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921A -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921A
KR20060108921A KR1020050030663A KR20050030663A KR20060108921A KR 20060108921 A KR20060108921 A KR 20060108921A KR 1020050030663 A KR1020050030663 A KR 1020050030663A KR 20050030663 A KR20050030663 A KR 20050030663A KR 20060108921 A KR20060108921 A KR 2006010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fuel cell
fuel
cell system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8921A/ko
Priority to US11/404,475 priority patent/US20060234105A1/en
Publication of KR2006010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되는 다수의 셀을 양측에서 지지 고정하는 앤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막-전극 어셈블리(MEA)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와, 상기 전기발생부의 최외곽에 배치되고 전면에 보강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을 제공한다.
스택, 앤드플레이트, 리브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FUEL CELL SYSTEM AND STA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택의 앤드플레이트 구조를 개선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연료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과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공기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을 개질하여 만들어진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상기 연료 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밀착되어 막-전극 어셈블리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바이폴라 플레이트'라고도 한다.)에 의한 단위의 셀을 형성하며, 이러한 단위의 셀을 복수로 적층하여 스택(stack)을 형성한다.
이러한 스택은 최외곽의 세퍼레이터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가압 플레이트를 밀착시키고, 상기 최외곽의 세퍼레이터와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집전판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봉과 너트로 가압 플레이트를 조여 스택을 조립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스택 조립을 위해 체결봉과 너트로 가압플레이트를 체결고정하는 과정에서 너트에 의해 양 가압 플레이트가 조여짐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가압플레이트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너트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응력을 견디지 못하고 휘어지기 때문으로 가압플레이트의 변형에 따라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적층되는 각 셀의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가압 플레이트가 2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스택의 경우 가압 플레이트의 변형이 더욱 가중되어 상기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층되는 다수의 셀을 양측에서 지지 고정하는 앤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앤드 플레이트에 리브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MEA)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와, 이 전기발생부의 최외곽에 배치되고 전면에 보강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앤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 앤드플레이트를 조여 상기 전기 발생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최외곽의 양 앤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각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 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상기 앤드플레이트와 전기 발생부 전체를 관통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기 발생부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양 앤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은, 상기 체결봉의 표면에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 및 산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MEA)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와, 상기 전기 발생부의 최외곽에 배치되고 전면에 보강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앤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전지 발생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전기 발생부에 의한 적층 구조의 상기 스택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 기 전기 발생부와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개질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원은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일면에 밀착 배치되어 이 막-전극 어셈블리로 수소 가스를 공급하는 수소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다른 일면에 밀착 배치되어 이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 세퍼레이터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판상의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상기 앤드플레이트를 조여 상기 전기 발생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100)을 설명하면, 이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 가스와 산화제 가스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de Membrane Fuel Cell; PEMFC) 방식을 채용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 시스템(100)에 있어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라 함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 가스 등과 같이 액상 또는 기체 상태로 이루어진 연료 이 외에, 상기 연료의 개질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소 가스를 통칭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연료는 편의상 액상으로 이루어진 전자의 연료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시스템(100)은 수소 가스와 반응하는 산화제 가스로서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산소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후자의 예를 설명한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10)과, 상기한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수소 가스를 스택(10)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30)과, 공기를 스택(10)으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원(40)을 포함한다.
스택(10)은 연료 공급원(30)과 산소 공급원(40)에 연결 설치되어 이 연료 공급원(30)으로부터 상기 수소 가스를 공급받고, 산소 공급원(40)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 중의 산소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를 구성한다.
연료 공급원(30)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31)와, 이 연료 탱크(31)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 펌프(33)와, 연료 탱크(31)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이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를 스택(10)으로 공급하는 개질기(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산소 공급원(40)은 소정 펌핑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스택(10)으로 공급하는 공기 펌프(4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료 공급원(30)에 있어 개질기(35)는 열 에너지에 의한 화학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통상적인 개질기 구조를 갖는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개질기(35)는 일 례로서, 수증기 개질, 부분 산화 또는 자열 반응 등의 촉매 반응을 통해 상기한 연료로부터 수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개질기(35)는 일 례로서, 수성가스 전환 방법, 선택적 산화 방법 등과 같은 촉매 반응 또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소의 정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수소 가스에 함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저감시킨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 있는 협의의 연료를 직접 스택(10)으로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는 전술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도 1에 도시한 개질기(35)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형 연료 전지 방식을 적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 (1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100)의 작용시 연료 공급원(30)의 개질기(35)를 통해 발생되는 수소 가스와 공기 펌프(41)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스택(10)으로 공급하게 되면, 스택(10)에서는 상기 수소 가스와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한 스택(10)을 구성하는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스택(10)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이하, 'MEA'라고 한다.)(12)를 중심에 두고 이의 양면에 세퍼레이터(Separator)(당업계에서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라고도 한다.)(13)를 배치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최소 단위의 전기 발생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복수의 전기 발생부(11)를 연속적으로 적층 배치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적층 구조의 스택(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세퍼레이터(13) 사이에 개재되는 MEA(12)는 이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고,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전해질막(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애노드 전극은 세퍼레이터(13)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 가스를 산화 반응시켜 수소를 수소 이온(프로톤)과 전자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캐소드 전극은 세퍼레이터(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와 상기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이동된 수소 이온 및 전자를 환원 반응시켜, 소정 온도의 열과 수분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해질막은 두께가 50∼200㎛인 고체 폴리머 전해질로 형성되어, 애노드 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시키는 이온 교환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13)는 MEA(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 배치되고, MEA(12)에 밀착되는 밀착면에 수소 통로(13a)와 공기 통로(13b)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소 통로(13a)는 MEA(12)의 애노드 전극 측에 위치하여 개질기(35)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가스를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기 통로(13b)는 MEA(12)의 캐소드 전극 측에 위치하여 공기 펌프(4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를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세퍼레이터(13)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기능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세퍼레이터(13)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세퍼레이터(13)에 대해 일면에 수소 통로(13a)를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 공기 통로(13b)를 형성하고 있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수소 통로(13a) 및 공기 통로(13b)는 MEA(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13)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3)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카본 합성물(carbon composite)로 성형하여 상기 수소 통로(13a)와 공기 통로(13b)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수소 통로(13a)와 공기 통로(13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13)는 도면에서 수소 가스와 공기가 수소 통로(13a) 및 공기 통로(13b)에 대하여 어떻게 공급 순환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은 수소 통로(13a) 및 공기 통로(13b)로 수소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여 순환시키고, MEA(12)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에서 반응하고 남은 미반응 수소 가스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통상적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100)의 작용시 세퍼레이터(13)를 통해 MEA(12)의 애노드 전극으로 수소 가스가 공급되는 반면, 캐소드 전극으로 산소를 함유한 공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애노드 전극에서는 수소 가스를 전자와 수소 이온(프로톤)으로 분리한다. 이 때 상기한 수소 이온은 MEA(12)의 전해질막을 통하여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전해질막을 통하여 이동되지 못하고 세퍼레이터(13)를 통해 이웃하는 MEA(12)의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캐소드 전극에서는 상기 이동된 수소 이온 및 전자와 상기한 산소와의 결합 반응을 통해 열과 수분을 발생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한 스택(10)의 최외곽에는 다수개의 전기발생부를 적층 고정시키기 위한 앤드플레이트(15a,15b)가 위치한다.
상기 앤드플레이트(15a,15b)는 전기 발생부(11)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를 집전하는 집전유니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15a,15b)는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13)들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그 가장자 리 부분이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13)의 가장자리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세퍼레이터(13)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통해 체결부가 설치되어 양 앤드플레이트(15a,15b)를 조여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부(19)는 전기 발생부(11)로 공급되는 수소 가스 및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전지로서의 구조를 갖추기 위해, 복수의 전기 발생부(11)들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하나로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엔드 플레이트(15a, 15b)의 여유 부분(A)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19c)에 각각 관통 설치되는 체결봉(19a)과, 상기 체결봉(19a)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엔드 플레이트(15a, 15b)를 고정하는 너트(19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19c)을 관통한 체결봉(19a)의 양 끝단에 너트(19b)를 각각 체결함으로써 양쪽의 엔드 플레이트(15a, 15b)를 눌러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택(10)을 적정한 압력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앤드플레이트(15a,15b)는 외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용 리브(17)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리브(17)는 앤드플레이트(15a,15b)의 전면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형성 높이와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브(17)는 사각형태의 앤드플레이트(15a,15b)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홀(19c) 사이에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형태로 배치되며 그 형성 길이는 리브(17)의 양 끝단이 체결홀(19c) 주위에 접하는 너트(19b)에 간섭되지 않는 정도로 연장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리브(17)는 사각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호형 단면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리브(17)가 앤드플레이트(15a,15b)에 일체로 돌출형성됨으로서 상기 너트(19b)가 체결봉(19a)에 체결되어 전기 발생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의 앤드플레이트(15a,15b)를 조이게 되면 앤드플레이트에 응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때 앤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리브(17)가 앤드플레이트의 강도를 높여 앤드플레이트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앤드플레이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앤드플레이트(15a,15b)의 외측면에 보강용 리브(18)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브(18)는 상기 앤드플레이트(15a,15b)의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리브(18)는 앤드플레이트(15a,15b)의 전면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형성 높이와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리브(17)는 사각형태의 앤드플레이트(15a,15b)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홀(19c)과 대각선 방향의 체결홀(19c) 사이에 직선형태로 배치되며 그 형성 길이는 리브(17)의 양 끝단이 체결홀(19c) 주위에 접하는 너트(19b)에 간섭되지 않는 정도로 연장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리브(17)는 사각 단면형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호형 단면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적용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의하면, 앤드플레이트에 대한 너트의 응력집중을 방지하여 앤드플레이트 및 체결봉과 너트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막-전극 어셈블리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와,
    상기 전기발생부의 최외곽에 배치되고 전면에 보강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앤드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앤드플레이트를 조여 상기 전기 발생부를 체결하도록 상기 최외곽의 양 앤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봉; 및 상기 체결봉의 양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각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직선형태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사각 단면형태인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상기 전기 발생부 전체를 관통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은 상기 전기 발생부의 최외곽에 위치한 양 세퍼레이터를 관통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10.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 및
    산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원
    을 포함하며,
    상기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와, 상기 전기발생부의 최외곽에 배치되고 전면에 보강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전기 발생부에 의한 적층 구조의 상기 스택을 형성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원은, 상기 전기 발생부와 연료 탱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소 가스를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개질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원은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일면에 밀착 배치되어 이 막-전 극 어셈블리로 수소 가스를 공급하는 수소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다른 일면에 밀착 배치되어 이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각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직선형태인 연료 전지 시스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사각 단면형태인 연료 전지 시스템.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0050030663A 2005-04-13 2005-04-13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KR20060108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63A KR20060108921A (ko) 2005-04-13 2005-04-13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US11/404,475 US20060234105A1 (en) 2005-04-13 2006-04-13 Stack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63A KR20060108921A (ko) 2005-04-13 2005-04-13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93A Division KR100728792B1 (ko) 2007-03-16 2007-03-16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21A true KR20060108921A (ko) 2006-10-18

Family

ID=3710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63A KR20060108921A (ko) 2005-04-13 2005-04-13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34105A1 (ko)
KR (1) KR200601089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05B1 (ko) * 2007-05-31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스택
KR101527256B1 (ko) * 2011-06-0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15B1 (ko) * 2009-04-07 2011-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JP6659770B2 (ja) * 2018-06-08 2020-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20007634A (ja) * 2018-07-03 2020-0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化学式水素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867B1 (en) * 1997-12-05 2001-08-28 Griff Consulting, Inc. Apparatus for pumping a fluid in a fuel cell system
US6124051A (en) * 1998-11-13 2000-09-26 Phoenix Analysis And Design Technologies Fuel cell stack with novel cooling and gas distribution systems
US6727016B2 (en) * 2001-08-09 2004-04-27 Motorola, Inc. Direct methanol fuel cell including a water recovery and re-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JP4105421B2 (ja) * 2001-10-31 2008-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並びに発電システム
JP4174022B2 (ja) * 2003-10-20 2008-10-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05B1 (ko) * 2007-05-31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스택
US7745043B2 (en) 2007-05-31 2010-06-29 Samsung Sdi Co., Ltd. Fuel cell stack
KR101527256B1 (ko) * 2011-06-0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4105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851B2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separator having cooling water flow channels
US20050164064A1 (en) Stack of generators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KR100673754B1 (ko) 스택 및 이를 채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0921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EP1760813B1 (en) Bipolar plate
US7232582B2 (en) Fuel cell
KR20060108921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KR101155911B1 (ko) 연료 전지 시스템용 스택
KR100728792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JP467249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スタック
KR100684781B1 (ko)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
KR20070036501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택
KR10079665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030044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택 및 세퍼레이터
CN211929633U (zh) 用于燃料电池的张力板
KR101107081B1 (ko) 연료 전지용 스택과 이를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550954B1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0696682B1 (ko)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
KR20070025161A (ko)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0637503B1 (ko)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장치
KR20070036500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택
KR100599690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스택
KR100599715B1 (ko) 연료전지 시스템, 스택, 및 세퍼레이터
KR20120077549A (ko) 연료 전지 스택의 가스 및 냉각액 입출구 구조
KR20060020024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215

Effective date: 2008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