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804A -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804A
KR20060108804A KR1020050030970A KR20050030970A KR20060108804A KR 20060108804 A KR20060108804 A KR 20060108804A KR 1020050030970 A KR1020050030970 A KR 1020050030970A KR 20050030970 A KR20050030970 A KR 20050030970A KR 20060108804 A KR20060108804 A KR 20060108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ed
sewage treatment
sewage
wet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821B1 (ko
Inventor
서정윤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3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8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D 및 BOD성 오염물질은 물론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처리하면서 처리시설의 경제성(건설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의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2단 복층여재 갈대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수가 반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호기성조; 및, 상기 호기성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반입되어 혐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혐기성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장치에서,
상기 호기성조는 최상부에 조성된 갈대습지; 상기 갈대습지 아래에 적층된 제올라이트층; 및, 상기 제올라이트층 아래에 적층된 모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집수정이 상기 갈대습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하수의 수직흐름을 유도하며, 상기 혐기성조는 모래층 및 굴껍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된 격벽이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평흐름을 유도하는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하수처리, 인공습지, 제올라이트, 모래, 굴껍질, 갈대

Description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Sewage treatment system made by artificial reedi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하수 처리시스템에 의해 처리한 결과로서, 각각 pH 변화, DO 변화, BOD 변화, COD 변화, 각종 형태의 질소 변화 및 T-P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OD 및 BOD성 오염물질은 물론 질소 및 인을 동시에 처리하면서 처리시설의 경제성(건설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의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방법에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인 활성슬러지법, 살수여상법 및 RBC법과 물리 화학적 처리방법 그리고 액상부식법 등의 기계식 처리방법이 있다. 이들 기계식 처리공법은 유기물질의 처리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건설비용이 높고 유지관리비용(하수처리 전문인력의 높은 인건비 및 에너지사용 등)이 매우 높으며 하천수질의 부영양화의 주요인자인 질소 및 인의 처리효율이 낮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한편, 농촌 하수처리는 1991년부터 정부에서 약 700여개 소규모 마을 단위에 자연정화공법인 토양침윤 공법을 이용한 자연정화공법을 보급하여 그 동안 약 30%정도 보급하였고 나머지는 기계식공법을 보급하였다. 그러나, 1996년부터는 토양침윤 공법은 공극 폐쇄로 보급을 중단하였고 그후부터 대부분 기계식공법을 공급하였다. 이 공법 또한 기계시설의 고장이 잦으며, 유지관리비가 1인당 연간 약 5만원 정도로 과다 소요되므로 하수처리장 유지관리비 등 운영비 조달에 매우 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하수량도 1인당 400L로 되어 있어 농촌 현실에 적절하지 않은 시설이 보급되어 하수처리율이 매우 낮고, 실제 가동이 중단된 지역이 많은 실정이다. 그리고, 현행 기계식 농촌하수처리를 위한 기술인력이 태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행 기계식하수처리시설 운영에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현행 기계식 농촌하수처리장 시설이나 현황으로는 하천의 수질을 낙관하기 매우 어려운 실이다.
농촌하수처리장은 하수발생량 변화에 쉽게 적응하고, 하수처리효과 특히 질소, 인의 처리효율이 높으며, 하수처리 비용 및 시설관리 비용이 저렴하고, 처리장 건설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처리장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야 할 것이며 특히 농촌하수처리장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모래, 자갈 등 충진물을 이용한 하수처리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은 시설 고장이 없고 관리가 간편하며 하수처리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못형 하수처리장은 하수가 침전지, 산화지, 후처리 연못 등이 설치되어 부지 면적이 많이 소요되므로 우리나라와 같이 좁은 국토에서는 적용하기 어렵고, 특히 하수가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이러한 자연정화공법에서는 방류수의 T-N 중 NH4 +-N이 상당량 배출되어 문제되고 있다. NH4 +-N은 수계에 방류될 때 용존산소를 많이 고갈시키고 수계의 환경변화에 따라 화학평형이 NH3 쪽으로 많이 전환되면 어류에 독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인공습지의 여재로는 모래, 자갈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인위적으로 조제하거나 다른 천연재료들을 활용하려는 시도도 되고 있다. 특히, 제올라이트는 우리나라의 영일만 부근을 비롯하여 America 대륙, Europe, Russia,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결정수 함량이 높고, 다공성 구조로 되어있으며, 알칼리(토)금속을 함유하고 있고, 비표면적, 양이온 교환용량(C.E.C), 암모니아의 선택적 흡착능, 수분흡수력, 가스 흡착력(탈취능)이 큰 성질이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환경정화용(악취제거, 중금속 흡착, 정수 및 폐수처리)이나 가스 흡착제, 미생물 흡착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적절한 입자 크기의 제올라이트는 특히 NH4 +-N의 흡착이 대단히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올라이트를 인공습지의 충진물로 사용한 결과 하수 중 NH4 +-N의 농도를 1mg/L 이하로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공습지를 제올라이트만으로 충진하게 되면 제올라이트 가격 자체가 비싸 인공습지 건설비용의 경제성 떨어지며 나아가 인의 처리에도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현행 생물학적 공법에 비하여 시설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하게 설치 유지할 수 있으며, 고급 기술관리인력을 요구하지 않아 유지관리비가 거의 소요되지 않고, 슬러지 등 부산물을 발생하지 않으며, 한번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고, NH4 +-N 및 인의 제거효율이 월등한 제올라이트, 모래 및 폐굴껍질을 충진물질로 사용하여 완성된 2단 복층여재 갈대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오염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수가 반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호기성조; 및, 상기 호기성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반입되어 혐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혐기성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장치에서,
상기 호기성조는 최상부에 조성된 갈대습지; 상기 갈대습지 아래에 적층된 제올라이트층; 및, 상기 제올라이트층 아래에 적층된 모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집수정이 상기 갈대습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하수의 수직흐름을 유도하며, 상기 혐기성조는 모래층 및 굴껍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된 격벽이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평흐름을 유도하는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집수정, 호기성조 및 혐기성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장치에서 호기성조를 갈대습지, 제올라이트층 및 모래층으로 구성하여 수직흐름을 유도하고, 혐기성조를 모래층과 굴껍질층으로 구성하여 수평흐름을 유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기물이 충진물에 흡착 또는 여과작용에 의하여 여재층에 머무르는 동안 여재층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하여 충분히 분해되어 여과상의 유기물 흡착능이 다시 회복할 수 있도록 집수정으로부터의 하수의 배출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1.호기성조
호기성조는 최상부에 조성된 갈대습지; 상기 갈대습지 아래에 적층된 제올라이트층; 및, 상기 제올라이트층 아래에 적층된 모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집수정이 상기 갈대습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하수의 수직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호기성조는 저렴한 스테인레스의 수조형태로 제작하여 모래 및 제올라이트를 충진하여 간편하게 완성할 수 있다.
갈대습지는 호기성조에서 제올라이트층과 함께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여과상에 채워진 충진물질의 표면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주입되는 하수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활성을 유도함은 물론 하수의 DO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갈대습지는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치를 자연친화적인 장치로서 역할하게 하는 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하수처리장은 철새, 잠자리, 개구리 등의 서식지로 이용되어 생태계 환원 및 복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올라이트층은 상기 갈대습지 아래에 적층되며, 제올라이트는 양이온 치환용량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하수와 함께 유입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먼저 흡착할 것 이다. 제올라이트는 고가의 재료이므로 그 사용량이 많아질 경우 경제성을 떨어뜨리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수처리장치 전체에 사용하지 않고 갈대습지 아래에만 적층하고 있다. 제올라이트 사용량의 감소로 인한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효과는 모래층으로 보완한다. 제올라이트층은 갈대습지 아래에 적층되는데, 이는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암모니아성 질소를 갈대습지에서 발생하는 산소의 도움을 받아 질산성 질소로 산화시켜 암모니아성 질소의 처리효율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모래층은 상기 제올라이트층 아래 적층되며, 고가의 제올라이트를 보완한다.
2.혐기성조
혐기성조는 모래층 및 굴껍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된 격벽이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평흐름을 유도한다. 수평흐름은 체류시간을 늘려 주어 여재에 의해 충분히 여과, 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혐기성조는 호기성조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로 제작하여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굴껍질층은 인의 제거 및 ph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굴껍질층의 형성을 위한 굴껍질은 4∼5mm의 입경을 가지면서 표면이 깨끗이 정리된 것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작은 입경을 가지는 것은 하수처리과정에서 바닥에 침전되어 격벽의 개방부분을 폐쇄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에 포함된 인은 갈대에 의하여 흡수되거나, 여재에 함유된 Ca, Fe 및 Al과 화학적으로 결합한 불용성 물질 상태로 여재에 축적되거나, 여재 표면에 증식하는 미생물체와 합성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갈대에 의한 제거와 표면에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생물학적 제거보다는 칼슘 및 철과 반응하여 불용성 물질의 생성에 의한 제거가 우세하게 일어난다. 왜냐하면 인은 pH 3∼9의 범위에서 H2PO4 -, HPO4 2-, PO4 3-으로 존재하는데, 이때 Ca2+, Mg2+, Al3+, Fe3+, Fe2+ 등의 금속은 인의 거동에 관계하고 착염 또는 불용성 화합물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착염 또는 불용성 화합물은 여재 입자들 사이에 침전하기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의 제거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이면서 폐자원 재활용 차원에서 굴껍질을 이용하고 있다. 즉, 인을 굴껍질의 주성분인 Ca2+ 와의 반응을 유도하여 Hydroxyapatite(<Ca10(OH)2(PO4)6> ; 이하 HAP라고 칭함) 형태의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하기 식에 HAP를 생성하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10Ca2+ + 6PO4 3- + 2OH- →Ca10(OH)2(PO4)6
상기 굴껍질층은 전체 혐기성조에 대하여 8~8.5 부피%를 차지하면서 격벽으로 구획된 혐기성조의 하류 공간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굴껍질은 하기 식에 나타난 바와 같이 CO2를 포함하고 있는 물과 반응하여 알칼리를 생성하므로 pH를 상승시키는 바, 굴껍질층이 8부피%보다 작게 형성되면 인 제거가 효과가 충분치 않게 될 것이고 8.5부피%보다 많게 형성되면 처리수가 알카리성으로 배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굴껍질(CaCO3) + CO2 + H2O →굴껍질(CaCO3) + Ca2+ + CO3 2-
CO3 2- + H2O →HCO3- + OH-
한편, 하류에 굴껍질층을 형성시키는 것은, 갈대 여과상에서 인이 여재 표면에 증식하는 미생물의 합성에 의하여 제거되거나 갈대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흡수 제거되도록 하여 하수처리과정에서 인을 충분히 활용하고, 활용하고 남은 것만을 하류의 굴껍질층이 작용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처리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상 유입된 암모니아성 질소가 산화되고 그리고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이산화탄소나 유기산이 증가되기 때문에 유출수의 pH가 유입수에 비하여 낮아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굴껍질층을 혐기성조 하류에 형성시킴으로 배출전 ph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유입수에 비하여 유출수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이면서 전반적으로는 높은 중성인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굴껍질층을 모래층과 복층으로 적층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굴껍질층이 모래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굴껍질층이 하수의 처리과정에서 부유하여 처리수와 함께 배출되거나 굴껍질층에 의한 처리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치가 하수처리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시험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제올라이트는 경북 포항에 위치하고 있는 Y. 화학에서 제공받았으며 굴껍질은 남해안의 해안가에 무단 방치되고 있는 것을 수거하여 사용하였다. 화학성분을 살펴보면 하기의 표와 같다.
Chemical component Content(%)
Zeolite Oyster shell
SiO2 68.0~72.0 -
Al2O3 9.0~14.0 2.37
CaO >3.0 55.43
MgO >2.0 0.48
K2O >3.0 0.42
Na2O >4.0 1.34
Fe2O3 >3.0 0.38
2) 대상하수
본 실험에는 경상대학교내 오수정화시설의 저류조에 유입되는 생활하수를 사용하였다.
3) 실험장치
본 연구에 사용된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로 제작하였으며 수직흐름(500cm×600cm(length)×1,200cm(height)) 갈대 여과상과 수평흐름(300cm×2,000cm(length)×1,200cm(height))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진물로는 제올라이트와 모래 1∼3mm, 굴껍질 4∼5mm의 입경을 충진하여 사용하였다.
4) 운전조건
하수는 수리학적 부하량 314L/m2 day를 하루 4회(10분 동안 주입 후 5시간 50분 동안 중단) 균등하게 간헐적으로 주입하였다.
5) 분석방법
수질분석은 유입 및 유출수를 채취하여 pH, DO, BOD, CODMn, CODCr, NH4 +-N, NO2 --N, NO3 --N, T-N, T-P 항목을 분석하였다. BOD와 CODMn,는 공정시험법, NH4 +-N은 공정시험법의 인도페놀법, T-N와 T-P는 과황산칼륨으로 전처리 후 자외선 흡광광도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CODCr은 Standard Methods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시험예 1] pH 변화
도 2는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유입 및 유출수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평균 pH는 유입수 7.3이었으나 유출수는 8.43이었다.
인공습지 후단에 충진한 굴껍질의 영향으로 초기에는 pH 10을 초과하였으나 그 이후에 시간경과와 더불어 낮아져 방류수기준에 적합한 pH를 유지하였다. 이는 굴껄질의 수처리 공정을 지나도록 한 것에 기인한다.
[시험예 2] DO 변화
도 3은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유입 및 유출수의 DO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평균 용존산소는 유입수 2.36mg/L이었으나 유출수 6.76mg/L로 유입수보다 유출수에서 높았다. 이로부터 갈대 또는 여과상에 의하여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BOD 변화
도 4는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유입 및 유출수의 BOD 변화를 나타내었다. 평균 BOD는 유입수 42.87mg/L, 유출수 2.0mg/L(처리효율 95.33%)로 유출수에서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 흐름 여과상에서 수평 흐름(여재가 거의 처리수로 침적되어 있음) 여과상보다 유기물 분해가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기서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원인은 수평 흐름 여과상도 처리수로 침적된 부분이 없이 여재층을 통과한 처리수가 바닥에서 바로 유출되어 수평 흐름 여과상에서 한쪽 부위에 유입수가 주입되는 것 외에는 두 흐름 여과상의 차이가 거의 없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시험예 4] COD 변화
도 5는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유입 및 유출수의 COD 변화를 나타내었다. 도 5의 CODCr 및 CODMn에서도 유출수 중의 농도가 경우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였다. 그러나, 연 평균 CODCr은 유입수 73.74mg/L, 유출수 13.75mg/L(처리효율 81.35%)이었으며 CODMn은 유입수 47.98mg/L, 유출수 6.01mg/L(처리효율 87.47%)로 처리효율은 높았다.
[시험예 5] T-N 변화
도 6은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유입 및 유출수에서 각종 형태의 질소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평균 T-N의 농도는 유입수 36.22mg/L, 유출수 14.44mg/L(처리효율 60.2%)이었으며, NH4+-N의 농도는 유입수 36.67mg/L, 유출수 5.68mg/L(처리효율 84.5%)이었다. 평균 NO2--N의 농도는 유입수 0.72mg/L, 유출수 0.97mg/L이었으며 NO3--N의 농도는 유입수 1.42mg/L, 유출수 7.87mg/L이었다.
T-N의 제거효율은 높지 않았으나 방류수 중 질소의 대부분은 질산성 질소로 산화되었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약 84.5% 정도로 처리효율이 높았으며 암모니아성 질소는 산화에 의하여 질산태 또는 아질산태로 되거나 질산화된 질소가 탈질에 의하여 제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시험예 6] T-P 변화
도 7은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유입 및 유출수의 T-P 변화를 나타내었다.
평균 T-P는 유입수 8.3mg/L, 유출수 0.97mg/L(처리효율 88.3%)로써 Klaus Bahlo20)는 수직형 모래여과상에서 T-P 51.9% 그리고 G. Fehr, et. al.21)은 식재한 토양여과상에서 53∼56%이었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pH 변화와 도 7의 T-P 변화를 비교해 볼때 pH가 높을수록 T-P 또한 처리효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현행 생물학적 공법에 비하여 시설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하게 설치 유지할 수 있으며, 고급 기술관리인력을 요구하지 않아 유지관리비가 거의 소요되지 않고, 슬러지 등 부산물을 발생하지 않으며, 한번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고, NH4 +-N 및 인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Claims (4)

  1. 오염된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수가 반입되어 호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호기성조; 및
    상기 호기성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반입되어 혐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혐기성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장치에서,
    상기 호기성조는 최상부에 조성된 갈대습지; 상기 갈대습지 아래에 적층된 제올라이트층; 및, 상기 제올라이트층 아래에 적층된 모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집수정이 상기 갈대습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하수의 수직흐름을 유도하며,
    상기 혐기성조는 모래층 및 굴껍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된 격벽이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평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혐기성조의 굴껍질층은 전체 혐기성조에 대하여 8~8.5 부피%를 차지하면서 격벽으로 구획된 혐기성조의 하류 공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혐기성조의 굴껍질층이 모래층과 복층구조로 적층되는 경우에는 굴껍질 층이 모래층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호기성조와 혐기성조는 스레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KR1020050030970A 2005-04-14 2005-04-14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KR10064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970A KR100642821B1 (ko) 2005-04-14 2005-04-14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970A KR100642821B1 (ko) 2005-04-14 2005-04-14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04A true KR20060108804A (ko) 2006-10-18
KR100642821B1 KR100642821B1 (ko) 2006-11-03

Family

ID=3762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970A KR100642821B1 (ko) 2005-04-14 2005-04-14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8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2859A (zh) * 2010-12-09 2011-06-15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垂直流人工湿地组合基质
KR101106778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CN101786728B (zh) * 2010-02-01 2012-05-23 河海大学 一种导流式水平潜流人工湿地反应器
KR101303525B1 (ko) * 2013-03-07 2013-09-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축산폐수 처리시스템
CN103787496A (zh) * 2012-10-30 2014-05-14 同济大学 一种人工湿地系统及其应用
CN104003526A (zh) * 2014-06-17 2014-08-27 南京林业大学 一种去除畜禽养殖废水中重金属的人工湿地系统
CN108178314A (zh) * 2017-12-01 2018-06-19 东北师范大学 多功能人工湿地实验箱及实验方法
CN108862615A (zh) * 2018-07-23 2018-11-23 西南科技大学 对mbr处理后的废水进行再处理的人工湿地系统
CN111003809A (zh) * 2019-12-17 2020-04-14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Fe-C强化型人工湿地脱氮系统及脱氮方法
CN111689653A (zh) * 2020-06-29 2020-09-22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生物-生态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WO2021196344A1 (zh) * 2020-04-03 2021-10-07 中国科学院城市环境研究所 一种标准模块化填料及水平潜流人工湿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2218A (en) * 2009-07-28 2011-02-02 David Reginald Ward Clarifier filtration unit
KR101270278B1 (ko) * 2012-11-05 2013-05-31 서동철 에너지 제로 무인 인공습지 하수처리시스템
KR101236175B1 (ko) * 2012-11-05 2013-02-26 서동철 재정화기능을 구비한 인공습지 하수처리시스템
KR101552622B1 (ko) 2015-07-22 2015-09-11 주식회사 성일엔텍 인공습지용 여과재 제조방법
KR101768700B1 (ko) 2016-02-29 2017-08-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 표층 보호를 위한 하이브리드 그린인프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41B1 (en) 2002-10-18 2003-04-14 Dong Keun Lee Artificial air supplying type environment friendly sewag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6728B (zh) * 2010-02-01 2012-05-23 河海大学 一种导流式水平潜流人工湿地反应器
CN102092859A (zh) * 2010-12-09 2011-06-15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垂直流人工湿地组合基质
KR101106778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공공시설 및 공동주택용 자연정화형 하폐수·빗물처리시설과 이를 이용한 하폐수·빗물처리방법 및 물순환 시스템
CN103787496A (zh) * 2012-10-30 2014-05-14 同济大学 一种人工湿地系统及其应用
CN103787496B (zh) * 2012-10-30 2015-04-15 同济大学 一种人工湿地系统及其应用
KR101303525B1 (ko) * 2013-03-07 2013-09-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축산폐수 처리시스템
CN104003526A (zh) * 2014-06-17 2014-08-27 南京林业大学 一种去除畜禽养殖废水中重金属的人工湿地系统
CN104003526B (zh) * 2014-06-17 2015-12-16 南京林业大学 一种去除畜禽养殖废水中重金属的人工湿地系统
CN108178314A (zh) * 2017-12-01 2018-06-19 东北师范大学 多功能人工湿地实验箱及实验方法
CN108178314B (zh) * 2017-12-01 2021-08-24 东北师范大学 多功能人工湿地实验箱及实验方法
CN108862615A (zh) * 2018-07-23 2018-11-23 西南科技大学 对mbr处理后的废水进行再处理的人工湿地系统
CN108862615B (zh) * 2018-07-23 2021-03-02 西南科技大学 对mbr处理后的废水进行再处理的人工湿地系统
CN111003809A (zh) * 2019-12-17 2020-04-14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Fe-C强化型人工湿地脱氮系统及脱氮方法
WO2021196344A1 (zh) * 2020-04-03 2021-10-07 中国科学院城市环境研究所 一种标准模块化填料及水平潜流人工湿地
CN111689653A (zh) * 2020-06-29 2020-09-22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生物-生态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1689653B (zh) * 2020-06-29 2022-11-04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生物-生态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821B1 (ko) 200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821B1 (ko) 2단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하수처리장치
Zhao et al. Use of dewatered alum sludge as main substrate in treatment reed bed receiving agricultural wastewater: long-term trial
Oladoja Appropriate technology for domestic wastewater management in under-resourced regions of the world
Patrick et al. Origins, mechanisms, and remedies of fluoride ions from ground and surface water: A Review
KR102112732B1 (ko) 토양식 고도처리 순환 재이용 시스템
Gill et al. Recycled glass compared to sand as a media in polishing filters for on-site wastewater treatment
JP2005161135A (ja) 排水の高度処理装置及び方法
Bodzek et al.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Banjoko et al. Upgrading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for Urban Water Reuse
KR100422569B1 (ko) 수처리장치
Marañón et al. Tertiary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s by adsorption
Hung et al. Powdere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Bai et al.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from secondary effluent using drinking water treatment residuals fixed-bed column with intermittent operation
Rehman et al. Gas Hydrates in Wastewater Treatment
KR100399294B1 (ko) 둔치에 설치되는 하천수 정화장치
Goncharuk et al. Drinking water: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Kholoma Fortification of soil-bas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with versatile ubiquitous reactive media for enhanced removal of phosphorus and other pollutants
Ghaly et al.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Greywater Treatment Technologies for Effective Reuse: Critical and Comparative Analyses
Magara et al. Cost analysis of the adverse effects of algal growth in water bodies on drinking water supply
Oliver et al. Using Dewatered Sludge from a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for Phosphorus Removal in Constructed Wetlands
JP3261033B2 (ja) 水浄化処理装置
Plaimart et al.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s as a post-treatment unit for emerging contaminants in municipal wastewater
Upadhyay Development of series filtration water treatment method for small communities
Govind Sustainable Treatment and Reuse of Water Using Decentralized Systems
Din et al. Bioparticle Development in Constructed Wetland for Domestic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