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677A -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677A
KR20060103677A KR1020050025511A KR20050025511A KR20060103677A KR 20060103677 A KR20060103677 A KR 20060103677A KR 1020050025511 A KR1020050025511 A KR 1020050025511A KR 20050025511 A KR20050025511 A KR 20050025511A KR 20060103677 A KR20060103677 A KR 20060103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ultimedia content
additional multimedia
video call
new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용
김성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677A/ko
Publication of KR2006010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과 함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상대측의 사용자에게 보내주기 위한,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며, 사용자측 영상과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추가적으로 상대방에게 보내 줄 수 있어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면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더욱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화상 통화,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Description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he additional multimedia contents during communication in SIP}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SIP 시스템 50 : 단말기 A
60 : 단말기 B
본 발명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과 함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상대 측의 사용자에게 보내주기 위한,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통신망(PLMN), 공중 전화망(PSTN)에서의 음성 통화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간에 음성으로 단순한 정보만을 주고 받는 것에 비해,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유무선 인터넷망(IP망 또는 패킷 데이터망)에서의 화상 통화 서비스(예; 회의, 전화, 음성 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에서는 사용자간에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위와 같은 유무선 인터넷망에서의 화상 통화 서비스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MMUSIC WG에서 제정한 VOIP Protocol로서, 참가자들간의 세션들을 생성/수정/종료 절차를 명시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상 통화 서비스에서는 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즉 사용자측 영상(예; 사용자의 얼굴, 사용자의 댁내 모습 등)만을 상대측 사용자에게 보여주면서 음성으로 통화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화상 통화 서비스에 대해 별다른 흥미를 갖지 못하며, 이에 화상 통화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더군다나,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로 의사 소통을 하는 점을 고려컨대, 상대측 사용자에게 웃음을 주고 싶은 경우, 특별한 영상을 보여 주고 싶은 경우, 사랑 고백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자신의 영상과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상대측 사용 자에게 추가적으로 보여 주어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면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더욱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과 함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상대측의 사용자에게 보내주기 위한,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SIP 시스템에 의해 단말기 B와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선택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해 상기 단말기 B와의 신규 세션 생성을 상기 SIP 시스템에게 요청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요청 결과로 상기 SIP 시스템의 중계에 의해 상기 단말기 B로부터 신규 세션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B와 신규 세션을 성립하고,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상기 선택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B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의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신규 세션 생성 요청 사항을 상기 단말기 B로 중계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중계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신규 세션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이 응답 사항을 상기 단말기 A로 중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기 간의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SIP 시스템")(10)이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SIP 시스템(10)에는 화상 통신 중인 단말기간에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측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필요한 호 처리(단말기간의 메시지 중계, 서비스 인증 등)을 수행하는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가입자 정보(단말기 정보, 서비스 가입 여부 등)이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DB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SIP 시스템(10)에는 단말기간의 호를 처리하는 SIP 교환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라우팅 정보) 등을 등록/제공하는 위치 서버 등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구비되어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기존의 화상 통화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로는 이동통신 단말기(20), IP 전화기(21), 컴퓨터(22), 노트북(23), PDA(24)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사양 및 지원 스펙(spec)으로는 인터넷 접속 기능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장/재생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 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또는 이어폰 또는 송수화기 또는 헤드셋 등이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말기, 특히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수신)받는 단말기는 다중 세션(multi-session) 처리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 되며, 각 세션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각각의 데이터(사용자측 영상,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화면내-화면 기능(PIP; Picture In Picture), 화면 분할 기능 또는 다중 윈도우(window) 등으로 디스플레이에 독립적으로(동시에) 각각 표시할 수 있는 기능 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SIP 시스템에 의해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단말기의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과 함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상대측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사용되는 미디어 종류로는 동영상, 사진,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모티콘, 배경화면, 아바타, 플래시 등과 같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화상 통화 서비스 제공업체(SIP 시스템 운용자)에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별도로 가입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방의 단말기에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이후에 추가적인 호 처리가 이루어져야 본 발명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므로, SIP 시스템 운용 정책 등(호 처리로 인한 시스템 부하 가중)에 따라 일측의 단말기에서 상대측의 단말기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호 처리 시도를 할 때에 SIP 시스템(바람직하게는 SIP 교환기 또는 SIP 교환기로부터 호 처리를 넘겨받는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 사용자는 SIP 시스템(10)에서 운용하는 웹(왑) 사이트, 고객 센터 등을 통하여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하면서 자신의 단말기를 등록한다.
상기 SIP 시스템(10)은 위와 같은 가입자의 입력 정보를 토대로 하여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 사항(가입자 신상정보, 단말 정보 등)을 서비스 프로파일(profile)로 구성하여 가입자 DB에 저장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일측의 단말기가 상대측 단말기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요청 시에 본 발명의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SIP 교환기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 단말기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호를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라우팅시켜 이 SIP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화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즉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두 단말기 중 단말기 A를 도면 부호 "50", 단말기 B를 도면 부호 "60"으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말기는 하나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단말기들이 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예; 화상 회의 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한편, SIP 메시지, 예를 들어 "인바이트 메시지 [INVITE(sdp #1)]"의 의미는 인바이트 메시지의 바디(body)에 "#1"이라고 하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정보[즉, 단말기 A(50)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정보(타입)]가 삽입된 형태를 의미하며, "sdp #2"는 단말기 B(60)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정보를 의미한다. 즉, 괄호()안에 표기된 용어는 메시지의 바디, 헤더 등에 삽입되는 세션 정보, 미디어 정보, 명령어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인바이트 메시지란 단말기간에 세션을 생성하고자 할 때에 세션 협상에 사용되는 메시지이며, 바이(BYE) 메시지란 단말기간에 성립된 세션을 종료할 때에 세션 협상에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먼저, SIP 시스템(10)에 의해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한다(200). 여기서, 사용자들은 단말기(50, 60)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자신의 영상 또는 자신측 주변 영상 등을 상대방에게 보여주면서 마이크, 스피커 등을 통하여 화상 통화를 한다. 이 때, 사용자간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등에 실려 송수신된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로의 화상 통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SIP 시스템(10)으로 자신의 미디어 정보[단말기 A(50)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1)]를 전송하면, SIP 시스템(10)은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1)]를 단말기 B(60)로 중계하여 단말기 A(50)로부 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그에 따라, 단말기 B(60)에서는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로컬 링을 울려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 왔음을 알리고서 SIP 시스템(10)으로 자신의 sdp 정보(미디어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sdp #2)]를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B(60)에서는 인바이트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로컬 링을 울리지 않고 이후에 PRACK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 송수신을 하고 나서 로컬 링을 울릴 수도 있다. 여기서, PRACK 메시지는 SIP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신뢰성 있는 전송에 대한 임시 응답으로 사용되는 메시지이다(provisional responses acknowlegde). 그러면, SIP 시스템(10)은 단말기 B(60)로부터 수신받은 sdp 정보(sdp #2)가 삽입된 180 링잉 메시지[180 Ringing(sdp #2)]를 단말기 A(50)로 중계하고, 그에 따라, 화상 통화 세션 성립을 위한 전처리 과정이 준비됐음을 알리는 의미로 SIP 시스템(10)의 중계에 의해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PRACK 메시지 및 200 OK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후에, 단말기 B(60)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게 되면 통화 응답 사실에 대응되는 200 OK 메시지 및 ACK 메시지가 상호 송수신되고 나서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다.
이후에,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는 중에, 일측의 사용자(본 발명에서는 화상 통화 전화를 건 사용자 및 화상 통화 전화를 받은 사용자 모두 본 발명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으며, 이하 단말기 A 사용자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대방에게 보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기 A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과 함께 재미있는 멀티미디어를 상대방에게 보여주기 위해 단말기 메뉴 등을 통하여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항목을 지정하고 단말기 A(50)에 저장되어 있는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한다(201).
이에, 상기 단말기 A(50)가 사용자의 입력 사항을 토대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해 신규 세션 생성을 시도(요청)하겠다는 의미로, 상기 "200" 과정에서 성립되었던 단말기 B(60)와의 기존 화상 통화 세션과는 별도의 다이얼로그 (dialog)를 갖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 여기서 "MM"은 Media Mask의 약자로 추가 영상 정보(미디어 정보)을 의미한다]를 실어서 SIP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202).
이 때, 단말기 A(50)에서 전송되는 신규 인바이트 메시지에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될 예정임을 알리는 의미의 식별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자를 수신받은 단말기 B(60)에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신 예정을 사전에 인지하여 다중 세션 처리 기능 및 화면 처리 기능(예; 화면내 화면 기능, 화면 분할 기능, 다중 윈도우 기능 등)을 미리 준비해 두도록 한다. 즉, 단말기 B(60)에서는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 식별자를 수신받은 이후에 사전 준비된 세션 처리 기능 및 화면 처리 기능을 사용하여 기존 화상 통화 세션을 통하여 수신받은 사용자측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신규 세션을 통하여 수신받은 멀티미디어를 화면에 함께 표시한다.
또한, SIP 기반의 일부 단말기에서는 현재 성립되어 있는 세션 이외의 추가 세션 설정 요구[신규 인바이트 메시지]를 받게 되면 현재 화상 통화 중임을 알리는 의미로 "486 Busy 응답"으로 추가 세션 설정 요구를 자동적으로 거부하는데, 위와 같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 식별자로 단말기에서 추가 세션 설정 요구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단말기 A(50)에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가 삽입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단말기 B(60)로 전송하는 것은 단말기 B(60)에게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처리(재생)할 수 있는 지 포맷 정보와 재생 코덱 등을 문의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 내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10)은 단말기 A(50)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호 처리를 시도하겠다는 의미의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단말기 A(50)가 본 발명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인증하고, 서비스 가입 여부 인증 결과로 인증 성공하면(203),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받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가 삽입된 인바이트 메시지[INVITE(sdp MM)]를 단말기 B(60)로 중계하여 단말기 A(50)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이 있을 것임을 알린다(204). 부가적으로, SIP 시스템 운용 정책 등에 따라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 B(60)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을 받게 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을 수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자신의 미디어 정보(sdp #2)를 200 OK 메시지[200 OK(sdp #2)]에 실어서 SIP 시스템(10)에게 응답한다(205). 부가적으로, 단말기 B(60)에서 자신의 미디어 정보가 삽입된 200 OK 메시지를 어플리케 이션 서버(10)로 전송하는 것은 자신[단말기 B(60)]이 어떠한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포맷 및 코덱에 상응하는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내 달라고 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10)이 단말기 B(60)로부터 수신받은 200 OK 메시지를 단말기 A(50)로 중계하여 단말기 B(60)에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수용했음을 알린다(206).
그러면, 상기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의 응답을 받아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전처리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여 신규 세션 생성을 위한 최종 ACK 메시지를 SIP 시스템(10)의 중계로 단말기 B(60)로 전송한다(207, 208).
이에, 단말기 A(50)와 단말기 B(60)간에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이 성립되고, 이 신규 세션 상에서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로 사용자가 선택했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한다(209). 여기서, 단말기 A(50)에 저장되어 있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단말기 B(60)로 전송됨에 따라 단말기 B 사용자는 단말기 A 사용자 영상과 함께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면서 화상 통화를 하게 된다. 이 때, 단말기 B(60)에서의 세션 처리 및 화면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말기 A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과 함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 사용자에게 모두 보여 주다가 원래 영상(사용자측 영상)만을 보여주면서 화상 통화를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A 사용자가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단말기 B 사용자에게 보내 주다가 단말기 메뉴 등을 통하여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항목을 선택한다(250).
이에, 상기 단말기 A(50)가 사용자의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 요구에 부응하여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종료를 시도하겠다는 의미로, 상기 "209" 과정에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정보를 바이(BYE) 메시지에 실어서 SIP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251). 여기서, 바이 메시지에 삽입되는 신규 세션 정보로는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을 유니크(unique)하게 표현하는 콜-아이디(call-ID) 또는 비아-헤더의 브랜치(branch of via-header) 등과 같은 세션 정보가 사용된다. 마찬기자로, 화상 통화 세션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화상 통화 세션 정보를 바이 메시지에 실어서 전송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10)은 단말기 A(50)로부터 수신받은 바이 메시지를 단말기 B(60)로 중계하여 단말기 A(50)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252). 여기서도, SIP 시스템(10)은 상기 "203" 과정처럼 단말기 A(50)로부터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 A(50)가 본 발명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 B(60)가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게 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200 OK]를 SIP 시스템(10)에게 전송한다(253). 이 때, 단말기 B(60)에서는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는 시점에 단말기 A(50)로부터 추가 멀 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이 중지되었으므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중지하고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표시에 사용됐던 화면을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SIP 시스템(10)이 단말기 B(60)로부터 수신받은 200 OK 메시지를 단말기 A(50)로 중계하여 단말기 B(60)에서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수용했음을 알린다(254).
이에,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의 응답을 받아 신규 세션 종료 전처리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여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을 종료하며, 상기 단말기 A(50)와 상기 단말기 B(60)간에는 상기 "200" 과정에서 기 성립되었던 화상 통화 세션을 유지하여 단말기 A(50)가 단말기 B(60)로 단말기 A 사용자측 영상을 전송하고, 단말기 B(60)가 단말기 A(50)로 단말기 B 사용자측 영상을 전송한다(255). 그에 따라 사용자간에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화상 통화를 계속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측 영상과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추가적으 로 상대방에게 보내 줄 수 있어서 사용자간에 화상 통화를 하면서 다양하고 재미있는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더욱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단말기에서의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SIP 시스템에 의해 단말기 B와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제 1 단계;
    상기 선택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해 상기 단말기 B와의 신규 세션 생성을 상기 SIP 시스템에게 요청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요청 결과로 상기 SIP 시스템의 중계에 의해 상기 단말기 B로부터 신규 세션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B와 신규 세션을 성립하고, 이 신규 세션을 통하여 상기 선택한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 B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중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종료를 상기 SIP 시스템에게 요청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요청 결과로 상기 SIP 시스템의 중계에 의해 상기 단말기 B로부터 신규 세션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B와 기 성립되었던 신규 세션을 종료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정보를 바이(BYE) 메시지에 실어서 SIP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B와 기 성립되었던 화상 통화 세션과는 별도의 다이얼로그(dialog)를 갖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에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sdp MM)를 실어서 SIP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예정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사진, 스틸 이미지,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모티콘, 배경화면, 아바타, 플래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7.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의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A와 단말기 B간에 화상 통화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한 신규 세션 생성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제 1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신규 세션 생성 요청 사항을 상기 단말기 B로 중계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중계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신규 세션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이 응답 사항을 상기 단말기 A로 중계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A와 상기 단말기 B간에 신규 세션이 성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A로부터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에 사용됐던 신규 세션 종료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인증하는 제 4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기 A의 신규 세션 종료 요청 사항을 상기 단말기 B로 중계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중계 결과로 상기 단말기 B로부터 신규 세션 종료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으면 이 응답 사항을 상기 단말기 A로 중계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050025511A 2005-03-28 2005-03-28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60103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511A KR20060103677A (ko) 2005-03-28 2005-03-28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511A KR20060103677A (ko) 2005-03-28 2005-03-28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677A true KR20060103677A (ko) 2006-10-04

Family

ID=3762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511A KR20060103677A (ko) 2005-03-28 2005-03-28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36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32B1 (ko) * 2007-03-08 2013-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시 데이터파일의전송방법
KR101426443B1 (ko) * 2007-04-25 201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30497A (ko) * 2013-09-12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32B1 (ko) * 2007-03-08 2013-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시 데이터파일의전송방법
KR101426443B1 (ko) * 2007-04-25 201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30497A (ko) * 2013-09-12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713B1 (ko) 얼리 세션을 이용한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용 서버
US20090232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ervices
US8948165B2 (en) IP telephony on a home network device
JP2008523662A (ja) 画像ベースのプッシュ・ツー・トーク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向き画像交換方法
AU2005324845B2 (en) Facilitating early media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5123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122761B (zh) 基于分组的呼叫的附加媒体会话的本地控制
KR100695388B1 (ko)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US9191418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applying background skin in internet protocol network
KR100704828B1 (ko) 발신정보표시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695393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60103677A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682374B1 (ko)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95391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2006229379A (ja) 多者間通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多者間通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50067913A (ko) 세션 설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9795A (ko) 링백톤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90087958A (ko) Poc 미디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0704827B1 (ko) 화상 통화 중 대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EP2400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calls to landline or mobile phones from a computer
KR20090064523A (ko) 얼리 세션을 이용한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응용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