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304A -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을 위한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을 위한 바이오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304A
KR20060110304A KR1020067010205A KR20067010205A KR20060110304A KR 20060110304 A KR20060110304 A KR 20060110304A KR 1020067010205 A KR1020067010205 A KR 1020067010205A KR 20067010205 A KR20067010205 A KR 20067010205A KR 20060110304 A KR20060110304 A KR 2006011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kinase
alpha
type
gene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아 보바딜라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11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3Calciton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9Parathyroid hormone, i.e. parathormone; 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연어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를 대상에 투여한 결과인 다기관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은 칼시토닌 치료 효능 및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치료 효능의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바이오마커 중에 Y-박스 결합 단백질, BMP, FGF, IGF, VEGF, 알파-2-HS 당단백질 (AHSG), OSF, 핵 수용체 (스테로이드/갑상선 패밀리) 등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 프로파일이 있다. 얻어진 결과는 뼈 대사에 대한 연어 칼시토닌의 동화 효과를 지지한다.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뼈 대사,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바이오마커

Description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을 위한 바이오마커 {BIOMARKERS FOR THE EFFICACY OF CALCITONIN AND PARATHYROID HORMONE TREATM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험관내 조직 샘플의 분석 시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칼슘 조절에 관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profiling) 측면에 관한 것이다.
칼슘은 체내에서 많은 세포성 과정에 필수적이고 뼈 대사에 특히 중요하다. 체내 칼슘 수준은 내분비 조절계에 의해 주의깊게 유지된다. 상기 내분비 조절계의 호르몬 중 2가지는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이다.
칼시토닌은 약 32개 아미노산의 폴리펩티드 호르몬으로, 칼슘 항상성의 내인성 조절자이고 저칼슘혈증-관련 질병의 치료를 위한 항흡수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칼시토닌은 갑상선의 소포결 세포 (C 세포)에서 생산된다. 예를 들어 연어 및 뱀장어 칼시토닌을 포함한 다양한 칼시토닌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예를 들어 뼈의 파제트 (Paget) 병, 악성 저칼슘혈증 및 폐경기 골다공증의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ondel M, Intl. J. Exp. Pathol. 81(6): 405-22 (2000)). 칼시토닌의 한 버전 (version) (미아칼신 (Miacalcin)(등록상표))은 비강 분무제로서 입수가능하다.
부갑상선 호르몬 (PTH)은 84개 아미노산의 폴리펩티드이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골 재형성과 Ca2 + 항상성을 조절한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또한 파골세포 분화 및 활성의 공지의 주변분비 활성제이다. PTS893 [SDZ PTS 893; Leu8, Asp10, Lys11, Ala16, Gln18, Thr33, Ala34 인간 PTH 1-34 [hPTH (1-34)]]은 골 질량 및 생체역학적 특성을 강화시키는 34개 아미노산의 부갑상선 유사체이다 (Kneissel M et al., Bone 28: 237-50 (March 2001); Stewart AF et al., J. Bone. Miner. Res. 15(8): 1517-25 (August 2000); Thomsen JS et al., Bone 25(5): 561-9 (November 1999)).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은 복잡한 상호의존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이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파골세포 흡수 활성에 대한 칼시토닌의 억제 효과, 및 신세뇨관 칼슘 흡수는 잘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조골세포 및 임의의 다른 골격 대사 관련 인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잠재적인 칼시토닌 효과는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
다기관 (multi-organ)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은 전체 유기체에 대해 화합물에 의해 유도된 변화의 보다 우수한 묘사를 제공하고 또한 호르몬 약리학의 이해에 새로운 전망을 제공할 것이다. 유전체학 기술은 현재 생물의학 연구원에게 능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가설 제시의 기초이다. 약물 개발의 맥락에서, 이들은 약물 약리학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한다. 따라서, 당업계에서 칼시토닌 및 부갑 상선 호르몬 활성의 유기체 전체에 걸친 이해가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당업계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제공한다. 다기관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은 전체 유기체에 대해 화합물에 의해 유도된 변화의 완전한 묘사를 제공하고, 약물 약리학의 이해에 새로운 전망을 제공한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에 의한 연어 칼시토닌에 의한 호르몬 매개 골 재형성 작용의 분자 메카니즘의 첫번째 설명을 제공한다. 항흡수제로서 칼시토닌 작용의 공지의 메카니즘은 분자 수준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 골 재형성 활성-BMP, IGF, 세포외 기질 성분 및 VEGF-에 연계된 효과기 및 경로에 대한 효과가 또한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동화 약물로서 칼시토닌의 역할을 지지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그들의 효과를 매개하는 분자 작용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해 사이노몰거스 (cynomolgus) 원숭이에서 뼈에 대해 연어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PTS893에 의해 유도된 유전자 발현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무손상 영장류 동물 모델에서 그의 표적 조직 중 하나에 대한 약물의 분자 작용 메카니즘의 첫번째 재구성을 제공한다.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은 시클린에서 관찰된 변화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세포 사이클에 대한 단백질 G-연결된 수용체 자극 및 이들의 영향에 의해 촉발된 칼시토닌 신호 전달에 관여된 경로의 재구성을 허용하였다. 생체내 유전자 프로파일링 발현 연구는 약물학적 효과의 기초를 이루는 분자 메카니즘의 확인을 허용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동화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칼시토닌의 용도를 제공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질환은 죽상동맥경화증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칼시토닌이 투여된 환자에 의한 칼시토닌 효능을 나타내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 환자 집단에서 칼슘 대사 질환 치료용 의약의 제조시의 칼시토닌의 용도를 제공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칼시토닌은 연어 칼시토닌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투여된 환자에 의한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효능을 나타내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 환자 집단에서 칼슘 대사 질환 치료용 의약의 제조시의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호르몬 유사체는 PTS893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의약은 환자에 의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결정 전에 치료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의약은 환자에 의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결정 전에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투여가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대상 (예를 들어, 영장류 대상)에게 목적하는 화합물을 먼저 투여한 후, 화합물 투여 후의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얻는 것을 수반한다.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바이오마커 (biomarker)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비교한다.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에 의한 치료 효능의 지표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바이오마커 유전 자 발현 프로파일은 화합물 투여 전의 대상의 기준선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칼시토닌 (예를 들어, 연어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예를 들어, PTS893)가 투여된 척추동물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또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평균이다.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대한 유사성은 화합물의 치료 효능의 지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 효능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바이오마커 중에, Y-박스 결합 단백질,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F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혈관내피 성장 인자 (VEGF), α-2-HS 당단백질 (AHSG),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핵 수용체 (스테로이드/갑상선 패밀리) 및 기타 물질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 프로파일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처리되는 대상에서 발현되는 바이오마커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임상 시험에 포함시키기 위한 대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시험되는 화합물은 대상에 투여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시험되는 화합물은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된다. 이어서, 화합물 투여 후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얻는다. 대상은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에 의한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유사할 때 임상 시험에 포함될 수 있다. 대상은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유 사하지 않을 때 임상 시험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유사성 및 비유사성은 당업계의 숙련인이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투여가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임상 분석법, 키트 및 시약을 제공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키트는 혼성화에 의해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을 결정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키트는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에 의해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을 결정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칼시토닌 (예를 들어, 연어 칼시토닌; 서열 1)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서열 2) 또는 그의 유사체 (예를 들어, PTS893; 서열 3)의 투여 대상에 대한 투여 효과의 이해를 기초로 한 것이다. 연어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투여 대상에 대한 투여 결과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분석은 칼시토닌 치료 효능 및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치료 효능의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상은 척추동물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척추동물은 포유동물이다. 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영장류, 예를 들어 사이노몰거스 원숭이 또는 인간이다.
본원에서 포괄적으로 제공되는 분석법은 영장류에서 다기관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에 의한 상이한 기관에서 리보핵산 (RNA) 함량의 변경시의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분자적 작용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세포의 RNA 함량 "트랜스크립톰 (transcriptome)"은 세포 기능 및 상태를 반영한다. 개별 세포 또는 기관의 내부에, 트랜스크립톰의 상이한 성분의 발현은 독립적이지 않다. 발현 수준의 변경은 최종적으로 트랜스크립톰의 다른 변경을 야기하는 일련의 사건을 촉발할 수 있다. 상기 상호의존적 사건은 경로의 측면에서 설명될 것이다. 세포 내의 상이한 기능의 변경은 밀접하게 서로 관련되기 때문에, 유기체 내의 상이한 기관의 변경은 연결된다. 유전자 프로파일링을 동일한 치료를 받는 상이한 기관에 적용하면 그 효과 및 생리학적 상태의 변경에 대한 개선된 관찰을 얻을 수 있다. 본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이는 특히 다면발현성 화합물, 예를 들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프로파일링 분석을 수행할 때 그러하다. 실제로, 칼시토닌에 대해 설명되는 포괄적인 용법은 주요 표적 기관 (즉, 뼈)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분석되는 다른 기관에서도 반영된다.
상기 다기관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에서, 칼시토닌의 항흡수제로서의 및 부갑상선 호르몬 PTS893의 파골세포 분화 및 활성의 주변분비 활성제로서의 공지의 작용 메카니즘은 분자 수준에서 재구성될 수 있다. 파골세포에 대한 칼시토닌 억제 효과는 무엇보다도 PU.1 (SPI1; SpiB; 서열 4), 콜로니 자극 인자 (CSF-1 (서열 6); 분화 및 생존) 탄산 탈수효소 (서열 8), H+-ATPase, 카텝신 K (흡수 활성) 튜불린, PAK4 (운동성)을 위한 유전자에 대한 영향을 변경시켜 재구성할 수 있다. 골 재형성 활성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FGF),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세포외 기질 성분, 스테로이드 호르몬, 혈관내피 성장 인자 (VEGF) 및 α-2-HS 당단백질 (AHSG))에 연계된 효과기 및 경로에 대한 효과가 또한 관찰되었고, 이는 많은 경우에 연어 칼시토닌과 PTS893에 의해 공유되었다. 흥미롭게도, 연어 칼시토닌은 또한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및 시스타틴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또한, 흥미로운 사실은, PTS893이 파골세포 분화 및 생존에 관련되는 유전자 (SPI1, CSF-1,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연관 단백질 (MMD))를 조절한다는 것이다. 또한, PTS893은 핵 수용체 (스테로이드/갑상선 패밀리)에 대한 강한 상향 조절을 생성시켰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칼시토닌의 동화 약물로서의 역할을 지지한다.
칼시토닌은 골 형태형성 (동화)이 우세한, 골 형태형성 (동화)과 뼈의 흡수 사이의 불균형의 결과인 높은 골 질량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골격 질환의 치료에 현재 사용된다. 칼시토닌은 효능있는 동화 약물로 알려진 골 형태형성 단백질-2 (BMP-2)의 합성을 촉진한다. 이에 대한 강력한 증거는 칼시토닌이 뼈 세포에 도달할 때 BMP-2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뼈 세포가 동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칼시토닌은 대상의 뼈 미네랄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 의해 골 대사에 대한 칼시토닌의 효과를 생체내 모델에서 처음으로 특성화한 것이다. 파골세포에 대한 칼시토닌 억제 효과는 탄산 탈수효소, H+-ATPase 및 카텝신 K로서 유전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변경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어 칼시토닌은 시스타틴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였고, 이는 본원에서 처음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연어 칼시토닌은 또한 중간엽 세포 기능의 직접, 자가분비, 주변분비 및 내분비 조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예를 들어 플레이오트로핀, 페리오스틴,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베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결합 단백질 (IGF/IGFBP),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 혈관내피 성장 인자 (VEGF), 종양 괴사 인자 (TNF), 뉴로콘드린, 폴리스타틴 유사 3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조절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어 칼시토닌은 세포외 기질 성분 (콜라겐, 오스테오폰틴, 오스테오칼신, 더마토폰틴, 콘드로어드헤린, 글리피칸 또는 신데칸) 및 효소의 합성 및 분해를 조절한다. 또한, 연어 칼시토닌은 상아질의 변화가 관찰되기 때문에 뼈 미네랄화의 일부 측면에 영향을 주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칼시토닌은 또한 동화 작용 또는 조직 성장이 치료상 바람직한 다른 질환의 치료시에 동화 약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질환은 죽상판이 섬유증 및 석회화에 의해 악화되는 죽상판 질병인 죽상동맥경화증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의 바이오마커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 발현이 화합물의 투여 후에 기준선 유전자 발현보다 증가 또는 감소 (예를 들어, 적어도 1.5배 차이)할 때 치료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진단 기준이 된다 (즉,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화합물 투여 전의 대상의 기준선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다). 별법으로 또는 추가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치료되는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표준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에 비견할 수 있을 때 칼시토닌 (예를 들어, 연어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예를 들어, PTS893)의 치료와 비교시의 치료 효능의 결정을 위한 진단 기준이 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표준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및 이들의 조합물이 투여되는 척추동물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또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평균이고, 이 프로파일이 투여 후의 대상으로부터의 결과가 비교되는 표준이 된다. 치료 및 진단 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은 많은 당업계의 숙련인에 의해 "진단치료 (theranostic)"로 언급된다.
한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척추동물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척추동물은 포유동물이다. 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포유동물은 영장류, 예를 들어 사이노몰거스 원숭이 또는 인간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시약 또는 약물의 투여 대상 또는 환자에 대한 투여는 자가 투여 및 타자에 의한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증가 또는 감소된 유전자 발현이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유사체의 투여 후에 기준선 유전자 발현보다 증가 또는 감소 (예를 들어, 적어도 1.5배 차이)할 때 칼시토닌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치료 효능의 진단 기준이 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전자 발현 패턴은 유전자 발현 (예를 들어, 치료되는 대상에서 취한 샘플에서)이 기준선 샘플에 비해 발현 수준의 1.5배 차이 (즉, 더 높음)을 보일 때 "정상보다 높다". 유전자 발현 패턴은 유전자 발현 (예를 들어, 치료되는 대상에서 취한 샘플에서)이 기준선 샘플에 비해 발현 수준의 1.5배 차이 (즉, 더 낮음)을 보일 때 "정상보다 낮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의 검출 기술은 노던 블롯 (northern blot), RT-PCT, 실시간 PCR, 프라이머 연장, RNase 보호, RNA 발현 프로파일링 및 관련 기술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 산물의 검출에 의한 유전자 발현의 검출 기술은 단백질 산물을 인식하는 항체, 웨스턴 블롯 (western blot), 면역형광, 면역침전, ELISA 및 관련 기술을 포함하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은 당업계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Third Edition (Cold Spring Harbor Press, Cold Spring Harbor, 2000)). 한 실시태양에서, 유전자 발현 검출 기술은 유전자 칩의 사용을 포함한다. 유전자 칩의 제조 및 사용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5,202,231; 5,445,934; 5,525,464; 5,695,940; 5,744,305; 5,795,716 및 5,800,992, 문헌 [Johnston, M. Curr Biol 8: R171-174 (1998); Iyer VR et al., Science 283:83-87 (1999) 및 Elias P, "New human genome 'chip' is a revolution in the offing" Los Angelus Daily News (October 3,2003)] 참조).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산 포스파타제 1 이소형 (isoform) a; 악티빈 A 수용체 타입 II 유사 1; 악티빈 A 타입 IIB 수용체 전구체; 악티빈 베타 C 사슬; 알파 2 HS 당단백질; 아멜로게닌; 아넥신 V; 아릴술파타제 E 전구체; ATPase H(+) 공포 (vacuolar); ATPase H(+) 공포 서브유닛; ATPase, H+ 수송, 리소좀; ATPase, H+ 수송, 리소좀; ATPase, H+ 수송, 리소좀; 비글리칸; 골 형태형성 단백질 1; 골 형태형성 단백질 10; 골 형태형성 단백질 2A;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골 형태형성 단백질 6 전구체; 칼슘 결합 단백질 1 (칼브레인);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CaM 키나제) II 감마; 칼레티큘린; cAMP 반응 성분 조절제 (CREM); 탄산 탈수효소 I; 탄산 탈수효소 II;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카텝신 K; 카텝신 W; CDC 유사 키나제 1; CDC 유사 키나제 2 이소형 hclk2/139;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베르시칸);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3 (뉴로칸); 융모성 체유선발육 호르몬 1; 키모트립신 C (칼데크린); 콜라겐 타입 1 및 PDGFB 융합 전사체; 콜라겐 타입 II 알파 1; 콜라겐 타입 III 알파 1; 콜라겐 타입 IV 알파 2; 콜라겐 타입 IX 알파 l;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콜라겐 타입 VI 알파 2 (AA 570 998); 콜라겐 타입 XI 알파 1;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콜라겐, 타입 I, 알파 2; 콜라겐, 타입 IV, 알파 1; 콜라겐, 타입 IX, 알파 2; 콜라겐, 타입 V, 알파 2;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전구체;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콜라게나제 3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3); 결합조직 성장 인자; 시클린 A2; 시클린 B1; 시클린 D2; 시클린 E2;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5;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5, 조절성 서브유닛 1 (p35);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6;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A (p21, Cip1); 시스타틴 B (스테핀 B); 시토킨 유도성 키나제;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제 1;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제 3; 상아 기질 산성 인단백질 1 (DMP1); 이중특이성 포스파타제 9; 근 긴장성 이영양증 단백질 키나제;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내피 분화, G 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6 전구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관련 단백질; 에스트로겐 반응성 B 박스 단백질 (EBBP); 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 (산성);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8;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4;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폴리스타틴 유사 1; 폴리스타틴 유사 1;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대사자극성 (metabotropic) 1; GPI1 N 아세틸글루코사미닐 트랜스퍼라제 성분 Gpil; 과립구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 인자(CSF1); 성장 정지 및 DNA 손상 유도성, 알파; 성장 인자 수용체 결합 단백질 10;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페를레칸);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2; 이노시톨 1,4,5 트리스포스페이트 3 키나제 동종효소;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4 포스파타제 타입 I 베타;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 포스파타제; 이노시톨(미오) 1 (또는 4) 모노포스파타제 1; 이노시톨(미오) 1 (또는 4) 모노포스파타제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II);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소마토메딘 A);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인테그린 알파 10 서브유닛; 인터루킨 1 수용체 연관 키나제; 야누스 키나제 3; LIM 단백질 (래트 단백질 키나제 C 결합 에니그마 (enigma)에 유사); 리실 옥시다제 유사 단백질; MAD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상동체 3; MAGUK (막 연관 구아닐레이트 키나제 상동체); MAP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MTK1); MAPK13: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3; MAPK8IP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상호작용 단백질 1; MEK 키나제; 메탈로프로테이나제;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4;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2;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3; MMD: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연관; 뉴로콘드린; 활성화된 T 세포의 핵 인자, 세포질성, 칼시뉴린 의존성 1; OS 4 단백질 (OS 4); OSF 2os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 2 (페리오스틴);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PAK4; PDGF 연관 단백질;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키나제, 촉매작용의, 베타 폴리펩티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L;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 포스파타제, 이소형 b;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이소형 C (1);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타입 I, 베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타입 II, 베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C (PIG C);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A, cAMP 특이적;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D, cAMP 특이적 (던스 (dunce) (초파리) 상동체 포스포디에스테라제 E3);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칼모듈린 의존성;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촉매작용의, 감마 폴리펩티드;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클래스 3; 포스포리파제 C b3; 포스포리파제 C, 베타 4; 포스포리파제 D; 포스포티딜이노시톨 전달 단백질; PKD2 단백질 키나제 D2;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2;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1; 프로콜라겐 알파 1 타입 II; 프로콜라겐 리신 5 디옥시게나제; 프로콜라겐 프롤린, 2 옥소글루타레이트 4 디옥시게나제 (프롤린 4 히드록실라제), 알파 폴리펩티드 I; 프로게스타겐 연관 자궁내막 단백질 (태반 단백질 14, 임신 관련 자궁내막 알파 2 글로불린, 알파 자궁 단백질); 프롤리다제 (이미도디펩티다제) PEPD; 증식세포 핵 항원; 프롤릴 4 히드록실라제 베타;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프로테아좀 (프로좀, 마크로파인) 서브유닛, 베타 타입, 10; 활성화된 STAT X의 단백질 억제제; 단백질 키나제 1 PCTAIRE; 단백질 키나제 C 기질 80K H; 단백질 키나제 C, 알파;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촉매작용의, 감마;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조절성, 타입 I, 베타;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조절성, 타입 II, 알파; 퓨린성 수용체 P2Y, G 단백질 커플링된, 11; RAC2 Ras 관련 C3 보툴리눔 독소 기질 2 (rho 계열, 작은 GTP 결합 단백질 Rac2);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DDR; 레티노이드 X 수용체 감마;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90kD, 폴리펩티드 3; SCAMP1: 분비 수송막 단백질 1 (소포 수송); 분비된 인단백질 1 (오스테오폰틴, 뼈 시알로프로테인 I, 초기 T 림프구 활성화 1);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클레이드 H (열 충격 단백질 47), 멤버 2;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38;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 SF 1; 스테로이드 생산 (steroidogenic) 인자 1;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1;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2, 113 kD;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5A;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5A;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6 (STAT6); Smad 3; 수용체 활성화를 위한 Smad 앵커, 이소형 1; Smad5; SMAD6 (BMP/Smadl (MADH1)를 억제); SNF 1 관련 키나제; SpiB 전사 인자 (SPI1/PU.1 관련); Stat5b (stat5b); Ste20 관련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TEIG;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IEG; TGFB1 유도 항세포사멸 인자 1; TGF 베타 유도 세포사멸 단백질 12; TGF 베타 전구체; TGF 베타 수퍼패밀리 단백질; Tob; 타우즐드 (tousled) 유사 키나제 1; 전환 성장 인자, 베타 수용체 III (베타글리칸, 300kD); 전환 성장 인자 베타 3 (TGF 베타 3); TRIO: 3기능성 도메인 (PTPRF 상호작용); 튜불린 알파 1; 튜불린 알파 3; 튜불린 알파 이소형 H2 알파; 튜불린 베타 2; 튜불린 베타 3; 튜불린 베타 4; 튜불린 베타, 보조인자 D; 타입 VI 콜라겐 알파 2 사슬 전구체; 유비퀴틴 수송 단백질 E2 C; 혈관내피 성장 인자; 혈관내피 성장 인자; 혈관내피 성장 인자 B; 및 Y 박스 결합 단백질 1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상 또는 환자에 대한 물질 또는 약물의 투여는 자가투여 및 타자에 의한 투여를 포함한다.
칼시토닌. 용어 "칼시토닌"은 천연 칼시토닌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천연 산물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펩티드 잔기가 치환되거나 N- 또는 C-말단이 변형된 그의 제약학적 활성 유도체 및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바람직한 칼시토닌은 연어, 인간 및 돼지 칼시토닌 및 엘카토닌이다. 이들 화합물은 모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그의 제약학적 특성과 함께 본원에 그 내용이 참고로 포함된 문헌에 심도있게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5,733,569 및 5,759,565 참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투여되는 칼시토닌의 양 및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활성 성분의 양은 선택된 특정 칼시토닌, 치료되는 질환, 요구되는 투여 횟수 및 요구되는 효과에 따라 결정된다.
비내 투여 후의 혈장 농도의 측면에서 결정된 칼시토닌, 특히 연어 칼시토닌에 대한 생체이용율은 일반적으로 근내 주사에 의해 달성되는 수준의 약 50%의 수준으로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투여는 체벽내 (intra-parietal) 투여, 예를 들어 근내 투여를 통한 치료에 요구되는 투여 비율의 2배 이상, 예를 들어 약 2 내지 4배의 투여 비율의 수준으로 투여되도록 적절하게 실행될 것이다. Miacalcin (등록상표) (칼시토닌-연어) 비강 분무제 투여에 대한 정보는 Miacalcin (등록상표) 처방 정보 (Prescribing Information) (노바티스 (Novartis), 2002년 11월)에서 입수할 수 있다.
근내 주사의 경우, 약 50 내지 100 MRC 단위의 개별 투여량이 약 1일 1회 내지 주당 약 3회의 비율로 투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내 투여의 경우, 치료는 약 1일 1회 내지 약 주당 3회의 빈도로 약 50 내지 약 400 MRC 단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 MRC 단위의 투여량의 투여를 적합하게 포함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투여량은 단일 적용으로 편리하게 투여될 것이다. 즉, 치료는 약 50 내지 약 400 MRC 단위,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 MRC 단위의 칼시토닌을 포함하는 단일 비내 투여량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별법으로, 상기 투여량은 하루 동안 일정 간격으로 취한 일련의, 예를 들어 2 내지 4회의 적용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적용시의 투여량은 약 10 내지 약 200 MRC 단위,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 MRC 단위를 포함한다.
각각의 비내 적용시에 투여되는 총 조성물 투여량은 적합하게는 약 0.05 내지 0.15 ml, 전형적으로 약 0.1 ml, 예를 들어 0.09 ml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ml당 약 150 내지 약 8,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2,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2,000 MRC 단위의 칼시토닌, 예를 들어 연어 칼시토닌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칼시토닌"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5,719,122, 5,175,146 및 5,698,672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3015815 참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활성 펩티드 유사체 및 모방체를 포함한다. "칼시토닌 수퍼패밀리"는 칼시토닌,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CGRP) 및 아밀린으로 구성된다. 칼시토닌 및 CGRP은 인간에서 CT/CGRP 유전자에서 유래한다. 1차 RNA 전사체의 다른 스플라싱은 조직 특이적 방식으로 CGRP 및 CT 펩티드의 번역을 야기한다. CGRP (37-아미노산 신경펩티드) 및 그의 수용체는 신체에서 널리 분포한다. 아밀린 (37-아미노산 펩티드)은 염색체 12 (염색체 11의 진화적 복제인 것으로 생각됨) 상에 위치한 유전자로부터 생성되고, CGRP과 46% 및 인간 칼시토닌과 20%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공유한다. 용어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또는 "CGRP"는 천연 CGRP, 바람직하게는 인간 CGRP, 및 그의 활성 유사체를 포함한다. CGRP는 골 형태형성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어 "아밀린"은 전형적으로 인간 공급원으로부터의 천연 아밀린, 및 그의 제약학적 활성 유사체를 포함한다. 호르몬은 다양한 메카니즘을 통해 골-질량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시토닌 유사 물질"은 "칼시토닌", "CGRP" 및 "아밀린"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3015815 참조).
부갑상선 호르몬. 용어 "부갑상선 호르몬"은 부갑상선 호르몬, 골 형태형성을 자극하고 골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그의 단편 또는 대사산물 및 그의 구조적 유사체를 의미한다. 또한, 부갑상선 관련 펩티드의 부갑상선 호르몬 관련 펩티드 및 활성 단편 및 유사체 (미국 특허 4,086,196, 5,001,223, 6,541,450 및 6,649,657 및 PCT 특허 출원 공개 WO 94/01460 및 WO 93/06845 참조)가 포함된다. 부갑상선 호르몬 기능 활성은 표준 분석법에 따라 당업계의 숙련인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된다. 다양한 상기 화합물은 아래에서 설명되고 언급되지만, 다른 부갑상선 호르몬이 당업계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부갑상선 호르몬의 예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6,541,450 및 6,649,657에 언급된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포유동물에서 낮은 골 질량 (예를 들어, 골다공증)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의 치료시에 부갑상선 호르몬의 의약 물질로서의 유용성은 생체내 분석, 수용체 결합 분석, 시클릭 AMP 분석 및 골절 치유 분석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분석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의 활성에 의해 입증된다.
PTS893은 특정 잔기에서 적합한 아미노산 서열 치환에 의해 안정하고 생물학적으로 활성의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 단편을 생성시킴으로써 특정 화학적 불안정성 부위가 N-말단 부갑상선 호르몬 단편 내에서 제거된 내인성 부갑상선 호르몬의 유사체이다.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의 N-말단 단편은 hPTH(1-34)OH 뮤테인 및 hPTH(1-38)OH 뮤테인을 포함한다. PTS893은 적어도 부갑상선 호르몬의 처음 27 N-말단 아미노산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부갑상선 호르몬 유도체는 부갑상선 호르몬 서열의 위치 8-11, 13, 16-19, 21, 22, 29 내지 34, 특히 8-11, 16-19, 33 및(또는) 34의 하나 이상에서 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천연 PTH 및 그의 N-말단 단편의 수준 이상인, 생체내 및 시험관내 모두에서 바람직한 골 형태형성 특성을 보인다 (유럽 특허 EP 0 672 057; PCT 특허 출원 공개 WO 94/02510; 문헌 [Kneissel M et al., Bone 28: 237-50 (March 2001); Stewart AF et al., J Bone Miner Res 15(8): 1517-25 (August 2000); Thomsen JS et al., Bone 25(5): 561-9 (November 1999) 참조).
키트. 본 발명의 키트는 키트 용기 상에 또는 용기 내에 기재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물은 키트 내에 포함된 시약의 사용 방법, 예를 들어 환자가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처방되는 질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지 또는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시약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시약은 관련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을 결정하기 위한 유전자 칩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보다 자세히 예시하기 위해 제시된다. 본 실시예는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
원숭이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 약물유전체학 시험적 연구; 마이크로 어레이 유전자 발현 분석
도입 및 개요. 본 실시예의 목적은 그들의 효과를 매개하는 작용 메카니즘 및 치료 적응증의 바이오마커의 확인을 밝히기 위해 연어 칼시토닌 (sCT)을 50 ㎍/동물/일로 및 PTS893을 5 ㎍/동물/일로 사용하는 2주 피하 치료 후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 유전자 발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영장류에서 다기관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에 의해 연어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분자 작용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첫번째 분석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에 의한 호르몬-매개 골 재형성의 분자 작용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첫번째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은 모두 중간엽 세포 기능의 직접분비, 자가분비, 주변분비 및 내분비 조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예를 들어 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β),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 및 혈관내피 성장 인자 (VEGF)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화합물은 또한 세포외 기질 성분의 합성 및 분해를 조절한다. 연어 칼시토닌은 또한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스테로이드 생산 인자를 조절하는 반면, PTS893은 스테로이드/갑상선 수용체 패밀리의 핵 수용체에 대해 강한 상향조절을 생산하였다. 따라서, 이들 데이타는 동화 약물로서 칼시토닌의 역할을 지지한다.
추가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은 또한 아멜로게닌, 상아질 및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에서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므로 세포외 기질의 미네랄화의 일부 측면에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PTS893은 시토킨 및 RANK 리간드를 통해 파골세포 분화 및 활성의 주변분비 활성화 조절에 대한 효과를 보였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의 어떠한 유의한 차이도 단일 요법에 대해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조합 투여에 기인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은 시클린에서 관찰되는 변화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백질-G-연결-수용체 자극 및 세포 사이클에 대한 영향에 의해 촉발되는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신호 전달에 관련된 경로의 재구성을 허용하였다.
동물. 2주 피하 치료는 연어 칼시토닌 (sCT), PTS893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이들은 각각 9% 자가 혈청을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PBS)에 용해시켰다. 대조군에 대한 비히클로서 용매를 사용하였다.
본 분석에서 사용된 동물은 모리셔스 포트 루이스 소재의 센뚜르 드 리셔르체 프리마톨로기끄 (Centre de Recherches Primatologiques)에서 공급하는 사이노몰거스 원숭이 (Macaca fascicularis)이었다. 두마리의 동물을 군 및 성별당 사용하였다. 치료 기간 개시시에, 동물은 적어도 24개월령이고, 체중은 약 3 kg이었다. 동물은 동물 안정을 위한 표준 상태 하에 유지시켰다. 동물에 대해 사망률, 먹이 소비 및 임상 소견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을 매주 1회 기록하였다. 투여량은 0 ㎍/동물/일 (대조군), 50 ㎍/동물/일의 연어 칼시토닌 및 5 ㎍/동물/일의 PTS893이었다.
아래 나타낸 바와 같이, 임상 소견 및 분석 및 본 실시예에서 수행한 조직병 리학적 검사는 50 ㎍/동물/일의 투여량에서 피하 투여된 연어 칼시토닌이 사이노몰거스 원숭이에서 잘 허용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생체내 검사. 어떠한 유의한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연어 칼시토닌 군에서 8 내지 12%의 체중 감소 이외의 다른 어떠한 관련있는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먹이 소비의 감소도 관찰되었지만, 체중 감소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1
연어 칼시토닌을 투여한 동물은 8 내지 12%의 체중 감소를 보였고, 이는 먹이 소비의 감소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식욕 감퇴 효과는 아밀린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연어 칼시토닌에 대해 이전에 기재된 바 있다 [Eiden S et al., J. Physio. 541 (pt3): 1041-1048 (2002); Lutz TA et al., Peptides 21(2): 233-8 (2000)]. 그러나, 어떠한 독성 징후도 본 시험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 관찰된 호르몬 및 지질 변화가 아마도 결과로서 발생하는 대사적 적응에 가장 관련된 것이다.
심전도 (ECG) 또는 혈압에서 관련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2
혈액 샘플링. 동물을 혈액 채집 전에 밤새 굶기지만 물에는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혈액 샘플은 말초 정맥으로부터 채취하였다. 표준 혈액학 및 임상 화학 분석을 시험 전에 1회 및 치료기간의 끝에 수행하였다. 혈액 샘플은 각 동물로부터 임상 화학 연구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간격에서 채집하였다. 혈청 샘플은 호르몬 측정을 위한 분석시까지 급속 동결시켰다 (약 -80℃).
임상 화학 및 호르몬 측정.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연구 동물에서 약간의 빈혈이 관찰되었다. 이는 반복된 혈액 샘플링에 기인하는 것이고,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3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4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5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6
수행된 표준 임상 화학 시험 중에서, 인 및(또는) 마그네슘에서 약간 내지 중정도 감소 및 트리글리세리드에서 중정도 내지 현저한 감소가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 투여군에서 관찰되었다.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7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8
Figure 112006036711705-PCT00009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0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1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2
수행된 표준 뇨 분석 시험에서 관련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3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4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5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6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7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8
연어 칼시토닌군은 혈청 소마토메딘에서 중정도 감소를 나타냈다 (S. MED, 표 9a 내지 9c 및 10a 내지 10c 참조).
Figure 112006036711705-PCT00019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0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1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2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3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4
조직 샘플링. 동물을 Pentothal(등록상표)의 정맥내 주사에 의한 깊은 마취 후 실혈시켜 치사시켰다. 모든 관련 조직을 조직병리학 및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을 위해 샘플링하였다. 다음 조직 샘플을 분석을 위해 처리하였다: 간, 신장, 뇌하수체, 근육, 뼈, 십이지장, 비장 및 기관. 조직병리학을 위한 샘플은 포스페이트-완충 10% 포르말린 중에 고정시켰다. 골 탈미네랄화는 10% 포름산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조직 샘플은 Paraplast(등록상표)에 매립하고 헤마톡실린 및 에오진으로 염색하기 위해 4 미크론으로 분절하였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을 위한 샘플은 절제 직후 액체 질소 중에서 신속하게 동결시키고, 드라이아이스 상에 및 후속적으로 다음 사용까지 약 -80℃에서 급속 동결기 내에 보관하였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을 위해 선택된 모든 조직을 조직병리학적으로 검사하였다.
조직병리학.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을 위해 선택된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병변의 중증도 및 분포 면에서 모든 치료군에서 대조군과 상이하지 않은 정상 스펙트럼의 부수적인 병변을 나타냈다.
연어 칼시토닌을 투여한 암컷의 신장에서 염증 및 재생 변화의 약간 더 높은 발생률이 관찰되었다. 40년 동안 칼시토닌을 치료적으로 사용한 이래로 신장 독성의 보고가 없기 때문에 이들 변화는 관련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골 절편을 오스테오넥틴, 오스테오폰틴 및 오스테오칼신에 대해 염색하고 조직병리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골 조직의 조직형태학 측정을 골 흡수 및 합성 (오스테오이드 (osteoid) 형성)에 대한 파라미터에 관해 수행하였다.
경골의 오스테오넥틴, 오스테오폰틴 및 오스테오칼신 염색에서는 1군 (대조군)과 2군 (연어 칼시토닌)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오스테오넥틴은 중증의 비-치료 관련 병리학적 상태 (중증, 아급성 골단분리증)로 인해 동물 번호 2553의 골단 성장판의 주요 비대 및 열화를 나타냈다.
골 조직의 조직형태학 측정을 골 흡수 및 골 합성 (오스테오이드 형성)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결과 (표 11 및 12 참조)는 연어 칼시토닌이 경골에서 지주 부피 및 두께를 약 17% 증가시켰지만, 척추골에서는 그렇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PTS893은 경골 (T)에서 피질 두께를 감소시키고 (18%) 피질 다공도를 증가시켰지만 (54%), 척추골 (V)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반대로, PTS893은 경골 및 척추골 모두에서 각각 오스테오이드 부피 (37% T, 213% V) 및 표면 (49% T, 37% V)을 증가시키고, 또한 조골세포 표면 (40% T, 24% V)을 증가시켰다.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5
Figure 112006036711705-PCT00026
조직형태학 측정은 PTS893에 의해 유도된 오스테오이드 합성의 증가를 제외하고는 경골과 척추골 사이에 모순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효과는 불연속 방식으로 투여될 때 부갑상선 호르몬에 대해 잘 기록되어 있다.
RNA 추출 및 정제. 한 세트의 조직을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을 위해 선택하였다. 이들 세트는 신장, 뼈, 근육, 십이지장, 뇌하수체 및 간으로부터의 샘플을 포함하였다. 특히, 대퇴골 및 경골로부터 골간 뼈를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을 위해 처리하였다. 간단히, 총 RNA를 각각의 동결된 조직 절편으로부터 산 구아니디늄 티오시아네이트-페놀-클로로포름 추출 (Trizol (등록상표), 인비트로겐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Invitrogen Life Technologies,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바드))에 의해 수득하고, 이어서 총 RNA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친화도 수지 (RNeasy (등록상표), 콰이겐 (Qiagen)) 상에서 정제하였다. 총 RNA는 λ= 260 nm (A260nm)에서 흡광도에 의해 정량하고, 순도는 비율 A260 nm/A280 nm에 의해 추정하였다. RNA 분자의 완전성은 비-변성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에 의해 확인하였다. RNA는 분석시까지 약 -80℃에서 보관하였다. 각각의 개별 RNA 샘플 중 한 부분을 실시간 (RT) PCR에 의한 중요 유전자 분석을 위해 보관하였다.
혼성화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어레이에 의한 전사체 프로파일링은 GeneChip (등록상표) 시스템 (GeneChip Expression Analysis Technical Manual, 애피메트릭스 인크. (Affymetrix Inc.,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의 제조사가 권장하는 바와 같이 제노믹스 팩토리 이유 (Gemomics Factory EU)의 실험실에서 실행하였다. HG-U95Av2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어레이 (애피메트릭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를 사용하였다. 이중쇄 cDNA는 약 5 ㎍의 전장 총 RNA의 출발 양을 사용하여 Superscript Choice System (인비트로겐 라이프 테크놀로지스)을 사용하여 T7-(dT) 24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의 존재하에 합성하였다. 합성 후, cDNA를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밀알콜 추출 및 에탄올 침전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어서 정제된 cDNA를 BioArray (등록상표) 고수율 (High Yield) RNA 전사체 표지 키트 (Transcript Labelling Kit) (ENZO)를 사용하여 비오틴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존재하에 시험관내 전사하여, 비오틴 표지된 cRNA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표지된 cRNA를 친화도 수지 (Rneasy (등록상표), 콰이겐) 상에서 정제하고, 정량하고 단편화하였다. 약 10 ㎍ 표지된 cRNA의 양을 45℃에서 약 16시간 동안 발현 프로브 어레이에 혼성화시켰다. 이어서 어레이를 세척하고 GeneChip Fluidics Workstation 400 (애피메트릭스)를 사용하여 스트렙타비딘-피코에리트린 (몰레큘라 프로브스 (Molecular Probes))로 2회 염색하였다. 이어서 어레이를 공초점 레이저 스캐너 (GeneArray (등록상표) 스캐너, 애길런트 (Agilent))를 사용하여 2회 스캐닝하여, 하나의 스캐닝된 화상을 생성하였다. 상기 생성되는 ".데이타-파일 (.data-file)"을 Micro Array Analysis Suite 버전 4 (MAS4) 프로그램 (애피메트릭스)을 사용하여 ".셀-파일 (.cel-file)"로 처리하였다. ".셀 파일"을 포착하여 Affymetrix GeneChip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으로 로딩하였다. LIMS 데이타베이스는 Oracle 데이타베이스로 다운로딩시킬 모든 프로브 셀 (CEL 파일)에 대한 평균 강도를 허용하는 네트워크 파일링 시스템을 통해 UNIX Sun Solaris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미가공 데이타를 150의 "표적 강도"를 사용하여 발현 수준으로 전환시켰다. 표시된 수치값은 주어진 전사체 서열에 대한 프로브-세트 내에 포함된 프로브-쌍의 시그날 강도의 칭량된 평균이다 (AvgDiff값). 데이타를 품질에 대해 검토하고 분석을 위해 GeneSpring (등록상표) 소프트웨어 버전 4.2.4 및 5 (실리콘 제네틱스 (Silicon Genetics,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로딩시켰다.
데이타 분석. 데이타 분석은 실리콘 제네틱스 소프트웨어 패키지 GeneSpring 버전 4.2.1 및 5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20 미만의 평균 차이값을 20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타 세트를 연구하고, 변경된 세포 및 조직 기능을 알려주고 화합물의 작용 방식에 대한 작업 가설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전사체 수준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필터링 및 클러스터링 (clustering) 툴을 사용하였다.
상향 또는 하향 조절로서 간주하기 위한 역치 범위는 실시예의 생물학적 해석의 맥락 내에서 결정된다.
이들 데이타 세트의 정보 내용은 수치 변화와 생물학적 정보의 결합이다. 구체적인 유전자 관련성을 고려하는 결정은 비교 및 통계학적 알고리즘에 의해 확인된 수치 변화와 일반적 생물학적 주제를 지적하는 다른 변조된 유전자에 대한 관계의 결합에 기초하였다. 관계의 가중치는 관련 학술 문헌의 개관을 통해 분석자가 평가하였다.
본원에 보고된 증가 및 감소는 달리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으면 전사체 과량 (abundance)을 나타낸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다기관 비교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을 50 ㎍/동물/일의 연어 칼시토닌 투여군에서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택된 기관은 간, 신장, 뇌하수체, 골격 근육, 뼈, 십이지장, 비장 및 기관이었다.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36611_at 산 포스파타제 1 이소형 a -1.33 -1.33
32714_s_at 악티빈 A 수용체 타입 II 유사 1 -1.62 -1.83
39314_at 악티빈 A 타입 IIB 수용체 전구체 -1.12 1.41 -4.15
35915_at 악티빈 베타-C 사슬 -1.21 -2.41 -1.67
36621_at 알파-2-HS-당단백질 1.33 1.53 1.12
34588_i_at 아멜로게닌 -1.61
37747_at 아넥신 V -1.30 1.87 -2.58
40376_at 아릴술파타제 E 전구체 -1.59
39326_at ATPase H(+)- 공포 -1.57 -2.80 -1.62
38814_at ATPase H(+)- 공포 서브유닛 1.22
33741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1.23 -1.50
33033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1.29 -3.19 -1.43 1.23
38814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1.30 -1.28 1.14
38126_at 비글리칸 1.75 -1.61
39407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1 -1.20 -1.55
31399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10 1.44 1.45 -1.31 -1.77
1113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2A -1.12 2.63 1.29
1831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1.43 1.39 1.40
1733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6 전구체 -1.37 -1.17 -1.64 -1.27 -1.1
34500_at 칼슘 결합 단백질 1 (칼브레인) 2.31 1.21
31670_s_at 칼슘/칼모듈린-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CaM 키나제) II 감마 1.17 1.57 -1.28 1.60
1751_g_at 칼레티큘린 -4.03 -1.60 1.67
32067_at cAMP 반응 성분 조절제 (CREM) 1.39 -1.24 -1.50
39241_at 탄산 탈수효소 I -2.68 1.18 -1.69
40095_at 탄산 탈수효소 II -1.69
40163_r_at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2.36 5.61
128_at 카텝신 k 1.18 1.35 -2.33
129_g_at 카텝신 k 1.20 -1.54 1.17 -1.28
38466_at 카텝신 k 1.27 1.40 -1.19
40718_at 카텝신 w -1.31 -1.54 2.05
32833_at CDC 유사 키나제 1 1.63
646_s_at CDC 유사 키나제 2 이소형hclk2/139 1.19 1.86
38112_g_at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베르시칸) -2.16 1.51 -1.68
32642_at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3 (뉴로칸) -1.49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31493_s_at 융모성 체유선발육 호르몬 호르몬 1 -1.59
40714_at 키모트립신 C (칼데크린) 1.39 3.22
35474_s_at 콜라겐 타입 1 및 PDGFB 융합 전사체 -7.30 -3.35
598_at 콜라겐 타입 II 알파-1 -1.38 1.69 -1.27 2.77 -3.02
32488_at 콜라겐 타입 III 알파 1 -1.41 -1.59 -1.53 -3.20 -1.89 -1.35
38952_s_at 콜라겐 타입 IV 알파-2 1.23 -1.73
35379_at 콜라겐 타입 IX 알파 1 -2.22 -3.28
38722_at 콜라겐 타입 VI 알파-1 -3.38 -1.13 -1.42
34802_at 콜라겐 타입 VI 알파-2 (AA 570-998) -1.37 -1.10 -1.39 -1.28
37892_at 콜라겐 타입 XI 알파-1 1.24 -2.46 -1.51
1026_s_at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1.20 -1.32 1.15 -2.20
1027_at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1.11 -1.25 1.37
32305_at 콜라겐 타입 I, 알파 2 -1.45 -1.54
39333_at 콜라겐, 타입 IV, 알파 1 -1.49
39925_at 콜라겐, 타입 IX, 알파 2 -2.38 -1.36
38420_at 콜라겐, 타입 V, 알파 2 -1.29 -1.18 -1.11 -1.10
41351_at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2.29 -1.27 -1.50
41350_at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전구체 -3.55
35168_f_at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1.59
35169_at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1.18
39632_at 콜라게나제 3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3) 1.20
36638_at 결합조직 성장 인자 -2.11
40697_at 시클린 A2 -1.60
34736_at 시클린 B1 -2.83
36650_at 시클린 D2 1.21
35249_at 시클린 E2 -2.95
1206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5 1.56 -1.54
799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5, 조절성 서브유닛 1 (p35) 1.32
41546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6 1.15 1.52 1.34
2031_s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A (p21, Cip1) 1.95
35816_at 시스타틴 B (스테핀 B) 1.57
806_at 시토킨-유도성 키나제 1.20 1.35
40049_at 사멸-연관 단백질 키나제 1 -1.47 -1.29
33903_at 사멸-연관 단백질 키나제 3 -1.22
34029_at 상아 기질 산성 인단백질 1 (DMP1) 1.65
40186_at 이중특이성 포스파타제 9 1.59
37996_s_at 긴장성 근이영양증-단백질 키나제 1.25 -1.50
342_at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1.45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343_s_at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1.11 -1.42
33602_at 내피 분화, G 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6 전구체 1.15 2.24 -1.66
1442_at 에스트로겐 수용체 1.47 1.23 1.60
33670_at 에스트로겐 수용체 1.30
1487_at 에스트로겐 수용체-관련 단백질 1.11 -1.52 1.24
38882_r_at 에스트로겐-반응성 B 박스 단백질 (EBBP) 1.22 -1.51
39945_at 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1.27 -1.48 -1.32
996_at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 (산성) 1.17 -1.41
41586_at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8 2.06
1730_s_at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4 1.55 1.46
424_s_at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1.17 -1.59
40131_at 폴리스타틴 유사 1 -1.31
40132_g_at 폴리스타틴 유사 1 -1.22 1.15
33510_s_at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대사자극성 1 1.26 -1.31
33269_at GPI1 N-아세틸글루코사미닐 트랜스퍼라제 성분 Gpi1 1.24
1401_g_at 과립구-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 (CSF1) -3.07 2.24
1911_s_at 성장 정지 및 DNA-손상-유도성, 알파 1.84 -3.84 1.24
37615_at 성장 인자 수용체-결합 단백질 10 1.21 -1.61
32845_at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페를레칸) 1.27 -1.11
32778_at 이노시톨 1,4,5-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1.75 -2.57 1.20
32779_s_at 이노시톨 1,4,5-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1.21 2.02
756_at 이노시톨 1,4,5-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1.24
34209_at 이노시톨 1,4,5-트리포스페이트 3-키나제 동종효소 2.29 1.42 -1.36 1.75
33506_at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4-포스파타제 타입 1-베타 1.12 1.66 2.09 1.27
172_at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5-포스파타제, -1.22 -1.15
32697_at 이노시톨(미오)-1 (또는 4)-모노포스파타제 1 -1.36 -2.70 1.61
36496_at 이노시톨(미오)-1 (또는 4)-모노포스파타제 2 1.13
2079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II) -1.32 1.15 -1.31
36782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소마토메딘 A) -1.69
1232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1.31 -1.53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40422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2.97 -1.16
1586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1.45 -1.16 1.70
37319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2.17 1.58 -1.52
41420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1.15 -2.66
1741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2.49 -2.17 -1.22
1464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1.18 1.10 -1.26
1591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1.41 -2.80
33082_at 인테그린 알파 10 서브유닛 1.33 -2.32 -1.18
1100_at 인터루킨-1 수용체-연관 키나제 1.39 -1.48
2005_s_at 야누스 키나제 3 -1.51 1.57
40060_r_at LIM 단백질 (래트 단백질 키나제 C-결합 에니그마와 유사) 1.44 -1.68 -1.31
36811_at 리실 옥시다제-유사 단백질 -1.44 1.14 1.30 -1.19
1433_g_at MAD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상동체 3 1.14 -1.13 -1.61 -1.65 -1.69
34655_at MAGUK (막 연관 구아닐레이트 키나제 상동체 1.23
35652_g_at MAP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MTK1) 1.14
33246_at MAPK13: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3 -1.24 -1.13 -1.91 1.65
41280_r_at MAPK8IP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상호작용 단백질 1 -1.31 1.92 1.58
2004_at MEK 키나제 1.13 -1.62 1.16
1509_at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42 -1.11 -1.23 -1.18
976_s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 -1.61
34006_s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1.32
1844_s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1 -1.60 1.15
35694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4 1.26
1469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2 1.13 -1.30 1.16
1637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3 1.11 1.34
37565_at MMD: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연관 1.28 -2.48 -1.28
38307_at 뉴로콘드린, 2.80 -1.39
39144_at 활성화된 T-세포, 세포질성, 칼시뉴린-의존성 1의 핵 인자 2.72 1.42 -1.70
41202_s_at OS-4 단백질 (OS-4) 1.24 -1.72
1451_s_at OSF-2os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2 (페리오스틴) -1.65 -2.06 1.56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467_at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1.23 -1.50 -1.58 -4.12
33814_at PAK4 1.16 -1.33 1.11
38757_at PDGF 연관 단백질. -1.89 -1.15 1.20
146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키나제, 촉매작용의, 베타 폴리펩티드 1.19 1.23
34496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L 2.34 1.34 1.51
34169_s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포스포타제, 이소형 b -1.33 1.49
37412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5-키나제 이소형 C (-1) -1.87 -1.31
37253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5-키나제, 타입 I, 베타 1.17 -1.13 1.11
35741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5-키나제, 타입 II, 베타 -1.18 -1.18
751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글리칸-클래스 C (PIG-C) 1.14 1.19 -1.22
666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A, cAMP-특이적 1.33 -1.32 -1.18
38526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D, cAMP-특이적 (던스 (초파리)-상동체 포스포디에스테라제 E3) 1.30 1.15 3.51
38921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칼모듈린-의존성 1.52 1.42 1.12
31699_at 포스포이노시티드-3-키나제 1.56 -1.56
36287_at 포스포이노시티드-3-키나제, 촉매작용의, 감마 폴리펩티드 1.31
35665_at 포스포이노시티드-3-키나제, 클래스 3 -1.11 1.21
364_s_at 포스포리파제 C b3 1.22
901_g_at 포스포리파제 C, 베타 4 -1.20 1.41 -1.55
1293_s_at 포스포리파제 D -1.26
38023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전달 단백질 2.25 1.33 1.55 1.71
38269_at PKD2 단백질 키나제 D2 1.34
32306_g_at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2 1.19 -1.38 -1.75 -1.31
35473_at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1. -2.72 -1.37 -3.94 -2.70
32307_s_at 프로콜라겐 1.13 -1.26 -2.44 -1.56 -1.82
37605_at 프로콜라겐 알파 1 타입 II -1.84 -1.61
36184_at 프로콜라겐-리신 5-디옥시게나제 2.52 -2.15 -1.30
37037_at 프로콜라겐-프롤린, 2-옥소글루타레이트 4-디옥시게나제 (프롤린 4-히드록실라제), 알파 폴리펩티드 I 1.87 1.46 -1.67 1.29
37633_s_at 프로게스타겐-연관 자궁내막 단백질 (태반 단백질 14, 임신-연관 자궁내막 알파-2-글로불린, 알파 자궁 단백질) 2.00
36109_at 프롤리다제 (이미도디펩티다제) PEPD: -2.55 -2.05
1884_s_at 증식세포 핵 항원 -1.85
36666_at 프롤릴 4-히드록실라제 베타 1.95 1.37 2.08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718_at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1.30 -1.81 -1.30
719_g_at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1.43 -1.97 -1.27
385_at 프로테아좀 (프로좀, 마크로파인) 서브유닛, 베타 타입, 10 1.36 -1.29
37431_at 활성화된 STAT X의 단백질 억제제 -1.23 1.28
39183_at 단백질 키나제 1 PCTAIRE -1.17
39711_at 단백질 키나제 C 기질 80K-H 1.31
1437_at 단백질 키나제 C, 알파 -2.06 1.82
36359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촉매작용의, 감마 1.39 1.14 -1.49 1.30 1.13
1091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조절성, 타입 I, 베타 1.65 -1.80 2.06
116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조절성, 타입 II, 알파 1.28 -1.18
33633_at 퓨린성 수용체 P2Y, G-단백질 커플링된, 11 1.90 -1.82
32737_at RAC2 Ras-관련 C3 보툴리눔 독소 기질 2 (rho 계열, 작은 GTP 결합 단백질 Rac2) 1.16 1.22
1007_s_a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DDR 1.21
1048_at 레티노이드 X 수용체-감마 1.47 1.47
41404_at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1.67 -1.40 -1.83 -1.40
865_at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90kD, 폴리펩티드 3 -1.42 1.27
32290_at SCAMP1: 분비 수송막 단백질 1 (소포 수송) 2.50 -1.27 -1.39
34342_s_at 분비된 인단백질 1 (오스테오폰틴, 뼈 시알로프로테인 I, 초기 T-림프구 활성화 1) 1.15 -3.01
39166_s_at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클레이드 H (열 충격 단백질 47), 멤버 2 -2.82 1.56 2.04 -1.29
36217_at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38 1.54 -1.59
1223_at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 2.42
32447_at SF-1; 스테로이드 생산 인자-1 8.76 1.59 1.27 -2.01
33338_at 전사 1의 시그날 변환기 및 활성제 -1.14 1.15 -2.11 -1.93
1244_at 전사 2의 시그날 변환기 및 활성제, 113kD 1.57
40458_at 전사 5A의 시그날 변환기 및 활성제 1.14 1.39
506_s_at 전사 5A의 시그날 변환기 및 활성제 1.32 2.60
41222_at 전사 6의 시그날 변환기 및 활성제 (STAT6) 1.44 1.14 -1.46
1950_s_at Smad3 -2.44 -1.16
연어 칼시토닌의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신장 근육 뇌하수체 기관
38889_at 수용체 활성화를 위한 Smad 앵커, 이소형 1 1.28 -1.14 -1.51
1013_at Smad5 -2.62 1.22
1955_s_at SMAD6 (BMP/Smad1 (MADH1)을 억제한다 1.19 -1.37
37718_at SNF-1 관련 키나제 1.49 -1.13 1.18
35883_at Spi-B 전사 인자 (SPI1/PU.1 관련) 3.76 -2.96 1.15
472_at Stat5b (stat5b) -1.42 -1.28 -1.83 -2.50
38669_at Ste20-관련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1.24 -1.78
38374_at TEIG;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1.18 -1.79
224_at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IEG 1.26 -2.69
36940_at TGFB I-유도 항-세포사멸 인자 1 1.22 1.28 -1.38
32217_at TGF-베타 유도 세포사멸 단백질 12 1.40 1.55 1.12
41445_at TGF-베타 전구체 1.14 1.11
1890_at TGF-베타 수퍼패밀리 단백질 1.74 1.85 1.12 1.38
40631_at Tob -1.14 1.28 -2.09
32219_at 타우즐드 유사 키나제 1 -1.16
1897_at 전환 성장 인자, 베타 수용체 III (베타글리칸, 300kD) 1.18 1.12
1735_g_at 전환 성장 인자-베타 3 -1.15 -4.45 -1.39 -2.23
1767_s_at 전환 성장 인자-베타 3 (TGF-베타 3) -1.71 1.41 -1.71
40581_at TRIO: 3기능성 도메인 (PTPRF 상호작용) 1.65 1.62 1.34 -1.42
32272_at 튜불린 알파 -1.20 1.18
330_s_at 튜불린 알파 1 -1.80 1.23 -1.20 -1.19
40567_at 튜불린 알파 3 -1.39 -1.18 -1.10
685_f_at 튜불린 알파 이소형 H2-알파 -4.36 1.32 2.13
151_s_at 튜불린 베타 -1.40 -1.14 1.16 1.22 1.16
33678_i_at 튜불린 베타 2 -1.15 1.75
33679_f_at 튜불린 베타 2 -1.31 1.45
709_at 튜불린 베타 3 -1.18 -1.35 1.20
471_f_at 튜불린 베타 4 -1.38 1.50
39399_at 튜불린 베타, 보조인자 D -1.85 -4.69
32098_at 타입 VI 콜라겐 알파 2 사슬 전구체 -3.79
1651_at 유비퀴틴 수송 단백질 E2-C -3.74
1953_at 혈관내피 성장 인자 1.40
36101_s_at 혈관내피 성장 인자 1.45
37268_at 혈관내피 성장 인자 B -1.58
36140_at Y 박스 결합 단백질-1 2.30 1.86 2.36 -2.72
추가로, PTS893의 효과를 뼈에서 평가하였다.
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유전자-프로파일링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증가 배율 연어 칼시토닌 증가 배율 PTS893
38909_at 25-히드록시비타민 D3 1-알파-히드록실라제 -1.14
32714_s_at 악티빈 A 수용체 타입 II 유사 1 -1.62
35915_at 악티빈 베타-C 사슬. -1.21
39279_at 악티빈 타입 II 수용체 1.24
39383_at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6, 이소형 a -1.22
38965_at 아그레칸 1 2.03
39206_s_at 아그레칸 1 1.41
36621_at 알파-2-HS-당단백질 1.33
34589_f_at 아멜로게닌 1.10 -3.10
39326_at ATPase H(+) 공포 -1.57 -1.19
38814_at ATPase H(+) 공포 1.22
33741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1.23
33033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1.29 -1.17
40328_at bHLH 전사 인자 2.57
39407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1 1.16
31399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10 1.44 1.20
1113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2A -1.12 -1.13
40367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2A -1.18
1114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2B 또는 BMP4 -1.70
1831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1.43 -1.60
1733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6 전구체 1.27
40333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4 (hBMP-4) -1.42
34847_s_at 칼슘/칼모듈린-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CaM 키나제) II 베타 1.13
33935_at 칼시클린 결합 단백질 1.41
1751_g_at 칼레티큘린 -4.03
32067_at cAMP 반응 성분 조절제 (CREM) 1.39 2.75
39241_at 탄산 탈수효소 I -2.68
40095_at 탄산 탈수효소 II -1.69
40163_r_at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2.36
128_at 카텝신 k 1.18
129_g_at 카텝신 k 1.20
38466_at 카텝신 k 1.27
40718_at 카텝신 w -1.31
32833_at CDC 유사 키나제 1 1.63
646_s_at CDC 유사 키나제 2 이소형 hclk2/139 1.19
34763_at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6 -1.18
598_at 콜라겐 타입 II 알파-1 -1.38 -1.19
32488_at 콜라겐 타입 III 알파 1 -1.41
38952_s_at 콜라겐 타입 IV 알파-2 1.23 1.44
35379_at 콜라겐 타입 IX 알파 1 -2.22
34802_at 콜라겐 타입 VI 알파-2 (AA 570-998) -1.37
38566_at 콜라겐 타입 X 알파-1 1.67
37892_at 콜라겐 타입 XI 알파-1 1.24 1.18
1026_s_at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1.20
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유전자-프로파일링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증가 배율 연어 칼시토닌 증가 배율 PTS893
1027_at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1.11
39632_at 콜라게나제 3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3) 1.20
36638_at 결합조직 성장 인자 -1.32
1943_at 시클린 A -1.74
40697_at 시클린 A2 -1.60 -1.39
34736_at 시클린 B1 -2.83
39251_at 시클린 C -2.03
1983_at 시클린 D2 -1.28
36650_at 시클린 D2 1.21
35249_at 시클린 E2 -2.95
1649_at 시클린 G1 상호작용 단백질 1.31
1913_at 시클린 G2 -1.29
160024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CDC2-유사) 10 PISSLRE 1.53
1942_s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4 -1.22
1206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5 1.56
40549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5 -1.40
799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5, 조절성 서브유닛 1 (p35) 1.32
41546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6 1.15
2031_s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A (p21, Cip1) 1.95
1787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C 1.18
38673_s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C 1.13
39545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C 1.24
1797_at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2D (p19, CDK4를 억제한다) -1.21
35816_at 시스타틴 B (스테핀 B) 1.57
806_at 시토킨-유도성 키나제 1.20
40049_at 사멸-연관 단백질 키나제 1 -1.30
33903_at 사멸-연관 단백질 키나제 3 -1.22 -7.73
34029_at 상아 기질 산성 인단백질 1 (DMP1) 1.65
38059_g_at 더마토폰틴 1.72
343_s_at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1.11
342_at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1.45
1442_at 에스트로겐 수용체 1.47
33670_at 에스트로겐 수용체 1.30
1487_at 에스트로겐 수용체-관련 단백질 1.11
38882_r_at 에스트로겐-반응성 B 박스 단백질 (EBBP) 1.22
38902_r_at 에스트로겐-반응성 B 박스 단백질 (EBBP) 1.23
39945_at 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1.27
424_s_at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1.17
466_at 일반 전사 인자 II 1.34
1102_s_at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알파 1.43
33510_s_at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대사자극성 1 1.26 1.23
33269_at GPI1 N-아세틸글루코사미닐 트랜스퍼라제 성분 Gpi1 1.24 1.21
41476_at G-단백질 알파 사브유닛 11 1.24
1401_g_at 과립구-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 (CSF1) -3.07 -2.57
1911_s_at 성장 정지 및 DNA-손상-유도성 단백질(gadd45) 2.87
888_s_at 성장 분화 인자 1 -1.43
37615_at 성장 인자 수용체-결합 단백질 10 1.21
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유전자-프로파일링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증가 배율 연어 칼시토닌 증가 배율 PTS893
33929_at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글리피칸). 2.00
39757_at 헤파란술페이트프로테오글리칸 코어 단백질 1.10
755_at 이노시톨 1,4,5-트리스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1.27
33506_at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4-포스파타제 타입 I-베타 1.12 -1.24
33290_at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포스파타제 (5ptase) -1.20
32697_at 이노시톨(미오)-1 (또는 4)-모노포스파타제 1 -1.36
1975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1.41
1501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소마토메딘 C) -1.12
1232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1.31
40422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1.27
1586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1.45
37319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2.17
1737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4 1.13
41420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1.18
1396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1.62
1678_g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1.44
38650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1.53
1741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2 -2.49 -2.11
1464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1.18
1591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1.41 1.31
39781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결합 단백질 4 1.16
33082_at 인테그린 알파 10 서브유닛 1.33
35131_at 인테그린-결합 시알로단백질 (뼈 시알로단백질,뼈 시알로단백질 II) 1.15
40060_r_at LIM 단백질 (래트 단백질 키나제 C-결합 에니그마와 유사) 1.44 1.32
36183_at 리실 히드록실라제 (PLOD) 프로콜라겐-리신, 2-옥소글루타레이트 5 디옥시게나제 -1.40
34795_at 리실 히드록실라제 이소형 2 (PLOD2) 1.49
36811_at 리실 옥시다제-유사 단백질 -1.44
1433_g_at MAD, 마더스 어게인스트 데캐펜타플레직 상동체 3 1.14 1.73
34655_at MAGUK (막 연관 구아닐레이트 키나제 상동체 1.23
36179_at MAP 키나제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2 1.18
35652_g_at MAP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MTK1) 1.14
41279_f_at MAPK8IP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상호작용 단백질 1 1.25
41280_r_at MAPK8IP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상호작용 단백질 1 -1.31 -1.31
1509_at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42
976_s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 -1.61 1.12
34006_s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1.32
1439_s_at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2 1.78
37565_at MMD: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연관 1.28 1.30
38369_at 골수 분화 일차 반응 유전자 (88) -1.10
1052_s_at NF-IL6-베타 단백질 1.30
36472_at N-myc 및 STAT 인터액터- -1.35
38354_at 핵 인자 NF-IL6 (AA 1-345) 1.92
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유전자-프로파일링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증가 배율 연어 칼시토닌 증가 배율 PTS893
33106_at 핵 오펀 (orphan) 수용체 LXR-알파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1, 그룹 H, 멤버 3 3.29
33381_at 핵 수용체 동시활성제 1.11
279_at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4, 그룹 A, 멤버 1 2.30
280_g_at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4, 그룹 A, 멤버 1 3.08
37623_at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4, 그룹 A, 멤버 2, 스테로이드/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패밀리의 멤버 27.72
547_s_at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4, 그룹 A, 멤버 2, 스테로이드/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패밀리의 멤버 26.77
190_at 핵 수용체 서브패밀리 4, 그룹 A, 멤버 3, 핵 호르몬 수용체의 스테로이드/갑상선 수용체 패밀리의 멤버 5.45
41202_s_at OS-4 단백질 (OS-4) 1.24
1451_s_at OSF-2os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2 (페리오스틴) -1.65
38822_at O-시알로당단백질 엔도펩티다제 2.43
467_at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1.23
35107_at 오스테오프로테게린 리간드 3.33
33814_at PAK4 단백질 1.16
38757_at PDGF 연관 단백질. -1.89
40253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키나제 (NPIK-C). 1.77
37412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4-포스페이트 5-키나제 이소형 C (-1) -1.87
751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글리칸-클래스 C (PIG-C) 1.14 -1.25
666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A, cAMP-특이적 1.33 1.30
38526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D, cAMP-특이적 1.30 3.53
38921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칼모듈린-의존성 1.52
38944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칼모듈린-의존성 1.17
32029_at 포스포이노시티드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1 (3) 1.16
31699_at 포스포이노시티드-3-키나제 1.56 1.16
1085_s_at 포스포리파제 C -1.14
364_s_at 포스포리파제 C b3 1.22
901_g_at 포스포리파제 C, 베타 4 -1.20
1293_s_at 포스포리파제 D -1.26
32306_g_at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2 1.19
35473_at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1. -2.72
38951_at PRKCQ 단백질 키나제 C, 세타 1.43
32307_s_at 프로콜라겐 1.13
34494_at 프로콜라겐 I-N 프로테이나제. 1.92
37605_at 프로콜라겐 타입 II 알파 1 1.91
36109_at 프롤리다제 (이미도디펩티다제) PEPD -2.55
1884_s_at 증식세포 핵 항원 -1.85
34390_at 프롤릴 4-히드록실라제 알파 (II) 서브유닛 1.19
37037_at 프롤릴 4-히드록실라제 알파 서브유닛 1.20
36666_at 프롤릴 4-히드록실라제 베타 1.95
36533_at 프로스타시클린 합성효소 1.20
718_at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1.30
719_g_at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1.43
385_at 프로테아좀 (프로좀, 마크로파인) 서브유닛, 베타 타입, 10 1.36
39183_at 단백질 키나제 1 PCTAIRE -1.17
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유전자-프로파일링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증가 배율 연어 칼시토닌 증가 배율 PTS893
37698_at 단백질 키나제 A (PRKA) 앵커 단백질 1 1.29
39711_at 단백질 키나제 C 기질 80K-H 1.13
39161_at 단백질 키나제 Njmu-R1 1.21
35348_at 단백질 키나제, AMP-활성화된, 베타 1 비-촉매작용의 서브유닛 2.10
36359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촉매작용의, 감마 1.39
546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촉매작용의, 억제제 알파 1.14
227_g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조절성, 타입 I, 알파 1.18
41768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조절성, 타입 I, 알파 1.15
1091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조절성, 타입 I, 베타 1.65
116_at 단백질 키나제, cAMP-의존성, 조절성, 타입 II, 알파 1.28
33633_at 퓨린성 수용체 P2Y, G-단백질 커플링된, 11 1.90
32737_at RAC2 Ras-관련 C3 보툴리눔 독소 기질 2 (rho 계열, 작은 GTP 결합 단백질 Rac2) 1.16
40299_at RE2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1.24
35668_at 수용체 (칼시토닌) 활성 변형 단백질 1 RAMP 1 1.34
40696_at 수용체 (TNFRSF)-상호작용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1 1.12
1007_s_at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DDR 1.21
37701_at G-단백질 시그날링 2의 조절자, 24kD 2.06
1048_at 레티노이드 X 수용체-감마 1.47 1.34
36217_at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38 1.54
41544_at 혈청-유도성 키나제 1.16
32447_at SF-1; 스테로이드 생산 인자-1 8.76
36487_at 단신 (short stature) 호메오박스 (homeobox) 2 -1.46
41222_at 전사 6의 시그날 변환기 및 활성제 (STAT6) 1.44
1955_s_at SMAD6 (BMP/Smad1 (MADH1) 시그날링을 억제한다 1.19
37718_at SNF-1 관련 키나제 1.49 1.19
35883_at Spi-B -2.80
1244_at Stat2 -1.12
506_s_at Stat5A 1.16
38994_at STAT-유도 STAT 억제제-2 1.25
38669_at Ste20-관련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1.24 1.65
37152_at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수퍼패밀리 1.19
35844_at 신데칸 4 1.37
38374_at TEIG;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1.18
38427_at TEIG;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1.38
32080_at 테트라사이클린 트랜스포터 유사 단백질 1.41
224_at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IEG 1.26
36940_at TGFB I-유도 항-세포사멸 인자 1 1.22 1.60
32217_at TGF-베타 유도 세포사멸 단백질 12 1.40
41445_at TGF-베타 전구체 1.14
1890_at TGF-베타 수퍼패밀리 단백질 1.74
40631_at Tob -1.14 1.59
39358_at 전사 보조억제자 핵 수용체 보조억제자 2 1.42
1385_at 전환 성장 인자 유도 단백질 1.36
1830_s_at 전환 성장 인자-베타 1.17
1767_s_at 전환 성장 인자-베타 3 (TGF-베타 3) -1.71 -1.63
40581_at TRIO: 3기능성 도메인 (PTPRF 상호작용) 1.65 1.56
뼈에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의 유전자-프로파일링 분석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증가 배율 연어 칼시토닌 증가 배율 PTS893
32272_at 튜불린 알파 -1.20
685_f_at 튜불린 알파 이소형 H2-알파 -4.36 -1.79
330_s_at 튜불린 알파, 1, -1.80 -1.15
151_s_at 튜불린 베타 -1.40
39399_at 튜불린 베타 보조인자 D -1.85
471_f_at 튜불린 베타, 4 -1.38
40567_at 튜불린, 알파 3 -1.39
709_at 튜불린, 베타 3 -1.18
33678_i_at 튜불린, 베타, 2 -1.15
33679_f_at 튜불린, 베타, 2 -1.31
1651_at 유비퀴틴 수송 단백질 E2-C -3.74 -1.22
32548_at 불활성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1.33
1953_at 혈관내피 성장 인자 1.40 1.20
36101_s_at 혈관내피 성장 인자 1.45 1.44
36140_at Y 박스 결합 단백질-1 2.30 5.49
- 수치 = 배율 하향 조절됨
+ 수치 = 배율 상향 조절됨
실시간 PCR.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한 세트의 전사체를 실시간-PCR (RT-PCR)에 의한 정량 분석을 위해 선택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방법은 이중쇄 DNA 내에 끼어드는 SyBr Green 염료를 이용한다. PCR 산물의 축적은 SyBr 그린 염료의 형광 증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직접 검출된다. 반응은 PCR 산물의 증폭이 고정된 횟수의 사이클 후에 축적된 PCR 산물의 양보다 먼저 검출될 때의 사이클링 동안의 시점에 의해 특성화된다. 핵산 표적의 출발 카피수가 클수록 형광의 유의한 증가가 보다 조기에 관찰된다.
각각의 RNA 샘플로부터, 제조자의 권고에 따라 Applied Biosystem 키트 (Applied Biosystems #N808-0234)를 사용하여 cDNA를 제조하였다. 다음과 같은 SyBr Green Universal PC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4309155)를 사용하여 PCR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5 ㎕ cDNA 주형, 400 nM의 각각의 프라이머, 0.2 mM 데옥시뉴클레오티드 트리포스페이트, 1 mM MgCl2 및 0.5 U Taq DNA 폴리머라제, 5 ㎕ SyBr Green PCR 완충액 및 최종 부피 50 ㎕까지의 RNase 무첨가 물. PCR은 ABI Prism 7700 서열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95℃에서 10분의 단계 후에, 95℃에서 30초, 60℃에서 1분의 사이클을 총 40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cDNA 샘플 대신에 물과의 PCR 반응 혼합물인 음성 대조군을 포함시켰다.
초기 주형 농도는 역치 사이클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역치 사이클은 형광이 배경 위에서 먼저 검출되는 PCR 사이클이고, 샘플에 존재하는 표적 카피수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량화는 절대 표준에 대한 미지의 표적 농도를 계산하고 확인된 내인성 대조군, 예를 들어 하우스키핑 (housekeeping) 유전자 (β-액틴)에 표준화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목적하는 유전자의 분자수를 베타-액틴의 분자수로 나눈 비율을 계산한 후에 결과를 대조군 비율로서 제시한다.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다음 세트의 전사체를 RT-PCR에 의한 정량 분석을 위해 선택하였다: 부착 수용체 CD44, 안지오포이에틴,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탄산 탈수효소 II,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카텝신 K, 오스테오폰틴, 프리-프로-알파-2 타입 I 콜라겐, Spi-B 및 Y-박스 결합 단백질.
실시간 PCR 결과
GeneChip(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치료 효과 연어 칼시토닌 (대조군에 대한 %) 치료 효과 PTS893 (대조군에 대한 %)
1372_at 부착 수용체 CD44 변화없음 변화없음
1929_at 안지오포이에틴-1 변화없음 변화없음
1831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16 +18
40095_at 탄산 탈수효소 II -60 변화없음
40161_at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34.23 변화없음
128_at 카텝신 K +67.2 변화없음
2092_s_at 오스테오폰틴 변화없음 변화없음
32306_g_at 프리-프로-알파-2 타입 I 콜라겐 +38 +62
35883_at Spi-B -44 -18
36140_at Y-박스 결합 단백질 (뼈) +14 +26
36140_at Y-박스 결합 단백질 (신장) +15 n. a.
36140_at Y-박스 결합 단백질 (근육) -26 n. a.
n.a.: 적용불가
RT-PCR은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탄산 탈수효소 II, 카텝신 K,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프리-프로-알파-2 타입 I 콜라겐, Spi-B 및 Y-박스 결합 단백질에 대해서와 같이 대부분의 경우에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에서 관찰된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착 수용체 CD44, 안지오포이에틴-1 및 오스테오폰틴의 발현 수준의 변화는 검출되지 않았다.
분석. 칼시토닌은 파골세포 활성을 감소시키는, 파골세포의 분화, 생존 및 흡수 활성에 대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ondel M, Intl. J Exp. Pathol. 81 (6): 405-22 (2000)]. 상기 효과는 다기관 유전자 프로파일링에 의해 재구성할 수 있다 (표 16).
파골세포에 대한 효과
기능 코딩 유전자 연어 칼시토닌 PTS893
파골세포 결정, 생존 및 분화 PU.1 (SPI1) B, K, P, T B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 과립구-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 (CSF1) B, K B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연관 (MMD) B, K, T B
파골세포 자극 인자 1 (파골세포 흡수 활성의 자가분비 자극) B, K, L, P
H+ ATP-ases 모두 B
탄산 탈수효소 I, II B, L, P
카텝신 K 모두
ODF/OPGL: 오스테오프로테게린 리간드 B
파골세포 운동성 튜불린 모두
PAK4 단백질 B, M, P
연어 칼시토닌 처리된 동물에서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발현 변화가 관찰된 기관을 표시한다: B= 뼈; K= 신장; M= 근육; P= 뇌하수체; L= 간; T= 기관.
연어 칼시토닌은 표 1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조골세포에서 시스타틴의 발현 조절을 통해 파골세포 흡수 활성의 주변분비 조절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파골세포 기능
GeneChip(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평균 대조군 평균 sCT 변화 배율
40729_s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공포 양성자 펌프) 서브유닛 G 이소형 2 204 327 1.6
37367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31kDa, V1 서브유닛 E 이소형 1 272 328 1.2
40568_at ATPase, H+ 수송, 리소좀 56/58kDa, V1 서브유닛 B, 이소형 2 938 1132 1.21
39241_at 탄산 탈수효소 I 1266 441 -2.87
128_at 카텝신 K (농축이골증) 5690 7821 1.37
129_g_at 카텝신 K (농축이골증) 5036 6757 1.34
38466_at 카텝신 K (농축이골증) 5494 7267 1.32
36611_at 산 포스파타제 1, 가용성 254 331 1.3
PU.1은 파골세포 형성의 초기 단계에 관련된다 [Tondravi MM et al., Nature 386(6620): 81-4 (1997)]. CSF-1은 마크로파지 성숙에 필수적이고, 초기 파골세포 전구체 상의 그의 수용체 c-fms에 결합하고, 그의 생존 및 증식을 위해 필요한 시그날을 제공한다 [Teitelbaum SL, Science 289(5484): 1504-1508 (2000)].
흥미로운 사실은, PTS893이 또한 파골세포 분화 및 생존에 관련되는 유전자, SPI1, CSF-1 및 MMD를 조절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파골세포 조절은 이전에 기재된 바 없다.
연어 칼시토닌은 파골세포 형성 및 골 흡수를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파골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내 단백질인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eddy S et al., J. Cell Physiol. 177(4): 636-45 (1998)]. 이것은 파골세포 기능의 조절에서 연어 칼시토닌의 자가분비 효과를 의미하고, 본원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것이다.
추가로, 연어 칼시토닌은 조골세포에서 시스타틴 발현의 조절을 통해 파골세포 흡수 활성의 주변분비 조절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탄산 탈수효소 I, II, H+-ATPase 및 카텝신 K은 골 미네랄 용해 및 기질 분해를 위한 주요 효과기이다 [Blair HC et al., Biochem. (2002)]. 튜불린 및 PAK4 유전자의 조절은 파골세포 운동성 PAK 4에 대한 칼시토닌의 효과에 관련될 수 있다 [Zaidi M et al., Bone 30 (5): 655-63 (2002); Jaffer ZM & Chernoff J, Intl. J. Biochem. Cell Biol. 34 (7): 713-7 (2002)].
이들 결과는 조골세포 기능의 직접적인 자가분비, 주변분비 및 내분비 조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에 대한 칼시토닌의 효과를 조절하는 것을 보여준다 (표 18). 상기 데이타는 뼈 동화 효과가 칼시토닌에 의한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조골세포에 대한 효과
기능 코딩 유전자 연어 칼시토닌 PTS893
카텝신의 길항 시스타틴 B
항흡수 활성 조골세포 기능의 자가분비/주변분비 조절 알파-2-HS-당단백질 B, K, T
조골세포 기능의 내분비 조절 골 형태형성 단백질 모두 B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B, K, M, P, T B
IL6/LIF B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모두 B
TGFs B, K, M, P B
Tob B, M, P B
혈관내피 성장 인자 B, M X
악티빈 B, L, M, P B
에스트로겐 수용체 모두
레티노인산 수용체 X B, P B
스테로이드 생산 인자 B, L, P, T
핵 수용체 (스테로이드/갑상선 패밀리) B
콜라겐 타입 1 합성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 Y-박스 결합 단백질 B, K, M, P B
연어 칼시토닌 처리된 동물에서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발현 변화가 관찰된 기관을 표시한다: B= 뼈; K= 신장; M= 근육; P= 뇌하수체; L= 간; T= 기관.
본 실시예의 결과는 조골세포 기능의 직접적인 자가분비, 주변분비 및 내분비 조절에 영향을 끼치는 유전자에 대한 칼시토닌 효과의 조절을 보여준다.
싱기 데이타는 뼈 동화 효과가 칼시토닌에 의한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성장 인자, 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β),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및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의 3개의 패밀리는 골생성의 주요 국소 조절자인 것으로 생각된다. 골 형태형성 단백질은 초기 골세포 복제 및 조골세포 수용에 대한 주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TGB-β는 수용된 골세포 복제 및 조골세포 기질 생산의 가장 효능있는 인듀서로 생각되는 반면, IGF는 두 인자 모두의 효과를 통합 및 확장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McCarthy TL et al., Crit. Rev. Oral Biol. Med. 11 (4): 409-22 (2000)]. 이들 결과는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이 모두 골 대사에 관련되는 상기 국소 및 전신계 인자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지한다.
연어 칼시토닌이 조골세포에서 TGF-β-의존성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α2-HS 당단백질 (AHSG)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상기 역할을 지지한다. AHSG 결핍 마우스는 성장판 결함, 나이에 따른 증가된 골 형태형성 및 증강된 시토킨-의존성 골생성을 보인다 [Szweras M et al., J.Biol.Chem., 277 (22): 19991-19997 (2002)].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은 또한 혈관내피 성장 인자 (VEGF)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VEGF는 정상적 및 병리학적 혈관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골내 골화 동안 성공적인 골생성을 위한 혈관형성의 중요한 역할은 문헌에 잘 제시된다. VEGF는 골동화 성장인자를 생성시키기 위해 내피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간접적으로 유도한다 [Wang DS et al., Endocrinology 138 (7): 2953-62 (1997)]. 추가로, VEGF는 1차 인간 조골세포의 화학주성 이동을 자극하고, 이는 골 형태형성 및 재형성에서의 기능적 역할을 제시한다 (Mayr-Wohlfahrt U et al., Bone 30 (3): 472-7 (2002)).
골 흡수 및 형성 모두를 매개하기 위한 조골세포에 대한 부갑상선 호르몬의 효과는 문헌에 널리 제시된 바 있다 [Swarthout JT et al., Gene 282 (1-2):1-17 (2002)]. 여기서, 파골세포 분화 및 활성의 주변분비 활성화를 매개하는 시토킨 유사 인터루킨 6 (IL-6)에 대한 PTS893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Greenfield EM et al., Life Sci. 65: 1087-102 (1999)]. 또한, PTS893는 핵 수용체 (스테로이드/갑상선 패밀리)에 대한 강한 상향조절을 생성시켰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성장인자 및 호르몬
GeneChip (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평균 대조군 평균 sCT 변화 배율
39407_at 골 형태형성 단백질 1 448 607 1.36
1122_f_at 융모성 고나도트로핀, 베타 폴리펩티드 263 380 1.44
39945_at 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알파 636 436 -1.46
1970_s_at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2 (박테리아-발현 키나제, 각질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두개안면 이골증 1, 크로존 (Crouzon) 증후군, 파이퍼 (Pfeiffer) 증후군, 잭슨-와이스 (Jackson-Weiss) 증후군) 184 108 -1.69
32254_at 폴리스타틴 유사 3 (분비형 당단백질) 1514 2209 1.46
38737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소마토메딘 C) 66 37 -1.79
36782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소마토메딘 A) 212 323 1.52
1591_s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소마토메딘 A) 293 402 1.37
40422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36kDa 181 105 -1.73
37319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495 1561 3.15
1586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428 722 1.69
37319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604 879 1.46
1586_at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355 445 1.25
1451_s_at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 2 (파시클린 I-형) 페리오스틴 538 292 -1.84
532_at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1 1337 1849 1.38
234_s_at 플레이오트로핀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 1) 710 507 -1.4
34820_at 플레이오트로핀 (헤파린 결합 성장 인자 8, 신경돌기 성장-촉진 인자 1) 422 329 -1.28
1897_at 전환 성장 인자 베타 1 유도 전사체 1 176 296 1.68
1385_at 전환 성장 인자, 베타-유도, 68kDa 187 292 1.57
39588_at 종양 괴사 인자 (리간드) 수퍼패밀리, 멤버 12 176 127 -1.39
31410_at 종양 괴사 인자 (리간드) 수퍼패밀리, 멤버 4 197 128 -1.54
38631_at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수퍼패밀리, 멤버 13B 134 240 1.79
35150_at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수퍼패밀리, 멤버 5 443 298 -1.48
595_at 종양 괴사 인자, 알파-유도 단백질 3 118 191 1.62
1953_at 혈관 내피 성장 인자 351 557 1.59
36100_at 혈관 내피 성장 인자 282 407 1.45
1953_at 혈관 내피 성장 인자 521 629 1.21
37268_at 혈관 내피 성장 인자 B 379 504 1.33
39091_at 비타민 A 반응성; 세포골격 관련 421 299 -1.41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는 모두 G-단백질 수용체 수퍼패밀리에 속한다. 수용체 자극 후에, 신호 전달은 칼시토닌의 경우에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cAMP/단백질 키나제, 포스포리파제 C, 포스포리파제 D 및 MAPK (후기 효과기로서) 경로에 의해 및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우에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및 포스포리파제 C에 의해 매개된다. 유전자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해 상기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고, 이는 처리에 의해 조절되고 신호전달 경로의 상이한 수준에서 국소화되는 유전자를 보여준다.
신호 전달 및 세포 사이클에 대한 효과
기능 코딩 유전자 연어 칼시토닌 PTS893
신호 전달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B
칼시클린 결합 단백질 B
칼레티큘린 B, K, M
CREM B, L, P B
CDC 키나제 B, M
MAPK 모두 B
단백질 키나제 모두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경로 모두 B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4A, 4B) 모두 B
포스포리파제 (C, D) 모두 B
PCNA B
SMAD 경로 모두 B
STAT 경로 모두 B
세포 사이클 시클린 (A, A2, B1, C, D2, E2, G1, G2) B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5, 6, 10 B, K, P, T B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A, 1C, 2D B B
연어 칼시토닌 처리된 동물에서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발현 변화가 관찰된 기관을 표시한다: B= 뼈; K= 신장; M= 근육; P= 뇌하수체; L= 간; T= 기관.
또한, 연어 칼시토닌은 표 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시클린 및 시클린-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또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사이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신호 전달
GeneChip(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평균 대조군 평균 sCT 변화 배율
769_s_at 아넥신 A2 8393 6969 -1.2
32066_g_at cAMP 반응 요소 조절제 168 231 1.38
40777_at 카테닌 (카드헤린-연관 단백질), 베타 1, 88kDa 3688 4689 1.27
40697_at 시클린 A2 212 128 -1.65
40697_at 시클린 A2 272 175 -1.56
1943_at 시클린 A2 121 83 -1.45
2020_at 시클린 D1 (PRAD1: 부갑상선 선종증 1) 238 135 -1.76
36650_at 시클린 D2 204 312 1.53
40225_at 시클린 G 연관 키나제 827 1011 1.22
31700_at G 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 35 844 591 -1.43
41074_at G 단백질-커플링된 수용체 49 242 146 -1.66
33082_at 인테그린, 알파 10 171 243 1.42
33082_at 인테그린, 알파 10 228 289 1.26
33411_g_at 인테그린, 알파 6 65 35 -1.86
33410_at 인테그린, 알파 6 201 90 -2.22
38297_at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전달 단백질, 막 연관 753 1006 1.34
31904_at 포스포디에스테라제 2A, cGMP-자극 555 740 1.33
38269_at 단백질 키나제 D2 747 1067 1.43
36008_at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 타입 IVA, 멤버 3 518 376 -1.38
35361_at PTEN 유도 추정 키나제 1 95 255 2.69
35178_at WNT 억제 인자 1 1746 2127 1.22
골 형태형성 단백질 (BMP)은 Smad 단백질을 통해 조골세포 증식 및 분화를 조절한다. 항증식 단백질의 알려진 패밀리의 멤버인 Tob는 조골세포에서 BMP/Smad 신호전달의 음성 조절자이다. Smad 경로 및 그의 조절자의 하나로서의 Tob가 또한 sCT 및 PTS893 처리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로서 확인되었고, 이는 골 재형성의 BMP 조절에 대한 두 화합물의 가설상의 효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두 화합물은 시클린 및 시클린-관련 단백질의 변화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사이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화합물은 세포외 기질 성분의 합성 및 분해를 조절한다 (표 22).
세포외 기질에 대한 효과
기능 코딩 유전자 연어 칼시토닌 PTS893
세포 부착 신호 전달 인테그린 B, M, P B
콜라겐 소화 콜라게나제 B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I, II B, L, P, T
콜라겐 합성 프로콜라겐 엔도펩티다제/프로테이나제 B
리실 히드록실라제 B
세포외 기질 성분 아그레칸 B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B,K,
콜라겐 타입 I, 타입 II, 타입 III, 타입 IV, 타입 V, 타입 VI, 타입 IX, 타입 X, 타입 XI, 타입 XIII, 타입 XIV, 타입 XV 및(또는) 타입 XVI 모두 B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K, M, T B
더마토폰틴 B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L, T B
신데칸 B B
연어 칼시토닌 처리된 동물에서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발현 변화가 관찰된 기관을 표시한다: B= 뼈; K= 신장; M= 근육; P= 뇌하수체; L= 간; T= 기관.
또한, 연어 칼시토닌은 표 2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세포외 기질 성분의 합성 및 분해를 조절한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세포외 기질
GeneChip(등록상표) 발현 프로브 세트 식별자 코딩 유전자 평균 대조군 평균 sCT 변화 배율
36253_at 뼈 감마-카르복시글루타메이트 (gla) 단백질 (오스테오칼신) 26305 33265 1.26
32094_at 탄수화물 (콘드로이틴 6) 술포트랜스퍼라제 3 253 130 -1.95
32094_at 탄수화물 (콘드로이틴 6) 술포트랜스퍼라제 3 292 241 -1.21
41447_at 탄수화물 (콘드로이틴) 합성효소 1 192 107 -1.79
34042_at 콘드로어드헤린 7965 10266 1.29
32306_g_at 콜라겐, 타입 I, 알파 2 7740 9337 1.21
32488_at 콜라겐, 타입 III, 알파 1 (Ehlers-Danlos 증후군 타입 IV, 상염색체 우성) 2339 1294 -1.85
34802_at 콜라겐, 타입 VI, 알파 2 2374 1500 -1.58
35816_at 시스타틴 B (스테핀 B) 983 1897 1.93
34029_at 상아 기질 산성 인단백질 216 587 2.72
38059_g_at 더마토폰틴 695 962 1.38
38057_at 더마토폰틴 1090 1381 1.27
33929_at 글리피칸 1 235 163 -1.44
39350_at 글리피칸 3 64 50 -1.29
37176_at 히알루로노글루코사미니다제 1 109 266 2.43
1546_at 히알루로노글루코사미니다제 1 49 79 1.59
36683_at 기질 Gla 단백질 65 117 1.8
609_f_at 메탈로티오네인 1B (기능성) 2693 3485 1.29
870_f_at 메탈로티오네인 3 (성장 억제 인자 (향신경) 1744 2296 1.32
38307_at 뉴로콘드린 452 696 1.54
34342_s_at 분비된 인단백질 1 (오스테오폰틴, 뼈 시알로프로테인 I) 16370 21279 1.3
38127_at 신데칸 1 534 346 -1.54
1693_s_at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의 조직 억제제 (적혈구 효능 활성, 콜라게나제 억제제) 4549 5522 1.21
2092_s_at 분비된 인단백질 1 (오스테오폰틴, 뼈 시알로프로테인 I, 초기 T-림프구 활성화 1) 7748 9576 1.24
38308_g_at 뉴로콘트린 679 490 -1.39
연어 칼시토닌군에서 분석된 6개의 기관 중 4개에서 두 처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이는 Y-박스 결합 단백질 (YB-1)의 조절이 특히 흥미롭다. YB-1은 콜라겐 알파 1(I) 유전자의 먼 영역의 TGF-β 반응 성분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이다. YB-1 단백질은 콜라겐 프로모터를 활성화시키고, 섬유모세포에 대한 TGF-β 부가 동안 핵 내로 이동시키고, 이는 TGF-β 신호전달에서 상기 단백질의 역할을 제시한다 [Sun W et al., Matrix Biol. 20 (8): 527-41 (2001)].
추가로, 아멜로게닌, 상아질 및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에서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므로 연어 칼시토닌 및 PTS893은 뼈 세포외 기질의 미네랄화의 몇몇 측면을 조절하였다.
미네랄화 및 시각화에 대한 효과
기능 코딩 유전자 연어 칼시토닌 PTS893
백악질 성분 아멜로게닌 B, L B
미네랄 기질 단백질 상아질 B B
무기 Pi 합성을 위한 효소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 B, M
성장인자 혈관형성 VEGF B, M B
연어 칼시토닌 처리된 동물에서 다기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발현 변화가 관찰된 기관을 표시한다: B= 뼈; K= 신장; M= 근육; P= 뇌하수체; L= 간; T= 기관.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 또는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부가 참고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개별적으로 언급되는 바와 동일한 정도로 그 전부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추가로,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GenBank 등록 번호, Unigene Cluster 번호 및 단백질 기탁 번호는 각각의 번호가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부가 참고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개별적으로 언급되는 바와 동일한 정도로 그 전부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별적인 측면의 하나의 예시로서 의도되는,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태양의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고, 이는 당업계의 숙련인이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제시한 것 이외에, 당업계의 숙련인은 상기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기능적으로 등가의 방법 및 장치를 이해할 것이다. 상기 변형 및 변경은 첨부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의 전체 균등 범위와 함께 청구의 범위의 측면에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49)

  1. 동화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가 처방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서의 칼시토닌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질환이 죽상동맥경화증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칼시토닌이 연어 칼시토닌인 용도.
  4. 칼시토닌이 투여된 환자에서 칼시토닌의 효능을 나타내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선택된 환자 집단에서 칼슘 대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서의 칼시토닌의 용도.
  5. 제4항에 있어서, 칼시토닌이 연어 칼시토닌인 용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칼시토닌이 환자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전에 치료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용도.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칼시토닌이 환자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전에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되는 것인 용도.
  8.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투여된 환자에서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효능을 나타내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선택된 환자 집단에서 칼슘 대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서의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용도.
  9. 제8항에 있어서,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PTS893인 용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환자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전에 치료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용도.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환자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전에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되는 것인 용도.
  12. (a)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b) 화합물의 투여 결과인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얻는 단계; 및
    (c)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 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biomarker)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때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유사성이 화합물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것인, 대상에서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투여가 처방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질환이 연어 칼시토닌이 처방되는 것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질환이 PTS893이 처방되는 것인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되는 화합물이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칼시토닌이 연어 칼시토닌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PTS893인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이 포유동물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영장류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영장류가 사이노몰거스 (cynomolgus) 원숭이 또는 인간인 방법.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화합물 투여 전에 대상의 기준선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인 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투여되어 온 척추동물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또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평균인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산 포스파타제 1 이소형 (isoform) a; 악티빈 A 수용체 타입 II 유사 1; 악티빈 A 타입 IIB 수용체 전구체; 악티빈 베타 C 사슬; 알파 2 HS 당단백질; 아멜로게닌; 아넥신 V; 아릴술파타제 E 전구체; ATPase H(+) 공포 (vacuolar); ATPase H(+) 공포 서브유닛; ATPase, H+ 수송, 리소좀; ATPase, H+ 수송, 리소좀; ATPase, H+ 수송, 리소좀; 비글리칸; 골 형태형성 단백질 1; 골 형태형성 단백질 10; 골 형태형성 단백질 2A;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골 형태형성 단백질 6 전구체; 칼슘 결합 단백질 1 (칼 브레인);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CaM 키나제) II 감마; 칼레티큘린; cAMP 반응 성분 조절제 (CREM); 탄산 탈수효소 I; 탄산 탈수효소 II;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카텝신 K; 카텝신 W; CDC 유사 키나제 1; CDC 유사 키나제 2 이소형 hclk2/139;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베르시칸);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3 (뉴로칸); 융모성 체유선발육 호르몬 1; 키모트립신 C (칼데크린); 콜라겐 타입 1 및 PDGFB 융합 전사체; 콜라겐 타입 II 알파 1; 콜라겐 타입 III 알파 1; 콜라겐 타입 IV 알파 2; 콜라겐 타입 IX 알파 l;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콜라겐 타입 VI 알파 2 (AA 570 998); 콜라겐 타입 XI 알파 1;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콜라겐, 타입 I, 알파 2; 콜라겐, 타입 IV, 알파 1; 콜라겐, 타입 IX, 알파 2; 콜라겐, 타입 V, 알파 2;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전구체;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콜라게나제 3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3); 결합조직 성장 인자; 시클린 A2; 시클린 B1; 시클린 D2; 시클린 E2;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5;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5, 조절성 서브유닛 1 (p35);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6;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A (p21, Cip1); 시스타틴 B (스테핀 B); 시토킨 유도성 키나제;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제 1;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제 3; 상아 기질 산성 인단백질 1 (DMP1); 이중특이성 포스파타제 9; 근 긴장성 이영양증 단백질 키나제;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내피 분화, G 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6 전구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관련 단백질; 에스트로 겐 반응성 B 박스 단백질 (EBBP); 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 (산성);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8;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4;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폴리스타틴 유사 1; 폴리스타틴 유사 1;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대사자극성 (metabotropic) 1; GPI1 N 아세틸글루코사미닐 트랜스퍼라제 성분 Gpil; 과립구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 인자(CSF1); 성장 정지 및 DNA 손상 유도성, 알파; 성장 인자 수용체 결합 단백질 10;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페를레칸);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2; 이노시톨 1,4,5 트리스포스페이트 3 키나제 동종효소;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4 포스파타제 타입 I 베타;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 포스파타제; 이노시톨(미오) 1 (또는 4) 모노포스파타제 1; 이노시톨(미오) 1 (또는 4) 모노포스파타제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II);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소마토메딘 A);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인테그린 알파 10 서브유닛; 인터루킨 1 수용체 연관 키나제; 야누스 키나제 3; LIM 단백질 (래트 단백질 키나제 C 결합 에니그마 (enigma)에 유사); 리실 옥시다제 유사 단백질; MAD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상동체 3; MAGUK (막 연관 구아닐레이트 키나제 상동체); MAP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MTK1); MAPK13: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3; MAPK8IP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상호작용 단백 질 1; MEK 키나제; 메탈로프로테이나제;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4;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2;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3; MMD: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연관; 뉴로콘드린; 활성화된 T 세포의 핵 인자, 세포질성, 칼시뉴린 의존성 1; OS 4 단백질 (OS 4); OSF 2os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 2 (페리오스틴);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PAK4; PDGF 연관 단백질;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키나제, 촉매작용의, 베타 폴리펩티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L;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 포스파타제, 이소형 b;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이소형 C (1);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타입 I, 베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타입 II, 베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C (PIG C);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A, cAMP 특이적;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D, cAMP 특이적 (던스 (dunce) (초파리) 상동체 포스포디에스테라제 E3);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칼모듈린 의존성;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촉매작용의, 감마 폴리펩티드;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클래스 3; 포스포리파제 C b3; 포스포리파제 C, 베타 4; 포스포리파제 D; 포스포티딜이노시톨 전달 단백질; PKD2 단백질 키나제 D2;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2;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1; 프로콜라겐 알파 1 타입 II; 프로콜라겐 리신 5 디옥시게나제; 프로콜라겐 프롤린, 2 옥소글루타레이트 4 디옥시게나제 (프롤린 4 히드록실라제), 알파 폴리펩티드 I; 프로게스타겐 연관 자 궁내막 단백질 (태반 단백질 14, 임신 관련 자궁내막 알파 2 글로불린, 알파 자궁 단백질); 프롤리다제 (이미도디펩티다제) PEPD; 증식세포 핵 항원; 프롤릴 4 히드록실라제 베타;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프로테아좀 (프로좀, 마크로파인) 서브유닛, 베타 타입, 10; 활성화된 STAT X의 단백질 억제제; 단백질 키나제 1 PCTAIRE; 단백질 키나제 C 기질 80K H; 단백질 키나제 C, 알파;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촉매작용의, 감마;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조절성, 타입 I, 베타;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조절성, 타입 II, 알파; 퓨린성 수용체 P2Y, G 단백질 커플링된, 11; RAC2 Ras 관련 C3 보툴리눔 독소 기질 2 (rho 계열, 작은 GTP 결합 단백질 Rac2);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DDR; 레티노이드 X 수용체 감마;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90kD, 폴리펩티드 3; SCAMP1: 분비 수송막 단백질 1 (소포 수송); 분비된 인단백질 1 (오스테오폰틴, 뼈 시알로프로테인 I, 초기 T 림프구 활성화 1);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클레이드 H (열 충격 단백질 47), 멤버 2;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38;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 SF 1; 스테로이드 생산 (steroidogenic) 인자 1;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1;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2, 113 kD;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5A;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5A;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6 (STAT6); Smad 3; 수용체 활성화를 위한 Smad 앵커, 이소형 1; Smad5; SMAD6 (BMP/Smadl (MADH1)를 억제); SNF 1 관련 키나제; SpiB 전사 인자 (Spi 1/PU.1 관련); Stat5b (stat5b); Ste20 관련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TEIG;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IEG; TGFB1 유도된 항세포사 멸 인자 1; TGF 베타 유도된 세포사멸 단백질 12; TGF 베타 전구체; TGF 베타 수퍼패밀리 단백질; Tob; 타우즐드 (tousled) 유사 키나제 1; 전환 성장 인자, 베타 수용체 III (베타글리칸, 300kD); 전환 성장 인자 베타 3 (TGF 베타 3); TRIO: 3기능성 도메인 (PTPRF 상호작용); 튜불린 알파 1; 튜불린 알파 3; 튜불린 알파 이소형 H2 알파; 튜불린 베타 2; 튜불린 베타 3; 튜불린 베타 4; 튜불린 베타, 보조인자 D; 타입 VI 콜라겐 알파 2 사슬 전구체; 유비퀴틴 수송 단백질 E2 C; 혈관내피 성장 인자; 혈관내피 성장 인자; 혈관내피 성장 인자 B; 및 Y 박스 결합 단백질 1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카텝신 K; 프리-프로-알파-2 타입 I 콜라겐; 및 Y-박스 결합 단백질 (뼈 및 신장)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서의 증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뼈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탄산 탈수효소 II; Spi-B; 및 Y-박스 결합 단백질 (근육)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에서의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뼈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PU.1 (SPI1; Spi-B); 과립구 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 인자 (CSF1) 및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연관 단 백질 (MMD)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뼈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의 발현 변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뼈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혈관내피 성장 인자 (VEGF)의 발현 변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뼈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인테그린; 콜라게나제;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I 및 II; 프로콜라겐 엔도펩티다제/프로테이나제; 리실 히드록실라제; 아그레칸;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콜라겐 타입 I, 타입 II, 타입 III, 타입 IV, 타입 V, 타입 VI, 타입 IX, 타입 X, 타입 XI, 타입 XIII, 타입 XIV, 타입 XV, 및 타입 XVI;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더마토폰틴;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및 신데칸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뼈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아멜로게닌; 상아질;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 및 VEGF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1. (a)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b) 화합물의 투여 결과인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얻는 단계;
    (c)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이어서 (i)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유사할 때 상기 대상을 임상 시험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ii)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상이할 때 상기 대상을 임상 시험에서 배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투여가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 효능에 대해 화합물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한 임상 시험에 포함시키기 위한 대상의 선택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대상에게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3. (a)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b) 화합물의 투여 결과인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얻는 단계;
    (c)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칼시토닌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이어서 (i)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칼시토닌이 투여된 대상의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유사할 때 상기 화합물이 칼시토닌과 유사한 치료 효능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ii)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칼시토닌이 투여된 대상의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상이할 때 상기 화합물이 칼시토닌과 상이한 치료 효능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칼시토닌과 유사한 치료 효능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칼시토닌이 연어 칼시토닌인 방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대상이 포유동물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영장류인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영장류가 사이노몰거스 원숭이 또는 인간인 방법.
  38. 제3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대상에게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39. (a) 화합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b) 화합물의 투여 결과인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얻는 단계;
    (c)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이어서 (i)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투여된 대상의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유사할 때 상기 화합물이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와 유사한 치료 효능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ii) 화합물이 투여된 대상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이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투여된 대상의 바이오마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과 상이할 때 상기 화합물이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와 상이한 치료 효능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와 유사한 치료 효능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가 PTS893인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대상이 포유동물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영장류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영장류가 사이노몰거스 원숭이 또는 인간인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대상에게 치료 투여량 미만으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45. (a)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투여가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시약;
    (b) 시약을 포함하는 용기; 및
    (c) 상기 질환의 치료 전략을 결정할 때 바이오마커의 사용법을 기재한, 용기 상 또는 용기 내의 기재물
    을 포함하는,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또는 부갑상선 호르몬 유사체의 투여가 처방되는 질환의 치료 효능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키트.
  46. 제45항에 있어서, 시약이 유전자 칩인 키트.
  47. 제45항에 있어서, 시약이 혼성화 프로브인 키트.
  48. 제45항에 있어서, 시약이 유전자 증폭 시약인 키트.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오마커가 산 포스파타제 1 이소형 a; 악티빈 A 수용체 타입 II 유사 1; 악티빈 A 타입 IIB 수용체 전구체; 악티빈 베타 C 사슬; 알파 2 HS 당단백질; 아멜로게닌; 아넥신 V; 아릴술파타제 E 전구체; ATPase H(+) 공포 (vacuolar); ATPase H(+) 공포 서브유닛; ATPase, H+ 수송, 리소좀; ATPase, H+ 수송, 리소좀; ATPase, H+ 수송, 리소좀; 비글리칸; 골 형태형성 단백질 1; 골 형태형성 단백질 10; 골 형태형성 단백질 2A; 골 형태형성 단백질 5; 골 형태형성 단백질 6 전구체; 칼슘 결합 단백질 1 (칼브레인); 칼슘/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CaM 키나제) II 감마; 칼레티큘린; cAMP 반응 성분 조절제 (CREM); 탄산 탈수효소 I; 탄산 탈수효소 II; 연골 올리고머 기질 단백질 전구체; 카텝신 K; 카텝신 W; CDC 유사 키나제 1; CDC 유사 키나제 2 이소형 hclk2/139;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베르시칸);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3 (뉴로칸); 융모성 체유선발육 호르몬 1; 키모트립신 C (칼데크린); 콜라겐 타입 1 및 PDGFB 융합 전사체; 콜라겐 타입 II 알파 1; 콜라겐 타입 III 알파 1; 콜라겐 타입 IV 알파 2; 콜라겐 타입 IX 알파 l;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콜라겐 타입 VI 알파 2 (AA 570 998); 콜라겐 타입 XI 알파 1;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콜라겐 타입 XI 알파 2; 콜라겐, 타입 I, 알파 2; 콜라겐, 타입 IV, 알파 1; 콜라겐, 타입 IX, 알파 2; 콜라겐, 타입 V, 알파 2;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콜라겐, 타입 VI, 알파 1 전구체;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콜라겐, 타입 XVI, 알파 1; 콜라게나제 3 (기질 메탈로프로테이나제 13); 결합조직 성장 인자; 시클린 A2; 시클린 B1; 시클린 D2; 시클린 E2;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5;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5, 조절성 서브유닛 1 (p35);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6; 시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1A (p21, Cip1); 시스타틴 B (스테핀 B); 시토킨 유도성 키나제;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제 1; 사멸 관련 단백질 키나제 3; 상아 기질 산성 인단백질 1 (DMP1); 이중특이성 포스파타제 9; 근 긴장성 이영양증 단백질 키나제;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엑토뉴클레오티드 피로포스파타제/포스포디에스테라제 1; 내피 분화, G 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6 전구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관련 단백질; 에스트로겐 반응성 B 박스 단백질 (EBBP); 섬유모세포 활성화 단백질;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 (산성);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18;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4;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폴리스타틴 유사 1; 폴리스타틴 유사 1;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대사자극성 1; GPI1 N 아세틸글루코사미닐 트랜스퍼라제 성분 Gpil; 과립구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 인자(CSF1); 성장 정지 및 DNA 손상 유도성, 알파; 성장 인자 수용체 결합 단백질 10;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2 (페를레칸);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1; 이노시톨 1,4,5 트리포스페이트 수용체, 타입 2; 이노시톨 1,4,5 트리스포스페이트 3 키나제 동종효소;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4 포스파타제 타입 I 베타; 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 포스파타제; 이노시톨(미오) 1 (또는 4) 모노포스파타제 1; 이노시톨(미오) 1 (또는 4) 모노포스파타제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II);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2 (소마토메딘 A);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3;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5;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 2;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I 전구체; 인테그린 알파 10 서브유닛; 인터루킨 1 수용체 연관 키나제; 야누스 키나제 3; LIM 단백질 (래트 단백질 키나제 C 결합 에니그마에 유사); 리실 옥시다제 유사 단백질; MAD 상동체 3; MAGUK (막 연관 구아닐레이트 키나제 상동체); MAP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MTK1); MAPK13: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3; MAPK8IP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상호작용 단백질 1; MEK 키나제; 메탈로프로테이나제;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8;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1;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키나제 4;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2;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3; MMD: 단핵구에서 마크로파지로의 분화 연관; 뉴로콘드린; 활성화된 T 세포의 핵 인자, 세포질성, 칼시뉴린 의존성 1; OS 4 단백질 (OS 4); OSF 2os 조골세포 특이적 인자 2 (페리오스틴); 파골세포 자극 인자 (OSF); PAK4; PDGF 연관 단백질;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키나제, 촉매작용의, 베타 폴리펩티드;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L;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폴리포스페이트 5 포스파타제, 이소형 b;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이소형 C (1);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타입 I, 베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 포스페이트 5 키나제, 타입 II, 베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글리칸 클래스 C (PIG C);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A, cAMP 특이적; 포스포디에스테라제 4D, cAMP 특이적 (던스 (초파리) 상동체 포스포디에스테라제 E3); 포스포디에스테라제 IB, 칼모듈린 의존성;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촉매작용의, 감마 폴리펩티드; 포스포이노시티드 3 키나제, 클래스 3; 포스포리파제 C b3; 포스포리파제 C, 베타 4; 포스포리파제 D; 포스포티딜이노시톨 전달 단백질; PKD2 단백질 키나제 D2;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2; 프리프로콜라겐 타입 I 알파 1; 프로콜라겐 알파 1 타입 II; 프로콜라겐 리신 5 디옥시게나제; 프로콜라겐 프롤린, 2 옥소글루타레이트 4 디옥시게나제 (프롤린 4 히드록실라제), 알파 폴리펩티드 I; 프로게스타겐 연관 자궁내막 단백질 (태반 단백질 14, 임신 관련 자궁내막 알파 2 글로불린, 알파 자궁 단백질); 프롤리다제 (이미도디펩티다제) PEPD; 증식세포 핵 항원; 프롤릴 4 히드록실라제 베타; 프로테아제, 세린, 11 (IGF 결합); 프로테아좀 (프로좀, 마크로파인) 서브유닛, 베타 타입, 10; 활성화된 STAT X의 단백질 억제제; 단백질 키나제 1 PCTAIRE; 단백질 키나제 C 기질 80K H; 단백질 키나제 C, 알파;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촉매작용의, 감마;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조절성, 타입 I, 베타; 단백질 키나제, cAMP 의존성, 조절성, 타입 II, 알파; 퓨린성 수용체 P2Y, G 단백질 커플링된, 11; RAC2 Ras 관련 C3 보툴리눔 독소 기질 2 (rho 계열, 작은 GTP 결합 단백질 Rac2);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DDR; 레티노이드 X 수용체 감마;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리보좀 단백질 S6 키나제, 90kD, 폴리펩티드 3; SCAMP1: 분비 수송막 단백질 1 (소포 수송); 분비된 인단백질 1 (오스테오폰틴, 뼈 시알로프로테인 I, 초기 T 림프구 활성화 1); 세린 (또는 시스테인)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클레이드 H (열 충격 단백질 47), 멤버 2;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38;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제; SF 1; 스테로이드 생산 인자 1;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1;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2, 113 kD;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5A;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5A; 전사의 신호 변환기 및 활성제 6 (STAT6); Smad 3; 수용체 활성화를 위한 Smad 앵커, 이소형 1; Smad5; SMAD6 (BMP/Smadl (MADH1)를 억제); SNF 1 관련 키나제; SpiB 전사 인자 (Spi 1/PU.1 관련); Stat5b (stat5b); Ste20 관련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TEIG;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GFB 유도성 초기 성장 반응; TIEG; TGFB1 유도된 항세포사멸 인자 1; TGF 베타 유도된 세포사멸 단백질 12; TGF 베타 전구체; TGF 베타 수퍼패밀리 단백질; Tob; 타우즐드 유사 키나제 1; 전환 성장 인자, 베타 수용체 III (베타글리칸, 300kD); 전환 성장 인자 베타 3 (TGF 베타 3); TRIO: 3기능성 도메인 (PTPRF 상호작용); 튜불린 알파 1; 튜불린 알파 3; 튜불린 알파 이소형 H2 알파; 튜불린 베타 2; 튜불린 베타 3; 튜불린 베타 4; 튜불린 베타, 보조인자 D; 타입 VI 콜라겐 알파 2 사슬 전구체; 유비퀴틴 수송 단백질 E2 C; 혈관내피 성장 인자; 혈관내피 성장 인자; 혈관내피 성장 인자 B; 및 Y 박스 결합 단백질 1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KR1020067010205A 2003-11-25 2004-11-24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을 위한 바이오마커 KR200601103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502503P 2003-11-25 2003-11-25
US60/525,025 2003-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304A true KR20060110304A (ko) 2006-10-24

Family

ID=3465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205A KR20060110304A (ko) 2003-11-25 2004-11-24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을 위한 바이오마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70099828A1 (ko)
EP (1) EP1689427A1 (ko)
JP (1) JP2007522100A (ko)
KR (1) KR20060110304A (ko)
CN (1) CN1905894A (ko)
AU (1) AU2004294268A1 (ko)
BR (1) BRPI0416945A (ko)
CA (1) CA2546111A1 (ko)
IL (1) IL175575A0 (ko)
MX (1) MXPA06005950A (ko)
RU (1) RU2006122632A (ko)
WO (1) WO2005053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3393A1 (en) * 2008-10-17 2010-04-22 Roche Diagnostics Gmbh Use of biglycan in the assessment of heart failure
KR20120101054A (ko) * 2009-11-05 2012-09-12 유니버시티 오브 버지니아 페이턴트 파운데이션 암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플렉틴-1을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WO2012125914A1 (en) * 2011-03-16 2012-09-20 University Of Delaware Injectable delivery system for heparan sulfate binding growth factors
CN112574991B (zh) * 2020-12-17 2023-03-17 安徽师范大学 一种寡核苷酸、载体及制备方法和应用
CN116173187B (zh) * 2023-03-14 2024-05-10 哈尔滨医科大学 降钙素在制备防治支架内再狭窄药物中的应用、药物涂层支架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5437A (ja) * 1983-03-25 1984-10-04 Teikoku Hormone Mfg Co Ltd 高コレステロ−ル血症改善剤
US4692433A (en) * 1983-10-12 1987-09-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gulating serum calcium levels of mammals
US5514365A (en) * 1988-10-11 1996-05-07 Schiapparelli Salute S.P.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alcitonin for intranasal administration
JPH02229119A (ja) * 1989-02-28 1990-09-11 Toyo Jozo Co Ltd 動脈硬化予防および治療剤
WO2002024943A2 (en) * 2000-09-19 2002-03-28 Curagen Corporation Method of identifying osteoregenerative agents using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CN1526025A (zh) * 2001-05-16 2004-09-01 ��˹��ŵ�� 作为预后和治疗靶标的乳腺癌中表达的基因
US7384736B2 (en) * 2001-09-06 2008-06-10 Decode Genetics Ehf. Methods for predicting drug sensitivity in patients afflicted with an inflammatory disease
CA2464995A1 (en) * 2001-10-31 2003-05-08 Novartis Ag Methods to treat diabetes and related conditions based on polymorphisms in the tcf1 g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99828A1 (en) 2007-05-03
WO2005053731A1 (en) 2005-06-16
EP1689427A1 (en) 2006-08-16
MXPA06005950A (es) 2006-07-06
JP2007522100A (ja) 2007-08-09
IL175575A0 (en) 2006-09-05
BRPI0416945A (pt) 2007-02-13
AU2004294268A1 (en) 2005-06-16
RU2006122632A (ru) 2008-02-10
CA2546111A1 (en) 2005-06-16
CN1905894A (zh)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lse et al. Molecular differentiation between osteophytic and articular cartilage–clues for a transient and permanent chondrocyte phenotype
Reppe et al. Eight genes are highly associated with BMD variation in postmenopausal Caucasian women
Arici et al. Transforming growth factor-β3 is expressed at high levels in leiomyoma where it stimulates fibronectin expression and cell proliferation
Schmidt et al. Intermittent parathyroid hormone treatment increases osteoblast number, steady state messenger ribonucleic acid levels for osteocalcin, and bone formation in tibial metaphysis of hypophysectomized female rats
Olney et al. Growth factor regulation of human growth plate chondrocyte proliferation in vitro
Yang et al. Evidence of impaired adipogenesis in insulin resistance
Dumond et al. Evidence for a key role of leptin in osteoarthritis
NAKATANI et al.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four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s (1, 2, 3, and 4) in the rat ovary
Hopwood et al. Gene expression profile of the bone microenvironment in human fragility fracture bone
Baudry et al. PKBα is required for adipose differentiation of mouse embryonic fibroblasts
Von Schroeder et al. Endothelin-1 promotes osteoprogenito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fetal rat calvarial cell cultures
Trošt et al. A microarray based identification of osteoporosis-related genes in primary culture of human osteoblasts
Conover et al. Regulation of pregnancy-associated plasma protein-A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osteoblasts
Harlow et al. Lysyl oxidase gene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y in the rat ovary: regulation by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rogen,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superfamily members in vitro
Voge et al. Quantific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mRNA using real-time PCR in bovine granulosa and theca cells: effect of estradiol, insulin, and gonadotropins
Zajac et al. Identification of calcitonin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medullary thyroid carcinomas by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Barreca et al. Intrafollicular insulin-like growth factor-II levels in normally ovulating women and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Sprogar et al. The endothelin system mediates bone modeling in the late stage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rats
Hattori et al. Spontaneous growth hormone (GH) secretion by unstimulated human lymphocytes and the effects of GH-releasing hormone and somatostatin
Hong et al. Cytokine regulation of gingival fibroblast lysyl oxidase, collagen, and elastin
KR20060110304A (ko) 칼시토닌 및 부갑상선 호르몬 치료 효능을 위한 바이오마커
Wiren et al. Signaling pathways implicated in androgen regulation of endocortical bone
Bail et al. Systemic application of growth hormone enhances the early healing phase of osteochondral defects—a preliminary study in micropigs
JP5118851B2 (ja) 線維芽細胞増殖因子フラグメントの使用
Zhao et al. Matrix Gla protein gene expression is induced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embryonic lung 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