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222B1 -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222B1
KR101040222B1 KR1020100114443A KR20100114443A KR101040222B1 KR 101040222 B1 KR101040222 B1 KR 101040222B1 KR 1020100114443 A KR1020100114443 A KR 1020100114443A KR 20100114443 A KR20100114443 A KR 20100114443A KR 101040222 B1 KR101040222 B1 KR 10104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bile terminal
unit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별도의 동영상, 사진, 이미지, 네비게이션 정보, 이메일 등 보조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여 공유하면서 통신하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화상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화상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면서, 화상통신 신호의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을 구동하는 다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검색하고 화상통신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터치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화상신호 처리부, 화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과 화상통신을 실행하면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감시하는 다중작업 제어부 및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다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보조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중작업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대방 이동단말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부가 구동하여 발생한 보조 데이터 신호를 화상통신 신호와 화면 분할로 합성하여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화면 분할을 통하여 별도의 동영상, 정지영상, 문서, 파일 등의 보조 데이터를 공유상태로 송수신하여 통신하므로 통신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A mobile phone of video communication with assistance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통신 신호와 보조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별도의 동영상, 사진, 이미지, 네비게이션 정보, 이메일 등 보조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여 공유하면서 통신하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과 이동통신망이 포함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동단말은 네트워크망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 접속하여 통신하는 장비이며, 차량용 및 휴대용을 포함하고, 최근에는 휴대용 소형 컴퓨터(PC) 기능을 부가한 휴대용 태블릿 PC가 개발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장비를 포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단말’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화상통신을 위한 데이터 이외에 별도의 동영상, 사진, 이미지, GPS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정보, 이메일 등의 데이터를 ‘보조 데이터’라고 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이동단말과 이동통신망이 포함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운용되며,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IS-2000 규격에 의하여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 서비스를 지원하므로 이동단말에서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SVD 서비스는 이동단말에서 제 1 트래픽(primary traffic) 채널과 제 2 트래픽(secondary traffic) 채널을 동시에 점유하여, 음성 및 데이터 두 종류의 트래픽을 각각의 채널을 통해 송수신한다.
이동통신망은 셀룰러(cellular) 방식의 무선통신 기술이 응용되어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기술이고, 무선랜에 AP(access point)를 접속한 와이파이(Wi-Fi) 통신망 등에서도 이동통신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통신망 들을 포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네트워크망’이라고 하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성통신과 동시에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통해 웹문서, 이미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으나 전송속도가 비교적 늦고 할당된 채널의 숫자가 적어 많은 가입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것이 WCDMA(wideband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이고, 많은 채널을 운용하므로 동시에 많은 가입자가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영상통신이 가능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데이터전송) 기술이 개발되었고, HSDPA 기술은 기존의 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7 배 정도 빠르게 영상 및 음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HSDPA에 의한 고속 데이터 전송기술이 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그리고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다운로드 속도가 최대 173 Mbps이며 HSDPA 방식보다 12 배 이상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3.9 세대 무선통신 규격으로 불리는 LTE(long term evolution, 장기 진화) 기술 등의 순서별로 개발된 신기술이며, 이러한 최근의 신기술로 갈수록 데이터 전송속도가 증가하므로 채널당 동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량이 증가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단말은 하나의 음성채널을 점유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고 또 하나의 데이터 채널을 점유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또한,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점유하여 영상신호에 동기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므로 화상통신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화상통신은 음성통신에 비하여 상대방을 직접 보면서 통신하므로 정보교환의 신뢰성이 개선되고 정확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문서, 파일, 그림 등의 보조 이미지를 서로 공유할 수 없으므로 전달하는 정보의 량이 제한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다른 동영상, 정지영상, 문서파일, 이미지 등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공유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로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별도의 동영상, 정지영상, 문서, 파일 등을 보조용으로 송수신하고 함께 공유하면서 통신하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화상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화상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면서, 상기 화상통신 신호의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을 구동하는 다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검색하고 상기 화상통신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터치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화상신호 처리부와, 화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과 화상통신을 실행하면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감시하는 다중작업 제어부 및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다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보조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다중작업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대방 이동단말에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구동부가 구동하여 발생한 보조 데이터 신호를 화상통신 신호와 화면 분할로 합성하여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 및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하고 목록으로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화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한 화상통신 신호와 어플리케이션 구동부가 출력한 보조 이미지 신호를 분할된 화면에 포함하여 합성하는 화면분할 처리부와,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이 포함되는 보조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부 및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화면분할 처리부가 화면 분할로 합성한 화상통신 신호와 보조 데이터 신호를 상대방 이동단말에 무선 송신하고 수신하는 무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화상신호 처리부는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하고, 화면분할 처리부가 화면분할로 합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며, 표시된 명령신호 중에서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신호부 및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중작업 제어부는 상대방 이동단말로부터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를 검색하여 상대방 이동단말이 설치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하고,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화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에 의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상대방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 데이터는 이동단말과 상대방 이동단말에서 동시에 공유하고 수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화면 분할을 통하여 별도의 동영상, 정지영상, 문서, 파일 등의 보조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각각 수정하고, 수정된 내용을 동시에 공유하는 상태로 통신하므로 송수신되는 통신 내용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이동단말로 원거리 화상통신을 할 수 있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영상통신과 다중작업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 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에서 운용되는 설치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에서 운용되는 다중 실행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영상통신과 다중작업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900)은 발신측의 이동단말(1000), 네트워크망(2000), 상대방인 수신측의 이동단말(1001)을 포함한다.
발신측의 이동단말(1000)과 수신측의 상대방 이동단말(1001)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단말(1000)을 위주로 설명하고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한 경우에는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단말(1000)은 네트워크망(2000)을 통하여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카메라와 표시부가 포함되는 비디오부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입력과 출력하며, 마이크와 스피커가 포함되는 오디오부를 통하여 음성급 신호가 포함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과 출력한다.
즉, 이동단말(1000)은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가 포함되는 영상통신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로 상대방 이동단말(1001)과 무선 통신한다.
이때, 이동단말(1000)은 영상통신과 동시에 선택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실행시켜 데이터, 사진, 파일 등을 상대방 이동단말(1001)과 공유하면서, 각각 수정할 수 있고, 수정된 내용까지 공유하는 방식으로 통신한다.
즉, 영상통신을 진행하면서 별도의 파워포인트, 엑셀, 워드 등의 자료, 정지영상, 사진, 그림, 동영상, 칠판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것과 같이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필요한 글, 그림, 기호 등을 직접 써서 입력하는 판서 자료 등이 포함되는 보조 데이터 신호를 상대방에 전송하거나 공유상태로 설정하여 서로 확인하고 서로 수정하면서 통신한다.
네트워크망(2000)은 이동단말(1000)과 다수 중에서 선택된 상대방의 이동단말(1001)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용 망(네트워크, network)이며, 셀룰러(cellular)와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망(2000)에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여 이동단말(1000)과 무선 접속하는 기지국(BTS) 또는 엑세스 포인트(AP), 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통신망 및 다수의 통신망을 연결하고 통신망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및 다양한 서버(server)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단말(1000)은 화상신호 처리부(1100), 다중작업 제어부(120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1400),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 화면분할 처리부(1600), 메모리부(1700), 무선부(18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화상신호 처리부(1100)는 카메라, 터치스크린 표시부,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동단말(1000)의 화상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면서, 화상통신 신호의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을 구동하는 다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검색하고 화상통신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터치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비디오신호부(1110)와 오디오신호부(1120)를 포함한다.
비디오신호부(1110)는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면서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중작업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가 영상신호를 촬영하고, 화면분할 처리부(1600)가 화면분할로 합성한 영상신호를 터치스크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또한, 터치스크린 표시부에 표시된 명령신호 중에서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다중작업 제어부에 전달한다.
오디오신호부(1120)는 음성급 신호인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와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중작업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한다.
다중작업 제어부(1200)는 각 구성부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으로 화상신호 처리부(110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상대방과 화상통신을 실행하면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고 구동되어 실행되도록 감시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파워포인트와 엑셀과 워드가 포함되는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이미지, 파일 등의 데이터를 실행 상태로 구동하여 이동단말(1000)이 화상통신의 보조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환 및 출력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즉, 다중작업 제어부(1200)는 화상신호 처리부(1100)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에 기록되고 등록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요청하며, 요청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로부터 제공된 목록을 비디오신호부(1110)의 터치스크린 표시부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화상신호 처리부(1100)를 감시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1400)를 제어하므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실행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다중작업 제어부(1200)는 무선 접속하여 화상통신하는 상대방 이동단말(1001)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측인 상대방 이동단말(1001)에서도 송신측의 이동단말(1000)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운용되므로 송수신되는 화상통신 및 보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이동단말(1000)은 상대방 이동단말(1001)로부터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를 검색하여 상대방 이동단말(1001)이 설치하여 구동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기록 및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다중작업 제어부(1200)는 상대방 이동단말(1001)이 설치하여 구동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에 기록 및 등록되어 관리되고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1400)를 제어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에 설치되도록 감시한다.
여기서 다중작업 제어부(1200)에 의하여 상대방 이동단말(1001)이 설치하여 구동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에 기록 및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화상신호 처리부(1100)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에 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화상신호 처리부(1100)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상대방 이동단말(1001)에 전송하므로 통보한다.
어플리케이션의 무선 다운로드는 상대방 이동단말(1001)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망(200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는 다중작업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하여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 등을 구동하는 다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보조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제 1 내지 제 N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10, 1320, 1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 실시 예로, 제 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10)는 지정된 문서 파일을 메모리부(1700)로부터 읽고 실행하여 비디오신호부(1110)에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의 보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 2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20)는 지정된 동영상 파일을 메모리부(1700)로부터 읽고 실행하여 비디오신호부(1110)에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의 보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로, 파워포인트, 워드, 엑셀, PDF 파일 등이 포함되는 문서 파일을 실행하여 비디오신호부(1110)에 표시할 수 있는 상태의 보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는 필요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10, 1320, 1330)의 숫자를 더 늘리거나 줄인 상태로 구비할 수 있고, 다수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구비된 모두 또는 선택된 일부만 구동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1400)는 다중작업 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목록으로 관리하며,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목록을 어플리케이션 등록부에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500)는 다중작업 제어부(1200)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14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목록을 기록하여 등록하고 목록으로 관리하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기록하여 등록하고 목록으로 관리한다.
화면분할 처리부(1600)는 다중작업 제어부(1200)의 제어에 의하여 화상신호 처리부(1100)가 출력한 화상통신 신호와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300)가 출력한 보조 이미지 신호를 분할된 화면에 포함되도록 합성한다.
이러한 합성에는 일반적으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digital image processing: DSP)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의 분할은 화상신호 처리부(1100)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에 의하여 다중작업 제어부(1200)가 제어하므로 화면분할 처리부(1600)에서 하나 이상의 다수 화면으로 분할한다.
메모리부(1700)는 일반적인 롬(ROM)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기록한다.
무선부(1800)는 네트워크망(2000)과 무선 접속하여 화상통신 신호 및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생성되고 화면 분할로 합성된 보조 데이터 신호를 지정된 상대방 이동단말(1001)에 송신하고 수신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단말의 다중작업 제어부는 화상통신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신호를 분석하여 화상통신을 시작하는지 확인하고(S3100), 화상통신을 시작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지정된 상대방 이동단말과 접속하고 화상통신을 진행한다(S3200).
여기서 다중작업 제어부는 상대방 이동단말로부터 구동되도록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3300), 목록으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구동되도록 하는 설치 루틴을 운용한다(S3400). 이러한 설치 루틴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다중작업 제어부는 화상신호 처리부를 감시하여 화상통신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동시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운용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3500),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하는 다중 실행루틴을 운용한다(3600). 이러한 다중 실행루틴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다중작업 제어부는 화상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동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출력되는 정보 일 실시 예로,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의 데이터를 보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분할된 화면의 지정된 위치에 합성하며 상대방 이동단말과 송수신하여 통신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에서 운용되는 설치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설치 루틴은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대방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되고 구동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관리되는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S3401).
여기서 구동을 요청받은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3402), 다운로드 가능한지를 확인하고(S3403), 다운로드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무선으로 다운로드하여 기록 및 등록하여 관리하며 이러한 과정 및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상신호 처리부에 출력하여 표시한다(S3404).
그리고 다운로드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3403),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운용이 불가능함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상신호 처리부에 출력하여 표시하고 루틴의 종료로 진행한다(S3405).
한편, 구동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거나 또는 다운로드 되어 등록된 경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구동한다(S3406).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에서 운용되는 다중 실행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신호 처리부를 감시한 다중작업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의 등록 목록을 검색하고 화상신호 처리부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S3601).
또한, 화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명령신호를 분석하므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도록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를 제어한다(S3602).
한편, 다중작업 제어부는 설치되어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상대방 이동단말에 전송하므로, 상대방 이동단말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되도록 요청한다(S3603).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하나의 이동단말로 화상통신을 진행하면서 파워포인트, 워드로 작성된 문서, 이메일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이미지, 필요한 데이터 파일 등을 송수신하는 동시에 공유하여 서로 확인 및 수정하면서 통신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900 : 이동통신 시스템 1000, 1001 : 이동단말
1100 : 화상신호 처리부 1110 : 비디오신호부
1120 : 오디오신호부 1200 : 다중작업 제어부
1300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400 :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
1500 :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1600 : 화면분할 처리부
1700 : 메모리부 1800 : 무선부
2000 : 네트워크망

Claims (6)

  1.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화상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화상통신 신호를 입출력하면서, 상기 화상통신 신호의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화면에서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을 구동하는 다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검색하고 상기 출력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화상신호 처리부;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과 화상통신을 실행하면서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감시하는 다중작업 제어부; 및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다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보조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상대방 이동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가 구동하여 발생한 보조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상통신 신호와 화면 분할로 합성하여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 및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하고 목록으로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한 화상통신 신호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가 출력한 보조 이미지 신호를 분할된 화면에 포함하여 합성하는 화면분할 처리부;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문서, 동영상, 정지영상, 파일이 포함되는 보조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화면분할 처리부가 화면 분할로 합성한 화상통신 신호와 보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상대방 이동단말에 무선 송신하고 수신하는 무선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한 화상통신 신호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가 출력한 보조 이미지 신호를 분할된 화면에 포함하여 합성하는 화면분할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는,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하고,
    상기 화면분할 처리부가 화면분할로 합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출력화면에 표시된 명령신호 중에서 상기 출력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에 의하여 선택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신호부; 및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이동단말과 상기 상대방 이동단말에서 동시에 공유하고 수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작업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이동단말로부터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를 검색하여 상대방 이동단말이 설치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스톨부를 제어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에 설치하고,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에 의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KR1020100114443A 2010-11-17 2010-11-17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KR10104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43A KR101040222B1 (ko) 2010-11-17 2010-11-17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43A KR101040222B1 (ko) 2010-11-17 2010-11-17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222B1 true KR101040222B1 (ko) 2011-06-09

Family

ID=4440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43A KR101040222B1 (ko) 2010-11-17 2010-11-17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2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456A (ko) * 2005-04-27 2006-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456A (ko) * 2005-04-27 2006-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208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1354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EP2437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CN108833585B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886789B (zh) 确定上下行切换点的方法及装置
US201800140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Terminal Device Camera to a Target Device
KR20130130985A (ko) 사용자단말과 외부장치 간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2016532966A (ja) リソース共有方法及び装置
US201500262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31141B1 (ko)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040222B1 (ko)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통신 이동단말 장치
US202201830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ssion bandwidth determination
JP201304246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247539A (ja) ネットワークプロジェクタ装置
EP3910970B1 (en) Data feedback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20130134393A (ko) 문서 파일의 효율적인 미러링 방법
KR20140119916A (ko) 오디오 출력경로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 간 오디오 출력경로 제어방법
KR20120072113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pc를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67325A1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110063951A (ko)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10072023A (ko) 휴대 단말기의 프로세서 간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1003475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機器、サーバ
US100798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17682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943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