위한 예비구멍을 포함한다는 것인데, 그 예비구멍을 통과해 실제의 나사산 부착구멍이 그 자리에 마련되고, 그 실제의 부착 구멍에 판을 뼈 조각에 부착시켜서 서로 고정하기 위한 부착 나사가 고정된다. 상기 판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멍을 포함하는데, 그것을 통과하여 상기 부착 나사가 그것의 나사산을 판에 고정시키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방 구멍 덕택에 쉽고 빠르게 판을 뼈에 대해 단단히 조여 누르는 부착 나사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예비구멍을 통해 판으로부터 뼈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뻗어나가는 나사산을 가지는 부착구멍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연속적인 나사산은 나사를 뼈뿐만 아니라 판에도 고정시켜서, 판의 부착이 특별히 견고하고 탄탄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예비구멍이 판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이라는 것이다. 관통구멍에 예비구멍의 중앙축과 동축인 중앙축을 가지는 부착 구멍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의 두번째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상기 판이 제2 부분의 제1 부분에 가장 가까운 말단에 판의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두 개의 부착 구멍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골절선(fracture line)에 가까운 판의 부착이 가능한 단단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의 세번째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개방 구멍이 그것의 한 방향으로의 지름이 다른 방향으로의 지름보다 큰 긴 형태의 개방 구멍이며, 그것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의 지름보다 크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부착 나사의 나사산부의 나사산이 나사산 등성이가 나사의 팁에 가까운 부분에서 나사의 팁부터 더 먼 부분보다 높도록 변한다는 것이다. 높은 나사산 등성이는 해면골에 최적으로 부착되고, 한편으로 낮은 나사산은 피질골에 최적으로 부착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판의 실제 부착 구멍이 판에 특정 각도로 마련된다는 것인데, 상기 각도는 부착 구멍의 예비구멍의 판에 대한 각도와 다르다. 예비 구멍이 부착 나사의 방향을 확정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수술과정에 따른 의학적 수술적 표준의 관점에서 가능한 가장 좋은 방식으로 나사 및 결과적으로 판이 뼈 조직에 부착될 수 있는 판에 대한 위치에 부착나사가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의 기본 개념은 기본적으로 판에 예비구멍만 구비되고 뼈 조각을 서로 고정하려는 관점에서 개방구멍에 대한 가장 좋은 위치를 찾을 때까지 개방구멍이 예비 구멍에 마련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을 상부면의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는 같은 판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상부면의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판(1)은 요골의 몸통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원위부를 요골의 몸통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1)은 요골의 손바닥쪽에 부착된다. 골절의 유형에 따라, 요골 몸통에 부착될 하나 이상의 원위 뼈 조각이 있을 수 있다. 다음의 도면과 연결하여 이와 같은 수술이 설명될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판, 그 구성 및 방법이 다른 뼈 골절의 처치, 절골술 및 융합에도 역시 쓰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판(1)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체에서 흡수가능한 생분해성 중합체 물질로 만들어지는데, 그것은 예를 들어 젖산, L-락티드, D-락티드, D,L-락티드, 메조락티드, 글리콜산, 글리콜리드 또는 락티드와 공중합될 수 있는 임의의 시클릭 에스테르를 중합하거나 공중합함으로써 만들어지고, 또는 여기서는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을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임의의 대응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른 적절한 생분해성 중합체, 공중합체 및 중합체 혼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의 간행물에 나타나있다:
"Encyclopedic Handbook of Biomaterials and Bioengineering, Part A", Donald L. Wise, Debra J. Tarantolo, David E. Altobelli, Michael J. Yaszemski, Joseph D. Gresser, Edith R. Schwartz, 1992, Marcel Dekker, Inc., 977-1007페이지.
"Biodegradable fracture-fixation devices in maxillofacial surgery", R. Suuronen, Int. J. Oral Maxillofac. Surgery, 1993, 22:50-57페이지.
"Critical Concepts of Absorbable Internal Fixation", William S. Pietrzak, Portland Bone Symposium, Portland, Oregon, 1999년 8월 4-7일.
"High-impact poly(L/D-lactide) for fracture fixation: in vitro degradation and animal pilot study", Jan Tams, Cornelis A.P. Joziasse, Ruud R.M. Bos, Fred R. Rozema, Dirk W. Grijpma and Albert J. Pennings, Biomaterials, 1995, 16권, No. 18, 1409-1415페이지.
"A Review of Materi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and Bioresorbable Polymers and Devices for GTR and GBR Applications", Dietmar Hutmacher, Markus B. Hurzeler, Henning Schliephak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s, 11권, No. 5, 1996, 667-678페이지.
"Orthopaedic Application for PLA-Pga Biodegradable Polymers", Kyriacos A. Athanasiou, Mauli Agrawal, Alan Barber, Stephen S. Burkhart, The Journal of Arthroscopic and Related Surgery, 14권, No. 7, 1988년 10월, 726-737페이지.
또한 당업자에게는 상기 물질이 두 개 이상의 물질 또는 모노머, 폴리머 체인으로 구성된 소위 합성물질이라고 불리는 물질이며, 그것의 본질적인 특징이 신체에 녹는 것임이 명확할 것이다. 합성물질은 생유리, 생세라믹, 생물학적 활성 성분, 항생제나 성장인자와 같은 약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의 구성 물질은 또한 피롤리돈 연화제와 같은 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피롤리돈은 연화제로서 기능할 수 있고, 생체에 고정되는 임플란트에 쓰일 수 있다고 알려진 모든 피롤리돈이다. 이러한 피롤리돈의 예는 N-메틸-2-피롤리돈(NMP), 1-에틸-2-피롤리돈(NEP), 2-피롤리돈(PB) 및 1-시클로헥실-2-피롤리돈(CP)과 같은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 치환 피롤리돈을 포함한다.
판(1)은 상부면(2) 및 하부면(3)을 포함한다. 각각 하부면(3)은 뼈에 대고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부면(2)은 그것으로부터 먼 부분이다. 상부 및 하부 면(2, 3)은 판의 길이 방향 L 및 그것에 수직한 방향으로 편평하거나 굽어있을 수 있다. 상부 및 하부면(2, 3)의 모양 및 판의 다른 형상은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판(1)은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9) 및 제2 부분(10)인데, 그 사이에 중간 부분(11)이 있다. 이하, 제1부분(9)은 원위부(9), 제2부분(10)은 근위부(10)라고 각각 지칭할 것이다. 원위부(9)는 골절 또는 절골술 등에 기인하여 요골로부터 분리된 하나 이상의 원위 뼈 조각들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이고, 한편 근위부(10)는 요골의 몸통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중간부분(11)은 가장 전형적인 골절 부위 또는 그것의 바로 주변에 위치한다. 원위부(9)는 근위부(10)와 A각으로 배치된다. 각도 A는 지금 약 20°이지만, 0°내지 45°의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요골의 치료에 있어서는 상기 각도는 0°내지 45°가 바람직하고, 판의 다른 이용에서는 각도 A가 -90°내지 90°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판의 상부면(2)에는 예비구멍(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비구멍(4)은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3)까지 뻗어나가는 회전방향으로 대칭인, 원통형의 관통 구멍이며, 그것의 가상 길이방향 중앙축은 하부면(3)에 수직으로 구성된다. 원위부(9)에는 5개의 예비구멍(4)이 있고, 근위부(10)에는 4개의 예비구멍(4)이 있다. 판의 예비구멍(4)의 수는 변할 수 있다. 예비구멍(4)의 개구에는 오목부(recess)(6)가 마련되지만, 그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판(1)은 근위부(10)의 원위부(9)에 가까운 쪽 말단에 판을 가로 방향으로 배 열된 두 개의 예비구멍(4)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들을 통해 판을 골절선에 가깝게 가능한 단단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란히 배열된 두 개 이상의 구멍이 있을 수 있고, 원위부(9)의 근위부(10)에 가까운 쪽 말단에 나란히 배열된 두 개 이상의 구멍이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원위부(9)는 또한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3)까지 뻗어나가고 회전방향으로 대칭이며 원통형의 관통구멍인 하나의 개방 구멍(5)을 포함하고, 그것의 가상의 길이방향 중앙축은 하부면(3)에 수직으로 구성된다. 개방 구멍(5)의 지름은 예비 구멍(4)의 것보다 크다. 개방 구멍(5)은 또한 근위부(10)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원위부(9) 및 근위부(10) 모두에 개방구멍이 있을 수 있다.
근위부(10)는 긴 형태의 개방 구멍(7)을 갖는데, 그것은 한 방향이 다른 방향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고, 그것의 최소 지름은 예비 구멍의 지름보다 크다. 긴 형태 구멍의 길이 방향은 판의 길이방향 L과 평행으로 배열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부분적인 단면의 개략적인 상세도이다. 판(1)은 고정할 뼈 조각에 부착되어 있는데, 개방구멍(5)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부착 나사(8)로 판의 원위부(9)가 뼈의 원위부에 부착된다. 이하에서 부착나사는 나사라고 지칭될 것이다.
나사(8)는 적당한 방법으로 일단 뼈의 원위 부분의 표면 위에 판의 원위부(9)를 배열함으로써 개방 구멍(5)에 고정된다. 판(1)은 구부러질 수 있거나 유사하게 뼈의 표면에 맞게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높은 온도에서 모양을 잡을 수 있지만, 체온에서는 실질적으로 단단하다. 상 기 물질은 신체 내에서 생-안정성(biostable)이거나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 만들어진 판(1)은 예를 들어 원하는 높은 온도까지 수조에서 가열할 수 있고, 그 후에 판(1)은 뼈의 표면 위에 놓여져서 그것의 윤곽에 맞게 모양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은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100℃ 범위 내의 온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이 폴리락티드-코-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경우에 상기 온도는 50 내지 60℃이고, 판이 폴리(L-락티드-코-D-락티드)로 만들어진 경우는 60 내지 70℃, 그리고 판이 폴리(L-락티드)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70 내지 90℃이다. 필요한 경우 판(1)은 뼈 표면의 윤곽에 맞게 구부려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그 후에 나사산 뼈 부분(16)을 구비하는 예비-부착 구멍(12)이 개방 구멍(5)을 통해 뼈에 마련된다. 나사산 뼈 부분은 뼈 조직 안에 나사의 산이 마련된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일단 개방 구멍(5)을 통해 뼈에 나사산이 없는 구멍을 드릴로 뚫은 후 그 다음에 나사산을 만들거나, 드릴과 나사산 탭의 컴비네이션을 이용하여, 즉 소위 셀프탭핑 드릴을 이용하여 만든다. 그것은 드릴링 비트(drilling bit) 및 나사산을 만드는 나사산 부분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구멍과 그것의 나사산은 셀프탭핑 드릴의 동일한 회전 운동에 의해 동시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셀프탭핑 드릴은 미국 특허 출원 제2004/009295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소위 패킹 드릴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그것은 뼈를 제거하지 않고, 그것을 드릴 구멍 주변으로 단단히 채워 넣는다. 물론 패킹,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패킹, 드릴 및 나사산 탭을 조합하여 쓸 수도 있다.
나사산 뼈 부분(16)의 최대 지름은 개방 구멍(5)의 최소 지름보다 작다. 예 비 부착 구멍(12)을 만든 후에, 예비 부착 구멍의 나사산과 맞는 나사산을 가지는 나사(8)를 개방 구멍을 통해 예비 부착 구멍으로 넣는다. 나사(8)의 나사산부의 바깥 지름은 개방 구멍의 최소 지름보다 작아서, 나사(8)는 개방 구멍(5) 안에서 자유로이 돌 수 있다. 나사 머리(14)는 판(1)을 뼈에 대해 단단히 누른다.
판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판(1)은 개방 구멍(5)에 고정된 나사 주위로 돌 수 있다.
다음으로, 근위부(10)는 적어도 요골의 표면 위에 그것의 거의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고, 제2부착 구멍이 긴 형태의 개방 구멍(7)을 통해 요골에 만들어진다. 제2 예비 부착 구멍의 준비는 상기 설명된 방식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근위부(10)의 위치는 적어도 긴 형태의 개방 구멍(7)의 길이방향으로 요골에 대해서 조절되고, 또한 어느 정도는 판을 제2 예비 부착 구멍 안의 나사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위 뼈 부분은 요골에 대하여 바른 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지는데, 왜냐하면 개방 구멍(5) 및 긴 형태의 개방 구멍(7)은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뼈 조각이 그것의 적절한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나사(8)들이 개방 구멍(5) 안 및 긴 형태의 개방 구멍(7) 안에 고정되었을 때, 필요한 대로, 실제의 부착 구멍(13)들은 몇몇 예비 구멍 또는 어떤 경우에는 모든 예비 구멍(4)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제의 부착 구멍(13)들은 판(1)이 함께 고정될 뼈 조각 표면 위의 판의 최종 위치에 있을 때 마련된다. 이러한 관계에서, 긴 형태의 개방 구멍(7)은 본 발명의 수행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판(1)을 하나의 뼈 조각에 부착시키는 것을 실행하는 것도 역시 가능한데, 즉, 상기 뼈 조각에 고정할 모든 나사들을 판(1)을 다른 뼈 조각들에 부착하기 전에 제 위치에 두는 것이다. 판(1)을 부착하는 수술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이 경우에 맞게, 환자의 요구의 관점에서, 어떻게 판(1)을 제 위치에 부착시키고 어떠한 순서로 판을 고정하는 나사를 조일 것인가를 결정한다.
개방 구멍(5)에 고정된 나사는 예비 부착 구멍(12) 안의 위치에 놓인다.
실제의 부착 구멍(13)은 예를 들어, 다음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만들어진다. 일단, 편리한 크기의 구멍을 예비 구멍(4)을 통해 판(1)을 통과하여 뼈 안으로 필요한 깊이까지 드릴로 뚫는다. 드릴은 판(1)으로부터의 물질도 또한 제거할 수 있다. 판(1)의 재질은 부착 구멍과 그것의 나사산부를 예를 들어 뼈 구멍을 마련하는데 쓰이는 기구로 유리하게 만들 수 있게 한다. 이후에 상기 구멍에는 나사산 탭 또는 유사한 나사산을 만드는 기구를 사용하여 나사산이 마련된다. 결과적으로 판(1) 내의 나사산 판 부분(15) 및 그것에 서로 평행하고 동축인 뼈 내의 나사산 뼈 부분(16)으로 구성되는 부착 구멍(13)이 마련된다. 따라서, 부착 구멍(13)에는 판(1)으로부터 뼈까지 뻗어나가는 연속적인 나사산이 있다. 실제의 부착 구멍(13)을 마련할 때, 상기 언급한 드릴과 나사산 탭을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패킹 드릴, 또는 패킹 드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패킹 드릴 및 나사산 탭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 판(1)은 또한 제1 예비구멍(4)에 마련되는 실제의 부착 구멍에 의해서 우선 뼈에 부착되도록 부착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 후에, 개방 구멍(5, 7) 안에 고정되는 나사 또는 제2 예비구멍(4) 안에 고정될 나사로 뼈에 판(1)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비구멍(4)은 판(1)을 뼈(17)에 부착시키는 것을 도와주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판의 상부면 쪽(2)에 부착 구멍(13)을 마련하기 시작할 명확한 시작점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부착 구멍(13)은 그것의 길이방향 축이 예비구멍(4)의 길이방향 중앙축 D와 평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난 부착 구멍(13) 안에 마련된 부착 구멍은 이런 방식으로 방향을 잡는다.
또는, 부착 구멍(13)은 부착 구멍의 길이방향 축이 예비구멍(4)의 길이방향 중앙축 D와 평행하지 않고 거기에 각도 B로 마련된다. 각 B값은, 예를 들어 0 내지 30°의 범위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도 4는 지금 모두 10°인 두 예 B1 및 B2 로, 어떻게 부착 구멍의 길이방향 축이 예비 구멍의 중앙축 D에 대해 방향을 잡는지 보여준다. 각 B의 크기 및 그에 따른 부착구멍(13)과 판(1)에 대하여 부착구멍에 고정될 나사(8)의 각은 경우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각 B는 판의 길이방향 L 및 그것에 수직인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직교하는 성분으로 나눠질 수 있다. 즉, 부착 구멍(13)의 중앙축은 예비구멍(4)의 방향과 부착 판의 길이방향 L 및 가로방향 모두에 대해 다른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부착 구멍(13)을 만든 후에, 나사(8)를 그 안에 넣을 수 있다. 나사(8)는 부착 구멍(13)의 나사산부(15, 16)와 맞물려서, 나사(8)와 판(1) 사이에 단단한 부착 이 제공되도록 한다. 단단한 부착이란 판(1)에 대해 나사(8)가 실질적으로 거시적인 움직임 또는 각도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단단한 부착은 유리하게도 나사와 판 사이의 적당한 미시적인 움직임을 허용한다. 미시적인 움직임은 뼈 조각의 고정을 향상시킨다. 반면에, 종래에 사용되던 금속판은 미시적인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당히 적게 허용한다.
나사(8)들이 뼈에 모두 같은 방향으로 부착되지 않도록 부착 구멍(13)을 마련하는 것은 유리한데, 왜냐하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8)들이 판을 뼈에 더 단단히 고정하기 때문이다.
판(1)과 관련하여 부착구멍(13)의 정확한 위치가 선택되고, 나사(8)를 거기에 고정하면, 판(1)에 대한 부착 구멍(13)의 각, 즉 각 B 뿐만 아니라, 예비구멍(4)안에 마련되는 부착구멍(13)의 개구의 위치도 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착구멍(13)의 개구는 꼭 예비구멍(4)의 중앙, 즉 예비구멍(4)에 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그것은 판(1)의 길이방향 L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벗어날, 즉, 예비구멍(4)과 비대칭일 수 있다. 도 4에서 각도 B1으로 마련된 부착구멍의 개구는 예비구멍(4)의 중앙에 있고, 반면에 각도 B2 로 마련된 부착구멍의 개구는 예비구멍에 비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1)을 부착하는 수술의는 판(1)에 고정될 각 나사(8)를 판(1) 및 고정할 뼈 조각에 대해 각각 정확하게 올바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융통성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나사와 다르게 나사(8)의 나사산부의 나사산은 나사산의 등성이가 나사(8)의 팁에 더 가까운 부분에서 팁으로부터 더 먼 부분보다 높도록 변화할 수 있다. 이런 나사는 피질골 및 그 밑의 해면골에 모두 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판을 상부면의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판(1)은 모두 10개의 예비구멍을 포함하는데, 그것들은 판(1)의 상부면 상에서 적당한 방식으로 무리지어 있고, 판(1)을 통과하여 판의 하부면까지 뻗어나간다. 본 발명에 따른 판(1)의 예비구멍의 수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추가로, 판(1)은 하나의 긴 형상의 개방구멍(7)을 갖는다. 판(1)은 여러 개의 긴 형상의 개방구멍(7)을 가질 수도 있다. 판(1)은 또한 원위부(9), 근위부(10) 및 그 사이의 중간부(11)를 가진다.
도 5 및 도 6의 판에는, 긴 형상의 개방구멍(7)을 제외하고는 다른 개방 구멍은 없다. 필요하다면, 제2, 및 선택적으로 제3, 제4...등의 개방구멍(5)이 판(1)에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술의가 판(1)에서의 개방구멍에 대한 가장 유리한 위치 및 상태를 결정했을 때, 판을 장착하는 수술 단계에서 드릴로 뚫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판(1)에서의 개방구멍(5)에 대한 점선으로 표시된 한 선택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상기 개방구멍(5)의 마련은 예비구멍(4')을 이용할 수 있다. 개방구멍(5)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크다. 개방구멍(5)은 판(1)과 관련하여 예비구멍(4)의 것과 다른 각도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개방 구멍(5)은 예비구멍(4)들 중 하나 또는 판(1) 위의 예비구멍(4, 4')이 없는 위치에조차 마 련될 수 있다. 제2 개방 구멍(5)을 꼭 마련할 필요는 없고, 판(1)은 유일한 개방구멍으로서의 긴 형상의 개방구멍(7)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판(1)은 판(1)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보강부(18)를 가지고, 그것은 원위부(9)로부터 중간부(11)를 지나 근위부(10)까지 뻗어나간다. 보강부(18)는 난원형의 볼록한 돌출형상을 가지고, 판(1)의 상부면에 놓인다. 보강부(18)는 판(1)의 구조를 보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강부(18)는 판(1)의 모서리까지 뻗어나가지 않고, 판(1)의 모서리 영역은 전체적으로 상대적으로 얇아서, 연조직이 판(1)에 대해 문제없이 놓일 수 있다.
예비구멍(4)은 또한 판의 상부면(2)에 마련된 바닥구멍(bottom hole)일 수 있고, 판의 하부면(3)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뻗어나간다. 원통형과 별개로, 예비구멍(4)은 원뿔형일 수 있고, 판의 상·하부면(2, 3)에 수직일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예비구멍은 삼각-, 또는 다각 피라미드일 수 있고, 부분적으로 구형 또는 그와 유사한 표면을 가지는 형상의 움푹한 곳일 수 있다. 하나의 동일한 판(1)이 서로 다른 예비구멍(4)을 구비할 수 있다.
긴 형상의 개방구멍(7)으로부터 원위부(9) 방향으로 정렬된 두 개의 예비구멍(4)이 판(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예비구멍(4)들의 이러한 배열은 판(1)을 강화시켜서 상기 예비구멍(4)과 관련하여 골절선 또는 절골술의 더 나은 위치선정을 가능하게 한다. 판(1)은 골절선이나 절골술이 상기 예비구멍(4) 사이 또는 상기 예비구멍(4)과 원위부(9)의 예비구멍(4)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방구멍(5) 및 실제의 부착구멍(13)에 고정되는 나사는 유리하게도 동일하다. 따라서 판(1)의 사용과 관련된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비구멍(4) 및 개방구멍(5)이 판(1)의 상·하부면(2, 3)에 수직일 필요는 없다.
몇몇 경우에, 이 문서에 나타난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과 별개로 쓰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이 문서에 나타난 특징들이, 필요한 경우, 여러 가지 조합을 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도면과 관련 명세서는 오직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세부내용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뼈 조각의 올바른 부위에 부착시키기 쉽고 판을 뼈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판, 그것의 용도, 상기 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7)

  1. 뼈 조각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판으로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부분(9)과 하나 이상의 제2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2 부분(10); 및
    상부면(2) 및 하부면(3)을 구비하는 판(1)에 있어서,
    상부면(2)은 복수 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4)이며, 상기 예비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제의 나사산 부착구멍(13)이 그 자리에 마련되도록 구성되고,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이며, 개방구멍(5, 7)의 최소 지름이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멍(5, 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예비구멍(4)의 일부는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예비구멍(4)의 일부는 바닥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구멍(4)은 둥근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9)은 제2 부분(10)에 대해 A 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각도는 -9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9)의 최대 너비는 제2 부분(10)의 최대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분(10)의 제 1부분(9)에 가까운 말단에 판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예비구멍(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구멍은 긴 형상의(elongated) 개방 구멍(7)이고 그것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10. 제9항에 있어서, 긴 형상의 개방구멍(7)의 길이 방향은 판의 길이방향 L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뼈 조각의 윤곽에 맞춰서 성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14. 제1항에 따른 판을 원위 요골 골절 또는 절골술 시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15. 뼈 조각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부분(9)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뼈 조각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2 부분(10)을 포함하고,
    상부면(2) 및 하부면(3)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면은 복수 개의 구멍들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이며,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3)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인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멍(5, 7)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구멍(5, 7)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큰 판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바깥 지름이 최대 개방 구멍(5, 7)의 최소 지름과 같은 크기이면서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큰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부착 나사(8)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판(1)을 통해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3)까지 뻗어나가는 실제의 부착구멍(13)은 예비구멍(4)을 통해 실제의 부착구멍(13)이 뼈 안에 마 련되는 부착구멍과 같은 수술 단계에서 예비구멍 자리에 배치되도록 판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실제의 부착 구멍(13)은 판(1)에 마련되는 나사산부(15)가 뼈에 마련되는 나사산부(16)와 동일 수술 단계에서 마련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부착 나사(8)는 판(1)의 나사산부(15) 및 뼈의 나사산부(16)에 고정되어 부착 나사(8)가 판(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뼈 조각을 서로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뼈 조각에 부착되는 제1 부분(9)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뼈 조각에 부착되는 제2 부분(10)을 포함하며,
    상부면(2) 및 하부면(3)을 포함하고, 상부면은 복수 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그 구멍들 중 일부는 예비구멍(4)이며,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멍(5, 7)을 포함하며, 그것은 상부면(2)으로부터 하부면(3)까지 뻗어나가는 관통구멍이고, 개방 구멍(5, 7)의 최소 지름은 예비구멍(4)의 지름보다 큰 판(1)과
    바깥 지름이 최대로 개방구멍(5, 7)의 최소 지름과 동일 크기인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부착 나사(8)를 사용하며,
    판(1)을 뼈 위에 배치함으로써,
    개방구멍(5, 7)을 통해 뼈에 마련되는 나사산부(16)를 구비하는 예비부착구멍(12)을 뼈에 마련하고,
    예비 부착 구멍(12)에 개방구멍(5, 7)을 통해 부착 나사(8)를 고정하며,
    하나 이상의 예비구멍(4)에 실제의 부착구멍(13)을 마련하는데, 그것은 나사산 판 부분(15) 및 그것과 평행하며 동축이고 뼈 안으로 뻗어나가는 나사산 뼈 부분(16)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나사(8)를 상기 부착구멍(13)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판(1)에 대해 특정 각도로 실제 부착구멍(13)을 마련하고, 상기 각도는 판에 대한 예비 구멍(4)의 각도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판(1)에 대해 특정 각도로 실제 부착구멍(13)을 마련하고, 상기 각도는 판에 대한 예비 구멍(4)의 각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실제의 부착구멍(13)의 방향은 판에 대한 예비구멍(4)의 각도와 0 내지 30°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에서의 개방 구멍(5)의 위치 선택을 수술 과정 중에 함으로써 필요한(concerned) 위치에 개방 구멍(5)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예비구멍(4')에 개방구멍(5)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8항 내지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판을 원위 요골 골절 또는 절골술 시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판의 제1 부분(9)은 원위부이며, 제2 부분은 근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구멍(5, 7)은 원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구멍(5, 7)은 근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39937A 2005-05-06 2006-05-03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 KR20060115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5214A FI119969B (fi) 2005-05-06 2005-05-06 Levy ja järjestelmä luuosien kiinnittämiseksi
FI20055214 2005-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603A true KR20060115603A (ko) 2006-11-09

Family

ID=3463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937A KR20060115603A (ko) 2005-05-06 2006-05-03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59039A1 (ko)
EP (1) EP1719469A1 (ko)
JP (1) JP2006312062A (ko)
KR (1) KR20060115603A (ko)
FI (1) FI11996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9012A1 (ko) * 2014-12-03 2016-06-09 백혜선 폐쇄성 원위 대퇴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WO2016099028A1 (ko) * 2014-12-16 2016-06-23 백혜선 개방성 원위 경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5367B2 (en) 2003-09-29 2012-01-31 Smith & Nephew, Inc. Bone plate and bone plate assemblies including polyaxial fasteners
US8940028B2 (en) 2005-07-25 2015-01-27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olyaxial plates
US8382807B2 (en) 2005-07-25 2013-02-26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olyaxial plates
US8021402B2 (en) * 2006-03-07 2011-09-20 Orthohelix Surgical Designs, Inc. Distal radius plate
US8808334B2 (en) 2006-03-07 2014-08-19 Orthohelix Surgical Designs, Inc. Orthopedic plate
US20120029576A1 (en) * 2006-05-26 2012-02-02 Mark Richard Cunliffe Bone Fixation Device
US10085780B2 (en) 2006-05-26 2018-10-02 Mark Richard Cunliffe Bone fixation device
US8057520B2 (en) * 2006-07-18 2011-11-15 Orthohelix Surgical Designs, Inc. Calcaneal plate
US8398687B2 (en) * 2006-12-06 2013-03-19 Amei Technologies, Inc. Volar plate fixation device
US8282674B2 (en) 2008-07-18 2012-10-09 Suspension Orthopaedic Solutions, Inc. Clavicle fixation
EP2389124B1 (en) 2009-01-16 2016-01-06 Carbofix Orthopedics Ltd. Composite material bone implant
WO2011066280A1 (en) * 2009-11-27 2011-06-03 Synthes Usa, Llc Plating concept for distal radial fractures
FR2956971B1 (fr) 2010-03-08 2012-03-02 Memometal Technologies Systeme d'osteosynthese a plaque
FR2956972B1 (fr) 2010-03-08 2012-12-28 Memometal Technologies Plaque d'osteosynthese articulee
US8603148B2 (en) 2010-05-07 2013-12-10 Raymond B. Raven, III System for treating bone fractures
US10154867B2 (en) 2010-06-07 2018-12-18 Carbofix In Orthopedics Llc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bone screw
WO2011154891A2 (en) 2010-06-07 2011-12-15 Carbofix Orthopedics Ltd. Composite material bone implant and methods
AU2012271441B2 (en) 2011-06-15 2017-02-02 Smith & Nephew, Inc. Variable angle locking implant
US20130184765A1 (en) * 2012-01-16 2013-07-18 Carbofix Orthopedics Ltd. Multi-axial bone plate fixation
US9526549B2 (en) 2012-01-16 2016-12-27 Carbofix Orthopedics Ltd. Bone screw with insert
AU2014321392B2 (en) 2013-09-19 2018-11-08 Mcginley Engineered Solutions, Llc Variable angle blade plate system and method
US10231766B2 (en) 2013-12-23 2019-03-19 Smith & Nephew, Inc. Distal radius plate
KR101740905B1 (ko) 2014-04-18 2017-05-29 백혜선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위한 고정 기구
GB2557840B (en) 2015-09-18 2021-07-21 Smith & Nephew Inc Bone plate
US10617458B2 (en) 2015-12-23 2020-04-14 Carbofix In Orthopedics Llc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bone screw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0223A (en) * 1955-05-17 1957-02-05 Paul B Haggland Fracture plate
DE4111856C1 (ko) * 1991-04-11 1992-07-16 Oswald Leibinger Gmbh, 7202 Muehlheim, De
DE9114118U1 (ko) * 1991-11-13 1992-01-02 Howmedica Gmbh, 2314 Schoenkirchen, De
US5586985A (en) * 1994-10-26 1996-12-2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 and apparatus for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s
DE19629011C2 (de) * 1996-07-18 2001-08-23 Dietmar Wolter Hilfsmittel für die Osteosynthese
US6221075B1 (en) * 1998-03-06 2001-04-24 Bionx Implants Oy Bioabsorbable, deformable fixation plate
DE19858889B4 (de) * 1998-12-19 2008-08-07 Wolter, Dietmar, Prof. Dr.Med. Fixationssystem für Knochen
US6358250B1 (en) * 2000-02-01 2002-03-19 Hand Innovations, Inc. Volar fixation system
US6364883B1 (en) * 2001-02-23 2002-04-02 Albert N. Santilli Spinous process clamp for spinal fus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6508819B1 (en) * 2001-08-28 2003-01-21 Hand Innovations, Inc. Method of dorsal wrist fracture fixation
US6755831B2 (en) * 2001-11-30 2004-06-2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Wrist surgery devices and techniques
FI113616B (fi) * 2002-04-22 2004-05-31 Inion Ltd Instrumentti
FR2845588B1 (fr) * 2002-10-09 2006-12-15 Biotech Internat Dispositif d'osteosynthese autobloquant
US7722653B2 (en) * 2003-03-26 2010-05-25 Greatbatch Medical S.A. Locking bone plate
DE10320124B3 (de) * 2003-04-11 2004-09-30 Königsee Implantate und Instrumente zur Osteosynthese GmbH Osteosyntheseplatte, insbesondere winkelstabile Radiusplatte, zur operativen Versorgung von Knochenfrakturen
AU2004249313B2 (en) * 2003-06-20 2009-01-15 Acumed Llc Bone plates with intraoperatively tapped apertu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9012A1 (ko) * 2014-12-03 2016-06-09 백혜선 폐쇄성 원위 대퇴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US10499965B2 (en) 2014-12-03 2019-12-10 Hae Sun Paik Fixing mechanism for closed distal femur osteotomy
WO2016099028A1 (ko) * 2014-12-16 2016-06-23 백혜선 개방성 원위 경골 절골술용 고정 기구
US10499963B2 (en) 2014-12-16 2019-12-10 Hae Sun Paik Fixing instrument for open-type distal tibial osteotom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19969B (fi) 2009-05-29
JP2006312062A (ja) 2006-11-16
US20060259039A1 (en) 2006-11-16
EP1719469A1 (en) 2006-11-08
FI20055214A0 (fi) 2005-05-06
FI20055214A (fi) 200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5603A (ko) 판, 그것의 용도, 시스템 및 판 부착 방법
EP1685804B1 (en) System for stabilizing spine
US9554837B2 (en) Device for fixing an elongate element in a retaining structure
USRE46078E1 (en) Hindfoot nail
KR102230353B1 (ko) 대퇴골 경부 골절 임플란트
EP1021990B1 (en) Suture anchor having multiple sutures
US8366751B2 (en) Bone plate having elevations permitting countersinking of bone screws
US20040210218A1 (en) Vertebral implant for bone fixation or interbody use
JP4684662B2 (ja) 髄内釘及び関連方法
EP2608746B1 (en) Instrumentation for use in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urgeries
US5236431A (en) Resorbable fixation device with controlled stiffness for treating bodily material in vivo and introducer therefor
US20030105526A1 (en) High tibial osteotomy (HTO) wedge
US20050209603A1 (en) Method for remediation of intervertebral disks
US20140228898A1 (en) Univers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bone, ligament and tendon
JP2008114076A (ja) 角度固定式の穴において可変的な捩れ剛性を有する骨プレート
WO2010062379A1 (en) Bone fracture fixation screw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A2405235A1 (en) Surgical guide body
US11224468B2 (en) Distal tibial plating system
CA2446779C (en) Osteosynthetic device
JP2003534868A (ja) 骨接合用プラスチック製インプラント
US20210145495A1 (en) Mixed Materials Bone Screw
RU2312634C1 (ru) Вильчатая пластинка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мыщелков большеберцовой кости
CN210354876U (zh) 应用于颈椎关节突的微创关节融合螺钉
KR20230025658A (ko) 최적화된 팽창을 갖는 골 고정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