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627A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627A
KR20060112627A KR1020050034043A KR20050034043A KR20060112627A KR 20060112627 A KR20060112627 A KR 20060112627A KR 1020050034043 A KR1020050034043 A KR 1020050034043A KR 20050034043 A KR20050034043 A KR 20050034043A KR 20060112627 A KR20060112627 A KR 2006011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unit
product
product cod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470B1 (ko
Inventor
황영헌
최경철
양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지
Priority to KR102005003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4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에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 출력하는 방송 재생부와,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RF 송출하는 송출부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상기 송출부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상품, RF.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구현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20 : 방송 송출 시스템
30 :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0 : 결제 시스템
100 : 방송 수신부 200 : 방송 재생부
210 : 디멀티플렉서 220 : AC-3 디코더
230 : MPEG-2 디코더 240 : 디스플레이 처리부
300 : 상품 코드 추출부 400 : 송출부
500 : 제어부 600 : 무선 신호 수신부
700 : EPG 정보 추출부 800 : EPG 저장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에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신호 형태가 아닌 디지털 신호 형태로 텔레비전 신호를 압축하여 방송하는 방식이다. 디지털 방송 방식은 영상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인코딩하고, 또한 시스템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를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규격에 맞추어 인코딩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TS로부터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또한 영상/음성 정보 이외의 데이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통해 시청자에게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알려주며,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저장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방송이란 영상과 음향 신호에 부가적인 데이터를 추가하여 보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방송 서비스는 상향채널의 사용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채널(return channel or back channel)이란 수신기로부터 방송국으로 연결되는 채널로서 완전한 인터액티브 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필수요소이다.
우선 상향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데이타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 이 없고 다만 디지털 방송 수신기내의 메모리에 의해서 수신기와 상호작용을 하는 서비스이다. 즉 방송국의 데이터 서버에서 전송해 주는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시청하는 서비스로서, EPG, 디지털 텍스트 서비스, 프로그램과 연관된 간단한 정보, 일기예보, 증권정보 등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드라마 방송 중 PPL(Product Placement) 상품이 나오면, 시청자는 리모콘 조작을 통해 원하는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예를 들어, 가격, 사이즈 등)를 요청할 수 있는데, 이 때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를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PPL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부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향채널을 사용하는 데이터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을 하여 시청자가 방송 내용과 연관된 상세한 정보를 찾거나 퀴즈와 같이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이다. 상향채널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광고방송시에 보다 자세한 내용을 광고주의 서버에 연결하여 정보를 얻고, 나아가 구매까지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마 방송 중 PPL(Product Placement) 상품이 나오면, 시청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상품에 대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부가 정보 이외에 더 많은 부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요청 신호가 상향채널을 통해서 방송국에 전달되고, 방송국에서는 해당 상품에 대한 부가정보를 회신해 준다. 결국, 상품 판매업자 측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통한 진보된 상품 마케팅 및 그에 따른 판매까지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 디지털 방송에 따른 쌍방향 통신이 지원된다 할지라도, 시청자 입장에서는 PPL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 확인 및 구매의 까다로움이라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 방송 중 PPL 상품이 제공되면, 방송사 측에서는 드라마의 영상/음성 정보 뿐만 아니라 그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를 함께 송출하게 되는데, 이 때 많은 양의 데이타를 모두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상품의 부가 정보는 필수적인 정보만 보내지게 된다. 시청자가 상품에 대해 부가정보를 요청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우선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부가정보(예를 들어 상품에 대한 가격, 사이즈 등)를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나 시청자가 상품에 대한 더 많은 부가정보를 원하게 되면, 방송사 측과 통신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시청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지시되는대로 리모콘의 버튼을 많이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즉, 상품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까다로운 것이다. 또한 상품 구매시에도 예를 들어 ARS와 같은 별도의 행위를 하여야 하며, 또 보안상 안전하지 않은 구매 방식에 의해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우려를 낳게 한다. 또한 방송사 측에서는 상품에 대한 많은 정보를 구축하고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도출된 것으로, 방송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을 통한 상품의 부가 정보 획득 및 상품 구매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그로부터 상품 코드를 추출한 후 RF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시청자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RF 송출된 상품 코드를 수신하게 되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한 번의 버튼 조작만으로 그 상품 코드를 해당 서버에 전송함에 의해 용이하게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신속하게 구매로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인증이 강화된 휴대폰을 이용 상품 결제를 하므로 안전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방송 방식이 ATSC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구현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품 코드를 생성하고,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를 DB화한다. 다음으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SO, DMB 사업자 등과 같은 방송 중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방송 송출 시스템(20)으로 상품 코드를 전송한다. 일 예에 따라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이 프로그램 제공업자(PP)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 상품 코드는 그 상품이 포함되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연동형 데이터 방송을 통해 방송 송출 시스템(20)에 제공된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이 EPG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 EPG 사업자는 PP 및/또는 상품 판매업자로부터 상품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 품 코드를 생성하여 방송 송출 시스템(2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방송 중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다.
방송 송출 시스템(20)은 알려진 바와 같이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방송 신호는 방송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부가 데이터도 포함하므로 상품 코드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데이터 방송 자체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는 방송 신호로부터 상품 코드를 추출하고, 시청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리모콘 조작을 통해 방송 화면에 표시되는 상품을 선택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를 RF 송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에서 RF 송출된 상품 코드를 수신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상품 부가 정보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상품 코드를 전송한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수신한 상품 코드에 해당하는 상품 부가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말기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원하는 경우에는 결제 시스템(40)으로 상품 코드를 전송하고, 통상의 절차에 따른 상품 구매 처리가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100)와, 방송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 출력하는 방송 재생부(200)와, 방송 신호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300)와, 상품 코드 추출부(300)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 드를 RF 송출하는 송출부(400)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품 코드 추출부(300)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송출부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방송 수신부(100)는 튜너 및 디모듈레이터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1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채널의 싱크(Sync)를 맞춘 후, 변조 방식에 따른 디모듈레이터(demoulator)의 복조를 통해 실제 비트 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을 얻어낸다.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변조 방식이 정해질 수 있는데, ATSC 방식의 경우에는 8-VSB 변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8-VSB 방식의 디모듈레이터 적용을 통해 튜닝된 방송 신호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프림(TS)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디멀티플렉서(DEMUX)(210)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비디오 비트스트림, 오디오 비트스트림, 서비스 정보 데이터 섹션으로 분리하는 역 다중화를 수행한다. 디멀티플렉서(210)에서 역 다중화된 비디오 비트스트림(MPEG-2 bitstream) 및 오디오 비트스트림(AC-3 bitstream)은 각각 MPEG-2 디코더(220) 및 AC-3 디코더(230)로 입력된다. 이는 디지털 방송에 필요한 TS 생성에 있어서, 영상은 MPEG-2(ISO/IEC 13818-1)이고, 음성은 AC3(돌비 디지털 사운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MPEG-2 디코더(220)에서 디코딩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 처리부(240)를 통해 화면 표시 방식에 맞게 변환된 후 영상 신호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처리부(240)는 바람직하게 NTSC 인코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AC-3 디코더(230)는 오디오 비트스트림(AC-3 bitstream)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 력한다.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는 표시장치인 TV 수상기로 제공된다.
상품 코드 추출부(300)는 디멀티플렉서(210)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된 서비스 정보 데이터 섹션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서비스 정보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PSI, PSIP, 상품 코드로 구분하여 상품 코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디멀티플렉서(210)로부터 역다중화되어 분리 출력되는 서비스 정보 데이터를 구성하는 패킷의 헤더는 서비스 정보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는 유형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품 코드 추출부(300)는 헤더 정보 확인을 통해 상품 코드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품 코드 추출부(300)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송출부(400)로 바로 입력되거나, 저장 후 이벤트 발생에 따라 송출부(400)로 입력될 수도 있다. 송출부(400)는 상품 코드를 RF 방식에 맞게 송출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RFID 방식의 스펙을 고려하여 그에 맞게 상품 코드를 RF 송출한다.
일 예에 따라 방송 송출 시스템 측에서 방송 신호를 송출할 때 방송 스트림 중 상품이 포함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해당 상품 코드를 동기화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0)는 상품 코드 추출부(300)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가 해당 방송 영상 화면 출력에 맞게 송출부(400)로 입력되어 RF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방송 화면 상에는 상품 코드가 RF 송출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 같은 정보는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품 코드는 2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0)는 이벤트 발생시 상품 코드 추출부(300)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송출부(400)로 출력 제어한다. 그리고 이벤트란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재생부(200)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 재생시 그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의 RF 송출 명령이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방송 재생부(200)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 재생시에 대한 정보 획득은 방송 신호에 포함된 상품 페이지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페이지 정보란 방송 스트림 중 상품이 포함된 방송 영상 화면을 말한다.
그리고 RF 송출 명령은 리모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는 무선 신호 수신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수신부(600)는 원격조정장치인 리모콘 혹은 리모콘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방사되는 원격조정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하여 준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RFID 방식의 스펙을 고려하여 송출부(400)에서 RF 송출된 상품 코드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 구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상품 코드에 대한 상품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에 따라 상품 코드는 상품 ID, 상품명, 상품 부가 정보 획득을 위한 URL 및 상품 구매를 위한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품명을 디스플레이하고, 2 이상의 상품 코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품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상품 코드는 단지 상품 ID만일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 및 결제 시스템(40)에 대한 URL은 사전에 지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기 키 조작에 따른 상품 ID 선택에 따라 해당 시스템으로 상품 ID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부가 정보 요청을 위한 키 조작을 하면(바람직하게 지정된 단일 키 누름),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URL을 통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고 선택된 상품 ID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여 부가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수신한 상품 ID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 예를 들어 상품이 의상인 경우 가격, 사이즈, 오프라인 매장정보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위한 키 조작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URL을 통해 결제 시스템(40)에 접속하고 선택된 상품 ID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여 상품 구매에 필요한 결제를 요청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금융 모바일 칩이 내장되어 안전한 온라인 결제를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100)와, 방송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 출력하는 방송 재생부(200)와, 방송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EPG 정보를 추출하는 EPG 정보 추출부(700)와, EPG 정보 추출부(700)에 의해 추출된 EPG 정보를 저장하는 EPG 저장부(800)와, 상품 코드를 RF 송출하는 송출부(400)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이벤트 발생시 EPG 정보에 포함된 해당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송출부(400)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EPG 정보가 상품과 관련한 해당 프로그램 정보에 상품 코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가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EPG 사업자가 각 프로그램 제공업자(PP) 및/또는 상품 판매업자들로부터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품 코드를 부여하고,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를 DB화한다. 또한 상품 코드를 해당 프로그램 정보에 추가하여 EPG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EPG 서버는 SO, DMB 사업자 등에 의해 운영되는 방송 송출 시스템에 EPG 정보를 제공한다. 방송 송출 시스템은 EPG 정보 및 PP들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한다.
방송 수신부(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출력하고, 디멀티플렉서(DEMUX)(210)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비디오 비트스트림, 오디오 비트스트림, 그리고 PSI, PSIP 섹션으로 분리하는 역 다중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EPG 정보 추출부(700)는 디멀티플렉서(DEMUX)(210)로부터 역 다중화된 PSI, PSIP 섹션으로부터 EPG 정보를 추출한다.
참고로 PSI는 MPEG에 포함된 정보로서 프로그램 사양 정보, 즉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어느 프로그램을 골라 어느 패킷을 취하여 어떻게 복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PSIP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시스템 정보를 하나로 정의해 놓은 것으로, 지상파 및 케이블 디지털 방송을 위한 ATSC(Advanced System Television Committee)의 규격(standard)으로서, MPEG-2의 방법으로 인코딩된 메시지들을 파싱(parsing)하여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정의해 놓은 것이다.
EPG 정보 추출부(700)는 이 같은 PSI 및 PSIP로부터 EPG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EPG 정보는 EPG 저장부(800)에 저장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EPG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즉 ATSC의 PSIP 분석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500)는 이벤트 발생시 EPG 저장부(800)에 저장된 EPG 정보 중 해당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송출부(400)로 출력 제어한다. 송출부(400)는 상품 코드를 RF 방식에 맞게 송출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 RFID 방식의 스펙을 고려하여 그에 맞게 상품 코드를 RF 송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는 방송 재생부(200)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 재생중인 것을 말하며,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500)는 EPG 저장부(800)에 저장된 EPG 정보 중 재생중인 방송 스트림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송출부(400)로 출력 제어한다.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는 방송 재생부(200)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 재생시 그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의 RF 송출 명령이며,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500)는 EPG 저장부(800)에 저장된 EPG 정보 중 재생중인 방송 스트림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송출부(400)로 출력 제어한다. 여기서 RF 송출 명령은 리모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30)는 무선 신호 수신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중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RFID 방식을 응용하여 상품 코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RF 송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신속하게 해당 상품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구매로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구매시 나날이 인증 기술이 강화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를 수행하게 되므로, 안전한 상품 구매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향후 홈쇼핑 채널 등의 경우 종래 ARS 방식의 불안전한 결제 방식(신용카드 정보 제공 등) 혹은 ARS 주문 후 무통장 입금 방식 등에서 탈피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도 안전한 결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방송 사업자 입장에서 상품에 대한 많은 정보를 구축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 출력하는 방송 재생부와;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추출하는 상품 코드 추출부와;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RF 송출하는 송출부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상기 송출부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
    이벤트 발생시 상기 상품 코드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상품 코드를 상기 송출부로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
    상기 방송 재생부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 재생시 그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의 RF 송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리모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RF 송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5.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 출력하는 방송 재생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EPG 정보를 추출하는 EPG 정보 추출부와;
    상기 EPG 정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EPG 정보를 저장하는 EPG 저장부와;
    상품 코드를 RF 송출하는 송출부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이벤트 발생시 상기 EPG 정보에 포함된 해당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송출부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방송 재생부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을 재생중인 것이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EPG 저장부에 저장된 EPG 정보 중 해당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송출부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방송 재생부에서 상품이 관련된 방송 스트림 재생시 그 상품에 대한 상품 코드의 RF 송출 명령이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EPG 저장부에 저장된 EPG 정보 중 해당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상품 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송출부로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리모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RF 송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20050034043A 2005-04-25 2005-04-25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071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043A KR100715470B1 (ko) 2005-04-25 2005-04-25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043A KR100715470B1 (ko) 2005-04-25 2005-04-25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627A true KR20060112627A (ko) 2006-11-01
KR100715470B1 KR100715470B1 (ko) 2007-05-07

Family

ID=3762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043A KR100715470B1 (ko) 2005-04-25 2005-04-25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285A1 (fr) * 2008-12-17 2010-06-23 Gemalto SA Système de transmission dynamique d'une information liée à un programme télévisé entre deux terminaux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116A (ko) * 2000-07-11 2002-01-19 임창희 지하철 방송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30052648A (ko) * 2001-12-21 200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방송의 컨텐츠를네비게이션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285A1 (fr) * 2008-12-17 2010-06-23 Gemalto SA Système de transmission dynamique d'une information liée à un programme télévisé entre deux terminau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470B1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7650B2 (en) Contents receiving system and client
KR100902437B1 (ko) 디지털 방송 텔레비전 시스템용 포털 및 통신 시스템용 포털 생성방법
KR101706832B1 (ko) 부가 서비스 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9992527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150036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102677A1 (en) Video receiver and display output method
US68069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data broadcast system
US20130042272A1 (en) Consumer purchases via media content receiver
KR20000012813A (ko) 방송통신망을 이용하는 주문처리방법, 통신주문장치 및주문처리장치
JP2010141781A (ja) 送信装置、受信装置、番組予約システムおよび番組予約方法
KR10071547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US8677444B2 (en) Set-top box for receiving radio and television signals
KR10219956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24708B1 (ko) 방송 컨텐츠 운용방법 및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아이피 티비
US20100125869A1 (en) Customer voting on timeslots for shows
KR20060101831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유료 시청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40090278A (ko) 복수의 튜너를 내장한 휴대형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와 연동하는 방송재생장치, 이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시스템
KR100502011B1 (ko) Tv 플라자 기능이 부가된 셋톱박스 및 셋톱박스에 tv플라자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
KR100538146B1 (ko) 데이터 방송의 프로토콜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120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EP1387580A1 (en) Teleweb apparatus
JP2011114374A (ja) 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
KR10159906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20100109261A (ko) 멀티디코더 기반 채널 서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5837A (ko) 전자프로그램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