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446A - 진동 장치,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진동 장치,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446A
KR20060113446A KR1020060037459A KR20060037459A KR20060113446A KR 20060113446 A KR20060113446 A KR 20060113446A KR 1020060037459 A KR1020060037459 A KR 1020060037459A KR 20060037459 A KR20060037459 A KR 20060037459A KR 20060113446 A KR20060113446 A KR 2006011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ibration
length
frame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이찌 이시까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67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gases, e.g. air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진동 장치, 이 진동 장치를 탑재한 분류 발생 장치 및 이 분류 발생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진동 장치(15)는 프레임(4)과, 프레임(4)에 장착된 구동 기구가 되는 액츄에이터(5)와,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프레임(4)에 지지된 진동판(3)을 갖고 있다. 하우징(1)의 전방면(1a)에는 노즐(2a, 2b)이 각각 복수 배열되어 있다. 진동판(3)이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이러한 노즐(2a, 2b)을 통해 공기가 맥류로서 토출된다. 액츄에이터(5)는, 예를 들어 보이스 모터로 되어 보이스 코일체와, 마그넷 등의 자기 회로 부재가 접촉하지 않도록 구동한다. 이에 의해, 기체의 토출량을 원하는 양으로 유지하면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진동 장치, 프레임, 노즐, 전방면, 하우징, 액츄에이터

Description

진동 장치,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VIBRATORY DEVICE, JET FLOW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액츄에이터의 확대 단면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상기의 챔버가 하나인 경우의 분류 발성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진동 장치의 주로 액츄에이터 및 진동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진동판이 진동 방향으로 진동할 때에, 보이스 코일체와 진동판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도9에 도시한 상태에서 변위량(Y)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5는 도14에 도시한 진동 장치의 진동판이 가로 흔들림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6은 도14에 도시한 진동 장치의 액츄에이터의 확대 단면도.
도17은 도15에 도시한 진동 장치의 액츄에이터의 확대 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9는 도18에 도시한 진동 장치의 진동판이 가로 흔들림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0은 도19에 도시한 상태에서 변위량(Y)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4는 도23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5는 상기 각 진동판의 다른 형태에 관한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6은 도25에 도시한 각 진동판 및 탄성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8은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9는 도1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를 랩톱형의 PC에 탑재하였을 때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31 : 하우징
2, 2a, 2b : 노즐
3, 13, 33 : 진동판
3b, 13b : 측판
4 : 프레임
5, 105 : 액츄에이터
6 : 탄성 지지 부재
8, 28 : 원통형 요크
9 : 코일 보빈
10, 20, 30 : 분류 발생 장치
12a, 12b : 개구
14, 24 : 마그넷
15 : 진동 장치
16 : 급전선
17 : 코일
18, 38 : 플레이트형 요크
19 : 보이스 코일체
19a : 선단부
28a : 돌출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3871호 공보(도2)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4760호 공보(도1)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213200호 공보(도1, 도3)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3-116961호 공보(도3, 도8)
본 발명은 기체의 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체에 진동을 주기 위한 진동 장치, 이 진동 장치를 탑재한 분류 발생 장치 및 이 분류 발생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PC(Personal Computer)의 고성능화에 수반하는 IC(Integrated Circuit) 등의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의 증대가 문제가 되어 있고, 여러 가지 방열의 기술이 제안되거나 혹은 제품화되어 있다. 그 방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IC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된 방열용의 핀을 접촉시켜, IC로부터의 열을 핀에 전도시켜 방열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팬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PC의 하우징 내의 따뜻해진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제하고, 주위의 저온의 공기를 발열체 주변에 도입함으로써 방열하는 방법도 있다. 혹은 방열 핀과 팬을 병용함으로써, 방열 핀으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면서 팬에 의해 방열 핀 주위가 따뜻해 진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제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팬에 의한 공기의 강제 대류에서는 방열 핀의 하류측에서 핀 표면의 온도 경계층이 생기되고, 방열 핀으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뺏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팬의 풍속을 올려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풍속을 올리기 위해 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팬의 베어링 부분으로부터의 소음이나 팬으로부터의 바람이 야기하는 풍절음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송풍 수단으로서 팬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온도 경계층을 파괴하여 방열 핀으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기에 도피하는 방법으로서, 주기적으로 왕복 운동하는 진동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3, 4 참조). 이러한 장치 중, 특히 특허 문헌 3 및 4의 장치는 챔버 내를 공간적으로 개략 이분하는 진동판과, 진동판을 지지하여 챔버에 마련된 탄성체와,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진동판이 상측 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는, 챔버의 상부 공간의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상부 공간의 압력이 상승한다. 상부 공간은 흡배기구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의해 그 내부 공기의 일부가 외기 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이때, 진동판을 끼워 상부 공간과 반대측에 있는 하부 공간의 부피는 반대로 증가하기 때문에, 하부 공간의 압력이 하강한다. 하부 공간은 흡배기구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 공간의 압력 감소에 의해 흡배기구 근방에 있는 외기의 일부가 하부 공간 내부에 인입된다. 이와는 반대로, 진동판이 하측 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는 챔버의 상부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부 공간의 압력이 하강한다. 상부 공간은 흡배기구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공간의 압력 하강에 의해 흡배기구 근방에 있는 외기의 일부가 상부 공간 내부에 인입된다. 한편 이때, 진동판을 끼워 상부 공간과 반대측에 있는 하부 공간의 부피는 반대로 감소하기 때문에, 하부 공간의 압력은 상승한다. 하부 공간의 압력 상승에 의해, 그 내부 공기의 일부가 외기 중으로 방출된다. 진동판의 구동은 예를 들어 전자 구동 방식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진동판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챔버 내의 공기가 외기로 배출되는 동작과, 외기가 챔버 내에 흡기되는 동작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진동판의 주기적인 왕복 운동에 따라서 유기되는 공기의 맥류가 방열 핀(히트 싱크) 등의 발열체에 송풍됨으로써, 방열 핀의 표면에 있는 온도 경계층이 효율적으로 파괴되고, 결과적으로 방열 핀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3871호 공보(도2)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4760호 공보(도1)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213200호 공보(도1, 도3)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3-116961호 공보(도3, 도8)
그러나, 발열체의 발열량이 많은 경우에는, 또한 냉각 능력이 높고, 즉 기체의 분출량의 많은 디바이스가 요구된다. 특히,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발열량은 해마다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 다. 한편, 기체 분출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하면 좋다. 그러나, 진폭을 크게 하면 진동판에 휘어짐이 발생하고, 효과적으로 기체에 진동을 줄 수 없는 면에서 여분의 노이즈가 발생하여 소음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보아,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진동 장치, 이 진동 장치를 탑재한 분류 발생 장치 및 이 분류 발생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장치는 하우징에 포함된 기체를, 상기 하우징이 갖는 개구를 통해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기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장치이며, 프레임과,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 기구는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체의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에 의한 불필요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체의 토출량을 원하는 양으로 유지하면서 진동판의 진동수나 진폭 등을 내리지 않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기체는, 예를 들어 공기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질소, 헬륨 가스 또는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혹은 그 밖의 기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로 부재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넷과, 상기 진동 방향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마그넷의 상기 진동판측에 장착된 자성체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자기 갭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마그넷 사이에 상기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자성체의 통체를 갖는 요크를 갖고,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선단부와,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갖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코일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진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보이스 코일체는, 특히 진동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비스듬히 움직여 버림으로써, 보이스 코일체의 선단부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그 선단부 및 코일 중 적어도 한 쪽이,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보이스 코일체가 이동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으로 거의 수직인 면내이며 상기 진동 방향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진동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3 위치에 상기 선단부를 갖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주연부까지의 길이가 가장 짧은 길이인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연부로부터 상기 프레임까지의 길이 절반의 길이인 제2 길이를 더한 제3 길이의 함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정의 거리가 d[㎜], 상기 제3 길이가 R[㎜], 상기 자기 갭이 G[㎜],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체의 두께가 t[㎜],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3 길이에 있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진동 방향의 변위가 X[㎜]인 경우, d < [(G - t) R]/(2X)를 충족시킨다.
진동 장치가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그 크기가 소형의 휴대형 오디오 기기로부터,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까지를 상정하는 경우, 실용적인 제3 길이는, R = 5 내지 100이 된다.
특히, R = 10 내지 40인 경우, d = 0 내지 20 또는 d = 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진동 장치가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 포터블 기기를 상정하는 경우, 특히 R = 10 내지 40이 가장 실용적인 것으로 하여 상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 = 15 내지 35이다. 이 경우에, 상기의 식을 고려하면, d = 0 내지 20 또는 d = 0 내지 10이다. d = 0인 경우는, 플레이트가 있는 평면 내에서 지지 부재가 진동판을 지지하게 되고, 진동 장치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혹은,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 방향으로 거의 수직인 면내이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진동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2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고, 상기 자기 갭이, 상기 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스페이스의 폭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주연부까지의 길이가 가장 짧은 길이인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연부로부터 상기 프레임까지의 길이 절반의 길이인 제2 길이를 더한 제3 길이의 함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소정의 거리가 d[㎜], 상기 제3 길이가 R[㎜], 상기 자기 갭이 G[㎜],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체의 두께가 t[㎜],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3 길이에 있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진동 방향의 변위가 X[㎜]인 경우, d < [(G - t) R]/(2X)를 충족시키면 좋다.
이 경우도, 특히 실용적인 형태를 고려하면, R = 10 내지 40인 경우, d = 0 내지 10 또는 d = 0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진동 방향의 상기 제2 위치와는 다른 제4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어 있다. 제4 위치는, 제2 위치보다 마그넷에 가까운 측에 있어도 좋다. 또는, 상기 제4 위치는 제2 위치보다 마그넷으로부터 먼 측에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콘 형상이거나 측판이 마련되는 등, 평판형이 아니라도 좋다. 이와 같이, 진동판이 편평하지 않고 입체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진동판의 강성이 높아지고 진동판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체 토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제4 위치가 제2 위치에 대해 제1 위치와는 진동 방향으로 반대측에 있는 경우, 진동 장치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진동판의 측판은 진동판의 진동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세워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수직이 아니라도 좋다. 측판은,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즉, 측판은 진동 방향에 거의 수직인 평판의 주위, 또는 그보다 내측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제1 평판과,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평판에 거의 평행한 제2 평판을 갖는다. 이 경우도, 진동판이 단순한 평판형이 아니라 3차원적인 구성이 되기 때문에, 진동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진동 방향의 상기 제2 위치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진동판은 평판형인 것이 많지만, 반드시 평판형이 아니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측판과,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장착된 평판을 갖는다. 혹은,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평판 및 제2 평판에 기게 하도록 배치된 급전선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진동판이 진동할 때, 진동판과 급전선이 일체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진동 방향으로 거의 수직인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각원형으로 되는 면을 갖는다. 각원형이라 함은, 직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형태이며, 예를 들어 모서리가 원형의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는 프레임과, 개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 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는 개구를 갖고,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장체와,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즉, 프레임이 없어도 좋고, 하우징이 그 프레임이 기능을 갖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발열체와, 프레임과, 개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상기 발열체를 향해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다른 관점에 관한 전자 기기는 발열체와, 개구를 갖고,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상기 발열체를 향해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즉, 프레임이 없어도 좋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컴퓨터(퍼스널 컴퓨터인 경우, 랩톱형이라도 데스크톱형이라도 좋음),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전자 사전, 카메라,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비쥬얼 기기, 휴대 전화, 게임 기기, 카 내비게이션 기기, 로봇 기기, 그 밖의 전화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발열체로서는, 예를 들어 IC나 저항 등의 전자 부품 혹은 방열 핀(히트 싱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발열하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분류 발생 장치(10)는, 후방부가 원통형을 이루는 하우징(1)과, 하우징(1) 내에 배치된 진동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전방면(1a)에는 노즐(2a, 2b)이 각각 복수 배열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 는 진동 장치(15)와, 이 진동 장치(15)가 부착되는 부착부(7)에 의해, 상부 챔버(11a) 및 하부 챔버(11b)로 분리되어 있다. 노즐(2a, 2b)이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1)의 전방면(1a)에는 노즐(2a, 2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챔버(11a) 및 하부 챔버(11b)는 하우징(1)의 외부의 대기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각 챔버(11a, 11b)는, 용적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진동 장치(15)가 상부 챔버(11a)에 배치되는 부분, 하부 챔버(11b)로부터 상부 챔버(11a) 쪽이 도2 중의 상하 방향(두께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2a, 2b)로부터 교대로 토출되는 기체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정음성이 향상된다.
진동 장치(15)는, 예를 들어 스피커에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다. 진동 장치(15)는 프레임(4)과, 프레임(4)에 장착된 구동 기구가 되는 액츄에이터(5)와,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프레임(4)에 지지된 진동판(3)을 갖고 있다. 프레임(4)에는 프레임(4)의 내외로 하우징(1) 내에 포함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통구(4a)가 형성되어 있다. 유통구(4a)는 복수 마련되는 구성이라도 좋고, 긴 구멍이 1개 또는 복수개 마련되어도 좋다.
진동판(3)은, 예를 들어 수지, 종이 또는 금속으로 된다. 특히, 진동판(3)이 종이로 됨으로써, 매우 경량화된다. 종이는, 수지만큼 임의인 형상으로 제작하기 어렵지만, 경량화에서는 유리하다. 진동판(3)이 수지인 경우, 성형에 의해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하기 쉽다. 한편, 진동판(3)이 금속인 경우, 마그네슘과 같은 경량으로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재료가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도3은, 액츄에이터(5)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원통형의 요크(8)의 내측에 진동판(3)의 진동 방향(S)으로 착자된 마그넷(14)이 내장되고, 마그넷(14)에는, 예를 들어 원판형의 요크(1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그넷(14), 요크(8, 18)에 의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계가 발생하여 자기 회로가 구성된다. 이하, 마그넷(14), 요크(8, 18)를 자기 회로 부재라 한다. 마그넷(14)과 요크(8)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보이스 코일체(19)가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체(19)는 코일(17)이 권취된 코일 보빈(9)으로 된다. 즉, 액츄에이터(5)는 보이스 코일 모터로 된다. 코일(17)에는 급전선(16)에 의해,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구동용의 IC로부터 상기 신호가 공급된다. 요크(8)는 프레임(4)의 내측 중앙에 고정되고, 코일 보빈(9)은 진동판(3)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평판형의 요크(1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판형이다. 그러나, 원이 아니라도 타원이나 직사각형으로도 좋다. 요크(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어 각기둥형이라도 좋다. 요크(8)나 요크(18)의 진동 방향(S)으로 수직인 면내에서의 형상은, 진동판(3)의 상기 면내에서의 형상과 비슷한 형태가 합리적이라고도 생각된다.
하우징(1)은, 예를 들어 수지, 고무, 또는 금속으로 된다. 수지나 고무는 성형으로 쉽게 제작하는 양산용이다. 또한, 하우징(1)이 수지나 고무인 경우, 액츄에이터(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혹은 진동판(3)이 진동함으로써 발생하는 공기의 기류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하우징(1)이 수지나 고무인 경우, 그러한 소리의 감쇠율도 높아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어 저비용이 된다. 수지 등의 사출 성형으로 하우징(1)이 제작되는 경우에는, 노즐(2a, 2b)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이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되는 경우 액츄에이터(5)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1)에 도피시켜 하우징(1)의 외부에 방열할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이나 동을 들 수 있다. 열전도성을 고려하는 경우, 금속으로 한정되지 않고, 카본이라도 좋다. 금속으로서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마그네슘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5)의 자기 회로로부터의 누설 자계가 기기의 다른 디바이스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누설 자계를 없애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 하나가, 하우징(1)을 자성 재료, 예를 들어 철 등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누설 자계는 상당한 레벨로 저감된다. 또한, 고온에서의 사용이나 특수 용도로서는 세라믹의 하우징이라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열을 위해 하우징(1)에 고열 전도 재료가 이용되는 경우, 프레임(4)도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레임(4)도 금속이나 카본이 이용된다. 그러나, 열전도를 그다지 고려하지 않은 경우, 프레임(4)은, 예를 들어 수지가 이용된다. 수지이면, 저렴하면서 경량인 프레임을 사출 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프레임(4)의 일부를 자성체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그 자성체로 액츄에이터(5)의 요크를 구성할 수 있어 자속 밀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지지 부재(6)는, 예를 들어 고무나 수지 등으로 된다. 탄성 지지 부재(6)는 벨로우즈 형상을 이루고, 상면으로부터 보는 경우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진동판(3)은, 주로 액츄에이터(5)에 의해 지지되지만, 진동판(3)의 진동 방향(S)과는 수직 방향의 흔들림인 가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지지 부재(6)는 진동판(3)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탄성 지지 부재(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챔버(11a, 11b)를 분리하고, 진동판(3)이 진동할 때에 챔버(11a, 11b) 사이에서의 기체의 유통을 저지한다. 탄성 지지 부재(6)는 벨로우즈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그 산부와 골부의 개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1개씩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골부, 또는 하나의 산부만인 경우, 도2 중 상하 방향의 높이가 높아져 박형화에 반하고, 산부 및 골부가 복수인 경우 진동판(3)이 진동할 때에 진동 방향(S) 이외의 복잡한 움직임이 발생하여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탄성 지지 부재(6)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산부(또는 골부)가 하나로 구성된 것이라도 좋고 혹은 산부 및 골부가 각각 2개 이상 마련한 구성이라도 좋다. 혹은 탄성 지지 부재(6)는, 도2에서 본 단면이 평판형이라도 좋다.
또, 하우징(1)에는 노즐(2a, 2b)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노즐이 아니라, 하우징(1)에 단지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류 발생 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액츄에이터(5)에 예를 들어 정현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판(3)은 정현파 진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챔버(11a, 11b) 내의 용적이 증감한다. 챔버(11a, 11b)의 용적 변화에 수반하고, 그들 챔버(11a, 11b)의 압력이 변화되고, 이에 수반하여, 각각 노즐(2a, 2b)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맥류로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진동판(3)이 챔버(11a)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면, 챔버(11a)의 압력은 감소하고, 챔버(11b)의 압력은 증가한다. 이에 의해 노즐(2a)을 통해 하우징(1)의 외부 공기가 챔버(11a) 내에 유입하고, 챔버(11b)에 있는 공기가 노즐(2b)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반대로, 진동판(3)이 챔버(11a)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하면, 챔버(11a)의 압력은 증가하고, 챔버(11b)의 압력은 감소한다. 이에 의해 챔버(11a)에 있는 공기가 노즐(2a)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고, 노즐(2b)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챔버(11b) 내에 유입한다. 노즐(2a, 2b)로부터 공기가 분출될 때에 노즐(2a, 2b) 주위의 기압이 저하함으로써, 상기 주위의 공기가 각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말려들게 된다. 즉, 이것이 합성 분류이다. 이러한 합성 분류가 발열체나 고열부에 송풍됨으로써, 상기 발열체나 고열부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노즐(2a, 2b)로부터 공기가 분출될 때에, 각 노즐(2a, 2b)로부터 독립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그러나, 각 노즐(2a, 2b)에서 발생하는 각 음파는 역위상의 음파이기 때문에 서로 약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음이 억제되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5는, 상기의 챔버가 1개인 경우의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20)에서는,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21)의 그 개구부에 진동 장치(15)가 장착됨으로써, 하우징(21) 내에 챔버(11)가 형성되어 있다. 챔버(11)는 노즐(2)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하우징(21)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2)과는 반대측의 후방부가 원통형으로 되는 것이라도 좋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류 발생 장치(20)에서는 진동판(3)이 도면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챔버(11)의 압력 변화에 수반하여 노즐(2)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거나, 챔버(11) 내로 흡입되거나 한다. 이와 같이, 챔버(11)가 1개라도 공기를 맥류로서 토출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분류 발생 장치(10, 20)의 진동 장치(1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래서, 그 설명에 앞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진동판의 가로 흔들림의 방지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진동 장치(25)가 갖는 진동판(13)에는, 그 주연부에 측판(13a)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진동판(13)의 진동 방향(S)으로 수직인 평면 내에서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이다. 이와 같이 측판(13a)이 있음으로써, 진동판(13)의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에 압력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진동판(13)이 변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분의 노이즈 등도 저감할 수 있다. 측판(13a)이 있는 것은, 상기 가로 흔들림의 방지에는 직접적으로는 관계가 없지만 측판(13a)이 있음으로써, 진동 방향(S)으로 2개의 탄성 지지 부재(6)를 배열시켜 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지지 부재(6)가 하나인 경우에 비교하여 진동판(13)이 진동할 때에, 진동 방향(S)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즉 진동판(13)이,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져 가로 흔들림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7에 도시한 진동 장치(35)에 대해서도 탄성 지지 부재(6)와, 별도의 탄성 지지 부재(26)(가로 흔들림 방지용의 댐퍼)가 있음으로써, 진동판(3)의 가로 흔들림을 억제하고 있다. 이 진동 장치(35)는 스피커의 구조와 거의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진동 장치(25, 35)는, 그와 같게 가로 흔들림을 억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즉, 가로 흔들림에 의해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체(19)가 기울어져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거나 함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전자 기기로서, 랩톱형 PC 등의 전자 기기에 분류 발생 장치가 탑재되는 것을 상정한 경우, 원하는 공기 토출량을 얻기 위해 분류 발생 장치는 기존의 축류 팬과 같은 정도의 크기가 되는 것이 기대된다. 상기 도2 등에서 도시한 진동판(3) 및 탄성 지지 부재(6)가 원형인 경우는, 그 직경(예를 들어 후술의 도8에서 도시한 R의 2배)이 40 ㎜로부터 80 ㎜ 정도 혹은 50 ㎜로부터 80 ㎜ 정도, 하우징(1)의 두께가 20 ㎜ 이하 정도이다. 이 정도의 크기에서 충분한 냉각 능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의 경험으로부터 진동판의 진동은 4 ㎜p-p(peak to peak) 정도(진폭이 2 ㎜ 정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의 주파수를 올리면 진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50 ㎐를 넘는 부분으로부터 소음이 커진다. 따라서, 원하는 공기 토출량을 얻으면서 저소음의 분류 발생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역시 진폭이 4 ㎜p-p 정도가 필요해진다. 직경이 50 ㎜ 정도, 두께가 20 ㎜ 이하에 진동이 4 ㎜p-p 취해지는 진동 장치는 스피커를 생각한 경우도 아니다.
스피커의 경우는 진동판이 4 ㎜ 흔들리는 것은 중음역 내지 저음역의 우퍼 타입이고, 이러한 대진폭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탄 성 지지 부재(6)의 거리를 가능한 한 떨어뜨리거나,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흔들림 방지용의 댐퍼(26)를 준비하거나 하면 좋다. 그러나,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 지지 부재(6) 등으로 진동판(13) 등이 지지되는 경우, 탄성 지지 부재가 하나인 경우에 비해 그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진동판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커진다. 그 만큼, 액츄에이터(5)의 소비 전력도 늘어난다. 그렇게 말하면서도, 탄성 지지 부재(6)가 1개만으로는 진동판(3)에 큰 진폭을 발생시킨 경우에는, 가로 흔들림이 발생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음이 발생한다.
그래서, 상술의 분류 발생 장치(10, 20)에 탑재되는 진동 장치(15)에서는, 탄성 지지 부재는 하나만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고, 진동판(3)에 작용하는 저항력을 작게 하면서도, 후술하는 구조에 의해 진동판(3)의 가로 흔들림을 가능한 한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이스 코일체(19)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진동 장치(15)의 주로 액츄에이터(5) 및 진동판(3)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진동판(3)이 진동 방향(S)으로 진동할 때에, 보이스 코일체(19)와 진동판(3)이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진동판(3)의 가로 흔들림의 상태를 정량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진동판(3)의 도면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 점 0
원통형 요크(8)와 마그넷(14) 사이의 스페이스의 폭(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갭에 상당) : G[㎜]
보이스 코일체(19)의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의 두께 : t[㎜]
진동판(3)의 중심(0)으로부터 보이스 코일체(19)의 수직벽까지 거리 : r[㎜]
진동판(3)의 중심(0)으로부터 주연부까지의 길이와, 그 주연부로부터 프레임(4)까지의 길이 절반의 길이를 더한 길이[중심(O)으로부터 점(P)까지의 길이] : R [㎜]
진동 방향(S)에 있어서의 탄성 지지 부재(6)가 진동판(3)의 주연부를 지지하는 위치[2](제2 위치)로부터 보이스 코일체(19)의 상부 선단부(19a)의 위치[3](제3 위치)까지의 거리 : d[㎜]
탄성 지지 부재(6)에 있어서의 진동판(3)의 주연부로부터 프레임(4)까지의 길이 절반의 길이 위치 : 점(P)
진동판(3)에 경사가 생겼을 때, 상기 점(P)의 진동 방향(S)(원래의 진동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량 : X[㎜](도9 참조)
상기 점(P)의 변위량이 X인 경우에, 보이스 코일체(19)의 선단부(19a)의, 상기 진동 방향(S)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량 : Y[㎜](도9 참조)
또, 두께(t)는 코일 보빈(9)과 이에 권취된 코일(17)을 포함하는 두께이다.
도8 및 도9는 플레이트형 요크(18)의 직경이 마그넷(14)의 직경과 거의 같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상기 스페이스의 폭(G)은 플레이트형 요크(18)와 원통형 요크(8)와의 갭, 즉 자기 갭과 동일한 값이 된다.
상기 점(P)의 변위량(X)이 생긴 경우, 진동판(3)은 거의 점(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3)이 점(O)을 중심으로 각도(e)만큼 회전한 경우, 직각 삼각형(RX)과, 직각 삼각형(dY)과는 비슷하기 때문에, Y는 다음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Y ≒ (dㆍX)/Rㆍㆍㆍ(1)
변위량(Y)은 미소하기 때문에, r에 의존하는 변위량[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3)이 기울어짐으로써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에 의해 보이스 코일체(19)의 선단부(19a)가, 도면 중 상방을 향하는 변위량]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식 (1)은 충분히 정확한 근사치가 된다.
보이스 코일체(19)의 스페이스(G) 내에서의 치수 마진(m)은, 다음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m = (G - t)/2ㆍㆍㆍ(2)
m은 한 쪽의 마진을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의 마진은 스페이스(G)가 보이스 코일체(19)의 양측에 균등하다고 가정하고 있다. 설계에 따라서는 내측이 외측의 마진을 많이 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보이스 코일체(19)의 선단부(19a)의 변위(Y)가 마진을 넘으면, 자기 회로 부재에 선단부(19a)가 접촉한다. 선단부(19a)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Y < mㆍㆍㆍ(3)
이 되기 때문에, 식 (1), (2) 및 (3)으로부터,
[(dㆍX)/R] < [(G - t/2]ㆍㆍㆍ(4)
가 된다. 즉, d가 다음 식 (5)를 만족하면 좋다.
d < [(G - t) R]/(2X)ㆍㆍㆍ(5)
식 (5)로부터,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진동판(3)이 지지되는 지지면인 제 2 위치[2]로부터, 선단부(19a)까지의 거리(d)가 짧을수록, 보이스 코일체(19)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기 어렵게 된다. 변위량(X)이 현실적인 값으로서 약 0.5 ㎜를 상정하면, d는 다음과 같게 된다.
d < (G - t)Rㆍㆍㆍ(6)
상기 X의 값으로서 약 0.5 ㎜가 적합하는 경우는, 현실적인 R로서 R = 10 내지 40 혹은 R = 15 내지 35인 경우가 된다.
실제로 발명자가 제작한 진동 장치의 치수에 의해, d가 어느 정도인지 어림잡아본다. G = 0.94 ㎜, t = 0.35 ㎜, R = 22 ㎜, r = 8 ㎜로, d의 값은 13 ㎜가 된다. 즉, 실제로 발명자가 제작한 액츄에이터에서는 d를 13 ㎜ 이하로 하면, 탄성 지지 부재(6)가 하나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도 접촉에 의한 소음을 막을 수 있다. 실험에서는, 확실하게 소음이 저감되고, 상당히 정음성이 향상되었다. d를 취득하는 범위로서 R = 10 내지 40인 경우, d = 0 내지 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d = 0 내지 10이다.
이러한 값은 진동 장치(15)의 각 부의 치수 및 마진에 의존하지만,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은 랩톱형의 PC를 상정한 크기에서는, d의 치수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d가 적절한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진동판(3)이 진동할 때에 보이스 코일체(19)가 자기 회로 부재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토출량을 원하는 양으로 유지하면서 진동판의 진동수나 진폭 등을 내리지 않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판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스피커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우퍼가 갖는 진폭을 유지하면서도 가로 흔들림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탄성 지지 부재가 1개로 좋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을 달성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경량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보이스 코일체(19)와 자기 회로 부재와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의 내구성도 향상한다.
상기에서는, R = 10 내지 40으로 하지만, R은 이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15)나 분류 발생 장치(10)가 탑재되는 전자 기기 중 소형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를 탑재한 오디오 플레이어나 IC 음성 레코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 중 대형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20 인치 이상, 30 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 기기 혹은 50 인치 이상의 대형의 디스플레이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R의 가능성으로서는 5 내지 100이 생각된다. 또한, R이 40을 넘는 경우, 진동판의 진폭은 상기한 바와 같은 4 ㎜p-p보다 큰 진폭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진동 장치(45)의 진동판(13)은, 예를 들어 도6에서 도시한 진동판(13)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측판(13a)을 갖는다. 측판(13a)은, 그 하단부에 있어서 제2 위치[2]의 지지면에서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체(19)의 선단부(19a)의 위치를, 도11 중 제3 위치[3]로 한다. 이 경우도, 제2 위치[2]와 제3 위치[3]와의 거리(d)가 상기 식 (5) 또는 (6)을 충족시키도록 진동 장치(45)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보이스 코일체(19)가 마그넷(14), 요크(8, 18) 등의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인 경우, d가 비교적 커지기 쉽다. 이는, 코일 보빈(9)이 진동판(13)에 부착되는 부착면(제4 위치[4])에 대해, 보이스 코일체(19)로부터 보아 먼 위치에 지지면(제2 위치[2])이 있기 때문이다. 즉, 측판(13a)의 하단부에 지지면(제2 위치[2])이 있기 때문이다. d는, 상기 식 (5) 또는 (6)을 만족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d가 작을수록, 보이스 코일체(19)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12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55)와 같이, 진동판(13)의 방향이 도11에서 도시한 경우와 진동 방향(S)에서 역방향이면 좋다. 이 경우, 측판(13a)이 도면 중 상측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기 때문에, 측판(13a)의 상단부에 지지면(제2 위치[2])이 온다. 이에 의해, 도11에 도시한 경우에 비해, d를 작게 할 수 있다. 혹은, 진동판이 콘 형상인 경우,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3)의 상단부를 탄성 지지 부재(6)의 지지면(제2 위치[2])이라 하면 좋다. 이에 의해, d를 작게 할 수 있다.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진동 장치(55, 65)에 따르면, 진동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면서 보이스 코일체(19)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코일 보빈(9)이 진동판(3)에 장착되는 위치를 제4 위치[4]로 한다. 이 경우, 제4 위치가 제2 위치보다 마그넷(14)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8이나 도11 등에 도시한 진동 장치에서는, 제4 위치가 제2 위치보다 마그넷(14)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14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4에 도시한 액츄에이터(105)의 확대 단면도이다. 진동 장치(75)가 갖는 진동판(23)은, 예를 들어 평판형이 된다. 진동판(23)이 평판형이 됨으로써, 탄성 지지 부재(6)에 지지되는 위치(제2 위치[2])가, 코일 보빈(9)이 진동판(23)에 부착되는 위치(상술의 제4 위치)와 거의 같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판(23)이 플랫인 것에 의해 구조가 심플해진다. 단순한 구조이면, 진동판(23)이 진동하여 챔버 내에 압력 변화를 발생시킬 때에, 소용돌이 등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류음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진동 장치(75)의 마그넷(24)에 장착된 플레이트형 요크(38)는 마그넷(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마그넷(24)을 수용하는 요크(28)는, 예를 들어 원통형을 이루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갭(G)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28a)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자기 갭(G)은 마그넷(24)과 원통형 요크(28)의 내주면(28b) 사이의 스페이스의 폭(F)보다 작아지고, 자기 갭(G)이 가장 좁게 되도록 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15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23)이 가로 흔들림에 의해 기울어진 경우, 보이스 코일체(19)의 코일(17)의 일부가, 도17의 파선의 원(B)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돌출부(28a)에 접촉한다. 보이스 코일체(19)의 선단부(19a)는 내주면(28b)에 접촉할 가능성도 있지만, 그보다 먼저 부분(B)에서 접촉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보이스 코일체(19)의 각 부위 중,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한 진동판(23)의 지지면(제2 위치[2])에 가까운 부분만큼, 그 변위량(Y)(도15 참조)은 작아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진동판(23)의 경사에 대한 마진이 보다 커진다. 갭(G)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체(19)의 선단부(19a)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상태보다 부분(B)에서 접촉하는 상태 쪽이 일어나기 어렵다.
진동 장치(75)에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방향(S)에 있어서의 마그넷(24)에 장착된 플레이트형 요크(38)의 중심 위치를 제1 위치[1]로 한다. 그리고, 제1 위치[1]와 제2 위치[2]와의 거리를 d'로 한 경우, 식 (5)와 마찬가지로, 다음 식 (7)을 충족시키면 보이스 코일체(19)가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다.
d' < [(G - t) R]/(2X)ㆍㆍㆍ(7)
여기서, d'는 통상, 상기 d보다도 작게 하는 것은 설계상 용이하고, 그만큼 보이스 코일체(19)의 변위는 작고, 경사에 대한 마진은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식 (6)과 같이, X에 현실적인 값을 어림잡으면 d'는 다음과 같게 된다.
d' < (G - t) Rㆍㆍㆍ(8)
또, 도8과 도16과의 비교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도8에 있어서도 d'를 나타냈다. 또한, 도11 내지 도13에 있어서도 제1 위치[1]를 나타냈다.
d'를 취득하는 범위로서, R = 10 내지 40인 경우, d' = 0 내지 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d' = 0 내지 5이다.
도14에 도시한 진동 장치(75)의 구조이고, 또한 진동판(23)의 경사에 대한 마진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형 요크(38)의 장착 위치(제1 위치[1])와 진동판(23)의 지지 위치(제2 위치[2])를 가능한 한 근접시키면 좋다. 즉, 도18에 도 시한 또 별도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85)와 같이, d' = 0이 되도록 설계하면 좋다. 이 진동 장치(85)는, 진동판(13)이 갖는 측판(13a)의 상단부가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지지된다.
도19는, 도18에 도시한 진동 장치(85)의 진동판이 가로 흔들림으로 하여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 θ는 다음 식 (9)에서 나타낼 수 있다.
θ = tan-1(X/R)ㆍㆍㆍ(9)
또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9의 아래에 표시된 삼각형을 확대하면, 원통형 요크(28)와, 플레이트형 요크(38) 사이의 자기 갭부[중심(0)으로부터 거리]에 있어서의 보이스 코일체(19)의 변위량은, 식 (7)에서는 작기 때문에 무시하고 있지만, 다음 식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Y = r(1 - cosθ)ㆍㆍㆍ(10)
또, 물론, 식 (10)은 도8 및 도9에 도시한 형태에 있어서도 성립하는 식이다.
여기서, 앞서 마찬가지로, G = 0.94 ㎜, t = 0.35 ㎜, R = 22 ㎜, r = 8 ㎜를 식 (9) 및 (10)에 대입하면, θ = 1.3°가 되고, Y = 2 ㎛가 된다. 즉, 상기 자기 갭부에서의 보이스 코일체(19)의 변위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고, 진동 장치(85)는 경사에 매우 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자기 갭(G)을 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이는, 자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연결되고, 효율 이 좋은 자기 구동을 실현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진동 장치(85)의 진동판(33)은 보이스 코일체(19)가 부착되는 위치(제4 위치[4])보다, 마그넷(24)에 가까운 측에 플랜지(33a)를 갖는다. 진동판(33)은, 플랜지(33a)의 위치(제2 위치[2])에서 탄성 지지 부재(6)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위치[1]와 제2 위치[2]는 같은 위치이다. 이러한 진동판(33)에 의해, 상기 d' = 0으로 할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30)는 노즐(32a, 32b)을 갖는 하우징(31)에, 탄성 지지 부재(6)에 의해 진동판(33)이 지지되어 있다. 진동판(33)은, 예를 들어 상술의 플랜지(33a)를 갖는다. 노즐(32a, 32b)은, 각각 하나씩이라도 좋지만, 도면 중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1)의 내부에는 격벽(31b), 탄성 지지 부재(6) 및 진동판(33)에 의해, 챔버(131a, 131b)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31b)에는 공기의 유통 구멍(37)이 마련되어 있다. 유통 구멍(37)은 긴 구멍이라도 좋고, 원형 그 밖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 유통 구멍(37)은 복수개 있어도 좋다.
하우징(31)에는 원통형 요크(48)가 고정되어 있고, 상술한 진동 장치(15) 등의 프레임(4)(도2 참조)이 없고, 하우징(31)이 그 프레임의 기능을 갖는다. 즉, 하우징(31)에 탄성 지지 부재(6)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1 및 도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10)에 비해 부품 개수가 줄고, 장치의 소형화 또는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체(19)에는 급전선(16)이 접속되어 있다. 급전선(16)은 진동판(33)과 함께 진동하기 때문에, 분류 발생 장치(30)의 수명까지 단선에 견뎌야만 한다. 분류 발생 장치(30)에서는 수만 시간의 수명이 요구되고, 총 진동수는 수십억회가 된다. 그로 인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보빈(9) 및 하우징(3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31)에는 구멍(31a)을 개방할 수 있고, 급전선(16)은 하우징에 고정된 단자대(27)가 갖는 단자(27a)에 구멍(31a)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40)의 급전선(16)은 진동판(33)에 따르도록 부착되어 있다. 급전선(16)은 진동판(33)에 매립되도록 해도 좋고, 표면상을 기게 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도24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50)와 같이 단자대(27)를 하우징(41)의 하부에 마련하고, 급전선(16)을 진동판(33)에 기게 하도록 하여 단자대(27)에 접속해도 좋다. 이러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급전선(16)의 일단부는 단자대(27)에 고정되는 동시에, 또한 진동판(33)에 고정되기 때문에, 단선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도25는, 상기 각 진동판(3, 13, 23, 또는 33)의, 다른 형태에 관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은, 진동 방향(S)으로 수직인 면내에서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25의 (a)에 도시한 진동판(43)과 같이 타원이라도 좋고, 도25의 (b)에 도시한 진동판(53)과 같이 타원이라도 좋다. 도25의 (c) 내지 도25의 (e)에 도시한 진동판(63, 73 및 83) 형상은, 각각 정방형, 직사각형 및 모서리가 곡선의 직사 각형이다. 이러한 바와 같이 진동판(3) 등의 평면 형상은 임의 형상이라도 좋지만, 원인 경우 금형 등도 포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도25의 (c) 내지 도25의 (e)에 도시한 진동판(63, 73 또는 83)을 갖는 진동 장치(15) 등이 상기 하우징(1) 등에 탑재되는 경우, 하우징(1) 등의 평면 형상도 진동판의 형상에 맞추어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축류 팬 등은 회전하여 송풍하기 때문에, 평면 형상은 원형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각 분류 발생 장치의 진동판은, 반드시 원일 필요는 없기 때문에, 도25의 (a) 내지 도2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상이 플렉시블하게 대응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PC 등의 전자 기기에 분류 발생 장치(10) 등이 탑재되는 경우에, 그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25의 (a) 내지 도25의 (e)에 도시한 각 진동판에, 상기 R(도8 참조)을 적용하면, 도26의 (a) 내지 도2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게 된다. 부호 46, 56, 66, 76 및 86은, 상술의 탄성 지지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중심(0)으로부터 가장 짧고 탄성 지지 부재 상의 중심선(H)까지의 거리를 R로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형상이라도, d나 d'의 사고 방식은 적응할 수 있다.
도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진동 장치(215)에서는 진동판(93)과 탄성 지지 부재(93a)가 같은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재료는, 수지나 고무 등으로 된다. 이 경우, 진동판(93) 및 탄성 지지 부재(93a)를 일체 성형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28은, 분류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분류 발생 장치(50)의 하우징(51)은 직방체형이라도 좋다. 이 경우, 도28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은 진동판의 평면 형상은, 도25에 도시한 여러 가지 형상이 생각된다. 그러나, 하우징(51) 내의 압력 변화를 효율적으로 일으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25의 (d)에 도시한 진동판(73)이나, 도25의 (e)에 도시한 진동판(83)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9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10)를 랩톱형의 PC에 탑재하였을 때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PC(300)에는 히트 싱크(84)와, 이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분류 발생 장치(10)가 탑재되어 있다. 분류 발생 장치(1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히트 싱크(84)를 통해, 하우징(251)의 배면에 마련된 복수의 통풍구(251a)를 통해 하우징(25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의 토출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소음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Claims (34)

  1. 하우징에 포함된 기체를, 상기 하우징이 갖는 개구를 통해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기체를 진동시키는 진동 장치이며,
    프레임과,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로 부재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으로 착자된 마그넷과,
    상기 진동 방향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마그넷의 상기 진동판측에 장착된 자성체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자기 갭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마그넷 사이에 상기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자성체의 통체를 갖는 요크를 갖고,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선단부와,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갖고, 상기 선단부 및 상기 코일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진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으로 거의 수직인 면내이며 상기 진동 방향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진동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3 위치에 상기 선단부를 갖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주연부까지의 길이가 가장 짧은 길이인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연부로부터 상기 프레임까지의 길이 절반의 길이인 제2 길이를 더한 제3 길이의 함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가 d[㎜], 상기 제3 길이가 R[㎜], 상기 자기 갭이 G[㎜],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체의 두께가 t[㎜],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3 길이에 있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진동 방향의 변위가 X[㎜]인 경우,
    d < [(G - t) R]/(2X)
    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R = 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R = 10 내지 40인 경우, d = 0 내지 20 또는 d = 0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 방향으로 거의 수직인 면내이며,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진동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2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고,
    상기 자기 갭이, 상기 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스페이스의 폭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면내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주연부까지의 길이가 가장 짧은 길이인 제1 길이와, 상기 제1 길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연부로부터 상기 프레임까지의 길이 절반의 길이인 제2 길이를 더한 제3 길이의 함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가 d[㎜], 상기 제3 길이가 R[㎜], 상기 자기 갭이 G[㎜],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체의 두께가 t[㎜], 상기 진동판이 상기 진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진동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3 길이에 있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진동 방향의 변위가 X[㎜]인 경우,
    d < [(G - t) R]/(2X)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R = 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R = 10 내지 40인 경우, d = 0 내지 10 또는 d = 0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진동 방향의 상기 제2 위치와는 다른 제4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마그넷에 가까운 측, 또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먼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측판과,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장착된 평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제1 평판과,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평판에 거의 평행한 제2 평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 방향 중 한 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넓어지는 콘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진동 방향의 상기 제2 위치와 거의 같은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되고, 상기 측판 및 상기 평판에 기게 하도록 배치된 급전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평판 및 제2 평판에 기게 하도록 배치된 급전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진동 방향의 상기 제2 위치와는 다른 제4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 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마그넷에 가까운 측, 또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먼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측판과,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장착된 평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된 제1 평판과,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평판에 거의 평행한 제2 평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진동 방향의 한 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넓어지는 콘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체는, 상기 진동 방향의 상기 제2 위치와 거의 같은 위치에서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되고, 상기 측판 및 상기 평판에 기게 하도록 배치된 급전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보이스 코일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평판 및 제2 평판에 기게 하도록 배치된 급전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진동 방향으로 거의 수직인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각원형으로 되는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고무 또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지지 부재가 같은 재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장치.
  30. 프레임과,
    개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 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1. 개구를 갖고,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 생 장치.
  32. 발열체와,
    프레임과,
    개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상기 발열체를 향해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3. 발열체와,
    개구를 갖고, 내부에 기체가 포함된 하우징과,
    진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기체를 상기 발열체를 향해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4. 프레임과,
    진동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진동판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자기 회로 부재와, 상기 진동판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에 상기 자기 회로 부재로의 접촉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보이스 코일체를 갖고,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스피커 장치.
KR1020060037459A 2005-04-27 2006-04-26 진동 장치,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601134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0309 2005-04-27
JP2005130309A JP2006305453A (ja) 2005-04-27 2005-04-27 振動装置、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446A true KR20060113446A (ko) 2006-11-02

Family

ID=3672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459A KR20060113446A (ko) 2005-04-27 2006-04-26 진동 장치,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45614A1 (ko)
EP (1) EP1717936A2 (ko)
JP (1) JP2006305453A (ko)
KR (1) KR20060113446A (ko)
CN (1) CN100442200C (ko)
TW (1) TW200706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09B1 (ko) * 2011-05-26 2013-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석 방식의 냉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4627A1 (ja) * 2007-09-12 2009-03-19 Pioneer Corporation スピーカ用磁気回路、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用磁気回路の製造方法
JP5643651B2 (ja) * 2007-12-07 2014-12-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低ノイズ冷却装置
EP2101351B1 (de) 2008-03-13 2016-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Bauteils
CN101810010B (zh) * 2008-10-14 2013-04-17 日本先锋公司 扬声器装置
CN102315180A (zh) * 2010-07-08 2012-01-11 绿种子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散热功能的电子装置及其散热模块
US9342108B2 (en) 2011-09-16 2016-05-17 Apple Inc.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TWI524840B (zh) 2012-03-30 2016-03-0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散熱模組
US9432492B2 (en)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9505032B2 (en) 2013-03-14 2016-11-29 Apple Inc. Dynamic mass reconfiguration
US9715257B2 (en)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CN107370323B (zh) * 2017-04-14 2019-08-0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器件和电子设备
JP7154379B2 (ja) * 2019-03-12 2022-10-1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磁駆動装置及び操作装置
CN113660584B (zh) * 2021-08-20 2023-11-24 潍坊歌尔丹拿电子科技有限公司 扬声器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145A (en) * 1995-06-12 2000-09-2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jet actuators for cooling heated bodies and environments
US5566377A (en) * 1995-07-10 1996-10-15 Lee; Richard Heat dissipating apparatus
JP2000114760A (ja) * 1998-10-06 2000-04-21 Toshiba Corp 電子機器の冷却構造
KR20000050679A (ko) * 1999-01-13 2000-08-05 윤종용 전자기기용 방열장치
CN2534618Y (zh) * 2001-10-11 2003-02-05 李国荣 微型计算机的散热系统
US6588497B1 (en) * 2002-04-19 2003-07-0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by synthetic jet ejector channel cooling techniques
CN2674145Y (zh) * 2003-09-12 2005-01-26 清华大学 一种采用双压电梁驱动的膜片气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09B1 (ko) * 2011-05-26 2013-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석 방식의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2200C (zh) 2008-12-10
TWI303192B (ko) 2008-11-21
CN1854980A (zh) 2006-11-01
US20060245614A1 (en) 2006-11-02
EP1717936A2 (en) 2006-11-02
JP2006305453A (ja) 2006-11-09
TW200706268A (en)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3446A (ko) 진동 장치,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US7861767B2 (en) Airflow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219867B1 (ko)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JP5088526B2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US7793709B2 (en) Jet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081454B2 (en) Gas ejector, electronic device, and gas-ejecting method
US20110259557A1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airflow generator
TWI524840B (zh) 散熱模組
JP2006310673A (ja) 噴流発生装置、ヒートシンク、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JP4867324B2 (ja) 放熱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008230A (ja) 噴流発生装置、ノズル体及び電子機器
JP4910464B2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13530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5130650B2 (ja) 噴流発生装置
JP2007222727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噴流発生装置
JP2007209845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63900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55741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46730A (ja) プレート駆動装置、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