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743A -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743A
KR20060109743A KR1020050032047A KR20050032047A KR20060109743A KR 20060109743 A KR20060109743 A KR 20060109743A KR 1020050032047 A KR1020050032047 A KR 1020050032047A KR 20050032047 A KR20050032047 A KR 20050032047A KR 20060109743 A KR20060109743 A KR 20060109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ortable memory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하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743A/ko
Publication of KR2006010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04B2/743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with panels hooked onto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접지 핀들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결합시, 접지핀들이 상하부 케이스 내부에 코팅된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용 메모리 장치의 내부로 정전기 방전이 유입되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및 플래시 메모리보다 먼저 접지핀들이 받아들여서,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킨다.
휴대용 메모리 장치, USB, 정전기 방전, ESD, 플래시 메모리

Description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PORTABLE MEMORY APPARATUS FOR PREVENTING ELETROSTATIC DISCHAR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부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USB 메모리 장치 102 : 상부 케이스
103 : 상부 접지막 104 : 하부 케이스
105 : 하부 접지막 106 : USB 플러그
108 : 인쇄회로기판 110, 110a, 110b : 접지핀
112, 114 : 집적회로 116 : 접지 패턴
본 발명은 휴대용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 장 치들의 발달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메모리 장치는 소형이고, 휴대용으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어, 컴팩트 플래시(Comfact Flash),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멀티미디어 카드(MMC : Multi Media Card), 메모리 스틱 및 USB 메모리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가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들은 작고 가벼워 디지털 제품의 데이터 저장 요구에 부합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집적 기술의 향상으로 고용량의 저장이 가능하므로 디지털 카메라 등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아주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주로 이용하는데,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소거와 프로그램이 가능한 고집적 비휘발성 기억 소자로, 예를 들어 EEPROM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특성을 이용한 기억 장치이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므로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메모리 카드 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휴대용 메모리 장치 중 USB 메모리 카드 장치는 별도의 리더기가 필요하지 않고 핫 플러깅(hot-plugging)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삽입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데 매우 편리하므로, 현대 사회에서 유용하고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이다.
그러나 USB 메모리 카드 장치는 핫 플러그 기능에 의해 전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터 등)에 플러그 또는 언플러그됨에 따라 정전기 방전이 발생될 가 능성이 높다.
ESD는 언제 어떻게 발생할 지 모르는 전자 제품의 위험한 인자이다. 이 ESD를 가장 잘 막는 방법은 제품 내부와 외부가 완벽하게 차단하는 방법이나 이 방법은 제조비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어서 실현은 가능하나 효율적이지 못하다. 특히, USB 메모리 카드 장치는 정전기 방전 현상이 겨울철에 심하며, USB는 ESD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용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USB 메모리 장치의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 핀들을 인쇄회로기판에 형성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정전기 방전이 발생되면, 접지 핀들이 먼저 받아들여서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켜서 회로들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와; 반도체 집적 회로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어 내부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키는 다수 개의 접지 핀들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각각 내부 표면에 금속 코팅된 도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 핀들은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핀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의 접지핀들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의 접지핀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핀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의 접지핀들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의 접지핀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특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케이스에 도전막을 형성하여 정전기 방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키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어느 하나의 내부 표면에 금속 코딩된 도전막과; 반도체 집적 회로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어 내부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의 접지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정전기 방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 1의 접지 핀들을 통해 상기 도전막으로 접지시켜서 상기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킨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및 하부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접지 핀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정전기 방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의 접지 핀들을 통해 상기 도전막으로 접지시켜서 상기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SB 메모리 장치(100)는 상부 케이스(top case)(102)와, 하부 케이스(bottom case)(104)와, 인쇄회로기판(108)과, USB 플러그(106) 및 다수의 접지용 핀(110 : 110a, 110b)들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2, 1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내부 표면이 금속으로 코팅된 도전막(103, 105)이 구비되며, 도전막(103, 105)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2, 104)가 결합될 때, 접지 핀(110)들의 끝단이 접촉된다.
인쇄회로기판(108)은 데이터 기입 및 독출을 위한 다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예를 들어, 데이터 기입 독출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구동, 인터페이스 및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112, 114)들을 실장하고, 접지 패턴(도 2의 116)을 포함하 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USB 플러그(106)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됨)와 연결하여 USB 메모리 장치(100)의 데이터를 기입, 독출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이다.
그리고 접지 핀(110)들은 도체로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108)의 상부 및 하부의 다수의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108)의 접지 패턴(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USB 메모리 장치(100)는 상하로 분리되는 케이스(102, 104)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10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02)와 하부 케이스(104)가 서로 리브(lib)(미도시됨)를 통하여 결합된다. 이 때, 접지 핀(110)들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2, 104)의 도전막(103, 105)에 각각 접촉되어 접지된다.
따라서 USB 메모리 장치(100)에 정전기 방전(EDS)이 발생되면, 결합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2, 104)의 내부로 유입되는 정전기는 접지 핀(110)들을 통해 케이스(102, 104) 내부 표면에 형성된 도전막(103, 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순간적으로 강하게 발생되어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을 인쇄회로기판의 다수의 접지 핀에서 회로 패턴보다 먼저 받아서 접지 패턴으로 전달하여 감쇄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USB 메모리 장치는 CE FC 인증시, ESD 건(gun)으로 USB 플러그와 접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중간 부분에 ESD를 인가한 다. 이에 USB 플러그에 인가된 ESD는 USB 플러그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 인덕터(inductor)에 의해 감쇄되지만,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인가된 ESD는 완벽하게 접합되지 않으므로, 상부 및 하부 케이스 사이로 유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나 플래시 메모리 등에 연결되어 회로 구동을 어렵게 하여 인증을 받을 수 없게 만든다.
이에 본 발명의 USB 메모리 장치(100)는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08)의 접지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도체의 접지 핀(110)들을 형성하고, 접지 핀(110)들을 통하여 순간적이고 강하게 유입되는 ESD를 인쇄회로기판(108)의 회로보다 먼저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하고 그 충격을 접지 패턴으로 전달하여 감쇄시킨다. 또한 이들 접지 핀(110)의 타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2, 104)에 형성된 약 4 mm 이하의 금속 코팅된 도전막(103, 105)에 연결하여 EDS를 더 빨리 받아들여서 감쇄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접지시키는 다수의 접지 핀들을 구비함으로써, 접지 핀들을 통해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켜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및 집적 회로들을 보호한다.
특히,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의 정전기 방전에 의한 충격을 접지 핀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보다 먼저 받아들여서 접지시킴으로써 플래시 메모리 및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케이스와;
    반도체 집적 회로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어 내부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키는 다수 개의 접지 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각각 내부 표면에 금속 코팅된 도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 핀들은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핀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도전막과 전 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의 접지핀들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의 접지핀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핀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의 접지핀들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의 접지핀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5. 휴대용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어느 하나의 내부 표면에 금속 코딩된 도전막과;
    반도체 집적 회로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어 내부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의 접지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정전기 방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 1의 접지 핀들을 통해 상기 도전막으로 접지시켜서 상기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및 하부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접지 핀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는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메모리 장치 내부로 정전기 방전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의 접지 핀들을 통해 상기 도전막으로 접지시켜서 상기 정전기 방전을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KR1020050032047A 2005-04-18 2005-04-18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KR20060109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47A KR20060109743A (ko) 2005-04-18 2005-04-18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47A KR20060109743A (ko) 2005-04-18 2005-04-18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43A true KR20060109743A (ko) 2006-10-23

Family

ID=3761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047A KR20060109743A (ko) 2005-04-18 2005-04-18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7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967B2 (en) Connector with ESD protection
US7416419B2 (en) Methods for ESD protection
US20090190277A1 (en) ESD Protection For USB Memory Devices
TWI390447B (zh) 卡式週邊裝置
US7529098B2 (en) Electronic card form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80200041A1 (en) Storage device
US8356998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482128B2 (en) Flash memory storage apparatus
CN101499139B (zh) 电子卡
KR101058204B1 (ko) Esd 방지 커넥터
JP2002134234A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80318449A1 (en) MULTI-LEVEL CELL (MLC) DUAL PERSONALITY EXTENDED eSATA FLASH MEMORY DEVICE
CN112599156A (zh) 卡型固态驱动器
US8910310B2 (en) Embedded flash memory car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engineering board for embedded flash memory card
US6902435B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for use with different electronic cards
KR100547963B1 (ko) 전자 카드
KR20060109743A (ko)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는 휴대용 메모리 장치
CN113011546A (zh) 通用闪速存储存储器卡
US10249934B2 (en) Wirelessly-communicable memory card
US20140306011A1 (en) Card reader
KR200438337Y1 (ko) 보호 테스트 접점을 갖는 메모리 카드
US20170109098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741002B1 (ko)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표준 전자 장치용 데이터 저장카드
KR200378788Y1 (ko) 모바일 스마트 카드용 아이씨 카드 아답터
US20060285303A1 (en) Housing of a memory card capable of containing a plurality of memory c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