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296A -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296A
KR20060115296A KR1020050038278A KR20050038278A KR20060115296A KR 20060115296 A KR20060115296 A KR 20060115296A KR 1020050038278 A KR1020050038278 A KR 1020050038278A KR 20050038278 A KR20050038278 A KR 20050038278A KR 20060115296 A KR20060115296 A KR 2006011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olar cell
dry
plasma
plasma d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657B1 (ko
Inventor
김기현
석창길
최진광
Original Assignee
(주)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울텍 filed Critical (주)울텍
Priority to KR102005003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65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련의 공정은 태양전지 제조용 시료를 자외선 건식 세정공정을 거쳐서 시료를 준비한 후, 건식 식각 공정으로 시료에 텍스쳐 패턴 형태를 제작한다. 텍스쳐 패턴 형태는 삼차원 역방향 피라미드 형태로 1∼10 ㎛ 폭으로 형성을 하며, 태양빛의 반사방지 효과를 준다. 형성된 삼차원 형태의 텍스쳐 패턴을 균일한 두께로 불순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기존 빔라인 이온주입기로는 균일한 두께로 불순물주입이 불가능하므로, 펄스 직류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플라즈마 도핑법으로 불순물을 주입한다. 바이어스 전원이 펄스형태의 직류전원이므로 각진 부분의 모서리 와전류현상을 감소하므로 균일한 두께의 불순물을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불순물은 열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활성화 시킨다. 마지막으로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태양전지 디바이스의 보호와 반사방지를 위한 절연막을 형성한다.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공정, 태양전지 제조공정

Description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공정{Solar cells manufacturing process}
도 1 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공정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시료를 자외선 양면 건식세정 된 시료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 시료에 마스크 패턴을 부착하여 건식 식각공정을 거친 후 역방향 피라미드 패턴을 형성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역방향 피라미드 패턴이 형성된 태양전지 시료에 플라즈마 도핑법으로 불순물을 주입한 후 열처리 공정을 거쳐 불순물 활성화된 시료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불순물 도핑이 완료된 시료에 디바이스 보호 및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시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료 2. 유/무기물 파티클
3. 양면 건식 세정 후 시료 4. 마스크 패턴
5. 건식 식각된 시료 6. 불순물 도핑 된 시료
7. 불순물 활성화 된 시료 8. 반사방지막 증착된 시료
본 발명은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태양전지 제조용 시료를 자외선 건식 세정공정을 한 후, 건식 식각 공정으로 시료에 패턴형태를 제작한다. 형성된 삼차원 형태의 텍스쳐 패턴을 균일한 두께로 불순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도핑법을 이용한다. 주입된 불순물은 열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활성화 시킨다. 마지막으로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절연막을 형성한다. 기존 태양전지 디바이스 공정은 초기 세정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습식세정공정을 거친 후 시료를 확산로를 사용하여 불순물을 도핑한다. 확산로에 도핑 된 시료 옆면에 도핑된 불순물 층을 격리 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식각 공정도 추가 된다. 식각된시료는 반사방지막을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한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다결정 웨이퍼 시료로 제작된 것에 비하여 단결정 웨이퍼시료로 제작 된 것이 효율이 뛰어나다. 다결정 웨이퍼 시료를 사용하여 표면 반사 방지를 위한 텍스쳐 패턴을 형성하게 되면 태양전지 효율 향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태양전지 제조용 시료를 자외선 건식 세정공정을 거쳐서 시료를 준비한 후, 건식 식각 공정으로 시료에 텍스쳐 패턴 형태를 제작한다. 텍스쳐 패턴 형태는 삼차원 역방향 피라미드 형태로 1∼10 ㎛ 폭으로 형성을 하며, 태양빛의 반사방지 효과를 준다. 형성된 삼차원 형태의 텍스쳐 패턴을 균일한 두께 0.1∼1.0 ㎛ 로 불순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펄스 직류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는 플라즈마 도핑법을 이용한다. 바이어스 전원이 펄스형태의 직류전원이므로 각진 부분의 모서리 와전류현상을 감소하므로 균일한 두께삼차원 형태 구조물에 불순물을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불순물은 열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활성화 시킨다. 보론트리플로라이트(BF3)가스를 반응챔버에 주입하여 압력 10mTorr를 유지한 후 펄스 직류 바이어스를 5kV, 주파수 500Hz, 그리고 펄스폭20 μsec으로 플라즈마 도핑한 시료를 950℃ 열처리 한 결과를 첨부하였다. 마지막으로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태양전지 디바이스의 보호와 반사방지를 위한 절연막을 형성한다.
Figure 112005505668830-PAT00001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공정 대략도를 도 1 에 도시하였다.
도 1 은 시료(1)를 자외선 건식 세정공정을 거쳐서 초기 세정한 후,1∼10 ㎛ 폭의 텍스쳐 마스크패턴(4)을 양면 건식세정 후 시료(3)에 부착 후 건식식각 공정을 거친다. 건식 식각된 시료(5)의 삼차원 형태의 텍스쳐 패턴을 플라즈마 도핑 공정으로 균일한 두께 0.1∼1.0 ㎛ 로 불순물을 주입한다. 불순물 도핑된 시료(6)는 열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활성화 시킨 후 마지막으로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태양전지 디바이스의 보호와 반사방지를 위한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는 초기세정 공정으로 시료(1)에 유/무기물 파티클(2)을 자외선 건식 세정 공정을 거친 후 양면 건식 세정된 시료(3)를 도시화 하였다.
도 3 은 건식 식각공정을 이용하여 1∼10 ㎛ 폭의 텍스쳐 패턴을 역 피라미드형태로 건식된 시료(5)를 나타낸 것으로 마스크 패턴(4)을 시료(1)에 부착한 후 건식식각공정을 거친 후 역 피라미드 형태의 건식 식각된 시료(5)를 도시화 하였다.
도 4 는 건식 식각된 시료(5)에 불순물을 도핑한 후 열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활성화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건식 식각된 시료(5)에 플라즈마 도핑공정을거친 후 균일한 형태로 불순물 도핑된 시료(6)를 제작한다. 불순물 도핑된 시료(6)를 열처리 과정을 거친 후 불순물 활성화 된 시료(7)를 도시화 하였다.
도 5 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공정을 거친 후 반사방지막 증착된 시료(8)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태양전지 디바이스 공정을 사용하여 공정을 진행하면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디바이스 단위공정을 사용함으로 효율 향상을 위한 시료의 텍스쳐 형성 단위공정 과 형성된 구조물의 균일한 불순물 도핑 공정을 사용 한 태양전지의 효율향상, 단위공정의 시간 및 비용절감의 수단을 제공한다.

Claims (6)

  1. 태양전지 디바이스 공정에 있어서,
    태양전지 제조용 시료를 건식세정, 건식식각, 플라즈마 도핑, 열처리,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의 일련의 공정을 인라인 타입으로 제조하는 공정
  2. 상기 1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제조용 시료의 양면을 자외선 건식 세정공정을 거쳐서 유/무기물 형태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초기세정 공정
  3. 상기 1 항에 있어서, 양면 건식 세정된 시료를 공정으로 단차가 있는 삼차원 텍스쳐 패턴 형성을 위한 건식 식각공정
  4. 상기 1 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도핑 공정에서 마이너스 전압 가변, 주파수 가변, 그리고 주파수 폭 가변으로 단차가 있는 삼차원 텍스쳐 패턴 형태에 균일한 플라즈마 도핑 형성 공정
  5. 상기 1 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도핑 공정에 의해 주입된 불순물을 활성화 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
  6. 상기 1 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디바이스 보호와 반사 방지를 위한 절연막 형 성을 위한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 공정
KR1020050038278A 2005-05-04 2005-05-04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10068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278A KR100684657B1 (ko) 2005-05-04 2005-05-04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278A KR100684657B1 (ko) 2005-05-04 2005-05-04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296A true KR20060115296A (ko) 2006-11-08
KR100684657B1 KR100684657B1 (ko) 2007-02-22

Family

ID=3765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278A KR100684657B1 (ko) 2005-05-04 2005-05-04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6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65B1 (ko) * 2009-07-06 2013-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기판의 텍스처링 방법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CN103237745A (zh) * 2010-11-01 2013-08-07 因特瓦克公司 在硅晶片上形成表面纹理的干法蚀刻方法
US8586863B2 (en) 2008-09-19 2013-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ar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631444B1 (ko) * 2014-12-23 2016-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6863B2 (en) 2008-09-19 2013-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lar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254565B1 (ko) * 2009-07-06 2013-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기판의 텍스처링 방법 및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CN103237745A (zh) * 2010-11-01 2013-08-07 因特瓦克公司 在硅晶片上形成表面纹理的干法蚀刻方法
KR101631444B1 (ko) * 2014-12-23 2016-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657B1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3131B (zh)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Lee et al. Damage-free reactive ion etch for high-efficiency large-area multi-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JP3493951B2 (ja) シリコン基板の異方性エッチング方法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CN111009593B (zh) 一种基于pvd技术制备局部多晶硅薄膜钝化接触的方法
JP5064767B2 (ja) 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HUT63711A (en) Method for making semiconductor device, as well as solar element made from said semiconductor device
KR20060115295A (ko)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용 인라인 장치
TW200933917A (en) Plasma treatment between deposition processes
KR20120051047A (ko) 실리콘 기판의 표면을 텍스처링하는 방법 및 태양 전지용 텍스처화된 실리콘 기판
TW200921770A (en) Clean rate improvement by pressure controlled remote plasma source
KR20060115296A (ko) 태양전지 디바이스 제조 방법
CN116325181A (zh) 对硅层中的抗蚀刻性进行局部改性的方法,以及该方法在制造钝化触点太阳能电池和由此产生的太阳能电池中的使用
Chen et al. Improvement of conversion efficiency of multi-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using reactive ion etching with surface pre-etching
JP4755421B2 (ja) ウェハ用二層lto背面シール
KR20110010336A (ko) 후면 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TWI629804B (zh) 太陽電池之製造方法
KR100537757B1 (ko) 중공음극 플라즈마로 전극을 분리한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US755674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CN103964417B (zh) 一种含锗元素的掺杂石墨烯的制备方法
JP2005072388A (ja) 太陽電池素子の製造方法
CN110785856A (zh) 高效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
JP4247964B2 (ja) 太陽電池素子の形成方法
Sakoda et al. Selective etching of silicon nitride film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using intensive surface discharge
Lin et al. Formation of inverted-pyramid structure by modifing laser Processing parameters and acid etching time
KR20090062153A (ko)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