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941A -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 Google Patents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941A
KR20060104941A KR1020060028470A KR20060028470A KR20060104941A KR 20060104941 A KR20060104941 A KR 20060104941A KR 1020060028470 A KR1020060028470 A KR 1020060028470A KR 20060028470 A KR20060028470 A KR 20060028470A KR 20060104941 A KR20060104941 A KR 20060104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te
base station
user data
mobile station
radio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859B1 (ko
Inventor
마사후미 우스다
아닐 우메시
다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10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 무선 기지국이,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이동국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때에,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 이동국, 무선 리소스,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전송 속도, 무선 기지국

Description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c)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버스트적으로 전송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MAC-e 처리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를 위한 구성)를 나타내는 기 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를 위한 구성)의 MAC-e 기능부를 나타내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할당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송신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EUL(인핸스드 업링크)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기간이 설정되는 HARQ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국 Node B : 무선 기지국 11 : HWY 인터페이스
12, 33 :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 121, 33a : RLC 처리부
122, 33b : MAC-d 처리부 123 : MAC-e 및 계층-1 처리부
123a : DPCCH RAKE부 123b : DPDCH RAKE부
123c : E-DPCCH RAKE부 123d : E-DPDCH RAKE부
123e : HS-DPCCH RAKE부 123f : RACH 처리부
123g : TFCI 디코더부 123h, 123m : 버퍼
123i, 123n : 재-역확산부 123j, 123p : FEC 디코더부
123k : E-DPCCH 디코더부 123l : MAC-e 기능부
123l1 : 수신 처리 명령부 123l2 : HARQ 제어부
123l3 : 스케줄링부 123o : HARQ 버퍼
123q : MAC-hs 기능부 34 : RF부
13, 56 : 호 제어부 14 : 송수신부
15 : 증폭부 16, 35 : 송수신 안테나
UE : 이동국 31 : 버스 인터페이스
32 : 호 처리부 33c ; MAC-e 처리부
33c1 : E-TFCI 선택부 33c2 : HARQ 처리부
33d : 계층-1 처리부 RNC :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51 : 교환국 인터페이스 52 : LLC 계층 처리부
53 : MAC 계층 처리부 54 : 매체 신호 처리부
55 : 무선 기지국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 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이동국(UE)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으로 향하는 업링크(uplink)에서, 무선 기지국(Node B)의 무선 리소스, 업링크(상향링크)에서의 간섭량, 이동국(UE)의 송신 전력, 이동국(UE)의 송신 처리 성능,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전용 채널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전용 채널의 결정된 전송 속도를 계층-3[무선 리소스 제어 층(Radio Resource Control Layer)]의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UE) 및 무선 기지국(Node B)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 B)의 상위 레벨에 위치하며,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국(UE)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음성 통신이나 TV 통신과 비교해서, 트래픽이 버스트(burst)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많은 수의 무선 기지국(Node B)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처리 부하(processing load)나 처리 지연(processing delay) 등의 이유에 의해, 채널의 전송 속도(예를 들면, 1~10Oms 정도)를 변경하기 위한 고속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서는,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해도, 장치의 실장 비용이나 네트워크의 운용 비용이 크 게 높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백 밀리 초 내지 수 초(seconds) 정도의 채널 전송 속도로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적으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높은 지연, 및 낮은 전송 효율을 허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하든가, 또는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한 상태의 무선 대역 리소스 및 무선 기지국(Node B)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허용하여, 고속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확보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된다.
도 2의 (b) 및 (c)에서, 세로축의 무선 리소스에는 상술한 무선 대역 리소스 및 하드웨어 리소스의 양쪽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 및 "3GPP2"에서, 무선 리소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국(UE) 사이의 계층-1 및 MAC[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하위 계층(계층-2)에서의 고속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어 왔다. 이하, 이러한 검토 및 검토된 기능을 총칭하여 "인핸스드 업링크"(EUL: Enhanced Uplink)라고 한다.
비특허문헌 1(3GPP TSG-RAN TS25.309 v6.2.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핸스드 업링크"를 이용하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지국(Node B)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에 대한 절대값을 포함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을 각각의 이동국(UE)에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즉,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E-DPDCH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이동국(UE)은, 수신한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에 포함되는 절대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E-DPDCH)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특별히 특정하지 않는 이상, 무선 기지국은 인핸스드 업링크(EUL)의 분야에서, 무선 기지국의 셀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인핸스드 업링크(EUL)의 분야에서, 각각의 이동국(UE)은 해당 이동국(UE)의 서빙 셀로부터 AGCH를 수신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특별히 특정하지 않는 이상, 전송 속도에는, 인핸스드 업링크(EUL) 분야에서, 송신 블록 사이즈와 송신 전력비(DPCCH 송신 전력에 대한 E-DPDCH 송신 전력의 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AGCH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포함한다.
각 이동국(UE)은, AGCH에 포함된 RNTI를 이용하여, 수신한 AGCH가 자기 자신을 목적지로 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또한, 비특허문헌 2(3GPP TSG-RAN R2-050438)에는, 하나의 이동국(UE)에서 복수 개의 RNTI를 구비함으로써, 이동국(UE)에 대해 개별화되는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와, 셀 사이에서 공통인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핸스드 업링크"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AGCH에 유효 기간(effective period)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 및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에서 필요로 하는 유효 기간의 길이는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인핸스드 업링크(EUL)의 분야에서, 유효 기간은 AGCH가 수신되고 나서 경과된 시간[예를 들어, 10ms, 5TTI(송신 시간 간격: 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인핸스드 업링크(EUL)의 분야에서, 각각의 HARQ 처리는 시간 간격, 즉 TTI(송신 시간 간격: 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대응하기 때문에, HARQ 처리마다 유효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AGCH의 유효 기간으로서 HARQ 처리 #4~#8이 설정되어 있다.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에 대한 RNTI를 포함하는 AGCH에 대한 유효 기간은 짧다.
따라서, AGCH에 대한 특정된 하나의 유효 기간이,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 및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에 대하여 결정되면, AGCH를 빈번하게 송신하여야 하고 다운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이 감소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에 대한 RTNI를 포함하는 AGCH에 대한 유효 기간은 길다.
따라서, AGCH에 대한 특정된 하나의 유효 기간이,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 및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에 대해 결정되면, 각 이동국(UE)에 전송을 신속 하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스케줄링이 저속으로 되며, 업링크에서의 전송 효율(처리율)이 감소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 및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포함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각각의 유효 기간을 최적으로 설정하고, 업링크에서의 전송 효율의 향상 및 다운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의 증대를 실현할 수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2005년 3월 2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P2005-096543호에 기초하며 그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 무선 기지국이,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이동국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때에,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은, 유효 기간을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마다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으로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수신하는 유효 기간 수신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때에, 수신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전송 속도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서, 유효 기간 수신부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유효 기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수신하는 유효 기간 수신부; 수신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서, 유효 기간 수신부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유효 기간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무선 기지국(Node B #1~#5)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에서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가 사용되고, 업링크에서는 "EUL"(Enhanced Uplink: 인핸스드 업링크)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HSDPA 및 EUL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하이브리드 재송신 요청)에 의한 재송신 제어[N 프로세스 스톱 앤드 웨이트(N process stop and wait)]가 수행된다.
따라서, 업링크에서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hannel)과,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은, E-DPDCH의 송신 포맷(송 신 블록 사이즈 등)을 규정하기 위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재송신 횟수 등), 및 스케줄링 관련 정보[이동국(UE)에서의 송신 전력이나 버퍼 체류량 등]와 같은 EUL용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은,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매핑되고, 해당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통해 송신되는 EUL용의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은, 레이크(RAKE) 합성이나 SIR 측정 등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 업링크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의 송신 포맷을 식별하기 위한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송신 포맷 조합 식별자), 및 다운링크에서의 전력 제어 비트와 같은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매핑되고, 해당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만, 이동국(UE)에서 송신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송신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업링크에서는, HSDPA(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가 적용되는 경우에 필요한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과, "랜덤 액세스 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도 이용되고 있다.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은, 다운링크에서 측정된 채널 품질 식별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나, HS-DPCCH용의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UE)은, 버스 인터페이스(31), 호 처리부(32), 기저대역 처리부(33), RF(무선 주파수)부(34), 및 송수신 안테나(3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일체로 해도 되며,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버스 인터페이스(31)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관련 기능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31)는 다른 기능부(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관련 기능부)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처리부(32)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호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F부(3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복호 처리를 포함하는 계층-1 처리와, MAC-e 처리 및 MAC-d 처리를 포함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 처리와, "RLC"(Radio Link Control: 무선 링크 제어) 처리를 수행하여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 부(3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RLC 처리, MAC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RF부(3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F부(34)는, 송수신 안테나(35)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하여, 검파 처리, 필터링 처리, 또는 양자화 처리 등을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RF부(3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LC 처리부(33a), MAC-d 처리부(33b), MAC-e 처리부(33c), 및 계층-1 처리부(33d)를 구비하고 있다.
RLC 처리부(33a)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계층-2의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RLC 처리)를 실시하여,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33b)는, 채널 식별자 헤더를 부여함으로써, 송신 전력의 제한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송신 포맷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e 처리부(33c)는 E-TFC(Enhanced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선택부(33c1)와 HARQ 처리부(33c2)를 구비하고 있다.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링 신 호(AGCH, RGCH 등)에 기초하여,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의 송신 포맷(E-TFC)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E-TFC 선택부(33c1)는, 사용자 데이터 등에 대하여 채널 접속이 설정될 때,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통지되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에 대한 유효 기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RNTI에 대해 AGCH를 수신할 때, AGCH에 포함되는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TFC 선택부(33c1)는, 결정한 송신 포맷에 대한 송신 포맷 정보[즉,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송신 전력비 등]를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하는 동시에, 결정한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 또는 송신 전력비를 HARQ 처리부(33c2)에 송신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신호는, 이동국(UE)이 위치하는 셀에서 통지되는 정보이며, 해당 셀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이동국 또는 해당 셀에 위치하고 있는 특정 그룹의 이동국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HARQ 처리부(33c2)는 "N 프로세스의 스톱 앤드 웨이트"의 프로세스 제어를 수행하고,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송달 확인 신호(업링크 데이터용의 Ack/Nack)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HARQ 처리부(33c2)는, 계층-1 처리부(33d)로부터 입력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 중복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HARQ 처리부(33c2)는, 판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신호(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용의 Ack/Nack)를 생성하여, 이 송달 확인 신호를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한다.
또한, HARQ 처리부(33c2)는, 설명한 판정 결과가 성공적인 경우에, 계층-1 처리부(33d)로부터 입력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Node B)은, HWY 인터페이스(11),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 호 제어부(13),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14), 하나 이상의 증폭부(15), 및 하나 이상의 송수신 안테나(16)를 구비한다.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다운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무선 기지 국(Node B)에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호 제어부(13)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HWY 인터페이스(11)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호 제어부(13)로부터 획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하여, RLC 처리, MAC 처리(MAC-d 처리 및 MAC-e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수신부(1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에서의 MAC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또는 전송 속도 제어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 다운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 처리, 확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송수신부(14)로부터 획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계층-1 처리, MAC 처리(MAC-d 처리 및 MAC-e 처리), 또는 RLC 처리를 실시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HWY 인터페이스(1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업링크에서의 MAC-e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전송 속도 제어 처리, 헤더 폐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업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호 제어부(13)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획득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송수신부(1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획득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다운링크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증폭부(1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송수신부(14)는, 증폭부(15)로부터 획득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업링크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폭부(15)는, 송수신부(14)로부터 획득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증폭부(15)는, 송수신 안테나(16)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부(1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RLC 처리부(121), MAC-d 처리부(122), 및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는, 송수신부(14)로부터 획득한 기저대역 신호 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HARQ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122)는,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헤더 폐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RLC 처리부(121)는, MAC-d 처리부(122)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RLC 계층에서의 재송신 제어 처리 또는 RLC-서비스 데이터부(SDU)의 재구축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123)는, DPCCH RAKE부(123a), DPDCH RAKE부(123b), E-DPCCH RAKE부(123c), E-DPDCH RAKE부(123d), HS-DPCCH RAKE부(123e), RACH 처리부(123f),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디코더부(123g), 버퍼(123h, 123m), 재-역확산부(123i, 123n), FEC 디코더부(123j, 123p), E-DPCCH 디코더부(123k), MAC-e 기능부(123l), HARQ 버퍼(123o), MAC-hs 기능부(123q), 및 수신 전력 측정부(123r)를 구비하고 있다.
E-DPCCH RAKE부(123c)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는 파일롯 심볼을 사용하는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CCH 디코더부(123k)는, E-DPCCH RAKE부(123c)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 포맷 번호 관련 정보, HARQ 관련 정보,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을 획득하여, MAC-e 기능부(123l)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DCH RAKE부(123d)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에 대하여,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코드 수)를 사용한 역확산 처리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퍼(123m)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심볼 수)에 따라, E-DPDCH 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역확산부(123n)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확산율)에 따라, E-DPDCH 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버퍼(123o)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에 따라,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EC 디코더부(123p)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따라,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에 대해서, 에러 정정 복호 처리(FEC 복호 처리)를 실 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e 기능부(123l)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획득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송신 포맷 정보(코드 수, 심볼 수, 확산율,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 등)를 산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e 기능부(123l)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처리 명령부(123l1), HARQ 제어부(123l2), 및 스케줄링부(123l3)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 관련 정보,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HARQ 제어부(123l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스케줄링부(123l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에 대응하는 송신 포맷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제어부(123l2)는,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CRC 결과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HARQ 제어부(123l2)는, 이러한 판정 결과에 따라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생성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송신한다.
또, HARQ 제어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수신 처리가 성공적인 경우,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또, HARQ 제어부(123l2)는, 판정 결과가 성공적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소프트 판정 정보(soft decision values)를 클리어한다.
한편, HARQ 제어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성공적이 아닌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한다.
또, HARQ 제어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를 수신 처리 명령부(123l1)에 전송한다.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다음의 TTI에 구비되어야 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E-DPDCH RAKE부(123d) 및 버퍼(123m)에 통지하고, HARQ 버퍼(123o)에서의 리소스 확보를 위한 통지를 행한다.
또,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버퍼(123m)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해당 TTI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와 새롭게 수신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가산한 후에, FEC 복호 처리를 행하도록 HARQ 버퍼(123o) 및 FEC 디코더부(123p)에 지시한다.
또한, 스케줄링부(123l3)는, 다운링크용의 구성을 통해 스케줄링 신호(AGCH, RGCH 등)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 채널 접속이 설정된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통지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AGCH의 유 효 기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케줄링부(123l3)는,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포함하는 AGCH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 B)의 상위 레벨에 위치하는 장치이며,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국(UE)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교환국 인터페이스(51), LLC(Logical Link Control: 논리 링크 제어) 계층 처리부(52), MAC 계층 처리부(53), 매체 신호 처리부(54), 무선 기지국 인터페이스(55), 및 호 제어부(56)를 구비하고 있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LLC 계층 처리부(52)에 전송하고, LLC 계층 처리부(52)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교환국(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LC 계층 처리부(52)는, 순차 번호 등의 헤더 또는 트레일러의 합성 처리 등의 LLC 하위 계층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LC 계층 처리부(52)는, LLC 하위 계층 처리를 실시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교환국 인터페이스(5l)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우선 제어 처리나 헤더 부여 처리 등의 MAC 계층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MAC 계층 처리를 실시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RLC 계층 처리부(52)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기지국 인터페이스(55)(또는 매체 신호 처리부(5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매체 신호 처리부(54)는 음성 신호나 실시간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매체 신호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매체 신호 처리부(54)는, 매체 신호 처리를 실시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기지국 인터페이스(5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매체 신호 처리부(54))에 전송하고,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매체 신호 처리부(54))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기지국(Node 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제어부(56)는, 무선 리소스 제어 처리, 계층-3 시그널링에 의한 채널의 설정 및 개방 처리 등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리소스 관리에는 호 수락 제어나 핸드오버 제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호 제어부(56)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채널 접속이 설정될 때 등에, 무선 기지국(Node B)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AGCH의 유효 기간을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이동국(UE)이 발신하는 경우의 예에 대하여 나타내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동국(UE)이 착신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01에서, 이동국(UE)은, 무선 네트워트 제어국(RNC)에 대하여,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을 이용한 통신의 개시(사용자 데이터용 채널 접속의 설정)을 요구하기 위해 발신을 행한다.
단계 S1002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이동국(UE)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Node B)에 대하여,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을 이용하여 접속의 설정을 요구한다.
단계 S1003에서, 무선 기지국(Node B)은 이러한 접속의 설정을 완료한 경우, 그 사실을 나타내는 접속 설정 응답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단계 S1004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제어 채널 접속 설정 응답을 이동국(UE)에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 채널 접속 설정 응답은, 사용자 데이터의 종류, 이동국의 리소스 번호, 송수신 가능한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 등의 통신을 위한 제어 채널 접속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계 S1005에서, 이동국(UE)은, 이러한 제어 채널 접속의 설정을 완료한 경우, 그 사실을 나타내는 제어 채널 접속 설정 응답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 에 송신한다.
단계 S1006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과 무선 기지국(NodeB) 사이에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에 관한 여러 개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각 송신 포맷에서의 송신 진폭비 등)를 교환하여, 사용자 데이터용 채널 접속이 설정된다.
단계 S1007에서, 이동국(UE)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 사이에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에 관한 여러 개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각 송신 포맷에서의 송신 진폭비 등)를 교환하여, 사용자 데이터용 채널 접속이 설정된다.
단계 S1008에서,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용 채널 접속[예를 들면,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을 이용하여, 이동국(UE)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S1006에서의 파라미터의 교환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무선 기지국(Node B)에 통지한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NodeB)은,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을 송신한다.
또, 단계 S1007에서의 파라미터의 교환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이동국(UE)에 할당하는 동시에,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통지한다.
그리고, 이동국(UE)은,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을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에 포함되는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도 12는 각 이동국(UE #A~#B)에 대해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를 할당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의 예에서, 이동국(UE #A)에 대해서는,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1=A" 및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2=공통"이 할당되고, 이동국(UE #B)에 대해서는,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1=B" 및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2=공통"이 할당되어 있다.
도 13은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송신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1"의 유효 기간(시간 폭 #1)이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이동국(UE)에 대해서 송신 기회를 빈번하게 할당하는 것에 의하여, 업링크에서의 처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NTI #2"의 유효 기간(시간 폭 #2)이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송신 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다운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셀 사이에서 공통인 셀 공통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와 이동국(UE)에 대해 개별화되는 이동국 개별의 전송 속도 제어용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에 대하여, 최적의 유효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업링크에서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고, 다운링크에서 무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의 장점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 및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발명적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 표현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6)

  1.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때에, 상기 통지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은, 상기 유효 기간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3.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 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수신하는 유효 기간 수신부; 및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상기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때에, 상기 수신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전송 속도 결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 수신부는, 상기 유효 기간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마다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절대값을 갖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의 유효 기간을 수신하는 유효 기간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마다 절대 속도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 송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 수신부는, 상기 유효 기간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 자마다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KR1020060028470A 2005-03-29 2006-03-29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78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6543 2005-03-29
JPJP-P-2005-00096543 2005-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41A true KR20060104941A (ko) 2006-10-09
KR100788859B1 KR100788859B1 (ko) 2007-12-27

Family

ID=3657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470A KR100788859B1 (ko) 2005-03-29 2006-03-29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17598B2 (ko)
EP (1) EP1708532B1 (ko)
KR (1) KR100788859B1 (ko)
CN (1) CN1842217A (ko)
BR (1) BRPI0602597A (ko)
RU (1) RU2335863C2 (ko)
TW (1) TWI346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6056A1 (en) * 2002-12-10 2010-07-01 Steve Perlma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video using a selected tile and tile rotation pattern
BRPI0602597A (pt) * 2005-03-29 2007-04-03 Ntt Docomo Inc método de controle de velocidade de transmissão, estação móvel e estação rádio base
RU2447615C2 (ru) * 2007-12-10 2012-04-10 ЗетТи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таблицы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абсолютного гранта для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BRPI0722252B1 (pt) * 2007-12-10 2020-01-21 Zte Corp método para configurar a tabela de mapeamento de concessão absoluta para estação base
US8351453B2 (en) * 2007-12-21 2013-0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allocate shared resources of a high speed packet access channel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223557B1 (en) * 2007-12-21 2017-0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999724B2 (ja) * 2008-02-18 2012-08-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CN101521946A (zh) * 2008-02-25 2009-09-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专用传输信道传输时用户终端的编址和寻址方法
JP5089431B2 (ja) * 2008-02-25 2012-12-0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基地局装置
KR101548748B1 (ko) * 2008-08-07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CN101651897B (zh) * 2008-08-12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20027163A (ko) 2009-04-24 2012-03-2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 전송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94884B1 (ko) * 2012-06-18 2014-05-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에서의 혼잡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2821477B (zh) * 2012-08-15 2015-10-2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调度请求周期的调整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1072A (fi) * 1994-03-07 1995-09-08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menetelmä, lähetin sekä vastaanotin
AU3260195A (en) * 1995-08-31 1997-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987019A (en) * 1996-10-15 1999-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rate radiocommunication systems and terminals
EP1033846A1 (en) * 1999-03-01 2000-09-06 Alcatel Process for controlling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033849A1 (en) * 1999-03-01 2000-09-06 Alcatel Process for controlling access to radio resource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06515736A (ja) * 2003-01-10 2006-06-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網用の一般化レート制御
US20050030953A1 (en) * 2003-08-04 2005-02-10 Subramanian Vasudevan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link transmission
US7353025B2 (en) * 2003-09-29 2008-04-01 Lg Electronics Inc. Uplink scheduling method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13442B1 (ko) * 2004-02-1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을 통한 스케쥴링 정보의 전송방법
US7693110B2 (en) * 2004-09-16 2010-04-06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signaling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US20060104240A1 (en) * 2004-11-12 2006-05-18 Benoist Sebire Trigger for send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HSUPA
US7701844B2 (en) * 2005-02-09 2010-04-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radio link failures associated with HSUPA and HSDPA channels
RU2374789C2 (ru) * 2005-03-22 2009-11-27 Нтт Докомо, Инк.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и контроллер радиосети
BRPI0602597A (pt) * 2005-03-29 2007-04-03 Ntt Docomo Inc método de controle de velocidade de transmissão, estação móvel e estação rádio base
US7961700B2 (en) * 2005-04-28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operation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DE602005018040D1 (de) * 2005-07-25 2010-01-14 Panasonic Corp Einschränkung eines HARQ Verfahrens und Übertragung von ungeplanten Steuerdaten auf Aufwärtskanäle
US7613157B2 (en) * 2005-08-30 2009-11-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nhanced uplink scheduling grants
JP5091170B2 (ja) * 2008-02-13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EP2374316B1 (en) * 2008-10-31 2013-11-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carrier uplink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02597A (pt) 2007-04-03
EP1708532A1 (en) 2006-10-04
US7817598B2 (en) 2010-10-19
RU2335863C2 (ru) 2008-10-10
RU2006110108A (ru) 2007-11-10
TWI346511B (en) 2011-08-01
EP1708532B1 (en) 2012-08-22
TW200704245A (en) 2007-01-16
KR100788859B1 (ko) 2007-12-27
US20060221892A1 (en) 2006-10-05
CN1842217A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859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787514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13515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8860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78885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88028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80007600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20060116738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1351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5358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AU2011201300B2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KR100937371B1 (ko)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KR10104403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108541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94582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EP1868404A1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KR100982767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JP4191743B2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WO2006118262A1 (ja)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JP2006222639A (ja) 相対速度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2006279614A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2006279618A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