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986A -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986A
KR20060112986A KR1020050035761A KR20050035761A KR20060112986A KR 20060112986 A KR20060112986 A KR 20060112986A KR 1020050035761 A KR1020050035761 A KR 1020050035761A KR 20050035761 A KR20050035761 A KR 20050035761A KR 20060112986 A KR20060112986 A KR 20060112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frame
cabinet
cov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375B1 (ko
Inventor
박혜용
김보연
권대희
김현석
이승열
김명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375B1/ko
Priority to CN2006800124243A priority patent/CN101160429B/zh
Priority to AU2006234732A priority patent/AU2006234732B2/en
Priority to US11/918,369 priority patent/US8984913B2/en
Priority to EP06757443.4A priority patent/EP1871943B1/en
Priority to PCT/KR2006/001374 priority patent/WO2006110006A1/en
Priority to JP2008506379A priority patent/JP5091113B2/ja
Priority to TW095113503A priority patent/TWI347389B/zh
Publication of KR2006011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세척 장치의 전면부를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세척 장치 전면부를 다양한 색깔로 장식 가능하도록 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은 세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프레스 공정과 강도 보강을 위한 포밍 공정에 의하여 캐비닛 커버가 제작되는 단계; 도료에 의하여 침식이 되지 않는 도장용 ABS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여 아우터 커버가 사출 성형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커버의 전면에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도료가 분사되는 단계; 상기 도료가 착색된 아우터 커버가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 시간동안 건조되는 단계;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전면에 상기 아우터 커버가 장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세척 장치의 전면부 컬러를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체 비용이 저렴하게 드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세척 장치의 전면부 테두리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제품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캐비닛 커버, 아우터 커버, 프린지 프레임

Description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ront portion of Cleaning appliance for the laundry}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로서 드럼 세탁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척 장치의 외관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부를 구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부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6은 상기 아우터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어퍼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상기 어퍼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로어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프린지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정면도.
도 14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저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패널이 장착되는 캐비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하단부가 로어 패널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아우터 커버의 상단부가 캐비닛 커버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면 패널 5 : 프린지 프레임 6 : 도어
7 : 컨트롤 패널 10 : 전면부 41 : 아우터 커버
42 : 캐비닛 커버 51 : 어퍼 프레임 52 : 사이드 프레임
53 : 로어 프레임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세척 장치의 전면부를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세척 장치 전면부를 다양한 색깔로 장식 가능하도록 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척 장치라 함은 옷감에 묻어 있는 찌든 때나 오물을 씻어내기 위한 세탁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및/또는 젖은 세탁물을 말리기 위한 건조 기능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등과 같은 가전 기기등이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세탁기는 원통 형상의 세탁조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과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가 충돌되도록 하여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물이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는 세탁조가 수직하게 장착되고, 바닥면에 펄세이터가 장착되는 펄세이터식 세탁기와, 세탁조가 수평하게 장착되고, 세탁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식 세탁기로 대별된다.
또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는 내부에 열풍을 불어주어 세탁물에 스며 있는 수분이 증발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가전 기기이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드럼식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드럼식 세척 장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둘러싸서 보호하고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에는 각종 버튼들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과,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를 막는 프런트 패널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를 이루는 프런트 패널과, 도어와, 컨트롤 패널이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척 장치의 경우 상기 전면부는 제품 출하시 특정의 색깔로 고정된다. 즉, 캐비닛의 색깔과 동일한 색깔로 전면부가 도장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패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제품 전체를 분해하거나, 제품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경우 프런트 패널이 금속 판재로 형성되므로, 교체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비용적인 부담이 크게 작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소비자가 세탁기, 건조기 또는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은 세척 장치의 전면부 컬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다른 구성 요소를 교체하지 않고도 전면부를 다양한 색상, 문양 또는 디자인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발명은 전면부만 외부로 드러나는 빌트인 세척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세척 장치의 이동 또는 조립 과정에서 외곽 테두리부의 일부가 파손되었을 경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그 파손된 테두리 부분만 교 체 가능하도록 하여, 수리의 용이 및 수리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은 세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프레스 공정과 강도 보강을 위한 포밍 공정에 의하여 캐비닛 커버가 제작되는 단계; 도료에 의하여 침식이 되지 않는 도장용 ABS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여 아우터 커버가 사출 성형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커버의 전면에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도료가 분사되는 단계; 상기 도료가 착색된 아우터 커버가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 시간동안 건조되는 단계;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전면에 상기 아우터 커버가 장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제작 방법에 의하여, 세척 장치의 전면부 컬러를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체 비용이 저렴하게 드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세척 장치의 전면부 테두리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제품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세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드럼 세탁기 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세척 장치는 드럼 세탁기 뿐 아니라 의류 건조기 등과 같이 옷감을 세탁하고 건조하는 건조기 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 등이 모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로서 드럼 세탁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 구조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1)는 외형을 이루고, 전방이 개방된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덮는 탑커버(3)와,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전방에 장착되는 전면부(1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부(10))는 프런트 패널(4)과, 상기 프런트 패널(4)의 대략 중심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6)와, 상기 프런트 패널(4)의 상측부에 안착되며, 세탁 조건을 입력하는 각종 버튼과 전원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패널(7) 및 상기 프런트 패널(4)과 상기 컨트롤 패널(7)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프린지 프레임(5)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7)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 박스(8)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2)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부를 감싸는 터브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후방에는 구동 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세탁과정에서 상기 드럼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도어(6)를 열어서 세탁물을 드럼에 투입한 다음, 도어(6)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세제 박스(8)에 세제를 투입한 다음 작동 버튼을 누르면 세탁수가 상기 세제 박스(8)를 거쳐 세제와 혼합된 다음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수가 설정된 양만큼 유입되면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세탁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세탁 과정이 종료되면 헹굼과 탈수 과정을 거쳐 세탁이 종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세척 장치(1)의 전면부(10) 구조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척 장치의 외관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의 외관은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10)는 프런트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전면을 막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프런트 패널(4)과, 상기 프런트 패널(4)의 상측부에 안착되는 컨트롤 패널(7)과, 상기 프런트 패널(4)과 상기 컨트롤 패널(7)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프린지 프레임(5)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4)은 배면 테두리부가 상기 캐비닛(2)의 테두리부에 장착되는 캐비닛 커버(42)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에 장착되어 세척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커버(41)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42)는 배면 테두리부가 상기 캐비닛(2)의 전면부 테두리에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캐비닛(2)이 찌그러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도 보강 소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2)의 후방이 개구되고, 전방에 프런트 패널(4)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 커버(42)는 상기 캐비닛(2)의 양측면과 일체로 이루어져 별도의 캐비닛 커버 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상기 아우터 커버(41)만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41)는 특정 컬러의 색깔이 도포된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세척 장치(1)의 전면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인테리어 판의 기능을 술행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41)는 상기 상기 캐비닛 커버(4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컬러에 맞게 자유로이 교체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41)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되어, 상기 캐비닛 커버(42)에 비해 재료비가 적게 들어가게 되어 교체시 많은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상기 프린지 프레임(5)은 상기 프런트 패널(4)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로어 프레임(53)과, 상기 프런트 패널(5)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프레임(52) 및 상기 컨트롤 패널(7)의 상측부 테두리에 장착되는 어프 프레임(5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린지 프레임(5)은 상술한 바와 같이 4부분이 각각 상기 프런트 패널(4) 및 상기 컨트롤 패널(7)의 테두리부에 장착될 수도 있는 반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52)과 상기 로어 프레임(53)이 대략 U 자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2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어퍼 프레임(5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2) 및 상기 로어 프레임(53)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린지 프레임(5)의 형상 또는 결합 조각의 개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과 개수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 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프린지 프레임(5)은 상기 프런트 패널(4)과 상기 컨트롤 패널(7)의 외곽 테두리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아우터 커버(41)가 만나는 부분 측 외곽 테두리 부분이 가려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10)가 상기 프린지 프레임(5)에 의하여 테두리부가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와 결합 방식 및 결합 순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부를 구성하는 캐비닛 커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캐비닛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커버(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2)의 전방 개구면에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42)는 네 측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절곡되며, 다시 대략 90도 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이드 리브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 가이드 리브(424)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는 측면 가이드 리브(429) 및 상기 캐비닛 커버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가이드 리브(42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424)는 상기 캐비닛(2)과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볼팅홀(4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가이드 리브(429) 및 하부 가이드 리브(428)에도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볼팅홀(429a, 42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 기 상부 가이드 리브(424)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프린지 프레임(5) 중 어퍼 프레임(51)과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어퍼 프레임 체결홀(425)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측부 절곡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7)이 안착되고, 양 측방 절곡면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부 절곡면에는 상기 로어 프레임(53)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양 측방 절곡면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42)에 형성되는 후크가 끼워지기 위한 프레임 후크 삽입홀(4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측부 절곡면에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측부에 형성된 결합 리브가 삽입되기 위한 어퍼 리브 삽입홀(426)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퍼 리브 삽입홀(426)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수직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대칭되는 거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42)는 전면부에 소정 깊이와 폭으로 함몰되는 도어 안착부(4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안착부(421)는 도어의 형상과 일치되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의 테두리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며 그 끝단이 반경 방향으로 휘어지는 가스킷 장착 리브(432)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가스킷 장착 리브(432)가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스킷이 상기 가스킷 장착 리브(432)의 외주면에 끼워지면 빠지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안착부(421)의 내측 테두리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내측 테두리부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터 후크 삽입홀(43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센터 후크 삽입홀(431)은 후술하게 될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후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다. 상기 센터 후크 삽입홀(431)에 상기 아우터 커버(41)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후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상기 아우터 커버(41)가 더욱 긴밀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42)는 내측면에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함몰부(422)가 다수 개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체결 보스(후술함)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아우터 커버(41)와 캐비닛 커버(42)가 상기 체결 보스에 의하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부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어 리브 삽입홀(43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로어 리브 삽입홀(430)에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로어 리브(418 : 도 5 참조)가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부 절곡면에는 볼팅홀(427)이 형성되어, 상기 로어 프레임(53)과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부 절곡면에는 후술하게 될 로어 패널(22) 전면에 돌출되는 서포팅 리브(221)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 슬롯(428c)이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 슬롯(428c)에 상기 서포팅 리브가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면부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아우터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 커버(41)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컬러를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커버(41)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전면에 도료를 스프레이 분사하고,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작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도료에 의한 침식 작용이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아우터 커버(41)는 비교적 대형 금형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재료가 되는 플라스틱 수지는 사출시 흐름성이 좋아야 한다.
상기 도료에 의하여 상기 침식 작용이 일어나거나, 사출시 수지의 흐름이 양호하지 않을 경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도료를 도포할 경우 균일한 도포 두께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도장용 ABS 수지(바스프 사의 GP35)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사출을 위한 금형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전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부분은 경면 사상 처리되어,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전면부가 광택을 유지하고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출 공정에 의하여 제작된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전면에 도색을 위하여 분사되는 도료는 아크릴 베이스 수지(Acryle Base Resin)와 특정 색상을 구 현하기 위한 안료로 구성된다. 특히, 광택을 내고자 할 경우에는 여기에 금속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루미늄 분말을 피그먼트(pigment)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스프레이 분사 방식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는 도료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용재의 추가가 바람직하다. 상기 용재는 이소프로필렌알콜이 양호하다.
이후, 건조 과정을 살펴 보면 상기 도료가 착색된 아우터 커버(41)는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건조된다.
상세히, 아우터 커버(41)는 대략 60도 ~ 70도 정도의 온도에서 대략 40분 동안 건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일, 60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경우 도료가 착색된 부분이 외부의 접촉에 의하여 도료가 쉽게 벗겨지는 등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70도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경우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아우터 커버(41) 또한 60도 이상의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 소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커버(41)는 전면부에 도어(6)가 안착되기 위한 도어 안착부(411)가 소정 깊이로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안착부(411)의 내측에는 세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의 가장자리부 배면에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에 형성된 상기 센터 후크 삽입홀(431)에 끼워지기 위한 센터 후크(417)가 다수 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양 측면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과 결합되기 위한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4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414)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프레임 리브(526 : 도 9 참조)가 삽입되기 위한 프레임 리브 삽입홀(4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측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 형성되는 아우터 커버 고정 리브(75 : 도 15 참조)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 삽입홀(4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커버(41)도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같이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소정 너비로 절곡되며, 상기 리브 삽입홀(412)과, 상기 프레임 리브 삽입홀(413)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414)이 상기 절곡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절곡면 중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절곡면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퍼 리브(41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어퍼 리브(416)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부면에 형성된 어퍼 리브 삽입홀(426)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에는 소정의 위치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체결 보스(415)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 보스(415)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부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상기 함몰부(422)에 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함몰부(422)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체결 부재가 관통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체결 보스(415)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아우터 커버(41)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하단에는 다수 개의 로어 리브(418)가 돌출되며, 상기 로어 리브(418)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에 형성된 로어 리브 삽입홀(430)에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어퍼 프레임의 정 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어퍼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5)의 구성 요소가 되는 어퍼 프레임(51)은 상기 컨트롤 패널(7)의 상부 및 양측면 테두리를 덮기 위하여 대략 n 자 형상을 이룬다.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51)은 양 끝단 후면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캐비닛 커버 체결단(511)과, 배면 상단부에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과, 양 끝단부에 하측으로 소정 길이와 폭으로 연장되는 고정 리브(51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수평 부분에는 하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리브(516)와, 상기 제 1 리브(51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 돌출되는 제 2 리브(5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리브(516) 및 제 2 리브(517)는 후술하게 될 어퍼 패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51)이 상기 어퍼 패널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 체결단(511)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측부에 절곡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리브(424)와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가이드 리브(424)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홀(425)과 상기 캐비닛 커버 체결단(511)에 형성되는 체결홀(512)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은 상기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 돌출되는 체결 보스(후술함)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양측 하단부에 연장되는 상기 고정 리브(515)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의 상부면에 형성 된 고정 리브 삽입홀(524 : 도 9 참조)에 끼워진다. 즉, 상기와 같은 조립 과정에 의하여 상기 어퍼 프레임(51)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과 상기 컨트롤 패널(7) 및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결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측면(516), 보다 상세히, 세제 박스(8)가 장착되는 부위의 측면(516)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되어, 상기 세제 박스(8)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세제 박스(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51)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캐비닛(2)의 상측부를 덮는 상기 탑커버(3)의 전면 테두리부는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상측부 후면에 결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52)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아우터 커버(41)의 측면 테두리부를 덮는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상기 아우터 커버(41)가 겹쳐지는 부분을 가려 줌으로써, 미관상 깔끔한 느낌을 주게 된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바디(521)와, 상기 프레임 바디(521)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프레임 프런트(522)와, 상단부에 수평하게 절곡되는 어퍼 프레임 안착단(523) 및 하단부에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스탠딩 리브(527)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 안착단(523)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 리브(515)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 리브 삽입홀(5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프런트(522)의 단부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리브(526)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리브(526)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측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리브 삽입홀(413)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 바디(521)의 후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후크(52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후크(525)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측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후크 삽입홀(423)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프런트(522)의 배면에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414)이 삽입되는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 삽입홈(52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은 상단부은 상기 어퍼 프레임(51)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로어 프레임(453)과 결합되며, 측면부는 상기 아우터 커버(41) 및 캐비닛 커버(42)와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은 상기 부재들과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필요 없이 결합되는 것을 역시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로어 프레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프린지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지 프레임(5)을 구성하는 로어 프레임(53)은 상부면에 상기 아우터 커버(41)가 안착되기 위한 아우터 커버 안착부(532)와, 상기 아우터 커버 안착부(532)의 후측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캐비닛 커버 안착부(531)와, 양 단부 상측면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스탠딩 리브(527)가 삽입되기 위한 스탠딩 리브 삽입홈(534)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프레임(53)의 후측 테두리부에는 전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다수 개의 서포팅 리브 수용홈(5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 리브 수용홈(535)은 후술하게 될 로어 패널에 돌출되는 서포팅 리브가 상기 로어 프레임(53)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 안착부(531)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팅홀(533)이 형성되어, 상기 로어 프레임(53)과 상기 캐비닛 커버(42)가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 프레임(53)은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고, 양 단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조립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런트 패널(4)과 상기 컨트롤 패널(7)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프렌지 프레임(5)에 의하여, 상기 프런트 패널(4) 및 컨트롤 패널(7)이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설령,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프린지 프레임(5)의 일부분이 파손될 것이며, 상기 프런트 패널(4)이 보호된다. 그리고, 파손된 프린지 프레임(5)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수리가 용이하게 될 뿐 아니라 수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컨 트롤 패널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컨틀로 패널(7)은 상부면과 측면이 상기 어퍼 프레임(51)에 의하여 둘러지고, 하단부가 상기 프런트 패널(4)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패널(7)은 일측에 각종 조작부가 구비된 입력부(71)와, 타측에 세제 박스가 삽입되기 위한 세제 박스 장착부(72)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입력부(71)는 상기 전원 버튼(711)과, 세탁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놉 삽입홈(713)과, 작동 버튼(712)과, 표시창(714) 및 세탁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조건 입력 버튼(715)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는 상기 입력부(71)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되기 위한 제어부가 장착된 PCB 기판이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부착되도록 하는 PCB 기판 체결 보스(74)가 소정 길이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 상측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51)에 형성되는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과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 체결 보스(73)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상기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에 형성된 체결홈(514)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삽입된 다음,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 보스(7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7)과 상기 어퍼 프레임(51)이 일체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7)의 하단면에는 소정 길이의 아우터 커버 고정 리브(75)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커버 고정 리브(75)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리브 삽입홀(41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7)의 하단면은 상기 아우터 커버(41)에 안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7)의 상측부 후면에는 패널 후크(76)가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어퍼 패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트롤 패널(7)이 상기 어퍼 패널로부터 요동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는 디스펜서 체결 보스(77)가 돌출 형성되어, 캐비닛(2) 내부에 장착되어 세제 박스가 수용되도록 하는 디스펜서와 체결 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런트 패널이 장착되는 캐비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2)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메인 바디(23)와, 상기 메인 바디(23)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어퍼 패널(21) 및 로어 패널(22)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상기 프런트 패널(4)이 장착되는 전방이 개구되고, 측면 및 후방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프런트 패널(4)이 장착되는 전방과 측면이 일체로 이루어지고, 후방이 개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 측면을 연결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프레임(후술함)이 상측 및/또는 하측에 장착된다.
또는, 상기 캐비닛(2)은 각각의 네 면이 별개의 부품으로 조립되고, 일측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면에 상기 프런트 패널(4)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빌트인(Built-in) 타입의 경우 측면 또는 후벽 캐비닛을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2)의 형상은 상기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의 캐비닛(2)이 제안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23)의 전면부 상측에 장착되는 상기 어퍼 패널(21)은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세제 박스가 삽입되도록 하는 세제 박스 삽입홀(211)과, 대략 중앙부에 소정 크기로 절개되어 컨트롤 패널(7)에 연겨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투입구(212)와, 상측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7)에 형성되는 패널 후크(76)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 삽입홀(213a) 및 상기 패널 후크(76)가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후크 걸림단(213)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어퍼 패널(21)은 상부 테두리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과, 상측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배면에 형성된 제 1 리브(516)가 삽입되기 위한 제 1 리브 삽입구(215)와, 제 2 리브(517)가 삽입되기 위한 제 2 리브 삽입구(21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의 단부에는 체결 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21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의 배면에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 돌출되는 어퍼 프 레임 체결보스(73)가 위치된다. 그리고, 체결 부재가 상기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과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을 관통하여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 보스(73)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어퍼 패널(21)의 하측 양 단부에는 캐비닛 커버(42)와의 체결을 위한 캐비닛 커버 체결홀(217)과, 어퍼 프레임(51)과의 체결을 위한 어퍼 프레임 체결홀(218)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홀(218)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닛 커버(42)에 형성되는 어퍼 프레임 체결홀(425)이 위치되고,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홀(425)의 전면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51)에 형성되는 캐비닛 커버 체결단(511)이 위치된다. 따라서,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어퍼 프레임(51)과 캐비닛 커버(42) 및 상기 어퍼 패널(21)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어퍼 패널(21)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후크 삽입홀(213a)에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기 패널 후크(76)가 삽입되고, 상기 패널 후크(76)의 상부면은 상기 후크 걸림단(213b)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7)이 상기 어퍼 패널(21)에 일단 결합되면 상기 패널 후크(76)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패널(21)의 상부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 1 리브 삽입구(215) 및 제 2 리브 삽입구(216)에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상부 배면에 돌출되는 제 1 리브(516) 및 제 2 리브(517)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어퍼 프레임(51)이 상기 어퍼 패널(21)에 결합되어 요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23)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로어 패널(22)은 하단부에 서포팅 리브(221)가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서포팅 리브(221)는 상기 로어 패널(22)의 일부분이 소정 크기로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팅 리브(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부 절곡면에 형성된 지지 슬롯(428c)에 끼워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캐비닛 커버의 하단부가 로어 패널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부는 상기 로어 패널(22)의 서포팅 리브(221)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세히, 상기 서포팅 리브(21)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므로, 상기 지지 슬롯(428c)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측부가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슬롯(428c)에 상기 서포팅 리브(221)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한 다음,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단부가 상기 캐비닛(2)의 어퍼 패널(21)에 밀착되도록 밀어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부 절곡면이 상기 서포팅 리브(221)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부 가이드 리브(428)가 상기 수직 상태로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아우터 커버의 상단부가 캐비닛 커버에 조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 커버(41)는 상부면이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부면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 다른 부분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으로 연장되는 어퍼 리브(416)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리브(416)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후방으로 부드럽게 만곡 또는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커버(41)를 상기 캐비닛 커버(42)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하단부를 약간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어퍼 리브(416)의 만곡된 부분이 상기 어퍼 리브 삽입홀(426)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41)를 내려서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어퍼 리브(416)가 상기 어퍼 리브 삽입홀(426)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세척 장치(1)의 전면부가 조립되는 순서에 대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단계>
먼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에 상기 아우터 커버(41)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부면에 형성된 어퍼 리브 삽입홀(426)에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리브(416)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어퍼 리브(416)가 상기 어퍼 리브 삽입홀(426)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8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커버(41)를 상기 캐비닛 커버(42) 상에 내려 놓은 다음,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에 돌출되는 센터 후크(417)가 캐비닛 커버(42)의 센터 후크 삽입홀(431)에 삽입되고,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 하단에 돌출된 로어 리브(418)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로어 리브 삽입홀(430)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배면에 돌출된 다수 개의 체결 보스(415)의 단부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전면에 함몰되는 상기 함몰부(422)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함몰부(422)의 후방에서 삽입하여 상기 체결 보스(415) 내부로 삽입되도록 조여준다.
<제 2 단계>
두번 째 단계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을 상기 프런트 패널(4)의 측면에 결합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414)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520)의 사이드 프레임 체결단 삽입홈(528)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의 프레임 리브(526)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41)의 프레임 리브 삽입홀(413)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의 프레임 후크(525)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프레임 후크 삽입홀(423)에 삽입되도록 한다.
<제 3 단계>
세번 째 단계로서, 상기 프런트 패널(4)의 의 측면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이 체결된 상태에서 하단부에 상기 로어 프레임(53)을 결합한다.
상세히, 상기 로어 프레임(53)의 상부면에 형성된 아우터 커버 안착부(532) 와 캐비닛 커버 안착부(531)에 각각 상기 아우터 커버(41)와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면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의 하단에 연장된 스탠딩 리브(527)가 상기 로어 프레임(53)의 스탠딩 리브 삽입홈(534)에 정확히 끼워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체결 부재를 상기 캐비닛 커버 안착부9531)에 형성된 볼팅홀(533)에 삽입하되, 로어 프레임(53)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에 형성된 볼팅홀(427)을 관통하도록 한다.
<제 4 단계>
네번 째 단계로서, 상기 3단계를 거치면서 조립된 프런트 패널(4)을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하단부가 상기 로어 패널(22)에 결합되도록 도 17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측부 배면이 상기 어퍼 패널(2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상부면이 상기 어퍼 패널(2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체결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닛 커버(42)가 상기 어퍼 패널(21)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 5 단계>
다섯번 째 단계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51)이 상기 캐비닛 커버(42)와 어퍼 패널(21) 및 사이드 프레임(52)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리브(515)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 리브 삽입홀(52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배면에 돌출되는 제 1 리브(516) 및 제 2 리브(517)가 상기 어퍼 패널(21)의 제 1 리브 삽입구(215) 및 제 2 리브 삽입구(216)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캐비닛 커버 체결단(511)에 형성된 체결홈(512)과 상기 캐비닛 커버(42)의 어퍼 프레임 체결홀(425)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홈(512)과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홀(425) 및 상기 어퍼 패널(21)에 형성된 어퍼 프레임 체결홀(218)을 관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어퍼 프레임(51)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51)에 돌출되는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이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 6 단계>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컨트롤 패널(7)이 상기 어퍼 프레임(51)의 내측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패널(7)의 하단에 형성된 아우터 커버 고정 리브(75)가 상기 아우터 커버(41)의 상부면에 형성된 리브 삽입홀(412)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7)을 소정의 힘으로 밀어서 상기 패널 후크(76)가 상기 어퍼 패널(21)의 후크 삽입홀(213a)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의 전면에 상기 컨트롤 패널(7)의 배면에 돌출되는 어퍼 프레임 체 결 보스(73)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 체결단(513)과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단(214a) 및 상기 어퍼 프레임 체결 보스(73)가 하나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에 의하여, 소비자가 세탁기, 건조기 또는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은 세척 장치의 전면부 컬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 공정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다른 구성 요소를 교체하지 않고도 전면부를 다양한 색상, 문양 또는 디자인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 장치의 이동 또는 조립 과정에서 외곽 테두리부의 일부가 파손되었을 경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그 파손된 테두리 부분만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수리의 용이 및 수리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세척 장치의 전면부 테두리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제품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세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프레스 공정과 강도 보강을 위한 포밍 공정에 의하여 캐비닛 커버가 제작되는 단계;
    도료에 의하여 침식이 되지 않는 도장용 ABS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여 아우터 커버가 사출 성형되는 단계;
    상기 아우터 커버의 전면에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도료가 분사되는 단계;
    상기 도료가 착색된 아우터 커버가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 시간동안 건조되는 단계;
    상기 캐비닛 커버의 전면에 상기 아우터 커버가 장착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용 ABS 수지는 GP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의 전면을 형성하는 금형의 표면은 도료가 균일하게 착색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면 사상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는 대략 60도 ~ 70도의 온도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는 대략 40분 정도의 시간동안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 및 상기 캐비닛 커버의 테두리부에 프린지 프레임이 장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커버가 캐비닛의 전면에 장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되는 도료에는 아크릴 베이스 수지(Acryle Base Resin)와, 광택을 내기 위한 알루미늄 분말이 포함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되는 도료에는 분사시 도료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이소프로필렌알콜이 포함되는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KR1020050035761A 2005-04-15 2005-04-28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KR10119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761A KR101193375B1 (ko) 2005-04-28 2005-04-28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CN2006800124243A CN101160429B (zh) 2005-04-15 2006-04-13 清洁设备以及用于该清洁设备的制造和装配方法
AU2006234732A AU2006234732B2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US11/918,369 US8984913B2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EP06757443.4A EP1871943B1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PCT/KR2006/001374 WO2006110006A1 (en) 2005-04-15 2006-04-13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JP2008506379A JP5091113B2 (ja) 2005-04-15 2006-04-13 洗浄装置と洗浄装置の作製方法及び組立方法
TW095113503A TWI347389B (en) 2005-04-15 2006-04-14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761A KR101193375B1 (ko) 2005-04-28 2005-04-28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986A true KR20060112986A (ko) 2006-11-02
KR101193375B1 KR101193375B1 (ko) 2012-10-19

Family

ID=3765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761A KR101193375B1 (ko) 2005-04-15 2005-04-28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7348A2 (en) * 2007-03-06 2009-12-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ront cover for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6807B (en) 2000-09-16 2004-10-20 Notetry Ltd A laundry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7348A2 (en) * 2007-03-06 2009-12-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ront cover for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37348A4 (en) * 2007-03-06 2011-06-01 Lg Electronics Inc WASH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RONT SIDE OF A WASH TREATMENT DEVICE
US8690268B2 (en) 2007-03-06 2014-04-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375B1 (ko)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1113B2 (ja) 洗浄装置と洗浄装置の作製方法及び組立方法
KR101163227B1 (ko) 건조기
CN101160429B (zh) 清洁设备以及用于该清洁设备的制造和装配方法
KR100664488B1 (ko) 드럼세탁기
RU2355836C1 (ru)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борки
US692067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undry appliance
KR101268823B1 (ko) 식기 세척기
KR101162206B1 (ko) 드럼세탁기의 전면 패널과 사이드 데코의 결합 구조
KR101193375B1 (ko) 세척 장치의 전면부 제작 방법
KR101207870B1 (ko) 드럼 세탁기
KR200402980Y1 (ko) 세척 장치의 전면부 체결 구조
KR200395273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101207868B1 (ko) 세척 장치
CN101086131B (zh) 烘干机
KR101193283B1 (ko) 세척 장치의 전면부 체결 방법
KR101278104B1 (ko) 세척 장치의 전면부 체결 구조
KR200395278Y1 (ko) 드럼 세탁기의 전면부 체결 구조
KR200395277Y1 (ko) 의류 관리 장치
US7578566B2 (en) Ribbed escutcheon for appliance door assembly
KR100751138B1 (ko)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KR101131322B1 (ko)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KR100949172B1 (ko) 세탁기 커버의 힌지구조 및 그 금형
JP2012024452A (ja) 食器洗浄機
KR20050114347A (ko)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