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904A -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 Google Patents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904A
KR20060110904A KR1020050032670A KR20050032670A KR20060110904A KR 20060110904 A KR20060110904 A KR 20060110904A KR 1020050032670 A KR1020050032670 A KR 1020050032670A KR 20050032670 A KR20050032670 A KR 20050032670A KR 20060110904 A KR20060110904 A KR 2006011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
powder
shaped
groov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131B1 (ko
Inventor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주)올텍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텍전자 filed Critical (주)올텍전자
Priority to KR102005003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13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분말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되되, 그 폐쇄된 하부면에 저장된 분말을 배출하는 파이형 배출홈을 구비한 분말 저장통과; 상기 분말 저장통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에 저장된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캡과; 상기 분말 저장통의 폐쇄된 하부면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분말 저장통의 파이형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는 분말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이형 배출홈을 통해 분말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임시 저장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체에 임시 저장된 분말을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폐쇄된 하부면에 파이형 주유홈을 구비한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형 주유홈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원뿔 형상의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유 등의 분말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일정량 배출함으로써 사용하기에도 편하며 주위를 어지럽힐 염려도 없도록 한 것이다.
분말 배출기, 배출량 조절

Description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Exhausting apparatus able to control the exhausting volume of the powd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분말 배출기 110 : 분말 저장통
120 : 상부캡 130 : 제 1 회전체
140 : 제 2 회전체 150 : 베이스체
160 : 하부캡 170 : 고정부재
본 발명은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분유 등의 분말을 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분말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아기가 배가 고파 울고 있는 상황에서 엄마가 분유를 젓병에 탈 경 우, 마음은 바쁜데 분유통으로부터 계량스푼으로 분유를 떠서 정량을 맞추기 위해 소복히 올라온 양을 깍아내어 10 스푼 이상 젓병에 담아 분유를 타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잘못하면 분유를 흘릴 수 도 있어 주변을 어지럽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분유 등의 분말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분말 배출기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분말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는 분말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되되, 그 폐쇄된 하부면에 저장된 분말을 배출하는 파이형 배출홈을 구비한 분말 저장통과; 상기 분말 저장통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에 저장된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캡과; 상기 분말 저장통의 폐쇄된 하부면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분말 저장통의 파이형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는 분말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이형 배출홈을 통해 분말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임시 저장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체 에 임시 저장된 분말을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폐쇄된 하부면에 파이형 주유홈을 구비한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형 주유홈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원뿔 형상의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말 저장통에 저장된 분말을 제 1 회전체를 회전 조작함에 의해 제 2 회전체에 일정량 임시 저장하고, 분말을 일정량 임시 저장한 제 2 회전체를 회전 조작함에 의해 베이스체를 경유해 하부캡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분말을 일정량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100)는 분말 저장통(110)과, 상부캡(120)과, 제 1 회전체(130)와, 제 2 회전체(140)와, 베이스체(150)와, 하부캡(160)과, 고정부재(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말 저장통(110)은 분말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되되, 그 폐쇄된 하부면에 저장된 분말을 배출하는 파이형 배 출홈(111)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캡(120)은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110)에 저장된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분말 저장통(110)은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된 원통 형상을 가지어 이 내부에 분유 등의 분말을 수납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 때, 폐쇄된 하부면에 형성한 파이형 배출홈(111)을 통해 분말을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개구된 상부면에 연한 측면과 상기 상부캡(120)의 내측으로는 상기 분말 저장통(110)에 상부캡(120)을 결합하기 위한 서로 대응되는 결합수단 예컨데, 수나사(112)와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121) 등이 형성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110)에 분말을 수납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상부캡(120)를 분말 저장통(110)에 결합함으로써 분말 저장통(110)에 저장된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회전체(130)는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폐쇄된 하부면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파이형 배출홈(111)을 통해 배출되는 분말의 배출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제 1 회전체(130)는 상부면은 폐쇄되고, 하부면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되, 파이형 통과홈(131)과, 파이형 수납부(132)와, 용량조절용 손잡이(133)와, 절개홈(134)과, 제 1 결합홈(135)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형 통과홈(131)은 그 폐쇄된 상부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파이형 배출홈(111)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110)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통과시킨다.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는 상기 파이형 통과홈(131)과 연하여 하부로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되, 그 하부(132a)는 폐쇄되고, 그 파이형 단면 일측(132b)은 개구시켜 형성한다.
상기 용량조절용 손잡이(133)는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 외측으로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절개홈(134)은 상기 용량조절용 손잡이(133)로부터 상기 파이혈 수납부(132)가 형성된 반대측으로 그 원통 형상의 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체(130)에 형성된 절개홈(134)의 길이는 파이형 수납부(132)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결합홈(135)은 상기 고정부재(170)의 결합봉(17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그 폐쇄된 면의 중앙부위에 형성한다.
즉,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파이형 배출홈(111)과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파이형 통과홈(131)이 조금이라도 겹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말 저장통(110)으로부터 상부캡(120)을 분리하고, 원통 형상의 분말 저장통(110)내에 분말을 삽입하여 저장한 다음, 상부캡(120)를 분말 저장통(110)에 결합함으로써 분말 저장통(110)에 분말이 저장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용량조절용 손잡이(133)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파이형 배출홈(111)이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파이형 통과홈(131)과 조금이라도 겹쳐지게 되면, 분말 저장통(110)에 저장된 분말은 파이형 배 출홈(111)과 파이형 통과홈(13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로 인입되게 된다.
상기 제 2 회전체(140)는 상기 제 1 회전체(1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체(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이형 배출홈(111)을 통해 분말 저장통(110)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임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이 제 2 회전체(140)는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된 상기 파이형 통과홈(131) 크기만큼 절개된 원통 형상을 가지되, 파이형 저장부(141)와, 배출용 손잡이(142)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는 회전에 따라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의 개구된 일측 단면을 통해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에 수납 또는 인출되되, 그 상하부면이 개구되고, 그 측면(141a)(141b)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용 손잡이(142)는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를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에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회전체(130)의 절개홈(134)에 결합되어 이 절개홈(134)을 따라 회전한다.
즉,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가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용량조절용 손잡이(133)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파이형 배출홈(111)이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파이형 통과홈(131)과 조금이라도 겹쳐지게 되면, 분말 저장통(110)에 저장된 분말은 파이형 배출홈(111)과 파이형 통과홈(13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에 수납된 파이형 저장부(141)로 인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량조절용 손잡이(133)를 회전시켜 상기 파이형 배출홈(111)과 파이형 통과홈(131)이 겹쳐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배출용 손잡이(142)를 절개홈(134)을 따라 회전시키면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로부터 파이형 저장부(141)가 인출되어 파이형 저장부(141)에 일정량의 분말이 임시 저장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파이형 배출홈(111)과 파이형 통과홈(131)이 조금이라도 겹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로부터 파이형 저장부(141)가 인출되지 않도록 구현함으로써,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로부터 파이형 저장부(141)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파이형 수납부(132)로 분말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체(150)는 상기 제 2 회전체(1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전체(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체(140)에 임시 저장된 일정량의 분말을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폐쇄된 하부면에 파이형 주유홈(15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 베이스체(150)는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된 원통 형상을 가지어 상기 제 2 회전체의 하부측을 수납하되, 파이형 주유홈(151)과, 제 2 결합홈(152)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형 주유홈(151)은 그 폐쇄된 하부면에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 2 결합홈(152)은 상기 고정부재(170)의 결합봉(171)에 삽입되어 결 합되도록 그 폐쇄된 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에 분말이 임시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배출용 손잡이(142)를 회전 조작하여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가 상기 파이형 주유홈(151)에 조금이라도 겹쳐지게 되면,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의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에 임시 저장된 일정량의 분말은 상기 파이형 주유홈(151)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분말 저장통(110)에 형성된 파이형 배출홈(111)과, 상기 베이스체(150)에 형성된 파이형 주유홈(151)이 180°를 가지도록 구현하고, 상기 파이형 배출홈(111)과, 파이형 통과홈(131) 및 파이형 주유홈(151)의 양단면을 인장하여 연결한 가상의 두 중심선의 각이 90°이하가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상기 분말 저장통(110)에 저장된 분말이 상기 파이형 저장부(141)에 임시 저장되지 않고 직접 파이형 주유홈(151)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캡(160)은 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체(15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형 주유홈(151)으로부터 배출되는 일정량의 분말을 외부로 토출한다.
구체적으로, 이 하부캡(160)은 그 상부면이 개구된 원뿔 형상을 가지되, 그 하부측에는 상기 파이형 주유홈(151)으로부터 배출되는 일정량의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파이형 주유홈(151)으로부터 분말이 배출되면, 원뿔 형상의 하부캡(160)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량의 분말이 미끄러져 하부에 형성된 토출홈(161)을 통 해 토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체(150)의 측면 하부와 하부캡(160)의 상부측 내측면에 상기 베이스체(150)와 하부캡(160)을 결합하기 위한 서로 대응되는 결합수단 예컨데, 수나사(153)와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162) 등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체(150)와 하부캡(160)이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만일 분말이 분유라면, 분말 저장통(110)에 저장된 분유를 제 1 회전체(130)를 회전 조작함에 의해 제 2 회전체(140)에 일정량 임시 저장하고, 분유를 일정량 임시 저장한 제 2 회전체(140)를 회전 조작함에 의해 베이스체(150)를 경유해 하부캡(160)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분유를 일정량 배출하게 되고, 상기 토출홈(161)을 통해 토출되는 일정량의 분유를 젓병에 담으면, 사용자가 일일이 계량스푼으로 계량하지 않고도 매번 일정량의 분유를 젓병에 담을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다.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폐쇄된 하부면의 중앙부위 하부로 돌출시켜 형성한 결합봉(171)과, 상기 결합봉(171)에 삽입되어 회전 자재토록 고정되는 상기 제 1 회전체(130) 및 제 2 회전체(140)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150)가 상기 분말 저장통(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 고정하는 결합볼트(17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분말 저장통(110)의 폐쇄된 하부면의 중앙부위 하부로 돌출시켜 형성한 결합봉(171)에 먼저 제 1 회전체(130)의 제 1 결합홈(135)을 삽입하여 제 1 회전체(130)가 회전 자재토록 결합하고, 상기 제 1 회전체(130)의 절개홈(134)을 따라 제 2 회전체(140)의 배출용 손잡이(142)가 회전 자재토록 제 2 회전체(140)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체(150)의 제 2 결합홈(152)을 상기 결합봉(171)에 삽입하여 이 베이스체(150)가 결합봉(17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 2 회전체(140)가 원통형의 베이스체(150)의 개구된 상부면을 따라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회전체(140)가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봉(171)의 단면에 형성된 암나사(1171a)에 수나사(172a) 형태의 결합볼트(172)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상기 분말 저장통(110)에 상기 제 1 회전체(130)와, 제 2 회전체(140) 및 베이스체(150)가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게 되고, 상기 베이스체(150)에 하부캡(160)을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의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는 분유 등의 분말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일정량 배출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도 편하며 주위를 어지럽힐 염려도 없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9)

  1. 분말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되되, 그 폐쇄된 하부면에 저장된 분말을 배출하는 파이형 배출홈을 구비한 분말 저장통과;
    상기 분말 저장통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에 저장된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캡과;
    상기 분말 저장통의 폐쇄된 하부면에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분말 저장통의 파이형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는 분말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이형 배출홈을 통해 분말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임시 저장하는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체에 임시 저장된 분말을 배출할 수 있도록 그 폐쇄된 하부면에 파이형 주유홈을 구비한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형 주유홈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원뿔 형상의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가:
    상기 분말 저장통의 폐쇄된 하부면의 중앙부위 하부로 돌출시켜 형성한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에 삽입되어 회전 자재토록 고정되는 상기 제 1 회전체 및 제 2 회전체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가 상기 분말 저장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 고정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가:
    상부면은 폐쇄되고, 하부면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되,
    그 폐쇄된 상부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파이형 배출홈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분말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통과시키는 파이형 통과홈과;
    상기 파이형 통과홈과 연하여 하부로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되, 그 하부는 폐쇄되고, 그 파이형 단면 일측은 개구시켜 형성한 파이형 수납부와;
    상기 파이형 수납부 외측으로 돌출시켜 일체로 형성한 용량조절용 손잡이와;
    상기 용량조절용 손잡이로부터 상기 수납부가 형성된 반대측으로 그 원통 형상의 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홈과;
    상기 결합봉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그 폐쇄된 면의 중앙부위에 형성한 제 1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체가: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된 상기 파이형 통과홈 크기만큼 절개된 원통 형상을 가지되,
    회전에 따라 상기 파이형 수납부의 개구된 일측 단면을 통해 상기 파이형 수납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되, 그 상하부면이 개구되고, 그 측면이 폐쇄된 파이형 저장부와;
    상기 파이형 저장부를 상기 파이형 수납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회전시키는 배출용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가:
    상부면은 개구되고, 하부면은 폐쇄된 원통 형상을 가지어 상기 제 2 회전체의 하부측을 수납하되,
    그 폐쇄된 하부면에 상기 파이형 저장부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파이형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통과시키는 파이형 주유홈과;
    상기 결합봉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그 폐쇄된 면의 중앙부위에 형성한 제 2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이:
    그 상부면이 개구된 원뿔 형상을 가지되, 그 하부측에는 상기 파이형 주유홈으로부터 배출되는 분말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저장통에 형성된 파이형 배출홈과, 상기 베이스체에 형성된 파이형 주유홈이 18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형 배출홈과, 파이형 통과홈 및 파이형 주유홈의 양단면을 인장하여 연결한 가상의 두 중심선의 각이 9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에 형성된 절개홈의 길이는 파이형 수납부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KR1020050032670A 2005-04-20 2005-04-20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KR10074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70A KR100749131B1 (ko) 2005-04-20 2005-04-20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70A KR100749131B1 (ko) 2005-04-20 2005-04-20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04A true KR20060110904A (ko) 2006-10-26
KR100749131B1 KR100749131B1 (ko) 2007-09-17

Family

ID=3761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70A KR100749131B1 (ko) 2005-04-20 2005-04-20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1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456A1 (ko) * 2011-06-28 2013-01-03 Jung Sung Ha 분유 디스펜서
WO2013055200A1 (en) * 2011-10-12 2013-04-18 Siow Kuang Ling Siew Kuang Choo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
KR102483782B1 (ko) * 2022-01-10 2022-12-30 주성준 유자를 이용한 유자 양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자 양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62B1 (ko) * 2011-03-18 2013-07-31 (주)에스엔피월드 배출조절바가 구비된 액상물질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773U (ko) 1973-08-20 1975-05-02
KR100511878B1 (ko) * 2003-10-02 2005-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 기능이 겸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456A1 (ko) * 2011-06-28 2013-01-03 Jung Sung Ha 분유 디스펜서
WO2013055200A1 (en) * 2011-10-12 2013-04-18 Siow Kuang Ling Siew Kuang Choo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
KR102483782B1 (ko) * 2022-01-10 2022-12-30 주성준 유자를 이용한 유자 양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자 양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131B1 (ko) 2007-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5075A1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7980426B2 (en) Device for dosed discharge of a powder-form medium
US9682851B2 (en) Scoop and funnel
EP3040289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KR100749131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US6484905B1 (en) Powder dispenser
KR20100138331A (ko) 페트병에 탈장착되는 분말 조절토출기
FR2546742A1 (fr) Dispositif distributeur de rondelles formant reperes sur des broches a canaux
IT9020826A1 (it) Contenitore per bevande a bottiglia
EP2291633B1 (fr) Appareil de dilution d&#39;un échantillon
US20160256012A1 (en) Single Serve Scoop and Funnel
JP2002264975A (ja) 粉末定量振出容器
CN101432220B (zh) 分配设备
JP6774904B2 (ja) 計量キャップ
CN214987306U (zh) 分液盖
KR200155389Y1 (ko) 휴대용 분유통의 정량 유출장치
JP2007069947A (ja) 計量容器
KR200201885Y1 (ko) 분유량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분유용기
KR20140115554A (ko) 정량토출 용기
JP2008044659A (ja) 摺り切り計量キャップ
KR200183824Y1 (ko) 분말 대상물의 계량배출장치
JPH09295653A (ja) 計量部付きキャップ
KR20220093450A (ko) 액체 상태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하는 것이 편리한 보관 용기
JPH0330282Y2 (ko)
KR20020046942A (ko) 분말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