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662A - Liquid crystal display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662A
KR20060109662A KR1020050031894A KR20050031894A KR20060109662A KR 20060109662 A KR20060109662 A KR 20060109662A KR 1020050031894 A KR1020050031894 A KR 1020050031894A KR 20050031894 A KR20050031894 A KR 20050031894A KR 20060109662 A KR20060109662 A KR 20060109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ea
area
direct contact
electrode pad
b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662A/en
Publication of KR2006010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6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Abstract

An LCD is provided to achieve a stable connection between a bump and an electrode pad by lowering a height difference of a space in which a conductive particle is interposed and thus increasing a contact area of the conductive particle. A liquid crystal panel(10) includes an electrode pad. A driving chip(51) includes a bumper having a direct contact area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and an indirect contact area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direct contact area. An area ratio of the direct contact area to the indirect contact area is 40 to 70%. The direct contact area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direction contact area.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1;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범프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bu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칩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칩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chip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ving c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범프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bu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동칩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동칩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chip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ving ch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9c는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9A to 9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third embodiment;

도10a 내지 도10c는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0A to 10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fourth embodiment;

도11a 내지 도11b는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1A to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fth embodiment;

도12a 내지 도12b는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A to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ixth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20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22 : 게이트선20: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2: gate line

23 : 게이트 패드 24 : 데이터선23: gate pad 24: data line

25 : 노출영역 30 : 컬러필터 기판25 exposure area 30 color filter substrate

51 : 게이트 구동칩 52 : 범프51: gate driving chip 52: bump

53 : 직접접촉영역 54 : 제 1 직접접촉영역53: direct contact area 54: first direct contact area

55 : 제 2 직접접촉영역 57 : 간접접촉영역55: second direct contact area 57: indirect contact area

71 : 연성인쇄회로기판 80 : 이방성 도전성 필름7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80: anisotropic conductive film

81 : 수지층 82 : 도전입자81: resin layer 82: conductive particles

91 : 웨이퍼 92 : 금속패드91: wafer 92: metal pad

93 : 보호막 94 : 감광막93: protective film 94: photosensitive film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COG방식의 구동칩 실장에 있어서 구동칩과 전극패드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stably connecting the driving chip and the electrode pad in mounting the driving chip of the COG method.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비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후면에는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한다. 백라이트에서 조사된 빛은 액정의 배열상태에 따라 투과량이 조절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liquid crystal is inject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Since the liquid crystal panel is a non-light emitting device, a backlight unit for supplying ligh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s.

액정표시장치는 이외에 표시영역에 화면을 형성하기 위해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칩 및 데이터 구동칩,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와 구동전압 발생부 등이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 등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gate driving chip and a data driving chip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a gate line and a data line formed on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o form a screen in a display area, a timing controller and a driving voltage generator It further includes a circuit board and the like is formed.

이 중 게이트 구동칩 및 데이터 구동칩은 액정패널 상에, 구체적으로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표시영역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게이트 패드, 데이터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방법으로는 구동칩이 직접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상에 실장되는 COG(chip on glass), 고분자 필름상에 구동칩을 부착하여 실장하는 TCP(tape carrier package), 연성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동칩을 실장하여 부착하는 COF(chip on film) 등의 방법이 있다. 이 중 COG 방식은 접착비용이 저렴하며, 구동칩과 액정패널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the gate driving chip and the data driving chip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gate pads and data pads) form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specifically, the display area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he connection method includes a COG (chip on glass) in which a driving chip is directly mounted on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 tape carrier package (TCP) in which a driving chip is mounted on a polymer film, and a driving chip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hip on film (COF). Among them, the COG method has a low adhesion cost and is widely used due to the advantages in that the driving chip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are stably combined.

COG방식에서 구동칩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전극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전극패드 위에 이방성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위치시킨다. 이방성 도전성 필름은 열경화성 수지층에 도전입자가 들어 있는 구조이다.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riving chip and the electrode pad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in the COG method is as follows. First,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placed on the electrode pad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a structure in which a conductive particle is contained in a thermosetting resin layer.

이후 전극패드에 대응하도록 구동칩의 범프를 위치시킨다. 이 때 이방성 도전성 필름은 전극패드와 구동칩의 범프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전극패드와 범프를 상호 가압하면 이방성 도전성 필름 내의 도전입자가 압착되어, 범프와 전극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Then, the bump of the driving chip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ode pad. At this time,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of the driving chip. Next, when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are pressed together,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re compres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ump and the electrode pad.

그러나, 이방성 도전성 필름 내의 도전입자의 밀도가 낮은 경우 범프와 전극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어 구동신호가 제대로 인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범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패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직접접촉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직접접촉영역은 면적이 작아서 접촉저항에 의하여 구동신호를 제대로 인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density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low, the bumps and the electrode pads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ing signal is not properly applied. In addition, the direct contact area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ump and protrudes toward the electrode pa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However, the direct contact area has a small area so that the driving signal cannot be properly applied by the contact resistance. There is this.

그리고, 범프와 전극패드 사이에 도전입자가 개재되는 공간의 단차가 커서 도전입자에 의하여 범프와 전극패드가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mps and the electrode pads cannot be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particles due to the large difference in the space between the bumps and the electrode pads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terpo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입자의 부재시에도 구동칩과 전극패드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stably connecting a driving chip and an electrode pad to each other even in the absence of conductive particl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전입자가 개재되는 공간의 단차를 낮추어 도전입자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범프와 전극패드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can stably connect the bump and the electrode pad to each other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conductive particles by lowering the step height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interp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패널과; 전극패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접접촉영역과 상기 직접접촉영역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는 간접접촉영역을 갖으며, 간접접촉영역에 대한 직접접촉영역의 면적비율이 40 내지 70%인 범퍼를 갖는 구동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d; It has a direct contact area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and an indirect contact area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direct contact area, and the area ratio of the direct contact area to the indirect contact area is 40 to 70%. It is achiev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riving chip having a phosphorus bumper.

여기서, 언더컷 방지를 위하여 직접접촉영역은 간접접촉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irect contact area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area to prevent undercut.

그리고, 안정적으로 전극패드와 범프를 연결시키기 위해 직접접촉영역의 폭은 4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order to stably connect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the width of the direct contact region is preferably 4 to 6 μm.

또한, 안정적으로 전극패드와 범프를 연결시키기 위해 직접접촉영역은 간접접촉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직접접촉영역과 간접접촉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 2 직접접촉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rect contact region may include a first direct contact region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and a second direct contact reg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to stably connect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여기서, 전극패드와 범프의 접착 및 안정적 연결을 위하여 전극패드와 범프 사이에 수지층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resin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in order to bond and stably connect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그리고, 수지층은 도전입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resin layer may contain conductive particl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 형상의 노출영역를 갖는 전극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패널과; 전극패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접접촉영역과 직접접촉영역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으며 노출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지 않는 간접접촉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범프를 갖는 구동칩; 및 도전입자가 혼입되어 있으며 전극패드와 범프 사이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액정표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panel comprising an electrode pad having an exposed area of a predetermined shape; A driving chip having a bump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pad and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direct contact area and the direct contact are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and having an indirect contact area in which at least a portion does not overlap with the exposed area; 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are mix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여기서, 노출영역은 전극패드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40 내지 60%의 면적비를 갖으며, 간접접촉영역은 범프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40 내지 60%의 면적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osure area has an area ratio of 40 to 60%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electrode pad,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has an area ratio of 40 to 60%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bump.

그리고, 접촉면적을 넓혀 접촉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도전입자는 압착에 의하여 변형되어 액정패널의 판면과 평행하게 누워 있는 타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and lower the contact resistance,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deformed by pressing to have an elliptical shape lying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여기서, 노출영역과 간접접촉영역은 삼각형 및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전극패드와 범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exposed area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in the shape of at least one of a triangle and a quadrangle.

또한, 노출영역과 간접접촉영역은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사각형 형상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일렬로 배치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osed area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may be any one of two rectangular shapes having corners interconnected and at least two rectangular shapes arranged in a li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범프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II of FIG. 1. 4 is a plan view of the bump.

액정표시장치(1)는 크게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과 컬러필터 기판(30)을 포함하는 액정패널(10),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의 외곽에 부착되어 있는 게이트 구동칩(51)과 데이터 구동칩(61) 및 각각 게이트 구동칩(51)과 데이터 구동칩(61)에 연결되어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71, 72)으로 나누어진다. 이 밖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과 컬러필터 기판(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42)을 더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의 배면에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0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30, and a gate driving chip 51 and data attached to an outer si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71 and 72 connected to the driving chip 61 and the gate driving chip 51 and the data driving chip 6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layer 42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30. In some cases, a backlight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It may further include.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의 기판소재(21) 상부에는 게이트선(22)과 데이터선(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이 상호 교차하는 영역은 표시영역(11)이 되며, 그 외의 영역은 화면으로 표시되지 않는 외곽영역이 된다. The gate line 22 and the data line 24 are formed on the substrate material 21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The intersecting area becomes the display area 11 and the other area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area is not displayed.

이하 게이트선(22)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이는 데이터선(24)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gate line 22 will be described, and this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data line 24.

표시영역(11)내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에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선(22)과 데이터선(24)이 교차되는 부근에 마련된다. 도시한 박막트랜지스터(T)는 마스크를 5매 사용한 형태이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외곽영역의 게이트 패드(23)를 통해 게이트 구동칩(51)으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전달 받는다. 게이트 패드(23)는 게이트선(22)의 연장이며, 게이트선(22)에 비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패드(23)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24)이 제거되어 있으며 통상 투명전극(26)으로 덮여져 있다.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T is formed in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in the display area 11.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provided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gate line 22 and the data line 24. The thin film transistor T shown here is in the form of using five masks. The thin film transistor T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gate driving chip 51 through the gate pad 23 of the outer region. The gate pad 23 extends from the gate line 22 and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gate line 22. The gate insulating film 24 is removed on the gate pad 23 and is usually covered with the transparent electrode 26.

구동신호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T)가 온(on)되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25)에 전압이 가해진다. 화소전극(25)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다. When the thin film transistor 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a voltage is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25 connected thereto. The pixel electrode 25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컬러필터 기판(3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판소재(31) 위에 블랙매트릭스(32)와 컬러필터층(33)이 형성되어 있다. 블랙매트릭스(32)는 일반적으로 적색, 녹색, 청색 화소 사이를 구분하며, 박막트랜지스터(T)로의 직접적인 광조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블랙매트릭스(32)는 검은색 안료가 첨가된 감광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검은색 안료로는 카본블랙이나 티타늄 옥사이드 등을 사용한다. Looking at the color filter substrate 30 as follows. The black matrix 32 and the color filter layer 33 are formed on the substrate material 31. The black matrix 32 generally distinguishes between red, green, and blue pixels, and serves to block direct light irradiation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 The black matrix 32 may be formed of a photosensitive organic material to which a black pigment is added. As the black pigment, carbon black or titanium oxide is used.

컬러필터층(33)은 블랙매트릭스(32)를 경계로 하여 적색필터, 녹색필터, 청색필터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컬러필터층(33)은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 터의 조사되어 액정층(42)을 통과한 빛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컬러필터층(33)은 통상 감광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The color filter layer 33 is formed by repeating the red filter, the green filter, and the blue filter with the black matrix 32 as a boundary. The color filter layer 33 serves to impart color to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not shown) and pass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2. The color filter layer 33 is usually made of a photosensitive organic material.

컬러필터층(33)과, 컬러필터층(33)이 덮고 있지 않은 블랙매트릭스(32)의 상부에는 오버코트막(34)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막(34)은 컬러필터층(33)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아크릴계 에폭시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The overcoat film 34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layer 33 and the black matrix 32 which is not covered by the color filter layer 33. The overcoat film 34 serves to protect the color filter layer 33, and an acrylic epoxy material is generally used.

오버코트막(34)의 상부에는 공통전극층(35)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전극층(35)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다. 공통전극층(35)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의 화소전극층(25)과 함께 액정층(42)에 직접 전압을 인가한다.The common electrode layer 35 is formed on the overcoat 34. The common electrode layer 35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The common electrode layer 35 directly applies a voltage to the liquid crystal layer 42 together with the pixel electrode layer 25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이 밖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과 컬러필터 기판(30)의 외부면에는 각각 편광판(26, 36)이 부착되어 있다. 액정(42)은 양 기판(20, 30)과, 양 기판(20, 3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양 기판(20, 30)을 상호 접착하는 실런트(41)로 형성된 공간 내에 존재하면서, 구동칩(51, 61)의 구동신호에 따라 그 정렬상태가 변화한다.In addition, polarizing plates 26 and 36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30, respectively. The liquid crystal 42 is form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two substrates 20 and 30 and the edges of the two substrates 20 and 30 and formed of the sealant 41 which bonds the two substrates 20 and 30 to each other. The alignment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s of the drive chips 51 and 61.

게이트 구동칩(51)은 외곽영역에서 COG방식으로 액정패널(10)에 직접 실장 된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구동칩(51)의 범프(52)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의 게이트 패드(23)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게이트 구동칩(51)은 또한 게이트선(22)을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7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71)과 게이트 구동칩(51)을 연결하는 게이트선(22)은 도전입자와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이방성 도전성 필름(80)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선(22)은 구동칩(51) 내부에서 연성인쇄회로기판(71)과 연결되는 부분과 게이트 패드(23)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The gate driving chip 51 is directly mount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10 by the COG method in the outer region. Specifically, the bump 52 of the gate driving chip 51 and the gate pad 23 of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ate driving chip 51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71 through the gate line 22. Here, the gate line 22 connecting the flexible circuit board 71 and the gate driving chip 51 is connected by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80 made of conductive particles and a resin layer. The gate line 22 is divided in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71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gate pad 23 in the driving chip 51.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칩(51)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20)의 연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gate driving chip 51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20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종래에는 범프와 게이트 패드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범프와 게이트 패드 사이에 이방성 도전성 필름을 개재 시킨다. 이방성 도전성 필름은 도전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입자가 범프와 게이트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전입자의 밀도가 낮은 경우 몇몇의 범프와 게이트 패드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하여 구동신호가 제대로 인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범프(5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패드(23) 방향으로 돌출되어 게이트 패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직접접촉영역(53)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직접접촉영역(53)은 면적이 작아서 접촉저항 때문에 구동신호를 제대로 인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bumps and the gate pad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umps and the gate pads.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ncludes conductive particles,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ump and the gate pad. However, when the density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not made stably between some bumps and the gate pads and thus the driving signal is not properly applied. In addition, although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ump 52 and protrudes toward the gate pad 2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pad 23,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Since the area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ing signal is not properly applied due to the contact resistance.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 패드(23) 방향으로 돌출되어 게이트 패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접접촉영역(53)과 직접접촉영역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는 간접접촉영역(57)이 형성된 범프(52)를 사용하여 도전입자의 부재시에도 구동칩(51)과 게이트 패드(23)를 상호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접촉영역(53)은 간접접촉영역(57)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접접촉영역(53)은 4 내지 6㎛의 폭(d1)을 이루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폭(d1)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정 영역에 서 폭이 증가되거나 감소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범프는 금(Au)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mps protruding toward the gate pad 23 and having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direct contact area 53 and the direct contact area 5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pad 23 ( 52, the driving chip 51 and the gate pad 23 can be st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in the absence of conductive particles. Here, as shown in FIG. 4,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formed in a band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has a width d1 of 4 to 6 μm, and the width d1 may be uniformly formed as a whole, or the width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ther hand, the bump may be made of gold (Au).

그리고, 간접접촉영역(57)에 대한 직접접촉영역(53)의 면적비율은 4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접접촉영역(53)의 면적이 작으면 접촉저항이 커져서 구동신호가 게이트 패드(23)로 제대로 인가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전입자가 사용될 경우, 직접접촉영역(53)의 면적은 감소될 수도 있다.The area ratio of the direct contact area 53 to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is preferably 40 to 70%. This is because if the area of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small, the contact resistance is increased, so that the driving signal cannot be properly applied to the gate pad 23. However, when conductive particles are used, the area of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may be reduced.

이에 의해, 직접접촉영역(53)은 게이트 패드(23)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 도전입자의 밀도가 낮아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또는 도전입자가 없는 경우에도 게이트 패드(23)에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gate pad 23, and thus, the density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low so that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driven to the gate pad 23 even whe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or there are no conductive particles. Signal can be applied.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칩(51)과 게이트 패드(23)사이에는 수지층(81)이 존재한다. 수지층(81)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자외선 또는/ 및 열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다. 종래와 달리 수지층(81) 내에는 도전입자가 혼입되어 있지 않는다. 수지층(81)에 의하여 게이트 패드(23)와, 상술한 직접접촉영역(53)과 간접접촉영역(57)을 갖는 범프(52)가 상호 접착되어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접촉영역(53)이 게이트 패드(23)와 직접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간접접촉영역(57)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직접접촉영역(53)을 통하여 구동신호가 게이트 패트(23)로 인가되게 된다.2 and 3, a resin layer 81 exists between the gate driving chip 51 and the gate pad 23. As shown in FIG. The resin layer 81 includes a thermosetting resin and may be cured by ultraviolet rays and / or heat. Unlike the conventional one, conductive particles are not mixed in the resin layer 81. The resin pad 81 bonds and fixes the gate pad 23 and the bumps 52 having the above-described direct contact region 53 and indirect contact region 57 to each other. As shown,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ate pad 2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is electrically insulated. Therefore,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gate pat 23 through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전입자가 상기 수지층(81) 내부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전입자는 금속으로 코팅된 플라스틱 볼이 주로 사용된다. 도전입자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기 직접접촉영역(53)에 의하여 게이트 패드(23)와 범프(52)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간접접촉영역(57)에서는 도전입자에 의하여 게이트 패드(23)와 범프(52)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어 더 안정적으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Here, although not shown, conductive particle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resin layer 81. As the conductive particles, plastic balls coated with metal are mainly used. By further including conductive particles, the gate pad 23 and the bump 52 ar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by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and the gate pad 23 is formed by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And bumps 5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signals can be applied more stably.

이하, 구동칩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구동칩의 단면도이다. 웨이퍼(91) 상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패드(92)를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 후, 보호막(93)을 웨이퍼(91)와 금속패드(92)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금속패드(92) 상의 보호막(93)을 제거하여, 금속패드(92)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언더컷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패드(92)의 가장자리가 보호막(93)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하여야 한다. 즉, 보호막(93)은 금속패드(92)의 가장자리를 덮으면서 바깥영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riving chi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chip. After the metal pads 92 made of aluminum are formed on the wafer 91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protective film 93 is entirely formed on the wafers 91 and the metal pads 92. Then, the protective film 93 on the metal pad 92 is removed to expose the metal pad 92. Here, in order to prevent undercutting, the edge of the metal pad 92 should be covered by the protective film 93. That is, the protective film 93 extends to the outer region while covering the edge of the metal pad 92.

그 후, 보호막(93)과 금속패드(92) 상에 감광막(94)을 전체적으로 도포하고, 범프(52)를 형성할 영역의 감광막(94)을 제거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52)의 가장자리에 직접접촉영역(53)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패드(92)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보호막(93)으로부터 소정의 폭(d1')만큼 보호막 상의 감광막(94)을 더 제거한다. 여기서, 직접접촉영역(53) 더 넓게 형성하고자 할 때는 폭(d1')을 넓게 하면 된다. 즉, 보호막(93)의 형상 및 면적을 조절함에 의하여 직접접촉영역(53)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hotoresist film 94 is entirely applied on the protective film 93 and the metal pad 92, and the photoresist film 94 in the region where the bumps 52 are to be formed is removed. Here,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form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at the edge of the bump 52, a predetermined width d1 ′ is provided from the protective film 93 covering the edge of the metal pad 92. The photosensitive film 94 on the protective film is further removed. In this case, when the direct contact area 53 is to be formed wider, the width d1 ′ may be widened. That is, the area of the direct contact area 53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hape and area of the passivation layer 93.

그리고, 상기 감광막(94) 사이영역에 범프(52)를 형성하면 (a)영역과 같이 간접접촉영역(57)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직접접촉영역(53)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함몰된 (b)영역과 같은 간접접촉영역(57)이 형성된다. 직접접촉영역(53) 은 하부의 보호막(93)에 의하여 이루어진 단차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버퍼(52) 주위의 감광막(94)을 제거함으로써 구동칩(51)이 완성된다.When the bumps 52 are formed in the region between the photoresist 94, a direct contact region 53 protru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as in region (a), is formed and relatively recessed. An indirect contact area 57 is formed, such as area (b).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protrudes upward by the step formed by the lower passivation layer 93. Finally, the driving chip 51 is completed by removing the photosensitive film 94 around the buffer 52.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게이트 패드와 구동칩 연결부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구동칩의 범프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접촉영역(57)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d3)으로 제 1 직접접촉영역(5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간접접촉영역(57)의 중심부에 소정의 폭(d2)으로 제 2 직접접촉영역(55)이 형성되어 있다. 중심부에 제 2 직접접촉영역(55)을 형성하는 것은 간접접촉영역(57)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직접접촉영역(53)의 폭이 좁게 형성된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게이트 패드(23)와 범프(52)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te pad and a driving chip connection part, and FIG. 7 is a plan view of a bump of the driving chip. As shown, a first direct contact region 5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d3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and a predetermined width d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Thus, the second direct contact region 55 is formed. Forming the second direct contact region 55 in the central portion is more stable when the width of the first direct contact region 5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is narrower. It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umps 52 to each other.

범프(52)에 형성된 제 1 직접접촉영역(54)과 제 2 직접접촉영역(55)의 면적의 합은 간접접촉면적(57)에 대하여 40 내지 70%의 면적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면적비율이 필요한 이유는 게이트 패드(23)와 범프(52)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시켜 게이트 패드(23)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함이다. 즉, 직접접촉영역(53)의 면적이 작으면 접촉저항이 커져서 구동신호가 게이트 패드(23)로 제대로 인가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와 같이 도전입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um of the areas of the first direct contact area 54 and the second direct contact area 55 formed in the bump 52 preferably has an area ratio of 40 to 70% with respect to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The reason for such an area ratio is to apply the signal to the gate pad 23 by stably connecting the gate pad 23 and the bump 52 to each other. That is, if the area of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is small, the contact resistance is increased, and thus the driving signal is not properly applied to the gate pad 23. Here, of course,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further include conductive particle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접접촉영역의 형성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동칩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패드(92) 상에 상기 금속패드(92)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호막(92)과 금속패드(92) 상에 소정의 폭 (d2')을 갖도록 섬모양으로 형성된 보호막(93)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93)과 금속패드(92) 상에 감광막(94)를 도포하고, 범프(52)를 형성할 영역에 감광막(94)을 제거한다. 간접접촉영역(57)의 둘레에 제 1 직접접촉영역(54)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패드(92)의 가장자리를 덮고있는 보호막(93)으로부터 소정의 폭(d3')만큼 감광막(94)을 더 제거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범프(52)를 감광막(94) 사이영역에 도포하면 (c)영역의 제 1 직접접촉영역(54)과 (e) 영역의 제 2 직접접촉영역(55)이 형성된다. 제 1 직접접촉영역(54)과 제 2 직접접촉영역(55)은 보호막(93)이 이루는 단차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즉, 범프(52)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막(93)의 형상을 조절하여 직접접촉영역(54, 55)의 면적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직접접촉영역(54, 55) 사이에 상대적으로 함몰된 간접접촉영역(57)이 형성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chip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formation of a direct contact reg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The protective film 92 extends outwardly and covers the edge of the metal pad 92 on the metal pad 92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d2 ′ on the metal pad 92. A protective film 93 formed in a shape is formed. The photoresist 94 is coated on the passivation layer 93 and the metal pad 92, and the photoresist 94 is removed in a region where the bump 52 is to be formed. In order to form the first direct contact area 54 around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the photosensitive film 94 is further extended from the protective film 93 covering the edge of the metal pad 92 by a predetermined width d3 ′. Remove Then, the bump 52 is applied to the region between the photoresist 94 through the same process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direct contact of the first direct contact region 54 and (e) region of region (c) is performed. Region 55 is formed. The first direct contact region 54 and the second direct contact region 55 protrude upward from the step formed by the passivation layer 93. That is, the area and shape of the direct contact regions 54 and 55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passivation layer 93 positioned below the bump 52. In addition, a relatively indirect contact region 57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rect contact regions 54 and 55.

이에 의하여, 도전입자가 없는 경우에도 직접접촉영역을 통하여 구동신호를 게이트 전극과 데이터 전극에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there is no conductive particle, the driving signal can be stably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and the data electrode through the direct contact region.

이하에서는 도9a 내지 1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a fourth embodiment, a fifth embodiment, and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A through 12B.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9a는 범프의 평면도, 도9b는 게이트 패드의 평면도 도9c는 도9a의 Ⅸ-Ⅸ를 따른 단면도 이다.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사각형 형상의 노출영역(25)을 갖는 게 이트 패드(23)와, 상기 게이트 패드(23)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게이트 패드(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접접촉영역(53)과 직접접촉영역(53)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으며 노출영역(25)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지 않는 간접접촉영역(57)이 형성되어 있는 범프(52) 및 상기 게이트 패드(23)와 상기 범프(52) 사이에 이방성 도전성 필름(80)이 개재되어 있다. 간접접촉영역(57)의 형상은 상기 노출영역(25)의 형상과 좌우 또는 상하가 반전되어 있는 형상이다. 노출영역(25)은 게이트 패드(23)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40 내지 60%의 면적비를 갖으며, 간접접촉영역(57)도 범프(52)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40 내지 60%의 면적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영역(25) 또는 간접접촉영역(57)의 면적비가 60% 이상이면 직접접촉영역(53)의 비율이 줄어들어 게이트 신호가 안정적으로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면적비가 40% 이하이면 도전입자(82)가 개재되는 공간이 작아서 도전입자(82)가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9A to 9C are views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plan view of a bump, and FIG. 9B is a plan view of a gate pad. A gate pad 23 having two rectangular-shaped exposed regions 25 having interconnected corners, and a direct contact region protruding toward the gate pad 2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pad 23. The bump 52 and the gate pad 23 and the bump, which are indented with respect to the 53 and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and are formed with an indirect contact region 57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exposed region 25.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80 is interposed between the 52. The shape of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is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r the top and bottom sides of the exposed area 25 are inverted. The exposed area 25 has an area ratio of 40 to 60% of the total area of the gate pad 23,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also has an area ratio of 40 to 60% of the total area of the bump 52. It is preferable. If the area ratio of the exposed area 25 or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is 60% or more, the ratio of the direct contact area 53 may be reduced, so that the gate signal may not be stably applied. On the other hand, if the area ratio is 40% or less, the spac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interposed is small, and thus the conductive particles 82 may not be interposed.

간접접촉영역(57)과 노출영역(25)이 겹치지 않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입자(82)가 개재되는 공간의 단차(d5)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도전입자(82)가 더 가압되어 범프(52)와 게이트 패드(23)에 대한 도전입자(82)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즉, 액정패널의 판면과 평행하게 누워 있는 타원형상이 되어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그래서 접촉저항이 낮아지게 되므로 게이트 패드(23)와 범프(52)가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전입자(82)는 변형율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와 같은 직접접촉영역(53)이 존재하므로 게이트 신호가 더 안정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Since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and the exposed area 25 do not overlap, as shown in FIG. 9C, the step d 5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interposed is reduced. As a result,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further press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mps 52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82 with respect to the gate pad 23. In other words, the contact area becomes an elliptical shape lying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refore, since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he gate pad 23 and the bump 52 are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with high strain rate as the conductive particle 82. In addition, since the direct contact region 53 such as 'g' exists, the gate signal may be applied more stably.

도10a 내지 도10c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10a는 범프의 평면도, 도10b는 게이트 패드의 평면도 도10c는 도10a의 Ⅹ-Ⅹ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한 내용 이외 것은 제3실시예에 따른다. 제4실시예에서 범프(52)는 적어도 2개의 직사각형이 일렬로 배치된 간접접촉영역(53)을 갖으며, 게이트 패드(23)는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사각형 형상의 노출영역(25)을 갖는다. 도10c에 되시된 바와 같이, 도전입자(82)가 개재되는 공간의 단차(d6)가 낮아져서 도전입자(82)가 더욱 가압되므로 도전입자(82)의 범프(52)와 게이트 패드(23)에 대한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이에 의해, 접촉저항이 낮아져 범프(52)와 게이트 패드(23)가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되게 된다.10A to 10C illustrate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is a plan view of a bump, and FIG. 10B is a plan view of a gate pad. FIG. 10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 of FIG. 10A. Other than what i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bump 52 has an indirect contact area 53 having at least two rectangles arranged in a line, and the gate pad 23 has two rectangular exposed areas 25 having interconnected corners. Has As shown in FIG. 10C, the bumps 52 and the gate pads 23 of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reduced because the level difference d 6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interposed is lowered to further pressurize the conductive particles 82.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so that the bumps 52 and the gate pads 23 are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11a와 도11b는 제5실시예에 따른 범프(52)와 게이트 패드(23)의 평면도이고, 도12a와 도12b는 제6실시예에 따른 범프(52)와 게이트 패드(23)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한 내용 이외 것은 제3실시예에 따른다.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서의 간접접촉영역(57)은 게이트 패드(23)의 일측에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간접접촉영역(57)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지 않는 영역에 노출영역(25)이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각각 범프(52)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간접접촉영역(57)과 노출영역(25)이 겹치지 않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입자(82)가 개재되는 공간의 단차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도전입자(82)가 더 가압되어 범프(52)와 게이트 패드(23)에 대한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그래서 접촉저항이 낮아지게 되므로 게이트 패드(23)와 범프(52)가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된다.11A and 11B are plan views of bumps 52 and gate pads 23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nd FIGS. 12A and 12B are plan views of bumps 52 and gate pads 23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Other than what i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direct contact regions 57 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ate pad 23 in the shape of a rectangle or a triangle, and regions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57 do not overlap. Exposed area 25 is provided on one side of bump 52 in a rectangular or triangular shape, respectively. Since the indirect contact area 57 and the exposed area 25 do not overlap,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tep difference in the spac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interposed is reduced. As a result, the conductive particles 82 are further press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mps 52 and the gate pads 23. Therefore, since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he gate pad 23 and the bump 52 are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패드와 구동칩의 범프를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stably connecting bumps of an electrode pad and a driving chip to each other can be provided.

Claims (11)

전극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패널과;A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with electrode pads; 상기 전극패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접접촉영역과 상기 직접접촉영역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는 간접접촉영역을 갖으며, 상기 간접접촉영역에 대한 상기 직접접촉영역의 면적비율이 40 내지 70%인 범퍼를 갖는 구동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pad and having a direct contact are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and an indirect contact area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direct contact area, wherein an area ratio of the direct contact area to the indirect contact area is And a driving chip having a bumper of 40 to 7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접접촉영역은 상기 간접접촉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direct contact region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reg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직접접촉영역의 폭은 4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The width of the direct contact region is 4 to 6㎛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접접촉영역은 상기 간접접촉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직접접촉영역과 상기 간접접촉영역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 2 직접접촉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wherein the direct contact area includes a first direct contact area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direct contact area and a second direct contact are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irect contact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패드와 상기 범프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a resi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지층은 도전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The resin layer comprises a conductive p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소정 형상의 노출영역를 갖는 전극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패널과;A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d having an exposed area of a predetermined shape; 상기 전극패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접접촉영역과 상기 직접접촉영역에 대하여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영역과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지 않는 간접접촉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범프를 갖는 구동칩; 및 A driving chip having a bump protruding toward the electrode pad and having a direct contact are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and an indirect contact area recessed with respect to the direct contact area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exposed area; ; And 도전입자가 혼입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패드와 상기 범프 사이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액정표시장치.And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n which conductive particles are mix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노출영역은 상기 전극패드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40 내지 60%의 면적비를 갖으며, 상기 간접접촉영역은 상기 범프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40 내지 60%의 면적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wherein the exposed area has an area ratio of 40 to 60%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electrode pad,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has an area ratio of 40 to 60%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bump.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도전입자는 상기 액정패널의 판면과 평행하게 누워 있는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conductive particles have an elliptical shape lying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노출영역과 상기 간접접촉영역은 삼각형 및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상기 전극패드와 상기 범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exposed area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de pad and the bump in a shape of at least one of a triangle and a quadrangl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노출영역과 상기 간접접촉영역은 모서리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사각형 형상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직사각형이 일렬로 배치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And the exposure area and the indirect contact area are any one of two rectangular shapes having corners interconnected and at least two rectangular shapes arranged in a line.
KR1020050031894A 2005-04-18 2005-04-18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1096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94A KR20060109662A (en) 2005-04-18 2005-04-18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94A KR20060109662A (en) 2005-04-18 2005-04-18 Liquid crystal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62A true KR20060109662A (en) 2006-10-23

Family

ID=3761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94A KR20060109662A (en) 2005-04-18 2005-04-18 Liquid crystal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6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369A (en) * 2017-12-12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369A (en) * 2017-12-12 2019-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9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013454B2 (en) Wiring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6340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5311531B2 (en) Display panel with semiconductor chip mounted
US11215883B2 (en)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ihe same
US8016181B2 (en) Method of producing electro-optical device using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to bond terminal portions and electro-optical device
US2002007544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7039960A1 (en) Wiring board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US11567372B2 (en) TFT-LCD device
KR20080046371A (en) Driving circu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019813A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152706A (en)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KR10234837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39969B1 (en) Chip-On-Film Circuit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90208731A1 (en) Conductive adhesive film, method of producing conductive adhesive film,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conductive adhesive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conductive adhesive film
JP4352834B2 (en) Mounting structure,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unting structure
KR20200109400A (en) Display Device
JP200725082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subs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60109662A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203484A (en) Electrooptical device, package structure for flexible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831073B1 (en) Liquid crystal on silicon display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60053399A (en) Film-chip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449214B2 (en) Semiconductor chip, its mounting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02299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31281B1 (e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