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573A -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573A
KR20060110573A KR20050032923A KR20050032923A KR20060110573A KR 20060110573 A KR20060110573 A KR 20060110573A KR 20050032923 A KR20050032923 A KR 20050032923A KR 20050032923 A KR20050032923 A KR 20050032923A KR 20060110573 A KR20060110573 A KR 2006011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channel signal
control channel
ban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3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163B1 (ko
Inventor
서창호
조영권
박동식
우정수
홍성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3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163B1/ko
Priority to RU2007138977A priority patent/RU2370893C2/ru
Priority to PCT/KR2006/001489 priority patent/WO2006112677A1/en
Priority to EP06008226.0A priority patent/EP1715705B1/en
Priority to JP2006117250A priority patent/JP4276240B2/ja
Priority to US11/407,799 priority patent/US7688926B2/en
Priority to CN2006100792909A priority patent/CN1855764B/zh
Publication of KR2006011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 시스템과,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2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제1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주파수 오버레이, NB 통신 시스템, EB 통신 시스템, 프레임 구조, 채널 구조

Description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FREQUENCY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의 셀 획득 과정 을 도시한 순서도
도 9a-도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와 EB-BS간의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수신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수신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파수 오버레이(frequency overlay)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그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들이 다양해지고, 따라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broadband) 통신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주파수 자원은 한정된 자원이기 때문에 광대역의 통신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한정되어 있고,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들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역시 고려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 설계에 난이한 점이 있다.
한편, 현재 제안되어 있는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은 상기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 각각에서 상기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별도로 할당받아 사용한다는 기본 가정하에 설계된 시스템들이다. 그러나, 상기 광대역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license) 비용은 증가하게 되고,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의 증가로 인해 실제 광대역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식들은 다양하게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광대역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식들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 대역의 한정성을 극복하면서도, 즉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상기 광대역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통신 시스템들과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 시스템과,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2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제1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채널 생성기와,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파일럿 채널 생성기와,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트래픽 채널 생성기와,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채널 생성기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그 전송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스케쥴러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파일럿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운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아닌 비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2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채널 생성기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생성기와,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트래픽 채널 생성기와,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채널 생성기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미리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채널 신호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업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아닌 비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2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통신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제2통신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2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제1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그 전송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파일럿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운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아닌 비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2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미리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채널 신호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업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아닌 비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제2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주파수 오버레이(frequency overlay)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주파수 자원의 한정성으로 인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license) 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 사용으로 인한 기존 통신 시스템들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하며, 효율적인 스케쥴링(scheduling)을 최대 전송량을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할당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기 이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즉 비주파수 오버레이(non-frequency overlay)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 fc1과 이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을 '협대역(NB: Narrow Band, 이하 'NB'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하고,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을 '확장 대역(EB: Extended Band, 이하 'EB'라 칭하 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을 NB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는 이유는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비해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좁기 때문이며,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 자체가 협대역임을 나타내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런데,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전송량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NB 통신 시스템은 그 사용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bandwidth)을 확장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확장된 통신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확장된 통신 시스템을 상기 NB 통신 시스템과 주파수 대역상에서 오버레이되는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B 통신 시스템과 주파수 대역상에서 오버레이되는 형태로 그 사용 주파수 대역이 결정되는 통신 시스템이 결과적으로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 즉 EB 통신 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 감소 측면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확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라이센스 비용은 주파수 자원의 한정성으로 인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 증가는 서비스 사업자(service provider)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만약,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배치(deploy)할 경우 새로운 NB 통신 시 스템에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대역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만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므로 서비스 사업자는 상기 추가적으로 발생한 라이센스 비용만을 부담하면 되므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이 비교적 덜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2)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자원 효율성 증가 측면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오버레이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주파수 자원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 중의 한 요소가 주파수 효율성인데, 상기 주파수 효율성 역시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서비스 사업자는 주파수 자원의 효율성에 비례하여 그 가입자들로부터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들의 수가 증가하면 스케쥴링 이득(scheduling gain)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를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multiuser diversity gain)이라고 칭한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할 경우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을 NB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들뿐만 아니라 EB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들까지도 공유함으로써 상기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에서는 결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들의 수가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이는 주파수 자원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물론, 상기 주파수 자원 효율 성의 구체적인 증가량은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스케쥴러(scheduler)의 스케쥴링 방식에 따라 상이해지는데, 상기 주파수 자원의 효율성을 최대화시키는 스케쥴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할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transceiver module)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확장되기 이전의 통신 시스템, 즉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r, 이하 'IFFT'라 칭하기로 한다)/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라 칭하기로 한다) 포인트(point) 수가 'N'이라고 가정하고, 사용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확장된 이후의 통신 시스템, 즉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IFFT/FFT 포인트 수가 'M'(단, M>N)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기지국(BS: Base Station, 이하 'BS'라 칭하기로 한다)(200)에서는 N-포인트 IFFT/FFT 모듈(module)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M-포인트 IFFT/FFT 모듈만으로도 NB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MS: Mobile Station, 이하 'MS'라 칭하기로 한다), 즉 제1MS(MS#1)(240)과 EB 통신 시스템의 MS, 즉 제2MS(MS#2)(260)에 서비 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개의 IFFT/FFT 모듈, 즉 M-포인트 IFFT/FFT 모듈만으로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의 MS들 모두에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기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의 경계 주파수 대역에 보호 대역(guard band)을 구비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 대역의 구체적인 사이즈(size)는 대역 통과 필터(BPF: Band-Pass Filter, 이하 'BPF'라 칭하기로 한다)의 성능에 의해 좌우되며, 상기 보호 대역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IFFT/FFT 포인트 수가 'N'이라고 가정하고,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IFFT/FFT 포인트 수가 'M'(단, M>N)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시스템을 확장할 때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BS를 배치하다가 보면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BS를 배치하지 못하고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 는 BS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BS를 'EB-BS'이라 칭하기로 하고,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BS를 'NB-BS'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시스템 확장이 완료되면 특정 지역에 대해 상기 NB-BS만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시스템 확장 중간 단계에서는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는 달리 BS가 NB-BS일 경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IFFT/FFT 포인트에 대해서도 고려해야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BS가 NB-BS(300)이므로 N-포인트 IFFT/FFT 모듈만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간에 보호 대역만 존재할 경우 상기 NB-BS(300)은 N-포인트 IFFT/FFT 모듈만을 사용해도 N-포인트 IFFT/FFT 모듈을 사용하는 제1MS(MS#1)(340) 뿐만 아니라 M-포인트 IFFT/FFT 모듈을 사용하는 제2MS(MS#2)(360)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대역의 구체적인 사이즈는 BPF의 성능에 의해 좌우되며, 상기 보호 대역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수신기 모듈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DL: Downlink) 프레임(frame)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이하 'E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이라 칭하기로 한다)(470)은 NB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다운링크 프레임(이하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이라 칭하기로 한다)(400)과, 상기 EB 통신 시스템을 위해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 종속적인 형태로 추가되는 다운링크 프레임, 즉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450)과, 상기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과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450)간의 보호 대역(430)을 포함한다.
첫 번째로, 상기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은 협대역 프리앰블 채널(NB-PCH: Narrow Band-Preamble CHannel, 이하 'NB-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NB-PICH: Narrow Band-Pilot CHannel, 이하 'NB-PI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트래픽 채널(NB-TCH: Narrow Band-Traffic CHannel, 이하 'NB-T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제어 채널(NB-CCH: Narrow Band-Control CHannel, 이하 'NB-CCH'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한다.
두 번째로, 상기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450)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450)은 협대역 종속적 프리앰 블 채널(NB-DPCH: Narrow Band-Dependent Preamble CHannel, 이하 'NB-D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NB-DPICH: Narrow Band-Dependent Pilot CHannel, 이하 'NB-DPI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트래픽 채널(NB-DTCH: Narrow Band-Dependent Traffic CHannel, 이하 'NB-DT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제어 채널(NB-DCCH: Narrow Band-Dependent Control CHannel, 이하 'NB-DCCH'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E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70)은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과, 보호 대역(430)과,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450)을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채널(EB-PCH: Extended Band-Preamble CHannel, 이하 'EB-PCH'라 칭하기로 한다)은 상기 NB-PCH와 NB-DPCH를 포함하며, 두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채널(EB-PICH: Extended Band-Pilot CHannel, 이하 'EB-PICH'라 칭하기로 한다)은 NB-PICH와 NB-DPICH를 포함하며, 세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EB-TCH: Extended Band-Traffic CHannel, 이하 'EB-TCH'라 칭하기로 한다)는 NB-TCH와 NB-DTCH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제어 채널(EB-CCH: Extended Band- Control CHannel. 이하 'EB-CCH'라 칭하기로 한다)은 NB-CCH와 NB-DCCH를 포함한다.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EB-PCH는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상기 NB-PCH를 그대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EB-PCH는 NB-PCH와 상관도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시간/주파수 동기 및 채널 추정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NB-DPCH는 반드시 상기 NB-PCH에 종속적인 구조를 지녀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EB-PCH는 상기 시간/주파수 동기 및 채널 추정뿐만 아니라 셀 획득(cell acquisition)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물론, 상기 EB-PCH를 사용하여 셀 획득까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EB-PCH가 아닌 EB-PICH를 통해 셀 획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EB-PICH를 사용하여 셀 획득을 수행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EB-PICH는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상기 NB-PICH를 그대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NB-PICH에 종속적인 구조를 가지는 NB-DPICH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EB-PICH를 사용하여 셀 획득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EB-PCH를 사용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주파수 동기 및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EB-PICH를 사용하여 셀 획득을 수행하는 경우만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EB-PICH를 사용하여 셀을 획득하는 방식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방식은 시간-주파수 영역(time-frequency domain)의 위치에 상응하 게 생성된 파일럿 패턴(pilot pattern)을 사용하여 셀을 획득하는 방식이다.
상기 첫 번째 방식은 파일럿 패턴을 시간-주파수 영역상의 위치에 상응하게 검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퀀스(sequence)로 정의되는 파일럿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상기 EB-PICH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상의 위치에 상응하게 파일럿 패턴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파일럿 패턴에 상응하게 해당 셀을 획득한다. 그러나, 상기 첫 번째 방식은 상기 파일럿 패턴이 시간-주파수 영역상에서 고유해야하기 때문에 구분 가능한 파일럿 패턴들의 개수에 있어 큰 제약이 있어, 결과적으로 구분 가능한 셀들의 개수에 큰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그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셀들, 즉 BS들의 개수 역시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상기 첫 번째 방식을 사용할 경우 구분 가능한 셀들의 개수 제한은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두 번째 방식은 고정적인 시간-주파수 영역의 위치에 시퀀스로 정의된 파일럿 패턴을 사용하여 셀을 획득하는 방식이다.
상기 두 번째 방식은 파일럿 패턴을 고정된 시간-주파수 영역의 위치에서 미리 정의된 시퀀스를 가지는 파일럿 패턴을 사용하여 셀을 획득하기 때문에, 시간-주파수 영역의 위치 뿐만 아니라 시퀀스까지 고려하여 파일럿 패턴을 검출하므로 구분 가능한 셀들의 개수가 증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두 번째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파일럿 패턴들간에는, 즉 상기 시퀀스들간에는 직교성이 유지되고,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과의 호환성 및 직교성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상기 파일럿 패턴을 구성하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식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상기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의 파일럿 패턴들은 독립적으로 혹은 종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한편, 상기 EB-TCH는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상기 NB-TCH를 그대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NB-TCH에 종속적인 구조를 가지는 NB-DTCH를 포함하며, 상기 EB-CCH는 NB 통신 시스템과 EB 통신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상기 NB-CCH를 그대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NB-CCH에 종속적인 구조를 가지는 NB-DCCH를 포함하며, 상기 EB-TCH 및 EB-CCH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UL: Uplink)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프레임(이하 'E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이라 칭하기로 한다)(570)은 NB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업링크 프레임(이하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이라 칭하기로 한다)(500)과, 상기 EB 통신 시스템을 위해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 종속적인 형태로 추가되는 업링크 프레임, 즉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업링크 프레임(550)과, 상기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과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 (550)간의 보호 대역(530)을 포함한다.
첫 번째로, 상기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은 협대역 동기 채널(NB-SCH: Narrow Band-Synchronization CHannel, 이하 'NB-S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랜덤 억세스 채널(NB-RACH: Narrow Band-Random Access CHannel, 이하 'NB-RACH'라 칭하기로 한다)과, NB-CCH와, NB-TCH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내의 NB-TCH는 업링크 채널이며, 상기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내의 NB-TCH는 다운링크 채널이라는 점에서만 상이하며 실질적인 동작은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내의 NB-CCH는 상기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내의 NB-CCH와는 그 동작면에서 매우 상이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상기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업링크 프레임(550)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업링크 프레임(550)은 협대역 종속적 동기 채널(NB-DSCH: Narrow Band-Dependent Synchronization CHannel, 이하 'NB-DS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랜덤 억세스 채널(NB-DRACH: Narrow Band-Dependent Random Access CHannel, 이하 'NB-DRACH'라 칭하기로 한다)과, NB-DCCH와, NB-DTCH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업링크 프레임(550) 내의 NB-DTCH는 업링크 채널이며, 상기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다운링크 프레임(450)내의 NB-DTCH는 다운링크 채널이라는 점에서만 상이하며 실질적인 동작은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내의 NB-DCCH는 상기 NB 통신 시스템 다운링크 프레임(400)내의 NB-DCCH와는 그 동작면에서 매우 상이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E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70)은 NB 통신 시스템 업링크 프레임(500)과, 보호 대역(530)과, NB 통신 시스템 종속적 업링크 프레임(550)을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동기 채널(EB-SCH: Extended Band-Synchronization CHannel, 이하 'EB-SCH'라 칭하기로 한다)은 상기 NB-SCH와 NB-DSCH를 포함하며, 두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채널(EB-RACH: Extended Band-Random Access CHannel, 이하 'EB-RACH'라 칭하기로 한다)은 NB-RACH와 NB-DRACH를 포함하며, 세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채널 품질 정보 채널(EB-CQICH: Extended 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이하 'EB-CQICH'라 칭하기로 한다)는 NB-CQICH와 NB-DCQICH를 포함하며, 네 번째로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인지/부정적 인지 채널(EB-ANCH: Extended Band-Ack/Nack CHannel, 이하 'EB-ANCH'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EB-TCH는 NB-TCH와 NB-DTCH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 5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EB-SCH와, EB-RACH와, EB-CQICH와, EB-ANCH와 EB-TCH를 제외한 나머지 업링크 자원을 제어 정보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제어 채널로 할당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들 각각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채널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은 EB-PCH와, EB-PICH와, EB-TCH와, EB-CCH를 포함한다.
첫 번째로, 상기 EB-P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PCH는 NB-PCH와 NB-DPCH를 포함하며, 다운링크 프레임의 시작부분에서 전송되는 채널로서, 상기 EB-PCH를 사용하여 시간/주파수 동기 획득과, 채널 추정 및 셀 획득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상기 EB-PI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PICH는 NB-PICH와 NB-DPICH를 포함하며, 상기 EB-PCH 이후에 EB-TCH와 EB-CCH와 시간상으로 다중화되는 채널로서, 상기 EB-PCH와 마찬가지로 상기 EB-PICH를 사용하여 시간/주파수 동기 획득과, 채널 추정 및 셀 획득이 가능하다.
세 번째로, 상기 EB-T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TCH는 NB-TCH와 NB-DTCH를 포함하며, 상기 EB-TCH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가 전송된다.
네 번째로, 상기 EB-C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CCH는 NB-CCH와 NB-DCCH를 포함하며, 다운링크 랜덤 억세스와, 자원 요구와, 트래픽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한 제어 채널이며, 상기 NB-CCH와 NB-DCCH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NB-CCH는 협대역 억세스 승인 채널(NB-AGCH: Narrow Band-Access Grant Channel, 이하 'NB-AG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다운링크 맵 채널(NB-DL-MAPCH: Narrow Band-DownLink MAP Channel, 이하 'NB-DL-MA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업링크 맵 채널(NB-UL-MAPCH: Narrow Band-Uplink MAP Channel, 이하 'NB-UL-MA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채널 품질 정보량 채널(NB-CQIACH: Narrow 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Amount CHannel, 이하 'NB-CQIA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웨이크업 채널(NB-WUCH: Narrow Band-Wake-Up Channel, 이하 'NB-WUCH'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NB-DCCH는 확장대역-협대역 억세스 허가 채널(EB-NB-APCH: Extended Band-Narrow Band Access Permission Channel, 이하 'EB-NB-A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억세스 승인 채널(NB-DAGCH: Narrow Band-Dependent Access Grant Channel, 이하 'NB-DAG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다운링크 맵 채널(NB-DDL-MAPCH: Narrow Band-Dependent DownLink MAP Channel, 이하 'NB-DDL-MA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업링크 맵 채널(NB-DUL-MAPCH: Narrow Band-Dependent Uplink MAP Channel, 이하 'NB-DUL-MAP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채널 품질 정보량 채널(NB-DCQIACH: Narrow Band-Dependent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mount CHannel, 이하 'NB-DCQIA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웨이크업 채널(NB-DWUCH: Narrow Band-Dependent Wake-Up Channel, 이하 'NB-DWUCH'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NB-AGCH와, NB-DL-MAPCH와, NB-UL-MAPCH와, NB-CQIACH와, NB-WUCH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NB-AGCH는 MS가 업링크를 통해, 즉 NB-RACH를 통해 랜덤 억세스를 시도할 경우 상기 MS의 랜덤 억세스를 허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로서, 상기 NB-AGCH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상기 NB-DL-MAPCH는 NB-TCH의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상기 NB-TCH의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라 함은 상기 NB-TCH에 적용된 자원 영역 정보와, 변조(modulation) 방식 정보와, 코딩(coding) 방식 정보를 나타낸다.
세 번째로, 상기 NB-UL-MAPCH는 NB-TCH의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상기 NB-TCH의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라 함은 상기 NB-TCH에 적용된 자원 영역 정보와, 변조방식 정보와, 코딩 방식 정보를 나타낸다.
네 번째로, 상기 NB-CQIACH는 NB 통신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는 MS(이하 'NB-MS'라 칭하기로 한다)가 피드백해야 할 CQI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다. 물론,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CQI를 모두 전송하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NB-MS가 피드백할 CQI 양은 고정적이 되며,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CQI를 모두 전송하지 않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NB-MS가 피드백할 CQI 양은 가변적이 된다. 상기 NB 통신 시스템은 업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uplink signalling overhead)를 고러하여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이 아닌 일부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NB-MS가 CQI를 피드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섯 번째로, NB-WUCH는 NB-MS가 슬립 모드(sleep mode)에 존재할 때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NB-MS를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NB-MS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EB-NB-APCH와, NB-DAGCH와, NB-DDL-MAPCH와, NB-DUL-MAPCH와, NB-DCQIACH와, NB-DWU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EB-NB-AP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EB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EB 통신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는 MS(이하 'EB-MS'라 칭하기로 한다)는 NB-DRACH를 통해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NB-DRACH를 사용하는 MS들의 개수에 비해 NB-RACH를 사용하는 MS들의 개수가 적을 경우 EB-MS라고 하더라도 상기 NB-RACH를 사용하도록 허가하여야만 시스템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EB-NB-APCH는 상기 EB-MS의 NB-RACH 사용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상기 EB-NB-APCH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상기 NB-DAGCH는 NB-DRACH를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EB-MS에 대해 상기 랜덤 억세스를 허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상기 NB-DAGCH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NB-DDL-MAPCH는 NB-DTCH의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상기 NB-DTCH의 다운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라 함은 상기 NB-DTCH에 적용된 자원 영역 정보와, 변조 방식 정보와, 코딩 방식 정보를 나타낸다.
네 번째로, NB-DUL-MAPCH는 NB-DTCH의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상기 NB-DTCH의 업링크 트래픽 데이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라 함은 상기 NB-DTCH에 적용된 자원 영역 정보와, 변조방식 정보와, 코딩 방식 정보를 나타낸다.
다섯 번째로, NB-DCQIACH는 EB-MS가 피드백해야할 CQI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다. 물론,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CQI를 모두 전송하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EB-MS가 피드백할 CQI 양은 고정적이 되며,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 CQI를 모두 전송하지 않도록 할 경우에는 상 기 EB-MS가 피드백할 CQI 양은 가변적이 된다. 상기 EB 통신 시스템은 업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고러하여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이 아닌 일부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EB-MS가 CQI를 피드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섯 번째로, NB-DWUCH는 EB-MS가 슬립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EB-MS를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EB-MS를 웨이크업하는 동작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제어 채널들 이외에도 새로운 기능들을 수행하는 제어 채널들이 다운링크 채널 구조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은 EB-SCH와, EB-RACH와, EB-CCH와, EB-TCH를 포함한다.
첫 번째로, 상기 EB-S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SCH는 NB-SCH와 NB-DSCH를 포함하며, 상기 EB-SCH를 사용하여 업링크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할 수 있고, 자원 요구를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EB-RA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RACH는 NB-RACH와 NB-DRACH를 포함하며, 상기 EB-RACH를 통해 NB-MS 혹은 EB-MS가 NB-BS 혹은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NB-MS 혹은 EB-MS가 NB-BS 혹은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상기 EB-CCH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B-CCH는 NB-CCH와 NB-DCCH를 포함하며, 상기 NB-CCH와 NB-DCCH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NB-CCH는 협대역 자원 요구 채널(NB-RRCH: Narrow Band-Resource Request Channel, 이하 'NB-RR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채널 품질 정보 채널(NB-CQICH: Narrow 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이하 'NB-CQI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인지/부정적 인지 채널(NB-ANCH: Narrow Band-Ack/Nack CHannel, 이하 'NB-AN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핸드오프 요구 채널(NB-HRCH: Narrow Band-Handoff Request Channel, 이하 'NB-HRCH'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NB-DCCH는 협대역 종속적 자원 요구 채널(NB-DRRCH: Narrow Band-Dependent Resource Request Channel, 이하 'NB-DRR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채널 품질 정보 채널(NB-DCQICH: Narrow Band-Dependent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이하 'NB-DCQI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인지/부정적 인지 채널(NB-DANCH: Narrow Band-Dependent Ack/Nack CHannel, 이하 'NB-DANCH'라 칭하기로 한다)과, 협대역 종속적 핸드오프 요구 채널(NB-DHRCH: Narrow Band-Dependent Handoff Request Channel, 이하 'NB-DHRCH'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NB-RRCH와, NB-CQICH와, NB-ANCH와, NB-HRCH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NB-RRCH는 NB-MS의 자원 요구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두 번째로, 상기 NB-CQICH는 NB-MS가 피드백하는 CQI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세 번째로, 상기 NB-ANCH는 상기 NB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HARQ: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적용할 경우 NB-MS가 피드백하는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네 번째로, 상기 NB-HRCH는 NB-MS가 해당 BS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다.
다음으로 NB-DRRCH와, NB-DCQICH와, NB-DANCH와, NB-DHRCH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NB-DRRCH는 EB-MS의 자원 요구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두 번째로, 상기 NB-DCQICH는 EB-MS가 피드백하는 CQI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세 번째로, 상기 NB-DANCH는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HARQ 방식을 적용할 경우 EB-MS가 피드백하는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며, 네 번째로, 상기 NB- DHRCH는 EB-MS가 해당 BS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이다.
한편,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제어 채널들 이외에도 새로운 기능들을 수행하는 제어 채널들이 다운링크 채널 구조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 채널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의 셀 획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의 셀 획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EB-MS는 811단계에서 파워 온(power on)한 후 813단계에서 NB-DPCH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NB-DPCH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8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5단계에서 상기 EB-MS는 상기 측정한 NB-DPCH 신호의 수신 전력이 미리 설정한 임계 전력 PTH를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NB-DPCH 신호의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 전력 PTH를 초과할 경우 상기 EB-MS는 8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7단계에서 상기 EB-MS는 상기 NB-DPCH 신호의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 전력 PTH를 초과하였으므로 주변에 EB-BS가 존재함으로 판단하여 EB-BS 셀 획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EB-BS 셀 획득은 EB-PICH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파일럿 패턴 검출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EB-MS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EB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EB-BS들의 파 일럿 패턴들을 미리 알고 있어야만 한다. 물론, 상기 EB-BS 셀 획득을 수행시 상기 EB-PICH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파일럿 패턴 검출 뿐만 아니라 프리앰블 패턴 검출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들로 EB-BS 셀 획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EB-BS 셀 획득후, 상기 EB-MS는 해당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EB-MS가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815단계에서 상기 검사 결과 상기 NB-DPCH 신호의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 전력 PTH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EB-MS는 주변에 EB-BS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8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19단계에서 상기 EB-MS는 NB-BS 셀 획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NB-BS 셀 획득은 NB-PICH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파일럿 패턴 검출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EB-MS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NB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NB-BS들의 파일럿 패턴들을 미리 알고 있어야만 한다. 물론, 상기 NB-BS 셀 획득을 수행시 상기 NB-PICH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파일럿 패턴 검출 뿐만 아니라 프리앰블 패턴 검출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들로 NB-BS 셀 획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NB-BS 셀 획득후, 상기 EB-MS는 해당 N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EB-MS가 N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의 셀 획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9a-도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와 EB-BS간의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9a-도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와 EB-BS간의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9a-도9b에서는 각 단계의 동작 주체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각 단계별로 그 동작 주체를 별도로 표기하였음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상기 도 9a-도9b를 참조하면, 먼저 EB-PICH를 사용하여 셀 획득을 완료한 EB-MS는 NB-DRACH를 사용하여 상기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한다(911단계). 그러면, 상기 EB-BS는 상기 NB-DRACH를 사용하여 상기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EB-MS의 개수가 많아 상기 NB-DRACH의 충돌(collision) 빈도가 높거나 혹은 상기 NB-DRACH를 정상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한지 검사한다(913단계). 여기서, 상기 EB-BS는 상기 NB-DRACH의 충돌 빈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 충돌 빈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NB-DRACH의 충돌 빈도가 높다고 판단하며, 상기 임계 충돌 빈도는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NB-DRACH의 충돌 빈도가 높거나 혹은 상기 NB-DRACH를 정상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EB-BS는 상기 EB-MS에 NB-RACH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지 검사한다(915단계). 여기서, 상기 EB-BS는 상기 NB-RACH의 충돌 빈도가 낮을 경우, 즉 상기 NB-RACH를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NB-MS의 개수가 비교적 적을 경우에만 상기 EB-MS에 NB-RACH를 할당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EB-MS에 상기 NB-RACH를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EB-BS는 상기 NB-RACH를 할당하지 못하고, 따라서 상기 EB-MS는 미리 설정한 대기 시간을 대기한 후(917단계) 다시 상기 NB-DRACH를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한다(911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EB-MS는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알고리즘(algorithm)을 사용하여 상기 대기 시간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 EB-MS에 상기 NB-RACH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EB-BS는 상기 EB-MS에 상기 NB-RACH를 할당하고, 상기 EB-MS로 상기 NB-RACH를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허가되었음을 EB-NB-APCH를 통해 통보한다(919단계). 따라서, 상기 EB-MS는 상기 NB-RACH를 통해 상기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한다(921단계). 그러면, 상기 EB-BS는 상기 NB-RACH를 사용하여 상기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NB-MS 및 EB-MS의 개수가 많아 상기 NB-RACH의 충돌 빈도가 높거나 혹은 상기 NB-RACH를 지원하는 것이 정상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한지를 검사한다(923단계). 여기서, 상기 EB-BS는 상기 NB-RACH의 충돌 빈도가 미리 설정한 임계 충돌 빈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NB-RACH의 충돌 빈도가 높다고 판단하며, 상기 임계 충돌 빈도는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NB-RACH의 충돌 빈도가 높거나 혹은 상기 NB-RACH를 정상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EB-MS는 미리 설정한 대기 시간을 대기한 후(925단계) 상기 NB-RACH를 통해 다시 상기 EB-BS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NB-RACH의 충돌 빈도가 낮거나 혹은 상기 NB-RACH를 지원 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EB-BS는 상기 EB-MS로 NB-AGCH를 통해 상기 NB-RACH를 통한 랜덤 억세스를 승인하였음을 통보한다(927단계). 그러면, 상기 EB-MS는 NB-RRCH를 통해 상기 EB-BS로 자원을 요구한다(929단계).
한편, 상기 NB-DRACH의 충돌 빈도가 낮거나 혹은 상기 NB-DRACH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EB-BS는 NB-DAGCH를 통해 상기 EB-MS로 상기 NB-DRACH를 통한 랜덤 억세스를 승인하였음을 통보한다(931단계). 그러면, 상기 EB-MS는 NB-DRRCH를 통해 상기 EB-BS로 자원을 요구한다(933단계).
상기 EB-BS는 NB 통신 시스템의 자원, 즉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935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의 유휴 주파수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EB-BS는 상기 EB-MS에게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 혹은 확장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NB-DL-MAPCH/NB-UL-MAPCH 혹은 NB-DDL-MAPCH/NB-DUL-MAPCH를 통해 상기 EB-MS로 통보한다(937단계). 여기서, 상기 EB-BS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스케쥴링(scheduling)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EB-MS에게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 혹은 확장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EB-MS와 상기 EB-BS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 NB-TCH 혹은 NB-DTCH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한다(939단계).
만약, 상기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의 유휴 주파수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EB-BS는 상기 EB-MS에게 확장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할 당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NB-DDL-MAPCH/NB-DUL-MAPCH를 통해 상기 EB-MS로 통보한다(941단계). 여기서, 상기 EB-BS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스케쥴링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EB-MS에게 확장 주파수 대역의 유휴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EB-MS와 상기 EB-BS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 NB-DTCH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한다(943단계).
상기 도 9a-도9b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에서 EB-MS와 EB-BS간의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송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EB-BS 송신 장치는 스케쥴러(1011)와, PCH 생성기(1013)와, PICH 생성기(1015)와, DL-TCH 생성기(1017)와, DL-CCH 생성기(1019)와, 다중화기(multiplexer)(1021)와, M-포인트 IFFT기(M-point IFFT unit)(1023)와, RF 송신기(102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MS들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는 상기 스케쥴러(1011)로 전달되고, 상기 스케쥴러(1011)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링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그 스케쥴링된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DL-TCH 생성기(1017)로 출력하고, 상기 스케쥴링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DL-CCH 생성기(1019)와 상기 다중화기(102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쥴러(1011)의 스케쥴링 동작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PCH 생성기(1013)는 PCH, 즉 NB-PCH와, 보호 대역 신호와, NB-DPCH를 포함하는 EB-P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021)로 출력한다. 상기 PICH 생성기(1015)는 PICH, 즉 NB-PICH와, 보호 대역 신호와, NB-DPICH를 포함하는 EB-PI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021)로 출력한다. 상기 DL-TCH 생성기(1017)는 DL-TCH, 즉 NB-TCH와 NB-DTCH를 포함하는 EB-T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021)로 출력한다. 상기 DL-CCH 생성기(1019)는 DL-CCH, 즉 NB-CCH와 NB-DCCH를 포함하는 EB-C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02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NB-CCH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B-AGCH와, NB-DL-MAPCH와, NB-UL-MAPCH와, NB-CQICH와, NB-WUCH를 포함하며, 상기 NB-DCCH는 EB-NB-APCH와, NB-DDL-MAPCH와, NB-DUL-MAPCH와, NB-DCQICH와, NB-DWUCH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화기(1021)는 상기 PCH 생성기(1013)에서 출력한 PCH와, 상기 PICH 생성기(1015)에서 출력한 PICH와, 상기 DL-TCH 생성기(1017)에서 출력한 DL-TCH와, 상기 DL-CCH 생성기(1019)에서 출력한 DL-CCH를 상기 스케쥴러(1011)에서 출력한 자원 할당 정보에 상응하게 시간 영역(time domain) 및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다중화하여 다운링크 채널로 생성한 후 상기 M-포인트 IFFT기(1023)로 출력한다.
상기 M-포인트 IFFT기(1023)는 상기 다중화기(1021)에서 출력한 다운링크 채 널 신호를 입력하여 M-포인트 IFFT를 수행한 후 상기 송신기(1025)로 출력한다. 상기 송신기(1025)는 상기 M-포인트 IFFT기(1023)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송신 처리하여, 즉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에어(air) 상으로 송신한다.
상기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송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수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수신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EB-BS 수신 장치는 RF 수신기(1111)와, M-포인트 FFT기(M-point FFT unit)(1113)와, 역다중화기(de-multiplexer)(111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RF 수신기(1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즉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 대역(baseband) 신호로 처리한 후 상기 M-포인트 FFT기(1113)로 출력한다. M-포인트 FFT기(1113)는 상기 수신기(1111)에서 출력한 신호를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역다중화하여 SCH, 즉 NB-SCH와 NB-DSCH를 포함하는 EB-SCH와, RACH, 즉 NB-RACH와 NB-DRACH를 포함하는 EB-RACH와, UL-TCH, 즉 NB-TCH와 NB-DTCH를 포함하는 EB-TCH와, UL-CCH, 즉 NB-CCH와 NB-DCCH를 포함하는 EB-CCH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B-CCH는 NB-RRCH와, NB-CQICH와, NB-ANCH와, NB-HRCH를 포함하며, 상기 NB-DCCH는 NB-DRRCH와, NB-DCQICH와, NB-DANCH와, NB-DHRCH를 포함한다.
상기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BS 수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송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송신 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EB-MS 송신 장치는 SCH 생성기(1211)와, RACH 생성기(1213)와, UL-TCH 생성기(1215)와, UL-CCH 생성기(1217)와, 다중화기(1219)와, M-포인트 IFFT기(1221)와, 송신기(122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SCH 생성기(1211)는 SCH, 즉 NB-SCH와, 보호 대역 신호와, NB-DSCH를 포함하는 EB-SCH를 생성한 후 상기 다중화기(1219)로 출력한다. 상기 RACH 생성기(1213)는 RACH, 즉 NB-RACH와, NB-DRACH를 포함하는 EB-RA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219)로 출력한다. 상기 UL-TCH 생성기(1215)는 UL-TCH, 즉 NB-TCH와 NB-DTCH를 포함하는 EB-T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219)로 출력한다. 상기 UL-CCH 생성기(1217)는 UL-CCH, 즉 NB-CCH와 NB-DCCH를 포함하는 EB-CCH를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기(1219)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B-CCH는 NB-RRCH와, NB-CQICH와, NB-ANCH와, NB-HRCH를 포함하며, 상기 NB-DCCH는 NB-DRRCH와, NB-DCQICH와, NB-DANCH와, NB-DHRCH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 12에서는 SCH 생성기(1211)와, RACH 생성기(1213)와, UL-TCH 생성기(1215)와, UL-CCH 생성기(1217)가 모두 EB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상 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들을 생성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며,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해당 채널을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 예로 상기 RACH 생성기(1213)는 EB-BS에서 NB-RACH를 통해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허락하였을 경우 상기 NB-RACH만을 생성하여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송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수신 장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B 통신 시스템의 EB-MS 수신 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EB-MS 수신 장치는 수신기(1311)와, M-포인트 FFT기(1313)와, 역다중화기(131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수신기(13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즉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처리한 후 상기 M-포인트 FFT기(1313)로 출력한다. M-포인트 FFT기(1313)는 상기 수신기(1311)에서 출력한 신호를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역다중화하여 PCH, 즉 NB-PCH와 NB-DPCH를 포함하는 EB-PCH와, PICH, 즉 NB-PICH와, 보호 대역 신호와, NB-DPICH를 포함하는 EB-PICH와, DL-TCH, 즉 NB-TCH와 NB-DTCH를 포함하는 EB-TCH와, DL-CCH, 즉 NB-CCH와 NB-DCCH를 포함하는 EB-CCH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NB-CCH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B-AGCH와, NB-DL-MAPCH와, NB-UL-MAPCH와, NB-CQICH와, NB-WUCH 를 포함하며, 상기 NB-DCCH는 EB-NB-APCH와, NB-DDL-MAPCH와, NB-DUL-MAPCH와, NB-DCQICH와, NB-DWUCH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 13에서는 상기 EB-MS 수신 장치가 EB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EB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채널들을 수신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며, 상기 EB 통신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해당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 예로 상기 EB-MS 수신 장치는 상기 상기 EB-BS의 제어에 따라 NB-TCH만을 수신하거나 혹은 NB-DTCH만을 수신하거나 혹은 NB-TCH와 NB-DTCH 모두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1)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 감소 측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대역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만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므로 서비스 사업자는 상기 추가적으로 발생한 라이센스 비용만을 부담하면 되므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 스 비용이 비교적 덜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2)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자원 효율성 증가 측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오버레이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주파수 자원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즉,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에서는 사용자 억세스가 기본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다중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주파수 자원 효율은 서비스 사업자의 이익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서비스 사업자의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그 효과가 크다.
(3) 오버레이 주파수 대역에서 기존 사용자들의 기능 보장 측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하기 이전의 기존 사용자들, 즉 NB-MS들의 기능이 그대로 보장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4) 호환성을 보장하는 광대역 시스템으로 확장 기반 마련 측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주파수 오버레이 방식을 적용하기 이전의 기존 사용자들, 즉 NB-MS들의 기능이 그대로 보장되기 때문에 호환성을 보장하며, 또한 동시에 광대역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차세대 통신 시스템으로의 진화적 발전을 이루는 기반이 될 수 있다.

Claims (78)

  1.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 시스템과,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2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제1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통신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제2통신 시스템이 미리 설정된 대역폭을 가지는 제2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은 제1주파수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 시스템이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채널 생성기와,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파일럿 채널 생성기와,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트래픽 채널 생성기와,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채널 생성기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그 전송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스케쥴러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파일럿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운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는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적용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 포인트인 M-포인트를 적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파일럿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파일럿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수신 장치를 웨이크업시키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은;
    상기 제3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허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1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 보량을 포함하는 제12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수신 장치를 웨이크업시키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3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스케쥴링하여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그 전송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파일럿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운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적용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 포인트인 M-포인트를 적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파일럿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파일럿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수신 장치를 웨이크업시키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은;
    상기 제3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허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1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12제어 채널과,
    상기 수신 장치가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하는 수신 장치를 웨이크업시키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3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채널 생성기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생성기와,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트래픽 채널 생성기와,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채널 생성기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미리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채널 신호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업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는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적용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 포인트인 M-포인트를 적용하여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동기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동기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생성기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장 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과,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과,
    상기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과,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과,
    상기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2.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상응하게 미리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 채널 신호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를 다중화하여 업링크 채널 신호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무선 주파수 처리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 적용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 포인트인 M-포인트를 적용하여 상기 업링크 채널 신호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동기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동기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동기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과,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과,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과,
    상기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과,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과,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과,
    상기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2.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고속 푸리에 변환기와,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미리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역다중화하여 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파일럿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로 출력하는 역다중화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파일럿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파일럿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은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수신 장치가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 함하는 제7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3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허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12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3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0.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미리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역다중화하여 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파일럿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프리앰블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프리앰블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파일럿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파일럿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은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 신호와,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3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랜덤 억세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허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랜덤 억세스를 승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해 피드백해야하는 채널 품질 정보량을 포함하는 제12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슬립 모드에 존재할 경우 웨이크업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3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8.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고속 푸리에 변환기와,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미리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역다중화하여 동기 채널 신호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로 출력하는 역다중화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동기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동기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 신호 와,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6.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된 수신 신호를 미리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정보에 상응하게 역다중화하여 동기 채널 신호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트래픽 채널 신호와, 제어 채널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과 오버레이되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보호 대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동기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제2동기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트래픽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트래픽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과 상기 보호 대역을 제외한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4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비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5제어 채널 신호와,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6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채널 신호는;
    상기 제3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 주파수 대역을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7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제3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제8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이 복합 재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수신 데이터에 대한 인지/부정적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9제어 채널 신호와,
    상기 송신 장치가 현재 속해 있는 수신 장치 이외의 수신 장치로 핸드오프하기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0제어 채널 신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4.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셀 획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프리앰블 신호의 수신 전력이 미리 설정한 수신 전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비스하는 제1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프리앰블 신호의 수신 전력이 상기 설정 수신 전력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비스하는 제2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한 후 상기 제1기지국으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한 후 상기 제2기지국으로 랜덤 억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1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1파일럿 채널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1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제2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제2파일럿 채널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2기지국의 셀 획득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20050032923A 2005-04-20 2005-04-20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3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2923A KR100830163B1 (ko) 2005-04-20 2005-04-20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RU2007138977A RU2370893C2 (ru) 2005-04-20 2006-04-20 Система связи с наложением частот и способ ее управления
PCT/KR2006/001489 WO2006112677A1 (en) 2005-04-20 2006-04-20 Frequency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6008226.0A EP1715705B1 (en) 2005-04-20 2006-04-20 Apparatus and methods for a frequency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JP2006117250A JP4276240B2 (ja) 2005-04-20 2006-04-20 周波数オーバーレイ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11/407,799 US7688926B2 (en) 2005-04-20 2006-04-20 Frequency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6100792909A CN1855764B (zh) 2005-04-20 2006-04-20 频率重迭通信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2923A KR100830163B1 (ko) 2005-04-20 2005-04-20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573A true KR20060110573A (ko) 2006-10-25
KR100830163B1 KR100830163B1 (ko) 2008-05-20

Family

ID=3684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32923A KR100830163B1 (ko) 2005-04-20 2005-04-20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88926B2 (ko)
EP (1) EP1715705B1 (ko)
JP (1) JP4276240B2 (ko)
KR (1) KR100830163B1 (ko)
CN (1) CN1855764B (ko)
RU (1) RU2370893C2 (ko)
WO (1) WO20061126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33B1 (ko) * 2007-12-14 2010-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선택 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향링크 대역 요구 방법
KR100978219B1 (ko) * 2007-03-21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359676B1 (ko) * 2008-06-10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공통제어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958314B2 (en) 2010-05-24 2015-02-17 M. I. Tech Co., Ltd. Data transceiver and data-transceiving method for bio-implantable medical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3756B2 (ja) * 2006-04-27 2011-11-24 京セラ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周波数割当方法
EP2082492A4 (en) 2006-11-13 2015-12-16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FOR PILOT MODULE CONTROL SIGNALING IN MIMO SYSTEMS
JP4994463B2 (ja) * 2007-03-16 2012-08-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一つ以上のネットワークが共存できる環境で、特定チャネルの使用可否を決定する方法、プリアンブル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異種ネットワークが共存して通信を行う方法
KR101454482B1 (ko) * 2007-05-17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WO2009038350A1 (en)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pping physical resource to logical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65166A (ko)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인접 기지국 광고 메시지방송 및 수신 방법과, 이들을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JP5224869B2 (ja) 2008-03-28 2013-07-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AU2009229803B9 (en) * 2008-03-28 2014-02-27 Ntt Docomo, Inc. Mobile station, base station, basic frequency block specifying method and band control method
JP5388269B2 (ja) * 2008-05-02 2014-01-1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装置
KR101476443B1 (ko) * 2008-06-02 2014-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14203B1 (ko) * 2008-07-17 2015-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0016222A1 (ja) 2008-08-04 2010-0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端末、バンド割り当て方法、及び下りデータ通信方法
JP5366951B2 (ja) 2008-08-07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周波数帯域割当方法及び送信装置
JP5419882B2 (ja) 2008-09-29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ce+番号割当方法及び基地局装置
JP2010114537A (ja) * 2008-11-04 2010-05-20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KR101646777B1 (ko) 2009-01-28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미드앰블을 전송하는 방법
KR101711653B1 (ko) * 2009-08-24 2017-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용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방법
EP2533452B1 (en) * 2010-02-02 2021-03-10 China Mobile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downlink subframes
US20120093261A1 (en) * 2010-10-18 2012-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83425B1 (ko) 2011-08-01 201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위폐 감별법
US9661453B2 (en) * 2013-03-16 2017-05-23 Fairwayiq, Inc. Intelligent golf course
US9907088B2 (en) * 2014-12-30 2018-0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shar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apparatus therefor
EP3331622A4 (en) 2015-08-07 2019-02-13 Fairwayiq, Inc.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MANAGEMENT AND INTERACTION WITH CUSTOMERS IN A PLACE OF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0222A1 (en) 1989-06-02 1990-12-05 ETAT FRANCAIS représenté par le Ministère des Postes, des Télécommunications et de l'Espac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ing subband coding of a digital signal
GB2267627B (en) * 1992-05-27 1996-01-03 Roke Manor Researc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5761190A (en) * 1995-02-20 1998-06-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FDM broadcast wave receiver
KR100236792B1 (ko) * 1997-03-21 2000-01-15 정태기 중첩 cdma(코드분할다원접속) 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US6175550B1 (en) * 1997-04-01 2001-01-16 Lucent Technologies, Inc.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with dynamically scalable operating parameters and method thereof
GB2332817A (en) 1997-12-16 1999-06-30 Northern Telecom Ltd Downlink frequency overlay for cellular radio system
KR100258645B1 (ko) * 1998-03-06 2000-06-15 권문구 열가소성난할로겐난연조성물
JP3957882B2 (ja) 1998-06-17 2007-08-15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装置
US6781980B1 (en) * 1998-10-22 2004-08-24 Lucent Technologies Inc. CDMA transmitter and method generating combined high-rate and low-rate CDMA signals
US6792276B1 (en) * 1999-07-13 2004-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ot spot with tailored range for extra frequency to minimize interference
US6882631B1 (en) 1999-09-13 2005-04-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two CDMA systems on the same frequency bandwidth
US6685215B2 (en) 2000-01-07 2004-02-03 Milliken & Company Twelve-sided polygon-shaped air bag
US6865215B1 (en) * 2000-02-16 2005-03-08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Spread spectrum digital data communication overlay system and method
JP2002335191A (ja) 2001-05-10 2002-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通信方法
US7010316B2 (en) * 2001-09-28 2006-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reverse link outer-loop power control
US7327765B1 (en) * 2002-02-15 2008-02-05 Broadcom Corporation Home phone line networking next generation enhanceme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19B1 (ko) * 2007-03-21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장치 및 방법
US9078184B2 (en) 2007-03-21 201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37033B1 (ko) * 2007-12-14 2010-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fa 선택 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향링크 대역 요구 방법
KR101359676B1 (ko) * 2008-06-10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공통제어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958314B2 (en) 2010-05-24 2015-02-17 M. I. Tech Co., Ltd. Data transceiver and data-transceiving method for bio-implantable medic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5705A2 (en) 2006-10-25
RU2007138977A (ru) 2009-04-27
WO2006112677A1 (en) 2006-10-26
US7688926B2 (en) 2010-03-30
CN1855764B (zh) 2010-06-16
CN1855764A (zh) 2006-11-01
EP1715705A3 (en) 2011-05-18
JP2006304312A (ja) 2006-11-02
JP4276240B2 (ja) 2009-06-10
US20060240838A1 (en) 2006-10-26
KR100830163B1 (ko) 2008-05-20
EP1715705B1 (en) 2019-05-29
RU2370893C2 (ru)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163B1 (ko)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8528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cell in a frequency overlay communication system
JP5366962B2 (ja) 異なるtddシステム間でリソース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680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oun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dynamically changes
US826564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vice
KR2007007629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27999A (ko) 광대역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할당된 자원 수신 방법
US200900618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67458A1 (en) OFDM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435131B1 (ko)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US8019385B1 (en) Load simulation for testing uplink of wireless networks
US2011004421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423020B2 (e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US20090303949A1 (en) OFDM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0321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EP2068472B1 (en) Communication system, it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95741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503218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EP2075938B1 (en) Communication system, it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60112962A (ko)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45183A1 (en) Cdma based reservation channel transmission in v2v communications
CN106804041B (zh) 一种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22233592A1 (en) A cellular access network coordinated radar system
JP2009049941A (ja) 無線送信機、無線受信機、無線信号送信方法、及び無線信号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