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191A -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191A
KR20060108191A KR1020050030395A KR20050030395A KR20060108191A KR 20060108191 A KR20060108191 A KR 20060108191A KR 1020050030395 A KR1020050030395 A KR 1020050030395A KR 20050030395 A KR20050030395 A KR 20050030395A KR 20060108191 A KR20060108191 A KR 2006010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old
reservoir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환
Original Assignee
조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환 filed Critical 조봉환
Priority to KR102005003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8191A/ko
Publication of KR2006010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통 혹은 저수통의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물을 일정한 수치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수를 항상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순환 유로 형태로 이루어진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수통 혹은 보관통의 일 측에 순환기능의 펌프와 밸브, 기능성 필터가 한조가 되도록 구성하여 일련의 연속 유로 형태를 갖도록 하고, 유로를 통해 주기적 혹은 연속적으로 순환 통과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연속적 혹은 주기적 순환기능에 의해 목표로 하는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 할 뿐 만 아니라 다량의 알칼리 환원수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알칼리 환원수, 펌프, 순환, 기능성 필터

Description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Alkali Convers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능성 필터가 장착된 정수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저수 및 냉수통 일체형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구성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저수 및 냉수통 일체형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구성도.
제 4도는 제 3도의 변형 냉온수통 분리형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구성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변형 저수 및 냉수통 분리형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구성도.
제 6도는 제 5도의 변형 저수 및 냉수통 분리형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구성도.
제 7도는 제 1도의 시스템 구성에서 물이 유입 및 순환되는 유동 흐름도.
제 8도는 제 2도의 시스템 구성에서 물이 유입 및 순환되는 유동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4 : 정수필터 5 : 환원수필터
6 : 냉수통 17a,17b : 수위센서
27 : 순환펌프 28a,28b : 밸브
20 : 제어장치 22 : 온수통
24 : 압축기 33 : 저수통
본 발명은 냉수통 혹은 저수통의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물을 일정한 수치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수를 항상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순환 유로 형태로 이루어진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는 산업 발전과 함께 우리의 생활환경이 윤택해짐으로써 그 어느 때보다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화되었다. 그러나 산업 발전에 따른 자동차의 증가, 공장 증설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공해 문제, 무자비한 자원채취와 환경 개발에 따른 자원 고갈 및 환경 파괴 등으로 인해 인간의 생활환경은 점차 악화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이 중에서도 인간에게는 생명유지를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그리고 건강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공기나 물에 대한 중요성 또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웰빙 시대에는 건강을 위한 청결한 그리고 위생적인 물 뿐만이 아니라 기능성을 갖는 건강수, 즉 알칼리수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제품화되어 보급되고 있는 기능수기는 크게 전기분해 방식의 알칼리이온수와 필터나 미네랄 스틱을 이용한 알칼리 환원수로 대별할 수 있으나, 이온수의 경우 전기분해에 의한 필연적인 산성수 퇴수에 따라 사용하는 물의 50% 이상을 낭비하는 불합리하면서도 자원 낭비라는 비효율적인 면과 기능수로서 미네랄이 부족하다는 점, 특히 멤브레인 방식의 수처리에는 적용이 제약적이라는 점 등이 있으며, 필터나 미네랄 스틱을 이용한 기능수 시스템의 경우 간편하고, 물 낭비가 없는 자원절약형 기능수 타입이나 모든 시스템 즉, 냉온이나 상온 모두에서 사용 초기부터 연속적으로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기능수를 추출하여 사용하기에는 성능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물(H2O)은 항상 일정 분량이 H+와 OH-로 나누어져 있으며, 물에 H+가 많으면 산성이고, OH-가 많으면 알카리성이라고 한다.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마그네슘(Mg), 칼슘(Ca), 리튬(Li) 같은 미네랄은 물과 접촉하면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며 알칼리성으로 바꾸어 준다. 마그네슘은 반응성이 높은 금속으로 물에 녹을 때 전자를 방출하면서 하기와 같이 반응식 1에 의해 반응을 한다.
〈반응식 1〉
Mg + 2H2O → Mg+2 + 2OH- + H2(H + H → H2)
이렇게 형성된 OH-에 의해 물이 알칼리성으로 변하며, 동시에 수소와 활성수소는 물의 산화환원전위(ORP)를 낮추어 물에 활성산소를 없애는 능력을 부여한다.
마그네슘이 물과 반응하는 경우 마그네슘 1분자와 물 2분자가 반응하여 마그네슘은 유리되지 않고 수산화마그네슘이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마그네슘에서 나온 전자의 일부는 수소기체 형성에 사용되고 나머지 전자는 물속에 남게 된다.
또한 수산화마그네슘은 이온화되어 수산화기(OH-)가 형성되어 마그네슘은 산화되고 물은 환원되어 환원수가 된다. 수산화기의 증가는 pH 값의 상승을 유발하기 때문에 알칼리수의 생성 여부는 반응산도인 pH 측정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 물의 알칼리수로의 치환효과 때문에 알칼리 환원수필터는 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성 재료와 함께 항균,탈취,탈염소,미네랄 성분이 있는 기능성 세라믹볼들을 함께 사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주로 일반 생수통이나 저장통에 침적시켜 사용하는 스틱(Stick) 타입과 단순 필터의 장착구조로 사용되어져 왔다.
도 1은 종래의 냉수 및 온수통 일체형에 적용된 기능성 필터가 장착된 정수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수도관과 연결된 배관(1)을 통해 침전(Sediment), 카본(Carbon), 중공사막(UF) 혹은 역삼투(RO) 등의 정수필터(2,3,4) 및 기능성 필터(5)를 통과시켜 정수 및 기능수로 변화한 다음 냉수통(6)에 유입하는 구조이다. 냉수 유출은 냉수통의 외벽에 부착된 냉매관(7)의 냉각 작용으로 냉수통 내부의 물(12)을 냉각시켜 출수 배관(10)을 통해 유출하며, 온수 유출은 냉수통 내부의 분리판(11) 상부의 물을 온수통과의 연결 배관(9)을 통해 온수통에 유입하여 가열한 다음 유출하는 구조이다.
수돗물 등이 장치로의 유입수가 정수필터(2,3,4)를 거친 다음 단독의 기능성 필터(5)를 거쳐 냉수통(6)으로 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일회성의 짧은 통과 시간에 따른 기능성 부여 능력이 저하하고, 냉수통(6)에서 장시간 보존하는 경우 기능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본래 취지인 기능수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 냉수를 얻기 위한 장치 뿐 만 아니라 일반 상온수를 이용하는 기능수 장치 또한 같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
용기 내의 침적형인 스틱 타입의 경우에도 장시간 침적해야하는 알칼리수의 생성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냉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냉수통 혹은 저수통의 일 측에 기능성 필터와 펌프 및 밸브가 일체로 구성되어 연속적 혹은 주기적으로 순환 유동하도록 이루어진 순환형 알칼리 환원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미네랄 스틱 타입이나 단순 1회성 필터 통과방식이 아닌 연속적 혹은 주기적 순환 필터 통과방식으로 많은 양의 저온의 냉알칼리 환원수의 제조 뿐 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나 편리하게 그리고, 저온의 고기능성의 알칼리 환원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알칼리 환원수 생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온기능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시스템 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수도관이나 수도밸브로부터 유입수 배관(1)을 통해 침전 필터(2), 프 리카본 필터(3), UF 혹은 RO 필터 등의 정수필터를 거친 다음 환원수 필터(5)를 통과하면서 정수 및 기능수를 만들고, 다음에 냉수통(6)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냉수는 먼저 냉수통의 외벽에 부착되어 있는 냉매관(7)의 냉각작용으로 냉수가 제조되게 되는데 냉각작용은 먼저 제어장치(20)의 명령에 의해 전원이 압축기(24)에 인가되면 냉매가 압축기를 통해 방열판(25), 드라이어(26), 모세관(6), 냉매관(7)을 거쳐 압축, 응축, 팽창, 증발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증발작용을 하는 냉수통의 외벽에 부착된 냉매관의 증발작용에 따른 전도열이 냉수통(6) 내부에 있는 물(12)을 냉수통 내부의 온도 센서(18)에 의해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하여 보존 한 다음 냉수유출 배관(10)을 통해 냉수 출수구(29)를 통해 유출하는 구조이다. 온수는 냉수통(6) 내부에 있는 분리판(11) 상부의 물이 냉수통(6)과 온수통(22)과 연결된 배관(9)을 통해 온수통으로 유입되어 가열장치(21)에 의해 가열된 다음 필요에 따라 온수 유출배관(31)을 통해 온수 유출구(30)를 통해 유출하는 구조이다.
유입수로부터 환원수 필터를 통해 기능 냉각수를 만들기까지의 물의 유동경로 및 제어에 대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동 초기 즉, 장치를 처음 가동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20)로부터 인가된 명령에 의해 1차 밸브(28b)가 개방되고, 2차 밸브(28a) 및 순환 펌프(27)은 폐쇄되어 정수필터(2,3,4)를 거친 물이 기능성 필터(5)를 거쳐 냉수통(6)으로 직접 유입되게 된다.
냉수통(6)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부 센서(17a)에 도달하면 1차 밸브(28a)가 폐쇄되고, 2차 밸브(28b)와 순환펌프(27)가 가동하여 냉수통(6) 내부의 물(12)은 환원수 필터(5)를 거쳐 다시 냉수통(6)으로 지속적인 순환 기능을 부여한다. 순환 펌프(27)에 의한 환원수 필터(5)의 순환 기능은 물의 목표 기능 수치 예를 들면 pH 9.0을 기준으로 했다면, 냉수통 내부의 물이 목표 수치 pH 9.0에 도달하면 제어장치(20)의 명령에 의해 자동 정지되는 구조이다.
목표 수치는 장치 제작 전에 냉수통(6)의 싸이즈 즉, 처리 수의 용량 및 기능성 필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한 목표치를 기준으로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순환하다 목표치에 도달하면 자동 순환기능이 정지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기능제어는 냉수통(6)에 pH 측정기 등을 부착하여 더욱 정밀한 기능 수치의 제어도 가능하다.
기능성 냉수를 출수구(29)로부터 사용하거나 온수를 출수구(30)로부터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줄게 되는데, 냉수통 내부의 물이 냉수통 하부 센서(17b)에 도달할 때까지는 순환 펌프(27) 및 1차 밸브(28a)가 작동하지 않고 물의 양만 줄어 목표로 하는 기능성 수치를 보존하여 다량으로 출수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하부 센서(17b)에 도달하면 가동초기와 마찬가지로 1차 밸브(28a)와 순환 펌프(27)는 정지하고, 2차 밸브(28b)만 개방되어 상부 센서(17a)에 도달 할 때까지 냉수통(6) 내부로 필터(2,3,4)를 거친 정수물이 환원수 필터를(5) 거쳐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센서(17a)의 고장 등으로 인한 물의 유출에 따른 하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냉수통(6) 상부에는 볼탑( 부레)(14)를 복수로 장착하는 안전장치도 부여한 효과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온수나 냉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일정 목표의 기능 수치를 갖도록 장치 제작 전에 미리 설정한 시간 주기를 갖고 순환펌프(27)와 1차 밸브(28a)의 기능이 작동한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순환 기능은 냉수통(6) 내부 물(12)의 기능성 부여 뿐 만 아니라 냉수통(6) 내부 물(12)의 냉수 온도를 균일화하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도 1과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정지 상태가 되어 냉수통(6) 내부의 상부와 하부 온도 편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사용 중에 유입되는 상온수에 의해 냉수통(6) 내부 물(12)의 평균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냉수 추출 용량도 저하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형태인 냉온기능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시스템도를 나타낸 것으로, 순환펌프에만 의해 알칼리 환원수를 생성하는 구조이다. 가동초기 즉, 장치를 처음 가동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20)로부터 인가된 명령에 의해 순환 펌프(27)는 폐쇄되고, 정수 필터(2,3,4)를 거친 물이 1차적으로 냉수통(6)으로 유입되게 된다.
냉수통(6) 내부로 유입된 물이 냉수통(6) 내부의 상부에 부착된 볼탑(11)에 도달하면 정수필터(2,3,4)를 거친 물의 유입은 중단되고, 제어장치(20)로부터 인가된 명령에 의해 일정시간 순환펌프(27)가 1차적으로 지속적으로 가동하여 냉수통 (6) 내부의 물(12)은 도 2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정 목표치로 설정된 시간동안 순환기능을 수행한 다음, 일정 시간 후 목표 기능성 수치가 저하하게 되면 냉수통의 물(12)은 환원수 필터(5)를 거쳐 다시 냉수통(6)으로 순환하는 반복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성 냉수를 출수구(29)로부터 사용하거나 온수를 출수구(30)로부터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줄게 되는데, 냉수통(6) 내부의 물이 줄어들어 일정시간 후부터 냉수통(6) 내부로 정수필터(2,3,4)를 거친 물이 유입되어 냉수통(6) 내부의 물(12)은 항상 만수로 보충되게 된다.
온수나 냉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일정 목표의 기능 수치를 갖도록 장치 제작 전에 미리 설정한 시간 주기를 갖고 순환펌프(27)와 1차 밸브(28a)의 기능이 작동하여 언제나 일정한 수치의 기능성 냉수를 보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응용예인 냉수통(6)과 온수통(22)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냉온기능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작동방법은 도 3과 동일하나 온수통으로부터 냉수통(6)과 온수통(22)의 연결 밸브(9)를 통한 온수의 역류에 따른 냉수통(6) 내부 물(12)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며, 온수는 특별하게 기능수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온수통(22)의 상부에는 별도의 오버히트탱크(32)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저수통(6)과 냉수통(22)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냉온기능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 는 멤브레인(R/O) 방식의 정수필터(4)를 사용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저수통(33)이 필요한 경우로써 가동 초기에는 원수로부터 정수 필터(2,3,4)를 거쳐 저수통(33)으로 유입되고, 저수통(33)에 유입된 물은 저수통(33) 하부에 설치된 냉수통(6)으로 유입된 다음 1차적으로 순환펌프(28a)에 의해 냉수통(6) 내부의 물(12)이 환원수 필터(5)를 거쳐 순환하는 구조이다.
순환기능은 냉수통(6) 내부의 물(12)의 기능성 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처음에는 일정시간 지속적인 시간동안 수행되다가 일정시간 후에는 정지하고, 다시 일정시간이 경과 한 다음 다시 순환 반복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냉수나 온수를 유출하는 경우에나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에는 상기의 도 3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인 저수통(6)과 냉수통(22)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물의 순환 기능을 수행하는 순환펌프(28a)와 연결밸브가 저수통(33)과 냉수통(6)을 연결하여 부착되는 형태의 냉온기능의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응용 실시예는 특히, RO 방식에서 다량의 냉각수를 얻을 수 있는 구조이며, 특히 장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하절기 같은 외기 온도 및 유입수 온도가 높은 경우 저수통(33)에서의 물의 변질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 2와 같은 동일한 제어방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유입수가 정수필터(2,3,4)를 거쳐 저수통(33)으로 유입된 다음 냉수통(6)으로 유입되면, 순환펌프(28a)가 가동하여 상부 저수통(33)의 물을 환원수 필터 (5)를 통해 하부에 있는 냉수통(6)으로 이동시켜 전체적으로 냉수통(6)과 저수통(33)의 물이 기능성 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출수를 사용하거나 사용정지, 일정시간 후의 순환 가동형태는 도 2,3과 같은 동일한 제어방식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 2에서 제안된 장치에서의 물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수도관의 원수(41)가 정수필터 단계(42→43→44)를 거쳐 환원수 필터를 통과(45)하여 냉수통으로 유입(46)되어 냉수통 내에서 유동(47→48→49)하게 된다.
물을 출수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정지 중에는 냉수통 내부의 물은 순환펌프와 밸브, 환원수 필터를 통과하여 주기적인 순환 기능을 부여하는데 물의 경로는 도면상의 부호 51→52→53→54→55→56→57을 반복하여 순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3에서 제안된 방치에서의 물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수도관의 원수(41)가 정수필터 단계(42→43→44)를 거쳐 냉수통으로 유입(46)되어 냉수통 내에서 유동(47→48→49)하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정지 중에는 냉수통 내부의 물은 순환펌프와 환원수 필터를 통과하여 주기적인 순환 기능을 부여하는데 물의 경로는 52→53→54→55→56→57을 반복하여 순환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장치의 성능은 반응산도인 pH 측정과 산화환원전위인 ORP 측정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표 1부터 표 4까지는 다양한 정수시스템 변화에 따른 개발 알칼리 환원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pH 9.0, ORP 100 이하를 목표로 제작 된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의 성능평가 시험 결과이다.
하기의 표 1은 수돗물 즉, 원수 및 정수, 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알칼리 환원수의 pH, ORP 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환원수의 경우 세디멘트 필터(2), 프리카본 필터(3), RO 필터 혹은 UF 필터(4)를 거쳐 정수된 물을 환원수 필터(5)를 순환 펌프(27)의 작동에 의해 2시간 반복 순환 통과 후에 측정한 결과이다.
일반 수돗물의 경우 pH 7.2, RO 및 UF 필터(4)를 통과한 일반 정수의 경우 pH 7,4 및 7.3인 반면에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환원수 필터(5)를 순환 통과시킨 알칼리 환원수의 pH는 적용 정수필터에 관계없이 9.0∼9.1을 나타내었다.
ORP의 경우 수돗물은 550, 정수는 483∼486, 본 발명에 의한 환원수 필터를 통과시킨 알칼리 환원수는 20∼78을 나타내었다.
〈표 1〉원수 및 정수필터, 환원수 필터 적용에 따른 pH, ORP 측정값
Figure 112005504548320-PAT00001
하기의 표 2는 유입수가 pH 7.4, ORP 550의 값을 갖는 수돗물을 1차 정수단계를 거쳐 환원수 필터를 연속 순환 통과시킨 알칼리 환원수의 pH, ORP 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냉수통(6) 내부의 물(12)의 수온은 4℃, 냉수통(6)의 용량은 3리터, 출수를 통한 유출수의 추출량은 200cc 1컵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1차 정수단계는 새디멘트 필터(2), 프리카본 필터(3), UF 혹은 RO 필터(4)의 3단계 필터를 적용한 다음 환원수 필터(5)의 순환 통과한 경우이다.
정수필터(2,3,4)를 거쳐 환원수 필터(5)를 초기 통과시킨 물의 pH는 8.3∼8.4, ORP는 250∼260을 나타내었으며, 10분간 순환 가동한 후부터는 목표 기능성 수치인 pH 9.0을 나타내었다. ORP의 경우 30분 후부터는 목표 수치인 100 이하를 나타내었다.
〈표 2〉1차 정수 후 2차 환원수 필터 연속 순환 통과 때 pH, ORP 측정값
Figure 112005504548320-PAT00002
하기의 표 3은 1차 정수 후 2차 환원수 필터(5)의 연속 순환 통과 후 유지상태에서 pH, ORP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순환 정지후 40분 이상 경과하면 pH는 9.0 이하로 점차 감소하고, ORP는 UF 필터 적용의 경우 30분, RO 필터 적용의 경우 60분부터 목표치 이하로 점차 감소하였다.
〈표 3〉1차 정수 후 2차 환원수 필터 연속 순환 통과 후 유지상태에서 pH, ORP 측정값
Figure 112005504548320-PAT00003
하기의 표 4는 상기 표 1부터 표 3까지를 근거로 일정 순환 주기를 주어 환원수 필터를 통과시킨 알칼리 환원수의 pH, ORP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정수방식은 새디, 프리카본, UF 필터를 통과한 다음 환원수 필터의 주기적 순환 통과 방식 즉, 30분 정지 후 10분 반복 순환 가동 형태로써 유출수의 수온 4℃, 냉수통의 용량 3리터, 유출수의 추출량을 200cc 1컵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주기적 순환방식을 적용하면, 목표 알칼리 환원수의 생성 및 보존이 가능하다.
〈표 4〉 주기적 순환 환원수 필터 장착 시스템의 pH, ORP 측정값
Figure 112005504548320-PAT00004
본 발명은 연속적 혹은 주기적 기능성 환원수 필터의 순환작용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수치, 다량의 목적 수치의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하고, 편리하게 냉 알칼리수의 사용과 함께 이온수기 단점인 퇴수에 다른 물 낭비 제거, 멤브레인 필터 정수방식의 적용 한계를 극복한 미네랄 성분 저하 방지, 기존 UF 뿐만 아니라 RO 정수방식의 정수 장치에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냉수통 혹은 저수통의 내부에 공급 되거나 보관되어지는 물을 일정한 수치의 기능성을 갖는 기능수를 항상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순환 유로 형태로 이루어진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통 혹은 저수통의 일 측에 순환기능의 펌프와 밸브, 환원수 필터가 한조가 되도록 구성하여 일련의 연속 유로 형태를 갖도록 하고, 유로를 통해 주기적 혹은 연속적으로 순환 통과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 및 밸브는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된 명령에 의해 연속 혹은 주기적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환원수 필터가 정수필터에 연속 장착되어 구성되거나 일측에 별도 장착 구성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간편식으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저수통 혹은 냉수통에 순환 펌프 만을 단독으로 장착한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6. 연속 유로 형태의 구조에서 환원수 필터 및 기타 필터가 1개 혹은 복수개로 일체 혹은 분리 장착되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KR1020050030395A 2005-04-12 2005-04-12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KR20060108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95A KR20060108191A (ko) 2005-04-12 2005-04-12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95A KR20060108191A (ko) 2005-04-12 2005-04-12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191A true KR20060108191A (ko) 2006-10-17

Family

ID=3762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395A KR20060108191A (ko) 2005-04-12 2005-04-12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819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24A1 (ko) * 2011-12-23 2013-06-27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320463B1 (ko) * 2011-12-23 2013-10-23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446127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446128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519B1 (ko) * 2014-01-28 2014-10-13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963B1 (ko) * 2014-01-28 2014-10-14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 2014-01-28 2014-11-10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92879B1 (ko) * 2012-12-04 2015-02-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24A1 (ko) * 2011-12-23 2013-06-27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320463B1 (ko) * 2011-12-23 2013-10-23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492879B1 (ko) * 2012-12-04 2015-02-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446128B1 (ko) *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519B1 (ko) * 2014-01-28 2014-10-13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47963B1 (ko) * 2014-01-28 2014-10-14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 2014-01-28 2014-11-10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8191A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CN101830592B (zh) 含镍清洗废水回用处理系统
JP6121442B2 (ja) シャワーの水を浄化して再利用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9656896B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KR20060112799A (ko) 알칼리환원수 생성필터
KR100620067B1 (ko) 산소수/환원수 발생 정수시스템
KR101772527B1 (ko) 살균 시스템
KR20060116071A (ko) 알칼리 환원수 생성장치 제어방법
KR20040053818A (ko)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KR200458720Y1 (ko)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5805422B2 (ja) 溶存水素水生成装置
KR10245382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10082436A (ko)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2011003907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N204251425U (zh) 全自动多功能自来水机
JP2006272031A (ja) 飲用水製造装置
KR102299619B1 (ko) 직수형 정수기
KR200369031Y1 (ko) 이온 냉온정수기
CN219722474U (zh) 危险废物处理用脱盐水装置
JP6190431B2 (ja) 溶存水素水生成装置
KR200412954Y1 (ko) 하이브리드 전해조 방식 이온수기
KR101093765B1 (ko) 냉이온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040685B1 (ko) 수처리장치
KR20110065188A (ko) 냉이온정수기의 압축기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