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456A -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456A
KR20060112456A KR1020050034929A KR20050034929A KR20060112456A KR 20060112456 A KR20060112456 A KR 20060112456A KR 1020050034929 A KR1020050034929 A KR 1020050034929A KR 20050034929 A KR20050034929 A KR 20050034929A KR 20060112456 A KR20060112456 A KR 2006011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ultimedia content
content
alternative multimedi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374B1 (ko
Inventor
최우용
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37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의 영상 대신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측 사용자에게 보내 주고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 대신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받기 위한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며, 화상 통화 중에 상대방에게 사용자측 영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영상 노출로 인한 화상 통화 부담감을 줄일 수 있어서 화상 통화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사용자측 영상과 상대방측 영상 대신에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서로 공유할 수 있어서 사용자간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화상 통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Description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alternative multimedia contents during communication in S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어플리케이션 서버 20 : 콘텐츠 서버
30 : 미디어 서버 50 : 단말기 A
60 : 단말기 B
본 발명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의 영상 대신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측 사용자에게 보내 주고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 대신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받기 위한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통신망(PLMN), 공중 전화망(PSTN)에서의 음성 통화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간에 음성으로 단순한 정보만을 주고 받는 것에 비해,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유무선 인터넷망(IP망 또는 패킷 데이터망)에서의 화상 통화 서비스(예; 회의, 전화, 음성 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에서는 사용자간에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위와 같은 유무선 인터넷망에서의 화상 통화 서비스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MMUSIC WG에서 제정한 VOIP Protocol로서, 참가자들간의 세션들을 생성/수정/종료 절차를 명시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상 통화 서비스에서는 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즉 사용자측 영상(예;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댁내 모습 등)이 상대측 사용자에게 보여지기 때문에 타인에게 보여 주기 싫은 영상까지도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가 화상 통화로 인해 사생활이 보호되지 못하며, 화상 통화에 부담을 느껴 서비스 사용을 꺼리고 있는 형편이다.
더군다나,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로 의사 소통을 하는 점을 고려컨대, 상대측 사용자에게 웃음을 주고 싶은 경우, 특별한 영상을 보여 주고 싶은 경우, 사랑 고백을 하는 경우, 상대측 사용자의 신상(얼굴)을 익히 알고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천편 일률적인 자신의 영상과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 대신에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서로 공유하여서 더욱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의 영상 대신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측 사용자에게 보내 주고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 대신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받기 위한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A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를 상기 단말기 A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와 공유하는 콘텐츠 서버;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고,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와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를 각각 문의하여 해당 콘텐츠 정보를 각각 확인하고, 이 확인한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고, 이 통보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단말 정보를 응답받으면 상기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고, 상기 단말기 A의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B의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각 단말기에 적합한 각각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해서 각 단말기와의 각각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해당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라고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 및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및 단말기 B에 적합한 콘텐츠를 결정해 둔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콘텐츠 전송 개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 A와 신규 세션을 성립시켜 단말기 A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A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B와 신규 세션을 성립시켜 단말기 B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와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를 각각 문의하여 해당 콘텐츠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한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고, 이 통보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단말 정보를 응답받으면 상기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단말기 B로부터 수신받은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A와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단말기 A로 전송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결정한 단말기 B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B와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단말기 B로 전송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기간의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SIP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SIP 시스템에는 단말기간의 호를 처리하는 SIP 교환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라우팅 정보) 등을 등록/제공하는 위치 서버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구비되어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화상 통신 중인 단말기간에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호 처리(단말기간의 메시지 중계, 서비스 인증 등)을 수행하는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SIP Application Server, 이하, "어플리케이션 서 버"라 함)(10), 가입자 정보(단말기 정보, 서비스 가입 여부 등)이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DB(11), 사용자에게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메뉴 등을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20),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DB(21), 일측의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화상 통신 중인 모든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존의 화상 통화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로는 이동통신 단말기(40), IP 전화기(41), 컴퓨터(42), 노트북(43), PDA(44)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사양 및 지원 스펙(spec)으로는 인터넷 접속 기능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장/재생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 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또는 이어폰 또는 송수화기 또는 헤드셋 등이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 바람직하게는 미디어 서버(30)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수신)받는 단말기는 다중 세션(multi-session) 처리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예; 화상 통신 중인 두 단말기)는 상대측 단말기와 기 성립되었던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상대측 사용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다가 미디어 서버와 신규 세션이 성립되어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으면,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신규 세션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화면 처리 기 능 또는 세션 처리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기에서는 화상 통신 중에 신규 세션이 성립되어 미디어 서버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으면 상대측 단말기 사용자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다가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해야 된다. 이에, 화상 통화 중인 사용자들이 각각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다가 상대방의 얼굴이 사라지면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면서 화상 통화를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에서는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만을 보여주면 되기 때문에,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있던 윈도우(window)를 비활성화시키고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되는 윈도우만을 활성화시키는 방식 또는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폐기시키고 신규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통과시켜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방식 또는 화상 통화 세션을 비활성화(여기서, 비활성화 된 세션은 종료된 것이 아니라 세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임)시키고 신규 세션만을 활성화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기에서는 각 세션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각각의 데이터(상대측 사용자 영상,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화면내-화면 기능(PIP; Picture In Picture), 화면 분할 기능 또는 다중 윈도우(window) 등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면 처리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대체된 것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IP 시스템에 의해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단말기의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업체[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서버(20)]가 보유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의 영상 대신에 상대측의 사용자에게 위 멀티미디어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일측의 사용자도 상대측 사용자의 영상 대신에 자신이 선택한 위 멀티미디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사용되는 미디어 종류로는 동영상, 사진,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모티콘, 배경화면, 아바타, 플래시 등과 같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측 사용자와 자신에게 제공받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서비스 가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SIP 시스템[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 운용하는 웹(왑) 사이트, 고객 센터 등을 통하여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자신의 단말기를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여 콘텐츠 리스트 중 특정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의 가입자 정보 공유(가입자 DB(11)의 가입자/단말 정보 공유)를 통해 콘텐츠 서버(20)에서 서비스 가입 여부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측 단말기와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 해 달라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 요청할 때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 서비스 가입 여부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SIP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요청 사항을 SIP 교환기에서 최초로 받기 때문에 단말기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은 SIP 교환기에서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고, SIP 교환기가 단말기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 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라우팅시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콘텐츠 DB(21)에 각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에게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각종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파일 이름, 종류, 상세 정보 등을 확인하여 상대측 사용자에게 보내고 싶은[자신도 받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사용자가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의 연동을 통해 가입자 DB(11)의 가입자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가입자 정보 복사본 저장 등).
그리고,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사용자에게 콘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단말기로 콘텐츠의 실제 데이터가 아닌 콘텐츠 아이디(CID: Contents ID)를 전송하는데,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이 미디어 서버(30)에서 상대측 사용자의 단말기 및 위 사용자의 단말기로 각각 전송되어야 되므로, 콘텐츠 DB(21)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모두가 미디어 서버(30)에 복사본 형태 등으로 저장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콘텐츠 선택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미디어 서버(30)로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보내어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서버(20)를 구비하지 않고서 미디어 서버(30)에 위 콘텐츠 서버(20)의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화상 통화 서비스 사업자 외에 콘텐츠 제공 사업자(CP; Contents Provider)가 여럿 존재하며, 각 콘텐츠 제공 사업자별로 특화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미디어 서버(30)에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의 본연 기능이 구현되고, 각 콘텐츠 서버(20)에서는 사용자에게 콘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30)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디어 서버(30)에서 각 콘텐츠 제공 사업자별로 제공받은 여러 콘텐츠가 식별될 수 있도록 각 콘텐츠마다 고유한 아이디가 사전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상기 콘텐츠 서버(20)는 위와 같이 사용자의 콘텐츠 선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단말기로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하는데, 콘텐츠 서버(20)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아이디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보내서 이후에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요청이 있을 것임을 알려 해당 호 처리를 해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 이 때에 상대측 사용자의 단말기 및 위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내지는 콘텐츠가 위의 콘텐츠 아이디에 해당되는 것이라는 것을 사전에 통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에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요청을 할 때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콘텐츠 아이디를 보내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미디어 서버(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텐츠 서버(20)와의 연동(데이터 공유)를 통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부터 콘텐츠 정보 문의를 받으면 해당 콘텐츠의 속성(예; 포맷 정보, 재생 코덱 등)을 리턴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이 사용자의 단말기 및 이 사용자와 화상 통화 중인 상대측 사용자의 단말기로 각각 전송되어야 되므로, 각 단말기의 사양 등을 고려하여 추후 미디어 서버(30)에서 해당 단말기에 재생 가능한 콘텐츠 전송이 이루어져야 된다.
특히, 상기 미디어 서버(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의 명령에 따라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될 각 단말기와 각각의 신규 세션을 성립하여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각 전송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즉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두 단말기 중 단말기 A를 도면 부호 "50", 단말기 B를 도면 부호 "60"으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는 하나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단말기들이 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예; 화상 회의 등).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한편, SIP 메시지, 예를 들어 "인바이트 메 시지[INVITE(sdp #1)]"의 의미는 인바이트 메시지의 바디(body)에 "#1"이라고 하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정보[즉, 단말기 A(50)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정보(타입)]가 삽입된 형태를 의미하며, "sdp #2"는 단말기 B(60)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정보를 의미한다. 즉, 괄호()안에 표기된 용어는 메시지의 바디, 헤더 등에 삽입되는 세션 정보, 미디어 정보, 명령어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인바이트 메시지란 단말기간에 세션을 생성하고자 할 때에 세션 협상에 사용되는 메시지이며, 바이 메시지[BYE]란 단말기간에 성립된 세션을 종료할 때에 세션 협상에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먼저, SIP 시스템에 의해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한다(200). 여기서, 사용자들은 단말기(50, 60)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자신의 영상 또는 자신측 주변 영상 등을 상대방에게 보여주면서 마이크, 스피커 등을 통하여 화상 통화를 한다. 이 때, 사용자간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등에 실려 송수신된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로의 화상 통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SIP 시스템으로 자신의 미디어 정보[단말기 A(50)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1)]를 전송하면, SIP 시스템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1)]를 단말기 B(60)로 중계하여 단말기 A(50)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그에 따라, 단말기 B(60)에서는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로컬 링을 울려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왔음을 알리고서 SIP 시스템으로 자신의 sdp 정보(미디어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sdp #2)]를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B(60)에서는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로컬 링을 울리지 않고 이후에 PRACK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 송수신을 하고 나서 로컬 링을 울릴 수도 있다. 여기서, PRACK 메시지는 SIP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신뢰성 있는 전송에 대한 임시 응답으로 사용되는 메시지이다(provisional responses acknowlegde). 그러면, SIP 시스템은 단말기 B(60)로부터 수신받은 sdp 정보(sdp #2)가 삽입된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sdp #2)]를 단말기 A(50)로 중계하고, 그에 따라, 화상 통화 세션 성립을 위한 전처리 과정이 준비됐음을 알리는 의미로 SIP 시스템의 중계에 의해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PRACK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단말기 B(60)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게 되면 통화 응답 사실에 대응되는 200 OK 메시지 및 ACK 메시지가 상호 송수신되고 나서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다.
이후에,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본 발명에서는 화상 통화 전화를 건 사용자 및 화상 통화 전화를 받은 사용자 모두 본 발명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방 및 자신에게 보낼 수 있으며, 이하 단말기 A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여 상대방에게 보내고 자신도 받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기 A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상대방에게 보여주지 않고 상대방의 얼굴도 보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등에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기능을 통하여 콘텐츠 서버(20)에 접속하고 나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메뉴로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콘텐츠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한다(201).
이 때, 콘텐츠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의 가입자 정보 공유(가입자 DB(11)의 가입자/단말 정보 복사본 저장 등)을 통해 단말기 A 사용자가 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 A(50)에서는 다중 세션 처리 기능을 통하여 기존에 성립되어 있던 화상 통화 세션과는 별개의 세션을 통하여 콘텐츠 서버(20)로 접속하며, 이 때에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의 기존 화상 통화 세션이 종료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상기 콘텐츠 서버(20)가 단말기 A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를 단말기 A(50)로 전송한다(202). 여기서, 콘텐츠 서버(20)가 콘텐츠 아이디를 단말기 A(50)로 전송하는 것은 단말기 A(50)에게 이 콘텐츠 아이디를 파라미터로 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게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보내라고 하는 것이다.
특히,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미디어 서버(60)에서 단말기 B(60)로 전송되고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미디어 서버(60)에서 단말기 A(50)로 전송되므로, 콘텐츠 서버(20)는 단말기 A(50)로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한 시점에 미디어 서버(30)로 콘텐츠 아이디에 상응하는 실질적인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미디어 서버(30)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202a). 다른 예로, 콘텐츠 서버(20)와 미디어 서버(30)간에 콘텐츠 아이디 및 콘텐츠 데이터를 사전에 공유하여 각 DB에 미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한편, 상기 "202" 과정과 같이 콘텐츠 서버(20)가 사용자의 콘텐츠 선택이 이루어지면 단말기 A(50)로 콘텐츠 아이디를 전송할 수도 있지만, 다른 예로 콘텐츠 서버(20)가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아이디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보내서 이후에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A(50)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이 있을 것임을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게 알려 해당 호 처리를 해 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 A(50)에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할 때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콘텐츠 아이디를 보내지 않아도 된다.
이후, 단말기 A(50)가 콘텐츠 서버(20)로부터 수신받은 콘텐츠 아이디를 근거로 하여 위의 콘텐츠 아이디에 상응하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신[단말기 A(50)] 및 단말기 B(60)로 전송해 달라는 의미로, 사용자가 선택했던 대체 콘텐츠 아이디(CID)를 인바이트 메시지[INVITE(CID)]에 실어서 SIP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신규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203).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은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받은 인바이트 메시지의 콘텐츠 아이디를 보고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호 처리 시도로 판별하여 상기 단말기 A(50)로부터의 호 처리 요청을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라우팅시켜 해당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SIP 시스템에서 단말기 A(50)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자신을 포함해 화상 통화 중인 모든 단말기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단말기 A(50)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 츠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고, 서비스 가입 여부 인증 결과로 인증 성공하면(204),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전처리를 위한 본 발명의 서비스 전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먼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A 사용자가 선택했던 콘텐츠 아이디[위에서 전술한 두 가지의 예와 같이 콘텐츠 아이디는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되거나 콘텐츠 서버(20)로부터 수신될 수 있음]를 근거로 하여 미디어 서버(30)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아이디에 상응하는 콘텐츠 사항(대체 미디어 정보, 예; 포맷 정보와 재생 코덱 등)에 대해 문의한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단말기 A(50) 및 단말기 B(60)로 각각 전송되어야 되므로, 각 단말기의 재생 가능 여부가 고려될 수 있도록 각 단말기로 전송할 각각의 콘텐츠 사항에 대해 문의해야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A(50)의 단말 정보를 익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다시 말하면 서비스 가입 여부 인증 수행 시 가입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을 통하여 단말 정보를 획득했었거나 단말기 A(50)의 화상 통화 요청 호 처리 수행 시 단말 정보를 획득했었기 때문에 단말기 A(50)의 sdp #1에 대해서 이미 인지한 상태이다.], 단말기 A 사용자가 선택했던 콘텐츠 아이디(CID)와 단말기 A(50)의 단말 정보(미디어 정보, sdp #1)를 인바이트 메시지[INVITE(CID, sdp #1)]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하여 위의 콘텐츠 아이디에 상응하는 콘텐츠 중 단말기 A(50)에 적합한 콘텐츠 사항(포맷 정보와 재생 코덱 등과 같은 sdp 정보)에 대해서 문의한다(205).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의 단말기 A(50)에 적합한 콘 텐츠 문의는 미디어 서버(30)에게 단말기 A(50)로 전송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리 결정해 두라고 명령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그러면, 상기 미디어 서버(30)가 콘텐츠 아이디(CID) 및 단말기 A(50)의 단말 정보(sdp #1)를 함께 참조하여 단말기 A(50)에 적합한 콘텐츠의 속성(포맷 정보와 재생 코덱 등)과 관련 미디어 정보 등을 200 OK 메시지[200 OK(sdp MM1)]에 실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응답한다(206). 이 때에, 미디어 서버(30)는 단말기 A(50)의 단말 정보를 인지하게 되므로 단말기 A(50)로 전송할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해 둔다. 여기서 "MM1"은 Media Mask의 약자로 대체 영상 정보(미디어 정보) 중 단말기 A(50)(즉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요구한 단말기)로 전송될 멀티미디어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단말기 A(50)에 적합한 콘텐츠 사항을 정상적으로 수신했다는 의미로 ACK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한다(207).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B(60)의 단말 정보를 아직 인지하지 못했으므로, 단말기 A 사용자가 선택했던 콘텐츠 아이디(CID)를 인바이트 메시지[INVITE(CID)]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하여 위의 콘텐츠 아이디에 상응하는 콘텐츠 중 단말기 B(60)를 위한 콘텐츠 사항(포맷 정보와 재생 코덱 등과 같은 sdp 정보)에 대해서 문의한다(208).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의 단말기 B(60)를 위한 콘텐츠 문의는 미디어 서버(30)에게 단말기 B(60)로 전송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60)로 전송하여 단말기 B(60)에서 재생 가능한 지를 추후에 문의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미디어 서버(30)가 콘텐츠 아이디(CID)를 참조하여 단말기 B(60)를 위한 콘텐츠[단말기 B(60)에서 재생 가능할 것 같은 콘텐츠]의 속성(포맷 정보와 재생 코덱 등)과 관련 미디어 정보 등을 200 OK 메시지[200 OK(sdp MM2)]에 실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응답한다(209). 여기서 "MM2"는 Media Mask의 약자로 대체 영상 정보(미디어 정보) 중 단말기 B(60)(즉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요구한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로 전송될 멀티미디어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207" 과정과 같이 콘텐츠 사항을 정상적으로 수신[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미디어 서버(30)로 ACK 메시지를 전송해야 되겠으나, 아직까지는 단말기 B(60)로부터 단말기 B의 단말 정보를 획득하지 못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 미디어 서버(30)로 단말기 B로 전송될 멀티미디어 콘텐츠 결정 명령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200 OK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응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는 단말기 B(60)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209" 과정의 콘텐츠 사항 수신에 대한 ACK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할 때에 단말기 B(60)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해 두라고 명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는 상기 "205" 과정 및 상기 "208" 과정이 병렬적으로 이루어지며, 미디어 서버(30)에서도 상기 "206" 과정 및 상기 "209" 과정이 병렬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미디어 서버(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부터 요구받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서비스 오류가 발생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게 실패 사실로 응답하여 단말기 A(50)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실패 사실을 통보해 주도록 한다.
그런 후, 각 단말기로 전송될 콘텐츠 사항을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상기 "203" 과정에서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받은 인바이트 메시지를 단말기 B(60)로 중계하는 신규 세션 생성 요청 프로세스를 응용하여, 상기 "209" 과정에서 미디어 서버(30)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B(60)를 위한 콘텐츠 속성과 관련 미디어 정보(sdp MM2)를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2)]에 실어서 단말기(60)로 전송하여 신규 세션 생성 요청과 아울러 이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문의한다(210).
특히, 상기 "210"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 단말기 B(60)로 전송되는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에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될 예정임을 알리는 의미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기 B(60)에서는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를 통해 이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될 것임을 인지하고,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해야 될 지를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인지하여 해당 기능을 사전에 준비하게 된다.
즉, 단말기 B(60)에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 식별자를 수신받으면 세션 처리 기능 또는 화면 처리 기능 또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사전에 준비해 둔다. 예컨대, 추후에 단말기 A(50)와 기 성립되었던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상대측 사용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다가 미디어 서버(30)와 신규 세션이 성립되어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으면,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신규 세션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사전에 수행해 놓는다.
또한, SIP 기반의 일부 단말기에서는 현재 성립되어 있는 세션 이외의 추가 세션 설정 요구[신규 인바이트 메시지]를 받게 되면 현재 화상 통화 중임을 알리는 의미로 "486 Busy 응답"으로 추가 세션 설정 요구를 자동적으로 거부하는데, 위와 같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 식별자로 단말기에서 추가 세션 설정 요구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단말기 B(60)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을 할 때에 SIP의 B2BUA(Back-to-Back User Agent) 모드로 천이한 상태에서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받은 인바이트 트랜잭션과는 다른 다이얼로그(dialog)를 갖는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를 단말기 B(6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 B(60)가 SIP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신규 세션 생성 요청, 즉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받게 되면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의 중계에 의해 단말기 A(50)로 보내 주어야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A(50)가 신규 세션 생성을 요청했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디어 서버(30)와 단말기 B(60)간의 신규 세션 생성 요청임과 아울러 미디어 서버(30)와 자신[단말기 A(50)간의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이므로 단말기 B(60)의 180 링잉 메시지가 단말기 A(50)로 전송되지 않도록 해야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180 링잉 메시지 및 180 링잉 메시지 수신에 따른 로컬 링 처리와 톤 신호 출력 처리가 각 단말기(50, 60)에서 필요하며(211, 212),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B(60)에서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받았더라도 폐기시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180 링잉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 단말기 B(60)로부터 180 링잉 메시지를 수신받았더라도 이 180 링잉 메시지를 폐기시켜 단말기 A(50)로 중계하지 않는 방식 또는 단말기 A(50)에서 180 링잉 메시지를 수신받았더라도 폐기시켜 자체 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의 "211" 과정 및 "212" 과정은 이러한 방식이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 B(60)가 상기 "210" 과정의 신규 세션 생성 요청(콘텐츠 지원 여부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을 수용하겠다(그리고,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미디어 정보를 보내겠다)라는 의미로, 자신의 미디어 정보(sdp #2)를 200 OK 메시지[200 OK(sdp #2)]에 실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한다(213). 이 때, 단말기 B(6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부터 수신받은 콘텐츠 속성과 관련 미디어 정보를 파악하여 단말 정보{콘텐츠 지원 사항(콘텐츠 지원 포맷, 콘텐츠 지원 코덱), IP 주소, 포트번호 등}[Capability 정보]를 200 OK 메시지에 실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보내서 이러한 단말 정보를 통해 신규 세션 성립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SIP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 전송 결과로 단말기 B(60)로부터 수신받은 200 OK 메시지를 단말기 A(50)로 중계해야 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A(50)가 신규 세션 생성을 요청했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디어 서버(30)와 단말기 B(60)간에 신규 세션 성립 요청임과 아울러 미디어 서버(30)와 단말기 A(50)간에 신규 세션 성립 요청이므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상기 "206" 과정에서 확인한 단말기 A(50)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1)을 200 OK 메시지[200 OK(sdp MM1)]에 실어서 단말기 A(50)로 전송하여 신규 세션 수용 사실(단말기 B의 콘텐츠 수용 사실)을 단말기 A(50)에게 통보한다(214). 여기서, 200 OK 메시지로 단말기 A(50)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1)를 단말기 A(50)로 전송하는 것은, 단말기 A(50)에게 이러한 멀티미디어가 전송될 것이므로 사전 준비를 해 두라고 명령하는 것이다.
예컨대, 위에서 단말기 B(60)에서의 사전 준비 과정을 설명했던 바와 같이, 단말기 A(50)에서는 신규 세션 생성 요청에 대한 결과를 200 OK 메시지[200 OK(sdp MM1)]로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인지하고,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sdp MM1)를 어떻게 처리해야 될 지를 인지하여 해당 기능을 사전에 준비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A(50)에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60)와 자신[단말기 A(50)]로 전송해 달라고 요청했기에, 상기 200 OK 메시지[200 OK(sdp MM1)]에 별도의 서비스 식별자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즉, 단말기 A(50)에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 전처리 과정으로, 세 션 처리 기능 또는 화면 처리 기능 또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사전에 준비해 둔다. 예컨대, 추후에 단말기 B(60)와 기 성립되었던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상대측 사용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다가 미디어 서버(30)와 신규 세션이 성립되어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으면,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신규 세션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사전에 수행해 놓는다.
또한, 위의 단말기 B(60) 경우에서는 "486 Busy 응답"으로 추가 세션 설정 요구를 단말기 B(60)에서 자동적으로 거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식별자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했으나, 이러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자신에게도 보내 달라고 요구한 단말기가 단말기 A(50)이므로 이 단말기 A(50)로 서비스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상기 단말기 A(50)에서는 서비스 식별자를 수신받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486 Busy 응답"을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하지는 않는다.
그런 후, 상기 "213" 과정에서 단말기 B(60)로부터 수신받은 단말기 B의 미디어 정보(sdp #2)를 참조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B(60)의 단말 정보{콘텐츠 지원 사항(콘텐츠 지원 포맷, 콘텐츠 지원 코덱), IP 주소, 포트번호 등}[Capability 정보] 등을 ACK 메시지[ACK(sdp #2)]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하여 미디어 서버(30)에게 단말기 B(60)에 적합한(재생 가능한) 콘텐츠를 결정해 두도록 한다(215). 그에 따라, 미디어 서버(30)에서는 단말기 B(60)의 콘텐 츠 지원 사항 등을 참조하여 가장 적합한[단말기 B(60)에서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해 둔다.
한편, 상기 단말기 A(50)가 상기 "214" 과정에서 200 OK 메시지를 수신받아 신규 세션 생성 전처리 과정이 마쳐짐을 인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의 중계를 통하여 ACK 메시지를 단말기 B(60)로 전송한다(216, 217).
이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ACK 메시지의 중계를 통해 신규 세션 생성 협상 과정이 마무리됨을 인지하고서, 상기 "205" 과정에서 수신받은 단말기 A(50)의 정보를 통하여 결정해 둔 단말기 A(50)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A(50)로 전송하라는 의미로, 콘텐츠 전송 개시 명령을 INFO 메시지[INFO(play req)]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한다(218).
그러면, 상기 미디어 서버(30)가 콘텐츠 전송 개시 명령에 응답하고 나서(219), 단말기 A(50)와 신규 세션을 성립하고,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사전에 결정해 둔 단말기 A(50)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등을 사용하여 단말기 A(50)로 전송한다(220). 이에, 단말기 A(50)에서는 신규 세션을 통하여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으면 전술했던 바와 같은 세션 처리 기능 또는 화면 처리 기능 또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사용하여 상대측 사용자(단말기 B 사용자)의 영상이 화면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고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만이 화면에 보여지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기 A 사용자는 단말기 B 사용자 영상을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다가 이 영상이 사라지면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ACK 메시지의 중계를 통해 신규 세션 생성 협상 과정이 마무리됨을 인지하고서, 상기 "215" 과정에서 수신받은 단말기 B(60)의 정보를 통하여 결정해 둔 단말기 B(60)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60)로 전송하라는 의미로, 콘텐츠 전송 개시 명령을 INFO 메시지[INFO(play req)]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한다(221).
그러면, 상기 미디어 서버(30)가 콘텐츠 전송 개시 명령에 응답하고 나서(222), 단말기 B(60)와 신규 세션을 성립하고,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사전에 결정해 둔 단말기 B(60)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등을 사용하여 단말기 B(60)로 전송한다(223). 이에, 단말기 B(60)에서는 신규 세션을 통하여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받으면 전술했던 바와 같은 세션 처리 기능 또는 화면 처리 기능 또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사용하여 상대측 사용자(단말기 A 사용자)의 영상이 화면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고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만이 화면에 보여지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기 B 사용자는 단말기 A 사용자 영상을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다가 이 영상이 사라지면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서는 상기 "218" 과정 및 상기 "221" 과정이 병렬적으로 이루어지며, 미디어 서버(30)에서도 상기 "220" 과정 및 상기 "223" 과정이 병렬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기 A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 대신에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대 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 사용자에게 보여 줌과 아울러 자신(단말기 A 사용자)도 단말기 B 사용자의 영상 대신에 위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다가 원래 영상(단말기 A 사용자 영상 및 단말기 B 사용자 영상)을 서로 보여주면서 화상 통화를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A 사용자가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 사용자에게 보여 주고 자신도 위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다가 단말기 메뉴 등을 통하여 원래 영상 복귀 요구 항목(또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항목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단말기 A(50)가 사용자의 원래 영상 복귀 요구에 부응하여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의미로, 상기 "220" 과정에서 미디어 서버(30)와 단말기 A(50)간에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정보를 바이 메시지[BYE]에 실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한다(250). 여기서, 바이 메시지에 삽입되는 신규 세션 정보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미디어 서버(30)와 단말기 A(50)간의 신규 세션을 유니크(unique)하게 표현하는 콜-아이디(call-ID) 또는 비아-헤더의 브랜치(branch of via-header) 등과 같은 세션 정보가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화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화상 통화 세션 정보를 바이 메시지에 실어서 전송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A(50)의 대체 멀티미디어 전송 중지 요구를 인지하여 미디어 서버(30)에게 단말기 A(50) 및 단말기 B(60)로 각각 전송되고 있는 콘텐츠 전송 중지를 명령하게 된다. 이러한 콘텐츠 전송 중지 명 령도 병렬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A(50)로의 콘텐츠 전송 중지 명령을 바이 메시지[BYE(stop req)]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하여 단말기 A(50)로 제공되고 있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라고 명령한다(251).
그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30)가 단말기 A(50)로 제공하고 있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고서 위의 바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한다(252). 여기서도,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상기 "204" 과정처럼 단말기 A(50)로부터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 A(50)가 본 발명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단말기 B(60)로의 콘텐츠 전송 중지 명령을 바이 메시지[BYE(stop req)]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30)로 전송하여 단말기 B(60)로 제공되고 있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라고 명령한다(253).
그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30)가 단말기 B(60)로 제공하고 있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고서 위의 바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한다(254).
이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가 미디어 서버(30)에서의 콘텐츠 전송이 중지됨을 인지하고서[바람직하게는 상기 "254" 과정의 200 OK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기 B(60)로의 콘텐츠 전송이 중지됨을 인지하고서], 상기 "250" 과정에서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받은 바이 메시지(즉,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단말기 B(60)로 중계하여 신규 세션 종료를 요청함과 아울러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이 중지 되었음을 통보한다(255).
그러면, 상기 단말기 B(60)가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게 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200 OK]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의 중계를 통해 단말기 A(50)로 전송한다(256, 257). 이 때, 단말기 B(60)에서는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는 시점에 미디어 서버(30)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이 중지되었으므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중지하고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에 사용됐던 화면을 닫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디어 서버(30)간에 성립되었던 신규 세션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 A(50)에서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 요청한 시점에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중지하고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에 사용됐던 화면을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A(50)에서는 상기 "250" 과정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 요청한 시점에 미디어 서버(30)간의 신규 세션을 종료시키거나 상기 "257" 과정의 신규 세션 종료 요청에 대한 단말기 B(60)의 200 OK 메시지를 받은 시점에 미디어 서버(30)간의 신규 세션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이에,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원래 영상 전송을 위해 기 성립되어 있던 원래의 화상 통화 세션이 복귀되고, 이 화상 통화 세션 상에서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로 단말기 A 사용자측 영상을 전송하고, 단말기 B(60)가 단말기 A(50)로 단말기 B 사용자측 영상을 전송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간에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게 된다(258).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상 통화 중에 상대방에게 사용자측 영상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영상 노출로 인한 화상 통화 부담감을 줄일 수 있어서 화상 통화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측 영상과 상대방측 영상 대신에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서로 공유할 수 있어서 사용자간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와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를 각각 문의하여 해당 콘텐츠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한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고, 이 통보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단말 정보를 응답받으면 상기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단말기 B로부터 수신받은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A와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단말기 A로 전송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결정한 단말기 B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B와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단말기 B로 전송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B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되고,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A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로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B로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콘텐츠 전송 중지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B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사실을 통보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제 3 단계의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는 과정 사이에, 상기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2)] 전송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를 수신받으면 상기 180 링잉 메시지를 폐기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가 삽입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CID)]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는 과정은,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신규 세션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인바이트 메시지[INVITE]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와 단말기 A의 단말 정보(sdp #1)를 인바이트 메시지[INVITE(CID, sdp #1)]에 실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이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한 응답 결과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단말기 A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가 삽입된 200 OK 메시지[200 OK(sdp MM1)]를 수신받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를 인바이트 메시지[INVITE(CID)]에 실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이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한 응답 결과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단말기 B를 위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가 삽입된 200 OK 메시지[200 OK(sdp MM2)]를 수신받으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는 과정은, 서비스 식별자 및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2)를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수신받은 인바이트 트랜잭션과는 다른 다이얼로그(dialog)를 갖는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2)]에 실어서 상기 단말기 B로 전송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는 과정은, 상기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2)] 전송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단말 정보(sdp #2)가 삽입된 200 OK 메시지[200 OK(sdp #2)]를 수신받으면 이 200 OK 메시지에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1)를 실어서 상기 단말기 A로 중계하며,
    상기 제 6 단계에서 단말기 A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요청 을 받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A간에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정보가 삽입된 바이 메시지[BYE]를 수신받으며,
    상기 제 7 단계에서 단말기 B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사실을 통보하는 과정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단말기 B로의 콘텐츠 전송 중지 명령에 대한 200 OK 메시지[200 OK]를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수신받은 바이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B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7.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 A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디(CID)를 상기 단말기 A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미디어 서버와 공유하는 콘텐츠 서버;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고,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와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를 각각 문의하여 해당 콘텐츠 정보를 각각 확인하고, 이 확인한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 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고, 이 통보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단말 정보를 응답받으면 상기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고, 상기 단말기 A의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기 B의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각 단말기에 적합한 각각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해서 각 단말기와의 각각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해당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라고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 및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및 단말기 B에 적합한 콘텐츠를 결정해 둔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콘텐츠 전송 개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 A와 신규 세션을 성립시켜 단말기 A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A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B와 신규 세션을 성립시켜 단말기 B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B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되고,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A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요청을 받으면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단말기 A로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B로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라고 명령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콘텐츠 전송 중지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B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더 수행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B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2)]에 대응되는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를 폐기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2)] 전송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를 수신받으면 이 180 링잉 메시지를 폐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A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중계에 의해 상기 단말기 B로부터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를 수신받으면 이 180 링잉 메시지를 폐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A 및 상기 단말기 B 각각은,
    상기 미디어 서버와 신규 세션이 성립되면 기 성립되어 있던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해 상대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신규 세션을 통해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B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단말기 A와 미디어 서버간에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정보가 삽입된 바이 메시지[BYE]를 수신받으면 미디와 서버와 성립되어 있던 신규 세션을 종료하고, 기 성립되어 있던 화상 통화 세션을 복귀시켜 단말기 A로부터 수신되는 상대측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A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중계에 의해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바이 메시지[BYE]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미디와 서버와 성립되어 있던 신규 세션을 종료하고, 기 성립되어 있던 화상 통화 세션을 복귀시켜 단말기 B로부터 수신되는 상대측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15.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미디어 서버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해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와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를 각각 문의하여 해당 콘텐츠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한 단말기 B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B로 신규 세션을 통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을 통보하고, 이 통보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단말 정보를 응답받으면 상기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콘텐츠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단말기 A로 단말기 B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용 사실을 통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단말기 B로부터 수신받은 단말 정보를 참조하여 이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결정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확인한 단말기 A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A와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단말기 A로 전송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결정한 단말기 B에 적합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B와의 신규 세션을 통하여 단말기 B로 전송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5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B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되고,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단말기 A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로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B로의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중지하라고 상기 미디어 서버에게 명령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콘텐츠 전송 중지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B로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사실을 통보하는 제 7 단계
    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34929A 2005-04-27 2005-04-27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82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29A KR100682374B1 (ko) 2005-04-27 2005-04-27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929A KR100682374B1 (ko) 2005-04-27 2005-04-27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456A true KR20060112456A (ko) 2006-11-01
KR100682374B1 KR100682374B1 (ko) 2007-02-15

Family

ID=3762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929A KR100682374B1 (ko) 2005-04-27 2005-04-27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3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196B1 (ko) * 2007-07-06 2008-06-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9884B1 (ko) * 2007-06-14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영상 통화 트래픽을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40222B1 (ko) * 2010-11-17 2011-06-09 에이큐 주식회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11A (ko) * 2000-07-14 2002-01-29 유현중 화상 통신기의 배경화면 변환장치
KR100476006B1 (ko) * 2001-12-21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화상 통화시 대체 영상 전송 방법
KR100475953B1 (ko) * 2002-10-22 2005-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영상 전화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6906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468973B1 (ko) * 2002-11-28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660739B1 (ko) * 2004-11-18 2006-12-22 유엔젤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84B1 (ko) * 2007-06-14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영상 통화 트래픽을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39196B1 (ko) * 2007-07-06 2008-06-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0222B1 (ko) * 2010-11-17 2011-06-09 에이큐 주식회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374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9947B2 (ja) セッション設定プロトコル基盤のアーリーメディアサービス提供方法
US7313227B2 (en) Animated/digitally depicted interactive voice session services over an IP network
KR10081025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379544B2 (en) Communications
AU4303401A (e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voice/video message deposit and retrieval
US8949442B2 (en) Facilitating early media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695388B1 (ko)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82374B1 (ko)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04828B1 (ko) 발신정보표시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695393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069530B1 (ko) 차세대통신망에서 착신 통화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5391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8036008A1 (en) Multiple response options for incoming communication attempts
KR20050067913A (ko) 세션 설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9795A (ko) 링백톤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60103677A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785792B1 (ko) 접속 설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4827B1 (ko)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US20070165814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ringback information
KR20090066265A (ko)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용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